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146B1 - Nozzle - Google Patents
Nozz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60146B1 KR100860146B1 KR1020070050076A KR20070050076A KR100860146B1 KR 100860146 B1 KR100860146 B1 KR 100860146B1 KR 1020070050076 A KR1020070050076 A KR 1020070050076A KR 20070050076 A KR20070050076 A KR 20070050076A KR 100860146 B1 KR100860146 B1 KR 1008601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bric
- frame
- nozzle
- hot air
- porous be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0—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5/09—Removing liquids, gases or vapours from textile materials in association with treatment of th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by jets of ga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원단 유입부(10)에서 유입되는 직물원단(C)을 무단 다공성 벨트 컨베이어(22)에 의해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분사시켜 직물원단을 건조 및 축률 보정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다공성 벨트(23)를 횡단하게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 벨트(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된 하부노즐(24)로서, 그 길이방향(직물원단의 폭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직선형 열풍을 상기 다공성 벨트(23) 상으로 분출시키는 상기 하부노즐(24) 및 상기 상단측 다공성 벨트(23) 위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하부노즐(24) 각각에 마주하여 상기 다공성 벨트(23)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복수개의 상부노즐(25)로서, 그 길이방향(직물원단의 폭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직선형 열풍을 상기 다공성 벨트(23) 상으로 분출시키는 상기 상부노즐(25)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used in the device for drying and shrinkage correction of the fabric fabric by spraying hot air while transferring the fabric fabric (C) flowing from the fabric fabric inlet 10 by the endless porous belt conveyor 22 And lower nozzles 24 arranged in a plurality of longitudinal directions of the porous belt 23 to traverse the porous belt 23, wherein the straight hot air is stretched over the entir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bric fabric). It is disposed on the lower nozzle 24 and the upper side porous belt 23 to eject onto the porous belt 23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ous belt 23 fac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nozzles 24 A plurality of upper nozzles 25, comprising the upper nozzles 25 for blowing straight hot air onto the porous belt 23 over the entire length thereof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bric fabric). It is a.
Description
도 1은 본 실시예의 직물원단 건조 및 축률 보정장치에 대한 정면도, 1 is a front view of the fabric fabric drying and shrinkage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FIG.
도 3은 도 1의 직물원단 건조 및 축률 보정장치를 배출부를 제외한 상태에서 옆에서 본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fabric fabric drying and shrinkage correction device of FIG.
도 4는 도 1의 하부노즐에 대한 상세도,4 is a detailed view of a lower nozzle of FIG. 1;
도 5는 도 1의 상부노즐에 대한 상세도.5 is a detailed view of the upper nozzle of FIG.
본 발명은 직물원단 건조 및 축률 보정장치에 사용되는 노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펼친 상태로 놓여져 이송되어 오는 직물원단의 밑과 위에 배치되어 상기 직물원단을 향하여 열풍을 분사시키는 상부노즐과 하부노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zzle used for fabric fabric drying and shrinkage corr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s disposed on and under the fabric fabric which is placed in an unfolded state on a conveyor belt to inject hot air toward the fabric fabric. It relates to an upper nozzle and a lower nozzle.
통상적으로 직물원단제조후 직물원단은 원래의 길이보다 늘어나 있다.Typically, after fabrication, the fabric is stretched beyond its original length.
이렇게 늘어난 직물원단을 원래의 길이에 가깝게 보정하기 위해 종래에는 드럼타입의 건조 축률 보정기에서 드럼에 직물원단을 투입하여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회전되는 직물원단을 타격하여 대략 원래의 길이로 축률 보정하고 있었다.In order to correct the stretched fabric so close to the original length, conventionally, in the drum type dry shrinkage compensator, the fabric was put into the drum and the fabric was rotated while the drum was rotated to compensate for the shrinkage to the original length.
