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8439B1 -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 Google Patents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439B1
KR100868439B1 KR1020070004268A KR20070004268A KR100868439B1 KR 100868439 B1 KR100868439 B1 KR 100868439B1 KR 1020070004268 A KR1020070004268 A KR 1020070004268A KR 20070004268 A KR20070004268 A KR 20070004268A KR 100868439 B1 KR100868439 B1 KR 100868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polarization
sample
interference
op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7100A (ko
Inventor
투그바에브 비탈리
엄태중
기철식
고도경
이종민
Original Assignee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광주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70004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439B1/ko
Publication of KR2008006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4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A47K3/022Bath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e.g. for washing the feet, for bathing in sitt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01Accessories for baths, not provided for in other subgroups of group A47K3/00 ; Insertions, e.g. for babies; Tubs suspended or inserted in baths; Security or alarm devices; Protecting linings or coverings;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baths; Bath in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12Separate seats or body supports
    • A47K3/125Body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S OCT)용 간섭 시스템은 센싱 간섭부와 신호 해석부를 포함한다. 센싱 간섭부는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선형 편광된 제1 광의 제1 부분이 샘플로부터 반사된 후 샘플단을 통과하는 제1 광경로를 거쳐 제1 방향으로 편광된 제2 광과 상기 제1 광의 제2 부분이 기준단을 통과하는 제2 광경로-여기서 제2 광경로는 상기 제1 광경로와 독립적임-를 거쳐 제2 방향으로 편광된 제3 광-여기서 제2광과 상기 제3광의 편광 방향은 실질적으로 서로 직교함-을 제공한다. 신호 해석부는 상기 제2광의 상기 제1 광경로와 상기 제3 광의 제2 광경로를 보상하여 간섭 신호를 생성한 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샘플단과 상기 기준단은 각각 상기 실질적으로 서로 직교하는 제2 광 및 제 3광을 제공하기 위한 편광 조절기 및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를 포함한다. 측정할 생체 샘플에 대한 샘플 측정단을 신호 해석부와 구조적으로 분리하고 간단히 전기적으로 두개의 직교하는 편광 신호들의 편광 상태를 제어하여 하나의 측정단만을 사용하여 고속으로 생체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Interference System For 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용 간섭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섭 신호 추출을 위한 Wolaston 프리즘을 이용한 복굴절 간섭계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는 편광성분 분석 방법에 대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용 간섭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측정신호의 신호대 잡음비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써 사용된 정전압 주변(DC background)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센싱 간섭부 110 : 샘플 측정단
120 : 센싱 간섭계 300 : 신호 해석부
310 : 광경로 보상부 350 : 광신호 검출부
본 발명은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이하 PS-OCT)를 위한 간섭 시스템(interferrometer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편광 관련 생체 조직의 배열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편광유지 광섬유 기반의 간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는 고화질 영상 기록 기술의 일종으로서, 저간섭성 광원을 이용하여 생체 샘플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생체 표재부 내부를 초고화질 단층 촬영을 하여 영상을 얻음으로써 육안, 내시경으로 볼 수 없는 점막, 피부, 안구 표면 하부의 생체 조직의 구조를 비침습적으로 촬영,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다.
PS-OCT는 생체 샘플로부터 반사된 광을 두개의 직교하는 편광 채널들을 통하여 검출한다. PS-OCT의 동작 원리에 대해서는 미국 등록 특허 6,208,415(발명의 명칭“Birefringence imaging in biological tissue using 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t tomography”)에 설명되어 있다.
