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1252B1 -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 - Google Patents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252B1
KR100861252B1 KR1020080010512A KR20080010512A KR100861252B1 KR 100861252 B1 KR100861252 B1 KR 100861252B1 KR 1020080010512 A KR1020080010512 A KR 1020080010512A KR 20080010512 A KR20080010512 A KR 20080010512A KR 100861252 B1 KR100861252 B1 KR 100861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s
emitting diode
constant current
resisto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인
Original Assignee
최승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인 filed Critical 최승인
Priority to KR1020080010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2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2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해서 만든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에 있어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트러블이 발생하여 점등하지 못할 경우에도 나머지 다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해서 만든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에너지(전력)를 절약할 수 있으며, 보수유지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원(AC전원, DC전원), 저항, 발광다이오드, 정전류수단,

Description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LIGHTING CIRCUIT OF LARGE NUMBERIGHT-EMITTING DIODE USING RESISTOR}
본 발명은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LED)를 조합해서 만든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에 있어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트러블이 발생하여 점등하지 못할 경우에도 나머지 다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킬 수 있는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해서 만든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은 일반적으로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불량 또는 그밖에 문제로 점등하지 못할 때 나머지의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킬 수가 없거나 또는 과전류로 인하여 발광다이오드의 수명이 많이 단축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해서 만든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을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3)(LED4,LED5,LED6)를 직렬과 병렬을 혼합하여 발광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전원부(1)에서 교류전원(Vac) 또는 직류전원(Vdc)을 인가여 사용했을 경우에 전류제한저항(R1)을 통해서 직렬과 병렬을 혼합하여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3)(LED4,LED5,LED6) 라인에 전류가 각각 균등하게 흐른다.
그런데, 이와 같이 직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3)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ED2)가 불량일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면 직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1,LED2,LED3) 라인의 발광다이오드 모두가 점등되지 않으므로 직렬로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4,LED5,LED6) 라인에는 정격전류보다 2배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발광다이오드(LED4,LED5,LED6)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직렬과 병렬을 혼합하여 연결된 발광다이오드(LED1, LED2, LED, LED4, LED5, LED6) 라인 중의 어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 전체를 빈번하게 교체하여야 하므로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LED1A, LED2A, LED3A, LED4A, LED5A)를 전원부(2)에 직렬로 연결해서 만든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을 구성하였을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A,LED2A,LED3A,LED4A,LED5A)에 전원부(2)에서 전류제한저항(R2)을 통해서 교류전원(Vac) 또는 직류전원(Vdc)을 인가하여 사용했을 경우에 전류제한저항(R2)을 통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A, LED2A, LED3A, LED4A, LED5A)에 전류가 흐른다.
그런데, 이와 같이 직렬로 연결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A, LED2A, LED3A, LED4A, LED5A)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불량일 경우에는 상기 발광다이 오드(LED1A, LED2A, LED3A, LED4A, LED5A)를 모두가 점등되지 않으므로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 전체를 빈번하게 교체하여야 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LED1B, LED2B, LED3B, LED4B, LED5B)를 전원부(3)에 병렬로 연결해서 만든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을 구성하였을 경우,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B, LEDB, LED3B, LED4B, LED5B)에 전원부(3)에서 전류제한저항(R3)을 통해서 교류전원(Vac) 또는 직류전원(Vdc)을 인가하여 사용했을 경우에 전류제한저항(R3)을 통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B, LED2B, LED3B, LED4B, LED5B)에 전류가 흐른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병렬로 연결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B, LED2B, LED3B, LED4B, LED5B)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불량일 경우에는 나머지 발광다이오드에 흐르는 전류가 정격전류보다 큰 전류가 흐르므로 나머지 발광다이오드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빈번하게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 전체를 교체하여야 한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해서 만든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에 있어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트러블이 발생하여 점등하지 못할 경우에도 나머지 다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킬 수 있는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해서 만든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일정할 수 있고, 에너지(전력)를 절약할 수 있고, 보수유지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는 교류전원 또는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 직렬로 순차적으로 접속된 제1,제2,제3ㆍㆍㆍ제n 저항과,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저항에 각각 접속되어 일정레벨의 정전류를 출력하는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과.