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7083B1 - 헤어 그리즈 조성물 - Google Patents

헤어 그리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083B1
KR100867083B1 KR1020070057901A KR20070057901A KR100867083B1 KR 100867083 B1 KR100867083 B1 KR 100867083B1 KR 1020070057901 A KR1020070057901 A KR 1020070057901A KR 20070057901 A KR20070057901 A KR 20070057901A KR 100867083 B1 KR100867083 B1 KR 100867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rease composition
composition
dimethico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7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경
최화춘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70057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7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그리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DPG)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모발에 탁월한 부드러움, 보습감을 부여하면서 정발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사용시 손과 모발에서의 끈적이거나 번들거리는 현상을 개선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저자극취 제형이다.
헤어 그리즈,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디메티콘 코폴리올

Description

헤어 그리즈 조성물{Hair grease composition}
본 발명은 헤어 그리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발에 탁월한 부드러움, 보습감을 부여하면서 정발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사용시 손과 모발에서의 끈적이거나 번들거리는 현상을 개선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저자극취 제형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사회적, 심리적인 이유로 다양한 헤어 스타일을 연출하고자 하며, 그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패션산업이 발달하고, 개인의 개성이 다양화됨에 따라 다양한 목적 및 제형을 가지는 제품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모발의 정발제로는 유화 형태(emulsion type)의 헤어 크림, 헤어 로션, 포마드 같은 유성 정발제(미국특허 제6,244,770호, 제4,938,954호, 제5,993,832호) 등과 가용화 형태(solubilization type)의 헤어 젤, 왁스 등이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각기 다른 형태의 제품군으로서 소비자가 사용 목적에 맞춰 선택할 수 있다.
모발 정발제로서 가장 대중화되어 있는 것 중에 하나가 헤어 젤이라고 할 수 있다. 헤어 젤 타입의 모발 정발제는 일반적으로 투명에서 반투명한 제형을 가지며, 정발 및 제형을 위한 셋팅 폴리머가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헤어 젤은 세팅 폴리머 등이 포함되어 있어 모발 및 손에서 다소 끈적한 감촉이 남으며, 모발의 형태를 잡아주기 위한 세팅 폴리머가 빠르게 건조되면서 보습감보다는 건조감을 느끼는 경우가 더 많다. 또한 유화 타입 모발 정발제와는 달리 모발에서 부드러움 등을 느끼기가 매우 어려운 제형 중 하나이다.
또한, 헤어 젤과 유사한 제형인 헤어 글레이즈 젤은 보다 모발에 보습감을 부여할 수 있고, 자연스러운 스타일링 및 웨이브감을 주기 위하여 개발된 제형이다. 그러나, 헤어 글레이즈 젤의 경우 보습제의 선택 및 비율 구성이 부적합한 경우엔 모발에서의 끈적임이 심하고, 단순히 헤어 젤의 점도만 하향 조절한 경우에 해당되어 헤어 글레이즈의 본래의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헤어 글레이즈 젤의 본래의 목적인 모발에 보습감 및 부드러움을 부여하고, 자연스러운 정발 및 모발 웨이브감을 살려줄 수 있는 제형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최근에 자연친화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제형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다. 환경 친화적인 자연 소재(natural origin)의 개발로 다양한 식물성 추출물이 모발 제품에 포함된 경우가 많으며, 인체에 무해한 원료 성분의 개발 및 대체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같은 맥락에서 인체 저자극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고, 제품의 화학적인 냄새취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헤어 스타일링 제품은 특유의 냄새취가 강하여 마스킹을 위한 향의 사용량이 과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지나치게 자극적인 향을 싫어하는 경우 향수 등과 같은 제품을 따로 사용하는 소비자의 경우는 무향료 제품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헤어 제형은 유화제의 사용이나 기타 특이취를 가지는 원료의 사용, 에탄올의 냄새취 마스킹의 어려움 등으로 무향료 제형을 구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발에 탁월한 부드러움, 보습감을 부여하면서 정발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사용시 손과 모발에서의 끈적이거나 번들거리는 현상을 개선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저자극취 제형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그리즈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글리세린 5 내지 25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DPG) 1 내지 15 중량%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은 PEG-12 디메티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글리세린(glycerin), 디프로필렌글리콜(DPG)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최적의 비율로 배합하여 헤어 그리즈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윤기 및 부드러움 부여효과가 뛰어나고, 사용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모발 