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2580B1 - 스팀청소기 - Google Patents

스팀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580B1
KR100862580B1 KR1020070055047A KR20070055047A KR100862580B1 KR 100862580 B1 KR100862580 B1 KR 100862580B1 KR 1020070055047 A KR1020070055047 A KR 1020070055047A KR 20070055047 A KR20070055047 A KR 20070055047A KR 100862580 B1 KR100862580 B1 KR 100862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vacuum
cleaner
water
vacuum su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홈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홈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홈파워
Priority to KR1020070055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58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6Floor-scrubbing machines, hand-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스팀청소와 진공청소를 갖는 스팀청소기에 있어서, 무게 중심이 걸레질을 하는 스팀 청소면에 집중되도록, 스팀청소면 상방에 진공청소부의 진공발생수단과 스팀청소부를 밀집시키고, 진공 흡입 시 스팀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팀청소기 본체 외부의 진공 흡입단과 스팀 배출단 사이에 차단부재를 더 마련하여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무게중심이 걸레질을 하는 스팀 청소면에 집중되므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깨끗한 걸레질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무게중심이 이동을 위한 캐스터 측에 위치하므로, 좌우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청소와 스팀청소를 병행할 경우, 차단부재가 진공 흡입 과정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진공흡입경로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습기로 인한 진공청소부의 손상을 방지하며, 진공흡입경로에 증착 된 습기로 인해 먼지가 흡착되어 진공경로가 오염 내지는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팀청소, 진공청소

Description

스팀청소기{STEA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수단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수단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면에 무게중심이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과 스팀 배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과 스팀 배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과 스팀 배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 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설명*
10 : 스팀청소기 11 : 스팀청소부
12 : 급수수단 12a : 저장체
12b : 제어스위치 12c : 펌프
13 : 히팅수단 13a : 히터하우징
13b : 경로전환밸브 13c : 히터
13d : 단열체 14 : 스팀청소면
14a : 증기 방출판 16 : 진공청소부
17 : 집진수단 17a : 진공흡입단
18 : 진공발생수단 19 : 차단부재
S : 저수공간 M : 자석
SW : 리드스위치 A : 공기흐름경로
I : 유입단 O : 배출단
H : 개방부
본 발명은 스팀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증기를 발생시켜 청소를 하는 스팀청소기는, 물을 가열하여 발생 하는 증기를 청소를 하고자 하는 면에 방출시키면서 걸레판(스팀청소면)에 의해 바닥을 닦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스팀청소기의 스팀 발생 구조를 살펴보면, 증기를 발생하기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수단과,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급수수단은 물을 저장하는 저장수조를 구비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은 급수구를 통해 증기발생부로 공급되고, 상기 공급된 물은 가열구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발생된 증기는 그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증기유동가이드를 따라 흐르게 된다. 결국 상기 증기는 증기 방출판에 이르게 되어, 증기 방출구멍을 통해 외부의 스팀 청소면으로 방출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스팀청소기에 진공청소 구조가 결합된 진공청소 겸용 스팀청소기(진공청소기에 스팀청소 구조가 결합된 진공청소기도 동일한 기술 범주 임)가 다수 공개되고 있으며, 그 중 국내 특허등록 제 470320호(진공청소 기능을 갖는 스팀 청소기)를 일례로들 수 있다.
