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5849B1 - Position vari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figure insp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osition vari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figure insp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5849B1 KR100855849B1 KR1020060091666A KR20060091666A KR100855849B1 KR 100855849 B1 KR100855849 B1 KR 100855849B1 KR 1020060091666 A KR1020060091666 A KR 1020060091666A KR 20060091666 A KR20060091666 A KR 20060091666A KR 100855849 B1 KR100855849 B1 KR 100855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receiving
- light
- lens
- displacement
- measuring poi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101001080825 Homo sapiens PH and SEC7 domain-containing protein 1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02100027472 PH and SEC7 domain-containing protein 1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01001080808 Homo sapiens PH and SEC7 domain-containing protein 2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02100027455 PH and SEC7 domain-containing protein 2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01000736367 Homo sapiens PH and SEC7 domain-containing protein 3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02100036231 PH and SEC7 domain-containing protein 3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444 catalytic combustion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1100136727 Caenorhabditis elegans psd-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441—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using interferometr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4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using a plurality of fixed, simultaneously operating transduc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01B11/2518—Projection by scanning of the objec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01B11/2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 G01B11/254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by projecting a pattern, e.g. one or more lines, moiré fringes on the object with one projection direction and several detection directions, e.g. stereo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9/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9/02—Interferometers
- G01B9/02015—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the beam path configuration
- G01B9/02017—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the beam path configuration with multiple interactions between the target object and light beams, e.g. beam reflections occurring from different locations
- G01B9/02021—Interferometers characterised by the beam path configuration with multiple interactions between the target object and light beams, e.g. beam reflections occurring from different locations contacting different faces of object, e.g. opposite 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Abstract
피측정물 상의 측정점의 형상에 따라서 다른 각도로 정반사하는 빛을 검출할 수 있는 복안기능을 구비한 광센서에 의해, 정점이나 평탄한 면뿐만 아니라 경사면의 변위를 측정하는 기술을 제공한다.An optical sensor having a compound eye function capable of detecting light specularly reflected at different angles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a measuring point on an object to be measured provides a technique for measuring displacement of an inclined surface as well as a vertex or a flat surface.
투광부(100)에 의해, 빛을 피측정물 상의 측정점에 집광시키고, 그 측정점으로부터 정반사하는 반사광을 수광하기 위한 복수의 수광부(200,210,220)를 구비하고, 그 복수의 수광부는, 투광되는 빛을 포함하여 피측정물에 거의 수직인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측정점을 축으로 하여 거의 부채형상으로 배열되고, 또한 각 수광부의 수광면이 차지하는 측정점으로부터 수광 할 수 있는 수광범위가, 서로 이웃하는 수광부의 수광면끼리 연속하도록 배치하는 구성으로 한다.The light transmitting par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parts 200, 210, and 220 for condensing light to a measuring point on a measurement target and receiving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measuring point.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parts includes light that is transmitted. And the light receiving range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fan shape with the measuring points as axes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receiving from the measuring points occupied by the light receiving surfaces of each light receiving portion are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set as the structure arrange | positioned so that surfaces may continue.
변위측정, 복안기능, 형상검사 Displacement measurement, compound eye function, shape inspection
Description
도 1에 관한 광변위센서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구성도이다.It is a typical block diagram for demonstrating embodiment of 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which concerns on FIG.
도 2는 도 1의 구성을 대략 화살표 A에서 본 모식적인 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 seen from an arrow A. FIG.
도 3은 수광소자인 PSD 및 수광렌즈(기능소자)를 포함하는 수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복수의 수광부를 동일구성으로 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 receiving unit including a light receiving element PSD and a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and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are configured in the same configuration.
도 4는 복수의 수광부의 수광렌즈 기능소자를 바꾼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the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s of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are replaced.
도 5는 복수의 수광부에 있어서의 수광렌즈 기능소자 및 수광소자인 PSD가 다른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FIG.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the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 in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portions are different.
도 6은 본 발명의 변위측정장치에 관한 실시형태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실시형태를 이용한 형상검사장치의 실시형태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shape inspection apparatus using the embodiment of FIG. 6.
도 8은 변위측정결과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cement measurement result.
도 9는 수광렌즈의 수광범위의 연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tinuity of the light receiving range of the light receiving lens.
도 10은 2개의 광변위센서를 구비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example provided with two optical displacement sensors.
도 11은 카메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sition of a camera.
도 12는 선행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콜리미터 렌즈 2 : 집광렌즈1: collimator lens 2: condensing lens
3 : 수광렌즈(기능소자) 4, 4a, 4b : 광변위센서3: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4, 4a, 4b: optical displacement sensor
5 : 주사기구 6 : 제어부5: syringe port 6: control unit
7, 8 : 가산기 9 : 연산기7, 8: adder 9: calculator
10 : 화상처리부 11 : 비교수단10: image processing unit 11: comparison means
12 : 판정수단 13 : 표시수단12: judgment means 13: display means
LD : 광원 PSD : 수광소자LD: light source PSD: light receiving element
100 : 투광부 200, 210, 220 : 수광부100: light transmitting part 200, 210, 220: light receiving part
300 : 변위측정부 400 : 검사부300: displacement measurement unit 400: inspection unit
500 : 카메라 600 : 시일재500: camera 600: seal material
본 발명은 피측정물에 빛을 쬐어 주사하면서 그 반사광을 받는 것에 의해, 피측정물의 표면의 변위를 삼각측량하는 변위측정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형상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주사방향으로 경사지는 피측정물의 표면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종래, 삼각측량에 의해 변위측정하는 장치로서, 특허문헌 1의 종래 기술에 나타낸 것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해 변위측정을 행하면, 피측정물의 표면의 경사를 잘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측정물의 시일재의 표면형상을 측정하려고 하면, 주사위치가 m점(대략 정상부근의 평면의 점)에서 주사광을 입력했을 때 정반사하는 반사광을 측정하여 변위를 측정하고, 그대로 위치 n점(기울어진 면의 점)으로 옮겨서 m점에서의 측정과 같은 각도의 주사광을 입력하여 측정하려고 하면, n점에서 정반사하는 반사광이 m점에서의 반사광과는 다른 방향으로 반사한다. 즉, 반사광을 검출하는 검출기를 m점의 반사광을 받는 위치에 배치하면, n점의 반사광을 받을 수 없는 일이 생긴다. 따라서, 측정결과를 주사방향에 따라서 플롯(plot)하면, 도 12(B)의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시일재의 경사부에 있어서, 시일재의 실단면(도 12(B)의 점선)에 비해 움푹 들어간 파형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사부에 있어서는 정반사한 반사광을 수광할 수 없기 때문이다.Conventionally, there exist some which were shown by the prior art of
