[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8531B1 -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531B1
KR100868531B1 KR1020070132755A KR20070132755A KR100868531B1 KR 100868531 B1 KR100868531 B1 KR 100868531B1 KR 1020070132755 A KR1020070132755 A KR 1020070132755A KR 20070132755 A KR20070132755 A KR 20070132755A KR 100868531 B1 KR100868531 B1 KR 100868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field emission
substrate
emission device
an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2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준
송윤호
정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32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531B1/ko
Priority to US12/741,253 priority patent/US8129895B2/en
Priority to PCT/KR2008/006521 priority patent/WO2009078578A1/en
Priority to EP08861270.0A priority patent/EP2235732B1/en
Priority to JP2010539281A priority patent/JP2011508375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53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01J1/304Field-emissive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38Cold-cathode tubes
    • H01J17/48Cold-cathode tubes with more than one cathode or anode, e.g. sequence-discharge tube, counting tube, dekatron
    • H01J17/49Display panels, e.g. with crossed electrodes, e.g. making use of direct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1/00Electrodes common to discharge tubes
    • H01J2201/30Cold 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02Electrodes other than control electrodes
    • H01J2329/04Cathode electrodes
    • H01J2329/0407Field emission cathodes
    • H01J2329/0439Field emission cathodes characterised by the emitter material
    • H01J2329/0444Carbon types
    • H01J2329/0455Carbon nanotubes (CNT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ischarge Lamps And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캐소드 기판을 다층으로 구성하여 각 캐소드 기판 상에 배선들을 다층으로 배치함으로써, 캐소드 블록의 개수 제한 없이 다수의 캐소드 블록에 의해 미세한 로컬 디밍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배선 설계에 따라 각 캐소드 블록의 RC 지연시간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각 캐소드 블록에 전달되는 전류 제어 신호가 동일한 타이밍에 도달할 수 있어 전계 방출 장치의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계, 전계 방출 램프, FED, FEL, 로컬 디밍, 전계 에미터, 대조비, 잔상

Description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The Field Emission Device with Fine Local Dimming}
본 발명은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다수의 캐소드 블록에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캐소드 기판상의 배선을 다층 구조로 형성하여 미세한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평판 표시 장치(flat panel display)는 크게 발광형 표시 장치와 수광형 표시 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발광형 표시 장치로는 음극선관(CRT : Cathode Ray Tube),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 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 방출 표시 장치(FED : Field Emission Display) 등이 있으며, 수광형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가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무게가 가볍고 소비 전력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그 자체가 발광하여 화상을 형성하지 못하고,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어 화상을 형성하는 수광형 표시 장치이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화상을 관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배면에는 백라이트 유닛(BLU; Back-Light Unit)이 설치된다.
종래 백라이트 유닛으로는 선 광원으로서 냉음극 형광 램프(CCFL :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와 점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백라이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그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광원이 측면에 위치하고 있어서 광의 반사와 투과에 따른 전력 소모가 큰 단점이 있다. 특히, 액정 표시 장치가 대형화될수록 휘도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평면 발광 구조를 가진 전계 방출 백라이트 유닛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계 방출 백라이트 유닛은 기존의 냉음극 형광 램프 등을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에 비해 전력 소모가 적고, 넓은 범위의 발광 영역에서도 비교적 균일한 휘도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계 방출 백라이트 유닛은 전계 에미터가 형성된 캐소드(Cathode) 기판과 형광체가 형성된 아노드(Anode) 기판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 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진공 패키징(vacuum packaging)되고, 전계 에미터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아노드 기판의 형광체에 충돌되어 형광체의 음극 발광(cathodoluminescence)으로 빛을 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계 방출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전계 방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노드 기판(100)의 일면에는 아노드 전극(110)이 형성되고, 아노드 전극(110)의 일면에는 형광체(120)가 위치한다. 아노드 기판(100)에 대향하는 캐소드 기판(200)의 일면에는 캐소드 전극(210)이 형성되고, 캐소드 전극(210)의 일면에는 전계 방출 에미터(220)가 위치한다. 캐소드 전극(210)과 전계 방출 에미터(220)가 설치된 캐소드 기판(200)의 상부에는 게이트 전극(400)이 위치하며, 각 전계 방출 에미터(220)는 게이트 전극(400)의 경사 개구부(400a)를 통해 형광체(120)에 대향하여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400) 및 아노드 전극(110)간, 상기 게이트 전극(400) 및 캐소드 전극(210)간의 간격 유지를 위해 다수의 스페이서(310, 32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캐소드 전극(210)과 게이트 전극(400) 및 아노드 전극(110)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전계 방출 에미터(220)로부터 전자빔이 방출되어 방사상으로 퍼지며 진행하게 된다. 그 결과, 전계 방출 에미터(220)에서 방출된 전자빔은 해당 화소에 대응하는 형광체(120)에 도달하여 발광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구성을 갖는 냉음극 형광 램프(CCFL)의 경우 동작 속도가 느려 부분적인 휘도의 감소(dimming)나 펄스 구동이 어려우며 콘트라스트 비를 높이거나 동적인 화면에서 잔상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존재한다.
