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894B1 -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6894B1 KR100866894B1 KR1020070075041A KR20070075041A KR100866894B1 KR 100866894 B1 KR100866894 B1 KR 100866894B1 KR 1020070075041 A KR1020070075041 A KR 1020070075041A KR 20070075041 A KR20070075041 A KR 20070075041A KR 100866894 B1 KR100866894 B1 KR 1008668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voltage
- unit
- fuel
- fuel injection
- eng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2828 fuel tan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71 soo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3—Battery correction, i.e. corrections as a function of the state of the battery, its output or its ty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2—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star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분사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동시에 키 릴리즈(Key release)에 의한 레일(rail) 압력의 언더/오버슈트(Under/Over shoot)를 방지하여 차량의 안정적인 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연료분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under / over shoot of a rail pressure caused by a key release when a vehicle is star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which enable a stable starting of the vehicle.
최근에는 승용차 및 RV와 SUV에 탑재할 저연비, 고성능, 저소음 및 저진동 직접분사식 디젤엔진은 고압연료 직접 분사장치인 커먼 레일 시스템(Common Rail System) 기술과 터보기술(WGT, VGT)을 접목하여 연비 실현과 배출가스 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Recently, low fuel consumption, high performance, low noise and low vibration direct injection diesel engines to be installed in passenger cars and RVs and SUVs realize fuel economy by combining common rail system technology with turbo direct injection (WGT, VGT) And to reduce emissions.
즉, 기존의 디젤엔진은 연료분사펌프 내의 기계적인 구조에 의해 연료를 연소실에 압송하는 단순한 방식이나, 커먼 레일식 분사방식은 공급된 연료를 고압연료펌프에서 필요한 압력으로 연료를 가압하여 커먼 레일로 압송하면 커먼 레일에 저장되었던 고압의 연료를 ECU의 제어에 의해 인젝터를 작동시킴으로써 실린더 내에 연료를 분사하게 되는 방식이다.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diesel engine is a simple method of pump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by a mechanical structure in the fuel injection pump, but the common rail injection method pressurizes the supplied fuel to a common rail by pressurizing the fuel at a necessary pressure from the high pressure fuel pump. In this case, the high pressure fuel stored in the common rail is injected into the cylinder by operating the injector under the control of the ECU.
이러한 커먼 레일식 분사방식은 연료 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고압 펌프에서 높은 압력으로 형성시켜 커먼 레일에 연료를 공급하고, 레일에 부착된 레일 압력 센서가 연료의 압력을 감지하여 엔진의 RPM과 로딩(Loading)에 따른 최적의 설정값으로 연료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커먼 레일 내의 연료는 연료 파이프를 통해 인젝터(Injector)에 공급되고 3-웨이 밸브에 보내지는 펄스 신호에 따라 분사량, 분사율, 분사시기가 제어된다.The common rail type injection method forms fuel supplied from the fuel tank at a high pressure in a high pressure pump to supply fuel to the common rail, and a rail pressure sensor attached to the rail senses the pressure of the fuel so that the engine RPM and loading ( The fuel in the common rail is supplied to the injector through the fuel pipe and sent to the three-way valve according to the pulse signal sent to the injector through the fuel pipe. Is controlled.
이러한 커먼 레일식 분사방식의 핵심은 각 실린더에 1개씩 장착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가 내장된 인젝터이며, ECU(Electric Control Unit)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함으로서 인젝터의 분사과정을 제어하게 된다.The core of this common rail type injection method is an injector with a built-in solenoid valve installed in each cylinder, and the ECU (Electric Control Unit) controls the injection process of the injector by controlling the solenoid valve.
이와 같이 커먼 레일식 분사방식에 대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엔진용 공통 레일 압력센서를 이용한 연료 누설체크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the technique for the common rail injection method is disclosed in Document 1 (Fuel Leak Check Method Using Common Rail Pressure Sensor for Engine).
또한, 차량의 엔진 제어에 엔진제어 유니트(Engine Control Unit; ECU)가 도입되면서 배기가스의 저감 및 운전성의 향상이 혁명적으로 개선되어 오고 있는 바, 이중에 대표적으로 차량의 시동시에 엔진의 아이들(Idle) 회전 제어가 진행된다.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an engine control unit (ECU) to control the engine of the vehicle has revolutionized the reduction of the exhaust gas and the improvement of the driving performance. Among these, the idle of the engine at the start of the vehicle ( Idle) Rotation control is in progress.
