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2744B1 -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744B1
KR100862744B1 KR1020070007061A KR20070007061A KR100862744B1 KR 100862744 B1 KR100862744 B1 KR 100862744B1 KR 1020070007061 A KR1020070007061 A KR 1020070007061A KR 20070007061 A KR20070007061 A KR 20070007061A KR 100862744 B1 KR100862744 B1 KR 100862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multimedia service
message
multimedi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9397A (ko
Inventor
이형진
민용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70007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744B1/ko
Priority to PCT/KR2008/000307 priority patent/WO2008091075A1/en
Priority to EP08704843.5A priority patent/EP2127405B1/en
Publication of KR20080069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744B1/ko
Priority to US12/508,446 priority patent/US892992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은 문자메시지 서버에서 (a)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2 이동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단말기가 제2 이동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임을 구분하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제2 이동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위하여 PDP 세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R1020070007061
멀티미디어 서비스

Description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FOR MULTIMEDIA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RECORD-MEDIUM O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 SMS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이동단말기 120: 중계국
130: 문자메시지 제공서버 140: 패킷 데이터 교환국
150: CSCF 160: HSS
170: 서킷 데이터 교환국 180: HLR
200: 제2 이동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이용하여 상대 단말을 멀티미디어 서비스 처리가 가능하도록 수행(PDP 활성화, SIP 등록 등)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는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UMTS/GPRS(Universal Mobile Telephony Service/General Packet Radio Service)에서 제공하는 GPRS 망을 기반으로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이동통신망을 구성하여 이동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 규격을 작성하고 있다. 이러한 3GPP에서 제안하는 IP 기반 이동통신망은 망을 구성하는 모든 노드들 간의 데이터 전송이 IP 기반 전송방식을 사용하므로 인터넷 망과의 연동이 용이하다.
그런데, 이러한 IP 기반의 이동통신망에서 단말 간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 이전에 PDP(Packet Data Protocol) 활성화 또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 과정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현재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하고자 하는 단말이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고 자 하는 상대 단말과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대 단말이 사전에 IP 할당 또는 SIP 등록 등이 선행되어 있어야 한다. 즉,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점에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은 IP 자원을 점유하고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는 단말에 전원이 들어온 순간, 또는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동작시킨 순간(이 경우,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시점은 해당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상대 단말이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수행시킨 이후가 된다)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사전 과정(PDP 활성화, SIP 등록 등)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단말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유무선 자원을 점유해야 하므로 IP 자원의 낭비뿐만 아니라 통신 장비에 부하를 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IP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IP 기반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유무선 자원을 줄여 통신 장비 수를 경감하고 이로 인한 시설 비용을 절감하는 IP 기반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 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통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은 문자메시지 서버에서 (a)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에 상응하는 제2 이동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단말기가 제2 이동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임을 구분하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제2 이동단말기는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위하여 PDP 세션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은 (a) 제2 이동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제공서버를 통하여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위한 PDP 세션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단말기 가 제2 이동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임을 구분하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 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은 제1 이동단말기(100), 중계국(120),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 서킷 데이터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Gateway MSC, 170),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150), HSS(Home Subscriber Server, 160) 및 HLR(Home Location Register, 180)을 포함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로 예를 들면, 핸드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노트북일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 간에는 음성 통화를 위한CS(Circuit Service)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앞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전송한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SMS 메시지의 PID(Protocol Identifier) 필드 또는 TID(Tele-service Identifier)를 분석한다. 분석 결과, 해당 SMS 메시지가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인 경우, 이에 대한 응답 SMS 메시지를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만약, 응답 SMS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수락 메시지인 경우, 제 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위한 PDP(Packet Data Protocol) 활성화 및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을 위한 제어 메시지인 경우, 제2 이동단말기(200)는 패킷 데이터 교환국에 PDP(Packet Data Protocol) 활성화 및 CSCF에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을 수행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성 통화 도중에 PDP 세션설정 및 SIP 등록을 통하여 패킷 데이터를 위한 세션을 연결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예를 들면, 제2 이동단말기(200)와 음성 통화 도중 사진을 찍어 저장된 사진 파일을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중계국(120)은 제1 이동단말기(100)와 무선 접속을 하여 서킷 데이터 및 패킷 데이터를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중계국(120)은 예를 들면, WCDMA 시스템의 UTRAN(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일 수 있다.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는 문자 서비스를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에 제공한다.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는 예를 들면,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일 수 있다.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는 제1 이동단말기(100)의 전송 요청에 따라 제2 이동단말기(200)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SMS 메시지는 SMS 메시지에 포함되는 헤더필드 중 PID 필드 또는 TID 필드를 미리 설정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제2 이동단말 기(200)에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SMS 메시지에 관한 설명은 도 4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서킷 데이터 교환국(170)은 제1 이동단말기(100)의 현재 위치에서 CS(Circuit Service)를 제공하며, 외부 서킷 데이터망간의 연동기능을 수행한다.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은 제1 이동단말기(100)에서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세션을 설정, 유지 및 해제 등의 세션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GPRS 망과 외부 패킷 데이터망간의 연동기능을 수행한다.
