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3029B1 - Street flower pot - Google Patents
Street flower 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3029B1 KR100853029B1 KR1020080018473A KR20080018473A KR100853029B1 KR 100853029 B1 KR100853029 B1 KR 100853029B1 KR 1020080018473 A KR1020080018473 A KR 1020080018473A KR 20080018473 A KR20080018473 A KR 20080018473A KR 100853029 B1 KR100853029 B1 KR 1008530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light emitting
- light
- horizontal
- outsi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4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7 de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4 liqu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86 organic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4 sol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4 xen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FHNFHKCVQCLJFQ-UHFFFAOYSA-N xenon atom Chemical compound [Xe] FHNFHKCVQCLJ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기능을 가져 야간에 미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는 가로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potted 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rizontal potted plant having an illumination function to create a beautiful appearance at night.
본 발명의 가로용 화분은 본체와, 본체에 형성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와, 본체에 설치되어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여 발광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한다.The horizontal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a vegetation part formed in the main body and planted therein, a light emitting part installed on the main body to emit light to the outside, and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part using solar power generation. do.
본 발명에 의하면 화분 자체에서 태양광발전을 이용하여 램프를 구동시킴으로써 외부에서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 이동이 자유롭고, 램프에서 발산되는 광이 발광창을 통해 외부로 발산되므로 야간에 미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riving the lamp using the solar power in the pot itself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ower source from the outside is free to mov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ight emitting window to give a beautiful appearance at night It can be cre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로용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기능을 가져 야간에 미려한 외관을 창출할 수 있는 가로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potted 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rizontal potted plant having an illumination function to create a beautiful appearance at night.
일반적으로 초화류나 수목 등을 이용하여 가로를 장식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로용 화분이 제공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가로용 화분은 통상의 화분과는 달리 도시미관 측면뿐만 아니라 때로는 이동할 수 있는 화분을 적절히 배치하여 보행자나 차량의 흐름과 방향을 유도하거나 차단하며 필요한 수준으로 통행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Generally, horizontal flower pots are provided as a way to decorate the landscape using plants or trees. Unlike the conventional flower pots, the horizontal flower pots are not only the side of the city, but also sometimes moveable flower pots are appropriately arranged. In addition, it may induce or block the flow and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regulate traffic volume to the required level.
최근에는 화분도 대형화되어 일년초나 다년초 같은 초화류 뿐만 아니라 플랜터에 수목을 심어 가로를 녹화시키거나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각종 행사시 분위기를 고양시키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In recent years, the flower pot has also been enlarged, and it has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lanting trees in planters as well as planting plants such as a year-old or perennial planting, to record landscapes or to provide a resting space, and to enhance the atmosphere at various events.
종래의 가로용 화분은 지지부의 상부에 지지부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오목한 형태의 수용부가 결합되어지고, 수용부의 내부에 채워진 흙(30)에는 초화류가 심어진다.In the conventional horizontal potted plant, a concave receiving portion having a width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uppor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ing portion, and plants are planted in soil 30 filled in the receiving portion.
이러한 가로용 화분은 독립해서 단독으로 놓여질 때도 있지만 대개 일렬, 지 그재그 등으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유지관리 측면에서 관수와 배수에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게 된다.These horizontal pots are often placed alone, but often used in combination in a row, zigzag, etc. Special attention is required for watering and drainage in terms of maintenance.
특히, 종래의 가로용 화분의 식물은 급수가 원활하게 되지 않거나 날씨가 무더운 계절에는 급수만으로는 수분의 공급이 어려워 초화류의 관리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plants of the conventional potted plant has a problem that the water supply is not smooth or in the hot weather season, it is difficult to supply water only by water supply, so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herbaceous flowers.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0372683호에는 수용부 내부로 도입되는 급수관과 급수관과 연결되며, 급수관과 연결된 감압링 및 살수관을 구비하며, 화분의 본체에 설치된 장식물의 내부에는 전원선과 연결된 발광수단을 설치하여 장식물이 발광하는 가로용 화분이 개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0372683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and the water supply pip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and equipped with a decompression ring and watering pip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the light emitting means connected to the power line is installed inside the decoration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pot A horizontal potted plant in which a decoration emits light is disclosed.
상기 가로용 화분은 외부로부터 전선을 연결하여 발광수단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는 단락 및 누전의 위험이 있고 설치가 복잡해진다. 또한, 연결된 전선때문에 화분의 이동이 자유롭지 못하고 유지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horizontal flower pots supply power to the light emitting means by connecting electric wires from the outside, which is a risk of short circuit and short circuit and complicated installation.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ement of the pot is not free due to the connected wire and the maintenance cost is increased.
