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1566B1 - The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 Google Patents
The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1566B1 KR100851566B1 KR1020060087339A KR20060087339A KR100851566B1 KR 100851566 B1 KR100851566 B1 KR 100851566B1 KR 1020060087339 A KR1020060087339 A KR 1020060087339A KR 20060087339 A KR20060087339 A KR 20060087339A KR 100851566 B1 KR100851566 B1 KR 1008515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lenoid
- elevator
- power
- crank
- ro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4 troubleshoo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2—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braking devices, e.g. acting on electrically controlled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는 작동판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시 상기 작동판이 상기 바디에 대해 이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운행시 상기 작동판이 상기 바디 측으로 이동하여 로프를 구속시키도록 동작하는 로프 제동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이 바디 측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판의 힌지샤프트에 작동링크로 연계되어 작동되는 크랭크 수단과; 상기 크랭크 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크랭크 수단의 회동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로크 수단과; 상기 크랭크 수단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랭크 수단의 회동에 따라 온/오프가 전환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을 통해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항상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엘리베이터의 비상제동 시에는 상기 로크 수단을 동작시켜 연계된 크랭크 수단에 의해 작동판을 바디 측으로 이동시켜 엘리베이터를 제동하고, 정전 시에는 상기 로크 수단을 동작시키지 않도록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a body, a working plat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the operating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An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having a rope braking device that is operable to move the operating plate to the body side to restrain the rope during abnormal operation of the operating plate, wherein the operating plate is connected to a hinge shaft of the operating plate so as to move to the body side. Crank means operated; Lock means rotatably coupled to the crank means and vertically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rank means; Switching mean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rank means and switched on / off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rank means; And a state in which power is always supplied when the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switching means, and during emergency braking of the elevator, the lock means is operated to move the operation plate toward the body by the associated crank means to brake the elevator. And a solenoid means provided so as not to operate the lock means during a power failure.
엘리베이터, 비상제동, 정전, 제동장치, 솔레노이드, 시정수 Elevator, emergency braking, blackout, braking device, solenoid, time constant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자동복귀를 위한 동력원이 구성된 자동식 로프제동장치.1 is an automatic rope braking device configured as a power source for conventional automatic return.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전체 사시도.Figure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rope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ope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작동대기 시의 솔레노이드 수단의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means at the time of operation standby of the rope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비상제동 시 솔레노이드 회로 구성도.Figure 5a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olenoid circuit at the time of emergency braking of the rope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정전 시 솔레노이드 회로 구성도.Figure 5b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olenoid circuit in the blackout of the elevator rope bra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ning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작동대기 시의 측면도.Figure 7 is a side view at the time of operation standby of the rope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비상제동 시의 측면도.Figure 8 is a side view at the time of emergency braking of the rope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비상제동 시의 솔레노이드 수단의 단면도.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means at the time of emergency braking of the rope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정전 시의 측면도.Figure 10 is a side view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of the rope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정전 시의 솔레노이드 수 단의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end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of the rope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각 솔레노이드 정전 시 시정수 그래프.12 is a time constant graph of each solenoid power failure of the rope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로프 10. 바디1.
20. 작동판 30. 크랭크 수단20.
40. 로크 수단 50. 스위칭 수단40. Lock means 50. Switch means
60. 솔레노이드 수단 70. 개방 수단60. Solenoid means 70. Open means
110,120. 측면판 130. 고정판110,120.
130a. 비틀림스프링 삽입홀 132. 브레이크라이닝130a. Torsion
134. 링크통과구 136. 가이드 핀134. Link through
138. 베어링유니트 140. 설치프레임138.
150. 바닥판 210. 브레이크라이닝150.
220. 가이드 핀 안내홀 230. 힌지220.Guide pin guide hole 230.Hinge
240. 힌지샤프트 310. 작동링크240. Hinge
320. 커넥팅 로드 322. 키320.Connecting rod 322.Key
330. 크랭크 축 340. 후크330.
342. 비틀림스프링 삽입홀 344. 누름핀342. Torsion
350. 비틀림스프링 410. 로크 바디350. Torsion
420. 로크 핀 430. 로크 힌지420. Lock
432. 힌지 핀 440. 커넥션432. Hinge
442. 커넥션 핀 510. 스위치 고정판442.
520.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 520. First solenoid open completion detection switch
530.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530. First solenoid open completion switch
602. 전원부 604. 정류부602.