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에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광되는 제1, 제2,제3ㆍㆍㆍ제n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에 의하면,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해서 만든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에 있어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중 어느 하나의 발광다이오드가 트러블이 발생하여 점등하지 못할 경우에도 나머지 다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해서 만든 등기구장치 또는 신호등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에너지(전력)를 절약할 수 있으며, 보수유지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는 등의 여러 가지 뛰어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는 스위치(SW) 온시에 교류전원(Vac) 또는 직류전원(Vdc)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10)에 직렬로 순차적으로 접속된 제1,제2,제3ㆍㆍㆍ제n 저항(R11,R12,R13,ㆍㆍㆍRn)과,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저항(R11,R12,R13,ㆍㆍㆍRn)에 각각 접속되어 일정레벨의 정전류를 출력하는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11,12,13ㆍㆍㆍn)과.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11,12,13ㆍㆍㆍn)에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11,12,13ㆍㆍㆍn)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광되는 제1, 제2,제3ㆍㆍㆍ제n 발광다이오드(LED21,LED22,LED23ㆍㆍㆍLED2n)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n은 1이상의 자연수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위치(SW) 온시에 상기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10)에 직렬로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제1,제2,제3ㆍㆍㆍ제n 저항(R11,R12,R13,ㆍㆍㆍRn)에 의해 폐회로를 구성하므로,상기 전원부(10)에서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저항(R11,R12,R13,ㆍㆍㆍRn)에 각각 교류전원(Vac) 또는 직류전원(Vdc)이 인가됨에 따라 폐회로내를 교류전류 또는 직류전류가 흐른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저항(R11,R12,R13,ㆍㆍㆍRn)의 양단에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11,12,13ㆍㆍㆍn)이 직렬로 각각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11,12,13ㆍㆍㆍn)에서 출력되는 일정레벨의 정전류가 제1, 제2,제3ㆍㆍㆍ제n 발광다이오드(LED21,LED22,LED23ㆍㆍㆍLED2n)를 통해서 흐르게 함으로서, 제1,제2,제3ㆍㆍㆍ제n 발광다이오드(LED21,LED22,LED23ㆍㆍㆍLED2n)를 점등시킨다.
그런데,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11,12,13ㆍㆍㆍn) 중에서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이 발생된 정전류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된 발광다이오드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나머지 정전류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된 발광다이오드만이 점등되지 않고, 나머지 정전류수단에 접속된 발광다이오드는 점등된다.
또한,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11,12,13ㆍㆍㆍn)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된 상기 제1, 제2,제3ㆍㆍㆍ제n 발광다이오드(LED21,LED22,LED23ㆍㆍㆍLED2n) 중에서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고장(개방 트러블)이 발생해도 개방 고장이 발생된 발광다이오드에만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점등되지 않으며, 나머지 발광다이오드는 일정레벨의 정전류가 흘러서 발광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는 전원부(10)에 직렬로 각각 접속된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저항(R11,R12,R13,ㆍㆍㆍRn) 중 어느 하나의 저항이 개방되는 고장이 나면 상기 전원부(10) 및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저항(R11,R12,R13,ㆍㆍㆍRn)에 의해 폐회로를 구성하므로,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저항(R11,R12,R13,ㆍㆍㆍRn)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11,12,13ㆍㆍㆍn)에서 정전류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11,12,13ㆍㆍㆍn)의 출력단에 각각 접속된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발광다이오드(LED21,LED22,LED23ㆍㆍㆍLED2n)가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모두 점등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정전류수단은 그 입력단에 퓨즈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정전류수단에 외부 요인에 의해 과전압 등이 인가되면 정전류수단의 입력단에 설치된 퓨즈가 먼저 끊어지므로, 정전류수단의 양단이 단락되는 경우가 전혀없고,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고장이 발생된다는 것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양단이 개방되는 고장을 의미하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단락되는 고장발생은 전혀 없으며, 저항이 고장 났다는 의미는 저항이 개방된 고장을 말하며, 저항이 단락되는 고장은 발생되지 않는 다.
그리고 본원 발명에서 정전류수단은 입력전원의 크기에 관련없이 일정한 전류를 출력하므로, 정전류수단의 출력단에 접속된 발광다이오드에는 일정한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를 통해서 흐르는 전류도 항상 일정한 전류가 흐르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제1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제2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제3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원부 11:제1 정전류수단
12:제2 정전류수단 13:제3 정전류수단
n:제n 정전류수단 R11:제1 저항
R12:제2 저항 R13:제3 저항
Rn:제n 저항 LED21:제1 발광다이오드
LED22:제2 발광다이오드 LED23:제3 발광다이오드
LED2n:제n 발광다이오드