이러한 차량의 시동시 아이들 회전 제어는 엔진의 시동시에 회전에 필요한 토오크를 계산하고, 그에 해당하는 연료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러한 제어를 위해서는 엔진의 회전수와 냉각수온, 흡기 매니폴드의 온도 등과 같은 주변 요소들을 감안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idle rotation control at the start of such a vehicle can calculate the torque required for rotation at the start of the engine and control the corresponding fuel amount.For this control, the engine rotation speed, the coolant temperature, the intake manifold It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surrounding factors such as temperature.
이와 같은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2(디젤 커먼 레일 시스템의 연료온도 저감장치 및 그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such a technique is disclosed in Document 2 (Fuel Temperature Reduction Device and Method of Diesel Common Rail System).
하기 문헌 2에 개시된 디젤 커먼 레일 시스템의 연료탱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재질이 스틸로 이루어지는 연료탱크(10)의 중앙부에 정차시 및 경사로의 운행시 연료탱크(10)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의 잔량이 설정된 기준량 이As shown in FIG. 1, the fuel tank of the diesel common rail system disclosed in Document 2 is stored in the
하인 경우에도 정상적인 연료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리저버 컵(20)이 배치되며, 리저버 컵(20)의 내측에 연료 공급라인(30)과 연료 리턴라인(40)이 배치된다. 또 이와 같은 커먼 레일 시스템은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공급되는 연료를 대략 1600BAR 정도의 압력으로 초고압화시켜 연소실에 분사시키며, 분사되고 남은 연료를 연료탱크로 재순환시키는 구성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The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3334호 (2007.06.19 공개)[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63334 (Published June 19, 2007)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65016호 (2007.06.22 공개)[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65016 (published on June 22, 2007)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키 릴리즈(Key release)가 발생한 후 언더/오버 슈트에 대한 문제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되어 있지않다. 즉, 이 키 릴리즈는 노이즈, 매연, 유량의 변화, 레일 압력의 진동의 원인이 된다.However, 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is document, there is no disclosure about the problem of under / overshoot after a key release has occurred. In other words, this key release causes noise, soot, change in flow rate, and vibration of rail pressure.
현재 이러한 언더/오버 슈트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레일압력 PID(비례/적분/미분)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실현되고 있지만, 이러한 조정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At present, in order to reduce such under / overshoot, the rail pressure PID (proportional / integral / derivative) is adjust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such adjustment is limited.
이와 같은 언더/오버 슈트(200~300bar)의 문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problem of such an under / over chute (200 ~ 300bar) is as shown in FIG.
일반적으로 펌프는 저압회로로 3bar가 내장되고, 연료제어밸브(IMV)를 통과 한 후 1800bar의 고압 회로로 된다. 레일 압력은 IMV에 의해 제어되고, IMV는 정상 상태에서 항상 열려져 있고, 전류의 증가에 따라 IMV가 닫히기 시작하여 1400㎃에서는 완전히 닫힌다. In general, the pump is a low pressure circuit with a built-in 3 bar, after passing through the fuel control valve (IMV) to a high pressure circuit of 1800 bar. The rail pressure is controlled by the IMV, which is always open in steady state, and as the current increases, the IMV begins to close and closes completely at 1400 Hz.
