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그리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글리세린 5 내지 25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DPG) 1 내지 15 중량%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은 PEG-12 디메티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글리세린(glycerin), 디프로필렌글리콜(DPG)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최적의 비율로 배합하여 헤어 그리즈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윤기 및 부드러움 부여효과가 뛰어나고, 사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모발 에 끈적이지 않는 보습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헤어 그리즈의 본래 목적인 자연스러운 모발의 웨이브를 살려주어 모발 정리, 정돈 효과가 뛰어난 투명 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같은 배합비의 조정만으로도 모발 보습감 및 부드러움을 충분히 부여할 수 있어서 기타 다른 모발 보호 및 컨디셔닝 성분을 첨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모발 보습력이 약해지고, 건조시 거친감이 강하게 남을 수 있으며,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모발에서 지나치게 끈적이는 감이 있어 사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이거나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모발에 산뜻한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특정한 유화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제형으로 모발의 컨디셔닝 성분으로서 극히 제한된 원료만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상에 가용화되며 모발의 표면을 코팅해줄 수 있는 디메티콘 코폴리올계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은 수용성 실리콘으로서 모발에 보습 및 컨디셔닝감을 부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으로는 PEG-12 디메티콘, PEG-18 디메티콘, PEG-20/PPG-23 디메티콘, PEG-10 디메티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용성으로서 헤어 젤의 투명도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PEG-12 디메티콘을 사용하는 것이 모발 보습 및 부드러움을 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PEG-12 디메티콘은 점도(25 ℃)가 100 내지 500 ㎟/s이고, 굴절율(25 ℃)이 1,450 내지 1,456이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2이고,
x는 1 내지 500이고,
y는 1 내지 500이며, y의 최소값은 (0.17)×(x의 실제값) + 1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y는 y의 최소값((0.17)×(x의 실제값) + 1)보다 커야 상 기 화학식 1의 디메티콘 코폴리올이 수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메티콘 코폴리올은 화학식 1의 x 또는 y의 범위를 제한할 때 수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모발의 웨이브 및 컬을 자연스럽게 살려주는 스타일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모발에 지나치게 흡착되지 않으며, 특별한 셋팅 폴리머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연스러운 정발과 모발 스타일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을 최적의 함량비로 포함함으로서 헤어 정발제로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다양한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은 전술한 함량 범위 중 글리세린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중량%로, 디프로필렌글리콜을 4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모발 보습 향상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은 일반적인 헤어 보습 제품에서 사용되는 양보다 과량으로 사용된 것으로, 만일 글리세린이나 다른 종류의 보습성분을 단독으로 증량시켰을 경우에는 모발에서 끈적임이 심하고, 바를 때 손에 남는 느낌이 매우 끈적하여 사용하기에 불편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디프로필렌글리콜을 글리세린 함량의 1/4∼1/2 까지 배합함으로써 글리세린의 끈적이는 감을 상쇄 함과 동시에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고, 모발 보습감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헤어 그리스 조성물에 사용되는 에탄올은 헤어 그리스가 모발에 빠르게 도포되고, 모발에 도포된 약제가 빠르게 건조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적당한 함량의 에탄올이 포함된 헤어 그리스 조성물의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같은 목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헤어 그리스 조성물에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글리세린을 12 내지 20 중량%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을 3 내지 10 중량%로 사용하여 모발에 약제가 빠르게 도포되게 함으로써 도포제로 사용되는 에탄올의 함량을 최소화(조성물 총 중량 대비 8 내지 15 중량%)할 수 있다. 또한, 이같은 함량비 구성을 통하여 에탄올취와 같은 자극취의 분산을 최대한 억제하여 사용시 저자극취의 제품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 조절을 위하여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thickener)는 카보머(carbomer) 또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중화하여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성물의 점도는 2,000 내지 30,000 mPa.s(Brookfield, RVT #4-20 rpm, 23 ℃)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저자극취 무향료 조성물이나 필요에 따라 향료를 첨가할 수 있으며, 향료 사용시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arlacel 165(Uniqema)),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Tween 60(Uniqem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3 중량%를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통상 모발에 사용될 수 있는 수용성 보습제(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히아루론산,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등), 금속이온 봉쇄제(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테트라초산디나트륨 등), pH 조절제(예를 들어, 구연산 등)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모발에 사용하기 위해 손바닥에 덜어서 사용할 경우 저점도의 점증 시스템으로 발림성이 매우 우수하며, 모발에 도포시 글리세린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이 과량 사용됨에 따라 에탄올취가 서서히 올라오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에탄올취나 냄새취를 거의 느끼지 못하는 효과를 부야할 수 있다. 