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6590B1 - Circuit board plug and socket device - Google Patents
Circuit board plug and socket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6590B1 KR100856590B1 KR1020067026637A KR20067026637A KR100856590B1 KR 100856590 B1 KR100856590 B1 KR 100856590B1 KR 1020067026637 A KR1020067026637 A KR 1020067026637A KR 20067026637 A KR20067026637 A KR 20067026637A KR 100856590 B1 KR100856590 B1 KR 1008565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socket
- circuit board
- plug
- co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020 A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3353 gold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인쇄 회로 보드의 스트립 컨덕터들에 수 커넥터(male connector)의 접속 릴들을 결합하기 위한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에 의해서 특징화된다:A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 is disclosed for coupling connection reels of a male connector to strip conductors of a printed circuit board. The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features:
a) 상기 수 커넥터(3)는 접속 리드들(26)에 접속되는 접촉 엘리먼트들(11, 12, 13, 14)을 포함하고,a) the male connector 3 comprises contact elements 11, 12, 13, 14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eads 26,
b) 핀 보드(4)가 상기 수 커넥터(3)에 플러깅하기 위해 회로 보드(2)의 한 가장자리(24)에 구현되고,b) a pin board 4 is implemented on one edge 24 of the circuit board 2 for plugging into the male connector 3,
c) 상기 핀 보드(4)는 접촉 영역들(5, 6, 7, 8, 9, 10)을 포함하는데, 상기 접촉 영역들을 통해서 상기 스트립 컨덕터들(31, 32, 33, 34)이 에지(24) 상에 리드 잡히고, 하나의 접촉 영역을 통해 유도되는 스트립 컨덕터들 및 적어도 두 개의 접촉 영역을 통해 유도되는 스트립 컨덕터들이 제공되며,c) the pin board 4 comprises contact regions 5, 6, 7, 8, 9, 10, through which the strip conductors 31, 32, 33, 34 are connected at an edge ( 24 are provided with strip conductors leaded on and led through one contact region and strip conductors guided through at least two contact regions,
d) 상기 회로 보드(2)의 한 평면 상에서 횡방향으로 일정 거리(25)만큼 오프셋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플러그-인 위치 및 제 1 플러그-인 위치를 정하는 코딩 가이드가 상기 수 커넥터(3)와 핀 보드(4) 사이에 구성되는데, 상이한 접촉 영역이 제 1 플러그-인 위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플러그-인 위치에 있는 접촉 엘리먼트들에 할당된다.d) a coding guide defining at least one additional plug-in position and a first plug-in position which are laterally offset by a distance 25 on one plane of the circuit board 2 with the male connector 3; Configured between the pin boards 4, different contact areas are assigned to the contact elements at the first plug-in position and at least one additional plug-in posi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켓-타입 커넥터들의 접속 리드들을 회로 보드의 인쇄된 컨덕터들에 접속시키기 위한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 for connecting connection leads of socket-type connectors to printed conductors of a circuit board.
접속용 케이블의 리드들을 회로 보드 상의 인쇄된 컨덕터들에 접속하기 위한 여러 직접적인 플러그-인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장치들은 종종 스트립-모양의 소켓-타입 커넥터로 구성되는데, 상기 커넥터는 회로 보드의 가장자리에 구현되는 커넥터 보드에 플러그되고, 인쇄된 컨덕터들은 관통 접속 영역들(through contact areas)을 나타낸다.Several direct plug-in devices are known for connecting the leads of the connecting cable to the printed conductors on the circuit board. The devices often consist of a strip-shaped socket-type connector, which is plugged into a connector board embodied at the edge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printed conductors represent through contact areas.
상기 타입의 직접 회로 보드 플러그-인 장치는 원격통신 시스템들을 접속시키기 위해서도 사용되는데, ISDN 시스템이 접속될 때는 상기 ISDN 시스템의 S0 포트에 외부 ISDN 교환 또는 내부 S0 장치가 접속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접속 구성 모두는 "the Service Manual for the ISDN telecommunication system of type HiPath 3000/5000 V4.0"에 설명되어 있다. 그 접속들 모두는 4-와이어 S0 인터페이스로의 변경을 필요로 하고, 접속 리드들은 한편으로는 종단간 접속되고(connected end-to-end), 다른 한편으로는 쌍들로 교차된다. 상기 접속 리드들은 지금까지는 수동으로 교차되어야 했는데, 즉, 하우징 커버가 시스템 상에서 국부적으로 제거되어야 했고, SR 및 SX 와이어들이 접속 소켓에서 수동으로 교차되어야 했다. 수동으로 리드들을 교차시키는 것은 시간 소모적일 뿐만 아니라 그것은 오류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This type of integrated circuit board plug-in device is also used to connect telecommunication systems, where an external ISDN exchange or internal S0 device may need to be connected to the S0 port of the ISDN system when the ISDN system is connected. . All of these connection configurations are described in "the Service Manual for the ISDN telecommunication system of type HiPath 3000/5000 V4.0". All of the connections require a change to a four-wire SO interface, and the connection leads are connected end-to-end on the one hand and crossed in pairs on the other. The connection leads had to be crossed manually by now, ie the housing cover had to be removed locally on the system and the SR and SX wires had to be crossed manually at the connection socket. Manually crossing leads is not only time consuming, but it can also cause errors.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의 단자 할당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DIL 스위치들 및 다중 플러그-인 장치들이 공지되어 있다.DIL switches and multiple plug-in devices are known for changing the terminal assignment scheme of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s.
