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5215B1 - Rocking-type exercise device - Google Patents
Rocking-type exercise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5215B1 KR100865215B1 KR1020077009067A KR20077009067A KR100865215B1 KR 100865215 B1 KR100865215 B1 KR 100865215B1 KR 1020077009067 A KR1020077009067 A KR 1020077009067A KR 20077009067 A KR20077009067 A KR 20077009067A KR 100865215 B1 KR100865215 B1 KR 1008652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onal
- movement
- reciprocating
- drive source
- rear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8035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930 Low Back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3/00—Cradle swings; Rocking-horses; Like devices resting on the ground
- A63G13/06—Rocking-hor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이 요동형 운동장치(1)는 모터(10a, 10b)와, 이 모터(10a, 10b)의 출력 회전축(12a, 12b)의 회전력을,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의 요동운동으로 변환하는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이 구동 장치는, 베이스(8) 상에 설치된 가동 받침대(6)를, 전후 방향으로 경사시킨 전후 경사축(9) 둘레로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수단과, 좌석(2)에 고정된 대좌(4)를, 연결 링크(5a, 5b)를 통해 가동 받침대(6)에 설치된 좌우축(7a, 7b) 둘레로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과, 모터(10a)의 출력 회전축(12a)의 회전운동을, 제2 지지수단을 통해 대좌(4)의 전후방향의 왕복 직선 이동 및 좌우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으로 변환하는 제1 구동부(13a)와, 모터(10b)의 출력 회전축(12b)의 회전운동을, 제1 지지수단을 통해 대좌(4)의 전후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 및 상하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으로 변환하는 제2 구동부(13b)를 구비하고 있다.
This rocking type exercising apparatus 1 includes a drive device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s 10a and 10b and the output rotation shafts 12a and 12b of the motors 10a and 10b into rocking motion of the seat where the user is seated. The drive device includes: first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movable pedestal 6 provided on the base 8 so as to allow rotational reciprocating movement about the front and rear inclination shafts 9 incl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 seat; Second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base (4) fixed to (2) to enable rotational reciprocating movement around the left and right shafts (7a, 7b) provided on the movable pedestal (6) via connecting links (5a, 5b); The first drive unit 13a convert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put rotating shaft 12a of the motor 10a into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pedestal 4 and rotational reciprocating movement around the left and right shafts through the second supporting means. And rotational reciprocation of the output rotation shaft 12b of the motor 10b about the front and rear axes of the pedestal 4 via the first supporting means, and And a second drive unit (13b) for converting a rotational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ower shaft circumferen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좌석에 사용자를 착석시킨 상태로 그 좌석을 요동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운동 부하를 부여하는 요동형 운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cking type exercise device that gives an exercise load to the user by rocking the seat with the user seated on the seat.
좌석에 사용자를 착석시킨 상태로 그 좌석을 요동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운동 부하를 부여하는 요동형 운동 장치는, 아이로부터 노인까지 이용 가능한 간편한 운동 기구로서, 당초의 스포츠 클럽으로부터, 일반 가정으로 보급해 오고 있다. 그러한 요동형 운동 장치의 전형적인 종래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2가 공지이다.The rocking type exercise device which gives an exercise load to the user by rocking the seat while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is a simple exercise device that can be used from a child to the elderly, and is supplied from an original sports club to a general home. Is coming. As a typical prior art of such a rocking | movement type | mold exercise apparatus,
이 중 특허 문헌 1의 기술은, 6축 패러렐 메커니즘 등을 이용하여, 일련의 요동 패턴을 실현하도록 한 요통 예방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que of
또, 특허 문헌 2의 기술은, 좌석의 전후방향의 왕복 직진 이동, 전후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 좌우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의 3동작을 컴팩트한 구동장치로 실현하도록 한 밸런스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over, the technique of
그러나,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6개의 구동원을 구비함과 아울러, 각 구동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각 구동원의 동작 타이밍, 속도, 동작 범위 등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게 되어, 매우 복잡한 제어가 필요하다. 또, 6개의 구동원 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대형화하기 쉽고, 또한 고비용이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technique of
또, 특허 문헌 2의 기술에서는, 좌석의 전후방향의 왕복 직진 이동, 전후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 및 좌우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의 3동작이므로, 동작이 단조롭게 되어, 보다 큰 피트니스 효과를 얻기 위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단련하는 신체의 부위는 다르지만, 특허 문헌 2의 기술에서는, 신체의 부위별로 단련할 수가 없었다.In addition, in the technique of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이며 염가의 것이면서, 동작을 복잡화하고, 또한 신체의 부위별로 단련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큰 피트니스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요동형 운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cking type exercise device which is compact and inexpensive, which can complicate the operation and can be trained for each part of the body, thereby obtaining a greater fitness effect.