또한, 장식물이 발광하는 구조이므로 화분 자체의 미려함을 창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create the beauty of the flowerpot itself because the decoration light emitting structure.
그리고 화분의 내부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화분의 내부로 급수관을 연결시키는 구성을 갖지만, 이로써 구성이 복잡해지고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And it has a configuration that connects the water supply pipe to the inside of the pot to supply moisture to the inside of the pot,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difficult to maintain.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화분 자체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단락 및 누전의 위험이 없고 이동이 자유로워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 가로용 화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is to provide a potted plant for the horizontal plant does not have any risk of short-circuit and short-circuit and free movement by receiving power from the planter itself.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분의 외부로 발산되는 광이 특정문양을 갖도록 하여 야간에 미려한 경관을 창출할 수 있는 가로용 화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izontal potted plant that can create a beautiful landscape at night by having a specific pattern of light emitted to the outside of the potted pla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지속적으로 수분 공급이 가능한 가로용 화분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rizontal pot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moisture to plants planted in pots by stor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therei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로용 화분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식물이 식재되는 식생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외부로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와; 태양광 발전을 이용하여 상기 발광부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rizontal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vegetation part formed in the main body and planted with the plant; A light emitt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emit light to the outside; And driving means for driving the light emitting unit by us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생성된 광이 특정 문양을 형성하여 외부로 발산되도록 상기 본체에 관통되어 형성된 발광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has a light emitting window formed through the main body so that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emits a specific pattern to the outside.
상기 발광창은 광을 집속 또는 확산시키는 렌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emitting window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ens for focusing or diffusing light.
상기 구동수단은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발전모듈과,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콘덴서와,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의 신호를 받아 전기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means include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ule for converting sunlight into electrical energy, a condenser for storing electrical energy generated by th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ule and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emitting unit, an optical sensor for sensing ambient illumin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circuit in response to the signal of the optical sensor.
상기 발광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광을 도광시키는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와, 상기 도광판의 후면에 부착되어 광을 상기 도광판의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ght emitting unit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guiding light, a lamp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light guide plate, and a reflecting plate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to reflect light in front of the light guide plate. It is done.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식생부로 수분을 공급하도록 일정량의 물이 저장되는 담수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freshwater part in which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tored to supply water to the vegetation part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상기 담수부는 내부에서 상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식생부로 연장되는 수분공급봉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reshwater part is formed upward from the inside, and has a water supply rod extending to the vegetation part.
상기 식생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식생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의 상부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부에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캡;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egetation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vegetat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on the uppe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로용 화분에 의하면 화분 자체에서 태양광발전을 이용하여 램프를 구동시킴으로써 외부에서 별도의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아 전선의 단락 및 누전의 위험이 없고 이동이 자유로워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solar power in the potted plant itself by driving the lamp,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power source from the outside, there is no risk of short circuit and short circuit of the wire and the installation place is free to move Do not fall in love with.
또한, 램프에서 생성된 광이 특정 문양을 가지는 발광창을 통해 외부로 발산 되므로 광이 특정 문양으로 발산되어 야간에 미려한 경관창출과 다양한 조명효과를 살릴 수 있어 도심의 경관을 돋보이게 한다.In addition, since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amp is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a light emitting window having a specific pattern, the light is emitted to a specific pattern, so that the beautiful landscape at night and various lighting effects can be utilized to make the city view stand out.