특별하게 설계되는 접촉 장치들을 통해서 다른 가능한 해결책이 제공된다. 상기 접촉 장치들은 회로 보드의 가장자리에 구현되는 커넥터 보드로 구성되고 그 위에는 플러그-인 암 커넥터(plug-in female connector)가 플러그된다.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의 필요한 단자 할당 방식이 회로 보드 상의 접속 레이아웃에 의해 미리 정해진다. 상기 타입의 접촉 장치는 예컨대 본 출원인의 공개된 특허 출원 DE 103 17 588호에 공지되어 있다.Other possible solutions are provided through specially designed contact devices. The contact devices consist of a connector board embodied at the edge of the circuit board, on which a plug-in female connector is plugged. The required terminal assignment scheme of the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 is predetermined by the connection layout on the circuit board. Contact devices of this type are known, for example, from the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DE 103 17 588 of the applicant.
내부 및 외부 동작 간의 스위칭이 전자 스위치들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실행되는 4-와이어 ISDN 인터페이스 회로가 DE 198 199 06 A1호에 공지되어 있다.A four-wire ISDN interface circuit is known from DE 198 199 06 A1 in which switching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electronic switches.
플러그-인 장치의 단자 할당 방식을 변경하는 것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지만, 추가적인 구조 성분들을 위한 다소 상당한 비용이 항상 발생한다. 추가적인 구조 성분들을 위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Changing the terminal assignment scheme of plug-in devices is known in the art, but there is always a rather significant cost for additional structural components. Efforts should be made to minimize the cost for additional structural components.
본 발명의 목적은 소켓-타입 커넥터들의 접속 리드들을 회로 보드의 인쇄된 컨덕터들에 접속시키기 위한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를 제공하는 것인데, 이 경우에 단자 할당 방식이 간단한 방식으로 그리고 낮은 제작 비용으로 변경될 수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 for connecting the connection leads of socket-type connectors to the printed conductors of the circuit board, in which case the terminal assignment scheme is simple and low fabrication. It can be changed at cost.
상기 목적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가지면서 도입부에서 설명된 타입의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에 의해서 창의적으로 달성된다:This object is creatively achieved by a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 of the type described in the introduction with the following features:
소켓-타입 커넥터는 접속 리드들에 접속되는 접촉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The socket-type connector includes contact element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eads,
커넥터 보드는 플러그가능한 방식으로 소켓-타입 커넥터와 맞물리기 위해 회로 보드의 한 가장자리에 구현되고,The connector board is implemented on one edge of the circuit board to engage the socket-type connector in a pluggable manner,
커넥터 보드는 접촉 영역들을 포함하는데, 상기 접촉 영역들을 통해서 인쇄된 컨덕터들이 에지 상에 유도되고, 하나의 접촉 영역을 통해 유도되는 인쇄된 컨덕터들 및 적어도 두 개의 접촉 영역을 통해 유도되는 인쇄된 컨덕터들이 제공되며,The connector board comprises contact areas, through which printed conductors are guided on an edge, printed conductors guided through one contact area and printed conductors guided through at least two contact areas. Provided,
회로 보드의 한 평면 상에서 횡방향으로 일정 거리만큼 오프셋되는 제 1 플러그-인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플러그-인 위치를 정하는 코딩 가이드가 소켓-타입 커넥터와 커넥터 보드 사이에 구현되는데, 상이한 접촉 영역이 제 1 플러그-인 위치 및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플러그-인 위치에 있는 접촉 엘리먼트에 할당된다.Coding guides are provided between the socket-typ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board that define a first plug-in posit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lug-in positions that are laterally offset by a distance on one plane of the circuit board, with different contact areas being provided. It is assigned to a contact element at one plug-in position and at least one additional plug-in position.
