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326B1 - Door glass grip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Door glass grip for automobi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1326B1 KR100861326B1 KR1020080045345A KR20080045345A KR100861326B1 KR 100861326 B1 KR100861326 B1 KR 100861326B1 KR 1020080045345 A KR1020080045345 A KR 1020080045345A KR 20080045345 A KR20080045345 A KR 20080045345A KR 100861326 B1 KR100861326 B1 KR 1008613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ut
- door glass
- supporting
- bolts
- suppo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369 Bras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1 br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4—Mounting of windo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4—Vertical mo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42)의 일단부 내에 슬라이더(12)로 체결되는 볼트(5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너트가 마련되고, 그 타단의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지지판(44) 중 어느 하나의 지지판(44) 내에 도어유리(4)를 고정시키는 볼트(5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너트가 각각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에 있어서, 상기 지지너트는 볼트(54,55)가 진행되는 방향 순서대로 제1너트부와 제2너트부가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나사산의 가공없이 너트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제조가 간편하게 되는 동시에 판너트에 의해 일정 토크 이상의 체결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더 이상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도어유리나 슬라이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지지판(44)이 플라스틱 소재의 로크너트 구조인 제2너트부에 나사 체결된 볼트가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이 역시 도어유리의 이탈 및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신뢰도가 향상되고 부품사용기간이 연장되어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glass grip for a vehicle, and a support nut for supporting a bolt (55) fastened by a slider (12) is provided in one end of a main body (42), and the other end is a pair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door glass grip for an automobile provided with supporting nuts for supporting the bolts 54 for fixing the door glass 4 in any one of the supporting plates 44 of the supporting plate 44, the supporting nuts are bolts 54. The first nut part and the second nut part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erence numeral 55 proceed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nut part without machining the thread, and at the same time, when the clamping force of a predetermined torque or more is applied by the plate nut, the tightening is no longer performed, and as a result, damage to the door glass or the slider can be prevented. Of course, the support plate 44 can prevent the bolts fastened to the second nut portion of the lock nut structure of the plastic material to be loosened by external vibration, etc. This also prevents the door glass from being detached and damaged. I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and prolong the service life of the parts, thereby reducing costs.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유리 그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중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본체 부분과 도어유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 부분에 각각 매립되는 지지너트를 이른바 로크너트 구조가 되도록 제1, 2너트부로 분리 구성하되 특히 이중 제1너트부는 판너트로 구성하여 볼트가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사산의 가공없이 너트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제조가 간편하게 되는 동시에 판너트에 의해 일정 토크 이상의 체결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더 이상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도어유리나 슬라이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로크너트 구조를 갖는 제2너트부인 지지판에 볼트가 삽입 진행되면서 나사산이 생성되므로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glass grip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a support nut embedded in a main body portion coupled to a slider of a main body and a pair of support plate portions supporting a door glass so as to have a so-called lock nut structure. In particular, the first nut part is composed of a plate nut, so that the bolt can be firmly supported, so that the nut part can be configured without the processing of the thread,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e and at least a certain torque by the plate nut. When the clamping force is applied, the fastening is no longer performed, and as a result, the door glass or the slid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as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which is the second nut part having the lock nut structure, the thread is generated. For automobile to prevent loosening due to vibration It relates to glass grip.
일반적으로 도어유리그립이라 함은 자동차의 도어 내에 설치되어 도어유리 레귤레이터에 의해 승강되면서 창문을 개폐시키도록 하는 도어유리를 고정 지지하여 슬라이더와 연결시켜 주기 위한 부품을 말한다.In general, the door glass grip refers to a part that is installed in the door of the vehicle and is fixed to the door glass to open and close the window while being lifted by the door glass regulator and connected to the slider.
한편, 일례로 도어유리 레귤레이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략적으 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door glass regulator as an example, as follows.
