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6981B1 -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심볼을 생성하고 수신하는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심볼을 생성하고 수신하는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981B1
KR100866981B1 KR1020060114617A KR20060114617A KR100866981B1 KR 100866981 B1 KR100866981 B1 KR 100866981B1 KR 1020060114617 A KR1020060114617 A KR 1020060114617A KR 20060114617 A KR20060114617 A KR 20060114617A KR 100866981 B1 KR100866981 B1 KR 100866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group
symbol
weight
phase
digi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76395A (ko
Inventor
김남일
김일규
좌혜경
김영훈
방승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160,555 priority Critical patent/US8102927B2/en
Priority to PCT/KR2007/000218 priority patent/WO2007081173A2/en
Publication of KR20070076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6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98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15Reduction thereof using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49Demodulators
    • H04L27/26524Fast Fourier transform [FFT] or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e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demodulation
    • H04L27/26526Fast Fourier transform [FFT] or 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de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demodulation with inverse FFT [IFFT] or inverse DFT [IDFT] de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receiv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을 생성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OFDM 심볼 생성 장치는 복수의 가중치를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에 적용하여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생성하고,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푸리에 역변환하여 복수의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을 생성한다. 이후 복수의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들 중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최소인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을 선택하여 출력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감소되지 않고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 특성이 개선된다.
Figure R1020060114617
OFDM, PAPR, 위상, 가중치

Description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심볼을 생성하고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RECEIVING OTHOR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MBOL}
도 1은 종래의 OFDM 방식의 신호 전송 장치와 OFDM 방식의 신호 수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전송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수신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분포 패턴을 도시한 신호 성상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상 분포 패턴을 도시한 신호 성상도이다.
본 발명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 생성 장치, OFDM 심볼 전송 장치 및 OFDM 심볼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OFDM 심볼 송신 및 수신 시에 첨두 전력 대 최대 전력의 비(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의 저감에 관한 것이다.
다음은 종래의 OFDM 방식의 신호 전송 장치와 종래의 OFDM 방식의 신호 수신 장치에 대하여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OFDM 방식의 신호 전송 장치(10)와 OFDM 방식의 신호 수신 장치(2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OFDM 방식의 신호 전송 장치(10)는 디지털 변조부(11), 직렬-병렬 변환부(Serial-to-Parallel Converter, SPC)(12), 고속 푸리에 역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연산부(13), 병렬-직렬 변환부(Parallel-to-Serial Converter, PSC)(14), Cyclic Prefix 삽입부 (이하 'CP 삽입부′라고 함)(15),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igital-to-Analog Converter, DAC)(16), 전송부(17), 전송 안테나(18)를 포함한다.
디지털 변조부(11)는 채널을 통해 전송될 이진 데이터로 구성된 데이터 심볼 에 디지털 변조를 수행하여 디지털 변조 심볼을 생성한다. 이때 디지털 변조부가 수행하는 디지털 변조의 종료에는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16-QAM, 64-QAM 등이 있다. 디지털 변조부(11)는 심볼 매핑부(symbol mapping 부)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SPC(12)는 디지털 변조부(11)로부터 복수의 디지털 변조 심볼을 직렬적으로 입력받아 병렬적으로 출력한다.
IFFT 연산부(13) SPC(12)가 병렬적으로 출력한 복수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대해 IFFT를 수행하여 복수의 IFFT 심볼(Inverse-Fast-Fourier-Transform Symbol)을 생성한다.
PSC(14)는 IFFT 연산부(13)가 병렬적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IFFT 심볼을 직렬적으로 출력한다.
CP 삽입부(15)는 PSC(14)가 직렬적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IFFT 심볼의 앞 부분에 Cyclic Prefix 신호를 부가하여 CP가 삽입된 심볼 그룹을 생성한다. 여기서 Cyclic Prefix 신호는 복수의 IFFT 심볼 중에서 뒷부분 일부의 심볼들을 의미한다.
DAC(16)는 CP 삽입부(15)로부터 CP가 삽입된 심볼 그룹을 입력받아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하나의 OFDM 심볼을 생성한다.
전송부(17)는 DAC(16)가 생성한 OFDM 심볼을 RF(Radio Frequency) 신호로 증폭 변환하여 전송 안테나(18)를 통해 채널에 전송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OFDM 방식의 신호 수신 장치(20)는 수신 안테나(21), 수신부(22),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alog-to-Digital Converter, ADC)(23), Cyclic Prefix 제거부(이하 CP 제거부)(24), SPC(25),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연산부(26), PSC(27), 디지털 복조부(28)을 포함한다.
수신부(22)는 수신 안테나(21)를 통해 채널로부터 OFDM 심볼을 수신한다.
ADC(23)는 수신부(22)가 수신한 OFDM 심볼을 디지털로 변환하여 복수개의 디지털 심볼을 생성한다.
CP 제거부(24)는 ADC(23)이 생성한 복수개의 디지털 심볼에서 Cyclic Prefix 신호를 제거한다.
SPC(25)는 CP 제거부(24)에 의해 CP가 제거된 복수개의 디지털 심볼을 직렬적으로 입력받아 병렬적으로 출력한다.
FFT 연산부(26)는 SPC(25)가 병렬적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심볼을 입력받아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복수개의 주파수 축 상의 심볼을 생성한다.
PSC(27)는 FFT 연산부(26)가 생성한 복수개의 심볼을 병렬적으로 입력받아 직렬적으로 출력한다.
디지털 복조부(28)는 PSC(27)가 직렬적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심볼에 대해 디지털 복조를 수행하여 최종 데이터 심볼을 생성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생성되는 OFDM 심볼은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비(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PR)가 매우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PAPR이 큰 OFDM 심볼은 고전력 증폭기(high power amplifier, HPF)와 같은 비선형 소자(nonlinear device)에 의해 증폭되는 과정에서 신호 왜곡을 가지게 된다.
