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54828B1 -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828B1
KR100854828B1 KR1020070014642A KR20070014642A KR100854828B1 KR 100854828 B1 KR100854828 B1 KR 100854828B1 KR 1020070014642 A KR1020070014642 A KR 1020070014642A KR 20070014642 A KR20070014642 A KR 20070014642A KR 100854828 B1 KR100854828 B1 KR 100854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unit
cooling
outdoor
he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580A (ko
Inventor
곽태희
황일남
정호종
장승용
서경원
송치우
최진하
강원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828B1/ko
Publication of KR20080075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82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50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25B2313/023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with simultaneous cooling and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5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의 실제 냉방부하와 실제 난방부하의 비율을 판단하여 비율이 큰 쪽으로 실외기의 운전주체를 전환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냉방에 필요한 냉매량과 난방에 필요한 냉매량이 최적으로 조절되게 함으로써,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의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킨다.
공기조화 시스템, 냉방주체, 난방주체

Description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controling method of aircondition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은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외기가 난방주체로 운전되는 경우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일부의 실외기가 정지된 경우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
101,102,103: 실외기 111: 압축기
113: 사방밸브 113: 실외 열교환기
121: 고압배관 122: 액관
123: 저압배관 200: 분배기
210: 제1분배부 220: 제2분배부
230: 제3분배부 240: 과냉각부
301,302,303,304: 실내기
본 발명은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냉난방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매를 순환시켜 실내공간을 냉난방한다.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에는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이 있다. 상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하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된 싱글 타입(single type)과, 다수의 실외기에 다수의 실내기가 연결되는 시리즈 타입(series type)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멀티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매 유동 방식에 따라 절환형 공기조화 시스템과 동시형 공기조화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상기 절환형 공기조화 시스템은 모든 실내기가 냉방모드에서 난방모드로 절환되거나 그 반대로 절환된다. 또한, 상기 동시형 공기조화 시스템은 일부의 실내기는 냉방모드, 일부의 실내기는 난방모드로 동시에 운전된다. 또한, 상기 동시형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외기의 운전방식에 따라 난방주체 또는 냉방주체로 운전된다. 상기 난방주체 운전은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용하는 운전이고, 상기 냉방주체 운전은 실외기의 실외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작용하는 운전이다.
상기 동시형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외온도를 기준으로 실외기의 주체운전을 결정하였다. 즉, 실외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면 상기 실외기가 냉방주체로 운전되고, 실외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이면 상기 실외기가 난방주체로 운전되었다.
또한, 상기 동시형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내기의 냉난방 대수 비율를 기준으 로 실외기의 주체운전을 결정하였다. 즉, 냉방으로 운전되는 실내기의 대수가 많을 경우 상기 실외기는 냉방주체로 운전되고, 난방으로 운전되는 실내기의 대수가 많을 경우 상기 실외기는 난방주체로 운전된다.
그러나, 종래의 동시형 공기조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실외기의 주체운전이 실외온도에 의해 획일적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가 바람직한 주체운전으로 운전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예를 들면, 상기 실내기들의 실제 냉방부하가 실제 난방부하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서도, 상기 실외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실외기가 난방주체로 운전되었다. 또한, 상기 실내기들의 실제 난방부하가 실제 냉방부하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서도, 상기 실외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이 되면 상기 실외기가 냉방주체로 운전되었다.
또한, 상기 실외기의 주체운전이 실내기의 냉난방 대수 비율에 따라 획일적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실외기가 바람직한 주체운전으로 운전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예를 들면, 상기 실내기의 실제 난방부하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도, 상기 실내기의 냉방운전 대수가 많으면 상기 실외기가 냉방주체로 운전되었다. 또한, 상기 실내기의 실제 냉방부하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도, 상기 실내기의 난방운전 대수가 많으면 상기 실외기가 난방주체로 운전되었다.