특허 문헌 1:일본국특허공개평6-65350호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6-65350
특허 문헌 2:일본국특허공개2004-216072호공보 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216072
본 발명은 구동원과, 이 구동원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력을,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의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요동 기구를 구비한 요동형 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으로서 제1 구동원과 제2 구동원을 가지며, 상기 요동 기구는, 베이스 상에 설치된 가동 받침대를, 전후방향으로 경사시킨 전후 경사축 둘레로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와, 좌석에 고정된 대좌(臺座)를, 연결 링크를 통해 상기 가동 받침대에 설치된 좌우축 둘레로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과, 상기 제1 구동원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2 지지수단을 통해 대좌의 전후방향의 왕복 직선 이동 및 좌우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으로 변환하는 제1 변환수단과, 상기 제2 구동원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 지지수단을 통해 대좌의 전후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 및 상하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oscillation type exercise device comprising a driving source and a swinging mechanism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utput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source into the swinging motion of a seat seated by a user, wherein the driving source has a first driving source and a second driving source. The rocking mechanism connects a firs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reciprocating rotational circumference around a front and rear inclination shaft inclined in a front-rear direction, and a pedestal fixed to a seat. Second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rotational reciprocating movement around the left and right shafts installed on the movable pedestal through a link,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put rotation shaft of the first drive source, through the second support means The first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and the rotational reciprocating movement around the left and right axes,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put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drive source. That one through a second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edestal and the rotary reciprocating motion in the vertical axis is characteriz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요동형 운동 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e oscillation type exercise apparatus which concerns on
도 2는 도 1의 구동부를 확대한 측면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driving unit of FIG. 1. FIG.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of FIG. 2.
도 4는 도 2의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FIG. 2.
도 5는 제어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a control system.
도 6은 선택 가능한 제1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selectable first mode.
도 7은 선택 가능한 제2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lectable second mode.
도 8은 선택 가능한 제3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selectable third mode.
도 9는 선택 가능한 제4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electable fourth mode.
도 10은 선택 가능한 제5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fifth mode selectable.
도 11은 선택 가능한 제6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sixth mode selectable.
도 12는 선택 가능한 제7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illustrating a seventh selectable mode.
도 13은 선택 가능한 제8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lectable eighth mode. FIG.
본 발명은 구동원과, 이 구동원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력을,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의 요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요동 기구를 구비한 요동형 운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으로서 제1 구동원과 제2 구동원을 가지며, 상기 요동 기구는, 베이스 상에 설치된 가동 받침대를, 전후방향으로 경사시킨 전후 경사축 둘레로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와, 좌석에 고정된 대좌(臺座)를, 연결 링크를 통해 상기 가동 받침대에 설치된 좌우축 둘레로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지지수단과, 상기 제1 구동원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2 지지수단을 통해 대좌의 전후방향의 왕복 직선 이동 및 좌우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으로 변환하는 제1 변환수단과, 상기 제2 구동원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운동을, 상기 제1 지지수단을 통해 대좌의 전후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 및 상하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으로 