OFDM 방식의 통신 시스템이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PAPR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방식에서는 PAPR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부의 부반송파를 사용하므로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가 정보 첨부에 따른 데이터 전송 속도의 감소 없이 PAPR특성이 개선되는 OFDM 심볼 생성 장치, OFDM 심볼 전송 장치, OFDM 심볼 수신 장치, 및 OFDM 심볼 복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생성하는 장치는 복수의 가중치 적용부, 복수의 푸리에 역변환부, 및 신호 선택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가중치 적용부는 복수의 가중치에 각각 대응하고, 대응하는 가중치를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에 적용하여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생성하고, 복수의 푸리에 역변환부는 복수의 가중치 적용부에 각각 대응하고, 대응하는 가중치 적용부가 생성하는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푸리에 역변환 하여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을 생성하며, 신호 선택부는 복수의 푸리에 역변환부가 생성한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들 중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최소인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을 선택하여 출력한다. 이때 복수의 가중치는 복수의 위상 가중치에 각각 대응하고, 복수의 가중치 적용부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을 제1 하위 그룹과 제2 하위 그룹으로 나누고, 제1 하위 그룹과 제2 하위 그룹 중 하나에 위상 가중치를 적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심볼을 출력하는 장치는 디지털 변환부, 푸리에 변환부, 신호 복원부, 및 디지털 복조부를 포함한다. 디지털 변환부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심볼 그룹을 출력하고, 푸리에 변환부는 디지털 심볼 그룹을 푸리에 변환하여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을 출력하고, 신호 복원부는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에 적용된 가중치를 추정하고, 가중치를 보상하여 가중치 보상 심볼 그룹을 출력하며, 디지털 복조부는 가중치 보상 심볼 그룹을 디지털 복조하여 데이터 심볼을 출력한다. 이때 가중치는 위상 가중치이고, 신호 복원부는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에 적용된 위상 가중치를 추정하고, 추정한 위상 가중치를 보상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생성하는 방법은 복수의 가중치를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에 적용하여 복수의 가중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푸리에 역변환하여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와 복수의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들 중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최소인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심볼을 출력하는 방법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단계와 디지털 심볼 그룹을 푸리에 변환하여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단계와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에 적용된 가중치를 추정하고, 가중치를 보상하여 가중치 보상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단계와 가중치 보상 심볼 그룹을 디지털 복조하여 데이터 심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방식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전송 장치(100)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전송 장치(100)를 도 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전송 장치(100)는 디지털 변조부(101), 직렬-병렬 변환부(SPC)(103), k 개의 가중치 제어부(105), k 개의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연산부(107), k 개의 부반송파(Subcarrier) 할당부(111), k 개의 고속 푸리에 역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연산부(113), k 개의 병렬-직렬 변환부(PSC)(115), 신호 선택부(117), 보호 구간 삽입부(119), 윈도윙(Windowing) 제어부(12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igital to Analog Converter, DAC)(123), 전송부(125), 및 송신 안테나(127)를 포함한다.
k 개의 가중치 적용부(105)는 k 개의 가중치에 각각 대응하고, k 개의 DFT 연산부(107)는 k 개의 가중치 제어부(105)에 각각 대응한다. 이때 k 개의 부반송파 할당부(111)는 k 개의 DFT 연산부(107)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이때 k 개의 IFFT(113)는 k 개의 부반송파 할당부(111)에 대응하고, k 개의 PSC(115)는 k 개의 IFFT(113)에 각각 대응한다.
디지털 변조부(101)는 채널에 전송하기 위한 이진 데이터(binary data)인 데이터 심볼에 대해 BPSK, QPSK, QAM, 16-QAM, 64-QAM 등과 같은 디지털 변조를 수행한다.
SPC(103)는 디지털 변조부(101)로부터 M 개의 디지털 변조된 심볼을 직렬적으로 입력받아 병렬적으로 출력한다. 이때 SPC(103)가 병렬적으로 출력하는 디지털 변조된 M 개의 복소수 심볼을 이하에서는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이라 한다.
가중치 적용부(105)는 SPC(103)로부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을 입력받아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의 복소수 심볼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k개의 가중치 적용부(105) 중에서 i번째(1<i<k) 가중치 적용부(105)가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을 입력받아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과정을 자세히 설명한다.
i번째 가중치 적용부(105)는 SPC(103)로부터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을 입력받아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가중치 i를 적용하여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출력하고, 가중치 적용부(105)가 출력하는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가중치 적용부는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위상 벡터를 곱하여 각 심볼의 위상에 가중치가 적용함으로써,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위상 벡터는
Figure 112006084810179-pat00001
*U/V(U, V는 정수)의 위상을 가지며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element)로 구성되고, 위상 벡터의 M 개의 인자는 동일한 위상값을 갖는다. 또한 이때, 가중치 적용부(105)는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을 L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고, 각각의 하위 그룹에 서로 다른 위상을 갖는 위상 벡터를 곱하여 위상 가중 심볼 그룹을 생성할 수도 있다.
DFT 연산부(107)는 가중치 적용부(105)로부터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입력받아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DFT) 연산을 수행하여 M 개의 DFT 심볼을 출력한다. 이때 DFT 연산부(107)가 출력하는 M 개의 DFT 심볼은 DFT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부반송파 할당부(111)는 DFT 연산부(107)로부터 M 개의 DFT 심볼을 입력받아 N 개의 부반송파 할당 심볼을 출력한다. 이때 부반송파 할당부(111)는 DFT 심볼 그룹에 N-M 개의 0을 삽입하고, 0이 삽입된 N개의 DFT 심볼을 각각의 부반송파에 할당하여 N 개의 부반송파 할당 심볼을 출력한다. 또한 이때 부반송파 할당부(111)가 출력하는 N 개의 부반송파 할당 심볼을 부반송파 할당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IFFT 연산부(113)는 부반송파 할당부(111)로부터 N 개의 부반송파 할당 심볼을 입력받아 고속 푸리에 역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연산을 수행하여 N개의 IFFT 심볼을 출력한다. 이때 IFFT 연산부(113)가 출력하는 N개의 IFFT 심볼을 IFFT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PSC(115)는 IFFT 연산부(113)로부터 N개의 IFFT 심볼을 직렬적으로 입력받아 병렬적으로 출력한다.