CSCF(150)는 제1 이동단말기(100)의 호 및 세션처리에 관련된 부분을 담당하는 기능으로 인입 호에 대한 게이트웨이로서의 기능(Incoming Call Gateway)과 호 제어 기능(Call Control Function), SPD(Serving Profile Database) 기능, 주소 처리(Address Handling) 기능 등을 수행한다. CSCF(150)의 인입호에 대한 게이트웨이로서의 기능은 입구 점(Entry Point)으로 동작하고 입력 호에 대한 라우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호 스크리닝 및 포워딩과 같은 입력호에 대한 서비스 트리거링을 수행하며, HSS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CSCF(150)의 호 제어기능은 호의 설정과 종료 및 상태/이벤트 관리, 다자간 서비스를 위한 MRF와의 상호 작용, 과금을 위한 호 이벤트 보고, 응용 레벨 등록의 수신 및 처리 등을 담당한다.
CSCF(150)는 그 기능에 따라 P-CSCF(Proxy)(151), I-CSCF(Interrogating) (152), S-CSCF(Serving)(153)로 나눌 수 있다.
P-CSCF(151)는 이동단말기가 GPRS 액세스를 통해서 IMS(IP Multimedia Subsystem)에 접속할 때 처음 만나는 지점이다. P-CSCF(151)는 제1 이동단말 기(100)가 DHCP(The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미도시)를 이용하거나 PDP 컨텍스트(Context)를 통해서 해당 주소를 얻을 수 있다. P-CSCF(151)는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SIP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제1 이동단말기(100)의 홈 도메인의 I-CSCF(152)로 전달하고 이 등록 절차에서 S-CSCF(153)의 주소를 저장했다가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S-CSCF(153)로 향하는 SIP 메시지가 있을 경우 이를 S-CSCF(153)로 전달할 수 있다. P-CSCF(151)은 제1 이동단말기(100)가 IMS에 접속하는 첫 포인트 지점이고, GGSN과 같은 도메인에 존재한다. P-CSCF의 주소는 PDP 컨텍스트 활성화(context activation)에 의해 제1 이동단말기에게 전달된다.
P-CSCF(151)은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SIP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제1 이동단말기(100)의 홈 도메인을 참조하여 I-CSCF(152)로 전달하고, I-CSCF(152)의 SIP 등록 요구 처리과정에서 얻어지는 S-CSCF(153) 주소를 관리할 수 있다. P-CSCF(151)은 IMS 서비스에 대하여 I-CSCF(152) 또는 S-CSCF(153)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전달한다.
I-CSCF(152)는 망 내의 가입자에게 연결하기 위해서 들어오는 모든 호에 대해서 접점 역할 및 망 내에 로밍한 타망 가입자와의 접점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로 인해서 일반적으로 I-CSCF는 방화벽 역할을 수행하며 사업자 망의 구성, 토폴로지 및 용량 등을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은닉기능을 가질 수 있다.
I-CSCF(152)는 SIP 등록요구 메시지를 수신했을 때, SLF(Subscription Locator Function)를 이용해서 HSS(160)를 선정하고, HSS(160)로부터 S-CSCF(153)의 주소를 수신하고, 실제 등록을 담당할 S-CSCF(153)를 할당할 수 있다.
S-CSCF(153)는 IMS의 모든 세션상태 관리 기능뿐만 아니라 HSS와 연동하여 가입자 Profile을 수신하여 호 처리를 위한 주요기능을 수행한다. S-CSCF(153)는제1 이동단말기(100)의 세션을 제어하는 서브시스템으로 HSS(Home Subscriber Server)(160)에 가입자를 등록하고, 가입자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 관리한다.