본 발명의 주요한 장점은 단자 할당 방식이 소켓-타입 커넥터를 횡방향으로 재플러그시킴으로써 간단히 변경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적어도 두 개의 슬롯들이 소켓-타입 커넥터를 위해서 커넥터 보드에 제공된다. 각각의 슬롯은 키-잠금 구성(key-lock configuration) 방식으로 기계적인 코딩 가이드에 의해 정해지는데, 즉, 단지 특정 플러그-인 위치들이 커넥터 보드 상에서 허용된다. 코딩 가이드가 소켓-타입 커넥터와 커넥터 보드 간의 형상 결합(positive locking)에 의해서 생성된다. 접속 레이아웃은 인쇄된 컨덕터들 및 접속 리드들이 미리 정해질 수 있는 방식으로 할당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커넥터 보드 상의 접촉 영역들에 회로 보드 상의 리드들을 접속시킨다. 다르게 표현하면, 접속 레이아웃은 인쇄된 컨덕터들과 접속 리드들 간의 다른 접속 가능성들을 형성한다. 단지 재플러그 동작만이 단자 할당 방식을 변경하기 위해 필요할 뿐, DIL 스위치들 또는 특수 코딩 장치들과 같은 추가적인 구조 성분들은 필요하지 않다. 접속 레이아웃 및 기계적인 코딩을 위해 필요한 노력이 비교적 낮아지고, 단자 할당 방식을 변경하는 가능성이 간단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조 성분들을 위해 어떠한 비용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제작 비용이 낮아질 것이다.The main advan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terminal assignment scheme can be simply changed by replugging the socket-type connector laterally. At least two slots are provided on the connector board for the socket-type connector. Each slot is defined by a mechanical coding guide in a key-lock configuration, ie only certain plug-in positions are allowed on the connector board. Coding guides are created by positive locking between the socket-typ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board. The connection layout connects the leads on the circuit board to the contact areas on the connector board in a manner that allows printed conductors and connection leads to be assigned in a predetermined manner. In other words, the connection layout forms different connection possibilities between the printed conductors and the connection leads. Only replug operation is needed to change the terminal allocation scheme, and no additional structural components such as DIL switches or special coding devices are needed. Effort required for connection layout and mechanical coding is relatively low, and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terminal assignment scheme can be implemented in a simple manner. No cost will be incurred for additional structural components. The production cost will be lower.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이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Advantage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소켓-타입 커넥터의 수용 슬롯에 구현되고 커넥터 보드에서 상응하는 코딩 리세스들과 일제히 동작하는 코딩 바(coding bar)에 의해서 코딩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허용된 플러그-인 위치들 각각은 커넥터 보드 상의 접촉 영역들에 루팅되는 전자 신호들을 탭핑하기 위한 단자 할당 방식에 상응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ding guide is formed by a coding bar implemented in the receiving slot of the socket-type connector and operating in concert with corresponding coding recesses in the connector board. Each of the allowed plug-in positions corresponds to a terminal assignment scheme for tapping electronic signals routed to contact regions on the connector board.
ISDN 커넥터의 경우에,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 보드는 6개의 접촉 영역들을 구비한다. 이들 중, 제 1 접촉 영역은 제 1 인쇄된 컨덕터에 접속되고, 제 2 접촉 영역은 제 2 인쇄된 컨덕터에 접속된다. 제 1 접촉 영역에 인접하는 한 쌍의 접촉 영역들이 제 3 인쇄된 컨덕터에 접속되고, 제 2 접촉 영역에 인접하는 한 쌍의 접촉 영역들이 제 4 인쇄된 컨덕터에 접속된다. 제 1 접촉 영역에 접하는 양 사이드 상에는 각각의 경우에 코딩 바가 삽입되는 코딩 리세스가 구현된다. 그에 의해서, 종단간 접속 또는 쌍들로 교차되는 접속이 생성되는 두 플러그-인 위치들이 커넥터 보드에서 코딩된다. 따라서, 단자 할당 방식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소켓-타입 커넥터가 제 1 및 제 2 슬롯 사이에 재플러그되는 것만이 필요하다. 따라서, ISDN 커넥터의 S0 포트는 ISDN 교환 접속과 ISDN 장치 접속 사이에 간단한 방식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접속 리드들의 수동적인 교차가 필요없게 된다. 기술적인 구현이 경제적이다. 소켓-타입 커넥터가 플라스틱 사출성형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생성된다. 코딩 바는 간단한 방식으로 생성될 수 있는 반면에 소켓-타입 커넥터는 사출성형된다. 커넥터 보드의 코딩 리세스들은 회로 보드를 밀링함으로써(milling) 간단히 생성될 수 있다.In the case of an ISDN connector, the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as follows: The connector board has six contact areas. Of these, the first contact reg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printed conductor and the second contact region is connected to the second printed conductor. A pair of contact regions adjacent to the first contact region are connected to the third printed conductor, and a pair of contact regions adjacent to the second contact region are connected to the fourth printed conductor. On both side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area a coding recess is implemented in which case the coding bar is inserted. Thereby, the two plug-in positions are coded in the connector board, which results in an end-to-end connection or a connection crossing in pairs. Thus, to change the terminal allocation scheme, it is only necessary that the socket-type connector is replugg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lots. Thus, the SO port of the ISDN connector can be reconfigured in a simple manner between the ISDN switched connection and the ISDN device connection. No manual crossover of the connection leads is required. Technical implementation is economical. Socket-type connectors are preferably produced by plastic injection molding. The coding bar can be produced in a simple manner while the socket-type connector is injection molded. Coding recesses of the connector board can be created simply by milling the circuit board.