또한, 냉난방 주체운전을 결정하는 기준이 획일적으로 적용되므로, 상기 냉난방 시스템에서 냉방에 필요한 냉매량과 난방에 필요한 냉매량이 적절하게 조절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냉난방 부하가 작은 쪽에는 냉매가 필 요 이상 공급되고, 냉난방 부하가 큰 쪽에는 냉매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또한, 냉매가 냉난방부하에 필요한 만큼 공급되지 못하므로,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의 주체운전을 전환하면 냉매 사이클이 안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또한, 냉매 사이클이 불안정해 질 때에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의 주체운전이 너무 자주 전환되었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외기의 주체운전을 실내기의 실제 냉난방부하에 따라 탄력적으로 전환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량이 냉난방부하에 대응되도록 충분히 공급되고, 냉매 사이클이 안정되게 운전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A) 제어부가, 다수개의 실내기 중 일부는 냉방모드, 일부는 난방모드로 동시에 운전시키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기의 실제 냉방부하와 실제 난방부하의 비율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기의 실제 냉방부하와 난방부하 중 비율이 큰 쪽으로 다수개의 실외기 전부의 주체운전을 전환하거나, 상기 실외기 중 일부는 주체운전을 전환하고 나머지는 오프(OFF)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은 다수의 실외기(101,102,103), 분배기(200) 및 다수의 실내기(301,302,303,304)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101,102,103)들 중 하나는 메인 실외기(101), 나머지는 서브 실외기(102,103)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실외기(101,102,103), 분배기(200) 및 다수의 실내기(301,302,303,304)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각 실외기(101,102,103)는 압축기(111), 사방밸브(112)(4 way valve), 실외 열교환기(113) 및 어큐뮬레이터(114)를 포함한다.
상기 사방밸브(112)는 압축기(111)의 토출측 냉매관에 배치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13)의 냉매 토출측 냉매관에는 전자팽창밸브(116)(LEV: Linear Expension Valve), 솔레노이드밸브(117)(Solenoid Valve) 및 체크밸브(118)(Check Valve) 등이 배치된다. 도 1에서는 각 실외기(101,102,103)에 2개의 압축기(111)가 배치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각 실외기(101,102,103)에는 하나의 압축기 또는 3개 이상의 압축기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외 열교환기(113)에 실외 공기를 송풍시키는 실외팬을 생략하였다.
상기 압축기(111)와 사방밸브(112) 사이의 냉매관에는 고압배관(121)이 연결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13)의 토출측에는 액관(122)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사방밸브(112)와 어큐뮬레이터(114) 사이의 냉매관에는 저압배관(123)이 연결된다. 상기 실외기(101,102,103)들의 고압배관(121), 액관(122) 및 저압배관(123)들은 서로 동일한 종류끼리 연결된다.
상기 액관(122)과 어큐뮬레이터(114)의 흡입측을 연결하는 바이패스배관(124)이 배치된다. 상기 바이패스배관(124)에는 전자팽창밸브(126)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배관(124)은 상기 액관(122)과 열교환되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바이패스배관(124)과 액관(122)은 이중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패스배관(124)과 액관(122)의 냉매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전자팽창밸브(126)에서 팽창된 냉매는 상기 액관(122)과 열교환된 후 어큐뮬레이터(114)의 흡입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고압배관(121), 액관(122) 및 저압배관(123)은 분배기(200)에 연결된다.
상기 분배기(200)는 제1분배부(210), 제2분배부(220), 제3분배부(230) 및 과냉각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분배부(210)는 고압배관(121)에 연결되고, 상기 제2분배부(220)는 액관(122)에 연결되며, 상기 제3분배부(230)에는 저압배관(123)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2,3분배부(210,220,230)는 다수의 분지관에 의해 각각의 실내기(301,302,303,304)에 연결된다. 상기 과냉각부(240)는 제2분배부(220)와 제3분배부(230)에 연결된다. 상기 과냉각부(240)와 제2분배부(22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전자팽창밸브(241)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분배부(210)와 제3분배부(230)가 연결되는 배관에는 솔레노이드밸브와 모세관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각 실내기(301,302,303,304)는 실내 열교환기(311)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각 실내기(301,302,303,304)의 일측에는 전자팽창밸브(312)가 배치되고, 상기 각 실내기(301,302,303,304)의 타측에는 다수의 밸브(313)와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314)가 배치된다. 도 1에서, 검은색의 각종 밸브는 냉매관을 폐쇄시키기 위해 오프(OFF)된 밸브를 나타낸 것이고, 속이 비어 있는 각종 밸브는 냉매관을 개방시키기 위해 온(ON)된 밸브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일부의 실내기는 냉방모드, 일부의 실내기는 동시에 난방모드로 운전된다(S11).