따라서, 키 릴리즈에 의해 언더/오버 슈트가 발생하는 원인은 키가 릴리즈될 때, 도 2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전압이 12 볼트에서 14.5 볼트로 증가하고, 저항값이 일정하다면 전류가 증가시킨다. 증가된 전류에 의해 연료제어밸브(IMV)가 폐쇄되고, 도 2의 하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따라 갑자기 레일 압력의 언더/오버 슈트가 크게 발생한다. Thus, the cause of the under / overshoot caused by the key release is that when the key is released, the battery voltage increases from 12 volts to 14.5 volts, as shown at the top of FIG. Increase. The fuel control valve (IMV) is closed by the increased current, and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2, a sudden under / overshoot of the rail pressure suddenly occurs.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터리 전압을 증가시켜 전류값을 보상하여 레일 압력의 언더/오버 슈트의 발생을 방지하는 연료분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o provide a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and a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under / overshoot of the rail pressure by compensating the current value by increasing the battery voltage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 제어장치는 차량의 시동시 키 릴리즈(Key release)에 의한 레일(rail) 압력의 언더/오버슈트(Under/Over shoot)를 방지하는 연료분사 제어장치로서, 차량의 시동키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상태를 감지하는 시동감지 스위치,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는 배터리 전압 감지부, 연료 제어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연료 제어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RPC부 및 상 기 배터리 전압 감지부로부터의 감지 전압에 따라 RPC부를 제어하는 전자제어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RPC부는 상기 전자제어 유닛의 출력에 따라 상기 연료 제어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for preventing under / over shoot of a rail pressure caused by a key release when a vehicle is started. As an engine, a start detection switch for detecting an engine starting state by operating a start key of a vehicle, a battery voltage sensing unit for detecting a voltage of a battery, a fuel control valve, and an RPC unit for adjusting an opening amount of the fuel control valve and a phase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RPC unit according to the sensed voltage from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wherein the RPC unit adjusts the opening amount of the fuel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output of the electronic control unit.
또,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 제어방법은 차량의 시동시에 키 릴리즈(Key release)에 의한 레일(rail) 압력의 언더/오버슈트(Under/Over shoot)를 방지하는 연료분사 제어 방법으로서, 시동감지 스위치로 차량의 시동키 조작에 의한 키 릴리즈 상태를 감지하는 키 릴리즈 감지 단계, 상기 키 릴리즈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상태에 따라 배터리의 전압 변동을 감지하는 배터리 전압 감지 단계, 상기 배터리 전압 감지 단계에서의 감지 결과 배터리 전압의 변동이 있는가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단계에서 배터리 전압이 증가된 경우 보상값을 적용하는 보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uel injec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el injection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under / over shoot of the rail pressure due to a key releas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In the key releas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key release state by the operation of the start key of the vehicle with a detection switch, a battery voltag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 voltage change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state detected in the key release detection step, the battery voltage detection step And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battery voltage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and a compensation step of applying a compensation value when the battery voltage is increased in the determination step.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레일 압력의 언더/오버 슈트를 거의 클리어하게 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nder / overshoot of the rail pressure can be almost cleare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vehicle is obtained.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엔진의 상태(모드)는 현재 엔진의 상태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운전을 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나누어진다.The state (mode) of the engine is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engine and operate accordingly, and is divided into four types as follows.
1. 크랭킹 모드(Cranking mode) : 운전자가 키를 돌리면 스테이터(starter)가 엔진을 돌려주면서 엔진에서 연소가 시작된다. 연소가 시작되면 스테이터는 더 이상 필요가 없으므로 키가 릴리즈(release)된다. 1. Cranking mode: When the driver turns the key, the starter turns the engine and combustion begins in the engine. Once combustion begins, the stator is no longer needed and the key is released.
그에 따라 엔진은 12볼트의 배터리 전압을 사용하다가 14.4 볼트의 알터네이트(alternater)의 전압을 사용하게 되고 엔진 속도는 대략 1200 RPM까지 증가한다.The engine then uses 12 volts of battery voltage and then 14.4 volts of alternator, increasing the engine speed to approximately 1200 RPM.
이 모드 중에 배터리 전압 상승으로 인해 전류가 증가하게 되고, 이 증가된 전류는 연료를 제어하는 연료제어밸브(IMV)를 닫게 되므로 레일압력 언더슈트가 발생하게 된다.During this mode, the current increases due to the battery voltage rise, and this increased current closes the fuel control valve (IMV) that controls the fuel, resulting in a rail pressure undershoot.
이렇게 발생된 언더슈트는 다시 오버슈트를 유발하며 시스템을 불안하게 한다. The resulting undershoot causes overshoot again and makes the system unstable.
2. 운전 모드(Running mode) : 1200 RPM까지 증가한 엔진은 운전 모드로 전환하게 되며 이후의 운전은 이 모드에서 진행된다.2. Running mode: The engine, which has increased up to 1200 RPM, will switch to the run mode, and subsequent operation will proceed in this mode.
3. 스톱 모드(Stopped mode) : 키를 끄게 되면 이 모드로 들어와서 엔진은 정지한다.3. Stopped mode: When the key is turned off, the engine enters this mode and stops.
