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56871B1 -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6871B1
KR100856871B1 KR1020060135480A KR20060135480A KR100856871B1 KR 100856871 B1 KR100856871 B1 KR 100856871B1 KR 1020060135480 A KR1020060135480 A KR 1020060135480A KR 20060135480 A KR20060135480 A KR 20060135480A KR 100856871 B1 KR100856871 B1 KR 100856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command
converting
n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0869A (ko
Inventor
황성일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스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스포
Priority to KR1020060135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6871B1/ko
Priority to US11/834,120 priority patent/US8131207B2/en
Publication of KR2008006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6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68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콘트롤대상체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센서노드, USN, USN노드

Description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UBIQUITOUS HOME NETWORK SYSTEM}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컨트롤리모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3은 도1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노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4는 도1에 적용된 센서노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5는 도1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 네트워크 서버에 대한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통합콘트롤리모콘
300 : 콘트롤노드
400 : 센서노드
221, 311, 431 : 신호송수신수단
222, 312, 432 : 신호변환수단
223, 313, 433 : 신호중계수단
500 : 홈 네트워크 서버
510 : RF통신부
520 : 비교부
530 : 명령추출부
540 : 명령저장부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가전제품들의 전자적 제어기술 및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각 가전제품들마다 무선제어라는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제어용 리모트콘트롤러(이하 '리모콘'이라 약칭함)가 구비되어 있다.
리모콘이 활용되는 가전제품의 대표적인 예로는, 텔레비전(TV), 디브이디(DVD), 오디오, 공기조화기(냉풍기, 공기청정기, 가습기, 히터 등), 보일러, 커텐, 조명, 청소로봇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가전제품들에 부대하는 리모콘들은 그 개수가 증가하면서 사용상의 혼돈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난삽하게 널 려져 있어서 실내의 미관을 해칠뿐더러 보관 또한 용이롭지 않다.
따라서 여러 콘트롤대상체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통합콘트롤리모콘이 등장하게 되었고, 이러한 통합콘트롤리모콘에 의하면 하나의 리모콘에 의해 여러 가전제품들 콘트롤할 수 있는 용이로움이 있어서, 그 사용이 한층 더 편리하게 되었다.
그런데 일반적인 리모콘의 통신방식, 즉, 리모콘으로부터 콘트롤대상체(각 가전제품들)로 송신되는 신호는 대부분 적외선(赤外線, IR : Infrared ray)신호인데, 적외선통신(IRDA)은 그 통신반경이 대단히 짧고 특정한 방향에서만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지향성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전파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콘트롤대상체로부터 인접하면서도 중간에 구조물에 의해 차폐되지 않는 개방된 공간에서만 사용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통합콘트롤리모콘에 의하더라도, 사용자로부터 떨어진 거리가 멀거나 사용자와 기타의 구조물에 의해 차폐된 작동대상체들 제어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해당 작동대상체에 인접하는 곳까지 이동하여야 하는 불편함은 여전히 가지고 있다.
한편, 유비쿼터스 환경이 조성되면서, 그에 부대하여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기술이 개발 연구되어지고 있는데, USN이라 함은 일정 공간 상에 산재되어 있는 USN노드들이 주변의 물리적 환경 등을 감지한 후, 이에 대한 정보를 RF신호에 실어 송출하고, 송출된 정보는 USN노드들 간에 서로 중계되면서 궁극적으로 서버로 제공됨으로써, 서버가 입수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거나 입수된 정보에 따른 콘트롤대상체를 제어하는 기술이다.