HSS(Home Subscriber Server) (160)는 CS 도메인, PS 도메인, IMS를 통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의 이동성 관리를 수행한다.
HLR(180)은 가입자의 보안 정보를 생성한다. HLR(180)은 사용자의 인증, 메시지의 무결성 체크, 암호화 기능 지원을 위한 데이터 생성하며, 각각의 서비스 기능 요소 인증절차를 지원한다. HLR(180)은 이동 가입자의 방문 망에서 로밍의 가능여부를 체크하고 망 액세스 권한 검증 기능을 수행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망에서 GPRS 세션 설정과정을 통해 제1 이동단말기(100)-중계국(120)-패킷 데이터 교환국(140)간에 PDP(Packet Data Protocol)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단말기(100)는 CSCF(150)를 통하여 SIP 등록을 수행하고 IP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와 음 성 통화를 위한 서킷 호를 연결한다(S210).
제1 이동단말기(100)는 우선 서킷 호 연결 요청 메시지(SETUP)를 중계국(120) 또는 서킷 데이터 교환국(170)을 통하여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달한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성 통화를 위한 서킷 호 연결 요청 메시지(SETUP) 메시지에 상응하는 호 연결 (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여 서킷 호 연결을 수행한다(S302). 네트워크는 서킷 호 연결을 위한 베어러(bearer)를 할당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음성 통화를 위한 서킷 호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와 음성 통화 도중에 멀티미디어데이터 예를 들면, 비디오 공유 서비스를 위한 비디오 데이터를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IP 기반의 이동통신망에서 단말 간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앞서 해당 단말의 PDP(Packet Data Protocol) 세션 설정(활성화) 및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등록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송하여 제2 이동단말기(200)는 이에 응답하여 응답 SMS 메시지를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S220). 이는 제1 이동단말기(100) 또는 제2 이동단말기(200)에서 언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요청하고 수행될 지 알 수 없는 상황이므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 시점에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의 PDP 활성화 및 SIP 등록을 수행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SMS 메시지는 헤더필드 중 PID 필드 또는 TID 필드를 이용하여 상대 이동단말기의 PDP 세션 설정 및 SIP 등록 수행 요청을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이동단말기(200)는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요청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 SMS 메시지를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로부터 응답 SMS 메시지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하는 제1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과 PDP 세션을 설정한다(S230).
제1 이동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GPRS PDP 세션 설정을 위해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고 관련 정보를 PDP 세션 정보(Context) 테이블에 저장한 후, UMTS에서 제공하는 신호제어 메시지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으로 세션 설정 요구 메시지(PDP Context Activation)를 전송한다. 세션 설정 요구 메시지를 수신한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은 PDP 세션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저장한 후, 세션 설정 요구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PDP Accept)를 전송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중계국(120)-패킷 데이터 교환국(140) 간에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PDP 세션 정보(예를 들면, 라우팅 정보)가 제1 이동단말기(100), 중계국(120),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의 각 PDP 세션정보 테이블에 저장된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PDP 세션 설정을 통하여 생성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의 SIP 등록을 CSCF(150)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 다(S240). 여기서, CSCF(150)는 SIP 등록 수락 메시지를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설정된 SIP를 HSS(160)에 등록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을 전송할 수 있다. HSS(180)는 제1 이동단말기(100)의 라우팅 정보를 저장하여 망으로부터 전송된 패킷 데이터가 제1 이동단말기(100)에 전달되도록 한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 SMS 메시지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락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제2 이동단말기(200)는 상술한 제1 이동단말기(100)가 수행한 방법과 동일하게 PDP 활성화 및 SIP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S250 및 S260). 이에 대해서는 제1 이동단말기(100)에서 수행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와 음성 통화 중에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 이전에 제2 이동단말기(200)의 서비스 능력(Capability) 문의 메시지(OPTIONS)을 교환한다(S270). 이는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각 단말기의 서비스 능력이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로 음성 통화 중에 비디오 데이터 공유를 위해서 제2 이동단말기(200)가 비디오 데이터 공유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인지 서비스 능력을 문의한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의 서비스 능력 문의 메시지에 상응하는 응답 메시지(OK)를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만약 제2 이동단말 기(200)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인 경우, 제1 이동단말기(100)는 응답 메시지를 받고 제2 이동단말기(200)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함을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현할 수 있다. 제2 이동단말기(200) 또한, 제1 이동단말기(100)와 같이,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제1 이동단말기(100)의 서비스 능력 문의 메시지(OPTIONS)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OK)를 수신하여 그 결과를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현할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제2 이동단말기(200)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함을 인지하고, 제2 이동단말기(20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한다(S290). 