하지만, 이러한 드럼타입의 건조 축률 보정기는 직물원단의 원래의 길이에 107% 정도까지만, 직물원단제조후 직물원단을 축률 보정할 수 있었다.However, this drum type dry shrinkage corrector was able to axially correct the fabric after fabrication of the fabric, up to about 107% of the original length of the fabric.
하지만, 이러한 축률 보정은 상기 직물원단이 옷으로서 가공처리되어 사용자에게 시판되면, 사용자가 여러번 세탁할 경우 옷의 크기가 줄어드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this axial rate correction is when the fabric is processed as clothes and marketed to the user, a phenomenon that the size of the clothes is reduced when the user washes several times occurs.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과 동일자로 출원된 직물원단 건조 및 축률 보정장치를 발명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or has invented a fabric fabric drying and shrinkage correcting device filed with the same as the present application.
이 직물원단 건조 및 축률 보정장치에서, 하부노즐과 상부노즐은 컨베이어의 상단 벨트 밑과 위에 상기 벨트의 횡단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서로에 마주하게 배치되어, 상기 직물원단을 향하여 열풍을 분사시켜, 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어 오는 직물원단을 주기적으로 파형으로 만들었다가 펼쳐진 형상으로 자세전환시키어, 건조 및 축열보정처리한다.In this fabric fabric drying and shrinkage correcting device, the lower nozzle and the upper nozzle are arranged below and above the upper belt of the conveyor in the transversal direction of the belt and facing each other, injecting hot air toward the fabric fabric, The fabric fabric that is transported and taken is periodically made into a wave shape, and then transformed into an unfolded shape, and dried and stored in a heat storage correction process.
이러한 하부노즐과 상부노즐은 상기 직물원단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상기 직물원단의 폭보다 큰 길이를 갖고서 배치되어 일측에서 열풍을 공급받아 직물원단을 향하는 쪽에 상기 직물원단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노즐구멍을 통하여 그 열풍을 직물원단 쪽으로 분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e lower nozzle and the upper nozzle are arrange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fabric fabric has a length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abric fabric is supplied with hot air from one side is formed in a plurality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fabric fabric toward the fabric fabric The hot air is blown through the nozzle hole toward the fabric fabric.
하지만, 이러한 하부노즐과 상부노즐은 상기 직물원단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 노즐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직물원단의 폭이 긴 경우에는 일측에서 유입되는 열풍을 타측에 배치된 노즐구멍까지 열풍을 공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 가 있다.However, since the lower nozzle and the upper nozzle have a plurality of nozzle hole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abric fabric, when the width of the fabric fabric is long, hot air flowing from one side may be supplied to the nozzle holes arranged on the other sid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긴 길이에 걸쳐서 복수개 노즐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모든 복수개의 노즐구멍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는 하부노즐과 상부노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wer nozzle and an upper nozzle capable of supplying hot air to all the plurality of nozzle holes even though a plurality of nozzle holes are formed over a long length.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직물원단 유입부에서 유입되는 직물원단을 무단 다공성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시키면서 열풍을 분사시켜 직물원단을 건조 및 축률 보정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벨트를 횡단하게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된 하부노즐로서, 그 길이방향(직물원단의 폭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직선형 열풍을 상기 다공성 벨트 상으로 분출시키는 상기 하부노즐, 및 상기 상단측 다공성 벨트 위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하부노즐 각각에 마주하여 상기 다공성 벨트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복수개의 상부노즐로서, 그 길이방향(직물원단의 폭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직선형 열풍을 상기 다공성 벨트 상으로 분출시키는 상기 상부노즐을 포함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zzle for use in an apparatus for drying and shrinking a fabric fabric by injecting hot air while transferring the fabric fabric introduced from the fabric fabric inlet by an endless porous belt conveyor. A lower nozzle disposed across the belt and provid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ous belt, wherein the lower nozzle ejects straight hot air onto the porous belt over its entir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bric fabric); and A plurality of upper nozzles disposed on an upper porous belt and facing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nozzles, the plurality of upper nozzles arrang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rous belt, wherein the straight hot air is stretched over the entire length in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abric fabric); The upper nozzle which blows into a phase is includ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노즐과 하부노즐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upper nozzle and the lower nozz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도 1 및 도 2에는 직물원단 건조 및 축률 보정장치가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1 and 2, the fabric fabric drying and shrinkage correction device is indicated as 100.