따라서, 특허문헌 1의 발명은, 광변위센서 그 자체를 피측정물의 경사면에 따라 회전시켜 측정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의 발명에 관한 기술은, 광변위센서의 출력이 소정값이 되도록, 광변위센서를 회전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측정점의 기울어진 면이나 평면 등에 추종하여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Therefore, invention of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평성7-69151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Pyeongseong 7-69151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광변위센서의 출력이 소정값이 되도록 광센서의 회전위치(각도)를 자동 제어하는 것이기 때문에, 광변위센서의 출력이 소정값으로 안정될 때까지의 제어시간이 필요한 것, 또한 그 제어시간은 측정점에 있어서의 형상(평평한 면, 기울어진 면 등)에 의존한다라는 것이 있고, 측정점을 차례차례로 주사하면서 측정하는 변위측정장치에 있어서는, 그 주사시간을 지연시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구성도 회전위치의 제어기구도 복잡하였다.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본 발명의 목적은, 피측정물 상의 측정점의 형상에 따라 다른 각도로 정반사하는 빛을 검출할 수 있는 복안(複眼)기능을 구비한 광센서에 의해, 그 측정점에 있어서의 형상의 영향을 방지하고, 측정점을 주사하면서(형상의 변화에 의존하는 시간을 들이는 일 없이)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influence of the shape at the measurement point by an optical sensor having a compound eye function capable of detecting light reflected at different angle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easurement point on the measurement object. It provides a technique for measuring while scanning a measuring point (without taking time to rely on a change in shap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의 발명은, 광원(LD)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빛을 피측정물 상에 집광시키는 것에 의해 집광한 위치를 측정점으로서 조사하는 집광렌즈(2)와, 상기 피측정물로부터 상기 측정점을 대칭으로 하여 정반사한 빛을 수광하는 수광렌즈(3)와, 상기 수광렌즈로 집광된 빛을 받는 수광소자(PSD)를 갖고, 상기 수광소자의 수광면 상의 수광위치에 의해 상기 측정점 에 있어서의 상기 피측정물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측정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described in
상기 수광렌즈와 상기 수광소자로 수광부를 형성하고, 상기 광원의 하나에 대하여 상기 수광부가 상기 측정점을 중심으로 복수 구비하고, 복수의 수광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정반사한 반사광을 수광한다.A light receiving unit is formed of the light receiving lens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are provided with respect to one of the light sources around the measurement point,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청구항 2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광부는, 상기 측정점과 상기 수광렌즈와의 거리가 전부 거의 동일하고, 또한 상기 수광렌즈와 상기 수광소자와의 거리가 전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3에 기재의 발명은, 광원(LD)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빛을 피측정물 상에 집광시키는 것에 의해 집광한 위치를 측정점으로서 조사하는 집광렌즈(2)와, 상기 피측정물로부터 상기 측정점을 대칭으로 하여 정반사한 빛을 수광하는 수광렌즈(3)와, 상기 수광렌즈로 집광된 빛을 받는 수광소자(PSD)를 갖고, 상기 광원, 상기 집광렌즈, 상기 수광렌즈 및 상기 수광소자가 상기 피측정물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측정점이 상기 피측정물을 주사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수광소자의 수광면 상의 수광위치에 의해 상기 측정점에 있어서의 상기 피측정물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측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하나에 대하여, 상기 수광렌즈와 상기 수광소자로 형성된 수광부를 적어도 3개 이상의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수광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피측정물의 상기 주사방향에 따른 단면에 있어서의 양측의 경사부분(Xn-1)(Xn+1) 및 그 사이의 꼭대기부분(Xn) 중의 어느 한 부분을 측정점으로 해서도 정반사된 반사광을 수광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점을 중심으로 배열하여 구비한다.
청구항 4에 기재의 발명은, 빛을 피측정물 상에 집광시키는 것에 의해 집광 된 위치를 측정점으로서 조사하는 투광부(100)와, 상기 측정점으로부터 정반사하는 반사광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210)를 갖는 광변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투광되는 빛을 포함하여 상기 피측정부에 거의 수직인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상기 광변위센서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주사하고, 상기 피측정물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측정장치로서,The invention described in
At least three or more light-receiving portions formed by the light-receiving lens and the light-receiving element are provided for one of the light sources,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light-receiving portions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ross section along the scanning direction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It arrange | positions centering on the said measuring point so that the reflected light reflected by the specular | flexion part Xn-1 (Xn + 1) and any one part of the top part Xn in between can be received.
Invention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 광변위센서는, 상기 하나의 투광부에 대하여, 상기 수광부를 복수(200,210,22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복수의 수광부는, 상기 측정점을 향하여 상기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각 수광부의 수광면이 차지하는 상기 측정점으로부터 상기 정반사한 반사광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범위가, 변위측정상, 서로 이웃하는 수광부의 수광면끼리로 연속하도록 배치된 구성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광부는 상기 평면과 교차하는 점에 1개와, 그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의 양측에 같은 수만큼 대칭으로 배열된 구성으로 한다.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parts (200, 210, 220) with respect to the one light transmitting part, and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parts are arrang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lane toward the measuring point, and each of the light receiving parts The light receiving range capable of receiving the specularly reflected reflected light from the measuring points occupied by the light receiving surfaces of the light receiving surfaces is arranged so that the light receiving surfac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ight receiving portions are discontinued in displacement measurement.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삭제delete
청구항 6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4 또는 5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는, 광원(LD)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빛을 피측정물 상에 집광시키는 것에 의해 집광된 위치를 측정점으로서 조사하는 집광렌즈(2)를 구비하고,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상기 복수의 수광부는, 상기 측정점으로부터 정반사한 빛을 받아 집광하는 수광렌즈 기능소자(3a,3b,3c)와, 상기 수광렌즈 기능소자로 집광된 빛을 받는 수광소자(PSD1,PSD2,PSD3)를 구비하고, 상기 수광부의 수광면은, 상기 수광렌즈 기능소자의 수광면인 구성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may include light receiving lens
청구항 7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광렌즈 기능소자로부터 상기 집광되는 위치까지의 거리는 거의 동일하고, 상기 각 수광렌즈 기능소자는 상기 측정점으로부터 거의 동일거리에 배치되고, 또한 서로 이웃하는 수광렌즈 기능소자의 수광면이 서로 접하도록 근방에 배치된 구성으로 한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8에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수광렌즈 기능소자는, 상기 측정점으로부터 정반사한 빛을 받아 평행광으로 하는 콜리미터 렌즈(3a1,3b1,3c1)와 콜리미터 렌즈로부터의 평행광을 상기 대응하는 수광소자에 집광하는 수광용 집광렌즈(3a1,3b2,3c2)를 갖고,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상기 수광부의 수광면은, 상기 콜리미터 렌즈의 수광면으로서, 서로 이웃하는 콜리미터 렌즈의 수광면이 상기 측정점에 대해서 차지하는 수광범위가, 서로 연속하도록 배치되는 것과 함께, 각 수광렌즈 기능소자에 있어서의, 상기 측정점과 상기 콜리미터 렌즈 간의 거리와, 상기 수광용 집광렌즈와 상기 수광소자간의 거리의 비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한다.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light receiving portion is a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collimator lens, and the light receiving ranges of the light receiving surfaces of neighboring collimator lenses occupy the measurement points are arrang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The ratio of the distance between the measuring point and the collimator len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light condensing lens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almost the same.