신호 선택부(117)는 k 개의 PSC(115)로부터 k개의 IFFT 심볼 그룹을 입력받아 각각의 IFFT 심볼 그룹의 PAPR을 추정하고, k개의 IFFT 심볼 그룹 중에서 가장 낮은 PAPR을 가지는 IFFT 심볼 그룹을 출력한다.
보호 구간 삽입부(119)는 신호 선택부(117)가 출력하는 IFFT 심볼 그룹에 Cyclic Prefix와 같은 보호 구간을 부가하여 보호 구간이 삽입된 심볼 그룹을 생성한다. 이때 Cyclic Prefix는 IFFT 심볼 그룹의 복수의 IFFT 심볼 중 일부의 심볼을 의미한다. 보호 구간 삽입부(119)가 출력하는 심볼 그룹을 보호 구간 삽입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윈도윙 제어부(121)는 보호 구간 삽입 심볼 그룹을 입력받고 필터링하여 보 호 구간이 삽입된 심볼 그룹의 심볼간의 영향이 줄어든 윈도윙 심볼 그룹을 출력한다. 이때 윈도윙 제어부(121)는 시간 도메인(Time Domain)에서 보호 구간이 삽입된 심볼 그룹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보호 구간이 삽입된 심볼 그룹의 심볼간의 경계에서 급격한 위상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DAC(123)는 윈도윙 제어부(121)로부터 윈도윙 심볼 그룹을 입력받아 윈도윙 심볼 그룹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OFDM 심볼을 생성한다.
전송부(125)는 DAC(123)가 생성한 OFDM 심볼을 RF(Radio Frequency) 신호로 증폭하여 전송 안테나(127)를 통해 채널에 전송한다.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200)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2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200)는 직교 위상 편이(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변조부(201), 직렬-병렬 변환부(SPC)(203), 3개의 가중치 제어부(205a, 205b, 205c), 3개의 이산 푸리에 변환(DFT) 연산부(207), 3개의 부반송파 할당부(211), 3개의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 연산부(213), 3개의 병렬-직렬 변환부(PSC)(215), 신호 선택부(217), 보호 구간 삽입부(219), 윈도윙(Windowing) 제어부(22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223), 전송부(225), 및 송신 안테나(227)를 포함한다.
QPSK 변조부(201)는 디지털 심볼인 0과 1이 조합된 2비트(bit)를 모아서 반 송파의 4위상에 대응시켜 전송한다. 이때 반송파는
Figure 112006084810179-pat00002
/2의 위상 간격을 이룬다.
이때 SPC(203), DFT 연산부(207), 부반송파 할당부(211), IFFT 연산부(213), PSC(215), 신호 선택부(217), 보호 구간 삽입부(2019), 윈도윙 제어부(221), DAC(223), 전송부(225), 및 송신 안테나(227)는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200)의 가중치 적용부(205a, 205b, 205c)를 자세히 설명한다.
가중치 적용부(205a)는 SPC(203)로부터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을 입력받아 M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위상 벡터를 적용하여 각 심볼의 위상에 가중치가 적용된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출력하고, 가중치 적용부(205a)가 출력하는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제1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위상 벡터는 0의 위상을 가지고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되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의 심볼에 곱해지는 위상 벡터는 동일한 값을 갖는다. 또한 이때 위상 벡터의 구성 인자는 0이 아닌
Figure 112006084810179-pat00003
*U/V(U, V는 정수)의 위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제1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심볼은 도 8의 (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가중치 적용부(205b)는 SPC(203)로부터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을 입력받아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위상 벡터를 적용하여 홀수(odd) 번째 심볼에 가중치가 적용된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출력하고, 가중치 적용부(205b)가 출력하는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제2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위상 벡터는 홀수 번째 인자가
Figure 112006084810179-pat00004
/4의 위상을 가지고 짝수 번째 인자가 0의 위상을 가지며,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된다. 또한 이때 제2 위상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홀수 번째 심볼은 도 8의 (b)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고, 제2 위상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짝수 번째 심볼은 도 8의 (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가중치 적용부(205c)는 SPC(203)로부터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을 입력받아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위상 벡터를 적용하여 짝수(even) 번째 심볼에 가중치가 적용된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출력하고, 가중치 적용부(205c)가 출력하는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제3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위상 벡터는 홀수 번째 인자가 0의 위상을 가지고 짝수 번째 인자가
Figure 112006084810179-pat00005
/4의 위상을 가지며,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된다. 또한 이때 제3 위상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홀수 번째 심볼은 도 8의 (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고, 제3 위상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짝수 번째 심볼은 도 8의 (b)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300)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3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 신 장치(300)는 직교 위상 편이(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 변조부(301), 직렬-병렬 변환부(SPC)(303), 2개의 가중치 제어부(305a, 305b), 2개의 이산 푸리에 변환(DFT) 연산부(307), 2개의 부반송파 할당부(311), 2개의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 연산부(313), 2개의 병렬-직렬 변환부(PSC)(315), 신호 선택부(317), 보호 구간 삽입부(319), 윈도윙(Windowing) 제어부(32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323), 전송부(325), 및 송신 안테나(327)를 포함한다.