그러한 USN기술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10-2005-0133045(발명의 명칭 : 유비쿼터스 무선네크워크 시스템, 노드모듈 및 그 작동방법), 10-2006-0063005(발명의 명칭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드모듈용 테스터, 노드모듈 테스트 방법 및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원격감시장치), 10-2006-0102898호(발명의 명칭 :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 및 게이트웨이)를 통해 소개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리모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모콘 기술에 RF신호를 정보전달의 매개체로 하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접속시켜 컨트롤대상체들을 통합적이면서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따라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제어명령을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키는 통합컨트롤리모콘; 및 상기 통합컨트롤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RF신호에 따른 제어명령을 콘트롤대상체에서 요구되는 콘트롤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트롤노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컨트롤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RF신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제어 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트롤노드로 송신시켜 상기 콘트롤대상체를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 후 이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되는 RF신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트롤노드로 송신시켜 상기 콘트롤대상체를 제어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 후 이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콘트롤리모콘으로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합콘트롤리모콘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로부터 오는 RF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RF신호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합콘트롤리모콘은 수신된 RF신호를 재송신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트롤노드들은 수신된 RF신호를 재송신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 후 이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키는 센서노드; 상기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되는 RF신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을 RF신호로 송출시키는 홈 네트워크 서버; 및 상기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수신된 RF신호를 콘트롤대상체에서 요구되는 콘트롤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트롤노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노드는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노드들은 수신된 RF신호를 재송신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콘트롤노드들은 수신된 RF신호를 재송신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통합콘트롤리모콘은,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명령입력부; 상기 명령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콘트롤대상체의 제어명령을 RF신호로 송출시키고,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노드로부터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하는 RF통신부; 및 상기 RF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RF신호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통신부는, RF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마련되는 신호송수신수단; 디지털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송수신수단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신호송수신수단으로부터 오는 RF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신호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닐 경우 상기 신호변환 수단으로 되돌림으로써 RF신호로 재송신되도록 하는 신호중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더 구체적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콘트롤노드는, 통합콘트롤리모콘으로부터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하는 RF통신부; 상기 RF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RF신호를 콘트롤대상체에서 요구되는 콘트롤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및 상기 신호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콘트롤신호를 상기 콘트롤대상체로 송출시키는 콘트롤신호송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통신부는, RF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마련되는 신호송수신수단; 디지털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송수신수단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신호송수신수단으로부터 오는 RF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신호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닐 경우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 되돌림으로써 RF신호로 재송신되도록 하는 신호중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콘트롤노드는, 홈 네트워크 서버로부터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하는 RF통신부; 상기 RF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RF신호를 콘트롤대상체에서 요구되는 콘트롤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및 상기 신호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콘트롤신호를 상기 콘트롤대상체로 송출시키는 콘트롤신호송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통신부는, RF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마련되는 신호송수신수단; 디지털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송수신수단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신호송수신수단으로부터 오는 RF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신호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닐 경우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 되돌림으로써 RF신호로 재송신되도록 하는 신호중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콘트롤노드는, 센서노드로부터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하는 RF통신부; 상기 RF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RF신호를 콘트롤대상체에서 요구되는 콘트롤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부; 및 상기 신호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콘트롤신호를 상기 콘트롤대상체로 송출시키는 콘트롤신호송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F통신부는, RF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마련되는 신호송수신수단; 디지털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송수신수단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신호송수신수단으로부터 오는 RF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신호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닐 경우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 되돌림으로써 RF신호로 재송신되도록 하는 신호중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시 스템용 홈 네트워크 서버는, RF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신호에서 변환된 RF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마련되는 RF통신부; 상기 RF통신부를 통해 통합콘트롤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미리 설정된 콘트롤대상체의 제어명령을 추출하여 상기 RF통신부로 제공하는 명령추출부; 및 상기 명령추출부로부터 추출되는 제어명령이 저장된 명령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시스템용 홈 네트워크 서버는, RF신호를 수신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신호에서 변환된 RF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마련되는 RF통신부; 상기 RF통신부를 통해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른 미리 설정된 콘트롤대상체의 제어명령을 추출하여 상기 RF통신부로 제공하는 명령추출부; 및 상기 명령추출부로부터 추출되는 제어명령이 저장된 명령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1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통합콘트롤리모콘(200), 다수의 콘트롤노드(300), 다수의 센서노드(400), 홈 네트워크 서버(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합컨트롤리모콘(20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제어명령을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합콘트롤리모콘(200)은 도2의 블록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입력부(210), RF통신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명령입력부(21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것으로 키패드와 키패드의 물리적 조작을 전기적 명령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상적인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키패드에는 이미 주지된 바와 같이 제어할 콘트롤대상체를 선택(예를 들어, 에어컨, 텔레비전, 보일러 등 중에서 어느 것을 제어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키, 다양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키(예를 들면, 외출모드키, 취침모드키, 기본모드키, 기상모드키, 퇴근모드키, 엔터테인먼트모드키, 사용자설정모드키 등), 제어키(실제적으로 에어컨의 냉방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키, 텔레비전이나 오디오 등을 ON시키기 위한 키, 텔레비전이나 오디오 등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키 등) 등을 구비한다.