청구항 10에 기재의 발명은, 빛을 피측정물 상에 집광시키는 것에 의해 집광된 위치를 측정점으로서 조사하는 투광부(100)와, 상기 측정점으로부터 정반사하는 반사광을 수광하기 위한 수광부(210)를 갖는 광변위센서와, 상기 투광되는 빛을 포함하여 상기 피측정물에 거의 수직인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상기 광변위센서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주사하여, 상기 광센서의 출력에 의해 피측정물의 변위를 측정하는 변위측정부(300)와, 변위측정부의 출력의 양호불량을 판정하는 검사부(400)를 구비한 형상검사장치로서,The invention according to
상기 광변위센서는, 상기 하나의 투광부에 대하여, 상기 수광부를 복수(200,210,220)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수광부는, 상기 측정점을 향하여 상기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각 수광부의 수광면이 차지하는 상기 측정점으로부터 상기 정반사하는 반사광을 수광할 수 있는 수광범위가, 변위측정상, 서로 이웃하는 수광부의 수광면끼리 연속하도록 배치된 구성으로 한다.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include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청구항 9의 발명은 각각 청구항 4 또는 5의 발명에 있어서, 또는 청구항 11의 발명은 청구항 10의 발명에 있어서, 각각 광변위센서를 주사방향이 다른 방향마다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9, the invention of
한편, 상기 발명의 표현을 바꾸면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즉,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빛을 피측정물 상에 집광시키는 것에 의해 집광된 위치를 측정점으로 해서 조사하는 집광렌즈와, 상기 측정점을 경계로 하여 대칭으로 정반사한 빛을 받아 집광하는 수광렌즈 기능소자와, 상기 수광렌즈 기능소자에서 집광된 빛을 받는 수광소자를 가지는 광변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광변위센서를 상기 피측정물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또한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측정점까지의 광로를 포함하여 상기 피측정물에 대해서 거의 수직인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측정점을 주사시키고, 상기 수광소자의 수광면 상의 수광위치에 의해 상기 측정점에 있어서의 상기 피측정물의 변위를 검출하는 변위측정장치로서,On the other hand, if the expression of the said invention is changed, it can be said as follows. That is, a light source, a light condensing lens irradia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on the object to be measured as a measuring point, and a light receiving lens for condensing by receiving light reflect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measuring point as a boundary. An optical displacement sensor having a lens functional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element receiving the light collected by the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wherein 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is relative to the object to be measured, and is an optical path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measurement point; Scanning the measurement point by mov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object under test, and shifting the measured object at the measurement point by the light receiving position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for detecting
상기 광변위센서는, 상기 수광렌즈 기능소자가 복수, 상기 평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평면을 경계로 대칭으로 상기 측정점을 축으로 하여 대략 부채형상 으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각 수광렌즈 기능소자의 측정점에 대해서 갖는 수광범위가 변위측정상 서로 이웃하는 수광렌즈 기능소자 간에 연속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상기 수광소자가 복수, 상기 배열된 수광렌즈 기능소자에 대응하여 각 수광렌즈 기능소자에 의해서 집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측정기.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has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fan shape with the measuring point as an axi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plan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plane, and also measuring points of the respective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s. A position where the light receiving rang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re arranged so as to be continuous between adjacent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s in displacement measurement, and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are condensed by each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corresponding to the arranged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s.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configuration disposed in.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광변위센서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구성도이다. 도 1(A)은 광원인 LD(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피측정물에 조사되는 빛을 포함하여 피측정물에 수직인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도이다. 바꿔 말하면, 주사방향에서 본 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을 화살표 A에서 본 모식적인 도이다. 도 3은, 수광소자인 PSD 및 수광렌즈(기능소자)를 포함하는 수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복수의 수광부를 동일구성으로 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복수의 수광부의 수광렌즈 기능소자를 바꾼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복수의 수광부에 있어서의 수광렌즈 기능소자 및 수광소자인 PSD가 다른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위측정장치에 관한 실시형태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도 6의 실시형태를 이용한 형상검사장치의 실시형태의 기능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변위측정결과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수광범위의 연속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2개의 광변위센서를 구비한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카메라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 다.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using drawing.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demonstrating embodiment of 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FIG. 1 (A) is a view seen from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bject under test including light irradiated from the LD (laser diode) serving as the light source. In other words, this is the view seen from the scanning direc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 seen from an arrow A.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light receiving unit including a PSD as a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and for explaining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have the same configura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case where the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s of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units are replaced.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where the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 in the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portions are different. 6 is a diagram show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igure which shows the functional structure of embodiment of the shape inspection apparatus using embodiment of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displacement measurement result. 9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inuity of the light receiving range. 10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example provided with two optical displacement sensors.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 of a camera.
[광변위센서][Optical Displacement Sensor]
여기에서는, 도 1에 있어서의 광원(LD), 콜리미터 렌즈(1) 및 집광렌즈(2)로 구성되는 투광부(100)와, 수광렌즈(기능소자) 및 수광소자(이 1조합이 1수광부)로 이루어지는 3개의 수광부(200,210,220)(대표하여 「수광부」라 하는 경우가 있다.)로 구성되는 광변위센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 the light-transmitting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수광렌즈 기능소자」라고 하는 표현을 이용하고 있지만, 동일 기능·성능을 단일의 렌즈 혹은 복수의 렌즈로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부터, 그것들 전체를 표시하기 위한 표현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ression "light-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is used, but since the same function and performance can be achieved with a single lens or a plurality of lenses, the expression is for displaying them all.