QPSK 변조부(201)는 디지털 심볼인 0과 1이 조합된 2비트(bit)를 모아서 반송파의 4위상에 대응시켜 전송한다. 이때 반송파는
Figure 112006084810179-pat00006
/2의 위상 간격을 이룬다.
이때 SPC(303), DFT 연산부(307), 부반송파 할당부(311), IFFT 연산부(313), PSC(315), 신호 선택부(317), 보호 구간 삽입부(319), 윈도윙 제어부(321), DAC(323), 전송부(325), 및 송신 안테나(327)는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300)의 가중치 적용부(305a, 305b)를 자세히 설명한다.
가중치 적용부(305a)는 SPC(303)로부터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을 입력받아 M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위상 벡터를 적용하여 각 심볼의 위상에 가중치가 적용된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출력하고, 가중치 적용부(305a)가 출력하는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제4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위상 벡터는 0의 위상을 가지고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되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 의 심볼에 곱해지는 위상 벡터는 동일한 값을 갖는다. 또한 이때 위상 벡터의 구성 인자는 0이 아닌
Figure 112006084810179-pat00007
*U/V(U, V는 정수)의 위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제4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심볼은 도 8의 (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가중치 적용부(305b)는 SPC(303)로부터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을 입력받아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위상 벡터를 적용하여 홀수(odd) 번째 심볼에 가중치가 적용된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출력하고, 가중치 적용부(305b)가 출력하는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제5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위상 벡터는 홀수 번째 인자가
Figure 112006084810179-pat00008
/4의 위상을 가지고 짝수 번째 인자가 0의 위상을 가지며,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된다. 또한 이때 가중치 적용부(305b)는 홀수(odd) 번째 심볼 대신 짝수(even) 번째 심볼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이때 위상 벡터는 홀수 번째 인자가 0의 위상을 가지고 짝수 번째 인자가
Figure 112006084810179-pat00009
/4의 위상을 가지며,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된다. 또한 이때 제5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 중 가중치가 적용된 심볼은 도 8의 (b)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고, 제5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 중 가중치가 적용되지 않은 심볼은 도 8의 (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400)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400)를 도 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400)는 이진 위상 편이(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변조부(401), 직렬-병렬 변환부(SPC)(403), 3개의 가중치 제어부(405a, 405b, 405c), 3개의 이산 푸리에 변환(DFT) 연산부(407), 3개의 부반송파 할당부(411), 3개의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 연산부(413), 3개의 병렬-직렬 변환부(PSC)(415), 신호 선택부(417), 보호 구간 삽입부(419), 윈도윙(Windowing) 제어부(42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423), 전송부(425), 및 송신 안테나(427)를 포함한다.
BPSK 변조부(401)는 전송하고자 하는 0 또는 1의 값을 반송파의 0위상과
Figure 112006084810179-pat00010
위상에 대응시켜 전송한다.
이때 SPC(403), DFT 연산부(407), 부반송파 할당부(411), IFFT 연산부(413), PSC(415), 신호 선택부(417), 보호 구간 삽입부(419), 윈도윙 제어부(421), DAC(423), 전송부(425), 및 송신 안테나(427)는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400)의 가중치 적용부(405a, 405b, 405c)를 자세히 설명한다.
가중치 적용부(405a)는 SPC(403)로부터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을 입력받아 M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위상 벡터를 적용하여 각 심볼의 위상에 가중치가 적용된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출력하고, 가중치 적용부(405a)가 출력하는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제6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위상 벡터는 0의 위상을 가지고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되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의 심볼에 곱해지는 위상 벡터는 동일한 값을 갖는다. 또한 이때 위상 벡터의 구성 인자는 0이 아닌
Figure 112006084810179-pat00011
*U/V(U, V는 정수)의 위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제6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심볼은 도 9의 (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가중치 적용부(405b)는 SPC(403)로부터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을 입력받아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위상 벡터를 적용하여 홀수(odd) 번째 심볼에 가중치가 적용된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출력하고, 가중치 적용부(205b)가 출력하는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제7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위상 벡터는 홀수 번째 인자가
Figure 112006084810179-pat00012
/2의 위상을 가지고 짝수 번째 인자가 0의 위상을 가지며,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된다. 또한 이때 제7 위상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홀수 번째 심볼은 도 9의 (b)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고, 제7 위상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짝수 번째 심볼은 도 9의 (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가중치 적용부(405c)는 SPC(403)로부터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을 입력받아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위상 벡터를 적용하여 짝수(even) 번째 심볼에 가중치가 적용된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출력하고, 가중치 적용부(405c)가 출력하는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제8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위 상 벡터는 홀수 번째 인자가 0의 위상을 가지고 짝수 번째 인자가
Figure 112006084810179-pat00013
/2의 위상을 가지며,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된다. 또한 이때 제8 위상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홀수 번째 심볼은 도 9의 (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고, 제8 위상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짝수 번째 심볼은 도 9의 (b)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500)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5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500)는 이진 위상 편이(Binary Phase Shift Keying, BPSK) 변조부(501), 직렬-병렬 변환부(SPC)(503), 2개의 가중치 제어부(505a, 505b), 2개의 이산 푸리에 변환(DFT) 연산부(507), 2개의 부반송파 할당부(511), 2개의 고속 푸리에 역변환(IFFT) 연산부(513), 2개의 병렬-직렬 변환부(PSC)(515), 신호 선택부(517), 보호 구간 삽입부(519), 윈도윙(Windowing) 제어부(521),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AC)(523), 전송부(525), 및 송신 안테나(527)를 포함한다.
BPSK 변조부(501)는 전송하고자 하는 0 또는 1의 값을 반송파의 0위상과
Figure 112006084810179-pat00014
위상에 대응시켜 전송한다.