제어부에서는 냉방 실내기의 실제 냉방부하와, 난방 실내기들의 실제 난방부하를 판단한다(S12). 상기 실제 냉난방부하를 아래와 같은 계산식에 의해 얻는다.
실제 냉방부하 = ∑{실내기 용량(Qi) ×온도계수(Kc)}
실제 난방부하 = ∑{실내기 용량(Qj) ×온도계수(Kh)}
상기 수학식 1 및 2에서, 상기 실제 냉방부하는 실내온도와 선택온도(목표온도)의 온도차에 대한 온도계수와 각 실내기의 냉방용량을 곱한 값을 모두 더한 값이다. 또한, 상기 실제 난방부하는 실내온도와 선택온도(목표온도)의 온도차에 대한 온도계수와 각 실내기의 난방용량을 곱한 값을 모두 더한 값이다. 여기서, 실제 냉방부하는 냉방 실내기들의 실제로 필요한 냉매량이고, 실제 난방부하는 난방 실내기의 실제로 필요한 냉매량이다. 또한, 상기 온도계수는 실내온도와 선택온도의 온도차에 대응되도록 제어부에 기 설정되어 있다.
상기 냉방 실내기들의 운전 대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도 냉방 실내공간의 실내온도와 선택온도(목표온도)의 온도차가 작으면, 상기 냉방 실내기들의 실제 냉방부하는 상기 난방 실내기들의 실제 난방부하보다 작아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 실내기들의 운전 대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도 난방 실내공간의 실내온도와 목표온도의 온도차가 작으면, 상기 난방 실내기들의 실제 난방부하는 상기 냉방 실내기들의 실제 냉방부하보다 작아 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제 냉방부하와 실제 난방부하의 비율이 큰 쪽으로 실외기들의 주체운전이 전환된다. 즉, 상기 실제 냉방부하의 비율이 큰 경우, 상기 실외기들은 냉방주체로 전환된다(S13,S14). 또한, 상기 실제 난방부하의 비율이 큰 경우, 상기 실외기들은 난방주체로 전환된다(S13,S15). 여기서, 상기 냉방주체운전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를 거친 후 냉방 실내기로 유입되는 모드이고, 상기 난방주체운전은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를 거치지 않고 실내기로 유입되는 모드를 말한다.
먼저,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이 냉방주체로 운전되는 경우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이 냉방주체로 운전되는 경우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이 냉방주체로 운전된다. 이 경우 모든 실외기(101,102,103)는 냉방주체로 운전된다. 또한, 일부의 실외기가 가동중인 경우 가동중인 모든 실외기가 냉방주체로 운전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모든 실외기가 냉방주체로 운전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각 실외기(101,102,103)의 압축기(111)에서 압축된 냉매는 사방밸브(112)로 토출된다. 상기 사방밸브(112)는 압축기(111)에서 토출된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113)로 유동할 수 있도록 냉방주체로 절환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13)로 유입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됨에 의해 응축된다. 이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113)의 토출측에 배치된 전자팽창밸브(116)와 솔레노이드밸브(117)는 모두 개방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13)에서 토출된 냉매는 액관(122)으로 유입된다.
상기 액관(122)을 따라 유동하는 냉매는 제2분배부(220)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액관(122)의 일부 냉매는 전자팽창밸브(126)에 의해 팽창된 후 바이패스배관(124)을 통해 어큐뮬레이터(114)의 흡입측에 유입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액관(122)의 냉매는 어큐뮬레이터(114)와 제2분배부(220)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2분배부(220)의 냉매는 냉방 실내기(302,303,304)에 유입된다. 상기 냉방 실내기(302,303,304)에 배치된 전자팽창밸브(312)는 냉매를 팽창시킨다. 상기 팽창된 냉매는 냉방 실내기(302,303,304)에 유입되어 실내공간을 냉방시킨다. 상기 냉방 실내기(302,303,304)에서 토출된 냉매는 제3분배부(230)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압축기(111)에서 토출된 냉매의 일부는 상기 고압배관(121)을 따라 유동된다. 상기 고압배관(121)을 따라 유동되는 냉매는 상기 분배기(200)의 제1분배부(210)에 유입된다. 상기 제1분배부(210)에서 분배된 냉매는 난방 실내기(301)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난방 실내기(301)에 유입된 냉매는 실내공간을 난방시키면서 응축된다. 상기 난방 실내기(301)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2분배부(220)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제2분배부(220)에는 난방 실내기(301)에서 토출된 액냉매와 상기 액관(122)의 액냉매가 모두 유입된다. 상기 제2분배부(220)의 액냉매의 일부는 다시 냉방 실내기(302,303,304)의 실내 열교환기(311)에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2분배부(220)의 일부 냉매는 전자팽창밸브(241)에 의해 팽창된 후 과냉각부(240)에 유입된다. 상기 과냉각부(240)의 냉매는 제3분배부(230)로 유입된다.