에 끈적이지 않는 보습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헤어 그리즈의 본래 목적인 자연스러운 모발의 웨이브를 살려주어 모발 정리, 정돈 효과가 뛰어난 투명 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같은 배합비의 조정만으로도 모발 보습감 및 부드러움을 충분히 부여할 수 있어서 기타 다른 모발 보호 및 컨디셔닝 성분을 첨가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은 당업계에서 사용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5 내지 2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모발 보습력이 약해지고, 건조시 거친감이 강하게 남을 수 있으며, 2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모발에서 지나치게 끈적이는 감이 있어 사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디프로필렌글리콜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1 중량% 미만이거나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모발에 산뜻한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특정한 유화제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제형으로 모발의 컨디셔닝 성분으로서 극히 제한된 원료만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상에 가용화되며 모발의 표면을 코팅해줄 수 있는 디메티콘 코폴리올계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은 수용성 실리콘으로서 모발에 보습 및 컨디셔닝감을 부여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으로는 PEG-12 디메티콘, PEG-18 디메티콘, PEG-20/PPG-23 디메티콘, PEG-10 디메티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용성으로서 헤어 젤의 투명도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특히, PEG-12 디메티콘을 사용하는 것이 모발 보습 및 부드러움을 최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PEG-12 디메티콘은 점도(25 ℃)가 100 내지 500 ㎟/s이고, 굴절율(25 ℃)이 1,450 내지 1,456이며,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07042845712-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n은 12이고,
x는 1 내지 500이고,
y는 1 내지 500이며, y의 최소값은 (0.17)×(x의 실제값) + 1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y는 y의 최소값((0.17)×(x의 실제값) + 1)보다 커야 상 기 화학식 1의 디메티콘 코폴리올이 수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사용되는 디메티콘 코폴리올은 화학식 1의 x 또는 y의 범위를 제한할 때 수용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상기 범위내일 경우에는 모발의 웨이브 및 컬을 자연스럽게 살려주는 스타일링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모발에 지나치게 흡착되지 않으며, 특별한 셋팅 폴리머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연스러운 정발과 모발 스타일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을 최적의 함량비로 포함함으로서 헤어 정발제로서 본 발명이 목적하는 다양한 기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은 전술한 함량 범위 중 글리세린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중량%로, 디프로필렌글리콜을 4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모발 보습 향상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조성은 일반적인 헤어 보습 제품에서 사용되는 양보다 과량으로 사용된 것으로, 만일 글리세린이나 다른 종류의 보습성분을 단독으로 증량시켰을 경우에는 모발에서 끈적임이 심하고, 바를 때 손에 남는 느낌이 매우 끈적하여 사용하기에 불편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디프로필렌글리콜을 글리세린 함량의 1/4∼1/2 까지 배합함으로써 글리세린의 끈적이는 감을 상쇄 함과 동시에 산뜻한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고, 모발 보습감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헤어 그리스 조성물에 사용되는 에탄올은 헤어 그리스가 모발에 빠르게 도포되고, 모발에 도포된 약제가 빠르게 건조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적당한 함량의 에탄올이 포함된 헤어 그리스 조성물의 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같은 목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헤어 그리스 조성물에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글리세린을 12 내지 20 중량%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을 3 내지 10 중량%로 사용하여 모발에 약제가 빠르게 도포되게 함으로써 도포제로 사용되는 에탄올의 함량을 최소화(조성물 총 중량 대비 8 내지 15 중량%)할 수 있다. 또한, 이같은 함량비 구성을 통하여 에탄올취와 같은 자극취의 분산을 최대한 억제하여 사용시 저자극취의 제품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조성물의 점도 조절을 위하여 점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thickener)는 카보머(carbomer) 또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중화하여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성물의 점도는 2,000 내지 30,000 mPa.s(Brookfield, RVT #4-20 rpm, 23 ℃)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저자극취 무향료 조성물이나 필요에 따라 향료를 첨가할 수 있으며, 향료 사용시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화제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arlacel 165(Uniqema)),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Tween 60(Uniqema))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5 내지 3 중량%를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통상 모발에 사용될 수 있는 수용성 보습제(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히아루론산,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등), 금속이온 봉쇄제(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테트라초산디나트륨 등), pH 조절제(예를 들어, 구연산 등)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모발에 사용하기 위해 손바닥에 덜어서 사용할 경우 저점도의 점증 시스템으로 발림성이 매우 우수하며, 모발에 도포시 글리세린 및 디프로필렌글리콜이 과량 사용됨에 따라 에탄올취가 서서히 올라오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에탄올취나 냄새취를 거의 느끼지 못하는 효과를 부야할 수 있다. 