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7803B1 - Steam Generator and Dishwasher - Google Patents
Steam Generator and Dishwa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7803B1 KR100857803B1 KR1020070052694A KR20070052694A KR100857803B1 KR 100857803 B1 KR100857803 B1 KR 100857803B1 KR 1020070052694 A KR1020070052694 A KR 1020070052694A KR 20070052694 A KR20070052694 A KR 20070052694A KR 100857803 B1 KR100857803 B1 KR 1008578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ase
- steam
- steam generator
- dishwash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6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Substances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0216 calcium 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JLVVSXFLKOJNIY-UHFFFAOYSA-N Magnesium ion Chemical compound [Mg+2] JLVVSXFLKOJN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425 magnes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KWPZUCBCARRDP-UHFFFAOYSA-L calc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OC([O-])=O NKWPZUCBCARRD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20 calc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3 har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4—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04—Steam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and a dish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로 스팀을 공급하고, 물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케이스 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수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for providing a space for washing dishes, a steam generator including a case for supplying steam to the tub and accommodating water, and a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in the case. It may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의하면, 세척수와 스팀을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함으로써 식기를 안전하면서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퇴적되는 불순물량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ashing the dishes using the washing water and steam, not only can the dishes be safely and efficiently washed, but also the use of the washing water can be reduced, and the amount of impurities deposited inside the steam generator can be reduced. Can b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dish 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스팀 동작 사이클과 잔수의 불순물량에 대한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2 is a table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eam operation cycle and the residual amount of impuritie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수배출부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잔수배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ion of FIG.
도 6은 도 4의 잔수배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ion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터브 120: 도어110: tub 120: door
130 : 컨트롤 패널 200: 섬프130: control panel 200: sump
250, 260: 급수관 255,265: 급수 밸브250, 260:
280: 스팀 공급관 300 : 스팀발생장치280: steam supply pipe 300: steam generator
310: 케이스 320 : 제2 히터310: case 320: second heater
330: 수위 센서 340 : 잔수배출구330: water level sensor 340: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
350 : 잔수배출부350: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본 발명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generator for generating steam and a dishwasher having the same.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는 세척실 내에 놓여진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식기 표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질을 떼어냄으로써 자동으로 식기를 세척해주는 장치이다.A general dishwasher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washes dishes by spraying the washing water at a high pressure toward the dishes placed in the washing room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food residues on the surface of the dishes.
식기 세척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식기 표면에 붙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깨끗하게 떼어내는 세척 능력이다. 세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식기 표면의 이물질을 떼어내는 힘, 즉 세척수의 분사압을 높여 주어야 한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a dishwasher is its ability to clean off food debris from the surface of the dishwasher. In order to improve the cleaning abilit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orc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dish, that is, the spray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그러나, 세척수의 분사압이 너무 높으면 식기가 손상되고 깨지기 쉬울뿐만 아니라, 높은 분사압으로 식기를 세척하게 되면 식기를 세척하는데 소비되는 세척수의 양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f the jet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s too high, not only the dishes are damaged and fragile, but when the dishes are washed at a high jet pressur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consumed to wash the dishes increases.
본 발명은 식기를 안전하면서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식기 세척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safely and efficiently wash dishes, but also provides a dishwasher capable of reducing the use of washing water.