변환하는 제2 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oscillation type exercise device comprising a driving source and a swinging mechanism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utput rotation shaft of the driving source into the swinging motion of a seat seated by a user, wherein the driving source has a first driving source and a second driving source. The rocking mechanism connects a firs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a reciprocating rotational circumference around a front and rear inclination shaft inclined in a front-rear direction, and a pedestal fixed to a seat. Second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rotational reciprocating movement around the left and right shafts installed on the movable pedestal through a link,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put rotation shaft of the first drive source, through the second support means The first converting means for converting the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and the rotational reciprocating movement around the left and right axes,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put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drive source. That one through a second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reciprocating movement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edestal and the rotary reciprocating motion in the vertical axis is characterized.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지지수단에 의해, 베이스 상에 설치된 가동 받침대가, 전후방향으로 경사시킨 전후 경사축 둘레로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지지수단에 의해, 좌석에 고정된 대좌가, 연결 링크를 통해 상기 가동 받침대에 설치된 좌우축 둘레로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제1 변환수단에 의해, 제1 구동원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운동이, 상기 제2 지지수단을 통해 대좌의 전후방향의 왕복 직선 이동 및 좌우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으로 변환되고, 제2 변환수단에 의해, 제2 구동원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운동이, 상기 제1 지지수단을 통해 대좌의 전후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 및 상하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종래의 3동작에 1동작을 더한 4동작이 가능해져, 운동이 복잡화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마다 단련하는 부위의 선택이 가능해지므로, 종래보다 큰 피트니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support base provided on the base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ing means so as to enable rotational reciprocating movement around the front and rear inclination shafts incl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seat by the second supporting means. The pedestal is rotatably supported around the left and right shafts provided in the movable pedestal via connecting links. Then, by the first converting mean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put rotation shaft of the first drive source is converted into the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pedestal and the rotational reciprocation movement around the left and right shafts via the second supporting means, and the second transformation is performed. By mean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output rotary shaft of the second drive source is converted into the rotary reciprocating movement around the front and rear axes of the pedestal and the rotary reciprocating movement around the vertical axis via the first supporting means.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ur operations in which one operation is added to the conventional three operations described in
상기 제1 변환수단은, 상기 제1 구동원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기 가동 받침대 상의 제1 좌우축과, 기단측이 상기 제1 좌우축의 단부에 편심하여 연결됨과 동시에, 선단측이 상기 연결 링크의 중간부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크랭크 암을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The first conversion means is connected to the first left and right shafts on the movable pedestal, the proximal end of which is eccentrically connected to an end of the first left and right shafts, which are driven to rotate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utput rotation shaft of the first drive source, and the front end side. It is good also as what has a crank arm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part of this said connection link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상기 제2 변환수단은, 상기 제2 구동원의 출력 회전축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기 가동 받침대 상의 제2 좌우축과, 기단측이 상기 베이스 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선단측이 상기 제2 좌우축의 단부에 편심하여 연결되어 있는 편심 로드를 갖는 것으로 해도 된다.The second converting means is rotatably driven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utput rotation shaft of the second drive source, and the proximal side is rotatably supported on the base while the proximal side is supported on the base. It is good also as what has an eccentric rod connected to the edge part of a 2nd left-right axis eccentrically.