참고적으로 다양한 모드키들은 해당 모드키들에 의해 특정한 모드로 설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특정한 모드의 예로는 외출모드(예를 들어, 에어컨이나 조명을 모두 OFF시키는 등의 모드), 취침모드(예를 들어, 거실의 조명이나 기타 텔레비전이나 오디오 등을 OFF시키고 난방온도가 약간 상승되도록 보일러는 제어하는 등의 모드), 기본모드(예를들어, 수동으로 가전제품을 원격 제어하도록 하는 등의 모드), 기상모드(예를 들어, 알람을 설정하거나 공간 온습도 조절을 위해 오디오, 보일 러 및 가습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등의 모드), 퇴근모드(사용자가 집에 돌아올 때 쯤 온습도가 조절되도록 오디오, 보일러, 에어컨을 제어하도록 하는 등의 모드), 엔터테인먼트모드(홈시어터를 작동하거나 수동으로 가전제품을 조절하도록 하는 등의 모드), 사용자설정모드(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한 상태가 되도록 각 전자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등의 모드) 등이 있다.
RF통신부(220)는 명령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콘트롤대상체의 제어명령을 RF신호로 송출시키고,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때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노드(400)들로부터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RF통신부(220)는 신호송수신수단(221), 신호변환수단(222), 신호중계수단(22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송수신수단(221)은 통상적인 RF안테나 등을 구비하며, RF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신호변환수단(222)은 통상적인 RF모듈 등으로 구비되며, 수신된 RF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송신될 정보를 가지는 디지털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마련된다.
신호중계수단(223)은 수신된 RF신호가 신호변환수단(222)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면, 변환된 디지털신호의 도달목적지가 자신(통합콘트럴리모콘)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자신이 아닐 경우에는 해당 디지털신호를 신호변환수단(222)으로 되돌려 RF신호로 재송신되도록 함으로써, RF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센서노드(400)로부터 송출된 RF신호의 도달목적지가 통합콘트롤리모콘(200)일 수도 있을 것이고, 홈 네트워크 서버(500)일 수도 있는 데, 홈 네트워크 서버(500)로 가야하는 RF신호가 통합콘트롤리모콘(200)에서 수신될 경우 이러한 RF신호를 다시 송신시킴으로써 해당 RF신호가 홈 네트워크 서버(500)로 도달될 수 있도록 RF신호를 중계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부(230)는 도달목적지를 통합콘트롤리모콘(200)으로 하는 RF신호가 수신되었을 때, 해당 RF신호가 가지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마련되다. 예를 들어, 거실에 배치된 센서노드(400)로부터 온도, 습도 등이 감지되어 해당 정보가 통합콘트롤리모콘(200)으로 오게 되면, 디스플레이부(230)는 수신된 온도, 습도를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거실의 온도, 습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거실의 온도, 습도를 확인한 후 필요에 따라서 온도,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보일러나 가습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명령입력부(210)를 통해 입력시키게 된다. 물론, 디스플레이부(230)에 의한 정보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통에는 시간정도만을 디스플레이시키다가 사용자가 명령입력부(210)를 통해 현재의 온도를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 수신되어 업데이트된 온도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한편 콘트롤노드(300)는 통합컨트롤리모콘(200)이나 홈 네트워크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 센서노드(4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른 RF신호를 콘트롤대상체에서 요구되는 콘트롤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콘트롤신호는 가전제품 제어에 사용되는 적외선신호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역할 을 수행하기 위해 콘트롤노드(300)는 RF통신부(310), 신호변환부(320), 콘트롤신호송출부(330) 등을 구비한다.
RF통신부(310)는 통합콘트롤리모콘(200), 홈 네트워크 서버(500), 센서노드(400) 등으로부터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하거나 RF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마련되며, 신호송수신수단(311), 신호변환수단(312), 신호중계수단(313) 등을 구비한다.
신호송수신수단(311)은 RF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RF안테나 등을 구비하면 족하다.
신호변환수단(312)은 통상적인 RF모듈 등으로 구비되며, 수신된 RF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송신될 정보를 가지는 디지털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마련된다.
신호중계수단(313)은 수신된 RF신호가 신호변환수단(312)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면, 변환된 디지털신호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콘트롤노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자신이 아닐 경우에는 해당 디지털신호를 신호변환수단(312)으로 되돌려 RF신호로 재송신되도록 함으로써, RF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센서노드(400)로부터 송출된 RF신호의 도달목적지가 타 콘트롤노드(300)일 수도 있을 것이고, 통합콘트롤리모콘(200)이나 홈 네트워크 서버(200)일 수도 있는 데, 타 목적지로 가야하는 RF신호가 콘트롤노드(300)에 수신될 경우 이러한 RF신호를 다시 송신시킴으로써 해당 RF신호가 도달목적지로 도달될 수 있도록 RF신호를 중계하는 것이다.