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 기술의 도어유리 레귤레이터는 크게 암식과 케이블식으로 나누어지며, 도 1의 암식 도어유리 레귤레이터의 구성을 우선 살펴보면, 하단에 섹터기어(102)를 설치하여 도어 인너 패널 또는 모듈화 패널(미도시)에 지지핀(104)으로 지지하고, 상기 섹터기어(102)를 도어 인너 패널 또는 모듈화 패널에 고정된 모터(105)에 의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지지핀(14)을 기점으로 축 회전되는 메인암(100)과, 이 메인암(100)의 중앙에 이 메인암(100)과 교차되게 핀(107)으로 지지하고 하단에 설치된 슬라이더(106')를 도어 인너 패널 또는 모듈화 패널에 고정된 서브암레일(108)에서 수평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서브암(106)과, 상기 메인암(100)과 서브암(106)의 상단에 설치된 슬라이더(109,109')에 안내되어 승강하는 가이드레일(110: 취부부재)과, 이 가이드레일(110)의 양단에 그 하단을 볼트(112)로 고정하고 상단에 삽입홈(미도시)을 형성한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40)과, 상기 삽입홈에 볼트(54)로 고정된 도어유리(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door glass regulator of the prior art is largely divided into a female type and a cable type.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female type door glass regulator of FIG. 1, the
이러한 구성의 암식 도어유리 레귤레이터는 모터(105)에 의하여 섹터기어(102)를 회전시키면 메인암(100)은 지지핀(104)을 기점으로 해서 상하 축 회전(즉, 상하 방향으로 시소운동)을 하게 되고, 이렇게 메인암(100)이 축 회전하게 되면 이에 연동하여 핀(107)이 위치이동을 하게 되면서 서브암(106)의 하단에 설치된 슬라이더(106')도 서브암레일(108)을 따라 수평운동을 하게 된다.In the female door glass regulator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그리고, 계속해서 그 상단의 슬라이더(109)도 핀(107)을 기점으로 축 회전하 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암(100)과 서브암(106) 상단의 슬라이더(109,109')가 가이드레일(110)에서 수평 운동을 하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이 가이드레일(110)은 균형을 유지한 상태로 상하 승강 운동을 하여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40)으로 고정된 도어유리(4)를 승강시키게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또한, 케이블식 레귤레이터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1)의 외측패널(2)과 내측패널(미도시)사이에 마련된 도어프레임(3)에 별도의 고정수단인 복수의 볼트(20)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 to 4, the cable type regulator includes a plurality of bolts as separate fixing means in the
이 도어유리 레귤레이터(10)는 그 상부 및 하부가 고정브라켓(21)과 볼트(20)에 의하여 도어프레임(3)에 고정되는 수직부재(11)와, 이 수직부재(11) 상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며 도어유리(4)의 하단에 고정되는 슬라이더(12)와, 권취롤러(13a)를 가지는 모터(13) 및 권취롤러(13a)에 귄취되는 동시에 양단이 수직부재(11)의 상, 하단을 경유하여 슬라이더(12)에 고정되는 와이어케이블(1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The
한편, 수직부재(11)의 양단에는 회전롤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어 모터(13)에 의해 회전되면서 슬라이더(12: 취부부재)를 승강시키는 와이어케이블(14)의 회전을 안내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both ends of the
그리고, 도어 프레임(3)에는 군데군데 큰 구멍이 마련되어 있어, 작업자가 이 큰 구멍을 통하여 도어유리 레귤레이터(10) 등과 같은 부속품들을 설치할 때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And the
이러한 구성의 도어유리 레귤레이터(10)는, 작업자가 도어유리(4)를 개방하 기 위하여 작동버튼(미도시)을 누르면, 모터(13)에 의해 권취롤러(13a)가 정 회전된다. 그러면, 이 권취롤러(13a)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케이블(14)은 권취롤러(13a)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케이블(14)의 양단에 고정된 슬라이더(12)는 도어프레임(3)에 고정된 수직부재(11)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In the
그리고, 도어유리(4)를 닫는 경우는 도어유리(4)의 개방 작동과 반대로 작동됨이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유리 레귤레이터(10)를 고정 설치하기 위한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수직부재(11)를 도어(1)의 외측패널(2)과 도어프레임(3)의 사이에 배치하고, 그런 다음 수직부재(11)의 상하부에 마련된 고정브라켓(21)과 도어프레임(3)에 형성된 고정공을 일치시켜 도어프레임(3)의 외측에서 복수의 볼트(20)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process for fixing the conventional
여기서, 도어유리 레귤레이터에서는 상기 도어유리(4)를 승강 슬라이딩 가능하게 상기 슬라이더(12)와 연결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일단부가 도어유리(4)를 고정 지지하고 그 타단부가 상기 슬라이더(12)에 고정되는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40)이 마련된다.Here, in the door glass regulator, the
이러한 종래 기술의 상기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40)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에 한 쌍의 지지판(44)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열되는 본체(42)가 마련되고, 이 지지판(44)의 내부에 도어유리(4)를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50)가 매립되어 있으며, 그 타단에는 상기 슬라이더(12)에 고정되는 볼트를 지지하기 위한 너트(48)가 매립되어 있다.The vehicle
도 4의 미 설명 부호 41 및 43은 상기 너트(48, 50)의 매립 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본체(42)를 일부 절개한 절개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어유리(4)는 그 하단 소정부에 복수의 관통공(4a)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도어유리(4)를 상기 한 쌍의 지지판(44) 사이의 유리삽입홈(46)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볼트(54)를 통해 도어유리(4)에 형성된 관통공(4a)을 통과시키고 볼트(54)의 진행방향 후방의 지지판(44)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너트(50)에 볼트(54)를 체결함으로써 도어유리(4)가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40)에 고정되게 된다.The