제2 이동단말기(200)의 사용자 또한, 제1 이동단말기(100)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함을 인지하고, 제1 이동단말기(10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와 음성 통화 도중에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송하기 위한 패킷 호 설정 요청 메시지(INVITE) 메시지를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패킷 호 설정 요청 메시지에 상응하는 패킷 호 연결 메시지(OK)를 전송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패킷 호 연결 메시지에 상응하는 확인 메시지를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 간에는 패킷 호가 연결되어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와 서킷 호가 연결되어 음성 통화 도중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제2 이동단말기(200)로 멀티미디 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은 RTP(Real Time Protocol)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프로토콜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RTP는 멀티캐스트 또는 유니캐스트 상에서 음성, 화상, 또는 모의 데이터와 같은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응용에 적합한 단대 단 트랜스포트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이다. 또한, RTP 패킷은 UDP를 이용하여 전달 될 수 있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RTP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 받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응답메시지는 RTCP(RTP Control Protocol)에 의한 RR(receiver report)일 수 있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끝낸다는 메시지를 보내고 연결된 세션을 벗어날 수 있고 제2 이동단말기(200)도 연결된 세션을 벗어날 수 있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단계 S310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간 음성 통화를 위한 서킷 호가 연결된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서킷 호 연결 요청 메시지(SETUP)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달한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제1 이동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음성 통화를 위한 서킷 호 연결 요청 메시지(SETUP) 메시지에 상응하는 호 연결 (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여 서킷 호 연결을 수행한다. 네트워크는 서킷 호 연결을 위한 베어러(bearer)를 할당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다.
단계 S320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2 이동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는 헤더필드 중 PID 필드 또는 TID 필드를 이용하여 상대 이동단말기의 PDP 세션 설정 및 SIP 등록 수행 요청을 알리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S330에서, 제 2 이동단말기(200)는 문자메시지 제공서버(130)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이동단말기(100)과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 여부를 결정하여 이에 대한 응답 SMS 메시지를 제1 이동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340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는 제2 이동단말기(200)로부터 응답 SMS 메시지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락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해당하는 제1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과 PDP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단말기(100)는 PDP 세션 설정을 통하여 생성된 라우팅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이동단말기(100)의 SIP 등록을 CSCF(150)를 통하여 수행한다. 제1 이동단말기(100)는 패킷 데이터 교환국(140)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CSCF(150)를 통하여 HSS(160)에 SIP 등록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350에서, 제2 이동단말기(20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수락 SMS 메시지를 전송한 후,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위한 PDP 세션 설정 및 SIP 등록을 수행한다.
단계 S360에서,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는 서로간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단말기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의 이동단말기 에 대한 서비스 능력 문의 메시지를 교환한다.
단계 S370에서, 서비스 능력 문의 결과, 제1 이동단말기(100) 및 제2 이동단말기(200)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단말기인 경우, 제1 이동단말기(100) 또는 제2 이동단말기(200)는 상대 이동단말기와 음성통화를 위한 서킷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패킷 데이터 교환을 위한 세션이 연결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한 SMS 메시지는 SMS TPDU(Transport Protocol Data Unit)에 따라서 헤더필드로 구성된다. SMS 메시지의 헤더필드 중 TP-PID(Protocol Identifier)(410)는 WCDMA의 SMS 서비스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 사용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각 서비스를 구분하는 구분자로서 그 크기는 1 바이트(byte)이다. SMS 메시지의 헤더필드 중 TID(Tele-service Identifier)는 CDMA의 SMS 서비스에서 사용자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 사용할 것인가를 지정하는 각 서비스를 구분하는 구분자로서 그 크기는 2 바이트(byte)이다. SMS 메시지는 TP-PID(Protocol Identifier) 또는 TID를 어떻게 지정하느냐에 따라 단문메시지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SMS 메시지의 헤더필드 중 TP-PID를 0x00으로 설정한 경우에는 일반 단문메시지, 0x48는 호출메시지, 0x4e는 URL 콜백 메시지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동단말기(100)는 서킷 호가 연결된 제2 이동단말기(200)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하여 SMS 메시지의 TP-PID 필드(410) 또는 TID를 설정하여 제2 이동단말기(200)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알릴 수 있다.