또한, 일정량의 물을 담수하고 있다가 화분에 식재된 식물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식물의 고사를 방지하고 식물의 양호한 식생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ath of the plant and provide a good vegetation environment of the plant by continuously supplying moisture to the plant planted in the pot after desalination of a certain amount of wat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로용화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horizontal p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용 화분이 가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가로용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도 3은 도 1에 적용된 가로용 화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용 화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가로용 화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용 화분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용 화분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rizontal pla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horizontal,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rizontal potted plant applied to Figure 1, Figure 3 is a horizontal potted plant applied to Figure 1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 to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of a horizontal potted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potted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용 화분(10)은 도로가에 형성된 보도(5)의 가장자리측에 배치된다. 가로용 화분(10)은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일렬로 되게 배열되거나 일정모양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된 가로용 화분(10)의 내부에는 흙을 채운 후 초화류나 수목 등의 식물(7)이 식재된다.1 to 3, the horizontal
본 발명의 가로용 화분(10)은 크게 본체(20)와, 본체(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식생부(40)와,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발광부와, 발광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가진다.The
본체(20)는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수납공간(21)이 마련되고, 수납공간(21)의 하부에는 담수부(50)가 설치된다. 본체(2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부가 절개된 타원체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타원체의 형상은 본체(2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보도상을 지나가는 행인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본체(20)의 외측 바닥에는 본체(20)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지지부(23)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우천시 보도상으로 흘러내리는 빗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본체(20)의 하부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본체(20)의 소재로는 합성수지, 특히 바람직하게는 코프렌수지 등과 같은 재활용 소재를 이용하여 자원절약과 함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s the material of the
본체의 내부에는 발광부가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발광부로서 구동수단에 의해 발광되는 램프(85)가 이용된다. 램프(85)로는 형광램프, 크세논램프, 할로겐램프, 발광다이오드 등의 다양한 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의 램프 중 다양한 파장의 색상으로 미려한 경관을 창출할 수 있고 부피가 작고 소비전력이 낮아 기존의 램프에 비해 효율적인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ight emitting par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In the illustrated example, a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램프(85)는 구동수단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광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본체(20)에 형성된 발광창(25)을 통해 본체(20)의 외부로 광을 발산하게 된다. The
발광창(25)은 램프(85)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본체(20)의 외측에서 수납공간(21)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발광창(25)이 마련된다. 도시된 예에서 발광창(25)은 원형의 형상을 가지면 다수가 본체(2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발광창(25)마다 각각 램프(85)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하나의 램프가 본체(2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각 발광창(25)으로 광이 발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또한, 발광창(25)은 도시된 원형의 형상뿐만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삼각형의 형상이나 도 6에 도시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광창을 통해 발산되는 광이 빗살 문양을 가지도록 발광창이 빗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발광창은 기호나 문자 또는 자연물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특정 문양으로 형성된 발광창(25)을 통해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램프(85)로부터 생성된 광이 원형이나 삼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특정 문양의 형태를 가지며 외부로 발산되므로 야간에 미려한 경관을 창출하는 데 효과적이다.The light generated from the
바람직하게는 발광창(25)에는 램프(85)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확산 또는 집속시키는 렌즈가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광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오목렌즈(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24)에 의해 발광창(25)을 통해 발산되는 광을 확산 또는 집속시켜 발광창(25)의 문양과 함께 다양한 조명 연출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 발광창(25)에는 볼록렌즈와 오목렌즈를 교번적으로 설치하여 더욱 다양한 조명효과를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식생부(40)는 본체(20)의 상부에 형성된다. 식생부(40)의 내부 공간에는 토양이 채워지며, 토양에는 초화류나 관목류 등의 식물이 식재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하부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보조 식생부(45)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식생부(40)의 바닥에는 본체(20)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배수홀(43)이 다수 형성되어 물이 담수부(5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식생부(40)의 바닥에는 판형의 수분영양블록이 구비될 수 있다. 수분영양블록은 식생부(40)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 및 영양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발포수지나 우레탄 등을 이용한다. 수분영양블록의 표면과 내부에 다수의 세공들이 형성되어 일정량을 물을 머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공에 식물이나 미생물의 영양원이 될 수 있는 물질을 충진하거나 부착시켜 영양공급원으로도 이용할 수 있다. 수분영양블록의 영양원은 식물성이나 동물성 또는 천연물질, 천연물질의 가공물이나 그 부산물 등 그 종류를 가리지 않으나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므로 식물성 천연물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성 천연물질을 이용한 영양원으로는 전분, 펄프, 톱밥, 천연 솜, 왕겨, 목분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Although not shown, a plate-shaped moisture nutrient block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담수부(50)는 수납공간(21)의 하부에 위치한 본체(20)의 내측 바닥에 마련된다. 담수부(50)는 본체(20)의 바닥에 일정높이로 형성된 다수의 격벽(51)에 의해 담수공간이 분할되도록 형성된다. 이외에도 담수부(50)는 하나의 격벽 또는 격벽이 없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수부(60)는 본체(20)의 하부에 분리 및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담수부(50)에는 식생부(40)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저장되며 토양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토양으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20)의 외측에 형성된 유입공(미도시)을 통해 외부로부터 담수부(50)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The
담수부(50)가 위치한 본체(20)의 바닥에는 일정수위 이상 물이 차오르면 물이 본체(20)의 외부로 배수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되며 일정 높이 수직 상방으로 형성된 월류관(53)이 형성된다. 월류관(53)은 하나 또는 다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월류관(53)의 상단은 담수용량에 따라 적당한 높이로 형성된다.At the bottom of the
상기와 같이 식생부의 하부에 담수부가 마련됨으로써 증발로 인한 토양으로의 지속적인 수분공급에 의해 식생부의 토양이 마르는 것을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reshwater por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getation portion, thereby preventing the soil of the vegetation portion from drying out by continuous water supply to the soil due to evaporation.
