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5253B1 -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5253B1
KR100865253B1 KR1020080050643A KR20080050643A KR100865253B1 KR 100865253 B1 KR100865253 B1 KR 100865253B1 KR 1020080050643 A KR1020080050643 A KR 1020080050643A KR 20080050643 A KR20080050643 A KR 20080050643A KR 100865253 B1 KR100865253 B1 KR 100865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itial
treatment tank
initial excellent
flow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철
김종규
원종석
정수일
김성환
김근수
Original Assignee
(자)한진개발공사
(주)한성개발공사
(주)한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동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한진개발공사, (주)한성개발공사, (주)한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동인 filed Critical (자)한진개발공사
Priority to KR102008005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52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5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5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3Downstream control, i.e. outlet monitoring, e.g. to check the treating agents, such as halogens or ozone, leaving the proc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ewa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로에서 유량조절조를 거쳐 초기우수 처리조로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양을 처리계획 이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무동력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조절하여 일정하게 유입되도록 하여 초기우수 처리조의 과부하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 부유성 협잡물이 처리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처리 효율이 저하되거나 역류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는 수로와 연통된 유입구를 통해 초기우수를 안내하여 전처리하는 유량 조절조와, 상기 유량조절조의 초기우수가 연통로를 통해 유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필터스크린에 의해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초기우수 처리조와, 상기 연통로 상에 초기우수 처리조에 유입되는 일정량 이상의 초기우수를 무동력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조절하여 일정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유량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는 중앙에 필터스크린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에서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상기 필터스크린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동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스크린의 유출측의 여과표면은 유입측보다 타공을 크게 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80050643
수로, 유량조절조, 초기우수 처리조, 정류관

Description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FIRST FLUSH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로에서 유량 조절조를 거쳐 초기우수 처리조로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양을 처리계획 이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무동력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조절하여 일정하게 유입되도록 하므로 초기우수 처리조의 과부하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 부유성 협잡물이 처리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처리 효율이 저하되거나 역류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염물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과 같이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원(點汚染源)으로부터 배출되는 점오염물질과 농경지, 목초지, 산림지, 건축현장, 광산, 벌채지, 폐기물처리장, 쓰레기매립장, 도심지, 도로 및 산업현장 등과 같이 배출지역이 광범위한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비점오염물질로 나눌 수 있다.
위와 같은 오염물 가운데 배출지점이 뚜렷하고 한정된 점오염물의 경우에는 가정이나 공장, 축산농가 등에 별도의 정화장치나 폐수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오염물질의 정화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비점오염물질의 경우에는 배출지역이 광범위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 지표면에 잔존해 있다가 초기 우수와 함께 하천 등의 공공수역이나 지하수로 유입되어 수질오염을 야기 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점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초기 우수를 정화하여 정화처리된 빗물만을 하천으로 유출되도록 하기 위한 정화시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관한 종래의 예로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등록번호 제0800559의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수로(1), 유량조절조(2) 및 초기우수 처리조(3)를 포함하며,
상기 수로(1)는, 우수가 하천으로 유도되는 통로이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변웨어(1a)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량조절조(2)는, 상기 수로(1)의 가변웨어(1a) 내측에 유입구(2a)로 연결되어 가변웨어(1a)에 의해 집수된 초기우수가 유도되어 저류 및 차집하는 공간이며, 비점오염물질이 포함된 초기우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안내되도록 유출구(2b)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2b)에는 일정량 이상의 초기우수가 공급되면 자동 차단되도 록 하는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2c)가 설치되어진 것이다.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3)는 수로와 연통된 우수 유도로를 통해 초기우수를 유도하고, 내부에 설치된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3a)에 의해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의 성상에 따라 처리가 가능하되, 상기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3a)은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내면과 외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외면 사이에는 충진물이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내면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져 초기우수의 흐름을 유도하며, 상기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3a)의 하부에는 침전물 적층부(3b)가 형성되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초기우수처리장치는, 수로(1)을 따라 유동되는 우수 중에서 비점오염물질이 많이 포함된 초기우수는 상기 수로(1)에 형성된 가변웨어(1a)에 집수되어 유입구(2a)를 통해 유량조절조(2)로 유입된다.
상기 유량조절조(2)로 유입된 초기우수는 다량의 토사를 포함하며, 상기 토사는 토사분리벽(2d)에 의해 유량조절조(2)의 일측 공간에 쌓이게 되고, 이를 준설용 배관(4)에 의해 상부에서 준설차로 주기적으로 준설한다.