또한 그리즈 본연의 끈적함 대신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파라핀 왁스, 밀납(beeswax) 등과 같은 왁스 성분과 실리콘 검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모발의 윤기와 부드러움이 매우 탁월하며, 특히 사용 후 하루 경과시까지 부드러움과 모발의 윤기를 지속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상온에서 일정량의 정제수에 점증제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Ultrez-20, Noveon) 0.6 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 0.8 중량%를 가하고 용해시켜 점증시킨 후, 여기에 에탄올(95%) 15 중량%를 투입한 뒤, EDTA 4Na 0.2 중량%, 글리세린 10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 7 중량%, 방부제로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틸이소치아졸리논(Danizol 1.5K) 0.03 중량%, 정제된 형태의 PEG-12 디메티콘(SH 3771M, DOW CORNING) 0.2 중량%를 골고루 용해시켜 투입하고 교반하여 헤어 그리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상기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1의 성분과 함량(단위: 중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점증제 0.6 0.6 0.6 0.6
트리에탄올아민 0.8 0.8 0.8 0.8
에탄올(95%) 15.0 15.0 15.0 15.0
EDTA 4Na 0.2 0.2 0.2 0.2
글리세린 10.0 15.0 10.0 15.0
디프로필렌글리콜 7.0 7.0 2.0 7.0
방부제 0.03 0.03 0.03 0.03
PEG-12 디메티콘 0.2 0.2 0.2 0.5
[주]·점증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Ultrez-20, Noveon) ·방부제: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틸이소치아졸리논(Danizol 1.5K) ·PEG-12 디메티콘: SH 3771M, DOW CORNING
비교예 1
상온에서 일정량의 정제수에 점증제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Ultrez-20, Noveon) 0.6 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 0.8 중량%를 가하고 용해시켜 점증시킨 후, 여기에 에탄올(95%) 12 중량%를 투입한 뒤, EDTA 4Na 0.2 중량%, 글리세린 30 중량%, 방부제로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틸이소치아졸리논(Danizol 1.5K) 0.03 중량%, 보습제로 D-판테놀(D-panthenol) 1 중량%를 골고루 용해시켜 투입하고 교반하여 헤어 그리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4
상기 비교예 1에서 하기 표 2의 성분과 함량(단위: 중량%)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점증제 0.6 0.6 0.6 0.6
트리에탄올아민 0.8 0.8 0.8 0.8
에탄올(95%) 12.0 15.0 12.0 12.0
EDTA 4Na 0.2
글리세린 30 1.0 15.0 15.0
디프로필렌글리콜 - - - 7.0
방부제 0.03 0.03 0.03 0.03
PEG-12 디메티콘 - - 0.2 -
보습제1 1.0 1.0 - -
보습제2 - - - 2.0
유화제 - 1.5 1.0 -
- 0.4 0.4 -
[주]·점증제: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가교폴리머(Ultrez-20, Noveon) ·방부제: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메틸이소치아졸리논(Danizol 1.5K) ·PEG-12 디메티콘: SH 3771M, DOW CORNING ·보습제1: D-판테놀(D-panthenol) ·보습제2: 글리세레스-26(Glycereth-26) ·유화제: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Tween 60(Uniqema))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가. 윤기에 대한 관능평가
평가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 각각 3 g을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도록 한 후, 모발에서의 윤기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5점 만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후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은 항온 항습실, 25 ℃, 40% RH이었다.
평가기준
1점 윤기가 매우 나쁘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윤기가 매우 없다)
2점 윤기가 나쁘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윤기가 없다)
3점 윤기가 보통이다(시험 샘플 사용 전과 후의 윤기가 같다)
4점 윤기가 좋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윤기가 있다)
5점 윤기가 매우 좋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윤기가 매우 있다)
나. 부드러움에 대한 관능평가
평가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 각각 3 g을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도록 한 후, 부드러움 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5점 만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후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은 항온 항습실, 25 ℃, 40% RH이었다.