상기 제3분배부(230)의 냉매는 저압배관(123)을 따라 유동된다. 상기 저압배 관(123)의 냉매는 각 실외기(101,102,103)의 어큐뮬레이터(114)를 경유하여 압축기(111)에 유입된다.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이 난방주체로 운전되는 경우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외기가 난방주체로 운전되는 경우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각 실외기(101,102,103)의 압축기(111)에서 토출된 냉매는 모두 고압배관(121)으로 유입된다. 상기 고압배관(121)의 냉매는 제1분배부(210)에 유입된다. 상기 제1분배부(210)의 냉매는 난방 실내기(302,303,304)에 유입되어 실내공간을 난방시킨다. 상기 난방 실내기(302,303,304)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2분배부(220)로 토출된다.
상기 제2분배부(220)의 일부 냉매는 다시 냉방 실내기(301)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2분배부(220)의 일부 냉매는 과냉각부(240)를 거쳐 제3분배부(230)로 유입된다. 상기 제3분배부(230)의 냉매는 저압배관(123)을 따라 유동된다. 상기 저압배관(123)의 냉매는 각 실외기(101,102,103)의 어큐뮬레이터(114)로 각각 유입된다.
또한, 상기 제2분배부(220)의 일부 냉매는 액관(122)을 따라 유동된다. 상기 액관(122)의 냉매는 각 실외기(101,102,103)의 실외 열교환기(113) 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13)의 전자팽창밸브(116)가 냉매를 팽창시킨다. 상기 팽창된 냉매는 실외 열교환기(113)를 거친 후 사방밸브(112)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113)는 증발기로 작용한다. 상기 사방밸브(112)는 실외 열교환기(113)의 냉매가 어큐뮬레이터(114)의 흡입측으로 유입되도록 난방모드로 절환된다.
상기와 같이 일부의 실내기는 냉방모드, 일부의 실내기는 난방모드로 동시에 운전되어 다수의 실내 공간을 냉난방한다.
도 4는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일부의 실외기가 정지된 경우 냉매의 흐름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내온도와 선택온도(목표온도)의 차이가 작아질 경우 상기 실외기들(101,102,103) 중 일부 실외기(103)를 정지(OFF)시켜 실내기(301,302,303,304)의 부하(용량)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의 실내기만이 가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실외기들 중 일부 실외기(103)를 정지시켜 실내기의 부하(용량)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오프된 실외기(103)에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오프된 실외기(103)의 전자팽창밸브(116)를 폐쇄(OFF)시킨다. 상기 오프된 실외기(103)의 전자팽창밸브(116)는 실외 열교환기(113)로 유입되는 액관(122)의 냉매를 차단시킨다. 또한, 상기 오프된 실외기(103)의 체크밸브(118)는 상기 액관(122)의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113)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렇게 액관(122)의 냉매가 상기 오프된 실외기(103)의 실외 열교환기(113)에 유입되어 냉매가 고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프된 실외기(103)의 사방밸브(114)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 로 절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오프된 실외기(103)의 압축기(111)는 저압배관(123)에 냉매의 흡입력을 작용하지 않으므로, 상기 저압배관(123)의 냉매는 오프된 실외기(103)의 어큐뮬레이터(114)에 거의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오프된 실외기(103)의 바이패스배관(124)에 배치된 전자팽창밸브(126)를 폐쇄(OFF)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액관(122)의 냉매가 오프된 실외기(103)의 바이패스배관(124)을 통해 어큐뮬레이터(11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프된 실외기(103)에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응축부하(응축용량)와 냉방부하(냉방용량)의 밸런스가 맞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오프된 실외기(103)에 냉매가 유입됨에 따라 응축부하가 냉방부하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이 냉방 저부하로 운전되는 경우, 상기 액관(122)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냉매가 유동된다. 이때, 상기 적은 양의 냉매 중에서 일부 냉매가 오프된 실외기(103)로 유입되면, 냉방 실내기(301)에 공급되는 냉매가 부족해 질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냉방 저부하 운전시에 상기 오프된 실외기(103)의 전자팽창밸브(116)를 폐쇄시킴으로써, 상기 액관(122)의 모든 냉매가 냉방모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냉방 저부하 운전시 상기 액관의 냉매가 오프된 실외기(103)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액관(122)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냉매를 유동시키더라도 충분한 냉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방 실내기(301)의 출구 온도가 상승되므로, 상기 압축기(111)의 냉매 토출 압력 및 온도 역시 상승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기들의 실제 냉난방부하의 비율이 큰 쪽으로 실외기의 운전주체를 전환하므로,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이 냉방에 필요한 냉매량이 많으면 냉방주체로 운전되고, 난방에 필요한 냉매량이 많으면 난방주체로 운전되도록 한다. 따라서, 냉난방 부하가 작은 쪽에는 냉매가 필요 이상 공급되고, 냉난방 부하가 큰 쪽에는 냉매가 부족해지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가 냉난방부하에 필요한 만큼 공급되므로,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의 냉매 사이클이 안정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냉난방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A) 제어부가, 다수개의 실내기 중 일부는 냉방모드, 일부는 난방모드로 동시에 운전시키는 단계;