바람직하게는 담수부(50)에서 수직상방으로 형성되어 식생부(40)까지 연장되는 다수의 수분 공급봉(55)을 구비한다. 즉, 수분공급봉(55)의 하부는 담수부(50)의 내부에서 물에 잠긴 상태가 되고 수분공급봉(55)의 상부는 식생부(40)의 토양에 매설됨으로써 식생부(40)에 식재된 식물에 일정량의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수분공급봉(55)은 수지섬유천으로 이루어져 모세관 작용에 의해 담수부에 저장된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게 된다. 수분공급봉(55)은 하나 또는 둘, 셋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본 발명의 가로용 화분은 배수기능과 담수기능이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 식 물(7)에게 건강한 생육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본체(20)의 바닥에 형성된 월류관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2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통되어 뿌리의 호흡과 호기성 미생물의 서식환경을 돕게 된다.The horizontal potted 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y growth environment to the plant (7) in a well-balanced drainage function and fresh water function. In addition, the outside air is easily distributed to the inside of the
그리고 램프(85)를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는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광 발전모듈(81)과, 태양광 발전모듈(81)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램프로 전기를 공급하는 콘덴서(83)와,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미도시)와, 광센서의 신호를 받아 전기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means for supplying and driving the
램프(85)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방법으로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가로형 화분(10)에는 태양광발전을 이용하여 램프에 전원을 공급한다. Various methods may be used as a driving method for driving the
태양광발전모듈(81)은 태양전지와 태양전지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20)의 외측면 상부에 설치된다. 이외에도 태양광발전모듈은 본체에 고정되는 별도의 지지체(미도시)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그리고 태양광 발전모듈(81)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콘덴서(83)가 본체(20)의 내측면에 설치된다. 콘덴서(83)는 충전과 방전을 되풀이하는 것으로서 주간에는 태양광발전모듈(81)로부터 발생하는 전기를 충전하고 야간에는 전기를 방전하여 램프(85)에 공급한다. And a
콘덴서로(83)는 전기이중충 콘덴서(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이중층 콘덴서(83)는 매우 빠르고 가역적인 이 온들의 운동학적(kinetic)인 메카니즘을 에너지 저장의 기본 작동원리로 하기 때문에, 충방전 속도가 빠르고 높은 전류를 순간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넓은 작동온도 범위에서도 충방전 효율이 기존의 이차전지보다 월등히 우수하고 안전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전기이중층 콘덴서(83)는 활성탄소 전극과 유기계 전해질의 경계면에 정전층을 형성하여 전기이중층 상태를 유전체로 이용해 전지와 마찬가지로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으로, 고체전극과 고체 또는 액체상태의 전해질 간의 계면에서 전기이중층에 전하가 흡착 및 탈착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러한 전기이중층 콘덴서(83)는 전지와 비교하여 순간적으로 고전류, 고출력을 나타내는 방전 특성이 우수하며, 수십만 회의 사이클 특성을 가지므로 수명이 반영구적이다.The electric
그리고 태양광발전모듈(81)과 콘덴서(83) 사이에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태양광발전모듈(81)에서 발생된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콘덴서(83)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전압조정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And by controlling the current between the
야간이나 흐린 날에 램프(85)를 발광시키기 위해 주위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미도시)가 본체(20)에 설치된다. 주/야간을 식별하는 광센서의 신호를 받아 전기회로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주간에는 태양광발전모듈(81)에서 발생하는 전기를 콘덴서(83)에 충전하고 야간에는 광센서의 신호에 의해 제어부가 콘덴서(83)로부터 램프(85)로 전기가 공급되도록 한다.An optical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ambient illumination to emit the
한편, 상기 램프 및 구동수단 중 콘덴서(83)와 제어부는 본체의 수납공간(21)과 차단된 방수부(87)에 내장됨으로써 수분의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램프(85)를 구동하기 위해 전선을 통해 외부의 전원과 연결될 필요가 없으므로 이동이 자유로워 설치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전선의 단락이나 누전이 위험이 없다. 또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유지비용이 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 전원을 끌어들이기 위한 별도의 장치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a wire to drive th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발광부는 광을 균일하게 산란시키는 것으로 본체(20)의 외측에 설치되는 도광판(91)과, 도광판의 일측에 설치되어 광을 도광판으로 조사시키는 램프(미도시)와, 도광판(91)의 후면에 부착되어 광을 도광판(91)의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미도시)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도광판을 이용한 백라이트 방식에 의해 광이 외부로 은은하게 발산되는 효과를 가진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light emitt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scatters light uniformly, and the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가로용 화분은 본체(20)의 상부에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캡(9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And as shown in Figure 8 the horizontal potted pla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주로 겨울철과 같이 본체(20)의 식생부에 식물이 식재되지 않은 경우 식생부를 덮어 본체(20)의 외관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외에도 식물의 어린싹을 보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캡(95)을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plants are not planted in the vegetation portion of the