이를 위해 최근 LED를 사용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 휘도를 조절하거나 펄스 구동을 통해 높은 콘트라스트비와 깨끗한 동영상을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LED 백라이트 유닛은 제조 단가가 높고 구동 회로가 복잡한 동시에 수명적인 문제와 더불어 면발광이 쉽지 않은 단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캐소드 전극을 캐소드 블록으로 블록화하여 로컬 디밍(Local Dimming, '계조 표현'이라고도 함)이 가능한 전계 방출 램프가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으나, 정밀한 로컬 디밍을 위해 캐소드 블록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캐소드 블록과 외부 전극과의 배선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통상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램프에 있어서 캐소드 블록의 개수는 제한되며, 이는 정밀한 로컬 디밍이 불가능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소드 기판을 다층으로 구성하여 각 캐소드 기판 상에 배선들을 다층으로 배치함으로써, 캐소드 블록의 개수 제한 없이 다수의 캐소드 블록에 의해 더욱 미세한 로컬 디밍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전계 방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는, 아노드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아노드 전극 및 형광체와, 상기 아노드 기판에 대향하는 캐소드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캐소드 전극 및 전계 방출 에미터와, 상기 아노드 기판과 상기 캐소드 기판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되, 서브 픽셀 혹은 특정 영역별로 상기 다수의 캐소드 전극이 블록화되어 다수의 캐소드 블록을 구성하며, 상기 캐소드 기판이 다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층의 캐소드 기판상에 상기 각 캐소드 블록과 외부 전극의 연결을 위한 배선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특정 영역의 미세 로컬 디밍을 위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하는 캐소드 블록에 전류 제어 신호가 전달된 경우, 상기 캐소드 블록의 개별적인 전자빔 조절에 따라 상기 아노드 기판의 특정 영역에서만 발광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선은 내부 전극 및 비아홀을 통해 상기 각 층의 캐소드 기판상에 적층되어 배치되며, 상기 각 캐소드 블록에 전달되는 전류 제어 신호가 동일한 타이밍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배선의 선폭 및 비아홀의 직경이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LTCC), 고온 동시 소성 세라믹(HTCC), 적층 스크린 프린팅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상기 캐소드 기판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각 캐소드 기판에 배선이 다층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캐소드 기판을 다층으로 구성하여 각 캐소드 기판 상에 배선들을 다층으로 배치함으로써, 캐소드 블록의 개수 제한 없이 다수의 캐소드 블록에 의해 미세한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전계 방출 장치의 로컬 디밍에 대한 기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므로, 높은 콘트라스트비와 깨끗한 동영상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 설계에 따라 각 캐소드 블록의 RC 지연시간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으므로, 각 캐소드 블록에 전달되는 전류 제어 신호가 동일한 타이밍에 도달할 수 있어 전계 방출 장치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미세한 로컬 디밍을 위하여 m × n 개의 캐소드 블록이 형성된 전계 방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의 경우, 다수의 캐소드 전극(210)은 서브 픽셀 혹은 특정 영역별로 블록화되어 캐소드 블록(CB)에 포함되어 있다.
즉, 게이트 전극(400)과 아노드 전극(110)에 인가되는 전압이 고정된 상태에서, 각 캐소드 블록(CB)에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면, 각 캐소드 블록(CB)에 포함된 캐소드 전극(210)을 통해 전계 방출 에미터(22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의 양이 조절되어 특정 영역의 계조 표현, 다시 말해서 로킬 디밍(Local Dimming)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각 캐소드 블록(CB)에 인가되는 전류량은 TFT, 혹은 MOSFET 등과 같은 반도체 스위칭 회로(미도시)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PWM) 방식 혹은 펄스 진폭 변조(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방식을 이용하여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풀(full) HD급 이상의 고해상도 출력, 높은 콘트라스트 비와 동영상 재생시의 잔상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더욱 정밀한 로컬 디밍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능한 다수개의 캐소드 블록(CB)을 확보해야 한다.