상기 등록특허를 비롯한 종래 진공청소 기능을 갖는 스팀 청소기는 집진수단과 진공발생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진공청소부가 전방에 위치하고 급수수단과 히팅수단을 포함하는 스팀청소부가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을 경우, 진공발생을 위한 모터(비교적 중량이 무거움)가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무게중심이 전방으로 치우치거나 분산되므로, 중앙부분 내지는 후방 에 위치하는 스팀청소부의 스팀 청소면이 강한 힘을 가해 누르면서 밀지 않는 이상, 지면에 압력을 가하면서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 진공청소 기능을 갖는 스팀 청소기는 무게 중심이 전방에 위치하므로, 전방이 지면 특히, 장판에 눌려 전진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캐스터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들뜨게 되어 캐스터의 회전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아 이 역시 이동의 난해함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 진공청소 기능을 갖는 스팀 청소기는 진공청소와 스팀청소를 동시에 행할 경우, 진공흡입 과정에서 스팀이 흡입되어, 습기로 인한 진공청소부 특히, 진공발생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는 모터에 손상을 가하는 한편, 집진필터의 기능을 상실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진공흡입경로에 습기가 증착되어 먼지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진공흡입경로 상에 흡착되어 오염 내지는 막힘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무게중심이 걸레질을 하는 스팀 청소면에 집중되도록 하는 한편, 진공청소와 스팀청소를 병행할 경우, 차단부재가 진공 흡입 과정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진공흡입경로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팀청소기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두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팀청소 구조와 진공청소 구조를 갖는 스팀청소기에 있어서, 무게 중심이 걸레질을 하는 스팀 청소면에 집중 되도록, 스팀청소면 상방에 진공청소부의 진공발생수단과 스팀청소부를 밀집시키고, 진공 흡입 시 스팀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팀청소기 본체 외부의 진공 흡입단과 스팀 배출단 사이에 차단부재를 더 마련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되는 본 발명은 무게중심이 걸레질을 하는 스팀 청소면에 집중되므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깨끗한 걸레질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무게중심이 이동성을 제공하는 캐스터 부근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중심 이동이 용이하여 좌우 이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청소와 스팀청소를 병행할 경우, 차단부재가 진공 흡입 과정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진공흡입경로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습기로 인한 진공청소부의 손상을 방지하며, 진공흡입경로에 증착 된 습기로 인해 먼지가 흡착되어 진공경로가 오염 내지는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설명에 참고가 되도록 제시하는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내부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수단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수단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청소면에 무게중심이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과 스팀 배 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과 스팀 배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 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공흡입과 스팀 배출 상태를 확대 도시한 부분 확대도 이다.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되는 물을 히터를 통해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청소 구조와 모터의 회전을 통해 진공상태를 만들어 외기를 흡입하는 진공청소 구조를 갖는 스팀청소기(10)에 있어서, 무게 중심이 걸레질을 하는 스팀 청소면(14)에 집중되도록, 스팀 청소면 상방에 진공청소부(16)의 진공발생수단(18)과 스팀청소부(11)를 밀집 배치시키고, 진공 흡입 시, 스팀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팀청소기 본체(1) 외부의 진공 흡입단(17a)과 스팀 청소면(14)의 스팀 배출단 사이에 차단부재(19)를 더 마련하여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스팀청소부(11)는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저장체(12a)와, 상기 저장체(12a)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입상태를 감지하여 히팅 및 펌핑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12b)와, 상기 제어스위치(12b)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물을 히팅수단(13)으로 유입시키는 펌프(12c)를 포함하는 급수수단(12); 상기 펌프로부터 유입단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되, 가열 발생된 증기의 배출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전환밸브(13b)를 갖는 히터하우징(13a)과, 상기 히터하우징(13a)에 인서트 된 히터(13c)와, 상기 히터하우징(13a)의 외부면을 감싸, 열이 주변 구성요소에 전도되는 것을 저지하는 단열체(13d)를 포함하는 히팅수단(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팀청소부(11)를 