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58817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8817B1
KR100858817B1 KR1020070026188A KR20070026188A KR100858817B1 KR 100858817 B1 KR100858817 B1 KR 100858817B1 KR 1020070026188 A KR1020070026188 A KR 1020070026188A KR 20070026188 A KR20070026188 A KR 20070026188A KR 100858817 B1 KR100858817 B1 KR 100858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layer
discharge
substrate
partition wall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6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8817B1/ko
Priority to JP2007267079A priority patent/JP2008235244A/ja
Priority to US12/074,068 priority patent/US20080224612A1/en
Priority to CNA2008100857156A priority patent/CN101266907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8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881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54Means for exhausting the g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효과가 우수하고, 반사 휘도를 저감하여 신뢰성을 개선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판과, 기판상의 방전공간을 비방전 영역 및 방전 영역으로 구획하는 착색의 격벽과, 비방전 영역에 배치되는 착색의 제1 유전체층과, 방전 영역에 배치되는 백색의 제2 유전체층을 포함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반사 휘도, 발광효율, 착색 격벽, 착색 유전체층, 백색 유전체층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Ⅲ-Ⅲ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패널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상부 패널 160: 하부 패널
111: 제1 기판 113: 상부 유전체층
115: 보호층 120: 유지방전전극
171: 제2 기판 173: 어드레스 전극
175: 제1 하부 유전체층 177: 제2 하부 유전체층
179: 형광체층 180: 격벽
190: 방전 영역 195: 비방전 영역
본 발명은 배기 효과가 우수함과 동시에 반사 휘도를 저감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부 패널과 하부 패널 사이에 형성된 격벽이 복수 개의 방전셀들을 구획하고, 격벽상에 형광체를 도포하며, 각 방전셀 내에 네온(Ne), 헬륨(He) 또는 네온과 헬륨의 혼합기체(Ne+He)와 같은 주 방전 기체와 소량의 크세논을 함유하는 불활성 가스를 충전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주파 전압을 인가하여 불활성 가스로부터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시키고 진공자외선에 의해 형광체를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구현한다.
종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르면, 복수의 방전 영역을 형성하는 매트릭스 형의 격벽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 배기 통로가 없어 배기가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격벽 내에 배기 통로를 형성하는 이중격벽이 제안되었다. 상기 이중격벽은 격벽의 일부를 식각하여 하부 유전체층을 노출함으로써 격벽 내에 배기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형광체의 빛 반사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백색 계열의 하부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명실 컨트라스트를 높이기 위해 착색 격벽을 쓸 경우, 착색 격벽 사이 배기 통로에서 백색 계열의 하부 유전체층이 노출된다. 따라서 착색 격벽과 배기 통로 부분이 서로 달라 보이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명실 컨트라스트가 더 떨어지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기가 잘되면서 반사 휘도를 저감하여 신뢰성을 개선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가 잘되면서 반사 휘도를 저감하여 신뢰성을 개선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과, 기판상의 방전공간을 비방전 영역 및 방전 영역으로 구획하는 착색의 격벽과, 비방전 영역에 배치되는 착색의 제1 유전체층과, 방전 영역에 배치되는 백색의 제2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상기 비방전 영역은 배기 통로로서 기능을 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제1 유전체층은 기판의 전면에 배치되며, 제2 유전체층은 제1 유전체층 상에 배치되되 방전 영역에만 형성된다. 따라서, 기판의 비방전 영역에는 제1 유전체층이 형성되고, 기판의 방전 영역에는 제2 유전체층 및 제1 유전체층이 형성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격벽은 이중격벽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격벽은 가로 격벽 및 상기 가로 격벽을 가로지르는 세로 격벽을 포함하고, 가로 격벽은 이중격벽 구조를 갖는다. 이중격벽은 격벽의 일부를 하부의 유전체층이 노출되도록 식각함으로써 배기통로, 즉 비방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방전 영역은 제1 이중격벽 및 상기 제1 이중격벽과 인접한 제2 이중격벽 사이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격벽 및 상기 제1 유전체층은 외광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착색된 것으로, 착색 안료를 포함하며, 또는 Cr, Co, Mn, Ru, Cu, Sb 등과 같은 금속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제2 유전체층은 TiO2를 포함하여 방전 영역에서 형광체 빛 반사율을 증진하도록 백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착색은 갈색, 검은색 등의 검은 계열의 색을 포함한다. 또한, 백색은 순수한 흰색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착색보다 명도가 높은 반사 특성이 우수한 흰색 계열의 색을 포함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전체층은 상기 방전전극을 덮도록 상기 기판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은 기판상에 착색의 제1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기판상에 비방전 영역 및 방전 영역을 구획하는 착색의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기판상의 방전 영역에만 백색의 제2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은 기판상에 비방전 영역에만 착색의 제1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층 형성 후 격벽을 형성하거나, 또는 기판상에 제1 유전체층 형성 후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격벽은 이중격벽을 포함하여 배기통로인 비방전 영역을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Ⅱ-Ⅱ 단면도이고, 도 3은 Ⅲ-Ⅲ 단면도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부 패널(150) 및 하부 패널(160)을 구비한다.