또한, 상기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40)의 타단에 형성된 너트(48)를 통해서는 상기 슬라이더(12)에 대해 별도의 볼트를 통해 체결함으로써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40)을 슬라이더(12)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rough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너트(5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일정 체결토크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가의 비금속물(황동, 알루미늄봉)을 2단 기둥 구조로 절단하여 너트헤드와 본체를 형성하여야 하고, 그 중앙에는 관통공을 천공하는 드릴링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그 관통공의 내주면에 다시 나사산(52)을 형성하는 탭핑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고, 또한, 탭핑 작업 후 탭핑로드를 다시 역회전시켜 너트(50)로부터 이탈시켜야 하는 등 너트(50)의 제작시간이 장시간 소요된다는 문제점과 제조원가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order to manufacture the
결국, 종래 기술의 너트(50) 제작시에는 절단, 드릴링, 탭핑 공정을 모두 거쳐야 하기 때문에 생산 수율이 매우 비효율적이었다.As a result, the production yield was very inefficient because the
또한,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40)은 도어유리(4)를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50)에 대해 상기 볼트(54)를 체결할 때 일정 체결력 이상으로 볼트(54)를 체결하게 되면, 상기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40)의 지지판(44)이 더욱 조여지면서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도어유리(4)가 파손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였었다.In addition, when the conventional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종래의 너트를 판너트(60) 구조로 함으로써, 즉 제조 과정에서 판재의 중앙을 관통하여 그 테두리에 체결 돌출부가 형성되게 하는 간단한 프레스 가공만으로 너트를 제작할 수 있어 수율이 매우 높고, 또한, 체결 돌출부의 구조가 볼트의 어느 한 요부와 이웃하는 철부에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어 일정 토크 이상의 체결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더 이상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함으로써 도어유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시되었었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Figure 5, by making the nut nut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nut, that is, a simple press to penetrate the center of the plat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o form a fastening protrusion on its edge Since the nut can be manufactured only by processing, the yield is very high, and the structure of the fastening protrusion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only one recessed part of the bolt and the neighboring iron part.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to protect the door glass by preventing it from falling.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은 나사산의 가공없이 너트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제조가 간편하게 되는 동시에 판너트에 의해 일정 토크 이상의 체결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더 이상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도어유리나 슬라이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는 있으나, 이러한 판너트에만 의존하는 너트부의 구성은 외부 진동에 의한 볼트의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없어 이러한 진동이 장시간 지속적으로 진행되는 동안 체결용 볼트가 이완되어 판유리가 파손되거나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However,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to configure the nut part without machining the thread, and at the same time, the manufacturing is simplified, and when the clamping force of a predetermined torque or more is applied by the plate nut, the tightening is no longer performed, resulting in damage to the door glass or the slider. Althoug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but the configuration of the nut portion that depends only on the plate nut can not prevent the loosening of the bolt due to external vibration, the fastening bolt is loosened during the long continuous vibration such plate glass is There was a problem such as being broken or detached.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체 중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본체 부분과 도어유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 부분에 각각 매립되는 지지너트를 이른바 로크너트 구조가 되도록 제1, 2너트부로 분리 구성하되 특히 이중 제1너트부는 판너트로 구성하여 볼트가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사산의 가공없이 너트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제조가 간편하게 되는 동시에 판너트에 의해 일정 토크 이상의 체결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더 이상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도어유리나 슬라이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로크너트 구조인 제2너트부는 지지판에 볼트가 삽입 진행되면서 나사산이 생성되어 체결된 볼트가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support nut embedded in the main body portion coupled to the slider of the body and the pair of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door glass, so as to have a so-called lock nut structure. Separately composed of 1 and 2 nuts, but the double first nut is composed of a plate nut so that the bolt can be firmly supported, so that the nut can be configured without the processing of the thread, so that the manufacturing is simple and the torque is fixed by the plate nut. When the above fastening force is applied, the fastening is no longer performed, and as a result, the door glass or the slid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second nut part of the lock nut structure is formed by threading while the bolt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plate. To prevent loosened bolts from loosening due to external vibration To provide the borrower glass door grips have a purpose.