구성하는 급수수단(12)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급수수단(12)에 포함된 저장체(12a)는 액체를 수용하는 저수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수단(12)에 포함된 제어스위치(12b)는 유입/유출단을 갖는 저수공간(S); 상기 저수공간(S)의 중앙부분에 수직 인서트 되어, 저수위 변화에 따라서 부유하는 자석(M)에 반응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리드스위치(SW); 상기 저수공간(S) 상방에 물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펌프(12c)가 동작하여 진공상태가 발생할 경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흐름경로(A)를 포함한 플롯스위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유출경로(A)의 단부는 최소한 저장체(12a)의 높이보다는 높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야만 물이 외부로 오버플로(OVER FLOW)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석(M)은 물보다 비중이 낮은 부표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리드스위치(SW)는 저수공간(S)에 저수되는 물과 격리 즉, 별도의 인서트 공간에 삽입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리드스위치(SW)의 일측 접점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과 연결되 고, 타측 접점은 상기 펌프(12c)와 히터(13c)의 일측 전원 공급선에 연결될 수 도 있으며, 별도로 구비되는 마이컴으로 펌프(12c)와 히터(13c)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 입력단에 연결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급수수단(12)에 포함된 펌프(12c)는 내부의 펌핑 동작에 의해 물을 강제 순환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급수수단(12)의 각 구성요소 간은 배관(호스)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급수수단(12)은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2c)의 펌핑 동작에 의해 물이 저장체(12a)로부터 제어스위치(12b)로 유입되면, 리드스위치(SW)의 접점이 자석(M)의 자력에 의해 접속 상태가 되어, 히터(13c)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물론, 펌프(12c)의 펌핑 동작에 의해 유입된 물은 히터하우징(13a)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나,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체(12a)에 저장된 물이 완전 소비되어, 제어스위치(12b)로 유입되지 않으면, 자석(M)의 취치가 낮아져 리드스위치(SW)의 접점이 비접촉 상태가 되어, 히터(13c)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히팅수단(13)의 과열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히터(13c)가 정지한 상태에서 펌프(12c)가 지속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저장체(12a) 내부의 공기가 유출되면서 진공상태가 될 수 있는데, 이때, 공기흐름경로(A)가 외부와 내부의 기압을 동일하게 유지시켜 진공상태 발생을 방지시킨다.
또 한편, 상기 스팀청소부(11)를 구성하는 히팅수단(12)은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먼저, 히팅수단(13)에 포함된 히터하우징(13a)은 펌프(12c)와 연결되는 유입단(I)이 위치한 상방에 스팀이 배출되는 증기 방출판(14a)과 연결되는 배출단(O)이 형성되고, 외압에 의해 형체 변형되면서 상기 배출단(O)을 차단하여 증기를 개방부(H)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는 경로전환밸브(13b)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단(O)은 히터하우징(13a) 상방에 양측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부(H)는 내주면에 경로전환밸브(13b)가 고정되며, 상기 경로전환밸브(13b)는 외부로 증기를 인출 사용하기 위한 연결캡(C) 단부가 인서트 되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배출단(O)을 차단시키는 플렉시블한 내열성 차단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수단(13)에 포함된 히터(13c)는 히터하우징(13a)과 인서트 사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팅수단(13)에 포함된 단열체(13d)는 상기 히터하우징(13a)과 유격지면서 외부를 감싸는 함체형상으로서, 히터하우징(13a)의 양단과 볼트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히팅수단(13)은 펌프(12c)로부터 유입단(I)으로 물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히터(13c)가 작동하면, 증기가 발생하고, 발생된 증기는 배출단(O)을 통해 증기 방출판(14a)의 증기 방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상기 증기 방출판(14a)의 외부에는 스팀청소용 걸레가 덮여 걸레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개방부(H)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 안전캡(C1)에 의해 차단되나, 상기 개방부(H)를 통해 증기를 인출하여 별도의 경로를 통해 살균 또는 다리미를 가열시킬 경우에는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가 하향 연장되면서 관통된 연결캡(C)을 체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캡(C)이 개방부(H)에 결합되면,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연장된 부분이 경로전환밸브(13b)의 내주면을 가압하여 양측으로 밀어내며, 이 과정에서 경로전환밸브(13b)가 배출단(O)은 차단시키고, 개방부(H)에 체결된 연결캡(C)을 통해 증기를 배출시켜 살균 또는 다리미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진공청소부(16)는 