상부 패널(110)은 제1 기판(111), 유지방전전극(120), 상부 유전체층(113) 및 보호층(115)을 구비한다.
하부 패널(160)은 제2 기판(171), 어드레스 전극(173), 제1 하부 유전체층(175), 제2 하부 유전체층(177), 형광체층(179) 및 격벽(180)을 구비한다.
제1 기판(111) 및 제2 기판(171)은 소다 라임 글래스(soda lime glass)와 같은 투명한 기판이나, 반투과성 기판이나, 반사성 기판이나, 착색된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기판(111)과 제2 기판(171) 사이의 방전 공간은 격벽(180)에 의해 구획된다. 격벽(180)은 X 방향으로 연장하는 가로 격벽(181)과 X 방향과 교차하는 Y 방향으로 연장하는 세로 격벽(183)을 구비한다. 가로 격벽(181)은 이중격벽으로 이루어져, 이중격벽 내에 비방전 영역(195)이 형성된다. 또한, 인접한 가로 격벽(181)들과 세로 격벽(183)에 의해 방전 영역(190)이 정의된다.
비방전 영역(195)은 배기를 원활하게 하는 통로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트라이프 형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방전 영역(195)에 지지대를 형성하여 매트릭스 형 등 다양한 형태의 비방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방전 영역(190)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로 격벽(181)과 세로 격벽(183)에 의해 매트릭스 형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전 영역(190)의 횡단면이 사각형 이외의 다른 다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제1 기판(111) 상에 X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복수의 유지방전전극(120)들이 배치된다. 유지방전전극(120)은 버스전극(121)과 투명전극(123)을 포함한다.
버스전극(121)은 투명전극(123)의 상대적으로 큰 저항값을 보상하여 복수 개의 방전셀들에 거의 동일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며, 예를 들어 크롬(Cr), 구리(Cu), 알루미늄(Al)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전극(123)은 방전셀 내에서 방전을 일으키고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가시광 투과율이 높고 전극 저항이 낮은 물질로, 예를 들어 인듐틴옥사이드 (Indium Tin Oxide; ITO)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 유전체층(113)은 유지방전전극(120)을 덮도록 제1 기판(111)에 구비된 다. 상부 유전체층(113)은 방전 전류를 제한하여 글로우 방전을 유지하고 벽전하 축적을 통해 메모리 기능과 전압을 저하하는 것으로, 투명한 유전체, 예컨대 PbO-B2O3-SiO2와 같은 고유전성의 소재를 이용하여 도포된다.
그리고 상부 유전체층(113)상에 보호층(115)이 형성된다. 보호층(115)은 하전 입자의 충돌로부터 상부 유전체층(113)을 보호하고 이차 전자 방출로 방전 전압을 낮추는 것으로, 산화마그네슘(MgO) 등이 사용된다.
제2 기판(171) 상에는 X 방향과 교차하는 Y 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복수의 어드레스 전극(173)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어드레스 전극(173)이 형성된 제2 기판(171)에 하부 유전체층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기판(171)의 전면에 착색의 제1 하부 유전체층(175)이 배치되고, 제1 하부 유전체층(175) 상의 방전 영역에만 백색의 제2 하부 유전체층(177)이 배치된다.
