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60678B1 -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678B1
KR100860678B1 KR1020070053348A KR20070053348A KR100860678B1 KR 100860678 B1 KR100860678 B1 KR 100860678B1 KR 1020070053348 A KR1020070053348 A KR 1020070053348A KR 20070053348 A KR20070053348 A KR 20070053348A KR 100860678 B1 KR100860678 B1 KR 100860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ree ends
guide hole
elastic member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석
박성선
정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771,053 priority Critical patent/US7953464B2/en
Priority to EP07013578.5A priority patent/EP18793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67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하우징; 및 나선형 코일과, 상기 코일로부터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자유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유단들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자유단들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자유단들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자유단들 중 하나가 단말기의 하우징들 중 하나의 내부에 위치되어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기 용이하고, 가요성 인쇄회로를 배선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단말기, 슬라이딩, 탄성 부재, 가이드 홀

Description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이 폐쇄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이 개방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에 결합되는 전면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1 하우징이 개방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7에 도시된 전면 케이스에 힌지 가이드 캡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들이 서로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의 종류는 외형에 따라 바형(bar type)과 플립형(flip type)과 폴더형(folder 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본체 하우징(housing)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 수화부가 장착되는 형태로서, 데이터 입력 수단이 되는 키패드(keypad)가 항시 노출되어 있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확보 문제로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다.
플립형 단말기는 본체와, 플립과, 상기 본체와 플립을 연결시키는 힌지 모 듈(hinge module)로 구성된 형태로서, 상기 본체에 데이터 입출력 수단과 송수화부가 설치되며, 상기 플립이 상기 데이터 입력 수단인 키패드를 덮어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나, 플립형 단말기 역시 송화부와 수화부의 거리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형화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폴더형 단말기는 본체와, 폴더와, 상기 본체와 폴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모듈로 구성되어 상기 폴더가 회동하여 개폐되는 형태로서, 상기 폴더가 본체에 밀착된 통화대기 모드에서는 키패드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통화모드에서는 상기 폴더가 펼쳐져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폴더형 단말기가 점차 휴대용 단말기의 주종을 이루어 가는 추세이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의 디자인이 다양화되면서 두 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하우징이 다른 하나의 하우징 상에서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개폐되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상용화되는 추세이다.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에는 개폐 동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탄성 부재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면서, 하우징들의 회로 장치를 연결시키는 가요성 인쇄회로의 배선 경로를 확보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한편, 탄성 부재와 가요성 인쇄회로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한 쌍의 코일을 하나의 하우징에 수용하고, 각각의 코일로부터 자유단을 연장한 형태의 탄성 부재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탄성 부재는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 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한 쌍의 코일과 이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제작하기 위한 단가가 높아 단말기의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들 사이에서 탄성 부재와 가요성 인쇄회로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기 용이한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들 사이에 탄성 부재와 가요성 인쇄회로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면서, 그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하우징; 및
나선형 코일과, 상기 코일로부터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자유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유단들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자유단들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자유단들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하우징; 및
나선형 코일과, 상기 코일로부터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자유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유단들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자유단들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자유단들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상태로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하우징(102)을 구비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일부분이 개폐된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은 그 일면에 설치된 키패드(111)를 구비하며, 상기 키패드(111)의 일측에는 송화부(11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키패드(111)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개폐된다. 즉, 상기 키패드(111)는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의해 개폐되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일부분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키패드(111)는 주로 숫자, 문자 입력에 이용된다. 아울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양 측면, 하단면 등에는 메모리 슬롯, 인터페이스 커넥터, 볼륨 조절 키 등이 적절하게 분산 배치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그 일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121)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의 상측에는 수화부(123)가, 하측에는 기능성 키패드(12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태 정보, 메시지 수신, 촬영 화면, 상기 단말기(100)에 저장된 정보 등을 화면으로 출력하며, 상기 수화부(123)는 음향 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기능성 키패드(125)는 통화 시작/종료 키, 네비게이션 키, 메뉴 호출 및 선택/취소 키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단말기(100) 자체의 기능들을 선택, 활성화하는데 이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을 폐쇄시킨 때, 사용자는 상기 기능성 키패드(125)만 조작할 수 있으며, 간단한 게임을 즐기거나 수신 메시지나 단말기(100)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나 상기 수화부(12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하우징(101)이 폐쇄된 상태에서도 음악, 동영상 파일 등을 재생하여 상기 단말기(100)를 멀티미디 어 기기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이 개방된 때, 사용자는 상기 키패드(111)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키패드(111)는 숫자, 문자 등의 입력에 이용되므로, 상대방을 호출하여 음성통화를 하거나, 단문 메시지 작성/전송, 장문의 메일이나 문서 작성에 이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213)들에 의해 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된다. 