또한, 본 발명은 스팀을 발생시키며, 내부에 퇴적되는 불순물량을 줄일 수 있는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am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steam and reducing the amount of impurities deposited therein, and a dish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와, 상기 터브로 스팀을 공급하고, 물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스팀발생장치와, 상기 케이스 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수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 for providing a space for washing dishes, a steam generator including a case for supplying steam to the tub and accommodating water, and a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in the case. It may inclu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수배출구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바닥면보다 소정위치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수배출구는 상기 스팀발생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 may be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am generator. More preferably,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 may be provided below the heater which is provided in the steam generator to generate steam by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ca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잔수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는 잔수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잔수배출부의 소정위치에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connected to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 to discharge water contained in the case, and a pump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art.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물을 상기 터브로 배출하거나, 상기 식기세척기의 배수관으로 배출하거나, 상기 식기세척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The remaining water discharge unit may discharge the water contained in the case to the tub, discharge to the drain pipe of the dishwasher, or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dishwasher.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는 물을 수용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와, 상기 케이스 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수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se for receiving water, a heater for generating steam by heating the water contained in the case, and a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water in the c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수배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서 소정위치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수배출구는 상기 히터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 may be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More preferably, the residual water outlet may be located below the heat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의하면, 세척수와 스팀을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함으로써 식기를 안전하면서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 척수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스팀발생장치 내부에 퇴적되는 불순물량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washing the dishes using the washing water and steam, not only can the dishes be safely and efficiently washed, but also the use of the wash water can be reduced, and impurities deposited inside the steam generator are You can reduce the quantit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대한 일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structure of one embodiment for a dish 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는, 예를 들어,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0), 상기 케이스(100)를 개폐하는 도어(120), 사용자가 상기 식기 세척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00) 또는 도어(120)에 장착되는 컨트롤 패널(130)이 구비된다.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식기가 수납되어 세척되는 공간인 세척실(150)이 터브(110)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터브(110)의 아래에는 세척수가 저장되는 섬프(200)가 배치된다. In the
상기 섬프(200)에는 상기 섬프(200) 내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210)와 오염된 세척수를 여과하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섬프(200)에는 저수된 세탁수를 가열하는 제1 히터(290)가 구비된다.The
상기 섬프(200)에는 신선한 물을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제1 급수관(250) 및 상기 섬프(200) 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270)이 연결된다. 상기 급수관(250)에는 상기 섬프(200)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제1 급수 밸브(255)가 설치된다.The
상기 터브(110)의 내부, 즉 상기 세척실(150)에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 및 상기 펌프(21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향해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사 암이 배치된다. In the
참고로, 도 1에는 상기 세척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선반(160)과 하부 선반(170)이 배치되고, 상부 분사암(230)과 하부 분사암(220)이 각각 상기 상부 선반(160)과 하부 선반(170)을 향해 상기 펌프(210)에 의해 펌핑된 물을 분사하도록 배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펌프(21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상기 세척실(150)의 상부에서 하부로 분사하는 탑 노즐(240)이 상기 세척실(15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in FIG. 1, an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상기 세척실(150)에는 상기 펌프(210)와 상기 분사암(230,220)에 의해 세척수가 분사될 뿐만 아니라, 스팀이 분사 또는 공급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는 상기 세척실(150)로 공급하기 위한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300)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스팀발생장치(300)는 상기 섬프(210)에 구비된 제1 히터(290)와는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스팀 발생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급수관(260)에 의해 상기 제1 급수관(250)과 연통되며, 스팀 공급관(280)에 의해 상기 터브(110) 내의 세척실(150)과 연통된다. 상기 제2 급수관(260)에는 상기 스팀 발생장치(300) 내로의 급수를 제어하는 제2 급수 밸브(265)가 설치된다.The
상기 스팀 발생장치(300)에는 급수된 물을 수용하는 케이스(310), 상기 케이 스(310)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는 제2 히터(320) 및 상기 케이스(310) 내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수위 센서(330)가 구비된다. 상기 수위 센서(330)는 예를 들어 저수위와 고수위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The