제2 기판(171) 전면에 1차로 착색의 제1 하부 유전체층(175)을 형성함으로써 하부 유전체층의 내전압을 향상할 수 있다.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TiO2 함유하지 않는 유전체층(착색의 유전체층), TiO2 3.1% 및 10% 함유하는 유전체층(백색의 유전체층)의 내전압을 측정하여 본 결과, TiO2 함유하지 않는 유전체층(착색의 유전체층)이 내전압이 약 10% 내지 20% 정도로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기판(171) 전면에 1차로 TiO2를 함유하지 않은 착색의 제1 하 부 유전체층(175)을 형성하고, 방전 영역(190)에만 TiO2를 함유하는 백색의 제2 하부 유전체층(177)을 형성함으로써 하부 유전체층의 내전압을 전체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TiO2 0% TiO2 3.1% TiO2 10%
내전압(V) 553 497 449
또한, 방전 영역(190)에는 제1 하부 유전체층(175) 및 제2 하부 유전체층(177)이 배치되고, 비방전 영역(195)에는 제1 하부 유전체층(175)만 배치되어, 방전 영역(190)의 바닥은 백색을, 비방전 영역(195)은 격벽과 같이 착색을 띈다. 따라서 방전 영역(190)의 형광체 빛 반사율을 증진할 수 있고, 비방전 영역(195)과 격벽(180)은 착색으로 형성됨으로써 외광 반사율을 감소하여 반사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전체층의 내전압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 제2 기판 전면에 제1 하부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방전 영역에는 백색의 제2 하부 유전체층 및 비방전 영역에는 착색의 제1 하부 유전체층을 더 형성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유전체층은 착색 안료를 포함하며, 또는 Cr, Co, Mn, Ru, Cu, Sb 등과 같은 금속을 함유하여 착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착색은 갈색, 검은색 등의 검은 계열의 색을 포함한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있어서, 제2 하부 유전체층은 TiO2를 포함하여 방전 영역에서 형광체 빛 반사율을 증진하도록 백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백색은 순수한 흰색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착색보다 명도가 높아 반사 특성이 우수한 흰색 계열의 색을 포함한다.
방전 영역(190) 내, 제2 하부 유전체층(177) 및 격벽(180) 상에 형광체층(179)이 배치된다. 형광체층(179)은 방전 가스로부터 발생된 자외선에 의하여 여기되어 가시광을 방출한다. 형광체층(179)은 풀 컬러 구현을 위해 방전 영역별로 적색 형광체층, 녹색 형광체층 및 청색 형광체층이 배치되며, 이와 같은 형광체층(179)의 종류에 따라 적색 방전셀, 녹색 방전셀 및 청색 방전셀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적색 형광체층은 Y(V,P)O4:Eu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하고, 녹색 형광체층은 Zn2SiO4:Mn, YBO3:Tb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하며, 청색 형광체층은 BAM:Eu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패널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격벽(180) 및 비방전 영역(195)은 착색되고, 방전 영역(190)은 백색을 띈다. 비방전 영역(195)의 바닥면에는 착색의 제1 하부 유전체층(175)이 배치되고, 방전 영역(190)의 바닥면에는 백색의 제2 하부 유전체층(177)이 배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전 영역(190)에서는 형광체의 빛 반사율을 증진하며, 격벽(180) 및 비방전 영역(195)이 모두 착색되어 반사 휘도를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기판의 전면에 1차적으로 제1 하부 유전체층(175)을 형성하고, 방전 영역(190)에만 선택적으로 제2 하부 유전체층(177)을 형성한다. 이는, TiO2를 함유하지 않는 착색의 제1 하부 유전체층(175)이 TiO2를 함유하는 백색의 제2 하부 유전체층(177)보다 내전압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2 기판에 전체적으로 제1 하부 유전체층(175)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어드레스 전극(173)이 형성된 제2 기판(171)에 제1 하부 유전체층(175)을 위한 제1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상기 제1 페이스트를 건조 및 소성한다. 이때, 상기 제1 페이스트의 건조 또는 소성 단계는 생략 가능하며, 제1 페이스트를 건조 또는 소성 단계를 생략하는 경우, 격벽(180)은 화학적 식각 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페이스트는 착색 안료 또는 Cr, Co, Mn, Ru, Cu 또는 Sb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하부 유전체층(175) 상에 격벽(180)용 제2 페이스트를 도포한 후, 소정 패턴으로 식각하여 제1 하부 유전체층(175)이 노출되도록 가로 격벽(181) 및 세로 격벽(183)을 형성한다. 가로 격벽(181)은 이중격벽으로 형성함으로써 가로 격벽(181) 내에 배기 통로인 비방전 영역(195)을 형성하고, 가로 격벽(181) 및 세로 격벽(183)에 의해 방전 영역(190)을 형성한다. 식각 방법으로 에칭액을 이용한 화학적 식각 또는 샌드 블러스트 방법에 의한 물리적 식각이 있다.