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조작 수단과, 이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구동원과 제2 구동원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으로 해도 된다.It may be provided with operation means which a user can operate, and the control means which controls each operation of the said 1st drive source and a 2nd drive source according to this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요동형 운동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요동형 운동 장치(1)는 말의 등이나 안장을 본뜬 형상으로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2)과, 이 좌석(2) 내에 설치되어, 좌석(2)을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인 구동장치(3)와, 좌석(2)의 후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기구(50)와, 좌석(2) 및 구동장치(3)를 지지하는 다리부(60)와, 덮개(80)와, 컨트롤러(100)와, 선 택 스위치(101)를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FIG. 1: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whole structure of the oscillation type |
도 2는 요동형 운동 장치(1)의 구동장치(3)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그 평면도이며, 도 4는 그 정면도이다. 도 2~도 4에 있어서, 상기 좌석(2)이 설치되는 대좌(4)는 연결 링크(5a, 5b)를 통해 가동 받침대(6)에 전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제2 지지수단에 상당한다), 가동 받침대(6)는 뒤로 기울도록 경사져 있는 베이스(8)에 좌우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제1 지지수단에 상당한다)과 동시에, 대좌(4)와 가동 받침대(6)와의 사이에는 구동부(13)가 수납되어 있다. 연결 링크(5a, 5b) 중, 5a는 대좌(4)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전 링크이며, 5b는 대좌(4)의 폭 중앙에 설치된 후 링크이다. 전 링크(5a)의 상단부는, 대좌(4)의 전단부에 설치한 상축핀(4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전 링크(5a)의 하단부는 가동 받침대(6)의 측판(16)의 전단부에 설치한 하축핀(7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 후 링크(5b)의 상단부는 대좌(4)의 후단부에 설치한 상축핀(4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후 링크(5b)의 하단부는 가동 받침대(6)의 측판(16)의 후단부에 설치한 하축핀(7b)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전후의 각 하축핀(7a, 7b)은 연결 링크(5a, 5b)를 좌우 방향(Y)의 축선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우축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좌(4)는 좌우축(7a, 7b) 둘레로 도 2의 화살표 M으로 나타내는 전후방향으로 왕복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FIG. 2 is an enlarged side view showing the drive device 3 of the
베이스(8)의 양단부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지판(24)이 세워지고, 가동 받침대(6)의 양단부에는 축지판(24)과 대향하는 연결판(25)이 각각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축지판(24)에 대해서 연결판(25)이 베이스(8)와 평행이 되도록 경사한 전후 경사축(9)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후 경사축(9)은 베이스(8)의 중앙부의 전후 2개소에 배치되어 가동 받침대(6)를 전후 경사축(9)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대좌(4)는 전후 경사축(9) 둘레로 도 4의 화살표 N으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으로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도 3의 화살표 P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으로도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해지고 있다.As shown in FIG.2 and FIG.4, the bearing
한편, 구동부(13)는 2대의 모터(제1, 제2 구동원에 상당한다)(10a, 10b)와, 모터(10a)의 출력 회전축(12a)의 회전력을 대좌(4)의 전후방향(X)의 왕복 직진 이동, 좌우축(7a, 7b)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 가상의 전후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 및 가상의 상하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으로 각각 변환하여, 이들 4동작을 조합하여 좌석(2)을 구동 가능하게 하는 2개의 구동부(13a, 13b)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의 모터(10a, 10b)는 베이스(8) 상의 가동 받침대(6) 내에 세워 두고, 그들 출력 회전축(12a, 12b)의 돌출 방향은 모두 위를 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제1 구동부(13a)는, 전후방향(X)의 왕복 직진 이동 및 좌우축(7a, 7b)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용이며(제1 변환수단에 상당한다), 제2 구동부(13b)는, 전후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용 및 상하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용이다(제2 변환수단에 상당한다). 제1 구동부(13a)는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 회전축(12a)에 모터 기어(11a) 및 제1 기어(14)를 통해 연결되는 제1 샤프트(제1 좌우 축에 상당한다)(17)와, 제1 샤프트(17)의 단부에 편심하여 연결되는 편심 크랭 크(19)와, 일단부가 편심 크랭크(19)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전 링크(5a)에 설치한 축핀(5c)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암 링크(20)로 이루어진다. 제1 샤프트(17)의 양단부는 가동 받침대(6)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편심 크랭크(19)가 제1 샤프트(17)에 대해서 편심 원운동을 행함으로써, 암 링크(20)를 통해 전 링크(5a)가 전후방향(X)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로 인해 연결 링크(5)에 연결되어 있는 대좌(4), 즉 좌석(2)이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M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편심 크랭크(19)와 암 링크(20)로 크랭크 암이 구성된다. The