상기 토사분리벽(2d)을 월류한 우수는 스크린(2e)에 의해 부유성 오염물이 제거되고, 부표식 자동 차단밸브(2c)를 통해 하수처리장으로 차집되어 초기우수에 포함된 고농도의 비점오염물질을 정화시키게 된다.
한편, 지속된 강우로 인해 유량이 증가하게 되면 부표식 자동차단밸브(2c)가 폐쇄되고 이에 따라 초기우수 처리조(3)로 저농도의 우수가 안내되는데 이때 우수는, 우수 유도로(3c)를 통해 와류를 형성하면서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3c) 내 부로 유입된다.
또한,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3c)은 내면과 외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부유물을 제외한 침전성 오염물질은 침전물 저장부(3b)로 침전되고, 이를 준설용 배관(4)에 의해 상부에서 준설차로 주기적으로 준설하게 되며, 상기 내면과 외면 사이에 설치된 충진물의 종류에 따라 용해성 또는 용존성 오염물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초기우수 처리조(3)에서 처리된 우수는 다시 수로(1)로 유동되어 하천으로 방류되는 것이다.
또한, 비가 그쳐 초기우수 처리조(3) 및 유량조절조(2)의 수위가 하강하게 되면 상기 유량조절조(2) 측에 설치된 부표식 자동차단밸브(2c)가 개방되면서 초기우수 처리조(3)의 내부의 침전성 오염물과 혼합된 우수를 유량조절조(2) 측으로 바이패스 시키도록 하여 초기우수 처리조(3)에 체류되는 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초기우수 처리조(3)에 유입되는 유량을 차단하거나 조절하지 못해 처리계획수량 이상으로 초기우수 처리조(3)로 우수가 유입되어 과부하현상에 의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없어 처리 효율이 저하되거나 역류현상이 일어나는 등 문제점이 있다.
즉, 하수와 오수가 각각의 관거로 유입되는 분류식 관거에서 고농도의 초기우수를 하수 처리장으로 배출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 초기우수 처리조(3)에 유입되는 초기우수를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되지 못한 것이다.
또한, 초기우수 처리조(3)의 내부에 설치된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3a)의 내부로 부유성 오염물질이 원심력에 의하여 스크린의 여과 면이 좁고 처리조의 구체 크기가 대형화되며, 폐색되는 시점이 빨리 도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기우수 처리조(3)에 유입유도로(3c)가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토목구조물이 커짐으로서, 초기우수 처리조(3)의 부피가 확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량조절조(2)의 내부의 스크린(2e)에 의해 차단된 협잡물 등을 처리하기 위하여 인력이나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게 됨으로,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수로에서 유량조절조를 거쳐 초기우수 처리조로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처리 계획수량 이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무동력자동으로 차단하거나 조절하여 일정하게 유입되도록 하므로 초기우수 처리조의 과부하 현상으로 인한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 부유성 협잡물이 처리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처리 효율이 저하되거나 역류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초기우수 처리조의 필터스크린 여과면이 넓게 되는 점과 이로 인한 구체의 크기가 소형화가 가능하며, 여과면의 폐색 시점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필터스크린의 유출측의 여과표면은 유입측보다 타공을 크게하여 여과된 유출수의 정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종래의 유입유도로를 삭제하여 초기우수 처리조의 부피를 축소시키도록 하는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량조절조의 내부에 정류관에 의해 부유성 협잡물이 처리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처리조 내부의 필트층 표면에 폐색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로와 연통된 유입구를 통해 초기우수를 안내하여 전처리하는 유량조절조와, 상기 유량조절조의 초기우수가 연통로를 통해 유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필터스크린에 의해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초기우수 처리조와, 상기 연통로 상에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에 유입되는 처리계획 수량 이상의 초기우수를 차단하거나 일정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유량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는 중앙에 필터스크린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에서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상기 필터스크린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동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스크린의 유출측의 여과표면은 유입측보다 타공을 크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부표식 자동차단밸브로 이루어진 것이다.
