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6468B1 - 실린더형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실린더형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468B1
KR100866468B1 KR1020070051266A KR20070051266A KR100866468B1 KR 100866468 B1 KR100866468 B1 KR 100866468B1 KR 1020070051266 A KR1020070051266 A KR 1020070051266A KR 20070051266 A KR20070051266 A KR 20070051266A KR 100866468 B1 KR100866468 B1 KR 100866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hock absorber
cylinder
piston rod
pist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1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홍
Original Assignee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동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1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46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16F9/346Throttling passages in the form of slots arranged in cylinder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14Constructional feature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16F9/32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of cylinder ends, e.g.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8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 F16F9/483Arrangements for providing different damping effects at different parts of the stroke characterised by giving a particular shape to the cylinder, e.g. co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작동이 원활하고 충격부위 근처에서만 속도를 제어하여, 사용하기가 편리한 실린더형 완충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실린더 내부를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에 장착된 피스톤(20)은, 외측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작동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에는 작동홈 보다 폭이 좁은 작동링(26)이 끼워져 전/후로 이동하게 조립되며, 외측둘레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입홈(22)이 전방에서부터 작동홈(25)의 일부까지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의 후방에 형성된 테두리부(23)에는 상기 요입홈(22)으로 연결되는 미세홈(24)이 형성되어 피스톤 이동시 작동링이 움직이면서 상기 미세홈의 일부를 개방시키거나 밀폐시키면서 충격을 완화시킨다.
Figure R1020070051266
실린더, 완충, 의료용침대, 테이블, 피스톤, 미세홈

Description

실린더형 완충장치{cylinder absorb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완충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완충장치의 조립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완충장치에서 중요부인 피스톤의 사시도.
도 4a,4b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완충장치의 작동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완충장치가 의료용 침대에 사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완충장치가 의료용 침대에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완충장치가 의료용 침대에 설치되어 작동된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실린더 20: 피스톤
22: 요입홈 24: 미세홈
25: 작동홈 26: 작동링
30: 피스톤로드 40: 테이블
본 발명은 실린더형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직선이동 혹은 회전으로 움직이는 물체에 부착하여 충돌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실린더형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각종 도어장치 및 절첩장치 등에서 직선으로 혹은 회전으로 움직이는 물체가 고정물체에 충돌할 때 진동과 소음이 크게 발생된다.
그 일례로서, 의료용 침대에는 환자들이 식탁으로 혹은 책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테이블은 필요할 때만 사용할 수 있도록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회전으로 절첩되게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테이블은 상당한 무게를 가지고 있어 복귀되는 과정에서 테이블이 침대의 프레임에 부딪치면서 큰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충격은 제품의 파손의 원인이 되며 수명을 단축시킨다. 특히 절첩되는 부분에 근접한 사람이 부상당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소음발생은 환자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하며 불쾌감을 주고 정서를 해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충격을 완화시키는 장치가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으며, 압축가스 및 압축스프링을 이용한 구조의 충격 완화장치가 일부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출원인에 의해서도 "실린더형 무동력 완충장치" 가 이미 출원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완충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의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고,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회동하는 다리를 부착하였을 경우 회동하는 다리에 따라 실린더 본체 역시 회동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면서 실린더의 장착이 견고하지 못하고 실린더의 회동하는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며, 테이블을 회전시킬 때 전체 회전구간이 실린더에 의해서 제동되어 테이블을 절첩할 때 힘이 들고 신속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실린더형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동이 원활하고 충격부위 근처에서만 속도를 제어하여, 사용하기가 편리한 실린더형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완충장치의 내부구조를 보이기 위해 분해한 상태와 조립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완충장치에서 중요부인 피스톤을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완충장치에서 피스톤의 작동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른 본 발명 실린더형 완충장치는, 캡에 의해 내부가 닫히는 실린더와, 상기 캡에 관통되어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에 장착되어 실린더 내부를 직선 이동하는 피스톤(20)으로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은 피스톤로드가 일 방향으로 작동시 에어의 흐름을 제어하여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위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부가 개방되어 후술하는 피스톤이 장착될 수 있게 된 실린더(10)는 장착되는 물체의 움직이지 않는 부분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의 개방부는 캡(14)에 의해 닫혀지면서 실린더의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캡(14)의 중앙으로 피스톤로드(30)가 관통되어 직선적으로 이동하게 조립되고,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측 실린더 내부에는 피스톤(20)이 장착되며 타측 실린더 외부에는 소정의 연결부(32)가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20)과 피스톤로드(30)는 핀에 의한 조립, 나사체결에 의한 조립, 인서트성형에 의한 조립 등으로 서로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20)에는 전방으로 가이드링 홈(27)을 형성시키고 여기에 가이드링(28)을 장착하게 됨에 따라 마찰을 줄이고 피스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에는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 내벽에 밀착되어 전방 혹은 후방으로 이동하는 작동링이 끼워지고 전방으로 요입홈과 후방으로 미세홈을 가지게 됨에 따라 실린더 내부의 에어 이동을 제어하면서 피스톤 로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즉, 상기 피스톤(20) 외측둘레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입홈(22)을 두고 있다. 이때 상기 요입홈은 전방에서 시작되나 후방까지 연결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상기 요입홈(22)이 끝나는 후방부분에는 외측둘레를 따라서 작동홈(25)이 형성되는데 상기 작동홈에는 요입홈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작동홈(25) 후방으로는 테두리부(23)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에는 미세한 간격으로 미세홈(24)이 형성되면서 작동홈(25)으로 연결되는 외측절개부(24a)와 요입홈(22)으로 연결되는 내측절개부(24b)를 구성한다.