캡(95)은 본체(20)와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타원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돔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95)의 상부에는 다수의 관통공(9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캡(95)이 본체(20)에 결합되어 있는 경우 관통공(97)을 통해 내부에서 발산되는 광이 외부로 조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담수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않은 구성요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Meanwhile, components not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4 to 9 are the same as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1 to 3,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thereof ar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용 화분이 가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horizontal potted plant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가로용 화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rizontal potted plant applied to Figure 1,
도 3은 도 1에 적용된 가로용 화분의 단면도이고,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rizontal planter applied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용 화분의 분리 사시도이고,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orizontal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들에 따른 가로용 화분의 사시도이고,5 to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용 화분의 측면도이고,8 is a side view of a horizontal plan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용 화분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rizontal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보도 7: 식물5: side 7: plant
10: 가로용화분 20: 본체10: horizontal pot 20: main body
25: 발광창 40: 식생부25: light emitting window 40: vegetation part
50: 담수부 55: 수분공급봉50: fresh water part 55: moisture supply rod
81: 태양광발전모듈 83: 콘덴서81: photovoltaic module 83: capacitor
85: 램프 95: 캡85: lamp 95: cap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8473A KR100853029B1 (en) | 2008-02-28 | 2008-02-28 | Street flower pot |
CN200880019318A CN101677512A (en) | 2008-02-28 | 2008-12-10 | Flowerpot for street |
PCT/KR2008/007315 WO2009107929A1 (en) | 2008-02-28 | 2008-12-10 | Flowerpot for stre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18473A KR100853029B1 (en) | 2008-02-28 | 2008-02-28 | Street flower po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53029B1 true KR100853029B1 (en) | 2008-08-20 |
Family
ID=39878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1847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3029B1 (en) | 2008-02-28 | 2008-02-28 | Street flower pot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3029B1 (en) |
CN (1) | CN101677512A (en) |
WO (1) | WO2009107929A1 (en)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1491B1 (en) * | 2008-09-04 | 2011-06-17 | 김진중 | Flowerpot with lighting and security |
KR101046246B1 (en) * | 2008-08-29 | 2011-07-07 | 오정민 | Solar pots |
KR101128470B1 (en) | 2009-09-16 | 2012-03-23 | 주식회사 비앤지 | Flowerpot with rainwater |
KR101229316B1 (en) | 2010-04-23 | 2013-02-05 | 서세열 | Case for Flowerpot |
KR101235295B1 (en) | 2010-03-26 | 2013-02-22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Flowerpot type robot for help plants grow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101268645B1 (en) | 2011-03-14 | 2013-05-29 | 성진철 | Flowerpot having decoration |
KR101381545B1 (en) * | 2012-03-09 | 2014-04-04 | 이승주 | The road for flowerpot radiation functional |
KR102387964B1 (en) * | 2020-11-26 | 2022-04-19 | 오제국 | A Smart Planter Stand |
US20220201950A1 (en) * | 2020-12-29 | 2022-06-30 | Taiyo Christian Weber | Divided jardinière suspension and watering system for vandaceous orchid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85718B (en) * | 2014-10-28 | 2016-06-08 | 张卫军 | Eremophyte cultivating container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5391U (en) * | 1999-06-17 | 1999-09-06 | 박대희 | flowerpot having lamp function |
JPH11318218A (en) * | 1998-05-11 | 1999-11-24 | Toshio Nozawa | Flowerpot and flower vase with light |
JP2000231803A (en) | 1999-02-09 | 2000-08-22 | Nobuyuki Higuchi | Lighting system utilizing solar light power generation |