삭제
또한,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의 구체 내 벽면에는 가변배플을 설치하여 초기 우수에 포함된 무거운 이물질이나 다소 큰 부피의 이물질이 부딛쳐 급속히 침강되도록 하여 재 부상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변배플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천공시켜 가변배플 뒷면에서 발생되는 와류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조로 유입된 우수는 조절조 하부에 토사방지턱이 구성되어 토사유입이 차단되고, 우수에 포함된 오일은 정류관 상부에 형성된 오일제거부에 의해 흡착되고, 부유성 협잡물은 정류관에 의해 처리조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량조절조 상측으로 상승됨으로서, 유량조절수단을 통해서는 우수만이 초기우수 처리조로 유동되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유량조절조에서 부유성 협잡물은 정류관에 의해 유량조절조 상측으로 상승됨으로서 처리조로 유입되지 못하며, 유량조절조를 거쳐 초기우수 처리조로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처리계획수량 이상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무동력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초기우수 처리조의 전단에 유량조절수단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서, 처리계획 수량을 일정하게 유입하거나 조절하므로 초기우수 처리조의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초기우수 처리조에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필터스크린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동되도록 하고, 초기우수 처리조의 구체 내 벽면에 가변배플을 설치하여 침전성 오염물질이나 다소 큰 부피의 이물질이 급속히 침강하도록 하여 재 부상을 방지하며, 초기우수 처리조의 필터스크린 여과면을 넓게 활용하여 폐색시점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필터스크린의 유출측의 여과표면은 유입측보다 타공을 크게하여 여과된 유출수의 정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종래의 유입유도로를 삭제하여 초기우수 처리조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제1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는 유량조절조(100) 및 초기우수 처리조(200)를 포함한다.
상기 유량조절조(100)는, 수로(미도시)와 연통된 유입구(110)를 통해 초기우수를 안내하여 저류 및 차집하는 공간이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수단(300)의 전방에는 정류관(130)을 형성하고, 상기 정류관(130)의 상단에는 오일을 제거하는 오일제거부(131)가 형성하며, 상기 정류관(130)의 하부 벽체에서 돌출된 토사방지턱(120)이 형성되어진 것이다.
즉, 유량조절조(100)으로 유입된 우수는 토사방지턱(120)에 의해 토사가 차단되고, 우수에 포함된 오일은 정류관(130) 상부의 오일제거부(131)에 의해 흡착되고, 부유성 협잡물은 정류관(130)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량조절조(100) 상측으로 상승됨으로서, 유량조절수단(300)을 통해서는 우수만이 초기우수 처리조(200)로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200)는, 상기 유량조절조(100)의 초기우수가 연통로(210)를 통해 유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필터스크린(220)에 의해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통로(210) 상에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200)에 유입되는 처리 계획 수량 이상의 초기우수를 차단하거나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할 수 있는 유량조절수단(300)을 설치하여 초기우수 처리조(200)의 처리용량을 만족시켜 처리효율을 지속시키며, 강우 증가시 처리조의 역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또한 필터스크린(220)의 유출측의 여과표면은 유입측보다 타공을 크게하여 여과된 유출수의 정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200)의 설치된 필터스크린(220) 여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수단(300)은 부표식 자동차단밸브(310)로 이루어진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부표식 자동차단밸브(310)는, 특허등록번호 제0618594호 등에 개시된 것으로, 이는 부구(311)에 의해 디스크(312)를 개폐하게 되는 것으로 처리계획 수량의 초기우수는 초기우수 처리조로 이송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우수량이 증가하게 되면 부구(311)가 부상하면서 디스크(312)를 폐쇄 시키거나 일정위치에 고정 시킴으로서,초기우수 처리조(200)의 유입부를 차단하거나 초기우수가 초기우수 처리조(200)로 처리계획 수량 이상의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유량조절수단(300)은 부표식 자동차단밸브(310)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부표를 이용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것은 모든것이 가능하며, 수문, 밸브등도 본 발명의 여건에 맞게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200)는 중앙에 필터스크린(220)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210)에서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상기 필터스크린(220)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동되도록 하여 종래와 같이 처리조 상부에 형성된 유입유도로를 삭제할 수 있어 토목구조물이 축소될 수 있으며, 또한 필터스크린의 유출측의 여과표면은 유입측보다 타공을 크게하여 여과된 유출수의 정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초기우수 처리조(200)의 구체 내 벽면을 따라 부유성 오염물질이 선회되므로 종래에 비해 필터스크린(220)의 폐색을 최소화 시키거나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200)의 구체 내 벽면에는 가변배플(230)을 설치하여 초기우수에 포함된 무거운 이물질이나 큰 부피의 이물질이 부딛쳐 급속히 침강되도록 함으로서, 침강된 오염물질이 재 부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초기우수의 선회 유속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변배플(230)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231)을 천공시키도록 하여 초기우수가 가해지는 저항과 와류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초기우수 처리조(200)의 벽면에 앵커볼트 등으로 고정시키게 되고, 처리조 유입부 위치에 따라 조절하여 설치하며, 결합면 상에 결합공(232)을 장공형태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수 선회 위치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조절수단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200)의 필터스크린(220)의 상부에는 오일제거망(240)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부로 부상되는 오일을 흡수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하수와 오수가 분류되어 차집되는 분류식 하수관거나, 합류식관거의 월류수 를 처리하는 곳에 설치되는 것으로, 수로를 따라 유동되는 우수 중에서 비점오염물질이 많이 포함된 초기우수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로에 형성된 가변웨어에 집수되어 유입구(110)를 통해 유량조절조(100)로 유입된다.