이후, 상기 작동홈(25)에는 작동홈 보다 폭이 좁은 작동링(26)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게 조립되어 작동링이 움직이면서 상기 미세홈의 외측절개홈(24a)을 개폐시킨다.
따라서 도 4a에서와 같이 피스톤로드가 후방으로 당겨질 때 작동링(26)이 실린더의 내벽에 밀착되어 작동홈의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테두리의 외측둘레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후방공간(10b)의 에어는 상기 테두리부(23)의 외측 틈사이를 통해 각 요입홈(22)으로 빠져 전방공간(10a)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로드는 후 방으로 쉽고 신속하게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로드가 전방으로 이동될 때는 도 4b에서와 같이 작동링(26)이 실린더 내벽에 밀착되어 작동홈의 후방으로 이동되고, 테두리부(23)의 미세홈, 바람직하게는 외측 절개부(24a)를 밀폐시킨다. 따라서 실린더의 전방공간(10a)에 있는 에어는 작동링(26)에 의해 밀폐된 테두리부(23)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미세홈의 내측부분 즉, 내측 절개부(24b)를 통해 천천히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피스톤로드에 가해지는 충격은 실린더 전방공간(10a)에 있는 에어에 의해서 점차적으로 충격이 완화되면서 서서히 작동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 실린더형 완충장치가 의료용 침대(1)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따르면, 실린더의 고정부(12)에 의해 실린더(10)는 침대의 측면 프레임(2)에 장착되며, 피스톤로드에 구비된 연결부(32)에는 테이블(40)의 양측 다리(42) 하부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에는 장방형 구멍(34)이 형성되어 회전하는 다리(42)와 연결된 커넥터(46)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테이블의 양측 다리가 회전축(44)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아래로 연결된 커넥터 하단부에는 핀(47)이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테이블의 회전은 다리를 통해 커넥터가 회동하게 되며 상기 커넥터에 끼워진 핀이 연결부의 장방형 구멍(34)으로 끼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장방형 구멍 내부에서 회동하는 핀은 피스톤 로드를 작동시키지 않게 되면서 테이블이 어느 정도의 각도까지는 움직일 때 완충장치(100)에 제동력을 받지 않고 쉽게 넘어가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어느 순간 즉, 프레임(2) 상면으로 테이블이 근접하게 될 때 제동력을 받게 되면서 완충작동이 시작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형 완충장치는 완충에 무관한 위치에서는 완충장치에 제한됨이 없이 쉽게 작동되지만, 충격지점 근처에서는 속도가 크게 줄게 되면서 충격을 완벽하게 흡수시키게 되는 것으로, 사용이 편리하며, 간단한 구조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실린더형 완충장치에 있어서,
    캡에 의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캡에 관통되어 실린더 내부를 직선적으로 이동하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피스톤로드에 장착되어 실린더 내부를 직선이동하며, 외측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작동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에는 작동홈 보다 폭이 좁은 작동링(26)이 끼워져 전/후로 이동하게 조립되며, 외측둘레를 따라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요입홈(22)이 전방에서부터 작동홈(25)의 일부까지 형성된 피스톤(20)과;
    상기 작동홈의 후방에는 테두리부(23)에 형성된 외측절개부(24a)와, 상기 외측절개부와 연결되면서 작동홈 일부까지 연결되는 내측절개부(24b)로 구성되는 미세홈(24)과;
    상기 실린더는 의료용 침대의 프레임(2)에 부착되고, 피스톤로드의 외측 끝에는 장방형 구멍(34)이 형성된 연결부(32)가 구비되며;
    상기 장방형 구멍(34)에는 회동하는 테이블의 다리(42)와 연결된 커넥터(46)에 고정된 핀(47)이 끼워져 조립됨에 따라 상기 테이블의 회동시 장방형 구멍(34) 내부를 이동시에는 완충장치에 의해서 제어되지 않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형 완충장치.