도 1에 있어서, 광원(LD)은 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이고, 빛을 발생한다. 실제는, 빛의 묶음(빔)이지만, 도 1에는 단순한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콜리미터 렌즈(1)는, 광원(LD)으로부터의 빛을 받아 평행광으로 변환하여 집광렌즈(2)로 보낸다. 집광렌즈(2)는, 콜리미터 렌즈(1)로부터 받은 평행광을 집광하여 피측정물 상을 조사한다. 이하에서는, 이 조사된 위치를 「측정점」이라고 한다.1, the light source LD is a laser diode, for example, and produces light. In reality, although it is a bundle of light (beam), it is shown by the simple line in FIG. The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이 예에서는, 수광렌즈(기능소자)로서는 수광렌즈 (3a,3b,3c)(대표하여 「수광렌즈 3」이라 하는 경우가 있다.)의 3개를 갖고, 조사된 피측정물 상의 측정점에서 정반사한 빛을 받아 수광소자(PSD1∼3) 중의 어느 하나에 집광시킨다. 이 예에서는, 수광소자로서도 PSD1∼3 중의 3개를 가지고 있다. 수광소자(PSD1∼3)(대표하여 「수광소자 PSD」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의 각각은, 이 경우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수광소자(PSD1 ∼3)는, 광학적으로 변위를 측정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소자이고, 포토다이오드로 구성되어도 좋고, CCD로 구성되어도 좋다. 수광소자(PSD1∼3)는, 광학도 1(B)의 세로방향에, 빛을 받은 PSD 상의 위치, 즉 변위 Lp는 그 양 끝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강도, 예를 들면, 출력 A1과 출력 B1의 값을 이용하여, Lp1 = (A1-B1) / (A1+B1)으로 나타낸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점의 형상, 높이의 변화는, 수광소자(PSD1∼3)가 수광하는 위치 P1, P2, P3이 각각의 출력 A1∼A3, 출력 B1∼B3에서 상기 식에 의해 특정되어, 변위 Lp1∼Lp3을 측정할 수 있다(자세한 것은 후기.).1 and 2, in this example, the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has three of the
도 1, 도 2의 수광렌즈(3a,3b,3c)는, 같은 초점거리의 것을 사용하고,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비(PSD측의 초점거리 F2/측정점측의 초점거리 F1)가 같은 렌즈(렌즈기능소자)를 사용하고 있다. 수광소자(PSD)의 성능, 수광렌즈(3)의 성능이 같기 때문에, 측정점과 각 수광렌즈(3)과의 사이의 거리는 같고, 또한 측정점과 각 수광소자(PSD)와의 사이의 거리도 같다. 수광부(200,210,220)의 3개의 변위검출감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이다.The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광부(100)로부터 투광되는 빛의 광로를 포함하여 피측정물에 수직인 면(도 1의 면, 혹은 도 2의 수광소자(PSD2)와 측정점을 연결하는 선 위에 세운 면)과 교차하도록 거의 부채형상으로 배설된 수광렌즈 (3a,3b,3c)의 수광면은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접촉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광렌즈(3a)에서 받은 빛은 수광소자 (PSD1)에 집광하고, 수광렌즈(3b)로 받은 빛은 PSD2에 집광하고, 수광소자(3c)로 받은 빛 은 수광소자(PSD3)에 집광시키는 것에 의해, 수광렌즈(3a)로부터 (3c)까지의 부채형상으로 배설된 각 각도범위(수광범위)에 있는 빛을 빠짐없이 수광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서로 이웃하는 각 수광소자의 수광면 사이에 틈새가 있으면, 그 틈새에 들어간 빛은 수광할 수 없기 때문에, 그 틈새에 들어간 위치에 있어서의 측정점의 변위에 오차를 일으키게 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object to be measured (the plane of FIG. 1 or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2 of FIG. 2) is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target, including an optical path of light transmitted from the light-transmitting
한편, 상기와 같이 「부채형상으로 배설된 수광렌즈(3a,3b,3c)의 수광면은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접촉하도록 구성」이란, 말하자면 각 수광부(수광렌즈 3)의 수광면이 측정점에 대해서 갖는 수광범위를 서로 이웃하는 수광면끼리 연속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으로, 완전하게 연속하면 좋지만, 배치·구조상의 오차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여기서의 「연속하도록 배치」란, 배치한 결과 어디까지나 실질적으로 변위측정을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꿔 말하면, 실질적으로 측정에 영향이 없는 수광범위의 불연속을 허용한다. 예를 들면, 빛을 광속으로서 파악한 경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어도 빛의 일부가 몇 개의 수광렌즈에 입력되고 있으면,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연속성이 있다. 도 9는, 설명을 위해 도 4의 수광렌즈(3a1,3b1,3c1)만 꺼내서 다시 배열한 것이다. 도 9에 있어서, 측정점으로부터의 반사광 A(사선부분의 광속)의 일부가 수광렌즈(3b1과 3c1)의 사이를 빠지고, 일부가 수광렌즈(3b1)에서 수광하고 있다. 반사광 B(사선부분의 광속)의 일부가 수광렌즈(3b1)에 입력되고, 다른 일부가 수광렌즈(3a1)에 입력되고, 또한 다른 일부가 수광렌즈(3b1과 3a1)의 사이를 빠지고, 일부가 수광렌즈(3b1)로 수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측정점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전부 빠지지 않는 치수관계의 구조로 함으 로써, 연속성이 생긴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light receiving surfaces of the
한편, 주사과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다음의 (가) 또는 (나)와 같은 측정방법으로, 소정거리 사이에 있어서 반사광이 빠지는 일이 있어도, 측정상은 실질적으로 연속하여 측정하는 것으로서, 그 변위측정상 허용되는 오차범위 내이면, 실질적으로 수광면의 수광범위가 연속하도록 배치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canning process, for example, in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 as (a) or (b), even if the reflected light may fall out between predetermined distances, the measurement image is measured substantially continuously and the displacement thereof is measured. If it is within the error range allowable in measurement, it is assumed that the light receiving range of the light receiving surface is arranged to be continuous.
(가) 주사방향으로 주사하고, 소정거리마다(주사방향의 측정분해능)에 변위를 측정한다. 즉, 주사방향으로 소정거리마다 연속하여 측정할 수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소정거리마다 측정하는 것이, 피측정물의 요철의 경사도의 정도나, 평탄도의 정도가 피측정물의 종류 등으로 예상될 때, 그 소정거리 간격을 크게 하거나 혹은 집중적으로 일부는 세밀하고 일부는 크게 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A) Scan in the scanning direction and measure the displacement every predetermined distance (measurement resolution in the scanning direction). That is,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be able to measure continuously every predetermined distance in a scanning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measurement for each predetermined distance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gree of inclination or unevenness of the measured object or the degree of flatness is expected to be the type of the measured object or the like,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 is increased or partially concentrated. And some may be larger.
(나) 피측정부의 요철 형상의 경사도의 정도나, 평탄도의 정도에 따라서는, 소정거리 간격의 하나 또는 복수 간격마다 변위를 측정하고, 그 하나 또는 복수간격에 있어서의 값은 전후의 측정값으로 보정하거나, 혹은 전후의 측정값을 연결하는 선 상의 추정값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B) Depending on the degree of inclination and the degree of flatness of the uneven shape of the portion to be measured, the displacement is measured at one or more intervals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 and the value at the one or more intervals is the measured value before and after. It is also possible to make the correction as the estimated value on the line connecting the measured values before and after.