PS-OCT는 악성 피부암등의 초기 진단을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악성 피부암 등의 초기 진단용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생체 샘플의 서브 밀리미터(sub-millimeter) 깊이까지 탐색할 것이 요구된다. PS-OCT에서 서브 밀리미터(sub-millimeter) 깊이까지 탐색할 경우, 실험실 조건에서는 쉽게 가능하지만, 임상등에 실제 응용될 경우에는 생체 측정단으로 쓰이는 프루브(probe)의 굽힘과 꼬임 및 온도 변화등 외부 환경 변화의 영향으로 두개의 직교하는 편광 채널들의 편광 상태를 제어하기가 어려우므로 주기적으로 편광 상태를 조절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 등록 특허 7,016,048(발명의 명칭 “Phase-resolved function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imultaneous imaging of the stokes vectors, structure, blood flow velocity, standard deviation and birefringence in biological samples”)에서는 광섬유기반의 PS-OCT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등록 특허 7,016,048에 개시된 PS-OCT 시스템은 기계적으로 조절가능한 광섬유 루프 편광기(mechanically adjustable fiber loop polarizer)를 이용하여 두개의 직교하는 편광 채널들의 편광 상태를 기계적으로 제어하고 있으며, 생체 신호를 얻어 처리하는데에 장시간이 필요하므로 안정적인 실험실 조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종래의 Tugbaev와 Myllyla의 논문("Feasibility of a compact fiberoptic prove for real time tracing of subsurface skin birefringence", Proceedings of SPIE, Vol. 5861, 2005)에서는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electro-optic switch)를 이용하여 편광민감 생체영상기기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Tugbaev와 Myllyla의 논문에서는 기본 구조가 마이켈슨(Michelson) 간섭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 자-광-액정 편광조절기의 위치가 생체 관측단에 위치하게 되어서 수직인 편광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를 조절하게 되면 생체 조직 대상으로 입사되는 빛의 편광상태도 변화되어 정확한 편광관련 생체조직의 배열정보를 알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편광 상태를 기계적으로 제어하는 대신 전기적으로 간단히 제어할 수 있고, 정확한 편광 관련 생체 조직의 배열정보를 알기 위해서는 액정 편광조절기를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를 조절할 경우에도 생체 조직 대상으로 입사되는 빛의 편광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PS-OCT 시스템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측정할 생체 샘플에 대한 샘플 측정단을 신호 해석단과 구조적으로 분리하고 두개의 직교하는 편광 채널들의 편광 상태를 전기적으로 간단히 제어할 수 있는 편광유지 광섬유 기반의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S-OCT)용 간섭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용 편광유지 광섬유 기반의 탠덤 간섭 시스템(tandem interferrometer system)은 1)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선형 편광된 제1 광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배하는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 2) 상기 제1 광의 제1 부분을 반사시키는 거울, 3) 상기 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속하여 상기 샘플로 조사하는 렌즈, 4) 상기 샘플로부터 반사되어 제1 광경로를 거쳐 제1 방향으로 편광된 제2 광을 출력하는 샘플단, 5) 상기 제1광의 제2 부분이 제2 광경로-여기서 제2 광경로는 상기 제1 광경로와 독립적임-를 거쳐 제2 방향으로 편광된 제3 광-여기서 제2 광과 상기 제3광의 편광 방향은 실질적으로 서로 직교함-을 출력하는 기준단, 6) 상기 제2 광 및 상기 제3 광이 입사되는 편광 광분배기를 포함하는 센싱 간섭부와, 1)상기 제2광의 상기 제1 광경로와 상기 제3 광의 상기 제2 광경로를 보상하여 간섭 신호를 생성하는 광경로 보상부, 2) 상기 간섭 신호를 입력받는 선형 편광기, 3) 상기 선형 편광기의 출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간섭 패턴을 검출하는 광신호 검출부를 포함하는 신호 해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샘플단과 상기 기준단은 각각 상기 실질적으로 서로 직교하는 제2 광 및 제 3광을 제공하기 위한 편광 조절기 및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신호 검출부는 상기 선형 편광기의 출력에 연결된 렌즈와, 상기 선형 편광기의 출력에 연결된 렌즈의 출력을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간섭 패턴을 검출하는 선형 디텍터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간섭성 광원은 제1 편광 유지 광섬유에 결합되고, 상기 샘플단은 제2 편광 유지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단은 제3 편광 유지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편광 유지 광섬유들은 신축가능한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간섭부는 상기 제1 편광 유지 광섬유를 통과한 광을 원형 편광 시키는 1/4 파장 지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4 파장 지연기, 상기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 상기 샘플단의 편광 조절기, 상기 샘플단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 상기 기준단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 상기 거울 및 상기 렌즈는 핸드헬드 프로브-여기서 상기 핸드 헬드 프로브는 상기 신축 가능한 케이블에 연결됨-에 포함될 수 있다. 1/4 파장 지연기, 상기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 상기 샘플단의 편광 조절기, 상기 샘플단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 상기 거울 및 상기 렌즈는 핸드헬드 프로브-여기서 상기 핸드 헬드 프로브는 상기 신축 가능한 케이블에 연결됨-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신축 가능한 케이블은 타원 코아 편광 유지 광섬유 광섬유(elliptical core polarization maintaining fiber)가 될 수 있다. 