    (B)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기의 실제 냉방부하와 실제 난방부하의 비율을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실내기의 실제 냉방부하와 난방부하 중 비율이 큰 쪽으로 다수개의 실외기 전부의 주체운전을 전환하거나, 상기 실외기 중 일부는 주체운전을 전환하고 나머지는 오프(OFF)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외기 중 오프된 실외기에 냉매 유입이 차단되도록 전자팽창밸브 및 체크밸브를 폐쇄시키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70014642A 2007-02-13 2007-02-13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54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642A KR100854828B1 (ko) 2007-02-13 2007-02-13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642A KR100854828B1 (ko) 2007-02-13 2007-02-13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580A KR20080075580A (ko) 2008-08-19
KR100854828B1 true KR100854828B1 (ko) 2008-08-27

Family

ID=39879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6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4828B1 (ko) 2007-02-13 2007-02-13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8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3748A1 (ja) * 2019-09-18 2021-03-25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室外機、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19268108A (zh) * 2023-07-05 2025-01-07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用于多联机空调控制的方法、装置、空调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3756A (ja) * 1989-02-27 1990-09-06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H05118625A (ja) * 1991-10-29 1993-05-14 Hitachi Ltd 空気調和機
KR20040064452A (ko) * 2003-01-13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KR20050116292A (ko) * 2004-06-07 2005-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 에어컨 및 그 냉난방 주체운전 결정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3756A (ja) * 1989-02-27 1990-09-06 Toshiba Corp 空気調和機
JPH05118625A (ja) * 1991-10-29 1993-05-14 Hitachi Ltd 空気調和機
KR20040064452A (ko) * 2003-01-13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공기조화기의 운전방법
KR20050116292A (ko) * 2004-06-07 2005-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동시형 멀티 에어컨 및 그 냉난방 주체운전 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580A (ko) 2008-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8208347B2 (en) Air conditioner
US20150059380A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EP3062031A1 (en) Air conditioner
WO2013145006A1 (ja) 空気調和装置
KR20040050477A (ko) 공기조화시스템
WO2021014640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US11226112B2 (en) Air-conditioning system
WO2006013938A1 (ja) 冷凍装置
CN109312961B (zh) 制冷装置的热源机组
KR100822432B1 (ko) 보조 열교환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080060756A (ko)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KR20190088692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WO2021005737A1 (ja) 室外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6448780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20077388A (ko) 히트펌프 연동 급탕장치
KR100854828B1 (ko)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40024242A (ko) 히트펌프 시스템의 전자팽창밸브
KR100854829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90900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524719B1 (ko) 멀티 에어컨 시스템의 유량 가변형 바이패스 장치
KR100885566B1 (ko)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16142453A (ja) 空気調和機
KR101692243B1 (ko) 캐스캐이드 사이클을 이용한 히트 펌프
KR100871192B1 (ko)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144805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상기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8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