또, 제2 구동부(13b)는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 회전축(12b)에 모터 기어(11b) 및 제2 기어(15)를 통해 연결된 제2 샤프트(제2 좌우축에 상당한다)(18)와, 일단부가 제2 샤프트(18)의 단부에 편심하여 연결되고, 타단부가 베이스(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편심 로드(2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2 샤프트(18)의 양단부는 가동 받침대(6)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편심 로드(21)는 가동 받침대(6)의 좌측 혹은 우측의 어느 한쪽에 배치된다(도 3 및 도 4에서는 우측). 이 편심 로드(21)의 상단부(21a)가 도 4에 나타내는 축핀(29)에 의해 제2 샤프트(18)의 단부에 대해서 편심하여 연결되고, 편심 로드(21)의 하단부(21b)는 베이스(8)에 고정한 L형 연결 금구(金具))(27)에 대해서 축핀(28)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샤프트(18)의 회전에 의해, 편심 로드(21)의 상단부가 편심 원운동을 행함으로써, 대좌(4), 즉 좌석(2)이 도 4의 화살표 N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하며, 또한, 도 3의 화살표 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축 둘레로도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해 지고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3 and FIG.4, the
그리고, 모터(10a, 10b)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구동계를 통해 승마의 보통 걸음, 빠른 걸음 등을 본뜬 복수의 운동 모드(후술)를 실현할 수 있다. 도 5는 요동형 운동 장치(1)의 상기 구동계에 제어계를 포함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 제어계는, 각종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제어 수단에 상당한다)(100)에, 선택 스위치(조작 수단에 상당한다)(101), 메모리(102), 드라이버(103a, 103b), 센서(104a, 104b), 승강기구(50)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이루어져 있다. 선택 스위치(101)는 운동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선택을 행하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취급하기 쉽도록,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2)의 전측에 설치하고 있다. 메모리(102)는, 각 운동 모드에 따른 모터(10a, 10b)의 동작 타이밍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드라이버(103a, 103b)는, 컨트롤러(100)로부터의 지령 신호를 받아, 모터(10a, 10b)의 시동 정지 및 회전중의 속도 조정을 행하는 것이다. 센서(104a, 104b)는, 제1 샤프트(17)와 제2 샤프트(18)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들 센서(104a, 104b)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인코더를 이용하여 양 샤프트(17, 18)에 대해서 비접촉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승강기구(50)는 필요에 따라서 각 운동 모드와 조합한 승강 동작을 행한다.Then,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s of the
이하, 요동형 운동 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선택 스위치(101)가 압압되면, 컨트롤러(100)는 메모리(102)에 미리 기억된 각 모드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1개의 모드를 읽어내고, 그 모드에 따른 지 령 신호를 드라이버(103a, 103b)에 나타낸다. 그리고, 드라이버(103a)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모터(10a)의 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출력 회전축(12a)이 회전하면, 모터 기어(11a)와 제1 기어(14)와의 맞물림에 의해 제1 샤프트(17)가 회전한다. 제1 샤프트(17)의 회전속도는 센서(104a)로 검출되어, 컨트롤러(100)에 피드백된다.When the
또, 드라이버(103b)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모터(10b)의 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출력 회전축(12b)이 회전하면, 모터 기어(11b)와 제2 기어(15)와의 맞물림에 의해 제2 샤프트(18)가 회전한다. 제2 샤프트(18)의 회전 속도는 센서(104b)로 검출되어, 컨트롤러(100)에 피드백된다. 이로 인해, 각 운동 모드에 따른 모터(10a, 10b)의 각 동작에 대해 안정된 제어가 이루어진다.Moreover, when the
그리고, 제1 샤프트(17)가 회전하면 그 제1 샤프트(17)의 단부에 연결된 편심 크랭크(19)가 편심 원운동을 행하고, 암 링크(20)를 통해 전 링크(5a)가 전측의 좌우축(7a)을 중심으로 전후방향(X)으로 회동한다. 이때 후 링크(5b)가 협동하여 후측의 좌우축(7b) 둘레로 회동함으로써, 대좌(4), 즉 좌석(2)은 전후방향(X)으로 왕복 이동 및 요동한다. 한편, 제2 샤프트(18)의 회전에 의해, 편심 로드(21)의 상단부가 편심 원운동을 행하고, 대좌(4), 즉 좌석(2)은 전후축(9) 둘레로 회전 왕복 이동한다. And when the
이하, 도 6~도 13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각 운동 모드의 예(제1~제8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의 (a)는 전후방향의 왕복 직진 이동, (b)는 전후(X)축 둘레의 (좌우)회전 왕복이동, (c)는 (a)(b)의 조합운동을 나타내고 있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6-13, the example (1st-8th mode) of each exercise mode which a user can select is demonstrated. In addition, in each figure, (a) shows the reciprocating linear movement of the front-back direction, (b) shows the (left-right) rotational reciprocation movement around the front-back (X) axis, and (c) shows the combined motion of (a) (b) .