또한 그리즈 본연의 끈적함 대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파라핀 왁스, 밀납(beeswax) 등과 같은 왁스 성분과 실리콘 검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모발의 윤기와 부드러움이 매우 탁월하며, 특히 사용 후 하루 경과시까지 부드러움과 모발의 윤기를 지속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상온에서 일정량의 정제수에 점증제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Ultrez-20, Noveon) 0.6 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 0.8 중량%를 가하고 용해시켜 점증시킨 후, 여기에 에탄올(95%) 15 중량%를 투입한 뒤, EDTA 4Na 0.2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7 중량%, 방부제로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틸이소치아졸리논(Danizol 1.5K) 0.03 중량%, 정제된 형태의 PEG-12 디메티콘(SH 3771M, DOW CORNING) 0.2 중량%를 골고루 용해시켜 투입하고 교반하여 헤어 그리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1의 성분과 함량(단위: 중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성분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점증제 |
0.6 |
0.6 |
0.6 |
0.6 |
트리에탄올아민 |
0.8 |
0.8 |
0.8 |
0.8 |
에탄올(95%) |
15.0 |
15.0 |
15.0 |
15.0 |
EDTA 4Na |
0.2 |
0.2 |
0.2 |
0.2 |
글리세린 |
10.0 |
15.0 |
10.0 |
15.0 |
디프로필렌글리콜 |
7.0 |
7.0 |
2.0 |
7.0 |
방부제 |
0.03 |
0.03 |
0.03 |
0.03 |
PEG-12 디메티콘 |
0.2 |
0.2 |
0.2 |
0.5 |
[주]·점증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Ultrez-20, Noveon) ·방부제: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틸이소치아졸리논(Danizol 1.5K) ·PEG-12 디메티콘: SH 3771M, DOW CORNING |
비교예 1
상온에서 일정량의 정제수에 점증제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Ultrez-20, Noveon) 0.6 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 0.8 중량%를 가하고 용해시켜 점증시킨 후, 여기에 에탄올(95%) 12 중량%를 투입한 뒤, EDTA 4Na 0.2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방부제로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틸이소치아졸리논(Danizol 1.5K) 0.03 중량%, 보습제로 D-판테놀(D-panthenol) 1 중량%를 골고루 용해시켜 투입하고 교반하여 헤어 그리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4
상기 비교예 1에서 하기 표 2의 성분과 함량(단위: 중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성분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비교예 4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점증제 |
0.6 |
0.6 |
0.6 |
0.6 |
트리에탄올아민 |
0.8 |
0.8 |
0.8 |
0.8 |
에탄올(95%) |
12.0 |
15.0 |
12.0 |
12.0 |
EDTA 4Na |
0.2 |
|
|
|
글리세린 |
30 |
1.0 |
15.0 |
15.0 |
디프로필렌글리콜 |
- |
- |
- |
7.0 |
방부제 |
0.03 |
0.03 |
0.03 |
0.03 |
PEG-12 디메티콘 |
- |
- |
0.2 |
- |
보습제1 |
1.0 |
1.0 |
- |
- |
보습제2 |
- |
- |
- |
2.0 |
유화제 |
- |
1.5 |
1.0 |
- |
향 |
- |
0.4 |
0.4 |
- |
[주]·점증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Ultrez-20, Noveon) ·방부제: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틸이소치아졸리논(Danizol 1.5K) ·PEG-12 디메티콘: SH 3771M, DOW CORNING ·보습제1: D-판테놀(D-panthenol) ·보습제2: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유화제: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Tween 60(Uniqema)) |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가. 윤기에 대한 관능평가
평가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 각각 3 g을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도록 한 후, 모발에서의 윤기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5점 만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후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은 항온 항습실, 25 ℃, 40% RH이었다.
평가기준 |
1점 |
윤기가 매우 나쁘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윤기가 매우 없다) |
2점 |
윤기가 나쁘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윤기가 없다) |
3점 |
윤기가 보통이다(시험 샘플 사용 전과 후의 윤기가 같다) |
4점 |
윤기가 좋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윤기가 있다) |
5점 |
윤기가 매우 좋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윤기가 매우 있다) |
나. 부드러움에 대한 관능평가
평가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 각각 3 g을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도록 한 후, 부드러움 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5점 만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후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은 항온 항습실, 25 ℃, 40% RH이었다.
평가기준 |
1점 |
부드러움이 매우 나쁘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부드러움이 매우 없다) |
2점 |
부드러움이 나쁘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부드러움이 없다) |
3점 |
부드러움이 보통이다(시험 샘플 사용 전과 후의 부드러움이 같다) |
4점 |
부드러움이 좋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부드러움이 있다) |
5점 |
부드러움이 매우 좋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부드러움이 매우 있다) |
다. 정발력에 대한 기기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이 골고루 도포된 모발을 스파이럴(spiral)에 감아 건조시켰다. 컬(curl) 상태의 모발을 온도가 25 ℃이고 상대습도가 40%인 항온 항습기에 넣어 시간 경과에 따라 셋팅 효과를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컬 리텐션(curl retention, C.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상기 수학식 1에서, Lo는 헤어 트레스(hair tress) 길이를 나타내고, Lt는 t 시간 경과 후 헤어 트레스 길이를 나타내고, Ls는 컬된 최초 헤어 트레스 길이(t=0)를 나타낸다(참고, Albert L. Micchelli, B.A., and F. Theodore Koehler, B.S. "Polymer Properties Influencing Curl Retention at High Humidity" J.Soc.Cosmetic Chemists. 19, 863-880(Dec 9, 1968)).