상기 유량조절조(100)로 유입된 초기우수는 다량의 토사, 오일 및 부유성 협잡물을 포함하며, 상기 토사는 토사방지턱(120)에 의해 차단되고, 우수에 포함된 오일은 정류관 상부의 오일제거부(131)에 의해 흡착되고, 부유성 협잡물은 정류관(130)에 의해 유량조절수단(300)로 유입되지 못하고, 유량조절조(100) 상측으로 상승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토사방지턱(120)에 의해 차단된 토사는 준설용 배관(400)에 의해 상부에서 준설차로 주기적으로 준설한다.
그리고, 유량조절조(100)의 유량조절수단(300)을 통과한 초기우수는 연통로(210)를 통해 초기우수 처리조(20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때 초기우수는 연통로(210)를 통해 초기우수 처리조(200)의 구체 내벽면을 따라 선회되며,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200)의 구체 내벽면에 설치된 가변배플(230)에 의해 침전성 오염물질이나 큰부피의 오염물질을 하부로 급속히 침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변배플(230)에 형성된 관통공(231)을 통해 초기우수가 유동되도록 하여 저항력과 와류현상을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지속된 강우로 인해 유량이 증가하게 되면 유량조절수단(300)인 부표식 자동차단밸브(310)가 작동되어 초기우수 처리조(200) 내부로 초기우수 유입이 조절되거나 차단되고, 처리계획 수량 이상의 우수는 수로를 통해 곧바로 바다나 하천 등으로 방류하게 된다.
이는 초기우수 처리조(200)의 처리계획 수량을 초과하여 유입되는 우수를 조절하거나 차단하여 초기우수 처리조(200) 내부의 필터스크린(220)을 보호하고, 처리효율을 지속시키며, 필터스크린(220)의 유출측의 여과표면은 유입측보다 타공을 크게하여 여과된 유출수의 정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처리조내부의 역류현상을 방지하여 필터스크린(220) 여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에 평면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초기우수 처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 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 장치에 설치된 유량조절수단의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 장치에 설치된 가변배플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 감장치에 설치된 가변배플을 나타낸 정면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유량조절조 110: 유입구
120: 토사방지턱 130: 정류관
131: 오일제거부 200: 초기우수 처리조
210: 연통로 220: 필터스크린
230: 가변배플 231: 관통공
300: 유량조절수단 310: 부표식 자동차단밸브
311: 부구 312: 디스크

Claims (6)

  1. 수로와 연통된 유입구를 통해 초기우수를 안내하여 전처리하는 유량조절조 와, 상기 유량조절조의 초기우수가 연통로를 통해 유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필터스크린에 의해 초기우수에 포함된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는 초기우수 처리조와, 상기 연통로 상에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에 유입되는 처리계획 수량 이상의 초기우수를 차단하거나 일정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유량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는 중앙에 필터스크린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로에서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상기 필터스크린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동되도록 하며, 상기 필터스크린의 유출측의 여과표면은 유입측보다 타공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초기우수 비점오염 저감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수단은 부표식 자동차단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3. 삭제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우수 처리조의 구체 내 벽면에는 가변배플을 설치하여 초기우수에 포함된 침전성 오염물질이나 큰부피의 이물질이 부딛쳐 급속히 침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5. 청구항 4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배플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을 천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6.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절수단의 전방에는 정류관을 형성하고, 상기 정류관의 상단에는 오일을 제거하는 오일제거부가 형성하며, 상기 정류관의 하부에서 유량조절수단으로 초기우수가 유동되도록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0080050643A 2008-05-30 2008-05-30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865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643A KR100865253B1 (ko) 2008-05-30 2008-05-30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643A KR100865253B1 (ko) 2008-05-30 2008-05-30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5253B1 true KR100865253B1 (ko) 2008-10-24

Family

ID=40177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643A KR100865253B1 (ko) 2008-05-30 2008-05-30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5253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54B1 (ko) 2008-12-04 2009-05-28 (주)한솔환경건설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000026B1 (ko) * 2010-05-20 2010-12-09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자동 유량 조절 장치