다만,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을 상호 결속시키는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 부재(213)들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속시킬 수 있다면 상기 가이드 부재(213)들과 다른 형태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도 3 내지 도 6은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의 결속 구조와 상기 단말기(100)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전면 케이스(101a)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 케이스(102b)만 도시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을 상호 결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가이드 부재(213)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탄성 부재(204)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213)들은 각각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상측에 위치 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의해 항상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아울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위치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213)들은 각각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 케이스(102b)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슬라이드 홈(215)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부재(213)들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 케이스(102b)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게 결합된다. 이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가이드 부재(213)들의 지지를 받아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 후면 케이스(102b)의 상단과 하단 양측에는 각각 스토퍼 리브(223)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스토퍼 리브(223)들은 상기 가이드 부재(213)들과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204)는 그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타단이 상기 제2 하우징(102)에 각각 지지되고, 그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 부재(204)의 일단을 제1 자유단(243)이라 칭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타단을 제2 자유단(245)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 부재(204)는 나선형 코일(241)을 이용하여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며, 상기 코일(241)로부터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이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탄성 부재(204)는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탄성 부재(204), 구체적으로 상기 코일(241)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전면 케이스(101a)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 케이스(102b)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자유단(243)은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된 지지홀(211)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2 자유단은 상기 코일(241)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내측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내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 케이스(102b)에는 가이드 홀(221)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자유단(245)이 연장되는 경로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코일(241)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자유단(245)은 상기 가이드 홀(221)을 통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내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 홀(221)이 상기 코일(241)과 제2 자유단(245)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홀(221)은 상기 제2 자유단(245)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제2 자유단(245)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내주면에 지지된 그의 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코일(241)은 상기 제2 자유단(245)의 단부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되 는 것이다.
결국,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속되고 상기 탄성 부재(204)가 설치되면, 상기 코일(241)은 상기 가이드 홀(221)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코일(241)은 상기 가이드 홀(221)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자유단(245)은 상기 코일(241)과 중첩되기 때문에 상기 제2 자유단(245)이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 사이에 개재된다면, 그 직경만큼 단말기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탄성 부재(204)의 제2 자유단(245)이 상기 제2 하우징(102)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단말기(10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이 폐쇄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키패드(111)가 개방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개폐 동작을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204)의 제1 자유단(243)은 상기 제2 자유단(245)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204)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하향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 부재(213)들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상단부에 위치된 스토퍼 리브(223)들과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 징(102)은 더 이상 하향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을 폐쇄시킨 상태로 안정적인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점차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을 개방시키면, 상기 제2 자유단(245)도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자유단(243)에 점차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204)에 축적된 탄성력은 점차 증가되며, 이때의 탄성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하향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더 상향 이동하여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이 서로 가장 근접하는 지점을 지나면, 상기 탄성 부재(204)에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를 상향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전환된다.
도 6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향 이동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키패드(111)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향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213)들이 상기 제2 하우징(102) 하단부에 형성된 스토퍼 리브(223)들과 간섭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더 이상 상향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된다. 이때, 상기 탄성 부재(204)는 여전히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향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시킨 상태로 안정적인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탄성 부재(204)의 제1, 제2 자유단(243, 245)이 서로 가장 근접하는 지점이 존재하며, 상기 키패드(111)가 폐쇄된 지점과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이 서로 가장 근 접하는 지점의 사이에서는 상기 키패드(111)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발생되고, 상기 키패드(111)가 개방된 지점과 상기 제1, 제2 자유단(243, 245)이 서로 가장 근접하는 지점 사이에서는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때,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향 이동시키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향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키패드(111)를 다시 폐쇄시키고자 하는 때,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하향 이동시키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는 선행 실시 예의 제1, 제2 하우징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면서, 그 결합 구조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선행 실시 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요소들과 그 도면 부호를 참조하여 설명함에 유의한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폰은 아울러 제1, 제2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슬라이딩 동작이 구현되는데, 상기 제1 하우징은 전면(front) 케이스(501)와 후면(rear)케이 스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하우징으로 상부(upper) 케이스와 하부(lower) 케이스(502)로 구성된다.