라. 산뜻함에 대한 관능평가
평가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 각각 3 g을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고 손가락으로 스타일링한 후, 산뜻함 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5점 만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후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은 항온 항습실, 25 ℃, 40% RH이었다.
평가기준 |
1점 |
산뜻함이 매우 나쁘다(번들거림이 매우 심하다) |
2점 |
산뜻함이 나쁘다(번들거림이 심하다) |
3점 |
산뜻함이 보통이다(시험 샘플 사용 전, 후의 차이가 없다) |
4점 |
산뜻함이 좋다(번들거림이 없고 자연스럽다) |
5점 |
산뜻함이 매우 좋다(번들거림이 없고 매우 자연스럽다) |
마. 냄새취에 대한 평가
평가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 각각 3 g을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고 손가락으로 스타일링한 후, 사용감 중 냄새취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5점 만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후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은 항온 항습실, 25 ℃, 40% RH이었다.
평가기준 |
1점 |
냄새취가 매우 심하다(사용하기에 거부할 정도로 매우 나쁘다) |
2점 |
냄새취가 나쁘다(사용할 때 나쁜 취가 올라온다) |
3점 |
냄새취가 보통이다(다른 여느 헤어 글레이즈와 별 차이가 없다) |
4점 |
냄새취가 없다(타 제품에 비해 냄새취가 적게 올라온다) |
5점 |
냄새취가 거의 없다(냄새취가 거의 없다) |
바. 모발 보습감에 대한 관능평가
평가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 각각 3 g을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도록 한 후 모발의 보습감 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5점 만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후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은 항온 항습실, 25 ℃, 40% RH이었다.
평가기준 |
1점 |
보습감이 매우 나쁘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모발이 매우 건조하다) |
2점 |
보습감이 나쁘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모발이 다소 건조하다) |
3점 |
보습감이 보통이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모발이 별 차이가 없다) |
4점 |
보습감이 좋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모발이 다소 촉촉하다) |
5점 |
보습감이 매우 좋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모발이 매우 촉촉하다) |
사. 발림성에 대한 평가
평가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 각각 3 g을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도록 한 후 모발의 발림성 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5점 만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후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은 항온 항습실, 25 ℃, 40% RH이었다.
평가기준 |
1점 |
발림성이 매우 나쁘다(모발에 발리지 않고 약액이 겉돈다) |
2점 |
발림성이 나쁘다(모발에 발리긴 하나 약액이 조금 뭉쳐있다) |
3점 |
발림성이 보통이다(모발에 발리는 정도가 적당하다) |
4점 |
발림성이 좋다(모발에 잘 발려서 약액이 고루 묻어 있다) |
5점 |
발림성이 매우 좋다(모발에 매우 잘 발리고 잘 스며들어 약액이 고루 퍼져 있다) |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윤기(점) |
4.42 |
4.23 |
4.17 |
4.12 |
3.21 |
3.10 |
3.26 |
3.31 |
부드러움(점) |
4.09 |
4.18 |
4.21 |
4.42 |
3.16 |
3.30 |
3.08 |
3.19 |
정발력 (%) |
32.1 |
37.8 |
32.2 |
44.5 |
28.7 |
21.3 |
29.1 |
25.6 |
산뜻함(점) |
3.98 |
4.16 |
4.23 |
3.78 |
3.51 |
3.17 |
2.95 |
3.05 |
냄새취(점) |
4.21 |
3.95 |
3.78 |
3.69 |
2.56 |
2.58 |
2.96 |
2.11 |
보습감(점) |
4.09 |
4.28 |
3.85 |
3.91 |
2.63 |
2.53 |
2.91 |
2.45 |
발림성(점) |
3.59 |
4.02 |
3.87 |
3.62 |
2.78 |
2.96 |
2.75 |
2.35 |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을 적정 비율로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모발에서의 윤기, 부드러움, 보습력, 발림성, 냄새취 등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종래 알려진 헤어 글레이즈 조성물 중 셋팅 폴리머를 제외하고 제조한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모발에서의 윤기, 부드러움, 정발력, 보습력이 매우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글리세린을 2.0 중량% 이하로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모발 보습력이 매우 약하고, 건조시 거친감이 강하게 남았으며, 글리세린을 2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모발에서 지나치게 끈적이는 감이 있어 사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