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52654B1 -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 - Google Patents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654B1
KR100852654B1 KR1020070065055A KR20070065055A KR100852654B1 KR 100852654 B1 KR100852654 B1 KR 100852654B1 KR 1020070065055 A KR1020070065055 A KR 1020070065055A KR 20070065055 A KR20070065055 A KR 20070065055A KR 100852654 B1 KR100852654 B1 KR 10085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groove
chain
flow
han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5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훈
신호성
윤권순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5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6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7/00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입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객실 내부에 설치된 입석 손잡이의 구조를 개선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부품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입석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차의 객실에 형성된 봉에 설치되는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봉을 수용하는 홈과 연통하는 삽입구가 하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에 봉을 지지하는 원반형 캡을 가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삽입구내로 체결되는 체인에 의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의 체인 하단을 수용하는 홈이 상측에 형성되고, 바닥에 단차를 갖는 일체의 봉형상 조인트에 의해 상기 유동부와 연결되는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캡은 봉의 외형을 따라 양단이 솟아 있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체인의 유동을 한정하는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 캡, 조인트

Description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KNOB FOR A STANDING PASSENGER OF ELECTRIC RAIL CAR}
도 1 은 본 발명의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 는 도 1 의 상측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이고, 도 2b 는 캡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하측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조인트와 스토퍼링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 는 종래의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다른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의 하측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2 : 봉
10 : 고정부 11 : 사각홈
12 : 삽입구 13 : 핀
14 : 캡 15 : 양단
16 : 구멍 20 : 유동부
21 : 체인 22 : 튜브
23 : 스프링 30 : 파지부
31 : 핸들 32 : 삽입구
33 : 조인트 34 : 단차
35 : 스토퍼링 36 : 수용홈
37 : 핀 38 : 홈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입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객실 내부에 설치된 입석 손잡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철도차량의 객실에 설치되는 입석 손잡이 (100)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 (102) 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측에 형성된 고정부 (110) 와, 체인 (121) 이나 와이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 (110) 에 매달려 하측으로 연장되는 유동가능한 유동부 (120) 와, 상기 유동부 (120) 의 하측 단부와 연결되어 승객이 손으로 잡는 핸들 (131) 을 가지는 파지부 (130) 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부 (110) 는 원통 봉 (102) 에 고정하기 위하여 중심부에 홈 (111) 이 형성되며, 하측으로는 삽입구 (112) 가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부 (120) 는 상기 고정부 (110) 와 파지부 (130) 사이를 연결하며, 내부에 체인 (121) 이 연결되어 있고, 외부는 촘촘한 스프링 (123) 이 상기 체인 (121) 을 감싸고 있어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다.
파지부 (130) 는 손을 끼워 잡는 핸들 (131) 상측에 유동부 (120) 와의 부착 을 위한 삽입구 (132) 가 형성되어 있으며, 조인트 (133) 와 차폐판 (134) 이 삽입구 (132) 에 끼워져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 (110) 의 삽입구 (112) 에 유동부 (120) 의 체인 (121) 이 삽입되고, 상기 체인 (121) 의 선단 고리를 핀 (113) 이 관통함으로써, 유동부 (120) 가 고정부 (110) 에 유동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체인 (121) 상부와 봉 (102) 과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만큼 이간되어 있고, 승객의 동작에 연동한 유동에 의해 체인 (121) 은 상기 소정 간격만큼 상승과 하강 및 좌우로의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핀 (113) 에 한도 이상의 충격이 반복적으로 가해져 상기 핀 (113) 을 지지하고 있는 핀지지부 (114) 가 파손되어 상기 핀 (113) 이 삽입구 (112) 로 빠짐으로써, 고정부 (110) 로부터 체인 (121) 이 분리되는 일이 발생하여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파지부 (130) 의 조인트 (133) 구성이 복잡하고, 조립 작업이 완전하지 않을 경우 조인트 (133) 를 고정하는 볼트 (136) 가 이완되어 차폐판 (134) 이 탈락되고, 이는 파지부 (130) 와 유동부 (120) 의 분리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6 과 같이 유동부 (120) 와 파지부 (130) 의 연결고리인 조인트 (140) 를 단순하게 하기 위하여 파지부 (130) 성형시 동시에 매립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조인트 (140) 의 핀 (141) 이 파지부 (130) 의 상단 (137) 보다 높게 위치하고 있어 움직임이 제한되어 손잡이 (1) 전체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승객이 이용하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철도차량의 객실 내부에 설치된 입석 손잡이의 구조를 개선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부품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철도차량용 입석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차의 객실에 형성된 봉에 설치되는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봉을 수용하는 홈과 연통하는 삽입구가 하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에 봉을 지지하는 원반형 캡을 가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삽입구내로 체결되는 체인에 의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의 체인 하단을 수용하는 홈이 상측에 형성되고, 바닥에 단차를 갖는 일체의 봉형상 조인트에 의해 상기 유동부와 연결되는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캡은 봉의 외형을 따라 양단이 솟아 있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체인의 유동을 한정하는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캡은 탄성재이며, 고정부의 홈 바닥과 삽입구의 입구에 거쳐 하면이 단차를 이루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인트는 홈의 일측면으로부터 핀이 끼워져 수용된 체인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조인트의 중간에는 스토퍼링을 끼우기 위한 홈이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를 나타내는 도, 도 2a 는 도 1 의 상측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이고, 도 2b 는 캡의 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하측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 도 4 는 도 3 의 조인트와 스토퍼링의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 (1) 는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봉 (2) 에 고정하는 고정부 (10) 와, 상기 고정부 (10) 의 하측에 현수되어 유동하는 유동부 (20) 와, 상기 유동부 (20) 의 하측 단부에 고정되는 파지부 (30) 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부 (10) 는 도 2 와 같이 대략 역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원통 봉 (2) 에 손잡이 (1) 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봉 (2) 을 끼우는 사각홈 (11) 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유동부 (20) 와 결합하기 위하여 삽입구 (12) 가 상기 사각홈 (11) 에 까지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구 (12) 를 통하여 하측으로부터 체인 (21) 을 가지는 유동부 (20) 가 삽입되고, 핀 (13) 이 상측 체인 (21) 에 형성된 구멍을 좌우로 건너지르는 것으로 고정부 (10) 와 유동부 (20) 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사각홈 (11) 의 바닥에는 봉 (2) 의 형상을 따라 가장자리의 좌우 양단 (15) 이 불룩하게 봉 (2) 의 외경을 감싸도록 솟아오르고, 중심에는 원형 구멍 (16) 이 형성되는 탄성러버인 원반형 캡 (14) 이 끼워져 있다. 상기 캡 (14) 의 중심 구멍 (16) 에는 체인 (21) 의 선단부가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체인 (21) 은 좌우측과 상하측으로의 유동이 한정되어 상기 구멍 (16) 내에서만 유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핀 (13) 을 지지하기 위한 핀지지부 (17) 가 삽입구 (12) 의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동부 (20) 는 고정부 (10) 와 파지부 (30) 를 연결하는 유동가능한 것으로, 내부로부터 체인 (21) 과 상기 체인 (21) 을 에워싸는 관형상 튜브 (22) 와, 상기 튜브 (22) 와 체인 (21) 을 둘러싸는 간격이 촘촘한 스프링 (23) 으로 구성되어 있다.
파지부 (30) 는 손가락을 끼워 잡는 핸들 (31) 과, 상기 핸들 (31) 상측에 유동부 (20) 와의 부착을 위한 삽입구 (32) 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구 (32) 에 조인트 (33) 가 끼워져 이루어진다.
상기 조인트 (33)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이 넓은 단차 (34) 를 가지는 기둥형상이며, 중심부의 둘레 홈 (38) 에는 스토퍼링 (35) 이 끼워지고, 상단에는 체인 (21) 을 수용하는 수용홈 (36)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 (36) 은 종방향으로 깊게 형성되어 체인 (21) 의 하측 단부가 삽입된 후, 수용홈 (36) 의 일 측면으로부터 체인 (21) 의 구멍을 가로지르게 핀 (37) 이 삽입되어 체인 (21) 이 수용홈 (36) 에 체결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고정부 (10) 에는 체인 (21) 의 유동을 한정하는 캡 (14) 이 사각홈 (11) 의 바닥에 끼워져 있어 체인 (21) 의 유동이 한정되므로 체인 (21) 을 고정하는 핀 (13) 에 한도 이상의 충격력이 부가되지 않아 핀 (13) 을 지지하는 핀지지부 (17) 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손잡이 (1) 가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없어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 (30) 에는 유동부 (20) 와 체결하기 위하여 설치된 조인트 (33) 의 구성이 단순하여 조립이 매우 용이하고 파손의 염려도 없으며, 종래와 같이 번잡하게 차폐판 (134) 이나 볼트 (136) 등과 같은 부품도 요구되지 않고, 특히 종래의 차폐판 (134) 에 대응하는 단차 (34)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유동부 (20) 와 파지부 (30) 가 분리되는 문제점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33) 의 핀 (37) 위치가 파지부 (30) 의 삽입구 (32) 위치와 대략 동일하여 손잡이 (1) 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객실 내부에 설치된 입석 손잡이의 구조를 개선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구성을 단순화하여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4)