제2 이동단말기(200)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SMS PID(410)가 미리 설정된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이에 대한 판단결과, 수락 SMS 메시지를 전송하고,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위한 PDP 세션 설정 및 SIP 등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IP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불필요한 망 부하는 줄일 수 있어, 통신 장비의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시설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 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이동통신망의 문자메시지 제공서버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하는 제1 이동단말기와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제2 이동단말기 간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제공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위한 PDP 세션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위한 SIP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단말기가 제2 이동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임을 구분하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제1 이동단말기 및 상기 제2 이동단말기는 음성통화를 위한 서킷호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제1 이동단말기는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이동단말기와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위한 PDP 세션 설정 및 SIP 등록을 수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필드는 상기 SMS 메시지의 TPDU(Transport Protocol Data Unit) 중 PID(Protocol Identifier) 필드 또는 TID(Tele-service) 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의 응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제1 이동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응답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응답 SMS 메시지가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을 수락 메시지인 경우, 상기 제1 이동단말기에 의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교환을 위하여 PDP 세션 설정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b-4) 상기 확인 결과 PDP 세션 설정이 안된 경우, 제1 이동단말기에 의해PDP 세션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2. 삭제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d) 상기 제1 이동단말기 및 상기 제2 이동단말기 간에 서비스 능력 문의(Capability Query)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e) 상기 서비스 능력 문의 결과, 상기 제1 이동단말기 및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1 이동단말기에서 제2 이동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거나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제1 이동단말기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전송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14. 삭제
  15.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이동통신망의 문자메시지 제공서버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하는 제1 이동단말기와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고자 하는 제2 이동단말기 간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유형화된 명령어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기록된 전자 장치에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a)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제공서버를 통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기로부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에 상응하여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위한 PDP 세션 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2 이동단말기에서 상기 제1 이동단말기와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위한 SIP 등록을 수행하는 단계를 실행하되,
    상기 멀티미디어 서비스 요청 SMS 메시지는 상기 제1 이동단말기가 제2 이동단말기로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요청하는 메시지임을 구분하기 위하여 헤더필드 중 특정 필드가 미리 설정되고,
    상기 제1 이동단말기 및 상기 제2 이동단말기는 음성통화를 위한 서킷호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제1 이동단말기는 상기 (a)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이동단말기와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수행을 위한 PDP 세션 설정 및 SIP 등록을 수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70007061A 2007-01-23 2007-01-23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862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061A KR100862744B1 (ko) 2007-01-23 2007-01-23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CT/KR2008/000307 WO2008091075A1 (en) 2007-01-23 2008-01-18 Method for multimedia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record-medium o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thereof
EP08704843.5A EP2127405B1 (en) 2007-01-23 2008-01-18 Method for multimedia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record-medium on which program for executing method thereof
US12/508,446 US8929928B2 (en) 2007-01-23 2009-07-23 Establishment of multimedia service sessions in mobile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061A KR100862744B1 (ko) 2007-01-23 2007-01-23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397A KR20080069397A (ko) 2008-07-28
KR100862744B1 true KR100862744B1 (ko) 2008-10-10

Family

ID=3964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061A KR100862744B1 (ko) 2007-01-23 2007-01-23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29928B2 (ko)
EP (1) EP2127405B1 (ko)
KR (1) KR100862744B1 (ko)
WO (1) WO20080910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600B1 (ko) 2011-11-24 2012-06-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경로 전 구간에서 아이피 음성 및 영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00696B2 (en) * 2010-04-22 2016-03-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sharing one or more media in a session between terminals
KR20140137616A (ko) * 2013-05-23 201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자간 대화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및 방법