4. 스탈링 모드(Stalling mode) : 주행중이나 아이들링중에 갑자기 엔진이 불안해 지면서(부조) 떨거나 시동이 꺼지는 경우이다.4. Stalling mode: Stalling mode: When the engine suddenly becomes unstable (relief) while driving or idling, or when the engine starts to turn off.
차량은 모두 이 4가지 모드 내에서 운행하게 된다.The vehicle will all run within these four modes.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according to drawing.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in description of this inven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same part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통상 연료 펌프는 연료를 엔진에 포함되어 있는 고압 펌프까지 압송하고, 크랭크 장치에서는 엔진을 회전시켜 고압의 연료압을 형성시키게 된다.In general, a fuel pump pumps fuel to a high pressure pump included in an engine, and in a crank device, the engine is rotated to generate a high pressure fuel pressur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 제어장치는 시동감지 스위치(110), 엔진회전수 감지센서(112), 냉각수온 감지센서(114), 흡기온도 감지센서(116), 대기압 감지센서(118), 배터리(120)의 전압을 감지하는 배터리전압 감지부(121), 엔진제어 유닛(124), 엔진(128)으로 고압의 연료를 공급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료 탱크로부터의 연료 공급을 제어하는 RPC(Rail pressure control)부(12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3, the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시동감지 스위치(110)는 차량의 시동키 조작에 의한 엔진 시동상태를 감지하여 스위칭되고, 엔진 회전수 감지센서(112)는 차량의 시동에 따라 엔진 크랭크 축의 회전수를 감지하게 된다.The
냉각수온 감지센서(114)는 엔진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의 수온을 감지하게 되고, 흡기온도 감지센서(116)는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 대한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 감지신호를 발생한다.The cooling
대기압 감지센서(118)는 대기중의 기압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배터리전 압 감지부(121)는 차량 배터리(120)가 정상적인 전압으로 충전되어 있는지 또는 배터리의 출력전압의 상태를 감지한다.The
엔진제어 유닛(124)은 시동감지 스위치(110)로부터의 시동감지 상태, 엔진회전수 감지센서(112)로부터의 엔진 회전수 즉, RPM 감지상태, 냉각수온 감지센서(114)로부터의 냉각수온 감지상태, 흡기온도 감지센서(116)로부터의 흡기The
매니폴드에 대한 온도상태, 대기압 감지센서(118)로부터의 대기압 상태, 배터리 전압 감지부(122)로부터의 배터리 전압 감지상태를 근거로 연료제어밸브(IMV)의 개도량을 조정하게 된다.The opening amount of the fuel control valve IMV is adjusted based on a temperature state of the manifold, an atmospheric pressure state from the
또한 엔진제어 유닛(124)은 일반적으로 시동 이후에 고속 아이들 진입 이전까지 토오크 제어가 금지되도록 하여 시동 공기량이 규정(Conventional) 아이들 공기량으로 되도록 제어하고, 고속 아이들이 진입하게 되면 토오크 제어에 의한 공기량으로 천이시키는 제어를 진행하게 한다. 이러한 규정 아이들 공기량은 목표 아이들 RPM과 냉각수온에 의해 계산되는 공기량으로서, 예를 들어 목표 아이들 RPM이 100 RPM이고, 냉각수온이 20℃이면, 냉각수온이 90℃ 이상이 되는 핫(Hot) 조건에서 1000 RPM을 유지하는 아이들 공기량과 냉각수온의 차이를 보상해주는 공기량의 합에 해당된다.In addition, the
또 RPC부(126)는 IMV(연료 제어 밸브)를 구비하며, 엔진제어 유닛(124)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어 연료 제어 밸브의 개도량을 미리 설정된 상태로 개폐시키게 한다.In addition, the
IMV는 전류에 의해 작동되며, RPC부(126)는 키 릴리즈에 의한 레일 압력의 언더/오버슈트를 감지된 배터리의 전압에 따라 IMV의 개도량을 조절한다.The IMV is driven by a current, and the