KR100419903B1 (en) | 2000-07-07 | 2004-03-02 | 정화석 |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
KR20050122755A (en) * | 2004-06-25 | 2005-12-29 | 박은일 | Long line lamp and post with solar cell |
KR20070094676A (en) | 2006-03-18 | 2007-09-21 | 주식회사 필룩스 | Glow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899368A (en) * | 1984-04-09 | 1984-07-31 | Jansen Paul | ILLUMINATED UPRIGHT CARRYING BODY FOR PLANT, FLOWER AND OTHER RECIPIENTS. |
US6253489B1 (en) * | 1999-08-13 | 2001-07-03 | Beckett Corporation | Lighted flower pot |
-
2008
- 2008-02-28 KR KR1020080018473A patent/KR10085302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12-10 WO PCT/KR2008/007315 patent/WO2009107929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12-10 CN CN200880019318A patent/CN101677512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18218A (en) * | 1998-05-11 | 1999-11-24 | Toshio Nozawa | Flowerpot and flower vase with light |
JP2000231803A (en) | 1999-02-09 | 2000-08-22 | Nobuyuki Higuchi | Lighting system utilizing solar light power generation |
KR19990035391U (en) * | 1999-06-17 | 1999-09-06 | 박대희 | flowerpot having lamp function |
KR100419903B1 (en) | 2000-07-07 | 2004-03-02 | 정화석 | The lower part water supply type flowerpot having ventilation function |
KR20050122755A (en) * | 2004-06-25 | 2005-12-29 | 박은일 | Long line lamp and post with solar cell |
KR20070094676A (en) | 2006-03-18 | 2007-09-21 | 주식회사 필룩스 | Glow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6246B1 (en) * | 2008-08-29 | 2011-07-07 | 오정민 | Solar pots |
KR101041491B1 (en) * | 2008-09-04 | 2011-06-17 | 김진중 | Flowerpot with lighting and security |
KR101128470B1 (en) | 2009-09-16 | 2012-03-23 | 주식회사 비앤지 | Flowerpot with rainwater |
KR101235295B1 (en) | 2010-03-26 | 2013-02-22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Flowerpot type robot for help plants growing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101229316B1 (en) | 2010-04-23 | 2013-02-05 | 서세열 | Case for Flowerpot |
KR101268645B1 (en) | 2011-03-14 | 2013-05-29 | 성진철 | Flowerpot having decoration |
KR101381545B1 (en) * | 2012-03-09 | 2014-04-04 | 이승주 | The road for flowerpot radiation functional |
KR102387964B1 (en) * | 2020-11-26 | 2022-04-19 | 오제국 | A Smart Planter Stand |
US20220201950A1 (en) * | 2020-12-29 | 2022-06-30 | Taiyo Christian Weber | Divided jardinière suspension and watering system for vandaceous orchid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9107929A1 (en) | 2009-09-03 |
CN101677512A (en) | 2010-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53029B1 (en) | Street flower pot | |
CA2474038C (en) | Solar stepping stone | |
KR101165704B1 (en) | A solar cell panel and environmental lamp having the same | |
JP2012028293A (en) | Lighting fixture for compensating lack of sunshine in bare ground cultivation or greenhouse cultivation | |
CN206310426U (en) | A kind of gardens drip irrigation plantation solar street light | |
KR101464487B1 (en) | A water culture device | |
KR100990245B1 (en) | Structure for plant growth | |
KR101868743B1 (en) | Apparatus for plant cultivation using plant information | |
KR101409049B1 (en) | Flowerpot for landscape architecture | |
CN202625933U (en) | Solar energy water body remedying and landscaping device in floating island form | |
JP2018093854A (en) | Agricultural solar panel | |
JPS5850690B2 (en) | cultivation equipment | |
CN216058415U (en) | Stereoscopic planting device | |
KR20100120999A (en) | Stacking type street flowerpot with lighting | |
KR20100051493A (en) | Fence for plant growth | |
CN208286085U (en) | A kind of floated water plant planter used for aquiculture | |
KR20080000827U (en) | Solar Balustrade | |
CN113575197A (en) | Three-dimensional planting device | |
KR20110086232A (en) | Solar rechargeable melody lighting for plant cultivation | |
CN217905314U (en) | Novel landscape flower bed | |
CN219894040U (en) | Protection canopy for flower cultivation | |
CN114793874B (en) | Intelligent control's clean energy stereoscopic planting facility | |
CN220859254U (en) | Solar insecticidal lamp with timing system | |
CN220586950U (en) | Luminous flower box | |
JP3100879U (en) | Plant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2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8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8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