Claims (1)

  1. 점등회로는 스위치(SW) 온시에 교류전원(Vac) 또는 직류전원(Vdc)을 공급하는 전원부(10)와, 상기 전원부(10)에 직렬로 순차적으로 접속된 제1,제2,제3ㆍㆍㆍ제n 저항(R11,R12,R13,ㆍㆍㆍRn)과,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저항(R11,R12,R13,ㆍㆍㆍRn)에 각각 접속되어 일정레벨의 정전류를 출력하는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11,12,13ㆍㆍㆍn)과.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11,12,13ㆍㆍㆍn)에 직렬로 접속되어 상기 제1,제2,제3ㆍㆍㆍ제n 정전류수단(11,12,13ㆍㆍㆍn)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광되는 제1, 제2,제3ㆍㆍㆍ제n 발광다이오드(LED21,LED22,LED23ㆍㆍㆍLED2n)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
KR1020080010512A 2008-02-01 2008-02-01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 Active KR100861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512A KR100861252B1 (ko) 2008-02-01 2008-02-01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512A KR100861252B1 (ko) 2008-02-01 2008-02-01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252B1 true KR100861252B1 (ko) 2008-10-02

Family

ID=4015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512A Active KR100861252B1 (ko) 2008-02-01 2008-02-01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2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1568A1 (en) * 2010-07-05 2012-01-05 Lee Keon Young Light emitting apparatus using ac le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749A (ko) * 2003-11-12 2005-05-17 (주)크레스라이트 발광다이오드용 정전류회로
KR20050097162A (ko) * 2004-03-31 2005-10-0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KR20060133445A (ko) * 2004-04-20 2006-12-2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전류구동장치, 백라이트 광원장치 및 컬러액정표시장치
KR20070049735A (ko) * 2005-11-09 2007-05-14 주식회사 유양정보통신 발광 다이오드 정전류 펄스폭 변조 구동 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749A (ko) * 2003-11-12 2005-05-17 (주)크레스라이트 발광다이오드용 정전류회로
KR20050097162A (ko) * 2004-03-31 2005-10-0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디스플레이
KR20060133445A (ko) * 2004-04-20 2006-12-26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정전류구동장치, 백라이트 광원장치 및 컬러액정표시장치
KR20070049735A (ko) * 2005-11-09 2007-05-14 주식회사 유양정보통신 발광 다이오드 정전류 펄스폭 변조 구동 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1568A1 (en) * 2010-07-05 2012-01-05 Lee Keon Young Light emitting apparatus using ac led
US8569961B2 (en) * 2010-07-05 2013-10-29 Kwangsung Electronic Industry Co., Ltd. Light emitting apparatus using AC LE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50440A1 (en) LED light string with guaranteed conduction
ES2579343T3 (es) Unidad de iluminación por LED con control del color y de la atenuación
TWI589183B (zh) 具有低耐壓元件的發光裝置
JPWO2007034680A1 (ja) Led照明装置
TWI422278B (zh) 照明裝置與其光源控制電路
EP2170011A2 (en) Vehicular lamp
KR20110068753A (ko) 발광 장치
KR100861252B1 (ko) 저항을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
KR100861250B1 (ko) 트랜스포머를 이용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점등회로
KR101761503B1 (ko) Led 조명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led 소자 보호회로
KR20090034419A (ko) 무극성 led 채널사인 유닛
TWI410177B (zh) 旁路保護電路及使用其的發光二極體驅動裝置
CN102483217A (zh) 光信号设备
CN101776222A (zh) 具有开/短路保护功能的led照明装置及照明电路
JP6582961B2 (ja) Ledランプ及び照明装置
ATE382530T1 (de) Elektrische schaltung für led signallampen mit einer schaltschwelle zum umschalten zwischen tages- und nachtbetrieb
RU114508U1 (ru) Светоди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5682949B2 (ja) Led点灯装置
US9307610B2 (en) Low power bypass circuit for LED open circuit and reverse polarity protection
KR100678561B1 (ko) 엘이디로 조명되는 연등의 점등장치
JP5567316B2 (ja) Led点灯装置
JP2000098941A (ja) 発光ダイオード複合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TWI472068B (zh) 適用於發光二極體的控制器以及相關之發光模組
KR100971789B1 (ko) 교류 엘이디 구동회로
KR101469819B1 (ko) 간판용 3구 led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25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