상기 직물원단 건조 및 축률 보정장치(100)는 직물원단 유입부(10), 상기 직물원단 유입부(10)에서 유입되는 직물원단을 이송시키면서 상하로 뜨거운 공기를 분사시키는 가열/축률 보정부(20) 및 상기 가열/축률 보정부(20)에서 배출되는 직물원단을 건네어 받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배출부(30)를 포함하고 있다.The fabric fabric drying and
상기 가열/축률 보정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되어 있고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부(21a)과 공기를 유출하는 유출부(21b)가 수직방향으로 서로에 유통가능하게 구획형성된 기다란 챔버(21), 상기 챔버(21)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배치되어 상기 유입부(10)에서 유입되는 상기 직물원단(C)을 건네어 받아 상기 배출부(30) 쪽으로 이송시키는 무단 다공성 벨트 컨베이어(22), 상기 컨베이어(22)의 상단측 다공성 벨트(23) 밑에 배치되어 간헐적으로 뜨거운 공기를 상기 이송되어 오는 직물원단에 분사시키기 위해 상기 다공성 벨트(23)를 횡단하게 배치되어 상기 다공성 벨트(23)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마련된 하부노즐(24), 상기 상단측 다공성 벨트(23) 위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하부노즐(24) 각각에 마주하여 상기 다공성 벨트(23)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복수개의 상부노즐(25)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heating / axis
여기에서, 상기 복수개의 상부노즐(25)과 상기 복수개의 하부노즐(24) 각각은 상기 다공성 벨트(23)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노즐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가열/축률 보정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21)를 횡단하는 방향에서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챔버(21)의 유입부(21a)와 유 통하는 흡입부(21a')와 상기 챔버(21)의 유출부(21b)와 유통하는 토출부(21b')를 상기 다공성 벨트(23)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구비하고 있고, 상기 유입부(21a)에는 상기 유출부(21b)에서 유출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F)와 상기 여과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H)가 상기 다공성 벨트(23)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마련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흡입부(21a')에는 상기 유입부(21a)와 유통하여 상기 히터(H)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토출부(21b')에 토출시키는 흡입팬(40)이 상기 다송성 벨트(23)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토출부(21b')에는 상기 흡입팬(4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하부노즐(24)에 유입시키는 유도관(70)이 상기 다공성 벨트(23)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도관(70) 각각에는 유도관을 개폐하는 밸브(V)가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heating /
또한, 상기 밸브(V) 각각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21)의 길이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설된 회전축(S)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S)은 역전가능한 모터(M)에 의해 주기적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게 되어 있다.2 and 3, each of the valves V is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rotation shaft S rotatably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직물원단 건조/축률 보정장치는 펼쳐진 상태의 직물원단을 직물원단 유입부(10)에서 건네어 받아, 무단 다공성 벨트 컨베이어(22)에 의해 챔버(21) 내부를 관통하게 하여서 상기 배출부(30) 쪽으로 배출시킨다.Fabric fabric drying / shrinkage corr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assed the fabric fabric in the unfolded state from the
상기 펼쳐진 상태의 직물원단은 상기 챔버(21) 내에서, 상기 컨베이어(22)의 상단측 다공성 벨트(23) 상에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22)에 의해 이송될 시, 상기 상단측 다공성 벨트(23) 밑에 배치된 복수개의 하부노즐(24)과 상기 상단측 다공성 벨트(23) 위에 배치된 복수개의 상부노즐(25) 각각이 서로 한쌍으로 이루고서 고압열풍을 분출하여, 상기 컨베이어어(22)를 타고 이송되어 오는 직물원단에 타격을 준다.When the fabric fabric in the unfolded state is transferred by the