신호변환부(320)는 RF통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RF신호에 따른 디지털신호 가 콘트롤대상체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일 경우 이를 컨트롤대상체에서 요구하는 컨트롤신호(예를 들면 적외선 신호 등)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콘트롤신호송출부(330)는 변환된 컨트롤신호를 송출함으로써 해당 컨트롤신호에 의해 컨트롤대상체가 컨트롤될 수 있도록 한다.
참고적으로 하나의 컨트롤노드(300)는 하나의 컨트롤대상체를 콘트롤하기 위해서 구비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컨트롤노드(300)에 의해 둘 이상의 컨트롤대상체를 콘트롤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컨트롤노드(300)에 의해 디브이디 및 텔레비전을 함께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센서노드(400)는 주변의 물리적 환경 정보를 감지하여 이를 송출시키며, 또한 RF신호를 중계하기 위해마련되는 종래의 USN노드로 복수개로 구비된다.
따라서 각각의 센서노드(400)는 감지수단(410), 신호변환부(420), RF통신부(430)를 가지고 있다.
감지수단(410)은 주변의 물리적 환경, 예를 들면, 습도, 온도 등을 감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신호변환부(420)는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아날로그정보를 디지털정보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RF통신부(430)는 신호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정보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신호송수신수단(431), 신호변환수단(432), 신호중계수단(4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신호송수신수단(431)은 통상적인 RF안테나 등을 구비하며, RF신호를 수신하 거나 송신하기 위해서 마련된다.
신호변환수단(432)은 통상적인 RF모듈 등으로 구비되며, 수신된 RF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송신될 정보를 가지는 디지털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마련된다.
신호중계수단(433)은 수신된 RF신호가 신호변환수단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되면, 변환된 디지털신호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센서노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자신이 아닐 경우에는 해당 디지털신호를 신호변환수단(432)으로 되돌려 RF신호로 재송신되도록 함으로써, RF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홈 네트워크 서버(500)는 통합컨트롤리모콘(200)으로부터 수신된 RF신호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을 콘트롤노드(300)로 송신시켜 콘트롤대상체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홈 네트워크 서버(500)는 RF통신부(510), 비교부(520), 명령추출부(530), 명령저장부(540)를 구비한다.
RF통신부(510)는 RF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수신된 RF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디지털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킨다.
비교부(520)는 센서노드(400)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정보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내의 온도를 27도로 설정한 경우, 센서노드(400)로부터 수신된 현재 실내의 온도가 20도인 경우 양자를 비교함으로써 현재의 실내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다는 것을 판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명령추출부(430)는 RF통신부(410)를 통해 사용자(통합컨트롤리모콘)의 명령 을 수신하거나 센서노드로부터 수신된 정보가 설정된 정보와 동일하지 아니하여 설정된 정보대로 컨트롤대상체를 제어해야할 상황에서, 사용자의 명령이나 정보의 비교에 따른 미리 설정된 제어명령을 명령저장부(530)로부터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명령저장부(530)는 콘트롤노드(300)로 송출될 다양한 제어명령들(해당 제어명령들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명령들이다)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명령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취침모드에서는 어떠한 컨트롤대상체를 어떻게 제어해야 하는 것인지, 센서노드(400)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컨트롤대상체를 어떻게 제어 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명령들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컨트롤대상체의 제어방법을 여러 가지 실시예 별로 나누어 설명한다.
<통합컨트롤리모콘에서 콘트롤노드를 통한 제어>
본 실시예는 통합컨트롤리모콘(200)에서 콘트롤노드(300)로 사용자명령에 따른 RF신호를 송출하고 콘트롤노드(300)에서는 그러한 사용자명령에 따른 RF신호를 콘트롤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키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통합컨트롤리모콘(200)의 명령입력부(210)를 통해 컨트롤대상체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명령입력부(210)를 통해 제어하고자 하는 컨트롤대상체를 먼저 선택한 다음, 해당 컨트롤대상체에 대한 조작명령을 통합컨트롤리모 콘(200)으로 입력시킨다. 예를 들어, 에어컨의 설정온도를 1도 낮추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명령입력부(510)의 선택키를 이용하여 에어컨을 지정한 후, 제어키를 사용하여 에어컨의 설정온도를 1도 낮추도록 하는 명령사항을 입력시킨다.