US20150172882A1 (en) * 2013-12-18 2015-06-18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Correlation Of Requesting Information From A Remote Device
KR102305525B1 (ko) * 2015-06-09 2021-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 공유 기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000A (ko) * 2002-06-11 2003-12-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중 점 대 점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그 방법과 단말기
KR20040032399A (ko) * 2002-10-09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간의 패킷 데이터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50080298A (ko) * 2004-02-09 200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237B1 (ko) * 2000-07-31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문 서비스(sms)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이벤트 발생 방법
FR2827465B1 (fr) * 2001-07-13 2004-01-02 Cegetel Procede d'adressage d'un terminal mobile
JP3879498B2 (ja) * 2001-12-05 2007-02-14 日本電気株式会社 モバイル携帯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常時オン状態のpdpコンテキスト管理方法
US20040187021A1 (en) * 2003-02-10 2004-09-23 Rasanen Juha A. Mobile network having IP multimedia subsystem (IMS) entities and solutions for providing simplification of operations and compatibility between different IMS entities
WO2005027460A1 (en) * 2003-09-12 2005-03-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binational multimedia services
FI20031886A0 (fi) 2003-12-22 2003-12-22 Nokia Corp Pakettipohjaisten palvelujen aloittaminen julkisessa mobiiliviestintäjärjestelmässä
EP1571864B1 (en) * 2004-03-05 2010-07-21 T-Mobile Deutschland GmbH Method for regist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n IMS services network
EP1786227A1 (en) * 2005-11-10 2007-05-16 France Télécom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US8417285B2 (en) * 2006-03-17 2013-04-09 At&T Mobility Ii Llc Mobility management message analysis
US8406228B2 (en) * 2006-06-20 2013-03-26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ssage generating arrangement
US20080146256A1 (en) * 2006-12-19 2008-06-19 Jeffrey Charles Hawkins Sharing data during a voice call using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associated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000A (ko) * 2002-06-11 2003-12-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통화 중 점 대 점 멀티미디어 정보 서비스 제공 장치 및그 방법과 단말기
KR20040032399A (ko) * 2002-10-09 2004-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단말간의 패킷 데이터 경로 설정 장치 및 방법
KR20050080298A (ko) * 2004-02-09 2005-08-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전송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600B1 (ko) 2011-11-24 2012-06-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경로 전 구간에서 아이피 음성 및 영상 서비스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27405B1 (en) 2016-11-30
KR20080069397A (ko) 2008-07-28
US20090286561A1 (en) 2009-11-19
EP2127405A1 (en) 2009-12-02
US8929928B2 (en) 2015-01-06
EP2127405A4 (en) 2012-10-31
WO2008091075A1 (en) 200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6708B2 (en) Exchange and use of globally unique device identifiers for circuit-switched and packet switched integration
KR100886548B1 (ko) 인터넷 프로토콜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 네트워크에서단말의 성능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5080465B2 (ja) メッセージを変換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573996B (zh) 允许通过ussd消息经由cs接入进行ims服务的会话控制的方法和设备
KR100933121B1 (ko) Ims 도메인을 통한 실시간 서비스를 포함하는 ims 단말의 호 요청을 csi 단말이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330748B (zh) 一种ip多媒体子系统集中业务会话控制路径的切换方法
US7730127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video sharing
WO2007128221A1 (fr) Procédé et système d&#39;acheminement et d&#39;adressage de message court
US20060239267A1 (en) User equipment in an IMS service network with a shortened PTT call setup time, IMS service network, and PTT call setup method therein
EP1672866A1 (en) Method and system to the instant transfer of multimedia files between mobile radio users within the scope of combinational services
KR100862744B1 (ko) 이동통신망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66047B1 (ko) 통신시스템에서 미디어 송신 방법 및 장치
CN1856167B (zh) 请求没有进行ims注册的用户进行注册的方法
WO2007006234A1 (fr) Procédé et appareil de transmission de message
KR20150118199A (ko) 패킷 데이터 연결들에서 비상 서비스의 등록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836250B1 (ko) 이동통신망에서 데이터 송수신 여부 판단 방법 및 이를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49587B1 (ko) 착신망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장애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360151B1 (ko) Gruu 사용 가입자 간의 ims망에서의 sip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CN101483821A (zh) 建立ims业务的方法
KR100924808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파일전송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40090B1 (ko) 아이피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에서 영상공유 서비스를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821186B1 (ko) Ims 망의 호 세션 제어 장치가 호 처리하는 방법 및 그호 세션 제어 장치
KR100921771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망과 네트워크로 연결된 무선 망에서의자원 관리 방법
KR100998751B1 (ko) Ims망에서의 영상 링백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965005B1 (ko) Ip기반 망에서 호 세션 상태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