상기 샘플단의 편광 조절기 및 상기 기준단의 편광 조절기는 쌍안정 고속 전자-광 스위치로 동작하는 쌍안정 강유전 액정 회전자(bistable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rot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형 디텍터 어레이는 정위상 형태의 간섭무늬 측정신호(In-phase interferogram)와 역위상형태의 간섭무늬 측정신호(Anti-phase interferogram)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주변(background)의 정전압 잡음 신호(DC noise)를 제거하여 상기 간섭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용 간섭 시스템은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선형 편광된 제1 광의 제1 부분이 샘플로부터 반사된 후 샘플단을 통과하는 제1 광경로를 거쳐 제1 방향으로 편광된 제2 광과 상기 제1 광의 제2 부분이 기준단을 통과하는 제2 광경로-여기서 제2 광경로는 상기 제1 광경로와 독립적임-를 거쳐 제2 방향으로 편광된 제3 광-여기서 제2광과 상기 제3광의 편광 방향은 실질적으로 서로 직교함-을 제공하는 센싱 간섭부와, 상기 제2광의 상기 제1 광경로와 상기 제3 광의 제2 광경로를 보상하여 간섭 신호를 생성한 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해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제1 편광 유지 광섬유에 결합되고, 상기 샘플단은 제2 편광 유지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단은 제3 편광 유지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샘플단과 상기 기준단은 각각 상기 실질적으로 서로 직교하는 제2 광 및 제 3광을 제공하기 위한 편광 조절기 및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간섭부는 상기 제1 광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배하는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와, 상기 제1 광의 제1 부분을 반사시키는 거울과, 상기 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속하여 상기 샘플로 조사하는 렌즈와, 상기 샘플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제1 광경로를 거쳐 제1 방향으로 편광된 제2 광을 출력하는 샘플단과, 상기 제1광의 제2 부분이 상기 제2 광경로를 거쳐 제2 방향으로 편광된 제3 광을 출력하는 기준단과, 상기 제2광 및 상기 제3광이 입사되는 편광 광분배기를 포함하는 센싱 간섭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간섭계는 상기 제1 편광 유지 광섬유를 통과한 광을 원형 편광 시키는 1/4 파장 지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4 파장 지연기, 상기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 상기 샘플단의 편광 조절기, 상기 샘플단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 상기 기준단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 상기 거울 및 상기 렌즈는 핸드헬드 프로브-여기서 상기 핸드 헬드 프로브는 신축 가능한 케이블에 연결됨-에 포함될 수 있다. 1/4 파장 지연기, 상기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 상기 샘플단의 편광 조절기, 상기 샘플단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 기, 상기 거울 및 상기 렌즈는 핸드헬드 프로브-여기서 상기 핸드 헬드 프로브는 신축 가능한 케이블에 연결됨-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신호 해석부는 월라스톤(Wolaston) 프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2광의 상기 제1 광경로와 상기 제3 광의 제2 광경로를 보상하여 간섭 신호를 생성하는 광경로 보상부와, 상기 간섭 신호를 입력받는 선형 편광기와, 상기 선형 편광기의 출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간섭 패턴을 검출하는 광신호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섭 시스템은 상기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 상기 거울 및 상기 렌즈을 포함하는 하나의 샘플 측정단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용 간섭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은 크게 센싱 간섭부(100) 및 신호 해석부(300)로 이루어진다.
센싱 간섭부(100)는 광원(10), 편광 유지 광섬유(12), 광집속기(13), 거울(14) 및 센싱 간섭계(120)을 포함한다. 센싱 간섭부(100)는 광원(10)으로부터 제공된 선형 편광된 제1 광의 제1 부분이 샘플(19)로부터 반사된 후 샘플단(sample arm)을 통과하는 제1 광경로를 거쳐 제1 방향으로 편광된 제2 광과 상기 제1 광의 제2 부분이 기준단(reference arm)을 통과하는 제2 광경로를 거쳐 제2 방향으로 편광된 제3 광을 편광 광분배기(25)로 제공한다. 여기서, 제2 광과 제3 광의 편광 방향은 실질적으로 서로 직교한다. 여기서, 제2 광경로는 상기 제1 광경로와 독립적이다. 샘플단은 광분배기(16)와 참조 부호 17 내지 25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되며, 기준단은 광분배기(16)와 참조 부호 26 내지 36 및 참조 부호 25의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 제1 광경로는 광원(10)으로부터 제공된 선형 편광된 제1 광이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16)에 의해 분배된 후 상기 제1광의 제1 부분이 샘플(19) 로부터 반사된 후 샘플단(sample arm)을 통과하여 편광 광분배기(25) 전까지의 광경로를 나타내며, 제2 광경로는 광원(10)으로부터 제공된 선형 편광된 제1 광이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16)에 의해 분배된 후 상기 제1광의 제2 부분이 기준단(reference arm)을 통과하여 편광 광분배기(25) 전까지의 광경로를 나타낸다. 센싱 간섭계(120)는 참조 부호 15, 16, 20 내지 35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신호 해석부(300)는 광경로 보상부(310), 선형 편광기(39) 및 광신호 검출부(350)을 포함한다. 신호 해석부(300)는 상기 제2광의 상기 제1 광경로와 상기 제3 광의 제2 광경로를 보상하여 간섭 신호를 생성한 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광경로 보상부(310)는 월라스톤(Wolaston) 프리즘(38)을 이용하여 상기 제2광의 상기 제1 광경로와 상기 제3 광의 제2 광경로를 보상하여 간섭 신호를 생성한다. 광경로 보상부(310)는 광 크기 확장기(37) 및 Wolaston 프리즘(38)을 포함한다. 선형 편광기(39)는 상기 간섭 신호를 입력받는다.
광신호 검출부(350)는 상기 선형 편광기(39)의 출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간섭 패턴을 검출한다. 광신호 검출부(350)는 선형 편광기(39)의 출력에 연결된 렌즈(40, 42)와, 렌즈(40, 42)의 출력을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간섭 패턴을 검출하는 선형 디텍터 어레이(41)을 포함한다.
샘플 측정단(110)은 광집속기(13), 거울(14), 1/4 파장 지연기(quarter-wave retarder, 15),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16), 거울(17), 렌즈(18), 편광조절기(20), 선형 편광기(linear polarizer , 21), 광집속기(22), 선형 편광기(26), 거울(27) 및 광집속기(28)를 포함하며, 샘플(19)을 측정하기 위한 핸드헬 드 프로브(handheld probe)를 구성한다.