다음에 도 4에 따라 하는 전자제어 유닛(124)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자제어 유닛(124)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며, 전자제어 유닛(124)이 도 4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4에 도시된 전자제어 유닛(124)은 차량의 전자 제어를 위한 통상의 구조를 갖는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이 전자제어 유닛(124)은 배터리 전압의 증가에 따라 전류값을 보상하기 위한 보상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1241), 배터리 전압 감지부(121)에서 감지된 배터리 전압과 메모리부(1241)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비교부(1242) 및 비교부(1242)에서의 비교값에 따라 RPC부(126)로의 출력값을 조정하는 데이터 처리부(1243)를 포함하는 구성을 구비한다.The
또한 메모리부(1241)에 저장되어 있는 보상값은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다.In addition, the compensation values stored in the
< 표 ><Table>
즉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메모리부(1241)에 저장된 기준값은 엔진의 온도에 따라 가변으로 되며, 배터리 전압 감지부(121)는 12볼트 내지 14볼트의 사이의 배터리 전압을 감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배터리 전압 감지부(121)에서 감지된 배터리 전압이 12V 에서 12.5V로 증가하고 엔진의 감지온도가 -20 ℃ 내지 -10 ℃이면, 데이터 처리부(1243)은 전류값을 -10㎃ 감소시켜 RPC부(126)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RPC부(126)에서는 30bar 정도의 언더슈트가 발생한다.In other words, as can be seen in the above table, the reference value stored in the
따라서, RPC부(126)가 표에 규정된 보상값에 따라 연료 제어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언더/오버슈트는 클리어하게 된다.Therefore, the under / overshoot is cleared by the
다음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성의 동작에 대해 도 5에 따라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s. 3 and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uel injec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운전자가 키를 돌리면 스테이터(starter)가 엔진을 돌려주면서 엔진에서 연소가 시작되며, 연소가 시작되면 스테이터는 더 이상 필요가 없으므로 키가 릴리즈(release)된다. First, when the driver turns the key, the engine starts combustion as the starter turns the engine. When the engine starts, the key is released because the stator is no longer needed.
이에 따라 배터리 전압 감지부(121)는 배터리(120)의 전압을 감지한다(S10).Accordingly, the
다음에 전자제어 유닛(124)은 차량의 엔진상태가 크랭킹 모드(Cranking mode)인가 판단하고(S20), 크랭킹 모드가 아닌 겨우 운전 모드로 실행한다(S30).Next, the
단계 S20에서 크랭킹 모드인 경우, 전자제어 유닛(124)은 배터리 전압 감지부(121)에서 감지된 전압(BV)이 12V 와 14V 사이에 있는가 판단한다(S40).In the cranking mode in step S20, the
단계 S40에서 전압 감지부(121)에서 감지된 전압(BV)이 12V 와 14V 사이에 있는 경우, 비교부(1242)는 BV의 경사도, 즉 BV 값이 기준값과 대비하여 증가했는가 판단한다(S50). 단계 S50에서 BV값이 증가된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값에 따라 전류값을 보상한다. 즉 상기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신규맵을 적용하여(S60), 데이터 처리부(1243)이 메모리부(1241)에 저장된 값을 기반으로 하여 보상된 전류값을 RPC부(126)로 출력하고, RPC부(126)는 이 보상 전류값에 따라 연료제어 밸브의 개도량을 조절하여 언더/오버슈트를 클리어시킨다.When the voltage BV detected by the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12V의 배터리 전압을 사용하다가 14.4 볼트의 알터네이트(alternater)의 전압을 사용하게 되고, 배터리 전압 상승으로 인해 전류가 증가하는 것에 의해 연료를 제어하는 연료제어 밸브(IMV)가 닫히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레일압력 언더슈트의 발생을 저지하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using a battery voltage of 12V, but using an alternator voltage of 14.4 volts, the fuel control valve (IMV) for controlling the fuel by increasing the current due to the battery voltage rise ) Prevents the closing of the rail pressure undershoot.