KR1020070051266A 2007-05-28 2007-05-28 실린더형 완충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66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266A KR100866468B1 (ko) 2007-05-28 2007-05-28 실린더형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1266A KR100866468B1 (ko) 2007-05-28 2007-05-28 실린더형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468B1 true KR100866468B1 (ko) 2008-10-31

Family

ID=4017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12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6468B1 (ko) 2007-05-28 2007-05-28 실린더형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4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45B1 (ko) 2008-12-29 2009-06-25 김주영 유압을 완충시키기 위한 댐퍼수단을 갖는 유체 제어용 매니폴드
KR101333321B1 (ko) 2011-11-04 2013-11-27 주식회사 썬 프레인 코 피스톤 감쇠판 설치 댐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9030A (ja) * 1996-03-29 1997-10-14 Showa:Kk 蓋体等の支持装置
JPH09310729A (ja) * 1996-05-23 1997-12-02 Unisia Jecs Corp ガススプリング
KR20010093000A (ko) * 2000-03-28 2001-10-27 밍 루 피스톤밸브구조가 변경된 가스스프링
KR200251954Y1 (ko) * 2001-07-31 2001-11-22 재 호 장 환자용 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9030A (ja) * 1996-03-29 1997-10-14 Showa:Kk 蓋体等の支持装置
JPH09310729A (ja) * 1996-05-23 1997-12-02 Unisia Jecs Corp ガススプリング
KR20010093000A (ko) * 2000-03-28 2001-10-27 밍 루 피스톤밸브구조가 변경된 가스스프링
KR200251954Y1 (ko) * 2001-07-31 2001-11-22 재 호 장 환자용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645B1 (ko) 2008-12-29 2009-06-25 김주영 유압을 완충시키기 위한 댐퍼수단을 갖는 유체 제어용 매니폴드
KR101333321B1 (ko) 2011-11-04 2013-11-27 주식회사 썬 프레인 코 피스톤 감쇠판 설치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5461B2 (ja) 家具ヒンジ
JP4135060B2 (ja) 家具可動部分用緩衝装置
RU2673995C2 (ru) Шарнир
MX2012011972A (es) Mecanismo de desaceleracion colocado en bisagra de muebles.
US20110283478A1 (en) Dampening device and system
KR20040089495A (ko) 나선-작용 댐퍼
ITBO20090609A1 (it) Combinazione di una cerniera per ante o sportelli e di un dispositivo ammortizzatore.
JP2000160926A (ja) 制動遅延装置
JP2014527584A (ja) 可動家具部分の制動装置
JP2012521500A (ja) 家具ヒンジ
KR100866467B1 (ko) 실린더형 완충장치
JP2019527786A (ja) ダンパ装置
BR112017012571B1 (pt) Dobradiça desacelerada para peças de mobília
KR100866468B1 (ko) 실린더형 완충장치
KR200437900Y1 (ko) 가구도어 충격 흡수 구조
JP2007303077A (ja) 折り戸の開閉装置
KR101233937B1 (ko) 가구용 경첩의 회동 감속장치
KR101753716B1 (ko) 영구자석을 이용한 도어 완충 장치
KR100652128B1 (ko) 가구용 도어의 닫힘 충격 완충 장치
JP2008156906A (ja) 折り戸開閉装置
KR101178316B1 (ko) 미닫이 문의 닫힘 충격 완충장치
CN101389881B (zh) 气动的阻尼器
KR101986716B1 (ko) 문 열림 완충장치
JP2007303184A (ja) 折り戸開閉装置
KR101267339B1 (ko) 세탁기 도어의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0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