소켓-타입 커넥터의 좁은 폭이 접촉 영역들을 구현하고 직사각형 형태로 리세스들을 코딩하며 그것들을 상호 평행하게 플러깅 방향으로 지향되는 커넥터 보드에 위치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The narrow width of the socket-type connector can be achieved by implementing the contact areas, coding the recesses in a rectangular shape and placing them in a connector board which is orient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plugging direction.
코딩 바가 수용 슬롯의 마주보는 넓은 표면들을 접속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기계적인 코딩뿐만 아니라, 코딩 바는 수용 슬롯에서 브레이싱 수단(bracing means)으로서도 동시에 기능할 것이다. 수용 슬롯의 벽들은 매우 얇게 구현될 수 있고, 따라서 제작시에 재료를 덜 필요로 한다.It is advantageous for the coding bar to connect the opposing wide surfaces of the receiving slots. In addition to mechanical coding, the coding bar will also function simultaneously as a bracing means in the receiving slot. The walls of the receiving slot can be implemented very thinly, thus requiring less material in manufacturing.
코딩 바를 코딩 리세스에 삽입하는 것을 가능한 쉽게 하기 위해서, 소켓-타입 커넥터가 플러그인될 때, 코딩 바가 수용 슬롯의 개방 면(opening plane)까지 유도되는 것이 유리하다. 코딩 리세스들이 긴 홀들로서 구현될 때는, 소켓-타입 커넥터의 개방 면 내에 위치하는 종단 표면이 삽입시에 정지 표면을 형성하도록 그 치수들이 유리하게 선택될 수 있다. 소켓-타입 커넥터가 선택된 삽입 위치에 정확히 설치될 때까지 접촉 엘리먼트들과 접촉 영역들 사이에는 전기 접촉이 형성되지 않을 것이다.In order to make it as easy as possible to insert the coding bar into the coding recess, when the socket-type connector is plugged in, it is advantageous for the coding bar to be led up to the opening plane of the receiving slot. When the coding recesses are implemented as long holes, the dimensions can be advantageously selected so that the termination surface located in the open face of the socket-type connector forms a stop surface upon insertion. No electrical contact will be formed between the contact elements and the contact regions until the socket-type connector is correctly installed in the selected insertion position.
본 발명의 특별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수용 슬롯이 커넥터 보드보다 더 넓게 제공된다. 플러그-인 위치에서 수용 슬롯의 내부 측면 표면이 커넥터 보드의 면하는 측면 표면에 대해 마주하게 위치되도록 그 치수가 선택된다.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receiving slot is provided wider than the connector board. Its dimensions are selected such that in the plug-in positi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receiving slot is positioned opposite to the facing side surface of the connector board.
RJ45 타입의 플러그에 이미 부착된 접속 리드들을 소켓-타입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해서, 본 발명이 변형예에서는 수용 슬롯의 개구부로부터 떨어져 면하고 있는 소켓-타입 커넥터의 배면에 자신의 접속된 접속 리드들을 갖는 Mini-Western 플러그가 플러그될 수 있는 Mini-Western 소켓(DIN EN 60603-7을 따름)을 구비한다. 여기서, 소켓-타입 커넥터는 어댑터를 형성하는데, 상기 어댑터의 단자 할당 방식은 커넥터 보드 상의 제 1 및 제 2 플러그-인 위치들 사이에 재플러그시킴으로써 간단히 변경될 수 있다.In order to connect the connection leads already attached to the RJ45 type plug to the socket-type connector, the invention in its variant has its own connection leads at the back of the socket-type connector facing away from the opening of the receiving slot. It has a Mini-Western socket (according to DIN EN 60603-7) to which the Mini-Western plug can be plugged. Here, the socket-type connector forms an adapter, the terminal allocation scheme of which can be simply changed by replugg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ug-in positions on the connector board.