이 후, FF(feed_forward)와 단계S60에서 이루어진 신규 맵에 의해 연료제어 밸브의 균형상태를 유지시킨다(S70). 본 발명에서 FF라는 것은 원하는 요구가 있을때 이값을 따라가도록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메모리부(1241)에 매핑(Mapping) 해 놓은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연료제어 밸브의 제어 원리상 이것만으로는 완벽한 제어가 안되기 때문에 나머지는 PID제어에 의해 실행한다.Thereafter, the fuel control valve is maintained in balance by FF (feed_forward) and the new map made in step S60 (S70). In the present invention, FF means mapping to the
또한 상기 단계S30의 운전 모드인 경우에도 단계 S70으로 진행하여 처리될 수 있고, 단계 S40에서 배터리 전압 감지부(121)에서 감지된 전압(BV)이 12V 와 14V 사이에 있지 않는 경우 또는 단계 S50에서 배터리 전압의 변동이 없는 경우 단계S70으로 진행하여 처리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operation mode of step S30,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70, and if the voltage BV detected by the battery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is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디젤엔진에 향상된 연비를 제공할 수 있다.The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improved fuel economy to a diesel engine.
도 1은 종래의 디젤 커먼 레일 시스템의 연료탱크을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fuel tank of a conventional diesel common rail system,
도 2는 디젤 커먼 레일 시스템에서 언더/오버 슈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under / over chute in the diesel common rail system,
도 3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 제어장치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자제어 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control unit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분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uel injectio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10 : 시동감지 스위치 112 : 엔진회전수 감지센서110: start detection switch 112: engine speed sensor
114 : 냉각수온 감지센서 116 : 흡기온도 감지센서114: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116: intake air temperature sensor
118 : 대기압 감지센서 120 : 배터리118: atmospheric pressure sensor 120: battery
121 : 배터리전압 감지부 124 : 엔진제어 유닛121: battery voltage detector 124: engine control unit
128 : 엔진 126 : RPC부128: engine 126: RPC unit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5041A KR100866894B1 (en) | 2007-07-26 | 2007-07-26 |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5041A KR100866894B1 (en) | 2007-07-26 | 2007-07-26 |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6894B1 true KR100866894B1 (en) | 2008-11-04 |
Family
ID=40283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50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6894B1 (en) | 2007-07-26 | 2007-07-26 |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689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82913A (en) | 1999-03-25 | 2000-10-10 | Robert Bosch Gmbh | Operating method of fuel feed device, control element of control device for fuel feed device, control device for the fuel feed device, and the fuel feed device |
JP3903600B2 (en) | 1998-07-03 | 2007-04-11 | 株式会社デンソー | Accumulated fuel injection system |
JP3972685B2 (en) | 2002-03-06 | 2007-09-05 | 株式会社デンソー | Accumulated fuel injection system |
-
2007
- 2007-07-26 KR KR1020070075041A patent/KR10086689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03600B2 (en) | 1998-07-03 | 2007-04-11 | 株式会社デンソー | Accumulated fuel injection system |
JP2000282913A (en) | 1999-03-25 | 2000-10-10 | Robert Bosch Gmbh | Operating method of fuel feed device, control element of control device for fuel feed device, control device for the fuel feed device, and the fuel feed device |
JP3972685B2 (en) | 2002-03-06 | 2007-09-05 | 株式会社デンソー | Accumulated fuel injection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81819B2 (en) | Fuel injection system | |
US7848873B2 (en) |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6786201B2 (en) | Fuel injection control apparatus of cylinder injection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5282878B2 (en) | In-cylinder injec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device | |
US8904985B2 (en) | Method for star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tart-stop function | |
JP4023020B2 (en) | Fuel pressure control device for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system | |
JP2002530588A (en) | Especially a method of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car | |
KR20030022002A (en) | Diesel engine | |
JP2009115009A (en) | After-stop fuel pressure control device of direct injection engine | |
US8453437B2 (en) | Secondary air supply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control method of the secondary air supply device | |
JP4407827B2 (en) | In-cylinder injec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device | |
JP5905795B2 (en) | Fuel pressure control device | |
US674892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uel injection | |
JP4333619B2 (en) | In-cylinder injection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start control device | |
JP5989406B2 (en) | Fuel pressure control device | |
JP2011032922A (en) | Device for controlling drive of solenoid valve | |
JP2003328835A (en) | Fuel pressure sensor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ontrol system | |
JP2002061529A (en) | Fuel supply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7025028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nd adjusting the starting mod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KR100866894B1 (en) |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 |
JP4978514B2 (en) | Automatic stop device for diesel engine | |
JP2001295685A (en) | Accumulator fuel injector | |
JP4281825B2 (en) | Fuel pressure control device for high pressure fuel injection system | |
JP2010255601A (en) | Control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4462571B2 (en) |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for diesel eng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