이때 SPC(503), DFT 연산부(507), 부반송파 할당부(511), IFFT 연산부(513), PSC(515), 신호 선택부(517), 보호 구간 삽입부(519), 윈도윙 제어부(521), DAC(523), 전송부(525), 및 송신 안테나(527)는 도 2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동일 또는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송신 장치(500)의 가중치 적용부(505a, 505b)를 자세히 설명한다.
가중치 적용부(505a)는 SPC(503)로부터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을 입력받아 M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위상 벡터를 적용하여 각 심볼의 위상에 가중치가 적용된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출력하고, 가중치 적용부(505a)가 출력하는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제9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위상 벡터는 0의 위상을 가지고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되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의 심볼에 곱해지는 위상 벡터는 동일한 값을 갖는다. 또한 이때 위상 벡터의 구성 인자는 0이 아닌
Figure 112006084810179-pat00015
*U/V(U, V는 정수)의 위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제9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심볼은 도 9의 (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가중치 적용부(505b)는 SPC(503)로부터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을 입력받아 M 개의 디지털 변조 심볼에 위상 벡터를 적용하여 홀수(odd) 번째 심볼에 가중치가 적용된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출력하고, 가중치 적용부(505b)가 출력하는 M 개의 가중치 적용 심볼을 제10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이때 위상 벡터는 홀수 번째 인자가
Figure 112006084810179-pat00016
/2의 위상을 가지고 짝수 번째 인자가 0의 위상을 가지며,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된다. 또한 이때 가중치 적용부(505b)는 홀 수(odd) 번째 심볼 대신 짝수(even) 번째 심볼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고, 이때 위상 벡터는 홀수 번째 인자가 0의 위상을 가지고 짝수 번째 인자가
Figure 112006084810179-pat00017
/2의 위상을 가지며,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된다. 또한 이때 제10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 중 가중치가 적용된 심볼은 도 9의 (b)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고, 제10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 중 가중치가 적용되지 않은 심볼은 도 9의 (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다음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수신 장치(600)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수신 장치(6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FDM 방식의 신호 수신 장치(600)는 수신 안테나(601), 수신부(603),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alog-to-Digital Converter, ADC)(605), 보호 구간 제거부(607), 직렬-병렬 변환부(SPC)(609),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연산부(611), 부반송파 역할당부(613), 채널 추정부(615), 이산 푸리에 역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연산부(617), 신호 복원부(619), 병렬-직렬 변환부(PSC)(621), 및 디지털 복조부(623)를 포함한다.
수신부(603)는 수신 안테나(601)를 통해 OFDM 방식의 신호 전송 장치(100)로부터 RF 신호를 수신하여 OFDM 심볼을 출력한다.
ADC(605)는 아날로그 신호인 OFDM 심볼을 입력받아 OFDM 심볼을 디지털 신호 로 변환하여 보호 구간에 해당하는 a 개의 심볼이 포함된 N+a 개의 디지털 심볼을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ADC(605)가 생성하는 N+a 개의 디지털 심볼을 이하에서는 디지털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보호 구간 제거부(607)는 ADC(605)가 출력하는 디지털 심볼 그룹에서 보호 구간에 해당하는 a 개의 심볼을 제거하여 N 개의 보호 구간 제거 심볼을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보호 구간 제거부(607)가 생성하는 N 개의 보호 구간 제거 심볼을 이하에서는 보호 구간 제거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SPC(609)는 보호 구간 제거부(607)로부터 보호 구간 제거 심볼 그룹을 직렬적으로 입력받아 병렬적으로 출력한다.
FFT 연산부(611)는 SPC(609)가 병렬적으로 출력하는 보호 구간 제거 심볼 그룹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 연산을 수행하여 N개의 FFT 심볼을 생성한다. 이하에서는 FFT 연산부(611)가 생성하는 N개의 FFT 심볼을 이하에서는 FFT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부반송파 역할당부(613)는 신호 전송 장치(100)의 부반송파 할당부(111)에 대응하여 FFT 심볼 그룹을 역할당하고, 역할당된 FFT 심볼 그룹에서 0을 제거하여 부반송파 역할당 심볼 그룹을 출력한다.
채널 추정부(615)는 부반송파 역할당부(613)로부터 부반송파 역할당 심볼 그룹을 입력받아 채널에 의해 왜곡된 신호를 보상한 채널 추정 심볼 그룹을 출력한다. 이때 채널 추정부(615)는 등화기(Equalization) 등의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IDFT 연산부(617)는 채널 추정부(615)로부터 채널 추정 심볼 그룹을 입력받 아 이산 푸리에 역변환(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연산을 수행하여 M 개의 IDFT 심볼을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IDFT 연산부(617)가 출력하는 M 개의 IDFT 심볼을 IDFT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신호 복원부(619)는 IDFT 연산부(617)로부터 IDFT 심볼 그룹을 입력받아 M 개의 IDFT 심볼의 위상 가중에 사용된 위상 벡터를 추정하고 각 심볼에 대한 심볼 위상 변환을 보상하여 M 개의 가중치 보상 심볼열을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신호 복원부(619)가 출력하는 M 개의 가중치 보상 심볼열을 가중치 보상 심볼 그룹이라 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신호 복원부(619)에 입력된 IDFT 심볼 그룹의 홀수 번째 심볼이 도 8의 (a)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이고 짝수 번째 심볼이 도 8의 (b)와 동일 또는 유사한 위상 분포 패턴인 경우, 신호 복원부(619)는 위상 가중에 사용된 위상 벡터의 홀수 번째 인자가 0의 위상을 가지고 짝수 번째 인자가
Figure 112006084810179-pat00018
/4의 위상을 가지며, 크기가 1인 M 개의 인자로 구성되었다고 추정한다. 즉, 신호 복원부(619)는 IDFT 심볼 그룹이 가중치 적용부(205c)에 의해 위상 가중되었다고 추정한다. 이후 신호 복원부(619)는 추정된 위상 벡터를 통해 IDFT 심볼 그룹을 보상한다. 즉, 신호 복원부(619)는 IDFT 심볼 그룹의 짝수 번째 심볼이 2nπ-π/4 만큼(n은 정수) 보상된 가중치 보상 심볼 그룹을 출력한다.