이상과 같이 실질적인 악영향이 없으면, 수광범위의 불연속성이 있어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이하, 수광범위의 연속에 대해서는, 상기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If there is no substantial adverse effect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a discontinuity in the light receiving range,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bout the continuation of a light receiving range, the said meaning shall be shown.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에서 본 도이고(광원측의 구성을 생략), 또한 주(主)주사의 위치에 의해 정반사의 각도가 바뀌고, 또한 수광소자(PSD1∼3)에서의 수광위치가 변화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1 주사광, 제2 주사광 및 제3 주사 광은, 본래 하나의 빛으로 측정점을 주(主)주사하는 것이지만, 설명상, 피측정물 상의 측정점 Xn-1을 주사한 때의 빛을 제1 주사광, 측정점 Xn을 주사한 때의 빛을 제2 주사광 및 측정점 Xn+1을 주사한 때의 빛을 제3 주사광으로서 표현하고 있다. 제1 주사광에 의해서 측정점 Xn-1의 경사(주 주사방향에 대해서 우측으로 올라가는 경사점)에서 정반사한 빛은, 수광렌즈(3a)에서 수광소자(PSD1)에 집광되고(p2), 그 변위가, Lp2= (A1-B1)/(A1+B1)로서 측정된다. 제2 주사광에 의해서 측정점 Xn의 정상에서 정반사한 빛은, 수광렌즈(3b)에서 수광소자(PSD2)에 집광되고(p1), 그 변위가, Lp1= (A2-B2)/(A2+B2)로서 측정된다. 제3 주사광에 의해서 측정점 Xn+1의 경사(주 주사방향에 대해서 우측으로 내려가는 경사점)에서 정반사한 빛은, 수광렌즈(3c)에서 수광소자(PSD3)에 집광되고(p3), 그 변위가, Lp3 = (A3-B3)/(A3+B3)로서 측정된다. 실제는, 후기하는 변위측정장치(도 6 참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변위 L = (A-B)/(A+B), A = A1+A2+A3, B = B1+B2+B3 로 표시할 수 있다.Fig. 2 is a view seen from arrow A in Fig. 1 (omission of the configuration on the light source side), and the angle of regular reflection change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main scanning, and the light receiving position in the light receiving
도 8에 그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도 8은, 가로축이 주 주사방향의 주사위치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각 수광소자(PSD)의 출력을 기본으로 계산한 변위이다. 이 도면과 같이, 경사면에서 정반사한 빛을 수광하여, 그 형상변위를 구할 수 있다.The measurement result is shown in FIG. 8,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dice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the vertical axis is a displacement calculated based on the output of each light receiving element PSD. As shown in this figure, the light reflected by the specular surface is received and its shape displacement can be obtained.
[광변위센서의 형태][Type of optical displacement sensor]
여기에서는, 광변위센서의 형태, 특히 수광부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수광부는, 그것을 구성하는 수광소자(PSD), 수광렌즈 기능소자 등의 차이에 의해서 다음의 (1)∼(4)에 나타낸 것과 같은 실시형태가 있고, 어느 것을 채용해도 좋다.Here, the form of an optical displacement sensor, especially the form of a light receiving part is demonstrated. The light receiving unit has embodiments as shown in the following (1) to (4) depending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 the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etc. constituting it, and any of them may be adopted.
(1) 3개의 수광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수광소자(PSD), 수광렌즈 기능소자의 성능·기능이 같은 경우 :(1) When the performance and function of each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 and the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constituting three light receiving units are the same:
이것에 대해서는, 상기의 도 1,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측정점과 각 수광렌즈(3)와의 사이의 거리는 같고, 또한 측정점과 각 수광소자(PSD)와의 사이의 거리도 같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the distance between the measuring point and each light receiving
(2) 각 수광부의 수광소자(PSD)의 성능·기능은 같지만, 각 수광렌즈 기능소자의 성능·기능이 다른 경우: (2) Whe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 of each light receiving unit has the same performance and function, but the performance and function of each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are different:
이 예를 도 4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의 각 수광렌즈 기능소자는, 각각 측정점으로부터의 정반사를 수광하여 평행광으로 하는 콜리미터 렌즈(3a1,3b1,3c1)와, 그 평행광을 수광소자(PSD)에 집광시키는 수광용 집광렌즈(3a2,3b2,3c2)로 구성된다. 여기서, 콜리미터 렌즈(3a1,3b1,3c1)의 각 초점거리를 Fa1, Fb1, Fc1으로 하고, 수광용 집광렌즈(3a2,3b2,3c2)의 각 초점거리를 Fa2, Fb2, Fc2로 해서, 각 수광부로서의 광학적 확대율 Fa2/Fa1, Fb2/Fb2, Fc2/Fc1이 전부 동일한 값이다. 이 경우, 측정점과 각 콜리미터 렌즈와의 사이의 거리, 측정점과 각 수광소자(PSD)와의 사이의 거리(도 4의 거리 La, Lb, Lc)는, 각각 달라도 좋다. 특히, 콜리미터 렌즈(3a1,3b1,3c1)와 수광소자(PSD)와의 사이에 따라서도 거리가 달라 진다.This exampl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Each of the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s shown in Fig. 4 is a collimator lens 3a1, 3b1, 3c1 that receives the specular reflection from the measuring point to form parallel light, and a light condensing lens for condensing the parallel light o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 (3a2, 3b2, 3c2). Here, each focal length of the collimator lens 3a1, 3b1, 3c1 is Fa1, Fb1, Fc1, and each focal length of the light condensing lenses 3a2, 3b2, 3c2 is Fa2, Fb2, Fc2, respectively. The optical magnifications Fa2 / Fa1, Fb2 / Fb2, and Fc2 / Fc1 as light receiving parts are all the same.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measuring point and each collimator len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easuring point and each light receiving element PSD (distances La, Lb and Lc in FIG. 4) may be different. In particular, the distance also varies between the collimator lenses 3a1, 3b1, 3c1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
이 예에서는, 콜리미터 렌즈(3a1,3b1,3c1)가 측정점으로부터의 빛을 집광하므로, 서로 이웃하는 콜리미터 렌즈(3a1)와 콜리미터 렌즈(3b1), 콜리미터 렌즈 (3b1)와 콜리미터 렌즈(3c)의 각 수광면의 측정점에 대한 수광범위가 서로 연속하도록 배열되는 것이 필요하다. 측정점으로부터의 정반사가 콜리미터 렌즈 간에서 새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경우는, 콜리미터 렌즈(3a1,3b1,3c1)에 초점거리 의 차이에 따라서, 측정점으로부터의 거리를 다르게 할 수도 있으므로(도 4를 참조), 상기 (1)과 달리, 서로 이웃하는 수광면에서 수광범위를 연속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In this example, since the collimator lenses 3a1, 3b1, 3c1 condense the light from the measuring point, the collimator lens 3a1, the collimator lens 3b1, the collimator lens 3b1, and the collimator lens neighboring each other It is necessary that the light receiving ranges for the measuring points of each light receiving surface of (3c) be arranged so as to be continuous with each other. This is to prevent specular reflection from the measuring point from leaking between collimator lenses. In this case, the distance from the measuring point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difference in focal length between the collimator lenses 3a1, 3b1, 3c1 (see Fig. 4). It becomes easy to continue the light receiving range at.