접속 리드들을 소켓-타입 커넥터에 직접 접속하기 위해서, 다른 변형예에서는 소켓-타입 커넥터에 단자 나사들이 제공된다.In order to connect the connection leads directly to the socket-type connector, in another variant, terminal screws are provided on the socket-type connector.
커넥터 보드 상에서 소켓-타입 커넥터의 접촉 특성들 및 기계적인 고정과 관련하여 접촉 엘리먼트들이 포크-형태의 접촉 스프링들로 구현되는 것이 유리하다. 플러그-인된 위치에서, 접촉 스프링들은 결과적으로 커넥터 보드의 외부 가장자리를 둘러쌀 것이고 탄성력에 의해서 소켓-타입 커넥터를 지탱할 것이다.It is advantageous for the contact elements to be implemented with fork-shaped contact springs in connection with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 contact properties of the socket-type connector on the connector board. In the plugged-in position, the contact springs will eventually surround the outer edge of the connector board and support the socket-type connector by elastic force.
가능한 오랜 사용기간 동안에 상기 접촉 특성들을 더욱 향상시키고 또한 유지하기 위해서, 접촉 스프링들 및/또는 접촉 영역들에는 바람직하게도 특별히 금 또는 금 합금의 코팅을 갖는 부식방지 코팅이 제공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In order to further improve and maintain the contact properties for as long as possible, it may be advantageous for the contact springs and / or contact areas to be preferably provided with an anticorrosion coating, especially with a coating of gold or gold alloy.
방화 효과가 있는 중합 물질이 소켓-타입 커넥터를 위해 물질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이는 플라스틱 사출성형을 사용하여 유리하게 대량-생산될 수 있다.A fire retardant polymeric material is preferably used as the material for the socket-type connector. It can advantageously be mass-produced using plastic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의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는 ISDN 원격통신 시스템의 경우에 (외부) 디지털 교환 또는 (내부) ISDN 단자 중 하나를 접속시키기 위한 S0 포트를 설정하는데 유리하게 적용된다.The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ly applied in the case of an ISDN telecommunication system to set up a SO port for connecting one of (external) digital switching or (internal) ISDN terminals.
제 1 및 제 2 코딩 리세스가 제 1 접촉 영역에 인접하면서 접촉 공간을 갖도록 공간적으로 떨어져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타입의 비대칭적인 장치는 소켓-타입 커넥터가 180도만큼 회전된 위치에서 커넥터 보드에 플러그될 수 없도록 보장할 것이다.It is advantageous for the first and second coding recesses to be spaced apart so as to have a contact space while adjoining the first contact region. Asymmetrical devices of this type will ensure that the socket-type connector cannot be plugged into the connector board in a rotated position by 180 degrees.
아래의 설명 부분에서는, 본 발명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고, 도면들로부터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들, 상세사항들, 및 개선점들이 기술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which advantageous embodiments, details, and improvements of the invention can be identified through an illustrative embodiment described.
도 1은 제 1 플러그-인 위치에 삽입되기 이전의 소켓-타입 커넥터를 갖는 본 발명의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1 shows a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ocket-type connector prior to being inserted into a first plug-in position.
도 2는 제 2 플러그-인 위치에 삽입되기 이전의 소켓-타입 커넥터를 갖는 본 발명의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2 shows a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ocket-type connector before being inserted into a second plug-in position;
도 3은 RJ45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접속 케이블을 갖는 커넥터 보드에 플러그되는 소켓-타입 커넥터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ocket-type connector plugged into a connector board having a connecting cable connected via an RJ45 connection.
도 1 및 도 2는 예컨대 ISDN 단자 접속의 단자 할당 방식을 구성하기 위한 ISDN 원격통신 시스템의 경우에 이용되는 참조번호 1인 본 발명의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에 대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1 and 2 show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numeral 1 us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ISDN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configuring a terminal assignment scheme of an ISDN terminal connection. .