하지만, 도 2에서와 같이 캐소드 블록(CB)의 개수가 4개 정도로 많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 전극(E)과 각 캐소드 블록(CB)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L)이 단일 평면 위에 간단히 구현되지만, 도 3에서와 같이 정밀한 로컬 디밍을 위해 캐소드 블 록(CB)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경우, 배선(L)의 개수도 m × n 개로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배선 연결이 매우 복잡해져 단일 평면상에 배선을 배치시키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
또한, 전계 방출 에미터(220)로부터 방출된 전자의 불필요한 충전(Charging) 및 방전(Dis-charging)으로 인한 아킹(Arcing)을 막기 위하여 캐소드 블록(CB)들은 최대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어야 하는데, 캐소드 기판(200)이 단일 기판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m × n개의 캐소드 블록(CB)들을 m × n개의 외부 전극(E)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배선(L)의 선폭을 아주 미세하게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배선(L)의 선폭을 아주 미세하게 형성하는 경우, 각 배선(L)들의 저항이 크게 나타날 뿐만 아니라, 배선(L)들끼리의 저항 차이도 크게 나타나서, 각 캐소드 블록(CB)들을 조절하기 위한 전류 제어 신호가 RC 지연 차이에 의해 원하는 타이밍에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야기될 수도 있다.
즉,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에 있어서 캐소드 블록(CB)의 개수는 통상 10개 미만으로 제한되며, 이는 정밀한 로컬 디밍이 불가능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캐소드 기판을 다층으로 구성하는 한편, 각 캐소드 기판 상에 배선들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배치함으로써, 캐소드 블록의 개수 제한 없이 다수의 캐소드 블록에 의해 미세한 로컬 디밍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장치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장치는, 캐소드 기판(200a)이 다층의 캐소드 기판(20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캐소드 기판(200) 상에는 각 캐소드 블록(CB)과 외부 전극(E)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L)이 적층되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배선(L)은 내부 전극(201) 및 비아홀(202)을 통해 각 캐소드 기판(200) 내부에 적층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다층의 각 캐소드 기판(200) 상에 각 캐소드 블록(CB)과 외부 전극(E)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L)을 적층하여 배치하면, 배선(L)들의 배치 자유도가 크게 증가하게 된다.
즉, 다수개의 캐소드 블록(CB)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각 캐소드 블록(CB)과 외부 전극(E)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L)이 각 캐소드 기판(200) 상에 다층으로 적층될 수 있기 때문에, 캐소드 기판(200)의 개수에 따라서 얼마든지 많은 수의 캐소드 블록(CB)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미세한 로컬 디밍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장치는, 상기와 같이 캐소드 블록(CB)의 개수 제한이 없어지는 잇점 이외에, 배선(L)의 선폭 및 비아홀(202)의 직경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각 캐소드 블록(CB)의 RC 지연시간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 캐소드 블록(CB)에 전달되는 전류 제어 신호가 동일한 타이밍에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캐소드 기판(200a)을 다층으로 구현하고 배선(L)을 다층으로 배치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2가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첫번째로,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이하 'LTCC'라 함) 혹은 고온 동시 소성 세라믹(High Temperature Co-fired Ceramic, 이하 'HTCC'라 함)과 같이 다층 레이어 구현이 가능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린 시트(Green sheet)라 불리우는 각각의 벌크 세라믹 레이어에 펀칭과 스크린 프린팅으로 내부 전극(201)과 비아홀(202)을 형성하고, 이를 적층(Lamination)시킨 후 소성한다.
여기에서, 통상 LTCC에서는 전극으로 은(Ag) 및 은/팔라듐 합금(Ag/Pd)을 사용하고, HTCC에서는 전극으로 텅스텐(W)을 사용하며, 기판 자체는 세라믹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LTCC의 경우 약 900℃, HTCC의 경우 약 1600℃의 소성 온도를 가지며, 개별 세라믹 레이어의 두께는 최소 10 ㎛ 이다.