우선 제1 모드로서, 도 6(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직진을 좌우 회전의 2배의 주파수로 하고, 위상차를 0으로 했을 때에는,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 모양의 운동을 얻을 수 있다. 이때에는, 컨트롤러(100)는 모터(10a)의 회전수를, 모터(10b)의 회전수의 2배로 하여, 양 모터(10a, 10b) 사이에서 시간차를 주는 일 없이 동작시킨다.First, as the first mode, as shown in Fig. 6 (a) and (b), when the front and rear straight line is set to twice the frequency of left and right rotation and the phase difference is 0, as shown in (c),? Can get exercise. At this time, the
제2 모드로서, 도 7(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직진을 좌우 회전의 2배의 주파수로 하고, 위상차를 -(1/2)T로 했을 때에는,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V자 모양의 운동을 얻을 수 있다. 이때에는, 컨트롤러(100)는 모터(10a)의 회전수를, 모터(10b)의 회전수의 2배로 하여, 양 모터(10a, 10b) 사이에서 시간차 -(1/2)T를 주어 동작시킨다.As a second mode, as shown in Fig. 7 (a) (b), when the front and rear straight line is set to twice the frequency of left and right rotation and the phase difference is-(1/2) T, it is shown in (c). Likewise, you can get a V-shaped exercise. At this time, the
제3 모드로서, 도 8(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직진을 좌우 회전의 4배의 주파수로 하고, 위상차를 0으로 했을 때에는,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 모양의 운동을 얻을 수 있다. 이때에는, 컨트롤러(100)는, 모터(10a)의 회전수를, 모터(10b)의 회전수의 4배로 하여, 양 모터(10a, 10b) 사이에서 시간차를 주는 일 없이 동작시킨다. As a third mode, as shown in Fig. 8 (a) and (b), when the front and rear straight line is set to four times the frequency of left and right rotation and the phase difference is 0, as shown in (c),? Can get exercise. At this time, the
제4 모드로서, 도 9(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직진을 좌우 회전의 1/2배의 주파수로 하고, 위상차를 0으로 했을 때에는,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8자 모양의 운동을 얻을 수 있다. 이때에는, 컨트롤러(100)는 모터(10a)의 회전수를, 모터(10b)의 회전수의 1/2배로 하여, 양 모터(10a, 10b) 사이에서 시간차를 주는 일 없이 동작시킨다.As a fourth mode, as shown in Fig. 9 (a) (b), when the front and rear straight line is set to the frequency of 1/2 times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and the phase difference is 0, as shown in (c), it is 8 characters. You can get a workout. At this time, the
제5 모드로서, 도 10(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회전을 멈추었을 때에는,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자 모양의 운동을 얻을 수 있다. 이때에는, 컨트롤러(100)는 모터(10a)만을 동작시킨다.As a fifth mode, as shown in Fig. 10 (a) and (b), when the left and right rotations are stopped, one-shaped movement can be obtained as shown in (c). At this time, the
제6 모드로서, 도 11(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직진을 멈추었을 때에는,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一자 모양의 운동을 얻을 수 있다. 이때에는, 컨트롤러(100)는 모터(10b)만을 동작시킨다.As the sixth mode, as shown in Fig. 11 (a) and (b), when the straight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is stopped, as shown in (c), one-shaped movement can be obtained. At this time, the
제7 모드로서, 도 12(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직진과 좌우 회전의 주파수를 같게 하고, 위상차를 (π/2)T로 했을 때에는,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 모양의 운동을 얻을 수 있다. 이때에는, 컨트롤러(100)는 모터(10a)의 회전수를, 모터(10b)의 회전수와 동일하게 하고, 양 모터(10a, 10b) 사이에서 시간차(π/2)T를 주어 동작시킨다.As a seventh mode, as shown in Fig. 12 (a) (b), when the frequency of the straight forward and backward rotation is the same and the phase difference is (π / 2) T, as shown in (c), ○ You can get a chair-shaped exercise. At this time, the
제8 모드로서, 도 13(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직진 및 좌우 회전을 멈추었을 때에는, 당연한 것이지만,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동하지 않게 된다. 이때에는, 컨트롤러(100)는 모터(10a, 10b)를 함께 동작시키지 않는다.As the eighth mode, as shown in Fig. 13 (a) and (b), when the forward, backward and left and right rotations are stopped, as a matter of course, the movement is not performed as shown in (c). At this time,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베이스(8) 상에 설치된 가동 받침대(6)가, 전후방향으로 경사시킨 전후 경사축(9) 둘레로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제1 지지수단에 상당한다), 좌석(2)에 고정된 대좌(4)가, 연결 링크(5a, 5b)를 통해 상기 가동 받침대(6)에 설치된 좌우축(7a, 7b) 둘레로 회전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제2 지지수단에 상당한다). 