이후, 방전 영역(190)에만 백색의 제2 하부 유전체층(177)을 위한 제3 페이스트를 선택적으로 도포하고, 상기 제3 페이스트를 건조 및 소성한다. 또한, 비방전 영역(195)에 착색의 제1 하부 유전체층(175)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은, 제2 기판 전면에 1차적으로 상기 제1 페이스트를 도포, 건조 및 소성하여 제1 하부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방전 영역이 형성될 제1 하부 유전체층에 선택적으로 제2 하부 유전체층을 위한 제3 페이스트를 도포, 건조 및 소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식각함으로써 방전 영역의 제2 하부 유전체층이 노출되도록 및 비방전 영역의 제1 하부 유전체층이 노출되도록 격벽을 형성한다.
또는, 제2 기판 전면에 1차적으로 제1 하부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방전 영역이 형성될 제1 하부 유전체층에 제2 하부 유전체층을, 비방전 영역(195)이 형성될 제1 하부 유전체층 상에 착색의 제1 하부 유전체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착색 격벽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배기 통로를 형성할 수 있는 이중격벽을 형성하여 배기가 잘되는 효과와 동시에, 기판상에 착색의 제1 유전체층을 형성하고 방전 영역의 제1 유전체층 상에만 선택적으로 백색의 제2 유전체층을 형성함으로써 내전압 특성을 개선하고 반사 휘도를 저감하며 발광효율을 증진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신뢰성을 증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의 화면 표시영역 내의 방전공간을 비방전 영역 및 방전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
    상기 방전 영역에 해당하는 제1 기판 상에 배치되는 유지방전 전극쌍;
    상기 유지방전 전극쌍과 교차하여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어드레스 전극;
    상기 비방전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 유전체층; 및
    상기 방전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유전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과 상기 제1 유전체층은 상기 제2 유전체층 보다 명도가 낮은 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방전 영역은 배기 통로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층은 상기 방전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기판 상에 더 배치되고,
    상기 제2 유전체층은 상기 제2 기판 상의 방전 영역에 배치된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이중격벽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가로 격벽 및
    상기 가로 격벽을 가로지르는 세로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가로 격벽이 이중격벽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격벽에 의해 비방전 영역이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격벽과 상기 세로 격벽에 의해 방전 영역이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및 상기 제1 유전체층은 상기 제2 유전체층 보다 명도가 낮은 색을 나타내는 안료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및 상기 제1 유전체층은 Cr, Co, Mn, Ru, Cu 및 Sb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전체층은 TiO2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 이 패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전체층은 상기 어드레스 전극을 덮도록 상기 제2 기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화면 표시영역 내의 방전 공간을 방전 영역과 비방전 영역으로 구획한 격벽과, 상기 방전 영역에 배치된 유지방전 전극쌍과, 상기 유지방전 전극쌍과 교차하여 배치된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지방전 전극쌍이 배치되지 않아 유지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비방전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기판 상에 제1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전체층이 형성된 상기 제2 기판 상에 상기 방전 공간을 방전 영역과 비방전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유지방전 전극쌍이 배치되어 유지방전이 일어나는 상기 방전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제2 기판 상에만 제2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과 상기 제1 유전체층은 상기 제2 유전체층 보다 명도가 낮은 색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을 이중격벽으로 형성하여,
    상기 이중격벽 내에 비방전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삭제
  16.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의 화면 표시영역 내의 방전 공간을 방전 영역과 비방전 영역으로 구획한 격벽과, 상기 방전 영역에 배치된 유지방전 전극쌍과, 상기 유지방전 전극쌍과 교차하여 배치된 어드레스 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 상에 제1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전 영역에 대응하는 제2 기판 상에 배치된 상기 제1 유전체층 상에만 제2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유전체층과 상기 제2 유전체층이 배치된 상기 제2 기판 상에 상기 방전 영역과 상기 비방전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격벽과 상기 제1 유전체층은 상기 제2 유전체층 보다 명도가 낮은 색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을 이중격벽으로 형성하여,
    상기 이중격벽 내에 상기 비방전 영역이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070026188A 2007-03-16 2007-03-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58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188A KR100858817B1 (ko) 2007-03-16 2007-03-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267079A JP2008235244A (ja) 2007-03-16 2007-10-12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12/074,068 US20080224612A1 (en) 2007-03-16 2008-02-29 Plasma display panel (PDP)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CNA2008100857156A CN101266907A (zh) 2007-03-16 2008-03-13 等离子体显示面板(pdp)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188A KR100858817B1 (ko) 2007-03-16 2007-03-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8817B1 true KR100858817B1 (ko) 2008-09-17

Family

ID=3976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1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8817B1 (ko) 2007-03-16 2007-03-1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224612A1 (ko)
JP (1) JP2008235244A (ko)
KR (1) KR100858817B1 (ko)