상기 저수위는 상기 스팀 발생장치(300) 내의 제2히터(3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으로서, 대략 상기 제2히터(320)가 설치된 위치보다 높은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수위는 상기 스팀 발생장치(300) 내로 급수된 물이 상기 스팀 발생장치(300)로부터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다.The low water level is set to promote safety by preventing the
또한, 상기 스팀발생장치(300)에는 스팀을 원하는 시간에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스팀 공급관(280)의 개폐를 제어하는 스팀공급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한편, 식기 세척기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미도시)는 상기 컨트롤 패널(130), 상기 펌프(210), 그리고 상기 스팀 발생장치(300)와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식기 세척기의 운전을 제어한다.On the other hand, a control device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dishwasher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ly operated components such as the
예를 들어, 상기 제어장치는 식기 세척기를 운전하는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제1 히터(290), 제2 히터(310), 펌프(210), 스팀발생장치(300) 등을 제어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controls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사용자가 식기세척을 수행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선반(160)(170)에 식기를 수납하고서 도어(120)를 닫는다.First, when the user intends to perform dish washing, the
그리고, 상기 컨트롤패널(130)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식기세척의 상태를 조작하고 동작을 시작하면, 식기세척기의 동작이 진행된다. Then, when the user operates the desired state of dish washing by operating the
한편, 상기 터브(110)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세척수의 유동순서를 중심으로 식기세척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상기 분사암(220)(230)과 탑노즐(240)에서 분사된 세척수는 선반(160)(170)에 놓인 식기를 세척한 뒤에, 하방으로 떨어져서 섬프(200)로 유동한다. 그리고, 섬프(200) 내에 저장된 세척수는 상기 펌프(210)에 의해 가압되어 다시금 분사암(220)(230)과 탑노즐(240)로 공급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dishwasher centering on the flow order of the washing water flowing in the
이와 같이, 상기 섬프(200)에서 분사암(220)(230)과 탑노즐(240)로 세척수가 순환되는 도중에는 필터(미도시)에 의해서 음식물 찌꺼기가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세척수가 과다 오염되거나 노즐이 막히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As such, while the washing water is circulated from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스팀을 이용하는 세척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팀을 이용하는 세척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팀발생장치(300)에서 발생된 스팀이 상기 스팀공급관(280)을 통하여 상기 세척실(150)로 공급되는 상태가 더 진행된다. In addition,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washing process using steam. In order to perform the washing process using the steam as described above, the steam generated by the
그러면, 스팀의 고온다습한 특징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세척효율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스팀과 세척수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하면 스팀에 의해서 식기에 굳어있는 오물 등이 불려질 수 있고, 그 상태에서 고압의 세척수가 분사되면 식기에 굳어있는 오물 등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Then,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washing efficiency of the dishwasher can be additionally obtained by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of the steam. For example, when washing dishes using steam and washing water, dirt that is hardened on the dishes may be called by steam, and when high pressure washing water is sprayed in the state, dirt, which is solidified on the dishes, may be easily remov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의하면, 세척수의 분사압을 높이지 않고도 식기에 고착화된 오물 등을 제거할 수 있어서, 식기를 안전하면서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irt and the like fixed to the tableware without increasing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efficiently wash the dishes, and also reduce the use of the washing water. have.
이하에서는 상기 스팀발생장치(300)의 작동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먼저, 상기 세척실(150)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2급수밸브(265)에 의해 상기 케이스(310) 내로 물이 급수된다. 이때, 상기 수위센서(330)에 의해 고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케이스(310) 내로의 물의 급수는 중단된다.First, water is supplied into the
그리고, 상기 제2히터(320)는 상기 케이스(310)에 수용된 물을 가열되어 스팀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스팀은 상기 스팀공급관(280)을 통해 상기 세척실(150)로 공급된다. In addition, the
이때, 스팀발생에 의해 상기 케이스(310) 내의 물의 수위가 줄어들게 되어 상기 수위센서(330)에 의해 저수위가 감지되면, 상기 제2히터(320)의 작동은 중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310) 내의 물의 수위가 저수위인 경우에 상기 제2히터(320)를 중단하는 이유는 상기 제2히터(320)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을 도모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water level in the
그리고, 상기 제2급수밸브(265)에 의해 상기 케이스(310) 내로 물이 재급수되어 상기 수위센서(330)에 의해 고수위가 감지되면 급수는 중단되고, 상기 제2히터(320)에 의해 스팀이 발생된다.When water is resupplied into the
상기와 같은 스팀동작 사이클을 이루는 스팀발생장치(300)의 작동에 있어서, 스팀동작 사이클이 증가될수록 상기 케이스(310) 내에는 불순물량이 증가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상기 스팀발생장치(300)에 공급되는 물에 녹아있는 탄산수소칼 슘(Ca(HCO3)2)이 시간이 지나거나 가열되면 석회(탄산칼슘(CaCO3) 등)가 석출될 수 있되기 때문이다. 특히, 유럽 및 미주지역의 물은 경도가 높은 경수이므로 이러한 현상이 심할 수 있다. In the operation of the
즉, 스팀동작 사이클이 증가될수록 상기 케이스(310) 내에 퇴적되는 석회(탄산칼슘(CaCO3) 등)와 같은 불순물량은 증가하게 되는데, 특히 저수위 이하의 잔수의 경우에는 상기 불순물량의 농도가 더욱 증가하게 되고, 이는 상기 제2히터(320)의 손상 및 스팀발생장치(300)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석회에 의하여 상기 제2히터(320)의 부식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That is, as the steam operation cycle is increased, the amount of impurities such as lime (calcium carbonate (CaCO 3 ), etc.) deposited in the
따라서, 상기 케이스(310) 내의 잔수 등에 녹아있는 칼슘, 마그네슘 이온 등을 미리 제거하여 석회 등의 석출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remove calcium, magnesium ions, and the like dissolved in the residual water in the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300)에는 상기 케이스(310) 내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수배출구(340)와, 상기 잔수배출구(340)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310) 내의 물을 배출하는 잔수배출부(3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잔수배출구(340)와 잔수배출부(35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o this end, the
도 2는 스팀 동작 사이클과 잔수의 불순물량에 대한 관계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2 is a chart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eam operation cycle and the residual amount of impurities.