PSC(621)는 신호 복원부(619)로부터 병렬적으로 입력되는 가중치 보상 심볼 그룹을 직렬적으로 출력한다.
디지털 복조부(623)는 PSC(621)로부터 직렬적으로 입력되는 가중치 보상 심 볼 그룹에 대해 디지털 복조를 수행하여 이진 데이터인 최종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 생성 및 전송 장치는 디지털 심볼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생성함으로써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의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25)

  1.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가중치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가중치 중 대응하는 가중치를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가중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복수의 가중치 적용부; 및
    상기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 중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최소인 심볼 그룹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신호 선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중치 적용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을 복수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고, 상기 복수의 하위 그룹 중 일부의 하위 그룹에 상기 대응하는 가중치를 적용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중치는 복수의 위상 가중치에 각각 대응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중치 적용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을 제1 하위 그룹과 제2 하위 그룹으로 나누고, 상기 제1 하위 그룹과 상기 제2 하위 그룹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복수의 위상 가중치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볼을 직교 위상 편이 변조하여 상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디지털 변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중치 적용부는
    상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에 0의 위상 가중치를 적용하는 제1 가중치 적용부와,
    상기 제1 하위 그룹에 π/4의 위상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제2 하위 그룹에 0의 위상 가중치를 적용하는 제2 가중치 적용부를 포함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중치 적용부는
    상기 제1 하위 그룹에 0의 위상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제2 하위 그룹에 π/4의 위상 가중치를 적용하는 제3 가중치 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 심볼을 이진 위상 편이 변조하여 상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디지털 변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중치 적용부는
    상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에 0의 위상 가중치를 적용하는 제1 가중치 적용부와,
    상기 제1 하위 그룹에 π/2의 위상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제2 하위 그룹에 0의 위상 가중치를 적용하는 제2 가중치 적용부를 포함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중치 적용부는
    상기 제1 하위 그룹에 0의 위상 가중치를 적용하고 상기 제2 하위 그룹에 π/2의 위상 가중치를 적용하는 제3 가중치 적용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위 그룹은 상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의 홀수 번째 심볼들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하위 그룹은 상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의 짝수 번째 심볼들로 구성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중치 적용부에 각각 대응하고, 대응하는 가중치 적용부가 생성하는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푸리에 변환하여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복수의 푸리에 변환부;
    상기 복수의 푸리에 변환부에 각각 대응하고, 대응하는 푸리에 변환부가 생성하는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에 복수의 부반송파를 할당하여 복수의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부반송파 할당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복수의 부반송파 할당부; 및
    상기 복수의 부반송파 할당부에 각각 대응하고, 대응하는 부반송파 할당부가 생성하는 부반송파 할당 심볼 그룹을 푸리에 역변환 하여 복수의 부반송파 할당 심볼 그룹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복수의 푸리에 역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선택부는
    상기 복수의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 중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최소인 심볼 그룹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최소인 심볼 그룹에 보호 구간을 삽입하여 보호 구간 삽입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보호 구간 삽입부;
    상기 보호 구간 삽입 심볼 그룹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윈도윙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윈도윙 제어부; 및
    상기 윈도윙 심볼 그룹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생성하고,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증폭하여 채널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11.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수신하여 데이터 심볼을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디지털 변환부;
    상기 디지털 심볼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그룹을 바탕으로 가중치를 추정하고, 상기 디지털 심볼 그룹에 대해 상기 가중치를 보상하여 가중치 보상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신호 복원부; 및
    상기 가중치 보상 심볼 그룹을 디지털 복조하여 상기 데이터 심볼을 출력하는 디지털 복조부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위상 가중치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복원부는
    상기 디지털 심볼 그룹에 포함된 제1 하위 그룹과 제2 하위 그룹을 바탕으로 상기 위상 가중치를 추정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복원부는
    상기 디지털 심볼 그룹에 포함된 제1 하위 그룹의 위상 분포 패턴과 제2 하위 그룹의 위상 분포 패턴의 차이를 바탕으로 상기 위상 가중치를 추정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심볼 그룹을 푸리에 변환하여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푸리에 변환부;
    상기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을 부반송파 별로 역할당하여 부반송파 역할당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부반송파 역할당부;
    상기 부반송파 역할당 심볼 그룹의 왜곡을 보상하여 채널 추정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채널 추정부; 및
    상기 채널 추정 심볼 그룹을 푸리에 역변환하여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푸리에 역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 복원부는
    상기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그룹을 바탕으로 상기 가중치를 추정하고, 상기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에 대해 상기 가중치를 보상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심볼 그룹에서 보호 구간을 제거하여 보호 구간 제거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보호 구간 제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푸리에 변환부는
    상기 보호 구간 제거 심볼 그룹을 푸리에 변환하는 장치.