저간섭성 광원(low-coherent light source, 10)은 선형 편광된 출력광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편광 유지 광섬유(polarization-maintaining fiber, 12)에 의하여 광집속기(13)에 연결되어 있다.
광집속기(13)에서 나오는 출력 광원은 선형편광 되어있다. 예를 들어, 광집속기(13)에서 나오는 출력 광원은 도 1의 평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선형 편광된 상태를 가진다.
선형편광 상태의 출력광은 거울(14)에 의해 반사되어 1/4 파장 지연기(quarter-wave retarder, 15)를 통과한 후에 원형으로 편광상태가 바뀐 후에 편광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beamsplitter, 16)로 입사된다.
편광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16)에 의해서 나뉘어진 원형편광 상태의 빛 중 절반(probe beam)은 샘플 스캔용 거울(17)과 집속용 렌즈(18)를 통해서 복굴절 특성을 가진 샘플(19)에 조사된다.
그후 샘플(19)의 각 내부 경계면에서 반사되어온 빛은 임의의 편광 상태를 가지고 편광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16)를 통과하게된다. 그 후 샘플(19)에서 반사된 빛은 45°와 0°로 조절이 가능한 편광조절기(20)와 0°로 조정된 선형 편광기(linear polarizer , 21)를 통과한 후 광집속기 (22)에 의해서 편광유지 광섬유(23)로 집속되어 전송된 후 광집속기(24)에 의해서 편광 광분배기(polarizing beam combiner, 25)로 입사된다. 이때 입사되는 빛은 0°로 편광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편광조절기(2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의 구 동기(driver)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45°와 0°간의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편광조절기(20)는 편광조절 상태를 45°와 0°간 스위칭할 수 있는 다른 편광 조절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조절기(20)는 복굴절 성질을 가지는 전자-광 위상 변환기(electo-optic phase modulator)나 혹은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편광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16)에 의해서 나뉘어진 원형편광 상태의 빛의 나머지 절반은 0°로 조정된 선형 편광기(26)를 통과한 후 거울(27)과 광집속기(28)에 의해서 편광유지 광섬유(29)로 집속되어 전송된 후 광집속기(30)에 의해서 선형편광기(31, 32)를 통과하면서 광세기를 적절히 조정한 후 다시 광집속기(33)에 의해서 편광유지 광섬유(34)로 집속되어 전송된 후 광집속기(35)에 의해서 45°와 0°로 조절이 가능한 편광조절기(36)와 편광 광분배기(25)로 입사된다. 이때 편광 광분배기(25)로 입사되는 빛은 45°로 편광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편광조절기(36)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의 구동기(driver)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45°와 0°간의 스위칭이 가능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편광조절기(36)는 편광조절 상태를 45°와 0°간 스위칭할 수 있는 다른 편광 조절기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광조절기(36)는 복굴절 성질을 가지는 전자-광 위상 변환기(electo-optic phase modulator)나 혹은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를 사용할 수 있다.
편광 광분배기(25)에서 샘플단을 통과한 빛과 기준단을 통과한 빛이 합쳐진후 광 크기 확장기(beam expander, 37)를 거쳐 복굴절 프리즘(38)로 입사된다. 본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굴절 프리즘(38)으로 Wolaston 프리즘을 사용한다.
또한, 광집속기(30)과 광집속기(33) 사이의 거리는 전체 광경로차 조정을 위하여 미세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편광유지 광섬유(12, 23, 29)를 사용하여 실제 측정할 생체 조직으로의 접근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최종이용자의 사용의 용이성 확보를 위하여 샘플측정단(110)을 신호해석부(300)과 구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참조 부호 13 내지 18, 20 내지 22, 및 26 내지 28은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핸드핸들 프루브(handheld probe) 내부에 배치시키고 핸드핸들 프루브는 상기 편광유지 광섬유(12, 23, 29)를 통하여 전체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탠덤(tandem) 간섭계의 센서 부분 간섭계(sensing interferometer) 구성을 위하여 마흐-젠더(Mach-Zehnder) 간섭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광분배기(16)와 참조 부호 17 내지 25의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마흐-젠더(Mach-Zehnder) 간섭계의 샘플단(sample arm)을 구성하였고, 광분배기(16)와 참조 부호 26 내지 36 및 참조 부호 25의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마흐-젠더(Mach-Zehnder) 간섭계의 기준단(reference arm)을 구성하여 마흐-젠더(Mach-Zehnder) 간섭계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샘플측정단용 마흐-젠더(Mach-Zehnder) 간섭계는 기존의 방법에 비하여 몇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에는 마이켈슨(Michelson) 간섭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의 위치가 생체 관측단에 위치하게 되어서 수직인 편광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를 조절하게 되면 생체조직대상으로 입사되는 빛의 편광상태도 변화되어 정확한 편광관련 생체조직의 배열정보를 알기가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용된 탠덤(tendom) 간섭 방식에서는 샘플단의 편광조절기(20) 및 기준단의 편광 조절기(36)의 위치가 생체관측단과 무관한 편광 무관 광분배기(16) 이후에 위치하므로 편광조절기(20, 36)의 조절과 무관하게 생체조직대상으로 입사되는 빛의 편광상태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편광관련 생체조직의 배열정보를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섭 신호 추출을 위한 Wolaston 프리즘을 이용한 복굴절 간섭계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탠덤(tandem) 간섭계의 신호 추출용 간섭계 구성을 위하여 Wolaston 프리즘을 이용한 복굴절 간섭계를 구성하되, 더불어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S-OCT)에 적용할 수 있도록 참조 부호 37 내지 42의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변경된 구조를 사용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19)이 복굴절 특성을 가진 3층 구조를 가진다고 가정한다면, 샘플(19)에서부터 각각 반사된 빛들은 서로간의 광경로차(optical path length difference)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샘플(19)에서 반사된 빛들은 편광조절기(20)와 선형 편광기(21)의 광학계를 지나면서 수직(혹은 수평) 편광 상태를 가지고 있다.