상기 LTCC 혹은 HTCC를 이용한 다층 레이어 구현 방법에 있어서, 개별 세라믹 레이어를 진공 실링에 대비한 외부 기판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개별 세라믹 레이어를 진공 실링에 적합한 유리 기판에 본딩하여 구현하는 방법 모두가 가능하다.
두번째로, 통상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의 제조시 이용되는 적층 스크린프린팅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개별 절연층에 내부 전극(201) 및 비아홀(202)을 프린팅한 후 건조하여 다시 프린팅하는 방법으로, 이러한 적층 스크린 프린팅 기술에 의해 각 캐소드 기판상에 배선이 적층되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장치의 미세 로컬 디밍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장치는, 각 캐소드 블록(CB)의 개별적인 전자빔 조절에 따라 아노드 기판(100)의 특정 영역에서만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장치를 이용하여 고 해상도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경우, 매우 정밀한 로컬 디밍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LCD의 해상도 수준으로도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하며, 또한, 높은 콘트라스트 비와 동영상 재생시의 잔상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계 방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미세한 로컬 디밍을 위하여 m × n 개의 캐소드 블록이 형성된 전계 방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장치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방출 장치의 미세 로컬 디밍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아노드 기판 110: 아노드 전극
120: 형광체 200: 캐소드 기판
210: 캐소드 전극 220: 전계 방출 에미터
310, 320 : 스페이서
400: 게이트
L : 배선
E : 외부 전극

Claims (9)

  1. 아노드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아노드 전극 및 형광체와, 상기 아노드 기판에 대향하는 캐소드 기판의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캐소드 전극 및 전계 방출 에미터와, 상기 아노드 기판과 상기 캐소드 기판 사이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포함하되,
    서브 픽셀 혹은 특정 영역별로 상기 다수의 캐소드 전극이 블록화되어 다수의 캐소드 블록을 구성하며,
    상기 캐소드 기판이 다층으로 형성되어, 상기 각 층의 캐소드 기판상에 상기 각 캐소드 블록과 외부 전극의 연결을 위한 배선이 다층으로 적층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특정 영역의 미세 로컬 디밍을 위해 상기 특정 영역에 해당하는 캐소드 블록에 전류 제어 신호가 전달된 경우,
    상기 캐소드 블록의 개별적인 전자빔 조절에 따라 상기 아노드 기판의 특정 영역에서만 발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 블록에 포함된 다수의 캐소드 전극을 통해 상기 전계 방출 에미 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빔의 양이 조절되어 상기 아노드 기판의 특정 영역에서만 발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내부 전극 및 비아홀을 통해 상기 각 층의 캐소드 기판상에 적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캐소드 블록에 전달되는 전류 제어 신호가 동일한 타이밍에 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배선의 선폭 및 비아홀의 직경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LTCC), 고온 동시 소성 세라믹(HTCC), 적층 스크린 프린팅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상기 캐소드 기판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각 캐소드 기판에 배선이 다층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동시 소성 세라믹(LTCC) 또는 고온 동시 소성 세라믹(HTCC)에 사 용된 개별 세라믹 레이어가 진공 실링에 대비한 외부 기판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진공 실링에 적합한 유리 기판에 본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노드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간격 유지를 위한 스페이서가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캐소드 전극 사이에 간격 유지를 위한 스페이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방출 에미터는 카본 나노 튜브, 카본 나노 섬유 및 카본계 합성 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KR1020070132755A 2007-12-17 2007-12-17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68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755A KR100868531B1 (ko) 2007-12-17 2007-12-17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US12/741,253 US8129895B2 (en) 2007-12-17 2008-11-06 Field emission device with fine local dimming
PCT/KR2008/006521 WO2009078578A1 (en) 2007-12-17 2008-11-06 The field emission device with fine local dimming
EP08861270.0A EP2235732B1 (en) 2007-12-17 2008-11-06 The field emission device with fine local dimming
JP2010539281A JP2011508375A (ja) 2007-12-17 2008-11-06 微細ローカルディミングが可能な電界放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2755A KR100868531B1 (ko) 2007-12-17 2007-12-17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8531B1 true KR100868531B1 (ko) 2008-11-13

Family

ID=4028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275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8531B1 (ko) 2007-12-17 2007-12-17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29895B2 (ko)
EP (1) EP2235732B1 (ko)
JP (1) JP2011508375A (ko)
KR (1) KR100868531B1 (ko)
WO (1) WO20090785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2509B2 (en) 2009-03-24 2013-07-09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pparatus to compensate for uneven backlighting
US11132959B2 (en) 2018-01-10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06A (ko) * 1997-08-28 1999-03-25 니시무로 아츠시 전계방출형 화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1035352A (ja) 1999-07-22 2001-02-09 Sharp Corp 電子源、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形成した画像形成装置