여기서, X축은 스팀발생장치(300)의 스팀운전 사이클 횟수를 나타내고, Y축은 상기 스팀발생장치(300) 내에 퇴적된 석회 등과 같은 불순물량을 나타낸다. 그리고, A는 상기 스팀발생장치(300) 내의 잔수를 제거하지 않은 경우이고, B는 잔수 를 제거한 경우이다.Here, the X axis represents the number of cycles of the steam operation cycle of the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팀발생장치(300)의 스팀운전 사이클이 증가할수록, 상기 스팀발생장치(300) 내의 잔수를 제거하는 경우(B)가 그렇치 않은 경우(A)보다 상기 스팀발생장치(300) 내에 퇴적되는 불순물량이 훨씬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s the steam operation cycle of the
따라서, 상기 스팀발생장치(300) 내의 잔수를 제거하는 것이 상기 스팀발생장치(300) 내에 퇴적되는 불순물량을 줄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Therefore, removing residual water in the
한편, 상기 스팀발생장치(300) 내의 잔수를 제거하는 단계는 스팀운전 사이클 전에 이루어지거나, 스팀운전 사이클 중이나 하나의 스팀운전 사이클이 끝날 때마다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스팀세척이 종료된 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of removing the residual water in the
이하에서는, 상기 스팀발생장치(300) 내의 잔수를 제거하기 위한 잔수배출구(340)와 잔수배출부(35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sidual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300)에는 상기 케이스(310) 내에 수용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잔수배출구(3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잔수배출구(340)는 상기 케이스(310)의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케이스(310) 내의 잔수를 완전히 배출할 수 있어서, 상기 케이스(310) 냉 퇴적되는 불순물량을 더욱 줄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잔수배출구(340)는 상기 바닥면보다 소정위치 높은 곳(h)에 위치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잔수배출구(340) 가 상기 케이스(310)의 바닥면에 위치한다고 하더라도 어느정도 불순물의 발생을 피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스(310) 내의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소정의 펌프(351, 도4참조)가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스(310) 내에 퇴적되는 불순물 중 큰 입자는 상기 케이스(310) 바닥에 퇴적되기 때문에, 상기 잔수배출구(340)가 상기 케이스(310)의 바닥면에 위치하면 큰 입자를 가진 불순물이 상기 펌프(351, 도4참조)로 유입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펌프(351,도4참조)가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Preferably, as shown in FIG. 3, the
또한, 본 발명자의 연구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상기 잔수배출구(340)가 상기 케이스(310)의 바닥면보다 소정위치 높은 곳(h)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잔수배출구(340)를 통해 상기 케이스(310) 내의 잔수를 제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는 상기 케이스(310) 내에 퇴적되는 불순물의 양은 상기 잔수배출구(340)가 위치한 곳까지는 퇴적되지 않는다. Further,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따라서, 상기 잔수배출구(340)의 위치를 상기 케이스(310)의 바닥면보다 소정위치 높은 곳(h)에 위치시키면, 비교적 작은 미소 입자의 불순물을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펌프(351, 도4참조)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케이스(310) 내에 퇴적되는 불순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position of the residu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잔수배출구(340)는 상기 제2히터(320)의 설치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2히터(320)의 손상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sidual
왜냐하면, 상기 잔수배출구(340)의 위치가 상기 제2히터(320)보다 아래에 위 치하면, 상기 잔수배출구(340)를 통해 잔수가 배출되는 경우에 상기 케이스(310) 내의 잔수의 수위는 상기 제2히터(320)보다 낮으므로, 상기 제2히터(320)는 상기 잔수 등에 녹아있는 칼슘, 마그네슘 이온 등에 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Because, if the posi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수배출부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잔수배출부(350)는 소정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310) 내의 잔수를 배출하는 소정의 펌프(351)와, 상기 펌프(351)와 상기 잔수배출구(340)를 연결하는 제1연결관(352)과, 일측은 상기 펌프(35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터브(110) 내부 즉, 상기 세척실(150)의 소정위치에 연결되는 제2연결관(35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residual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잔수배출부(350)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310) 내의 잔수는 상기 터브(110) 내부 즉, 상기 세척실(150)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실(150)로 배출된 잔수는 배수관(270)을 통해 식기세척기 외부로 배출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remaining