샘플(19)의 가장 중앙면에서 반사된 빛은 기준단에서 진행되어 온 빛과 같은 광경로를 가지고 있도록 조절되어 있어 기준단에서 진행되어 온 빛은 샘플(19)의 중심면에서 반사된 빛과는 광경로차가 나지 않는다.
그러나, 샘플(19)의 왼쪽면에서 반사된 빛은 기준단에서 진행되어 온 빛과 샘플(19)의 왼쪽면 두께(d)에 해당하는 광경로차(-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샘플의 오른쪽면에서 반사된 빛은 기준단에서 진행되어 온 빛과 샘플의 오른쪽면 두께(d)에 해당하는 광경로차(+τ)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생긴 왼쪽면과 오른쪽면 그리고 기준단면에서 진행된 빛들 사이의 각각의 광경로차를 상쇄시켜야 서로간의 간섭을 얻고 이로부터 샘플(19)의 두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샘플단의 빛과 기준단 빛 사이의 수직인 편광특성을 이용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샘플단의 빛은 모두 수직편광 상태이고 기준단의 빛은 수평편광 상태이다.
Wollaston 프리즘(38)의 왼쪽면(ne<no)은 수평편광상태의 빛이 수직편광상태의 빛에 비하여 느리게 진행되고, 오른쪽면(ne>no)은 수직편광상태의 빛이 수평편광상태의 빛에 비하여 느리게 진행된다. 그리고 Wollaston 프리즘(38)은 이러한 다른 특성을 가진 왼쪽면과 오른쪽면의 두께 비율이 프리즘(38) 상단에서는 작았다가 중앙에서는 같아지고 하단으로 내려올수록 커지도록 이루어져있다.
Wolaston 프리즘(38)은 광경로차를 보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샘플단의 빛과 기준단의 빛을 복굴절 성질을 가진 Wollaston 프 리즘(38)에 조사시키면 프리즘(38)의 정중앙에서는 프리즘(38)의 왼쪽 면과 오른쪽 면의 두께가 같기 때문에 샘플단의 빛(수직편광)과 기준단의 빛(수평편광)간의 광경로차가 없는 샘플(19)의 중심면에서 반사된 빛과 기준단의 빛에 의해서 생긴 간섭무늬가 축의 중앙 부근에서 발생한다.
이에 반해서 프리즘(38)의 상단에서는 프리즘의 왼쪽 면의 두께가 오른쪽 면의 두께보다 얇기 때문에 프리즘(38)을 통과한 빛은 샘플단의 빛(수직편광)이 기준단의 빛(수평편광)보다 느리게 진행하게 샘플단의 빛(수직편광)과 기준단의 빛(수평편광)간의 광경로차가 + τ인 샘플(19)의 오른쪽 면에서 반사된 빛과 기준단의 빛에 의해서 생긴 간섭무늬가 프리즘(38)의 상단에서 발생하고, 상기 간섭무늬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율렌즈(40)을 지나면서 상의 반전이 일어나서 축의 하단에 발생된다.
또한, 프리즘(38)의 하단에서는 프리즘의 왼쪽 면의 두께가 오른쪽 면의 두께보다 두껍기 때문에 프리즘(38)을 통과한 빛은 샘플단의 빛(수직편광)이 기준단의 빛(수평편광)보다 빨리 진행하게 되어서 샘플단의 빛(수직편광)과 기준단의 빛(수평편광)간의 광경로차가 - τ인 샘플의 왼쪽 면에서 반사된 빛과 기준단의 빛에 의해서 생긴 간섭무늬가 프리즘(38)의 하단에서 발생하고, 상기 간섭무늬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율렌즈(40)을 지나면서 상의 반전이 일어나서 축의 상단에 발생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발생된 각각의 간섭무늬는 신호-잡음비(Signal-to-Noise ratio)을 높이기 위하여 렌즈(42)에 의하여 한쪽 방향으로 집 속된 후 선형 디텍터 어레이(41)에 의해서 전기신호로 바뀌어 측정된다. 선형 디텍터 어레이(41)는 예를 들어 CCD 디텍터 어레이가 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편광성분 분석 방법에 대한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샘플(19)의 복굴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샘플에서 반사되어 나온 빛의 편광성분을 수직(V) 성분과 수평(H)성분으로 나누어서 조사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빛의 편광상태를 45°와 0°로 조절이 가능한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20)과 선형 편광기(21)를 이용하였다.