그리고, 제1 구동부(13a)에 의해, 모터(10a)의 출력 회전축(12a)의 회전운동이, 상기 제2 지지수단 을 통해 대좌(4)의 전후방향의 왕복 직선 이동 및 좌우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으로 변환됨과 동시에, 제2 구동부(13b)에 의해, 모터(10b)의 출력 회전축(12b)의 회전운동이, 상기 제1 지지수단을 통해 대좌(4)의 전후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 및 상하축 둘레의 회전 왕복 이동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종래의 3동작에 1동작을 더한 4동작이 가능해지고, 운동이 복잡화됨과 동시에, 임의의 운동 모드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마다 단련하는 부위의 선택이 용이해지므로, 종래보다도 큰 피트니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구동원으로서의 모터(10a, 10b)는 2개 있지만, 그의 제어의 용이화 및 저비용화를 도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3)의 설치 스페이스를 좁혀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선택 가능한 운동 모드로서, 8개의 모드를 예시했지만, 그 외의 모드를 추가할 수도 있고, 반대로 모드 수를 줄일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eight modes were illustrated as the exercise mode which can be selected in the said embodiment, other modes can also be added and the number of modes can also be reduced on the contrary.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101)를 압압하면, 컨트롤러(100)가 이 선택에 따라서 모터(10a, 10b)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양 모터(10a, 10b)를 수동으로 단순하게 온 오프 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에서도, 사용자의 신체마다 단련하는 부위의 선택은 가능해진다. 모터(10a, 10b)는, 정회전, 역회전 모두 가능하다.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when the user pushes the
또,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전후 경사축(9)의 경사 방향이 뒤로 기울어져 있다고 하고 있지만, 앞으로 기울어져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의 4동작에, 상기 승강기구(50)에 의한 전후 경사 각도 가변 기능을 조합하여, 각 동작에 동기시켜 전후좌우의 경사 각도를 제어하도록 하면, 더 복잡한 운동이 가능해지고, 보다 큰 피트니스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다리부(60)의 신축 운동과 조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fro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좌석에 사용자를 착석시킨 상태로 그 좌석을 요동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사용자에게 운동 부하를 부여하는 요동형 운동 장치로 유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useful as a rocking type exercise device that gives an exercise load to the user by rocking the seat while the user is seated on the seat.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4-00290136 | 2004-10-01 | ||
JP2004290136A JP3846499B2 (en) | 2004-10-01 | 2004-10-01 | Oscillating motio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51368A KR20070051368A (en) | 2007-05-17 |
KR100865215B1 true KR100865215B1 (en) | 2008-10-23 |
Family
ID=36142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70090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5215B1 (en) | 2004-10-01 | 2005-09-22 | Rocking-type exercise device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3846499B2 (en) |
KR (1) | KR100865215B1 (en) |
CN (1) | CN101031341B (en) |
TW (1) | TWI270394B (en) |
WO (1) | WO2006038471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2612A (en) * | 2005-09-20 | 2007-04-05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Swing type exercise apparatus |
JP4770591B2 (en) * | 2006-05-26 | 2011-09-14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Balance training equipment |
JP4915556B2 (en) * | 2006-05-26 | 2012-04-1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Balance training equipment |
JP4715647B2 (en) * | 2006-06-21 | 2011-07-06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Exercise assistance device |
CN101002988B (en) * | 2006-09-29 | 2010-04-14 | 燕山大学 | Non-walking multi-dimensional motion simulation fitness horse |
JP2008212474A (en) * | 2007-03-06 | 2008-09-18 | Daito Denki Kogyo Kk | Seating type exercise device |
JP4530010B2 (en) | 2007-08-31 | 2010-08-25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Oscillating motion device |
JP2008264319A (en) * | 2007-04-23 | 2008-11-06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