도 5는 도 4의 잔수배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ion of FIG. 4.
본 실시예에 따른 잔수배출부(360)는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연결관(363)에 대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이나 도면부호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Since the residual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잔수배출부(360)는 일측은 펌프(351)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수관(270)의 소정위치에 연결되는 제2연결관(363)을 포함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residual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잔수배출부(360)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310) 내의 잔수는 상기 배수관(270)으로 배출되어 식기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remaining
도 6은 도 4의 잔수배출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ion of FIG. 4.
본 실시예에 따른 잔수배출부(370)는 도 4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2연결관(373)에 대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이나 도면부호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Since the residual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잔수배출부(370)는 일측은 펌프(351)에 연결되고, 타측은 식기세척기의 외부와 연통되는 제2연결관(37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residual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잔수배출부(370)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310) 내의 잔수는 식기세척기 외부로 직접 배출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remaining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예를들면, 상기 잔수배출부는 상기 케이스(310) 내의 잔수를 상기 섬프(200)로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케이스(310) 내의 잔수를 배출하기 위하여 소정의 펌프를 사용하는 대신에 높이 차이에 의해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can be seen from the appended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remaining water discharge unit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remaining water in the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의하면, 세척수의 분사압을 높이지 않고도 식기에 고착화된 오물 등을 제거할 수 있어서, 식기를 안전하면서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척수의 사용을 줄일 수 있다. First, according to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dirt, etc. fixed to the tableware without increasing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washing water,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efficiently wash the dishes, as well as reduce the use of the washing water. have.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의하면, 스팀발생장치 내의 잔수를 제거할 수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에 퇴적되는 불순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can be remov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impurities deposited in the steam generator.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스팀발생장치에 의하면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의 잔수를 배출하기 위한 잔수배출구의 위치를 상기 스팀발생장치의 바닥면보다 소정위치 높은 곳에 위치시켜 비교적 작은 미소 입자의 불순물을 배출시킴으로써, 펌프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상기 스팀발생장치 내에 퇴적되는 불순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steam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position of the residual water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residual water in the steam generator in a predetermined position higher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am generator to discharge impurities of relatively small fine particles, the pump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impurities deposited in the steam generator while preventing damage.