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은 본체의 일단부 내에 슬라이더로 체결되는 볼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너트가 마련되고, 그 타단의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지지판 중 어느 하나의 지지판 내에 도어유리를 고정시키는 볼트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너트가 각각 마련된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에 있어서, 상기 지지너트는 볼트가 진행되는 방향 순서대로 제1너트부와 제2너트부가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제1너트부는 판재 형상의 중앙에 체결공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 테두리가 진행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판너트 구조이고, 상기 제2너트부는 볼트의 나사산이 파고들어가 맞물리도록 그 내주면이 매끈하게 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oor glass grip for automobil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support nut for supporting the bolts fastened to the slider in one end of the main body, of the pair of support plate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of the other end In the door glass grip for automobiles, each of which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nut for supporting a bolt for fixing the door glass in one of the supporting plates, wherein the supporting nut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nut part and the second nut par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lt proceeds. The first nut part is a plate nut structure in which a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late shape and the fastening hole edge protrudes in the traveling direction, and the second nut part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that the screw thread of the bolt is engaged. It is this smooth struct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에 있어서, 상기 제2너트부는 상기 지지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지지판과 판너트의 이질재료에 따른 마찰저항값이 상이하므로 진동 등에 의한 풀림이 방지되는 구조로 된다.In addition, in the door glass grip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nut part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plate, and the frictional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heterogeneous material of the support plate and the plate nut is different to prevent loosening due to vibration. do.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에 있어서, 상기 제1, 2너트부 구조는 상기 슬라이더 체결용 볼트를 지지하는 지지너트에 적용되거나 또는/및 상기 도어유리 체결용 볼트를 지지하는 지지너트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door glass grip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nut structure is applied to a support nut for supporting the slider fastening bolt and / or a support nut for supporting the door glass fastening bolt. Is preferably applied to.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은 본체 중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본체 부분과 도어유리를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판 부분에 각각 매립되는 지지너트를 이른바 로크너트 구조가 되도록 제1, 2너트부로 분리 구성하되 특히 이중 제1너트부는 판너트로 구성하여 볼트가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사산의 가공없이 너트부를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제조가 간편하게 되는 동시에 판너트에 의해 일정 토크 이상의 체결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더 이상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도어유리나 슬라이더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로크너트 구조인 제2너트부에 나사 체결된 볼트가 외부의 진동 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이 역시 도어유리의 파손 및 이탈을 방지하여 제품신뢰도가 향상되고 부품사용기간이 연장되어 비용절감을 꾀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door glass gr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nut embedded in the main body portion coupled to the slider of the main body and a pair of support plate portions supporting the door glass, respectively, so that the lock nut structure is first, Two nut parts can be separated, but the double first nut part is made of plate nut so that the bolt can be firmly supported, so that the nut part can be configured without processing of the thread, which makes the manufacturing simple and at the same time, the plate nut tightens a certain torque or more. In this case, the fastening is no longer performed, and as a result, the door glass or the slid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nd the bolts fastened to the second nut of the lock nut structure are prevented from loosening due to external vibration. This also prevents damage and detachment of the door glass, improving product reliability. To obtain the effect, such as extending the components age to seek to reduce costs.