도 1 및 도 2의 3차원적인 도시는 회로 보드(2)의 커넥터 보드(4)에 플러그되기 이전에 위치를 점유하는 각각의 경우에 있어 스트립-형태의 소켓-타입 커넥터(3)를 도시한다. 소켓-타입 커넥터(3)에는 접속 리드들(26)을 갖는 접속 케이블(20)이 부착된다. 소켓-타입 커넥터(3)는 4개의 접촉 엘리먼트들(11, 12, 13, 14)이 확인될 수 있는 입방형 수용 슬롯(15)을 구비한다. 수용 슬롯(15)의 마주보는 넓은 측면들 사이에서 연장되고 있는 코딩 바(23)가 수용 슬롯(15)에 추가적으로 구현된다. 도시된 ISDN 단자 접속에 적용하는 일예에서는 소켓-타입 커넥터(3)의 4개의 접촉 엘리먼트들(11, 12, 13, 14) 맞은 편에서 커넥터 보드(4) 상에 6개의 접촉 영역들(5, 6, 7, 8, 9, 10)이 위치되고, 상기 접촉 영역들은 나란히 행으로 배열된다.The three-dimensional illustration of FIGS. 1 and 2 shows a strip-type socket-
커넥터 보드(4)는 회로 보드(2)의 가장자리(24)로부터 혓바닥 모양으로 돌출한다. 접촉 영역들(5, 6, 7, 8, 9, 10)은 직사각형으로 구현되며, 회로 보드(2)의 4개의 인쇄된 컨덕터들(31, 32, 33, 34)에 접속된다.The
커넥터 보드(4)에는 두 개의 코딩 리세스들(21 및 22)이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상기 코딩 리세스들(21 및 22)은 거리(25)만큼 공간적으로 떨어져서 배치되며, 커넥터 보드(4) 상에서 밀링 작업을 통해 생성된다. 상기 코딩 리세스들은 접촉 영역(9)의 양 측면에 제공되고 그것들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상기 코딩 리세스들은 코딩 바(23)를 위한 키 그로브(key groove)를 형성한다.The
코딩 바(23) 및 코딩 리세스들(21, 22)의 선택된 비대칭적인 배치는 소켓-타입 커넥터(3)가 180도 만큼 회전된 위치에서 플러그 인 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selected asymmetrical arrangement of the
도 1에는 코딩 바(23)가 삽입 위치에서 제 1 코딩 리세스(21)에 삽입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그와 대조적으로 제 2 삽입 위치가 횡방향으로 좌측에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코딩 바(23)는 여기서 제 2 코딩 리세스(22)에 마주하게 위치된다. 코딩 바(23)는 0.7mm의 폭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코딩 리세스들(21, 22)은 코딩 바 보다는 약간 더 넓고, 따라서 소켓-타입 커넥터(3)가 수동으로 커넥터 보드(4)에 쉽게 플러그될 수 있다. 두 코딩 리세스들(21 및 22) 및 접촉 영역들(5, 6, 7, 8, 9, 10)은 각각의 경우에 접촉 공간(1.27 내지 3.5 mm)을 갖도록 공간적으로 떨어진다. 접촉 영역들(5, 6, 7, 8, 9, 10)은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쇄된 컨덕터의 상단면에 유도되지만, 접촉 영역들이 상단면 및/또는 하단면에 유도되는 것도 구상될 수 있다.1 shows that the
접촉 영역들(5, 6, 7, 8, 9, 10)과 인쇄된 컨덕터들(31, 32, 33, 34) 간의 접속이 회로 보드(2) 상의 접속 레이아웃에 의해서 미리 정해진다. 도 1 및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 영역(6)은 본 경우에는 상기 접속 레이아웃(30)에 의해서만 인쇄된 컨덕터(31)(ISDN 신호 SX2)에 접속되고, 접촉 영역(9)에 의해서만 인쇄된 컨덕터(33)(ISDN 신호 SX1)에 접속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ISDN 신호(SR2)를 컨덕팅하는 인쇄된 컨덕터(32)가 두 접촉 영역들(5 및 7)에 의해서 커넥터 보드(4)에 유도된다. ISDN 신호(SR1)를 컨덕팅하는 인쇄된 컨덕터(34)도 또한 특별히 접촉 영역(8)으로의 접속에 의해서 및 접촉 영역(10)으로의 접속에 의해서 커넥터 보드(4)에서 두 번 유도된다. 즉, 하나의 인쇄된 컨덕터(접촉 영역들(6 및 9))에만 접속되는 커넥터 모드에 접촉 영역들이 존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의 경우에 두 접촉 영역들(5 및 7,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8 및 10)에서 커넥터 보드(4)에서 종료하는 인쇄된 컨덕터들(32 및 34)이 존재한다. 그러한 배치의 결과로, ISDN 신호들(SX1 및 SX2)은 각각의 경우에 한 접촉 영역에서 탭핑될 수 있고, 반면에 ISDN 신호들(SR1,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SR2)이 각각의 경우에 커넥터 보드(4)에서의 두 접촉 영역들에서 탭핑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etween the