도 7은 상기 제1 하우징, 제2 하우징(101,102)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결합구조를 명확하게 도시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lower) 케이스(502)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장착되는 전면 케이스(501)만 도시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전면 케이스(501)는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분리된 형태의 구성으로 개시되고 있으나, 상기 제1 하우징(101)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을 상호 결속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502)의 양 끝단에는 가이드 레일(521)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케이스(501)에는 양단에 슬라이딩 홈(511)을 가진 'ㄷ' 형상의 가이드 부재(512)가 제공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521)을 감싸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512)들은 각각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장착되는 전면 케이스(501)의 양 끝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의해 항상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512)들은 각각 그 내측에 슬라이드 홈(511)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 케이스(502)의 양측 가이드 레일(521)을 감싸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부재(512)들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 케이스(502)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게 결 합되고, 이로써,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가이드 부재(512)들의 지지를 받아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 하부 케이스(502)의 상단 양측에는 각각 스토퍼 리브(523)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스토퍼 리브(523)들은 상기 가이드 부재(512)들과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50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04)는 나선형 코일(541)을 이용하여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며, 그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타단이 상기 제2 하우징(10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 부재(503)의 일단을 제1 자유단(543)이라 칭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 부재(204)의 타단을 제2 자유단(545)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 부재(504)의 코일(541)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전면 케이스(501)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 케이스(502)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1 자유단(543)은 상기 전면 케이스(501)에 형성된 가이드 홀(513)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501)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스 프링 고정판(515)의 스프링 리벳(51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2 자유단(545)은 상기 코일(541)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후면 케이스(502)의 스프링 리벳(52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전면 케이스(501)에 형성된 가이드 홀(513)은 상기 제1 자유단(543)이 연장되는 경로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코일(241)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 자유단(543)은 상기 가이드 홀(513)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내측으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내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가이드 홀(513)이 상기 코일(241)과 제1 자유단(543)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홀(513)은 탄성 부재(504)의 코일부(541)가 이동하면서 지나게 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제2 자유단(545)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내주면에 지지된 스프링 리벳(517)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코일(241)은 상기 제1 자유단(543)의 단부를 중심으로 선회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속되고 상기 탄성 부재(504)가 설치되면, 상기 코일(541)은 상기 가이드 홀(513)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코일(241)은 상기 가이드 홀(513) 내에서 상기 가이드 홀(513)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나선 형상의 코일(541)과 상기 제1, 제2 자유단(543, 545)들 중 하나가 중첩되기 때문에 상기 탄성 부재(504)를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 사이에 개재시키면, 단말기의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탄성 부재(504)의 제1 자유단(543)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전면 케이스(501)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코일(541)이 상기 가이드 홀(513)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전면 케이스(501)과 동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말기(10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전면 케이스(50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512)는 상기 전면 케이스(501)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의 가이드 레일(521)을 감싸는 슬라이딩 홈(51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케이스(501)에는 상기 탄성 부재(504)의 제1 자유단(543)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 리벳(517)이 설치된 스프링 고정판(515)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504)의 코일(541)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하면서 상기 전면 케이스(501)와 동일한 평면에 위치될 수 있게 하는 가이드 홀(5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탄성 부재(504)의 코일(541)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가이드 홀(513)내에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탄성 부재(504)의 코일(541)의 두께로 인하여 단말기가 두꺼워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이 폐쇄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키패드(111)가 개방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기 단말기(100)의 개폐 동작을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 케이스(502)가 상기 전면 케이스(501)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504)의 제1 자유단(543)은 상기 제2 자유단(545)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 부재(504)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하향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전면 케이스(501)의 상기 가이드 부재(512)들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상단부에 위치된 스토퍼 리브(523)들과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더 이상 하향 이동할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을 폐쇄시킨 상태로 안정적인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하부 케이스(502)가 점차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면을 개방시키면, 상기 제2 자유단(545)도 상향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자유단(543)에 점차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504)에 축적된 탄성력은 점차 증가되며, 이때의 탄성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하향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더 상향 이동하여 상기 제1, 제2 자유단(543, 545)이 서로 가장 근접하는 지점을 지나면, 상기 탄성 부재(204)에 축적된 탄성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자동으로 상향 이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전환된다.
도 11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향 이동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키패드(111)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향 이동하여 탄성 부재(504)가 최대한 열리게 되면 상기 제2 하우징(102)은 더 이상 상향 이동하지 못하고 정지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시킨 상태로 안정적인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의 도면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동작이 되더라도 상기 탄성 부재(504)의 나선형 코일(541)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전면 케이스(501)의 가이드 홀(513) 내에서 동작이 되고 나선형 코일(541)은 전면 케이스(501)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를 슬림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탄성 부재(504)가 조립된 전면 케이스(501)와 상기 전면 케이스(501)를 덮는 힌지 가이드 캡(601)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힌지 가이드 캡(601)은 제2 하우징(102)이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해 슬라이딩 동작시에 단말기의 제1, 제2 하우징 사이로 이물질등이 끼워져서 슬라이딩 동작을 불능하게 만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성할 수 있다. 힌지 가이드 캡(601)은 전면 케이스(501)의 가이드 홀(513)을 포함한 상부를 덮음으로써 슬라이딩 동작시에 이물질등이 끼워져서 발생 가능한 슬라이딩 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수 있다.