KR20070077339A (ko) * 2006-01-23 2007-07-26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면표시장치의 다층전극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3673A (en) 1988-10-17 1991-10-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ield emission cathode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H06124322A (ja) * 1992-10-12 1994-05-06 Fujitsu Ltd 等長指定ネットの配線方法
US5686790A (en) * 1993-06-22 1997-11-11 Candescent Technologies Corporation Flat panel device with ceramic backplate
US5591352A (en) * 1995-04-27 1997-01-07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High resolution cold cathode field emission display method
US5644327A (en) * 1995-06-07 1997-07-01 David Sarnoff Research Center, Inc. Tessellated electroluminescent display having a multilayer ceramic substrate
US6897855B1 (en) * 1998-02-17 2005-05-24 Sarnoff Corporation Tiled electronic display structure
JP2000323078A (ja) * 1999-05-14 2000-11-24 Ise Electronics Corp 蛍光表示装置
JP3502804B2 (ja) * 2000-03-17 2004-03-02 株式会社 ケイアンドティ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の成長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銃及びプローブの製造方法
EP1344241A1 (en) 2000-06-01 2003-09-17 Complete Substrate Solutions Limited Visual display
KR20020057639A (ko) 2001-01-03 2002-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계방출형 표시소자
WO2003034513A1 (en) * 2001-10-18 2003-04-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oluminescent device
EP1315191B1 (en) * 2001-11-23 2007-08-22 Samsung SDI Co. Ltd. Composite for paste including carbon nanotubes, electron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120479A (ja) * 2004-10-22 2006-05-11 Hitachi Displays Ltd 画像表示装置
KR100652572B1 (ko) 2004-12-14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용 전계 방출 소자
KR20070050617A (ko) 2005-11-11 2007-05-1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06A (ko) * 1997-08-28 1999-03-25 니시무로 아츠시 전계방출형 화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1035352A (ja) 1999-07-22 2001-02-09 Sharp Corp 電子源、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形成した画像形成装置
KR20070077339A (ko) * 2006-01-23 2007-07-26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면표시장치의 다층전극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2509B2 (en) 2009-03-24 2013-07-09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driving a display apparatus to compensate for uneven backlighting
US11132959B2 (en) 2018-01-10 2021-09-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35732A4 (en) 2011-04-20
EP2235732A1 (en) 2010-10-06
US8129895B2 (en) 2012-03-06
EP2235732B1 (en) 2014-04-16
US20100231119A1 (en) 2010-09-16
WO2009078578A1 (en) 2009-06-25
JP2011508375A (ja)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2266B2 (en) White phosphor, light emiss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EP1870925A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light source
EP1858057A2 (en) Light emission device with electron excited phosphor layers,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light source
EP2088181B1 (en) White phosphor, light emiss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backlight unit
US8228465B2 (en) White phosphor, light emiss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backlight unit
KR100913132B1 (ko) 전계 방출형 백라이트 유닛과 이에 이용되는 캐소드 구조물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68531B1 (ko) 미세 로컬 디밍이 가능한 전계 방출 장치
KR101002278B1 (ko) 전계 방출형 백라이트 소자
CN100544536C (zh) 发光装置及显示装置
EP1906434B1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EP1923904A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spacers therefor
KR100963258B1 (ko) 전계 방출 장치
KR20090006352A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표시 장치
EP1890320A2 (en) Light emiss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light source
KR100804699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 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장치
KR100823479B1 (ko) 발광 장치와 이 발광 장치를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장치
KR100759414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장치
KR100814848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장치
KR100717762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장치
KR20050079108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796689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 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 장치
KR100766927B1 (ko) 발광 장치 및 이 발광 장치를 백 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액정 표시장치
CN101183635B (zh) 发光装置及使用该发光装置作为背光单元的显示装置
Wang et al. High-luminance FED with very low power consumption
KR20080021191A (ko) 발광 장치, 발광 장치의 전자 방출 유닛 제조 방법 및 이발광 장치를 백라이트 유닛으로 사용하는 액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