  1. 전동차의 객실에 형성된 봉에 설치되는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봉을 수용하는 홈과 연통하는 삽입구가 하측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에 봉을 지지하는 원반형 캡을 가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삽입구내로 체결되는 체인에 의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의 체인 하단을 수용하는 홈이 상측에 형성되고, 바닥에 단차를 갖는 일체의 봉형상 조인트에 의해 상기 유동부와 연결되는 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캡은 탄성재이며, 고정부의 홈 바닥과 삽입구의 입구에 거쳐 하면이 단차를 이루어 끼워져 있고, 봉의 외형을 따라 양단이 솟아 있으며,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체인의 유동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홈의 일측면으로부터 핀이 끼워져 수용된 체인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의 중간에는 스토퍼링을 끼우기 위한 홈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
KR1020070065055A 2007-06-29 2007-06-29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 Active KR100852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055A KR100852654B1 (ko) 2007-06-29 2007-06-29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5055A KR100852654B1 (ko) 2007-06-29 2007-06-29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654B1 true KR100852654B1 (ko) 2008-08-18

Family

ID=39878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055A Active KR100852654B1 (ko) 2007-06-29 2007-06-29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6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764A (ko) 2015-08-26 2017-03-08 주식회사 코하마 차량용 손잡이
CN109878391A (zh) * 2019-04-02 2019-06-14 山东理工职业学院 扶手架
CN110682843A (zh) * 2019-09-12 2020-01-14 浙江海洋大学 一种阻尼公交把手
CN112339634A (zh) * 2020-11-25 2021-02-09 张雅君 一种公交车活动安全防护扶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831Y1 (ko) * 2003-11-07 2004-02-14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차량용 손잡이
KR200357880Y1 (ko) * 2004-04-23 2004-07-31 썬테크 주식회사 차량용 입석 손잡이
KR200406561Y1 (ko) * 2005-10-19 2006-01-23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차량용 손잡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831Y1 (ko) * 2003-11-07 2004-02-14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차량용 손잡이
KR200357880Y1 (ko) * 2004-04-23 2004-07-31 썬테크 주식회사 차량용 입석 손잡이
KR200406561Y1 (ko) * 2005-10-19 2006-01-23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차량용 손잡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764A (ko) 2015-08-26 2017-03-08 주식회사 코하마 차량용 손잡이
CN109878391A (zh) * 2019-04-02 2019-06-14 山东理工职业学院 扶手架
CN109878391B (zh) * 2019-04-02 2023-12-26 山东理工职业学院 扶手架
CN110682843A (zh) * 2019-09-12 2020-01-14 浙江海洋大学 一种阻尼公交把手
CN112339634A (zh) * 2020-11-25 2021-02-09 张雅君 一种公交车活动安全防护扶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654B1 (ko) 전동차용 입석 손잡이
EP1393966A3 (en) Child seat mounting structure
AR034515A1 (es) Valvula de respirador
US20160288674A1 (en) Armrest structure for door trim
KR20120114995A (ko) 배리어 네트 장착 구조
US20190232981A1 (en) Threaded interface buffer with anti-rotation structure
ES2164502B1 (es) Dispositivo de fijacion para una instalacion de limpiacristales de un vehiculo automovil.
KR20130031257A (ko) 다기능 캐리어를 가진 차량 도어
JP5351300B2 (ja) シートバックグリップの取付構造
CN106184479A (zh) 车辆树脂后尾门的安装方法
CN202518362U (zh) 一种发动机盖锁
KR100801716B1 (ko) 자동차의 보조매트 탈착 장치
CN202413810U (zh) 铁路客车及其脚蹬翻板组成
KR200438513Y1 (ko) 입석 승객용 손잡이
KR200320758Y1 (ko) 자동차의 커넥터 고정클립
CN109649510B (zh) 用于机动车辆的后扰流器的装配支架
EP2500247A2 (en) Saddlebag attachment structure for saddle riding type vehicle
CN201772145U (zh) 一种车用软管固定卡子
KR200406561Y1 (ko) 차량용 손잡이
CN215258093U (zh) 一种天然气发动机制动器电磁阀罩
CN214929716U (zh) 一种稳固安装的地铁扶手吊架
CN204488739U (zh) 一种汽车雨刮臂座
CN209983697U (zh) 一种伸缩式箱包提手
CN205715252U (zh) 一种外球头结构
ITTO960440A1 (it) Accessorio di presa per cinture di sicurezz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