평가기준
1점 부드러움이 매우 나쁘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부드러움이 매우 없다)
2점 부드러움이 나쁘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부드러움이 없다)
3점 부드러움이 보통이다(시험 샘플 사용 전과 후의 부드러움이 같다)
4점 부드러움이 좋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부드러움이 있다)
5점 부드러움이 매우 좋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부드러움이 매우 있다)
다. 정발력에 대한 기기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이 골고루 도포된 모발을 스파이럴(spiral)에 감아 건조시켰다. 컬(curl) 상태의 모발을 온도가 25 ℃이고 상대습도가 40%인 항온 항습기에 넣어 시간 경과에 따라 셋팅 효과를 하기 수학식 1과 같은 컬 리텐션(curl retention, C.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07042845712-pat00002
상기 수학식 1에서, Lo는 헤어 트레스(hair tress) 길이를 나타내고, Lt는 t 시간 경과 후 헤어 트레스 길이를 나타내고, Ls는 컬된 최초 헤어 트레스 길이(t=0)를 나타낸다(참고, Albert L. Micchelli, B.A., and F. Theodore Koehler, B.S. "Polymer Properties Influencing Curl Retention at High Humidity" J.Soc.Cosmetic Chemists. 19, 863-880(Dec 9, 1968)).
라. 산뜻함에 대한 관능평가
평가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 각각 3 g을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고 손가락으로 스타일링한 후, 산뜻함 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5점 만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후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은 항온 항습실, 25 ℃, 40% RH이었다.
평가기준
1점 산뜻함이 매우 나쁘다(번들거림이 매우 심하다)
2점 산뜻함이 나쁘다(번들거림이 심하다)
3점 산뜻함이 보통이다(시험 샘플 사용 전, 후의 차이가 없다)
4점 산뜻함이 좋다(번들거림이 없고 자연스럽다)
5점 산뜻함이 매우 좋다(번들거림이 없고 매우 자연스럽다)
마. 냄새취에 대한 평가
평가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 각각 3 g을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고 손가락으로 스타일링한 후, 사용감 중 냄새취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5점 만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후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은 항온 항습실, 25 ℃, 40% RH이었다.
평가기준
1점 냄새취가 매우 심하다(사용하기에 거부할 정도로 매우 나쁘다)
2점 냄새취가 나쁘다(사용할 때 나쁜 취가 올라온다)
3점 냄새취가 보통이다(다른 여느 헤어 글레이즈와 별 차이가 없다)
4점 냄새취가 없다(타 제품에 비해 냄새취가 적게 올라온다)
5점 냄새취가 거의 없다(냄새취가 거의 없다)
바. 모발 보습감에 대한 관능평가
평가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 각각 3 g을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도록 한 후 모발의 보습감 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5점 만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후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은 항온 항습실, 25 ℃, 40% RH이었다.
평가기준
1점 보습감이 매우 나쁘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모발이 매우 건조하다)
2점 보습감이 나쁘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모발이 다소 건조하다)
3점 보습감이 보통이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모발이 별 차이가 없다)
4점 보습감이 좋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모발이 다소 촉촉하다)
5점 보습감이 매우 좋다(시험 샘플 사용 전보다 모발이 매우 촉촉하다)
사. 발림성에 대한 평가
평가자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헤어 그리즈 조성물 각각 3 g을 손에 덜어 모발에 도포하도록 한 후 모발의 발림성 정도를 하기의 평가기준에 따라 5점 만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각각의 평가자 점수를 더한 후 평가 인원수(n=100)로 나누어 평균값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조건은 항온 항습실, 25 ℃, 40% RH이었다.
평가기준
1점 발림성이 매우 나쁘다(모발에 발리지 않고 약액이 겉돈다)
2점 발림성이 나쁘다(모발에 발리긴 하나 약액이 조금 뭉쳐있다)
3점 발림성이 보통이다(모발에 발리는 정도가 적당하다)
4점 발림성이 좋다(모발에 잘 발려서 약액이 고루 묻어 있다)
5점 발림성이 매우 좋다(모발에 매우 잘 발리고 잘 스며들어 약액이 고루 퍼져 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윤기(점) 4.42 4.23 4.17 4.12 3.21 3.10 3.26 3.31
부드러움(점) 4.09 4.18 4.21 4.42 3.16 3.30 3.08 3.19
정발력 (%) 32.1 37.8 32.2 44.5 28.7 21.3 29.1 25.6
산뜻함(점) 3.98 4.16 4.23 3.78 3.51 3.17 2.95 3.05
냄새취(점) 4.21 3.95 3.78 3.69 2.56 2.58 2.96 2.11
보습감(점) 4.09 4.28 3.85 3.91 2.63 2.53 2.91 2.45
발림성(점) 3.59 4.02 3.87 3.62 2.78 2.96 2.75 2.35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을 적정 비율로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4의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전반적으로 모발에서의 윤기, 부드러움, 보습력, 발림성, 냄새취 등이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종래 알려진 헤어 글레이즈 조성물 중 셋팅 폴리머를 제외하고 제조한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하여 모발에서의 윤기, 부드러움, 정발력, 보습력이 매우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글리세린을 2.0 중량% 이하로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모발 보습력이 매우 약하고, 건조시 거친감이 강하게 남았으며, 글리세린을 25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모발에서 지나치게 끈적이는 감이 있어 사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그리즈 조성물은 모발에 탁월한 부드러움, 보습감을 부여하면서 정발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사용시 손과 모발에서의 끈적이거나 번들거리는 현상을 개선하여 산뜻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저자극취 제형이다.