본 예에서는, 이는, 만약 외부 ISDN 교환 또는 내부 S0 장치 중 어느 하나가 통신 시스템의 S0 포트에 접속된다면 그 때는 쌍으로 접속 리드들의 필요한 교차가 제 1 코딩 리세스(21)나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제 2 코딩 리세스(22)에 코딩 바(23)를 통해서 소켓-타입 커넥터(3)를 플러그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살표(29)는 도 1 및 도 2에서 플러깅 방향을 나타낸다.In this example, this means that if either an external ISDN exchange or an internal S0 device is connected to the S0 port of the communication system, then the necessary intersection of the connection leads in pairs is placed in the
접촉 엘리먼트들과 ISDN 신호들 사이의 할당은 다음과 같다:The allocation between the contact elements and the ISDN signals is as follows:
제 1 플러그-인 위치에서, 코딩 바(23)는 제 1 코딩 리세스(21)에 삽입된다(도 1).In the first plug-in position, the
제 2 플러그-인 위치에서, 코딩 바(23)는 제 2 코딩 리세스(22)에 삽입된다(도 2).In the second plug-in position, the
상기 두 표를 비교함으로써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켓-타입 커넥터(3)의 접촉 엘리먼트들(11, 12, 13, 14)에 의해서 탭핑되는 ISDN 신호는 각각의 플러그-인 위치들에서 쌍들로 교차되고, 이는 접속 와이어들을 수동으로 변경하는 것과 같다.As can be seen by comparing the two tables, the ISDN signal tapped by the
소켓-타입 커넥터(3)는 단지 제 1 플러그-인 위치에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제 2 플러그-인 위치에서 커넥터 보드(4)에 플러그될 수 있기 때문에, 접속 와이어들이 수동으로 변경될 때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은 ISDN 접속의 구성 동안의 에러들이 방지된다.Since the socke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타입 커넥터(3)의 입방형 수용 슬롯(15)은 측벽(16 및 17)을 갖는다. 수용 슬롯(15)은 커넥터 보드(4)보다 더 넓다. 코딩 바(23)는 수용 슬롯(15)을 비대칭적으로 - 관측 방향에서 보았을 때 - 더 큰 좌측 부분 슬롯과 더 작은 우측 부분 슬롯으로 분할한다. 접촉 엘리먼트들(11, 12 및 13)은 좌측 부분 슬롯에 위치된다. 접촉 엘리먼트들(12 및 13) 사이의 한 접촉 공간은 비어 있고, 내부면(16)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면(17)에 접하는 외부 공간이 각각의 부분 슬롯에서 비어 있다. 접촉 엘리먼트들(11, 12 및 13, 14)뿐만 아니라 접촉 영역들(5, 6, 7, 8, 9, 10) 및 코딩 리세스들(21, 22)이 각각의 경우에 일정 거리(25)(접촉 공간)만큼 공간적으로 서로 떨어지도록 나란히 배열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ubic
도 1에 도시된 제 1 삽입 위치에서는, 내부 측면(16)이 커넥터 보드(4)의 상응하는 측면 표면(18)과 정렬한다. 표면(16)이 플러깅 동작 동안에(화살표 29) 표면(18)에 맞닿아 위치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그 치수가 선택된다. 그것은 삽입 동안에 추가적인 가이딩을 생성할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제 2 삽입 위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슬롯으로의 삽입 시에, 관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소켓-타입 커넥터(3)의 우측의 측면 표면(17)은 커넥터 보드(4)의 측면 표면(19)에 맞닿아 위치할 것이다. 표면들(17 및 19)을 서로 맞닿아 위치시키는 것은 여기서 추가적인 가이딩을 또한 제공할 것이다.In the first insertion position shown in FIG. 1, the
코딩 바(23)는 수용 슬롯(15)의 개구면과 같은 높이의 종단 표면(35)을 구비한다. 코딩 리세스(21)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리세스(22)의 깊이는 종단 표면(35)이 삽입 동안에 정지부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치수가 정해진다.