(3) 각 수광부의 수광소자(PSD)의 성능·기능, 및 각 수광렌즈 기능소자의 성능·기능이 다른 경우 :(3) When the performance and function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 of each light receiving unit and the performance and function of each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are different:
이 예를 도 5의 2개의 수광부에 대해서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5(A)의 각 수광렌즈 기능소자는, 각각 측정점으로부터의 정반사를 수광하여 평행광으로 하는 콜리미터 렌즈(3b1,3c1)와 그 평행광을 수광소자(PSD)에 집광시키는 수광용 집광렌즈(3b2,3c2)로 구성된다. 여기서, 콜리미터 렌즈(3b1,3c1)의 각 초점거리를 Fb1, Fc1으로 하고, 수광용 집광렌즈(3b2,3c2)의 각 초점거리를 Fb2, Fc2로 하면, 각 수광부로서의 광학적 확대율 Fb2/Fb1, Fc2/Fc1이다. 한편, 도 5(B)는, 도 5(A)의 수광소자(PSD2,PSD3)의 부분을 확대한 도이다. 이 도면에서, 수광소자(PSD2와 PSD3)에서는, 후단의 디지털 처리에 의해 같은 구획수 Q(예를 들면, 4096)로서 취급되어 처리되지만, 그러한 처리의 1구획(화소, 도트) 당의 사이즈의 비(PSD2의 1구획사이즈/PSD3의 1구획사이즈)가, 광학적 확대율의 비{(Fb2/Fb1)/(Fc2/Fc1)}에 동일하게 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수광소자(PSD2)와 수광소자(PSD3)가 동일광으로부터 받는 1구획당의 감도(感度)는 같게 된다. 따라서, 이 형태에서도, 측정점으로부터 각 수광소자(PSD1∼3)까지의 거리는 수광부마다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생각은, 수광소자(PSD)로서 CCD소자, CMOS소자 등을 어레이 형상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경우도, 그러한 수광소자간에 화소수(예: CCD 소자수)가 같고, 그 1화소당 사이즈(예: CCD소자의 사이즈)가 다른 구성의 것을 이용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This example is explained by comparing the two light receiving units in FIG. 5. Each of the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s shown in Fig. 5A receives collimating lenses 3b1 and 3c1 for receiving the specular reflection from the measuring point to form parallel light, and the light condensing lens for condensing the parallel light o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 (3b2, 3c2). When the focal lengths of the collimator lenses 3b1 and 3c1 are set to Fb1 and Fc1, and the focal lengths of the light condensing lenses 3b2 and 3c2 are set to Fb2 and Fc2, the optical magnifications Fb2 / Fb1, Fc2 / Fc1. 5B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s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PSD2 and PSD3 in FIG. 5A. In this figure,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PSD2 and PSD3 are treated as the same number of divisions Q (for example, 4096) by the digital processing at the rear stage, but the ratio of the size per one division (pixel, dot) of such processing is processed. (One compartment size of PSD2 / one compartment size of PSD3) is equal to the ratio {(Fb2 / Fb1) / (Fc2 / Fc1)} of the optical magnification. As a result, the sensitivity per compartment that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2 and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3 receive from the same light becomes the same. Therefore, also in this embodiment, the distance from the measuring point to each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PSD1 to 3 can be different for each light receiving unit. The idea is that even when CCDs, CMOS devices, and the like are arranged as arrays of light receiving elements (PSDs), the number of pixels (for example, the number of CCD elements) is the same between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and the size per pixel (for example, The size of the CCD element) can be used by using a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configuration.
(4) 상기 3에서, 각 수광부의 각 수광렌즈 기능소자의 성능·기능이 다르지만, 수광소자(PSD)의 성능ㆍ기능이 같고, 소프트웨어 또는 앰프의 게인(gain) 등으로 오프세트, 감도 등을 조정하는 경우 : (4) In the above 3, although the performance and function of each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 of each light receiving unit are different, the performance and function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PSD) are the same, and the offset, sensitivity, etc. are determined by software or amplifier gain. If you adjust:
각 수광렌즈 기능소자의 성능·기능이 다른 것에 의해서, 광학적 배율(감도)이나 오프세트가 다르지만, 그 만큼을 소프트웨어나 앰프로 조정한다. 즉, 상기 (3)과 같이 확대율이 Fb2/Fb1과 확대율 Fc2/Fc1이 달라도, 동일 기능ㆍ성능의 수광소자(PSD2와 PSD3)가 수광하는 상의 위치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그 소프트웨어나 앰프로 조정할 수 있다.The optical magnification (sensitivity) and offset differ depending on the performance and function of each of the light receiving lens functional elements, but the amount is adjusted by software or amplifier. That is, even if the magnification is different from Fb2 / Fb1 and the magnification Fc2 / Fc1 as in (3) above, the position of the image received by the light receiving elements PSD2 and PSD3 of the same function and performance does not change, and thus can be adjusted by the software or the amplifier. have.