그에 따라 통합컨트롤리모콘(200)에서는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 및 지정된 컨트롤노드(300)의 식별 정보에 따른 RF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송출시킨다. 예를 들면, 에어컨의 온도를 1도 낮추라는 명령 및 에어컨의 컨트롤을 담당하는 담당 컨트롤노드(300)의 식별 정보에 따른 RF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송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송출된 RF신호는 직접 또는 센서노느(400)나 타 컨트롤노드(300)의 중계를 통해 해당 컨트롤대상체를 담당하는 담당 컨트롤노드(300)에 도달된다. 여기서 센서노드(400)나 타 컨트롤노드(300)는 수신된 RF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 뒤 도달목적지를 확인하게 되며,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니므로 다시 RF신호로 변환하여 재송출시키게 된다.
담당 컨트롤노드(300)가 수신된 RF신호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임을 확인하게 되면, 도달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RF신호를 에어컨을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신호(예를 들면 적외선 신호)로 변환한 뒤, 변환된 컨트롤신호를 송출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에어컨의 설정온도는 1도 낮추어지게 된다.
<통합컨트롤리모콘에서 홈 네트워크 서버를 거쳐 콘트롤노드를 통한 제어>
본 실시예는 통합컨트롤리모콘(200)에서 임의의 모드를 선택하면, 홈 네트워크 서버(500)에서 해당 임의의 모드에 따라 설정된 여러 가지 제어명령을 각 담당 콘트롤노드(300)로 송출하고, 각 담당 콘트롤노드(300)에서는 그러한 임의의 모드에 따른 RF신호를 콘트롤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키는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통합컨트롤리모콘(2300)의 명령입력부(510)를 통해 임의의 모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컨트롤대상체를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명령입력부(510)의 모드키들 중 자신에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키를 조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모드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명령입력부(510)의 외출모드키를 선택하여 조작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통합컨트롤리모콘(200)에서는 입력된 사용자의 모드선택 명령에 따른 RF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송출시킨다.
송출된 RF신호는 홈 네트워크 서버(500)로 수신되고, 홈 네트워크 서버(500)에서는 수신된 모드명령을 분석하여 외출모드임을 판단한다. 그리고 명령추출부(530)를 통해 명령저장부(540)에 저장된 외출모드 시의 제어명령들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외출모드가 조명과 에어컨을 OFF시키는 것이라면, 명령저장부에는 외출모드카테고리에 조명 및 에어컨을 OFF시켜야 된다는 제어명령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명령추출부(530)는 명령저장부(540)으로부터 이러한 외출모드시의 제어명령들을 추출하는 것이다.
추출된 제어명령은 RF통신부(510)에 의해 RF신호로 변환되어 송출되고, 송출된 RF신호는 직접 또는 센서노드(400)나 타 컨트롤노드(300)를 통해 각 담당 콘트롤노드(300, 조명 컨트롤노드, 에어컨 컨트롤노드)로 도달된다.
각 담당 콘트롤노드(300)에서는 RF신호로 도달된 컨트롤명령에 따른 적외선 신호를 각각 생성하여 송출시킴으로써, 조명 및 에어컨이 외출모드에 맞게 OFF되어 진다.
<센서노드에서 감지된 정보에 의한 제어>
본 실시예는 센서노드(400)에서 감지된 정보에 따라서 컨트론노드(300)를 통해 컨트롤대상체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센서노드(400)는 온도, 습도 등과 같이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데, 예를 들어 센서노드(400)로부터 온도가 감지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센서노드(400)로부터 현재 온도가 20도로 감지되면, 감지된 정보는 RF신호로 변환되어 홈 네트워크 서버(500)로 전송된다. 물론, 직접 또는 다른 센서노드(400)나 컨트롤노드(300)를 거쳐 홈 네트워크 서버(500)로 전송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서버(500)에서는 센서노드(400)로부터 수신된 온도정보를 분석한 후, 분석된 온도정보, 즉 현재 온도 20도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정보에 부합하는 지를 비교한다.
만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온도정보가 23도라면, 홈 네트워크 서버(500)는 현재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다고 판단하고, 보일러 제어명령을 생성한다. 즉, 보일러로 하여금 온도를 23도까지 올릴 것을 주문하는 명령을 생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계속하여 해당 명령 및 보일러 담당 컨트롤노드(3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에 따른 RF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송출시킨다.