여기에서, 상기 복수개의 하부노즐(24)은 복수개의 히터(H)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복수개의 흡입팬(40), 복수개의 유도관(70)을 순서적으로 경유하여 열풍을 흡입하여 직물원단 밑을 향하여 분출시키며, 특히, 복수개의 유도관(70) 각각에 구비된 유도관(70)을 개폐하는 밸브(V)들이 동시에 상기 회전축(S)에 의해 주기적으로 일정 각도 회전되었다가 다시 원위치되어, 유도관(70)을 주기적으로 개폐하여, 직물원단 밑에 열풍이 분사되게 하며,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상부노즐(25)은 복수개의 히터(H)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복수개의 흡입팬(40), 복수개의 토출부(21b')를 순서적으로 경유하여 열풍을 흡입하여 직물원단 위를 향하여 분출시킨다.Here, the plurality of
이와 같은 복수개의 상하부 노즐(24, 25)에서, 직물원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22)를 타고 이송되면서, 상부노즐(25)에 의해 계속 열풍을 공급받고 하부노즐에 의해 간헐적으로 열풍을 공급받아 주기적으로 파형으로 되었다가 펼쳐진 형상으로 자세전환되면서, 건조 및 축열보정처리된다. In the plurality of upper and
여기에서, 상기 상부노즐(25)과 하부노즐(24)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Here, the
상기 하부노즐(24) 각각은,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다공성 벨트(23)를 횡단하게 상기 상단측 다공성 벨트(23) 밑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부노즐(25) 각각은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상단측 다공성 벨트(23) 위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노즐(24) 각각에 마주하여 마련되어 있다.Each of the
상기 하부노즐(2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직선형 열풍을 상기 다공성 벨트(23) 상으로 분출시키기 위해, 열풍의 흡입측인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직육면체의 틀체(241), 상기 틀체(241)의 내부를 대각선 방향으로 2등분하는 칸막이벽으로서 중앙부에 복수개의 개구(243)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칸막이벽(242), 및 상기 틀체(241)의 상단부 일측에 상기 틀체(241)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경사진 슬롯형 개구(244)를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 5, the
상기 경사진 슬롯형 개구(244)에는 서로 대칭적으로 마주하여 맞닿음된 2개의 파형바아들(247, 247)이 개재되어 있다.The inclined slot-
여기에서, 상기 경사진 슬롯형 개구(244)가 상기 틀체(241)의 상단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직물원단(C)의 전진방향으로 경사진 이유는 뒤에서 설명되는 상부노즐(25)에 직물원단(C)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직물원단(C)의 전진력과 하부노즐(24)에서 분출되는 열풍 분출력의 합력으로 인하여, 서로 마주하는 상부노즐과 하부노즐 간의 거리를 어느 정도 좁혀도, 직물원단이 상기 상부노즐에 접촉하기 않게 하기 때문이다. Here, the inclined
또한, 상기 경사진 슬롯형 개구(244)에 상기 파형바아들(247, 247)이 삽입된 이유는 상기 파형바아들과 상기 경사진 슬롯형 개구가 서로 협력하여 상기 경사진 슬롯형 개구(244)의 전장에 걸쳐서 균등한 개구들(246)을 형성시켜서, 상기 다공성 벨트(23)를 횡단하는 방향에서의 전장에 걸쳐 균일한 열풍을 직물원단(C)에 분출시키기 위함이다.Further, the reason why the
또한, 상기 칸막이벽(242)의 중앙부에 복수개의 개구(243)가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상기 직물원단(C)의 폭길이가 길고, 이에 따라 상기 직물원단(C)의 폭길이 전장에 걸쳐 뻗어 있는 상기 하부노즐(24)의 길이도 길어서, 일측에서 열풍을 흡입하여 상기 경사진 슬롯형 개구(244)를 통하여 배출하는 상기 하부노즐(24)이 열풍흡입측에 배치된 상기 개구들(246)을 통해서만 열풍을 배출시킬 염려가 있기 때문에, 열풍 흡입측에 인접한 상기 개구들(246)이 상기 틀체(241)와 칸막이벽(242)에 의해 구획형성된 상측공간(S1)을 통해서 열풍을 공급받아 열풍을 배출하게 하고, 열풍 흡입측에 대하여 멀리 배치된 상기 개구들(246)이 상기 틀체(241)와 칸막이벽(242)에 의해 구획형성된 하측공간(S2) 및 상기 개구(243)을 통해서 열풍을 공급받아 열풍을 배출하게 하기 위함이다.Further, the reason why the plurality of