우선 도 3에서처럼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20)을 45°상태로 맞추어 놓은 후 샘플(19)로부터 반사된 빛(43)을 통과 시키면 빛(43)의 수평(H)성분이 수직으로 빛(43)의 수직(V)성분이 수평으로 편광 상태가 조절된 빛(44)이 나오게 된다.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20)을 통과한 빛(44)은 다시 0°로 맞추어진 선형 편광기(21)를 통과하면서 수평성분만 걸러지고 처음 샘플에서 반사된 빛(43)의 수직(V) 성분만이 남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4에서처럼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20)을 0°상태로 맞추어 놓은 후 샘플(19)로부터 반사된 빛(43)을 통과 시키면 빛(43)의 수평(H)성분과 수직(V) 성분의 세기는 그대로 통과하고 단지 전체 축방향만 바뀌뀐 빛(44‘)이 나오게 된다.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20)을 통과한 빛(44’)은 다시 0°로 맞추어진 선형 편광기(21)를 통과하면서 수직성분만 걸러지고 처음 샘플에서 반사된 빛(43)의 수평(H) 성분만이 남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20)의 편광조절 상태를 45°와 0°로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샘플의 편광성분을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용 간섭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도1의 편광 광분배기(25) 대신에 광섬유 광신호 분배기(25a)와 편광유지광섬유(25b, 25c) 그리고 광집속기(25d)의 조합을 적용하여 광학계의 단순화와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더욱이 보다 효율적인 생체신호측정단을 구성하기 위하여 도 1의 구조에서 몇가지 광학계의 위치와 구성을 바꾸었다. 즉, 1/4 파장 지연기(15)를 1/4 파장 지연기(15a)의 위치로, 그리고 선형평광기(26)을 선형평광기(26a)의 위치로 바꾸었으며, 광 크기 확장기(37)를 광집속기(37a)와 렌즈(37b)의 조합으로 대체하였다. 그 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도 1의 구성과 역할이 동일하다.
도 6은 측정신호의 신호대 잡음비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써 사용된 정전압 주변(DC background) 잡음 신호를 제거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36)은 빛의 반파장만큼 위상조절이 가능한데, 이를 이용하면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36)의 편광조절상태에 따라서 선형 디텍터 어레이(41)에 측정된 신호가 도 6의 두번째와 세번째 그래프와 같이 정위상 형태의 간섭무늬 측정신호(In-phase interferogram)와 역위상형태의 간섭무늬 측정신호(Anti-phase interferogram)를 얻게 된다. 이때 주변(background)의 정전압 잡음 신호(DC noise)는 정위상형태의 간섭무늬 측정신호와 역위상형태의 간섭무늬 측정신호에 관계없이 일정하므로, 두 신호를 서로 차감하게되면 도 6의 네번째 그래프와 같이 주변의 정전압 잡음신호는 제거되고 간섭무늬 신호만 남게 된다. 따라서 생체 영상 복원을 위한 퓨리에 신호 변환의 추가적인 신호처리없이도 그리고 신호의 왜곡없이 생체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몇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기존의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S-OCT)의 경우에서는 빛의 서로 수직으로 편광된 성분을 구분하여 측정하고자 두개의 독립된 측정단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두개의 측정단을 사용하는 대신,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20)와 선형 편광판(21)을 이용하여 편광성분을 분리할 수 있어 하나의 측정단 만으로도 측정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편광유지 광섬유(12, 23, 34)를 사용하여 실제 측정할 생체 조직으로의 접근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최종이용자의 사용의 용이성 확보를 위하여 샘플측정단을 신호해석단과 구조적으로 분리한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20)를 사용하여 단지 전기신호만을 이용하여 편광조절 상태의 빠른 스위칭이 가능하므로 고속의 생체 신호 획득이 가능하다.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측정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써 사용된 정전압 주변 잡음 신호를 제거하여 생체 영상 복원을 위한 퓨리에 신호 변환시에 추가 적인 신호 처리없이 그리고 신호의 왜곡없이 생체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S-OCT)용 간섭 시스템에 따르면, 측정할 생체 샘플에 대한 샘플 측정단을 신호 해석부와 구조적으로 분리하고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20)를 사용하여 간단히 전기신호만을 이용하여 두개의 직교하는 편광 채널들의 편광 상태를 빠르게 스위칭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고속으로 생체 신호 획득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의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의 위치가 생체 관측단에 위치하는 마이켈슨(Michelson) 간섭방식을 이용하는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S-OCT)용 간섭 시스템의 경우에 정확한 편광관련 생체조직의 배열정보를 알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여, 샘플단의 편광조절기(20) 및 기준단의 편광 조절기(36)의 위치를 생체관측단과 무관한 편광 무관 광분배기(16) 이후에 위치시키고, 샘플단을 통한 광경로와 기준단을 통한 광경로를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다. 