[변위측정장치][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도 6을 기초로, 상기 설명한 광변위센서를 사용한 변위측정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Based on FIG. 6, embodiment of the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도 6에 있어서, 광변위센서(4)가, 상기 도 1, 2에서 설명한 변위센서를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다. 광변위센서(4)에는, 대표하여 도 1에 있어서의 광원(LD)과 수광소자(PSD1∼3)가 기재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제어부(6), 주사기구(5), 가산기(7,8), 연산기(9) 및 화상처리부(10)는, 변위측정부(300)를 구성하고 있다.In Fig. 6, the
도 6의 제어부(6)는, 미리 피측정물의 표면을 주사하여 측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피측정물의 표면에 관한 레이아웃 정보를 갖고, 그 레이아웃에 기초하여 주 주사범위와 그 횟수, 주 주사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의 부 주사범위와 그 횟수를 결정하고, 주사기구(5)에 대해서 지시하는 것과 함께, 주사개시를 지시한다. 한 편, 주사하고 있을 때의 위치의 정보, 즉 측정점의 위치정보를 출력하고 있다.The
주사기구(5)는, 제어부위(6)의 지시에 따라서, 광변위센서(4)와 피측정물을 상대적으로 주 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및 부 주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기구 및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그러한 수단은, 광변위센서(4)를 주 주사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키고, 1개의 주 주사가 끝나면 주 주사방향과 직교방향으로 피측정물을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광변위센서(4)에 의한 측정점을 상대적으로 주사한다.The
가산기(7)는, 수광소자(PSD1∼3)의 상단의 각 출력(A1,A2,A3)을 가산하고, A = A1+A2+A3을 출력하고, 가산기(8)는 수광소자(PSD1∼3)의 하단의 각 출력(B1, B2,B3)을 가산하고, B = B1+B2+B3을 출력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출력 A, B를 기초로, 연산기(9)가 변위정보로서의 출력 L = (A-B)/(A+B)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한편, 측정대상이 거울면에서 반사광의 지향성이 강한 경우는, 측정점으로부터의 정반사광은 한 개이므로, 수광소자(PSD1∼3)의 어느 한 쪽에 입력되므로, 출력 L1 = (A1-B1)/(A1+B1), 출력 L2 = (A2-B2)/(A2+B2) 또는 출력 L3 = (A3-B3)/(A3+B3) 중에서 빛을 받은 1개의 연산결과와 출력 L = (A-B)/(A+B)의 연산결과는 같다.The
변위측정장치로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점과 변위를 플롯하는 것뿐이면, 연산기(9)의 출력을 제어부(6)의 위치정보에 대해서 플롯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화상처리부(10)는, 연산기(9)의 출력과 제어부(6)의 위치정보를 기초로, 피측정물의 표면형상을 각 화소가 변위정보로 이루어지는 3차원 화상으로서 재현하기 위한 것이다. 주 주사방향, 부 주사방향 및 변위방향을 3차원으로 하는 화상을 연산하여 출력하더라도 좋다.As shown in Fig. 8, th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can be obtained by plotting the output of the calculator 9 with respect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형상검사장치][Shape Inspection Device]
도 7을 기초로, 상기 설명한 광변위센서(4)를 사용한 변위측정장치를 이용하여 피측정물의 표면의 변위를 검사하는 형상검사장치에 이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프린트기판에 전자부품을 탑재 리플로우 후의 특히 경사면의 땜납상태의 양부 판정에도 유효하다. 도 7에 있어서, 제어부(6), 비교수단(11), 판정수단(12) 및 표시수단(13)은 검사부(400)를 구성하고 있다.7, the embodiment used for the shape inspection apparatus which examines the displacement of the surface of a to-be-measured object using the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화상처리부(10)는 연산기(9)의 출력과 제어부(6)로부터의 피측정물의 측정점의 위치(좌표)에서 측정한 에어리어(측정점의 집합영역: 예를 들면, 프린트기판 상에 인쇄된 크림 땜납면)에 있어서의 면적(예를 들면, 땜납 인쇄된 면적)이나 부피(예를 들면, 땜납량)를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비교수단(11)은, 제어부(6)로부터 그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설계값 등을 레퍼런스(면적이나 부피)로서 받아, 화상데이터와 레퍼런스와의 차이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한편, 화상데이터로 변환하는 일 없이, 그 측정점에서 측정한 변위(높이 : 예를 들면, 땜납의 높이)와 레퍼런스(이 경우는, 예를 들면, 측정점에 있어서의 설계상의 높이)와의 차이를 출력해도 좋다.The
판정수단(12)은, 레퍼런스에 대응하여 그 허용값을 제어부로부터 받아, 비교수단(11)으로부터의 출력과 비교하여, 비교수단(11)의 출력이 허용값 내이면 합격으로 하고, 허용값 외이면 불량(부)으로 판정한다.The judging means 12 receives the allowable value from the control part in response to the reference, compares it with the output from the comparing
표시수단(13)은, 판정수단(12)의 판정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6)로 부터 레이아웃 정보(예를 들면, 프린트기판의 땜납 개소의 배치도)를 받아 표시하여, 레이아웃의 어느 위치가 불량(부)이고, 합격인지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해도 좋다. 또한, 그것들과 별도로 혹은 더불어, 화상처리부(10)에서 생성한 화상데이터에 기초하는 화상을 표시시켜, 어느 개소가 불량이며, 합격인지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시킬 수도 있다.The display means 13 displays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means 12. In addition, layout information (for example, a layout of soldering points of a printed circuit board) is received from the
상기 복안의 광변위센서를 이용하여 피측정물의 표면 형상을 검사하면, 단순히 정점이나 플랫(flat) 부분뿐만 아니라, 경사 부분의 형상도 포함하여 양부 판정의 검사를 할 수 있다.When the surface shap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is inspected using 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of the compound eye, it is possible not only to check the vertex or flat portion but also to check the quality determination including the shape of the inclined portion.
상기 설명에 있어서, 피측정물에 있어서의 측정대상으로 하여 도 8과 같이 피측정물의 표면의 볼록부에서 경사와 그 정점이, 본 실시형태에서 변위 측정할 수 있다라는 요지를 설명했지만, 반대로 오목부이더라도 그 오목부의 개구(開口)의 넓이에 의해서도 그 경사부와 바닥부의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although the inclination and the vertices of the convex portions of the surface of the object under measurement are measu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Even if it is a part, the displacement of the inclination part and the bottom part can be measured also by the width | variety of the opening part of the recessed part.