상기 상부노즐(2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전장에 걸쳐서 직선형 열풍을 그리고 직물원단의 전진방향으로 C자형 열풍을 상기 다공성 벨트(23) 상으로 분출시키기 위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열풍의 흡입측인 일측이 개방되어 있고, 타측이 폐쇄되어 있으며, 단면 모양에서 밑면(251a)의 중앙에 밑쪽이 열린 C자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는 틀체(251); 상기 틀체(251)의 내부를 상하부의 공간으로 나누되, 상기 틀체(251)의 일측에서 타측 부근에 못미치는 부근까지 뻗어 있는 칸막이벽(252); 상기 칸막이벽(252)과 상기 틀체(251)에 의해 형성된 개구(253); 상기 밑면(251a)의 길이방향 전장(직물원단을 횡단하는 길이)에 걸쳐 그리고 상기 밑면(251a)의 폭방향 전장(직물원단이 이송되는 방향의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직물원단(C)을 향하고 있는 복수개의 노즐구멍(254); 상기 틀체(251)과 상기 칸막이벽(252)에 의해 구획형성된 상부공간(S3)을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개구(253)를 통하여 상기 틀체(251)과 상기 칸막이벽(252)에 의해 구획형성된 하부공간(S4)로 유도하기 위해 상기 틀체(251)의 타측 상단 모서리부에 가이드판(255)을 포함하고 있다.The
여기에서 상기 틀체(251)의 타측에 개구(253)를 형성시킨 이유는 상기 직물원단(C)의 폭길이가 길고, 이에 따라 상기 직물원단(C)의 폭길이 전장에 걸쳐 뻗어 있는 상기 상부노즐(25)의 길이도 길어서, 일측에서 열풍을 흡입하여 상기 노즐구멍(254)을 통하여 배출하는 상기 상부노즐(25)이 열풍흡입측에 배치된 상기 노즐구멍들(254)을 통해서만 열풍을 배출시킬 염려가 있기 때문에, 열풍 흡입측에 멀리 배치된 상기 노즐구멍들(254)이 상기 틀체(251)와 칸막이벽(252)에 의해 구획형성된 상부공간(S3)을 통해서 열풍을 공급받아 열풍을 배출하게 하고, 열풍 흡입측에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노즐구멍들(254)이 상기 틀체(251)와 칸막이벽(252)에 의해 구획형성된 하부공간(S4)을 통해서 열풍을 공급받아 열풍을 배출하게 하기 위함이다.Here, the reason why the
또한, 상기 틀체(251)가 단면 모양에서 밑면(251a)의 중앙에 상기 C자 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부노즐(25)의 복수개의 노즐구멍(254)가 직물원단을 향하고 있는 이유는, 상기 하부노즐(24)의 열풍분사에 의해 직물원단(C)이 상기 상부노즐(25)의 밑면에 접촉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The C-shaped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노즐에 의하면, 직물원단제조후의 직물원단을 건조 및 축률 보정할 시에, 직물원단이 벨트 위의 프레임 또는 상부노즐에 접촉하기 않게 되어 직물원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ozz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drying and shrinkage correction of the fabric fabric after the fabric fabric, the fabric fabric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ame or the upper nozzle on the belt can prevent damage to the fabric fabric.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0076A KR100860146B1 (en) | 2007-05-23 | 2007-05-23 | Nozz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0076A KR100860146B1 (en) | 2007-05-23 | 2007-05-23 | Nozz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60146B1 true KR100860146B1 (en) | 2008-09-24 |
Family
ID=4002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00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60146B1 (en) | 2007-05-23 | 2007-05-23 | Nozz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6014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68840A (en) * | 2012-09-05 | 2014-03-26 | 日星机械工业株式会社 | Hot wind spray nozzle of tenter and hot wind spray apparatus of tenter using the sam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26980A (en) * | 1993-11-04 | 1995-05-16 | Hirano Tecseed Co Ltd | Web heat treatment equipment |
JPH08232163A (en) * | 1995-01-31 | 1996-09-10 | Kurt Mueller |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shrinkage processing of fiber product |
KR200224650Y1 (en) | 2000-10-23 | 2001-05-15 | 이화기계공업주식회사 | hot air injection device |
KR20030005647A (en) * | 2001-07-09 | 2003-01-23 |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 Assembly structure of hot wind nozzle for dry machine |