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6 및 도 7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은 본체(42)의 일단부 내에 슬라이더(12)로 체결되는 볼트(5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너트가 마련되고, 그 타단의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지지판(44) 중 어느 하나의 지지판(44) 내에 도어유리(4)를 고정시키는 볼트(5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너트가 각각 마련되되, 이 지지너트는 볼트(54,55)가 진행되는 방향 순서대로 제1너트부(60)와 제2너트부(70)가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As shown in Figure 6 and 7, the door glass grip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pport nut for supporting the
여기서, 상기 제1, 2너트부(60,70) 구조는 상기 슬라이더 체결용 볼트(55)를 지지하는 지지너트에 적용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1, 2너트부(60,70) 구조는 상기 도어유리 체결용 볼트(54)를 지지하는 지지너트에 적용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2너트부(60,70) 구조는 상기 전체 지지너트에 대해 적용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Here, the first and
상기 제1너트부(60)는 판재 형상의 중앙이 관통되어 볼트(54,55)가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공(62)이 형성되고 이 체결공(62) 테두리가 진행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판너트 구조로 되어 있다.The
그리고, 상기 제2너트부(70)는 본체(42)와 지지판(44)의 자체 플라스틱 사출물에 볼트(54,55)보다 약간 작은 구멍의 사이즈로 된 구조가 되며 볼트(54,55)가 나사산을 생성하면서 파고 들어가 판너트와 다른 플라스틱의 탄성과 마찰저항으로 진동 등에 의한 풀림 방지가 되는 원관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제1너트부(60)인 판너트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판재 중앙에 볼트(54,55)가 체결되도록 관통된 체결공(6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체결공(62)의 테두리가 상방으로 돌출된 구조로서, 상기 체결공(62)의 돌출부는 그 상단에 각각 연장 원호 선상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54,55)의 외주연에 형성된 수나사의 나사산들이 각각 체결되기 위한 돌출상단면과 돌출하단면이 서로 너트의 피치선과 같이 단차지게 형성된 일반적인 판너트 구조를 갖는다.Here, looking at the plate nut structure, which is the
이하, 종래 기술에서 설명된 도어유리그립을 포함한 도어유리 레귤레이터의 구조와 작동 등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repeated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door glass regulator including the door glass grip described in the prior art will be omitt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은 종래의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과 동일한 형상으로, 그 본체(42)의 일단부 내에는 슬라이더(12)로 체결되는 볼트(55)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너트를 매립하고, 그 타단의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지지판(44) 중 진행 방향 후방의 지지판(44) 내에 도어유리(4)를 고정시키는 볼트(5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너트를 매립하여 도어유리그립의 제조를 완성한다.Automotive door glass gr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same shape as a conventional automotive door glass grip, the
여기서, 상기 지지너트는 볼트(54,55)가 진행되는 방향 순서대로 판너트인 제1너트부(60)와 원관 구조를 갖는 본체(42)나 지지판(44) 자체에 구멍이 볼트 사이즈 보다 작은 제2너트부(70)가 밀접하게 배치되어 있다.Here, the support nut has a hole smaller than the bolt size in the
이러한 도어유리그립은 본체(42)의 일단이 볼트(55)에 의해 슬라이더(12)에 고정되고, 그 타단의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판(44) 사이에는 일정간격 이격된 유리삽입홈(46)으로 도어유리(40)를 삽입하고 볼트(54)로 체결하여 도어유리그립으로의 도어유리(4)의 고정작업을 완성시킨다. The door glass grip has one end of the
이때, 상기 각 볼트(54,55)의 체결과정을 살펴보면, 일차적으로 각 볼트(54,55)가 판너트인 제1너트부(60)의 체결공(62)을 관통하는 동시에 이들의 나사 산이 상기 체결공(62)에 체결되고, 이에 곧바로 볼트(54,55)의 나사산이 제2너트부(70)의 내주면을 파고 들어가면서 서로 밀접하게 맞물리게 되면서, 그 결과 판너트에 의해 볼트(54,55)의 체결력이 과하게 되는 것이 억제하여 유리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본체(42)나 지지판(44) 자체 플라스틱에 나사산이 파묻히면서 밀접하게 서로 맞물려 나사산이 진동 등에 의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도어유리그립이 슬라이더(12)와 도어유리(4)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견고히 연결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looking at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bolts (54, 55), each of the bolts (54, 55) through the
도 1은 종래 기술의 암(arm)식 도어유리 레귤레이터가 설치된 도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oor in which an arm door glass regulator of the prior art is installed.
도 2는 종래 기술의 케이블식 도어유리 레귤레이터가 설치된 도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oor in which a cable-type door glass regulator of the prior art is installed.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3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FIG. 2.