[광변위센서를 2개 구비한 예][Example with two optical displacement sensors]
도 10(A)에, 도 1 또는 도 6에 나타낸 광변위센서와 동일한 광변위센서(4a 및 4b)의 2개를 구비한 형상검사장치를 나타낸다. 이 형상검사장치 대신에 변위측정장치이더라도 좋다. 도 10에 있어서, 부호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나는 부호가 동일한 요소는 기능도 동일하다. 도 10에 있어서, 광변위센서(4a)와 광변위센서 (4b)는 같은 것이고, 각각 같은 투광부(100) 및 같은 수광부(200,210,22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광변위센서(4a)와 광변위센서(4b)는, 서로 주 주사방향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것들은, 예를 들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재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설치된 시일재(600)로서, 도 10(C)과 같이 불룩 솟아오른 형상을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즉, 광변위센서(4a)가, 도 10(B)의 도면 상의 상한방향의 시일재(600)의 형상을 측정하고, 광변위센서(4b)가 도 10(B)의 도면 상의 가로방향의 시일재(600)를 측정한다. 그리고, 각 광변위센서(4a 또는 4b)의 각 출력은, 도 10(A)의 스위치(S)로 전환되어, 변위측정부(300) 및 검사부(400)를 거쳐, 검사결과가 표시수단(13)에 표시된다.Fig. 10A shows a shape inspection apparatus provided with two of the same optical displacement sensors 4a and 4b as 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shown in Fig. 1 or 6. The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may be used instead of the shape inspection device. In Fig. 10, elem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shown in Figs. 1 to 6 have the same functions. In Fig. 10, 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4a and 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4b are the same, and have the same
광변위센서(4a)와 광변위센서(4b)의 전환 및 스위치(S)의 전환은, 제어부(6)에 의해서 전환된다. 조작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정점의 상부에 설치된 카메라(500)가 촬영한 측정점의 영상을 표시수단(13)으로 확인하면서, 조작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환지시를 제어부(6)에 출력한다.Switching of 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4a and 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4b and switching of the switch S are switched by the
이와 같이 광변위센서를 2개 준비하지 않고, 1개의 광변위센서(4)를 갖고, 측정방향이 다를 때마다, 그 광변위센서(4)의 방향을 변환기구로 변환해도 좋지만, 그 경우, 측정 정확도의 미소한 재현성이 문제가 되어 온다. 또한, 재현성은 변환기구의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의 영향을 받기 쉽다. 도 10(A)의 예에서는, 측정방향이 달라도 재현성이 좋은 측정을 실시하기 위해서 2개의 광변위센서(4a 및 4b)를 구비한 것이다.In this way, the
본 발명은 광변위센서가 다른 각도의 복수의 빛을 검출할 수 있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구성, 이른바 복안기능을 가지는 구성이기 때문에, 주사 중에 측정점의 형상변화에 응답하여 수광 할 수 있으므로, 형상의 변화에 따른 변위를 주사하면서 즉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특허문헌 1과 같이 단안(單眼)의 광변위센서를 회전시키는 기구가 없기 때문에,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includes a light receiving unit capable of detecting a plurality of lights at different angles, and thus has a so-called compound eye function, so that the optical displacement sensor can receive light in response to the shape change of the measuring point during scanning. It can be measured immediately by scanning the displacement according to. Moreover, since there is no mechanism which rotates a monocular optical displacement sensor like the
Claims (1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82629 | 2005-09-28 | ||
JP2005282629A JP4275661B2 (en) | 2005-09-28 | 2005-09-28 |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35964A KR20070035964A (en) | 2007-04-02 |
KR100855849B1 true KR100855849B1 (en) | 2008-09-01 |
Family
ID=37958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16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5849B1 (en) | 2005-09-28 | 2006-09-21 | Position vari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figure insp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275661B2 (en) |
KR (1) | KR100855849B1 (en) |
CN (1) | CN100498217C (en) |
TW (1) | TWI288226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95041B2 (en) * | 2007-11-01 | 2012-08-08 | アンリツ株式会社 | Printed solder inspection method and printed solder inspection apparatus |
JP5033587B2 (en) * | 2007-11-05 | 2012-09-26 | アンリツ株式会社 | Printed solder inspection apparatus and printed solder inspection method |
JP2012007942A (en) * | 2010-06-23 | 2012-01-12 | Fuji Xerox Co Ltd | Position measurement device |
CN103363951B (en) * | 2012-04-10 | 2015-11-25 | 通用电气公司 | Trigonometry distance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
KR20150107450A (en) * | 2014-03-14 | 2015-09-23 | 주식회사 엔젤 | Dual acting cylinder integrated with tapeless encod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3538A (en) * | 1993-08-31 | 1995-03-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Visual inspecting device for surface |
JP2002246302A (en) * | 2001-02-21 | 2002-08-30 | Nikon Corp | Position detector and exposure system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59924A (en) * | 1996-07-12 | 1999-01-12 | Robotic Vision Systems, Inc. |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object features |
US5812269A (en) * | 1996-07-29 | 1998-09-22 | General Scanning, Inc. | Triangulation-based 3-D imaging and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
JP2885765B2 (en) * | 1997-06-20 | 1999-04-26 | 富山日本電気株式会社 | How to measure the amount of solder |
US6618155B2 (en) * | 2000-08-23 | 2003-09-09 | Lmi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lumber and other objects |
-
2005
- 2005-09-28 JP JP2005282629A patent/JP4275661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9-21 KR KR1020060091666A patent/KR1008558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9-26 CN CNB2006101270889A patent/CN100498217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09-26 TW TW095135532A patent/TWI288226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63538A (en) * | 1993-08-31 | 1995-03-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Visual inspecting device for surface |
JP2002246302A (en) * | 2001-02-21 | 2002-08-30 | Nikon Corp | Position detector and exposure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7093369A (en) | 2007-04-12 |
CN1940469A (en) | 2007-04-04 |
CN100498217C (en) | 2009-06-10 |
TW200712437A (en) | 2007-04-01 |
TWI288226B (en) | 2007-10-11 |
KR20070035964A (en) | 2007-04-02 |
JP4275661B2 (en) | 2009-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3094B1 (en) | The measurement method of PCB bump height by using three dimensional shape detector using optical triangulation method | |
US9019351B2 (en) | Three-dimensional image measuring apparatus | |
US7641099B2 (en) | Solder joint determination method, solder inspection method, and solder inspection device | |
KR101659302B1 (en) | Three-dimensional shape measurement apparatus | |
JP2005504305A (en) | 3D scanning camera | |
US7271919B2 (en) | Confocal displacement sensor | |
US6636310B1 (en) | Wavelength-dependent surface contour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 |
IL13841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ly measuring an object surface contour | |
KR20140019227A (en) | Image sensor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0855849B1 (en) | Position variation measuring apparatus and figure insp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4877100B2 (en) | Mounting board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 |
KR20160102244A (en) | Non-imaging coherent line scanner systems and methods for optical inspection | |
JPH11132748A (en) | Multifocal simultaneous detection device, three-dimensional shape detection device,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 |
JP2019100753A (en) | Printed circuit board inspection device and printed circuit board inspection method | |
JP4864734B2 (en) | Optical displacement sensor and displacement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2009139285A (en) | Solder ball inspection device, inspection method thereof, and shape inspection device | |
KR101846189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focus automatically | |
JPH06258040A (en) | Laser displacement meter | |
JP3073485B2 (en) | Height measuring device and semiconductor package inspection device using the same | |
JPH04110706A (en) | 3D shape data acquisition device | |
JP4995041B2 (en) | Printed solder inspection method and printed solder inspection apparatus | |
JP3513945B2 (en) | Optical displacement measuring device | |
JPH0486548A (en) | Packaged substrate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 |
JP2008157749A (en) | Inspection device | |
JP5509035B2 (en) | Printed solder inspection apparatus and printed solder inspe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