KR20050058201A (en) * | 2003-12-11 | 2005-06-16 | 모에누스 텍스틸마쉬넨 게엠베하 |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a textile web |
-
2007
- 2007-05-23 KR KR1020070050076A patent/KR10086014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26980A (en) * | 1993-11-04 | 1995-05-16 | Hirano Tecseed Co Ltd | Web heat treatment equipment |
JPH08232163A (en) * | 1995-01-31 | 1996-09-10 | Kurt Mueller |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nd shrinkage processing of fiber product |
KR200224650Y1 (en) | 2000-10-23 | 2001-05-15 | 이화기계공업주식회사 | hot air injection device |
KR20030005647A (en) * | 2001-07-09 | 2003-01-23 |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 Assembly structure of hot wind nozzle for dry machine |
KR20050058201A (en) * | 2003-12-11 | 2005-06-16 | 모에누스 텍스틸마쉬넨 게엠베하 |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a textile web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668840A (en) * | 2012-09-05 | 2014-03-26 | 日星机械工业株式会社 | Hot wind spray nozzle of tenter and hot wind spray apparatus of tenter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29347B1 (en) | Hot air spray nozzle for tenter machine and hot air sprayer for tenter machine | |
KR20180037459A (en) |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TWI729209B (en) | Drying device | |
KR101358062B1 (en) | Wood drying apparatus | |
JP7430084B2 (en) | Printing device,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 |
JP6854330B2 (en) | Processing equipment for flexible long materials, especially thin film resins, transported through a processing furnace | |
JP475835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rying treated articles | |
KR100860146B1 (en) | Nozzle | |
KR101164949B1 (en) | Thermostatic desiccator unit | |
KR101492912B1 (en) | Apparatus for the heat treatment of a web of textile material | |
KR101075353B1 (en) | A hot air supplier for tenter | |
JP2016198255A (en) | Heat treatment device | |
KR20080103156A (en) | Fabric fabric drying and shrinkage correction device | |
US9995532B2 (en) | Self-cleaning jet tube | |
EP3033453B1 (en) | Fluid treatment unit for fabrics or cellulosic material as well as fluid treatment method | |
JP2020094726A (en) | Dryer | |
KR200399463Y1 (en) | textile drying device provided with an injection chamber for a textile coating machine | |
KR20160138653A (en) | Air knife module for drying substrate and Device for drying substrate comprising the same | |
JPH0199665A (en) | Hot air dryer for coating machine | |
KR200418197Y1 (en) | Agricultural products dryer | |
KR200416462Y1 (en) |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Drying Equipment | |
KR102037770B1 (en) | Drying apparatus for a flat glass | |
JP6506622B2 (en) | Food rapid cooling system | |
CN100557356C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inforcing fiber-bonded nonwoven fabrics | |
JP2002317376A (en) | Apparatus for drying or heat-treating web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9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9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