결국,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탄성 부재(204)의 제1, 제2 자유단(543, 545)이 서로 가장 근접하는 지점이 존재하며, 상기 키패드(111)가 폐쇄된 지점과 상기 제1, 제2 자유단(543, 545)이 서로 가장 근접하는 지점의 사이에서는 상기 키패드(111)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발생되고, 상기 키패드(111)가 개방된 지점과 상기 제1, 제2 자유단(543, 545)이 서로 가장 근접하는 지점 사이에서는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때,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상향 이동시키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5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향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키패드(111)를 다시 폐쇄시키고자 하는 때,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하향 이동시키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5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는 코일과, 상기 코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자유단들을 구비하는 탄성 부재를 설치하되, 상기 자유단들 중 하나는 단말기의 하우징들 중 하나의 내부에 위치되어 동작을 하거나, 제1 하우징의 전면 케이스의 가이드 홀내에서 동작을 함으로써 전면 케이스외 동일한 높이를 유지함으로써 단말기의 두께를 줄이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더욱이, 하나의 탄성 부재만을 사용하여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동작을 구현함으로써, 탄성 부재의 설치 및 동작에 필요한 공간을 줄임으로써 가요성 인쇄회로를 배선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하나의 코일과 그로부터 연장된 자유단들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만을 사용하여 반자동 개폐동작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탄성 부재의 제작 비용을 절감하여 궁극적으로는 단말기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16)

  1.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 및
    나선형 코일과, 상기 코일로부터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자유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유단들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자유단들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자유단들 중 다른 하나가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원호 궤적을 따라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상기 코일은 상기 가이드 홀의 궤적을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전면 케이스와, 상기 전면 케이스의 후방에 결합되는 후면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후면 케이스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그 일면에 서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들이 각각 상기 후면 케이스의 양측단을 감싸는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케이스는 그 상단과 하단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스토퍼 리브들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리브들이 상기 가이드 부재들과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 범위를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8.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1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형성되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홀; 및
    나선형 코일과, 상기 코일로부터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자유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유단들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제1, 제2 하우징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자유단들 중 하나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자유단들 중 다른 하나가 상기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주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코일은 상기 가이드 홀의 궤적을 따라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그 일면에 스프링 고정판을 구비하고,
    상기 자유단들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스프링 고정판에 설치되는 스프링 리벳에 고정되어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스프링 고정판 주변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그 일면에 장착되는 전면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전 면 케이스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대면하게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에 상기 탄성 부재의 자유단들 중 하나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 리벳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면 케이스는 그 일면에 서로 나란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들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들이 각각 제2 하우징 하부 케이스의 양측단을 감싸는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나선형 코일은 상기 전면 케이스의 가이드 홀 내에서 상기 전면 케이스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전면 케이스에는 가이드 홀과 스프링 고정판을 덮을 수 있는 힌지 가이드 캡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부 케이스는 그 상단에 스토퍼 리브들을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 리브들이 상기 가이드 부재들과 간섭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 범위를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70053348A 2006-07-13 2007-05-31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60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71,053 US7953464B2 (en) 2006-07-13 2007-06-29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EP07013578.5A EP1879362B1 (en) 2006-07-13 2007-07-11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9802 2007-03-27
KR1020070029802 2007-03-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0678B1 true KR100860678B1 (ko) 2008-09-26

Family

ID=4002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3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0678B1 (ko) 2006-07-13 2007-05-31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6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656B1 (ko) * 2008-11-10 2015-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용 슬라이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677A (ko) 2005-03-14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70033679A (ko) 2005-09-22 2007-03-27 정길석 휴대폰용 슬라이드/회전 힌지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677A (ko) 2005-03-14 2006-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70033679A (ko) 2005-09-22 2007-03-27 정길석 휴대폰용 슬라이드/회전 힌지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9656B1 (ko) * 2008-11-10 2015-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용 슬라이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3464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US7184806B2 (en) Sliding module for mobile terminal
US8634884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663543B1 (ko) 팝-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
JP3959086B2 (ja) 移動通信端末機用スライダーアセンブリ
CN101631441A (zh) 便携式终端
KR100810267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CN101141500B (zh) 滑动式便携终端
KR10071342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819284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60678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99623B1 (ko) 슬라이드 다운 개폐방식의 휴대 단말기
KR10089974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US7499266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8006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80078187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100056862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856252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20080006728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800839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0066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0376765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20120064155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90055153A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9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