KR101053674B1 (ko) * 2010-09-29 2011-08-08 송원숙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51422B1 (ko) 2012-03-23 2012-05-30 주식회사 코로스 우수 처리 장치
KR101263631B1 (ko) 2012-12-21 2013-05-10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유지관리가 용이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305207B1 (ko) * 2013-06-12 2013-09-12 (주)나래엔지니어링 비점오염원저감장치
KR101317474B1 (ko) * 2013-05-27 2013-10-11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1343859B1 (ko) * 2013-04-04 2013-12-20 주식회사 동인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968568B1 (ko) 2018-09-10 2019-04-12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
KR102240856B1 (ko) 2021-03-10 2021-04-14 이미경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151B1 (ko) * 2006-03-16 2006-09-27 최원영 초기우수 다중여과시설
KR100684923B1 (ko) * 2006-09-18 2007-02-22 주식회사 가림환경기술 하수용 우수토실
KR100786511B1 (ko) * 2007-05-09 2007-12-17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탄화물을 이용한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800559B1 (ko) * 2007-10-25 2008-02-04 주식회사 동인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151B1 (ko) * 2006-03-16 2006-09-27 최원영 초기우수 다중여과시설
KR100684923B1 (ko) * 2006-09-18 2007-02-22 주식회사 가림환경기술 하수용 우수토실
KR100786511B1 (ko) * 2007-05-09 2007-12-17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탄화물을 이용한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0800559B1 (ko) * 2007-10-25 2008-02-04 주식회사 동인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054B1 (ko) 2008-12-04 2009-05-28 (주)한솔환경건설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000026B1 (ko) * 2010-05-20 2010-12-09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자동 유량 조절 장치
KR101053674B1 (ko) * 2010-09-29 2011-08-08 송원숙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151422B1 (ko) 2012-03-23 2012-05-30 주식회사 코로스 우수 처리 장치
KR101263631B1 (ko) 2012-12-21 2013-05-10 코리아이엔티 주식회사 유지관리가 용이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343859B1 (ko) * 2013-04-04 2013-12-20 주식회사 동인 비점오염 저감 장치
KR101317474B1 (ko) * 2013-05-27 2013-10-11 주식회사 엔포텍디에스 비점오염처리장치
KR101305207B1 (ko) * 2013-06-12 2013-09-12 (주)나래엔지니어링 비점오염원저감장치
KR101968568B1 (ko) 2018-09-10 2019-04-12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비점오염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빗물받이 결합형 우수처리장치
KR102240856B1 (ko) 2021-03-10 2021-04-14 이미경 비점오염물 저감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253B1 (ko) 무동력자동으로 유량조절이 가능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US11260321B2 (en) Partitioned water treatment systems with vertical filtration units
US7638065B2 (en)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800559B1 (ko) 카트리지 나선형 스크린을 포함하는 초기우수처리장치
US6638424B2 (en) Storm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332781B1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003477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0437075B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방법 및 장치
KR101067699B1 (ko) 와류와 여과기능을 이용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804805B1 (ko) 무잔수(無殘水)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005589B1 (ko) 하천의 법면에 설치되는 친환경 초기우수처리 시스템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20050112624A (ko) 우수처리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1264381B1 (ko) 편심 유입량조절부를 갖는 비점오염 저감장치
KR200287647Y1 (ko) 저류지를 이용한 빗물 정화장치
KR101912323B1 (ko) 침전 및 여과에 의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1403882B1 (ko)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KR102095891B1 (ko) 입상 여재를 이용한 하향 여과방식의 비점오염저감장치
KR101481449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681265B1 (ko) 하수처리장치
CN110499812B (zh) 一种环保型路面水与坡面水收集排放系统
Field et al. Vortex separation technology
KR100427461B1 (ko) 여과와 중력을 이용한 월류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0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