도 4는 도 3의 도어유리그립을 나타낸 요부 절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utaway showing the door glass grip of Figure 3;
도 5는 종래 기술의 다른 지지너트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nother support nut structure of the related art.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의 지지너트 구조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support nut structure of a door glass gri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의 지지너트 구조에 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 support nut structure of a door glass grip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4 : 도어유리 10 : 도어유리 레귤레이터,4: door glass 10: door glass regulator,
12 : 슬라이더 40 : 자동차용 도어유리그립,12: slider 40: automotive door glass grip,
40a : 나사산 42 : 본체40a: Thread 42: Body
44 : 지지판 46 : 유리삽입홈44: support plate 46: glass insertion groove
48, 50 : 너트 54, 55 : 볼트48, 50:
60 : 제1너트부 70 : 제2너트부60: first nut part 70: second nut par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5345A KR100861326B1 (en) | 2008-05-16 | 2008-05-16 | Door glass grip for automobile |
PCT/KR2008/006507 WO2009069899A2 (en) | 2007-11-26 | 2008-11-05 | Door glass grip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5345A KR100861326B1 (en) | 2008-05-16 | 2008-05-16 | Door glass grip for automobi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1326B1 true KR100861326B1 (en) | 2008-10-01 |
Family
ID=4015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5345A Active KR100861326B1 (en) | 2007-11-26 | 2008-05-16 | Door glass grip for automobi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132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204348A (en) * | 2019-06-14 | 2020-12-24 | アズビル株式会社 | Screw fastening structure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90717A (en) * | 1995-04-20 | 1996-11-05 | Nifco Inc | Glass holder and window glass mounting method using glass holder |
JP2003221968A (en) | 2002-01-30 | 2003-08-08 |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 Holder for car window pane |
KR100402864B1 (en) | 2001-07-21 | 2003-10-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oor glass grip of an automobile |
KR100422879B1 (en) | 2001-10-23 | 2004-03-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ixing Device for Door Glass Breakage Prevention |
KR100461216B1 (en) | 2001-10-19 | 2004-12-14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Glass holder |
JP2005097878A (en) | 2003-09-22 | 2005-04-14 | Mazda Motor Corp | Glass fixing grommet |
KR100831616B1 (en) | 2007-11-26 | 2008-05-26 | (주)동화테크 | Automotive Door Glass Grip |
-
2008
- 2008-05-16 KR KR1020080045345A patent/KR10086132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90717A (en) * | 1995-04-20 | 1996-11-05 | Nifco Inc | Glass holder and window glass mounting method using glass holder |
KR100402864B1 (en) | 2001-07-21 | 2003-10-2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Door glass grip of an automobile |
KR100461216B1 (en) | 2001-10-19 | 2004-12-14 |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 Glass holder |
KR100422879B1 (en) | 2001-10-23 | 2004-03-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ixing Device for Door Glass Breakage Prevention |
JP2003221968A (en) | 2002-01-30 | 2003-08-08 |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 Holder for car window pane |
JP2005097878A (en) | 2003-09-22 | 2005-04-14 | Mazda Motor Corp | Glass fixing grommet |
KR100831616B1 (en) | 2007-11-26 | 2008-05-26 | (주)동화테크 | Automotive Door Glass Grip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20204348A (en) * | 2019-06-14 | 2020-12-24 | アズビル株式会社 | Screw fastening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051193A1 (en) | Window regulator system for a vehicle door assembly | |
US20180044968A1 (en) | Window regulator for vehicle | |
CA2890264C (en) | Methods for forming injection molding component and quarter window, guide rail, quarter window, vehicle door and vehicle | |
WO2017203811A1 (en) | Wire-type window regulator | |
KR100861326B1 (en) | Door glass grip for automobile | |
US6477808B1 (en) | Vehicle door module with integrated supporting panel | |
WO2009069899A2 (en) | Door glass grip for vehicle | |
CN210296029U (en) | Cable extrusion molding device | |
CN102278534A (en) | Multifunctional plastic clip | |
CN1751914A (en) | Front structure for vehicle | |
JP6393065B2 (en) | Wind regulator device | |
KR100831616B1 (en) | Automotive Door Glass Grip | |
WO2015156355A1 (en) | Window regulator device | |
CN103287345B (en) | A kind of general fixing equipment of the roof-rack being longitudinally arranged for motor vehicles | |
CN101680249B (en) | Drive rod assembly with at least one drive rod and at least one drive rod guide element | |
KR200430946Y1 (en) | Assembly structure of door module panel and door inner panel for automobile | |
CN220974346U (en) | Wheel fender that engineering vehicle used | |
KR101654849B1 (en) | Apparatus for lifting car window | |
CN211449874U (en) | Pipe clamp and mounting structure of pipe clamp | |
CN218165872U (en) | Put formula location dumbbell round pin outward | |
CN219406051U (en) | Bushing device for connecting ball seat of trailer | |
KR20130045438A (en) | Clamp device for holding window of power window ragulator | |
CN220615434U (en) | Mounting and positioning structure for triangular window of automobile | |
KR200295584Y1 (en) | vehicle spoiler and mounting structure of the vehicle spoiler | |
CN220241375U (en) | Automobile fender mounting to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5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9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1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