JP4492655B2 (en) * | 2007-09-13 | 2010-06-30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Oscillating motion device |
JP2009077828A (en) * | 2007-09-25 | 2009-04-16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Oscillating motion device |
KR101521217B1 (en) * | 2007-11-20 | 2015-05-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raining device |
JP4915599B2 (en) * | 2009-03-31 | 2012-04-1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Exercise equipment |
CN103127662A (en) * | 2012-12-13 | 2013-06-05 | 刘世海 | Rocker type leg pressing machine |
KR101310646B1 (en) * | 2013-04-30 | 2013-09-24 | 유니버셜칸 주식회사 | Horse riding fitness machine of crank way |
KR101494685B1 (en) * | 2013-11-20 | 2015-02-23 | 신광의료기산업(주) | Apparatus for training the lower extremities |
CN106907447A (en) * | 2017-04-13 | 2017-06-30 | 三峡大学 | Convert rotational motion is the device of straight reciprocating motion |
WO2019092930A1 (en) * | 2017-11-10 | 2019-05-16 | 大東電機工業株式会社 | Balance exercise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505320A (en) * | 1996-02-14 | 2000-05-09 | ロートハウプト ディルク | A device for training the back muscles by transmitting vibrations to a sitting subject |
US20020115536A1 (en) * | 2000-06-07 | 2002-08-22 | Hiroyuki Hojo | Balance training device |
JP2003135622A (en) * | 2001-11-07 | 2003-05-13 | Nobuhiro Kawamichi | Balance train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28792A (en) * | 1999-11-04 | 2001-05-15 | Daito M Ii Kk | Chair type stretching device |
JP3666485B2 (en) * | 2003-01-17 | 2005-06-29 | 松下電工株式会社 | Balance training equipment |
-
2004
- 2004-10-01 JP JP2004290136A patent/JP384649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
- 2005-09-22 KR KR1020077009067A patent/KR10086521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9-22 CN CN2005800331732A patent/CN101031341B/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5-09-22 WO PCT/JP2005/017471 patent/WO200603847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5-09-28 TW TW094133725A patent/TWI270394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505320A (en) * | 1996-02-14 | 2000-05-09 | ロートハウプト ディルク | A device for training the back muscles by transmitting vibrations to a sitting subject |
US20020115536A1 (en) * | 2000-06-07 | 2002-08-22 | Hiroyuki Hojo | Balance training device |
JP2003135622A (en) * | 2001-11-07 | 2003-05-13 | Nobuhiro Kawamichi | Balance tr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270394B (en) | 2007-01-11 |
JP3846499B2 (en) | 2006-11-15 |
CN101031341B (en) | 2011-07-27 |
TW200631622A (en) | 2006-09-16 |
JP2006101982A (en) | 2006-04-20 |
WO2006038471A1 (en) | 2006-04-13 |
KR20070051368A (en) | 2007-05-17 |
CN101031341A (en) | 2007-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5215B1 (en) | Rocking-type exercise device | |
KR100649421B1 (en) | Rocking type exercising apparatus | |
KR100896367B1 (en) | Training apparatus for balance | |
JP4483815B2 (en) | Oscillating motion device | |
KR101051545B1 (en) | A swinging exercise device | |
JP3885460B2 (en) | Balance training equipment | |
EP2103294A1 (en) | Chair | |
KR100649422B1 (en) | Rocking type exercising apparatus | |
KR20090028457A (en) | Oscillating exercise device | |
JP3788159B2 (en) | Balance training equipment | |
JP2002272875A (en) | Leg oscillation health appliance | |
JP2019130047A (en) | Balance exercise apparatus | |
JP3979187B2 (en) | Unicycle training machine | |
JP3885819B2 (en) | Balance training equipment | |
JP2004344684A (en) | Balance training apparatus | |
JP2006141661A (en) | Swinging exercise apparatus | |
JPH05256344A (en) | Multimode driving device | |
HK1105906A (en) | Rocking-type exercise device | |
JP2009160171A (en) | Exercise assistance device | |
HK1086778B (en) | Rocking exercise apparatus | |
HK1086777B (en) | Rocking exercise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42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10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