진공흡입단(17a)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 먼지와 같은 이물질을 모으는 집진봉투와, 미세 이물질은 걸러내고 공기만 통과시키는 필터가 마련된 집진수단(17); 모터의 고속회전을 통해 진공상태를 만들어, 집진수단(17)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인 배출시키는 진공발생수단(1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발생수단(18)은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수단(17)의 후방 스팀청소부(11)의 일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스팀청소기 본체(1)의 무게중심을 캐스터(R)가 위치한 후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스팀청소기(10) 즉, 스팀청소기 본체(1)의 무게중심이 걸레질을 하는 스팀 청소면(14)에 집중되며, 무게중심이 이동성을 제공하는 캐스터(R) 부근에 위치하게 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차단부재(19)는 스팀청소기 본체(1) 외부의 진공흡입단(17a)과 스팀 청소면(14) 사이에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첨부 도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와 스팀청소를 병행할 경우, 진공청소부(16)의 진공 흡입 과정에서 별도의 스팀청소부(11)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진공흡입경로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첨부 도면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증기 방출판(14b ; 고정형 또는 회전형 모두 적용됨)에도 증기 방출구(14c)와 진공흡입단(17a) 사이에 차단부재(19)를 마련할 수 도 있으며,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안에 포함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저장체(12a)가 스팀청소기 본체(1)의 후방 상단에 힌지 결합되며, 저장체(12a)는 별도의 착탈 가능한 샤프트(3; 밀대)와 전원 ON/OFF 및 청소 기능 선택을 위한 조작버튼 및 이를 구동시키는 전기회로가 탑재된 손잡이가 착탈 결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제어스위치부가 물의 유입상태를 감지하여 히터의 동작 내지는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히팅수단의 과열을 방지하고, 펌프의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시켜, 진공 상태에 의한 저장체의 압착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펌프가 오작동 하더라도, 제어스위치의 공기흐름경로를 통해 외부와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외부와 저장체 내부의 기압을 동일하게 유지시켜, 진공 상태에 의한 저장체의 압착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열이 발생하는 히팅수단(13)을 주변 구성요소와 격리시켜, 고열에 의한 구성요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중심이 걸레질을 하는 스팀 청소면에 집중되므로,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도 끼끗한 걸레질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무게중심이 이동성을 제공하는 캐스터 부근에 가깝게 위치하므로, 중심 이동이 용이하여 좌우 이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청소와 스팀청소를 병행할 경우, 차단부재가 진공 흡입 과정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진공흡입경로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습기로 인한 진공청소부의 손상을 방지하며, 진공흡입경로에 증착 된 습기로 인해 먼지가 흡착되어 진공경로가 오염 내지는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무게 중심이 걸레질을 하는 스팀 청소면에 집중되도록, 스팀 청소면 상방에 진공청소부의 진공발생수단과, 저장된 물를 공급하는 저장체와, 이 저장체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입상태를 감지하여 히팅 및 펌핑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스위치와, 이 제어스위치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물을 히팅수단으로 유입시키는 펌프를 포함하는 급수수단 및 상기 펌프로부터 유입단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되, 가열 발생된 증기의 배출 경로를 전환하는 경로전환밸브를 갖는 히터하우징과, 이 히터하우징에 인서트 된 히터와, 상기 히터하우징의 외부면을 감싸, 열이 주변 구성요소에 전도되는 것을 저지하는 단열체를 포함하는 히팅수단으로 되는 스팀청소부를 밀집 배치시키고, 진공 흡입 시, 스팀이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팀청소기 본체 외부의 진공 흡입단과 스팀 청소면의 스팀 배출단 사이에 차단부재가 형성되는 스팀청소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급수수단(12)에 포함된 제어스위치(12b)는 유입/유출단을 갖는 저수공간(S); 상기 저수공간(S)의 중앙부분에 수직 인서트 되어, 저수위 변화에 따라서 부유하는 자석(M)에 반응하여 스위칭 동작하는 리드스위치(SW); 상기 저수공간(S) 상방에 물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펌프(12c)가 동작하여 진공상태가 발생할 경우,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흐름경로(A)를 포함한 플롯스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13)에 포함된 히터하우징(13a)은 펌프(12c)와 연결되는 유입단(I)이 위치한 상방에 스팀이 배출되는 증기 방출판(14a)과 연결되는 배출단(O)이 형성되고, 외압에 의해 형체 변형되면서 상기 배출단(O)을 차단하여 증기를 개방부(H)를 통해 외부로 유출시키는 경로전환밸브(13b)가 마련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수단(13)에 포함된 단열체(13d)는 상기 히터하우징(13a)과 유격지면서 외부를 감싸는 함체형상으로서, 히터하우징(13a)의 양단과 볼트 결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청소기.