따라서 보일러 담당 컨트롤노드(300)는 해당 명령을 수신한 뒤, 해당 명령에 따른 컨트롤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송출시킴으로써 보일러를 제어하게 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센서노드(400)으로부터 감지된 정보가 홈 네트워크 서버(50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컨트롤노드(300)로 전달되도록 하고, 컨트롤노드(300)에 센서노드(4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와 컨트롤노드(300) 자체에 미리 설정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컨트롤대상체를 제어하도로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센서노드에서 감지된 정보의 디스플레이>
본 실시예는 센서노드(400)에서 감지된 정보를 통합컨트롤리모콘(200)에 전시시키는 실시예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여름에 안방에서 갓난아이가 잠자고 있고, 부모는 거실에서 조용히 텔레비전을 시청하고 있는 상황을 들어 설명한다.
부모는 통합컨트롤리모콘(200)을 소지한 상태에서 명령입력부(510)를 통해 안방의 현재 온도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설정한다.
안방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노드(400)는 일정 시간 주기로 온도를 감지한 후 이를 통합컨트롤리모콘(200)으로 전송하게 된다.
만일 어느 시점에서 온도가 30도가 넘게 되면, 부모는 통합컨트롤리모콘(200)을 통해 이를 확인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모는 통합컨트롤리모콘(200)을 조작하여 안방에 있는 에어컨을 선택한 후, 안방에 있는 에어컨이 작동되도록 명령하거나 현재 작동되고 있는 상태라면 온도를 27도 정도로 낮추라는 명령을 입력하 게 된다.
그에 따라 통합컨트롤리모콘(200)은 해당 명령에 따른 RF신호를 생성하여 송출시키고, 안방의 에어컨을 담당하는 컨트롤노드(300)는 수신된 RF신호를 컨트롤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킴으로써 안방의 에어컨이 작동되거나 27도 정도로 온도를 낮추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부모가 통합컨트롤리모콘(200)에 안방의 적정 온도를 설정해 놓을 수 있도록 하고, 센서노드(400)으로부터 수신된 현재의 온도가 적정 온도를 벗어날 경우 알람이 울리도록 구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술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모든 기술적 요소들을 종합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실시하기에 따라서는 상술한 제어방법적 실시예들 중 하나만을 구현하거나, 선택적으로 조합된 경우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합리모콘기술과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기술을 접목하여 RF신호를 중간매체로 하여 각 컨트롤대상체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 용자가 컨트롤대상체로부터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컨트롤신호가 도달될 수 없는 경우에도 통신반경이 넓고 투과성이 좋은 RF신호의 도달반경 내에만 있게 되면 컨트롤대상체를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각 센서노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자동적으로 컨트롤대상체들을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제어명령을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키는 통합컨트롤리모콘;
    상기 통합컨트롤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RF신호에 따른 제어명령을 콘트롤대상체에서 요구되는 콘트롤신호로 변환하여 송출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트롤노드; 및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한 후 이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합콘트롤리모콘으로 제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 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콘트롤리모콘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노드로부터 오는 RF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RF신호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시킬 수 있는 명령입력부;
    상기 명령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콘트롤대상체의 제어명령을 RF신호로 송출시키고, 주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노드로부터 송출된 RF신호를 수신하는 RF통신부; 및
    상기 RF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RF신호에 따른 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통합 콘트롤리모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RF통신부는,
    RF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마련되는 신호송수신수단;
    디지털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신호송수신수단으로 제공하거나, 상기 신호송수신수단으로부터 오는 RF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신호변환수단; 및
    상기 신호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신호의 도달목적지가 자신이 아닐 경우 상기 신호변환수단으로 되돌림으로써 RF신호로 재송신되도록 하는 신호중계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용 통합콘트롤리모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60135480A 2006-12-27 2006-12-27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856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480A KR100856871B1 (ko) 2006-12-27 2006-12-27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US11/834,120 US8131207B2 (en) 2006-12-27 2007-08-06 Ubiquitous home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480A KR100856871B1 (ko) 2006-12-27 2006-12-27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796A Division KR101179993B1 (ko) 2008-03-12 2008-03-12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869A KR20080060869A (ko) 2008-07-02
KR100856871B1 true KR100856871B1 (ko) 2008-09-04

Family

ID=39584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4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6871B1 (ko) 2006-12-27 2006-12-27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31207B2 (ko)
KR (1) KR100856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16B1 (ko) * 2008-10-23 2011-03-15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터치형 모니터를 이용한 인텔리전트 주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3479B2 (en) 2004-10-06 2011-10-11 Lawrence Kates Electronically-controlled register vent for zone heating and cooling
US8208468B2 (en) * 2007-02-03 2012-06-26 Ajou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Method for connecting IP-based USN with conventional IP network