  17.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가중치의 각각을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에 적용하여 상기 복수의 가중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 중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최소인 심볼 그룹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을 복수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하위 그룹 중 일부의 하위 그룹에 상기 복수의 가중치 중 하나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1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중치는 복수의 위상 가중치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변조 심볼 그룹을 제1 하위 그룹과 제2 하위 그룹으로 나누는 단계; 및
    상기 제1 하위 그룹과 상기 제2 하위 그룹 중 하나의 하위 그룹에 상기 복수의 위상 가중치 중 하나의 위상 가중치를 적용하여 제2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중치 적용 심볼 그룹의 각각을 푸리에 변환하여 복수의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의 각각에 대해 복수의 부반송파를 할당하여 복수의 부반송파 할당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반송파 할당 심볼 그룹의 각각을 푸리에 역변환하여 복수의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 중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최소인 심볼 그룹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 비가 최소인 심볼 그룹에 보호 구간을 삽입하여 보호 구간 삽입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보호 구간 삽입 심볼 그룹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윈도윙 심볼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윈도윙 심볼 그룹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윈도윙 심볼 그룹을 증폭하여 채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수신하여 데이터 심볼을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심볼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심볼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그룹의 각각의 위상 분포 패턴을 바탕으로 가중치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심볼 그룹에 대해 상기 가중치를 보상하여 가중치 보상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가중치 보상 심볼 그룹을 디지털 복조하여 상기 데이터 심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는 위상 가중치인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심볼 그룹에 포함된 제1 하위 그룹의 위상 분포 패턴과 제2 하위 그룹의 위상 분포 패턴을 바탕으로 상기 위상 가중치를 추정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심볼 그룹에서 보호 구간을 제거하여 보호 구간 제거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보호 구간 제거 심볼 그룹을 푸리에 변환하여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푸리에 변환 심볼 그룹을 부반송파 별로 역할당하여 부반송파 역할당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부반송파 역할당 심볼 그룹의 왜곡을 보상하여 채널 추정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채널 추정 심볼 그룹을 푸리에 역변환하여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하위 그룹의 각각의 위상 분포 패턴을 바탕으로 상기 가중치를 추정하는 단계; 및
    상기 푸리에 역변환 심볼 그룹에 대해 상기 가중치를 보상하여 상기 가중치 보상 심볼 그룹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5. 삭제
KR1020060114617A 2006-01-13 2006-11-20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심볼을 생성하고 수신하는 장치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66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160,555 US8102927B2 (en) 2006-01-13 2007-01-12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receiving OFDM symbol
PCT/KR2007/000218 WO2007081173A2 (en) 2006-01-13 2007-01-12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receiving ofdm symb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3786 2006-01-13
KR1020060003786 2006-01-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6395A KR20070076395A (ko) 2007-07-24
KR100866981B1 true KR100866981B1 (ko) 2008-11-05

Family

ID=38501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6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6981B1 (ko) 2006-01-13 2006-11-20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심볼을 생성하고 수신하는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02927B2 (ko)
KR (1) KR1008669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52B1 (ko) * 2013-01-29 2015-07-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직교 주파수 분할 시스템
KR101807193B1 (ko) * 2016-07-20 2017-12-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필터뱅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첨두 대 평균전력 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1023A (ko) * 2007-05-15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타일 구조 기반의 최대전력 대평균전력 감소 장치 및 방법
TWI355175B (en) * 2007-05-31 2011-12-21 Ind Tech Res Inst Multicarrier transmitting system and method thereo
KR100879455B1 (ko) * 2007-09-20 2009-01-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 방식에서 papr의 감소를 위한 시퀀스 다중화 송수신 방법
US8411770B2 (en) * 2007-11-26 2013-04-02 Sharp Kabushiki Kaisha Base station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10015121A1 (en) * 2008-08-05 2010-02-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product of ofdm transmission
KR101347480B1 (ko) * 2010-02-18 2014-01-07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안테나 ofdm 송, 수신 방법 및 송, 수신기
US8693563B2 (en) 2010-02-18 2014-04-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ignal using multiple antennas, and transmitter and receiver thereof
JP6255870B2 (ja) * 2013-10-08 2018-01-10 アイコム株式会社 通信機及び通信方法
CN103763245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噪声多媒体无线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64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单频网抗噪声移动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49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多媒体广播单频网鲁棒无线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58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多媒体广播移动信号抗噪声成帧调制方法
CN103780548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多媒体广播单频网抗干扰无线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47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衰落多媒体无线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83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衰落数字移动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57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多媒体广播移动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33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数字广播单频网抗干扰移动信号传输方法
CN103780552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鲁棒数字无线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39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鲁棒无线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38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多媒体广播单频网抗干扰移动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40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抗衰落移动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66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移动信号鲁棒传输方法
CN103763236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多媒体广播单频网抗噪声移动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68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单频网移动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91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移动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36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数字广播移动信号传输方法
CN103780561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抗噪声移动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50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无线信号抗噪声传输方法
CN103763280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干扰无线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59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无线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66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单频网鲁棒移动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54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干扰多媒体移动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77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噪声数字移动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37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多媒体广播无线信号抗噪声成帧调制方法
CN103763256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多媒体移动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95672A (zh) * 2014-01-13 2014-05-14 宁波大学 单频网无线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082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多媒体广播单频网鲁棒移动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51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抗衰落数字无线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55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噪声多媒体移动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63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单频网无线信号传输方法
CN103780535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数字广播移动信号抗衰落传输方法
CN103763279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衰落无线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39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鲁棒多媒体无线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72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多媒体广播无线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75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多媒体广播无线信号鲁棒成帧调制方法
CN103795671A (zh) * 2014-01-13 2014-05-14 宁波大学 单频网鲁棒移动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38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抗干扰数字移动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61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单频网抗干扰无线信号传输方法
CN103780560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多媒体广播移动信号鲁棒成帧调制方法
CN103763251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无线信号传输方法
CN103780550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多媒体广播单频网抗衰落无线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56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多媒体广播移动信号抗衰落成帧调制方法
CN103763286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噪声移动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60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噪声无线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084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单频网抗衰落无线信号传输方法
CN103763273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多媒体广播无线信号抗干扰成帧调制方法