Claims (7)

  1. 글리세린;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그리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글리세린 5 내지 25 중량%;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DPG) 1 내지 15 중량%; 및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 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그리즈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은 PEG-12 디메티콘, PEG-18 디메티콘, PEG-20/PPG-23 디메티콘 및 PEG-10 디메티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그리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메티콘 코폴리올(dimethicone copolyol)은 PEG-12 디메티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그리즈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점증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그리즈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향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그리즈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용성 보습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pH 조절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그리즈 조성물.
KR1020070057901A 2007-06-13 2007-06-13 헤어 그리즈 조성물 KR100867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901A KR100867083B1 (ko) 2007-06-13 2007-06-13 헤어 그리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7901A KR100867083B1 (ko) 2007-06-13 2007-06-13 헤어 그리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7083B1 true KR100867083B1 (ko) 2008-11-04

Family

ID=40283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7901A KR100867083B1 (ko) 2007-06-13 2007-06-13 헤어 그리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70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0570A (en) 1991-11-18 1994-08-23 Shiseido Co., Ltd. Dispensing system for sprayable gel-type hair conditioner
US5759527A (en) 1996-10-02 1998-06-02 Colgate-Palmolive Company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KR20060104682A (ko) * 2005-03-31 2006-10-09 (주)아모레퍼시픽 폴리알코올을 함유하는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
KR20060131027A (ko) * 2005-06-14 2006-12-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실리콘중수유화형 헤어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0570A (en) 1991-11-18 1994-08-23 Shiseido Co., Ltd. Dispensing system for sprayable gel-type hair conditioner
US5759527A (en) 1996-10-02 1998-06-02 Colgate-Palmolive Company Hair conditioning composition
KR20060104682A (ko) * 2005-03-31 2006-10-09 (주)아모레퍼시픽 폴리알코올을 함유하는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
KR20060131027A (ko) * 2005-06-14 2006-12-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실리콘중수유화형 헤어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503766A (ja) アルコキシシランおよびシルセスキオキサン樹脂を含む化粧料組成物
JP2003342130A (ja) 毛髪化粧料
JP2008303178A (ja) 頭髪用油性化粧料
KR100673768B1 (ko)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JP2009091259A (ja) 毛髪化粧料
JP4728449B2 (ja) 整髪用化粧料
KR100867083B1 (ko) 헤어 그리즈 조성물
JP3543523B2 (ja) ボディ用化粧料
KR100834681B1 (ko) 헤어 그리즈 왁스 조성물
KR101129410B1 (ko) 실리콘중수유화형 헤어스타일링 화장료 조성물
JP4136965B2 (ja) 毛髪化粧料
KR101747869B1 (ko) 신규 왁스폴리머를 함유하는 스타일링제 조성물
JPH01175923A (ja) 毛髪化粧料
KR101219645B1 (ko) 비수계 왁스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2010235472A (ja) 乳化化粧料
KR102363134B1 (ko) 실리콘중수(w/s) 유화형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6093202B2 (ja) スタイリング化粧料およびヘアスプレー用組成物
KR101314965B1 (ko) 파우더 타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JP2001335414A (ja) 化粧料
JP2011105675A (ja) ノンエアゾール型頭髪用霧状化粧料
JP2020050613A (ja) 毛髪用バーム
KR102318246B1 (ko) 실리콘 오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5053810A (ja) 毛髪化粧料
JP3878891B2 (ja) 毛髪用の化粧料
JP2750807B2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