케이블(2)의 접속 리드들(26)은 소켓-타입 커넥터(3)에 플러그가능하거나 영구적으로 거기에 접속될 수 있다. 도 3의 단면도는 제 1 변형예에서 RJ45 플러그 커넥터(27)를 통한 접속 케이블(20)의 접속을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제 2 변형예에서는, 접속이 단자 나사(28)에 의해서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27)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단자 나사(28)가 수용 슬롯(15)으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소켓-타입 커넥터(3)의 측면에 각각의 경우에 구현된다.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접촉 엘리먼트들은 포크-형태로 구현된다.The connection leads 26 of the
기계적인 코딩(23, 21, 22)은 물론 커넥터 보드(4)와 수용 슬롯(15) 사이에서 상이하게 쌍으로 구현되는 형태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코딩 리세스들은 커넥터 보드에 구현되고 플러깅 방향(29)으로 지향되는 그루브들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코딩 바(23) 대신에, 커넥터 보드의 방향으로 수용 슬롯에서 돌출하는 코딩 스트립이나 또는 유사한 적합한 코딩 해결책에 따라 구현되는 수단이 상기 그루브들과 맞물릴 것이다.The
사용된 참조번호Reference number used
1 회로 보드 플러그-및-소켓 장치1 circuit board plug-and-socket device
2 회로 보드2 circuit board
3 소켓-타입 커넥터3 socket-type connector
4 커넥터 보드4 connector board
5,6,7,8,9,10 접촉 영역들5,6,7,8,9,10 contact areas
11,12,13,14 접촉 엘리먼트들11,12,13,14 contact elements
15 수용 슬롯15 accommodating slots
16 15의 측면 표면16 15 side surfaces
17 15의 측면 표면Side surface of 17 15
18 4의 측면 표면Side surface of 18 4
19 4의 측면 표면Side surface of 19 4
20 접속 케이블20 connection cables
21 제 1 코딩 리세스21st coding recess
22 제 2 코딩 리세스22 second coding recess
23 코딩 바23 coding bar
24 2의 가장자리24 2 edges
25 21과 22 사이의 거리25 Between 21 and 22
26 20의 접속 리드들26 20 connection leads
27 RJ45 플러그27 RJ45 plug
28 단자 나사28 terminal screw
29 플러깅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29 Arrows indicating the plugging direction
30 접속 레이아웃30 connections layout
31 제 2 인쇄된 컨덕터31 2nd printed conductor
32 제 4 인쇄된 컨덕터32 4th printed conductor
33 제 1 인쇄된 컨덕터33 1st printed conductor
34 제 3 인쇄된 컨덕터34 3rd printed conductor
35 종단 표면35 termination surface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7026637A KR100856590B1 (en) | 2004-09-30 | 2005-09-28 | Circuit board plug and socket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04047672.1 | 2004-09-30 | ||
KR1020067026637A KR100856590B1 (en) | 2004-09-30 | 2005-09-28 | Circuit board plug and socket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3753A KR20070023753A (en) | 2007-02-28 |
KR100856590B1 true KR100856590B1 (en) | 2008-09-03 |
Family
ID=4164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70266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6590B1 (en) | 2004-09-30 | 2005-09-28 | Circuit board plug and socket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6590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68942A (en) * | 1991-06-18 | 1992-12-21 | Brother Ind Ltd | Image forming device |
JPH05277611A (en) * | 1992-03-30 | 1993-10-26 | Sumitomo Metal Ind Ltd | Strengthening method for duplex stainless steel |
-
2005
- 2005-09-28 KR KR1020067026637A patent/KR1008565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368942A (en) * | 1991-06-18 | 1992-12-21 | Brother Ind Ltd | Image forming device |
JPH05277611A (en) * | 1992-03-30 | 1993-10-26 | Sumitomo Metal Ind Ltd | Strengthening method for duplex stainless steel |
Non-Patent Citations (5)
Title |
---|
미국특허 제3566340호 |
미국특허 제3818280호 |
미국특허 제4368942호 |
미국특허 제5277611호 |
미국특허 제5421734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3753A (en) | 2007-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0555B1 (en) | Adapter and plug-in connection system | |
CN109616810B (en) | A kind of interface unit | |
CN102224643B (en) | System connector with adapter module | |
CN111864473B (en) | Plug connector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and electrical plug connection formed therefrom | |
US5380225A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5098316A (en) | Equipment terminal plug | |
CN101542849A (en) | Manufactured round plug connector for the ethernet | |
US4549248A (en) | Electro-fluidic circuit board assembly with fluid ducts and electrical connections | |
US6350159B1 (en) | Arrangement for preventing mismating of connectors having different numbers of terminals | |
KR100834188B1 (en) | Plug-in adapter | |
US6764348B2 (en) | Modular jack | |
CN1229292A (en) | Right Angle Electrical Connector | |
US6000950A (en) |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ards | |
JP4495759B2 (en) | Printed circuit board insertion device | |
KR100856590B1 (en) | Circuit board plug and socket device | |
CN210468317U (en) | Conductive profile and plug-in connector | |
US5013250A (en) | Multi-pole connector plug | |
CN100401585C (en) | Connecting devices for plug-in devices | |
CN103474837B (en) | Electric connector | |
US7112101B2 (en) | Socket used to house female plugs and micro-relays | |
JP2002305063A (en) | Conductor wiring structure and joint connector using this structure | |
CN213602054U (en) | Combined socket connector | |
CN202585946U (en) | Electric connector | |
KR20010075036A (en) | Board-plug-in-contact arrangement | |
KR101335104B1 (en) | Connector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612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