CN103763242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单频网鲁棒移动信号传输方法
CN103795673A (zh) * 2014-01-13 2014-05-14 宁波大学 单频网鲁棒无线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41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单频网抗干扰无线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81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噪声无线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65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单频网抗干扰移动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93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多媒体广播单频网无线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65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移动信号抗干扰传输方法
CN103780544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抗衰落移动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54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抗噪声数字无线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47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多媒体广播单频网抗噪声无线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45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鲁棒移动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71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单频网抗衰落移动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061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多媒体广播单频网抗衰落移动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63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单频网移动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43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抗干扰移动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34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抗衰落无线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62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移动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41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单频网抗噪声移动信号传输方法
CN103763288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单频网无线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80567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单频网抗衰落移动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42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单频网鲁棒无线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46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单频网抗衰落无线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44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多媒体无线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70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单频网抗干扰移动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083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单频网移动信号传输方法
CN103763290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单频网抗干扰无线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53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鲁棒多媒体移动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46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干扰多媒体无线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58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鲁棒无线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59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多媒体广播移动信号抗干扰成帧调制方法
CN103763257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干扰无线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55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数字无线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40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无线信号抗衰落传输方法
CN103763282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无线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49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无线信号抗干扰传输方法
CN103763276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移动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78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鲁棒数字移动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43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单频网抗衰落移动信号传输方法
CN103763264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单频网抗噪声无线信号传输方法
CN103763267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移动信号抗噪声传输方法
CN103763274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多媒体广播无线信号抗衰落成帧调制方法
CN103763284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单频网抗噪声无线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87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单频网抗衰落无线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89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单频网抗噪声无线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69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单频网抗噪声移动多媒体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37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多媒体广播单频网移动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92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干扰移动数字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80553A (zh) * 2014-01-13 2014-05-07 宁波大学 抗干扰数字无线广播信号传输方法
CN103763252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抗衰落多媒体移动广播信号成帧调制方法
CN103763262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单频网鲁棒无线信号传输方法
CN103763248A (zh) * 2014-01-13 2014-04-30 宁波大学 数字广播无线信号鲁棒传输方法
CN107210988B (zh) 2015-01-23 2021-05-04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设备对设备通信终端产生信号的方法和装置
DE102017130295A1 (de) * 2017-12-18 2019-06-1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Reifendrucküberwachungseinheit mit erweiterbarer Programmbibliothek und Verfahren zum Ergänzen einer Programmbibliothek einer Reifendrucküberwachungseinheit
CN111865858B (zh) * 2019-04-30 2022-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部分传输序列技术的边信息传输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175A (ko) * 2002-07-08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 통신시스템에서 선택적매핑의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980B1 (ko) 2002-12-24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피크대 평균 전력비를 최소화시키는 장치 및 방법
KR100899747B1 (ko) * 2003-02-13 2009-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의 첨두대평균 전력비 저감을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33115B1 (ko) 2003-09-09 2009-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에서 피크 전력 대 평균 전력비의 감소를 위한 장치 및 방법
GB2412826B (en) 2004-04-01 200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US7342978B2 (en) 2004-06-02 2008-03-1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PAPR reduction of an OFDM signal
US7376202B2 (en) * 2004-11-12 2008-05-20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OFDM peak-to-average power ratio reduction by combined symbol rotation and inversion with limited complexity
EP1679849B1 (en) * 2005-01-11 2014-02-26 Motorola Solutions, Inc. OFD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wherein the pilot symbols are weighted in order to reduce the 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5175A (ko) * 2002-07-08 2004-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 통신시스템에서 선택적매핑의부가정보 송수신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52B1 (ko) * 2013-01-29 2015-07-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직교 주파수 분할 시스템
KR101807193B1 (ko) * 2016-07-20 2017-12-0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필터뱅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첨두 대 평균전력 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8016718A3 (ko) * 2016-07-20 2018-08-0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필터뱅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첨두 대 평균전력 비를 감소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03478A1 (en) 2009-01-01
US8102927B2 (en) 2012-01-24
KR20070076395A (ko) 200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981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심볼을 생성하고 수신하는 장치및 방법
JP4867918B2 (ja) 適応無線/変調装置、受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1394103B1 (ko) 높은 피크대 평균 전력비들로부터 유발되는 다중 반송파 변조된 신호들의 왜곡을 감소시키는 동적 선택 방법들
EP1980035B1 (en) Pilot signal generation in an SC-FDMA transmitter
CN100488185C (zh) 无线通信系统、无线发送机、以及无线接收机
EP2082550B1 (en) A method for limiting local bandwidth impairment using tone reservation
US7668266B2 (en) Crest factor reduction in OFDM using blind selected pilot tone modulation
EP2335365A1 (en) Crest factor reduction for ofdm communications systems by transmitting phase shifted resource blocks
JP2005537747A (ja) 周波数領域判定フィードバック等化デバイス及び方法
KR20000068425A (ko) 다중 반송파 변조 시스템에서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비의 감소
JP4746420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KR100763992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심볼을 생성, 복조, 전송 및수신하는 장치
US9385908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JP4863262B2 (ja) 送信機,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方法
JP4918139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ピーク対平均電力比低減のための方法
KR20020056986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 및분산 파일롯 부채널을 이용한 변조기 및 복조기
KR20100064665A (ko) 최고 대 평균 전력 비율 감소 송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07081173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receiving ofdm symbol
CN114978837B (zh) 一种滤波器组多载波系统信号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Mondal Approach to reduce PAPR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technique
KR100917708B1 (ko)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US9031159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768327B1 (ko) 다중 반송파 신호를 사용하는 시스템의 cinr 추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04334A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화 (OFDM) 통신 신호의 피크 전력 대평균 전력비 (PAPR)를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하여 특정더미 시퀀스(dummy sequence)를 이용하는 새로운 SLM(selective mapping) 방법과 장치 구성
CN102571678A (zh) 时域备选信号的选取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