Claims (11)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2694A KR100857803B1 (en) | 2007-05-30 | 2007-05-30 | Steam Generator and Dishwasher |
US12/071,510 US7909940B2 (en) | 2007-05-30 | 2008-02-21 | Dish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EP08723285A EP2166916B1 (en) | 2007-05-30 | 2008-03-05 | Method of controlling a dish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or |
PCT/KR2008/001248 WO2008147033A1 (en) | 2007-05-30 | 2008-03-05 | Dish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CN200880018319XA CN101677747B (en) | 2007-05-30 | 2008-03-05 | Dish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AU2008258060A AU2008258060B2 (en) | 2007-05-30 | 2008-03-05 | Dish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
EP10152623.4A EP2193739B1 (en) | 2007-05-30 | 2008-03-05 | Dish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52694A KR100857803B1 (en) | 2007-05-30 | 2007-05-30 | Steam Generator and Dishwash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57803B1 true KR100857803B1 (en) | 2008-09-09 |
Family
ID=4002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52694A KR100857803B1 (en) | 2007-05-30 | 2007-05-30 | Steam Generator and Dishwas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7803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14706A (en) * | 2015-04-22 | 2015-08-05 | 芜湖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Dish washer and heating wash protection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
CN105867219A (en) * | 2016-04-01 | 2016-08-17 |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 Wash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purifying water tank |
KR20170016181A (en) * | 2015-08-03 | 2017-0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of the dishwasher |
KR20210015213A (en) * | 2019-08-01 | 2021-02-10 | 유현명 | Thawing device using steam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526Y1 (en) | 2001-09-26 | 2001-12-29 | 이계욱 | Storage of water tank |
KR100682654B1 (en) * | 2005-11-28 | 2007-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h washer |
KR100717472B1 (en) | 2005-11-28 | 2007-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hwasher and its water supply method |
KR100717475B1 (en) | 2005-12-15 | 2007-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h washer |
KR100717474B1 (en) | 2005-12-15 | 2007-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h washer |
-
2007
- 2007-05-30 KR KR1020070052694A patent/KR10085780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7526Y1 (en) | 2001-09-26 | 2001-12-29 | 이계욱 | Storage of water tank |
KR100682654B1 (en) * | 2005-11-28 | 2007-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h washer |
KR100717472B1 (en) | 2005-11-28 | 2007-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hwasher and its water supply method |
KR100717475B1 (en) | 2005-12-15 | 2007-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h washer |
KR100717474B1 (en) | 2005-12-15 | 2007-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h washer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14706A (en) * | 2015-04-22 | 2015-08-05 | 芜湖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Dish washer and heating wash protection and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
KR20170016181A (en) * | 2015-08-03 | 2017-0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of the dishwasher |
KR101712913B1 (en) * | 2015-08-03 | 2017-03-0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of the dishwasher |
CN105867219A (en) * | 2016-04-01 | 2016-08-17 |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 Washing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purifying water tank |
CN105867219B (en) * | 2016-04-01 | 2019-03-01 |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 A kind of the washing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method of purification water tank |
KR20210015213A (en) * | 2019-08-01 | 2021-02-10 | 유현명 | Thawing device using steam |
KR102239966B1 (en) * | 2019-08-01 | 2021-04-14 | 유현명 | Thawing device using stea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93739B1 (en) | Dish washing machine with steam generator | |
KR20080089112A (en) | Dishwasher and its control method | |
JP4459505B2 (en) | Dishwasher | |
KR100857803B1 (en) | Steam Generator and Dishwasher | |
KR20120022427A (en) | A control method of a dishwasher | |
US8882928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dishwasher | |
KR20090022733A (en) | How to control your dishwasher | |
JP5008575B2 (en) | Dishwasher | |
KR101356494B1 (en) | Dish 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1141388B1 (en) | Dish washer and controll method thereof | |
JP4206261B2 (en) | Dishwasher and method for supplying detergent | |
KR101306731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dish washer | |
JP5642854B2 (en) | Dishwasher | |
KR100866883B1 (en) | dish washer | |
KR100873144B1 (en) | How to control your dishwasher | |
KR100857804B1 (en) | Steam Generator and Dishwasher | |
KR20090118608A (en) | dish washer | |
KR101240787B1 (en) | Dish wash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
JP2009148374A (en) | Dishwasher and bubble detection method of dishwasher | |
KR20080022278A (en) | Dishwasher with UV emitter | |
JP2005052489A (en) | Dishwasher | |
JP4969408B2 (en) | Dishwasher | |
JP5348741B2 (en) | Dishwasher | |
JP4211662B2 (en) | Dishwasher | |
CN101332070A (en) | Vapor generation device and dishwasher with vapor gener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