따라서, 편광조절기(20, 36)의 조절과 무관하게 생체조직대상으로 입사되는 빛의 편광상태가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정확한 편광관련 생체조직의 배열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S-OCT)의 경우와 달리 서로 수직으로 편광된 성분을 구분하여 측정하고자 두개의 독립된 측정단을 사용하는 대신에, 두개의 측정단을 대신하여 전자-광-액정 편광조절기와 선형 편광판을 이용하여 편광성분을 분리할 수 있어 하나의 측정단 만으로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생체 신호의 신호대 잡음비 개선을 위한 방법으로써 사용된 정전압 주변 잡음 신호를 제거하여 생체 영상 복원을 위한 퓨리에 신호 변환시에 추가 적인 신호 처리없이 그리고 신호의 왜곡없이 생체영상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용 편광유지 광섬유 기반의 탠덤 간섭 시스템(tandem interferrometer system)에 있어서,
    1)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선형 편광된 제1 광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배하는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 2) 상기 제1 광의 제1 부분을 반사시키는 거울, 3) 상기 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속하여 상기 샘플로 조사하는 렌즈, 4) 상기 샘플로부터 반사되어 제1 광경로를 거쳐 제1 방향으로 편광된 제2 광을 출력하는 샘플단, 5) 상기 제1광의 제2 부분이 제2 광경로-여기서 제2 광경로는 상기 제1 광경로와 독립적임-를 거쳐 제2 방향으로 편광된 제3 광-여기서 제2 광과 상기 제3광의 편광 방향은 서로 직교함-을 출력하는 기준단, 6) 상기 제2 광 및 상기 제3 광이 입사되는 편광 광분배기를 포함하는 센싱 간섭부; 및
    1)상기 제2광의 상기 제1 광경로와 상기 제3 광의 상기 제2 광경로를 보상하여 간섭 신호를 생성하는 광경로 보상부, 2) 상기 간섭 신호를 입력받는 선형 편광기, 3) 상기 선형 편광기의 출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간섭 패턴을 검출하는 광신호 검출부를 포함하는 신호 해석부를 포함하는 탠덤 간섭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단과 상기 기준단은 각각 상기 서로 직교하는 제2 광 및 제 3광을 제공하기 위한 편광 조절기 및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간섭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신호 검출부는
    상기 선형 편광기의 출력에 연결된 렌즈; 및
    상기 선형 편광기의 출력에 연결된 렌즈의 출력을 상기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간섭 패턴을 검출하는 선형 디텍터 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간섭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제1 편광 유지 광섬유에 결합되고, 상기 샘플단은 제2 편광 유지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단은 제3 편광 유지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간섭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편광 유지 광섬유들은 신축가능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간섭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간섭부는 상기 제1 편광 유지 광섬유를 통과한 광을 원형 편광 시키는 1/4 파장 지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간섭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4 파장 지연기, 상기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 상기 샘플단의 편광 조절기, 상기 샘플단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 상기 기준단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 상기 거울 및 상기 렌즈는, 핸드헬드 프로브에 포함되며,
    상기 핸드 헬드 프로브는 상기 신축 가능한 케이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간섭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1/4 파장 지연기, 상기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 상기 샘플단의 편광 조절기, 상기 샘플단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 상기 거울 및 상기 렌즈는, 핸드헬드 프로브에 포함되며,
    상기 핸드 헬드 프로브는 상기 신축 가능한 케이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간섭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가능한 케이블은 타원 코아 편광 유지 광섬유 광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간섭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단의 편광 조절기 및 상기 기준단의 편광 조절기는 쌍안정 고속 전자-광 스위치로 동작하는 쌍안정 강유전 액정 회전자(bistable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rota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간섭 시스템.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디텍터 어레이는 정위상 형태의 간섭무늬 측정신호(In-phase interferogram)와 역위상형태의 간섭무늬 측정신호(Anti-phase interferogram)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주변(background)의 정전압 잡음 신호(DC noise)를 제거하여 상기 간섭 신호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탠덤 간섭 시스템.