CN (1) CN1012669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9473B2 (en) 2008-11-10 2011-08-16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444B1 (ko) * 2009-08-28 2011-1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N101764016A (zh) * 2009-11-20 2010-06-30 四川虹欧显示器件有限公司 一种省去彩色滤光膜的等离子显示屏
CN101807505A (zh) * 2009-12-31 2010-08-18 四川虹欧显示器件有限公司 等离子显示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3897A (ja) * 1998-01-28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放電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25729A (ko) * 2003-09-08 2005-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5100735A (ja) * 2003-09-24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5222914A (ja) * 2004-02-09 2005-08-18 Pioneer Electronic Corp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ラープラズマ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9253B2 (ja) * 1990-11-28 2002-02-25 富士通株式会社 フラット型表示装置の階調駆動方法及び階調駆動装置
US6097357A (en) * 1990-11-28 2000-08-01 Fujitsu Limited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EP1231590A3 (en) * 1991-12-20 2003-08-06 Fujitsu Limited Circuit for driving display panel
EP0554172B1 (en) * 1992-01-28 1998-04-29 Fujitsu Limited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025598B2 (ja) * 1993-04-30 2000-03-27 富士通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駆動方法
JP2891280B2 (ja) * 1993-12-10 1999-05-17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3224486B2 (ja) * 1995-03-15 2001-10-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3163563B2 (ja) * 1995-08-25 2001-05-08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424587B2 (ja) * 1998-06-18 2003-07-07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CN1230857C (zh) * 1999-12-21 2005-12-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等离子体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JP4069583B2 (ja) * 2000-03-28 2008-04-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3132805A (ja) * 2001-08-14 2003-05-09 Sony Corp プラズマ表示装置
JP2003197107A (ja) * 2001-12-25 2003-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7327083B2 (en) * 2003-06-25 2008-02-05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KR100528919B1 (ko) * 2003-08-18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외광 반사를 줄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3897A (ja) * 1998-01-28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放電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25729A (ko) * 2003-09-08 2005-03-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5100735A (ja) * 2003-09-24 2005-04-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5222914A (ja) * 2004-02-09 2005-08-18 Pioneer Electronic Corp カラー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ラープラズマ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9473B2 (en) 2008-11-10 2011-08-16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panel
KR101117696B1 (ko) * 2008-11-10 2012-0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66907A (zh) 2008-09-17
US20080224612A1 (en) 2008-09-18
JP2008235244A (ja) 200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881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1518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7619B1 (ko) 반사 휘도를 줄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856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824379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73020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13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70152590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88977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90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7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0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32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80315764A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80265771A1 (en) Plasma display panel
KR2005010428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80238313A1 (en) Plasma display panel
US20090184640A1 (en) Red phosphor composition and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KR2005010418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6793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418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6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6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80820

Appeal identifier: 2008101006871

Request date: 20080714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8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71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21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8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80819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9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