WO2008096911A1 (en) * 2007-02-04 2008-08-14 Ki-Hyung Kim Ip-usn with multiple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090082661A (ko) * 2008-01-28 2009-07-31 안미배 Usn노드 및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서비스 시스템과통신망을 통해 usn센서에 연결될 수 있는 서비스서버
KR100999792B1 (ko) * 2008-08-25 2010-12-0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객체들에 대한 통합적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모니터링 시스템
US9538234B2 (en) * 2009-12-15 2017-01-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ime-shifting of a live media stream
US8843239B2 (en) 2010-11-19 2014-09-23 Nest Labs, Inc. Methods, systems, and related architectures for managing network connected thermostats
US9104211B2 (en) 2010-11-19 2015-08-11 Google Inc. Temperature controller with model-based time to target calculation and display
US8727611B2 (en) 2010-11-19 2014-05-20 Nest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sensors in thermostats
US8918219B2 (en) 2010-11-19 2014-12-23 Google Inc. User friendly interface for control unit
KR101721225B1 (ko) 2010-09-28 2017-03-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
US11334034B2 (en) 2010-11-19 2022-05-17 Google Llc Energy efficiency promoting schedule learning algorithms for intelligent thermostat
US9075419B2 (en) 2010-11-19 2015-07-07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 controller for an energy-consuming system having spatially related discrete display elements
US10346275B2 (en) 2010-11-19 2019-07-09 Google Llc Attributing causation for energy usage and setpoint changes with a network-connected thermostat
US8195313B1 (en) 2010-11-19 2012-06-05 Nest Labs, Inc. Thermostat user interface
US9459018B2 (en) 2010-11-19 2016-10-04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ergy-efficient control of an energy-consuming system
WO2013058820A1 (en) 2011-10-21 2013-04-25 Nest Labs, Inc. User-friendly, network connected learning thermostat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US9453655B2 (en) 2011-10-07 2016-09-27 Goog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report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an HVAC system controlled by a self-programming network-connected thermostat
US9256230B2 (en) 2010-11-19 2016-02-09 Google Inc. HVAC schedule establishment in an intelligent, network-connected thermostat
US9046898B2 (en) 2011-02-24 2015-06-02 Google Inc. Power-preserving communications architecture with long-polling persistent cloud channel for wireless network-connected thermostat
US8850348B2 (en) 2010-12-31 2014-09-30 Google Inc. Dynamic device-associated feedback indicative of responsible device usage
US8893032B2 (en) 2012-03-29 2014-11-18 Google Inc. User interfaces for HVAC schedule display and modification on smartphone or other space-limited touchscreen device
US9222693B2 (en) 2013-04-26 2015-12-29 Google Inc. Touchscreen device user interface for remote control of a thermostat
EP2769279B1 (en) 2011-10-21 2018-12-26 Google LLC Energy efficiency promoting schedule learning algorithms for intelligent thermostat
CN106288191B (zh) 2012-03-29 2020-08-25 谷歌有限责任公司 处理并报告用于网络连接恒温器控制的hvac系统的使用信息
US9258176B2 (en) * 2012-07-06 2016-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management method, server and system and mobile equipment
US8539567B1 (en) 2012-09-22 2013-09-17 Nest Labs, Inc. Multi-tiered authentication methods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s amongst smart home devices and cloud-based servers
US8635373B1 (en) 2012-09-22 2014-01-21 Nest Labs, Inc. Subscription-Notification mechanisms for synchronization of distributed states
US8594850B1 (en) 2012-09-30 2013-11-26 Nest Labs, Inc. Updating control software on a network-connected HVAC controller
US9810442B2 (en) 2013-03-15 2017-11-07 Google Inc. Controlling an HVAC system in association with a demand-response event with an intelligent network-connected thermostat
US9807099B2 (en) 2013-03-15 2017-10-31 Google Inc. Utility portals for managing demand-response events
US9595070B2 (en) 2013-03-15 2017-03-14 Google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demand-response programs and events
US10447554B2 (en) * 2013-06-26 2019-10-15 Qualcomm Incorporated User presence based control of remote communication with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20150142135A1 (en) * 2013-11-15 2015-05-21 Fibar Group sp. z o.o. Door/window sensor
JP6386101B2 (ja) * 2014-03-03 2018-09-05 アヴィ−オン ラブズ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ターゲット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プロトコル及び方法
JP6761633B2 (ja) * 2015-12-10 2020-09-30 ローム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ノード、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その動作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119A (ko) * 2001-05-11 2002-11-18 주식회사 지맥스테크놀러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US20040202206A1 (en) 2003-03-12 2004-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vate network system having a ubiquitous service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50091221A (ko) * 2004-03-11 2005-09-15 손성철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60110073A (ko) * 2005-04-19 2006-10-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기기 제어 방법