KR1020070055047A 2007-06-05 2007-06-05 스팀청소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62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047A KR100862580B1 (ko) 2007-06-05 2007-06-05 스팀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5047A KR100862580B1 (ko) 2007-06-05 2007-06-05 스팀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580B1 true KR100862580B1 (ko) 2008-10-09

Family

ID=40153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504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2580B1 (ko) 2007-06-05 2007-06-05 스팀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5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3135A (zh) * 2012-07-30 2012-10-24 苏州诚河清洁设备有限公司 蒸汽清洗机
WO2023008896A1 (ko) * 2021-07-27 2023-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256A (ko) * 2006-09-18 2006-10-17 김동현 스팀진공청소기
JP2007054352A (ja) 2005-08-25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20070027895A (ko) * 2005-08-30 2007-03-12 이기환 진공 및 스팀 청소기
KR20070037539A (ko) * 2005-10-01 2007-04-05 송혜선 스팀 발생 장치와 이를 가진 진공청소기
KR20070091418A (ko) * 2006-03-06 2007-09-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및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개폐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4352A (ja) 2005-08-25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KR20070027895A (ko) * 2005-08-30 2007-03-12 이기환 진공 및 스팀 청소기
KR20070037539A (ko) * 2005-10-01 2007-04-05 송혜선 스팀 발생 장치와 이를 가진 진공청소기
KR20070091418A (ko) * 2006-03-06 2007-09-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및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의 흡입공개폐방법
KR20060108256A (ko) * 2006-09-18 2006-10-17 김동현 스팀진공청소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3135A (zh) * 2012-07-30 2012-10-24 苏州诚河清洁设备有限公司 蒸汽清洗机
WO2023008896A1 (ko) * 2021-07-27 2023-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TWI860534B (zh) * 2021-07-27 2024-11-01 南韓商Lg電子股份有限公司 清掃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059109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US12256877B2 (en) Surface cleaning apparatus
KR200497014Y1 (ko) 표면 청소 장치
CN208677295U (zh) 表面清洁设备
CN102670138B (zh) 用于地板表面的抽取式清洁装置
CN103654631B (zh) 用于清洗地板表面的抽吸式清洗装置
KR100608666B1 (ko) 건/습식 겸용 청소기
KR100862580B1 (ko) 스팀청소기
US12096905B2 (en) Spot cleaner apparatus
JP2004188216A (ja) 吸引式清掃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清掃用アタッチメント
GB2419808A (en) Water storage container for wet/ dry vacuum cleaner
JP2005080973A (ja) クリーナ
KR100697080B1 (ko) 습,건식 겸용 업라이트 청소기
JP4089748B2 (ja) 食器洗い機
CN117677330A (zh) 吸尘器
KR970000319Y1 (ko) 증기 발생장치를 갖는 전기 소제기
KR101218445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청소기
KR100556815B1 (ko) 물청소기의 내부 건조장치
KR970000317Y1 (ko) 습건식 전기 소제기
KR100789224B1 (ko) 다기능 가정용 청소기
JP3115656U (ja) 乾湿両用掃除機
KR101250081B1 (ko) 청소기의 노즐
CN117597056A (zh) 吸尘器
KR20070058802A (ko) 스팀 겸용 진공청소기
KR20090015558A (ko) 진공청소 겸용 스팀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10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100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