  12.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선형 편광된 제1 광의 제1 부분이 샘플로부터 반사된 후 샘플단을 통과하는 제1 광경로를 거쳐 제1 방향으로 편광된 제2 광과 상기 제1 광의 제2 부분이 기준단을 통과하는 제2 광경로-여기서 제2 광경로는 상기 제1 광경로와 독립적임-를 거쳐 제2 방향으로 편광된 제3 광-여기서 제2광과 상기 제3광의 편광 방향은 서로 직교함-을 제공하는 센싱 간섭부; 및
    상기 제2광의 상기 제1 광경로와 상기 제3 광의 제2 광경로를 보상하여 간섭 신호를 생성한 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해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용 간섭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제1 편광 유지 광섬유에 결합되고, 상기 샘플단은 제2 편광 유지 광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단은 제3 편광 유지 광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단과 상기 기준단은 각각 상기 서로 직교하는 제2 광 및 제 3광을 제공하기 위한 편광 조절기 및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간섭부는
    상기 제1 광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분배하는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와, 상기 제1 광의 제1 부분을 반사시키는 거울과, 상기 거울로부터 반사된 광을 집속하여 상기 샘플로 조사하는 렌즈와, 상기 샘플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제1 광경로를 거쳐 제1 방향으로 편광된 제2 광을 출력하는 샘플단과, 상기 제1광의 제2 부분이 상기 제2 광경로를 거쳐 제2 방향으로 편광된 제3 광을 출력하는 기준단과, 상기 제2광 및 상기 제3광이 입사되는 편광 광분배기를 포함하는 센싱 간섭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간섭계는 상기 제1 편광 유지 광섬유를 통과한 광을 원형 편광 시키는 1/4 파장 지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1/4 파장 지연기, 상기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 상기 샘플단의 편광 조절기, 상기 샘플단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 상기 기준단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 상기 거울 및 상기 렌즈는, 핸드헬드 프로브에 포함되며,
    상기 핸드 헬드 프로브는 신축 가능한 케이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1/4 파장 지연기, 상기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 상기 샘플단의 편광 조절기, 상기 샘플단의 적어도 하나의 선형 편광기, 상기 거울 및 상기 렌즈는, 핸드헬드 프로브에 포함되며,
    상기 핸드 헬드 프로브는 신축 가능한 케이블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해석부는
    월라스톤(Wolaston) 프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제2광의 상기 제1 광경로와 상기 제3 광의 제2 광경로를 보상하여 간섭 신호를 생성하는 광경로 보상부;
    상기 간섭 신호를 입력받는 선형 편광기;
    상기 선형 편광기의 출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간섭 패턴을 검출하는 광신호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시스템은 상기 샘플 편광 특성에 무관한 광분배기, 상기 거울 및 상기 렌즈을 포함하는 하나의 샘플 측정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KR1020070004268A 2007-01-15 2007-01-15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868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268A KR100868439B1 (ko) 2007-01-15 2007-01-15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4268A KR100868439B1 (ko) 2007-01-15 2007-01-15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100A KR20080067100A (ko) 2008-07-18
KR100868439B1 true KR100868439B1 (ko) 2008-11-11

Family

ID=3982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2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8439B1 (ko) 2007-01-15 2007-01-15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4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086A1 (ko) * 2016-06-20 2017-12-28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검출기 기반의 다초점 광 단층 영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214B1 (ko) 2010-12-31 201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바이모르프 액츄에이터를 채용한 렌즈 스캐닝 장치
KR101919416B1 (ko) * 2017-01-17 2019-02-08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검출기 기반의 편광-민감 광 단층영상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506A (ja) 1998-03-30 2000-01-07 Carl Zeiss Jena Gmbh 可干渉性動的焦点による光学コヒ―レンストモグラフィ―法及びその装置
US6191862B1 (en) 1999-01-20 2001-02-20 Lightlab Imag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longitudinal scanning in imaging systems
US7145661B2 (en) 2003-12-31 2006-12-05 Carl Zeiss Meditec, Inc. Effici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system and method for rapid imaging in three dimens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506A (ja) 1998-03-30 2000-01-07 Carl Zeiss Jena Gmbh 可干渉性動的焦点による光学コヒ―レンストモグラフィ―法及びその装置
US6191862B1 (en) 1999-01-20 2001-02-20 Lightlab Imaging,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longitudinal scanning in imaging systems
US7145661B2 (en) 2003-12-31 2006-12-05 Carl Zeiss Meditec, Inc. Efficien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system and method for rapid imaging in three dimens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22086A1 (ko) * 2016-06-20 2017-12-28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단일검출기 기반의 다초점 광 단층 영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7100A (ko) 200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2173B2 (en) Methods, arrangements and systems for polarization-sensitive optical frequency domain imaging of a sample
JP5718988B2 (ja) 光コヒーレンストモグラフィにおいて偏光に基づく直交復調を実行する装置、方法及び記憶媒体
JP4344829B2 (ja) 偏光感受光画像計測装置
Lim et al. Passive component based multifunctional Jones matrix swept 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Doppler and polarization imaging
US7869054B2 (en) Polarization insensitive multiple probe
US20090015842A1 (en) Phase Sensitive Fourier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US20080180683A1 (e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plementation
JP6463051B2 (ja) 光断層画像撮影装置
US20120120408A1 (en) Two-beam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pparatus
US8797551B2 (en) Compact, affordable optical test, measurement or imaging device
KR20080081565A (ko) 휴대용 피부 검사용 편광 민감 광 간섭 영상 시스템
JP7174604B2 (ja) 光画像計測装置、光画像計測方法
JP2005351839A (ja) 断層映像装置
KR100868439B1 (ko) 편광민감 광결맞음 생체영상기기용 간섭 시스템
JP2010151684A (ja) 局所的な複屈折情報を抽出可能な偏光感受光画像計測装置
RU2247938C1 (ru) Оп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следования объекта
CN103845039B (zh) 用于频域oct系统的光谱仪
JP5173305B2 (ja) 測定信号のノイズ処理方法
WO2025154420A1 (ja) 偏光感受型光干渉断層撮影装置
JP2017211192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CHAN POLARIZATION-MAINTAINING FIBER-BASE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N
JP2010025943A (ja) 断層映像装置
de Boer 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iao et al. Fiber-based polarization-sensitive Mueller-matrix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ith continuous source polarization modulation
Tougbaev et al. Polarization sensitiv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or application conditions with external perturb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