KR20060110074A (ko) * 2005-04-19 2006-10-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 시스템
KR20060125012A (ko) * 2005-06-01 2006-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전기기 제어장치,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48278B1 (en) * 2000-03-13 2004-06-08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controlled system with computer-based remote control facilitator
US7676824B2 (en) * 2001-08-01 2010-03-09 Canon Europa Nv Method for the processing of remote control signals within a home audiovisual network, corresponding signal,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US20030106062A1 (en) * 2001-12-05 2003-06-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Home network environment as a state machine
US20040125074A1 (en) * 2002-12-31 2004-07-01 Chin-Shu Lin Multi-function remote controller
KR100526177B1 (ko) * 2003-02-18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미디어센터의 미디어 콘텐츠 파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440767B2 (en) * 2003-10-15 2008-10-21 Eaton Corporation Home system including a portable fob having a rotary menu and a display
KR100546674B1 (ko) * 2003-11-05 2006-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합 리모컨 구현장치 및 그 방법
US20090094645A1 (en) * 2004-06-28 2009-04-09 Yi-Liang Ting Method of controlling remote-controlled electronic device using universal remote controller and universal remote controller thereof
KR100647915B1 (ko) * 2004-08-31 2006-11-23 주식회사 오성전자 원격제어장치
KR20070028077A (ko) * 2005-09-07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dlna 시스템과그 데이터 서비스 처리 방법
US20070183436A1 (en) * 2005-12-12 2007-08-09 Hunter James M System and method for web-based control of remotely located devices using ready on command architecture
TWI324450B (en) * 2006-03-01 2010-05-01 Compal Electronics Inc A remote controller and its content downloading and executing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6119A (ko) * 2001-05-11 2002-11-18 주식회사 지맥스테크놀러지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US20040202206A1 (en) 2003-03-12 2004-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ivate network system having a ubiquitous service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050091221A (ko) * 2004-03-11 2005-09-15 손성철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060110073A (ko) * 2005-04-19 2006-10-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 시스템과이를 이용한 기기 제어 방법
KR20060110074A (ko) * 2005-04-19 2006-10-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한 통합 리모콘 시스템
KR20060125012A (ko) * 2005-06-01 2006-12-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전기기 제어장치,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416B1 (ko) * 2008-10-23 2011-03-15 주식회사 씨브이네트 터치형 모니터를 이용한 인텔리전트 주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869A (ko) 2008-07-02
US20080160938A1 (en) 2008-07-03
US8131207B2 (en)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6871B1 (ko)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US9080782B1 (en) Home automation system providing remote room temperature control
US95479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device location determination
US10508822B1 (en) Home automation system providing remote room temperature control
US20050270151A1 (en) RF interconnected HVAC system and security system
US2013014218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for a remote control system
KR101172002B1 (ko) 스마트폰과 센서를 이용한 인공지능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KR20150059081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홈 디바이스들의 그룹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4243247A (zh) 一种基于云的智能家电控制装置
US20110112692A1 (en) System for remote control of packaged terminal air conditioner and heaters with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s
JP2008283298A (ja) 学習リモコン装置および遠隔制御システム
CN104935617A (zh) 一种可视遥控系统及其控制方法
US10862699B2 (en) Sensor communications by vibrations
KR101179993B1 (ko) 유비쿼터스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4790866B1 (ja) リモコンシステム
JPH10136110A (ja) 家庭内情報システム
JP2003283524A (ja) 信号中継装置
US20220026090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JP2019011887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JP2017158022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US11862009B2 (en) Power-saving control system using remote-control communication
KR100536054B1 (ko) 적외선 통신신호 중계시스템
KR102643518B1 (ko) 지능형 냉난방기 제어 장치
KR200430353Y1 (ko)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조명스위치를 이용한홈네트워크 시스템
JP4726214B2 (ja) 住宅内情報監視・制御装置および住宅内情報監視・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31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8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