606. 마이컴 608. 스위칭부606.
610. 제1 솔레노이드 부 611. 제1 보빈코어610.
612. 제1 코일 613. 코일케이스612.
614. 로드 615. 로드 핀614.
616. 제1 아마추어 620. 제2 솔레노이드 부616.
621. 제2 보빈코어 622. 제2 코일621.
623. 제2 아마추어 624. 코일스프링623.
625. 제2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625. Second solenoid open completion switch
710. 개방힌지 712. 개방힌지 핀710.
720. 개방볼트 722. 개방볼트 핀720.
730. 개방너트730. Opening Nu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 리베이터 작동 중 제어이상에 의한 과속이나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의 운행과 같은 비상제동 발생시에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엘리베이터 카를 감속 정지시킬 수 있으며, 정전시에는 비상제동 상태가 기구적으로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when an emergency braking occurs such as an overspeed due to an abnormal control during operation of an elevator or a driving in a door open state, the elevator car can be decelerated and stopped quickly and saf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configured so that an emergency braking state does not operate mechanically during a power failur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포함한 모든 전기 작동식 안전장치는 국제 규격에 의하여 작동대기 시에는 항상 전원이 통전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하고 비상제동시에는 전원이 단속되면서 안전장치가 작동하도록 구성된다.In general, all electrically operated safety devices, including elevator rope brakes, must be kept energized at all times during standby, and the safety devices are operated while the power is interrupted during emergency braking.
이와 같이 비상제동시에 반드시 전원이 단속되면서 안전장치가 작동되도록 구성하여야하는 이유는 만약 검출신호를 받아 작동하는 제동장치가 이와 반대로 비상제동시에 안전장치의 동작을 위해서 전원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단선 등으로 인해 동작불능 상태를 유발할 수 있고 전원이 없는 대기상태의 경우에는 안전장치에 전원공급이 필요 없게 구성되었기 때문에 단선이 되어 있어도 설치 상태에서 비상제동시에 안전장치의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As such, the reason why the safety device should be operated while the power is interrupted during emergency braking is that if the braking device that operates by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n the contrary, if the power supply i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during emergency braking, disconnection, etc. This can cause inoperable state, and in case of standby state without power, the safety device does not need power supply, so even if it is disconnected, it is impossible to check the operation of the safety device during emergency braking.
따라서 국제 규격에 의해 안전장치를 제작할 경우 현존하는 모든 안전장치는 비상제동 발생시 전원의 단락과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비상제동 상태가 아닌 정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작동될 수밖에 없도록 구성된다.Therefore, when the safety device is manufactured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s, all existing safety devices are configured to operate together with a short circuit of the power supply when an emergency braking occurs.
도 1은 종래의 자동복귀를 위한 동력원이 구성된 자동식 로프제동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출원된 특허(출원번호:10-2004-0028052)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비롯하여 모든 자동식 로프제동장치는 비상제동 시와 정전 시 모두 작동하며 전원이 들어오는 경우에 자동으로 복귀하도록 별도의 동력 발생장치 가 구비되어 있다.1 is an automatic rope braking device configured as a power source for automatic return of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 all automatic ropes including an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of the patent (application number: 10-2004-0028052) The braking system operates during both emergency braking and power outages and is equipped with a separate power generator to automatically return when the power is turned on.
이렇게 별도의 동력장치를 구성하는 이유는 동력발생장치가 없는 수동식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경우에는 비상제동이나 정전으로 인해 제동장치가 작동된 후에는 반드시 수동으로 작동 대기상태를 만들어 주어야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separate power unit is that in the case of a manual elevator rope braking system without a power generator, it is necessary to make a standby mode manually after the brake system is operated due to emergency braking or power failure. Because this becomes possible.
그러므로 수동식 로프브레이크의 경우 소수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는 소형 건물의 경우에는 수동개방에 따른 복귀시간이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대규모 단지의 아파트나 복합 상가와 같이 여러 대의 엘리베이터가 동시에 운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정전이 발생하여 로프 제동장치가 작동한 경우에는 소수의 보수인원으로 많은 대수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복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없으므로 복귀 작업의 필연적 지연과 함께 비상발전이나 정전해제와 같이 전원이 들어오더라도 엘리베이터에 탑승한 승객은 수동 복귀 작업이 완료되기 전까지 오랜 시간 엘리베이터 카에서 구출되지 못하고 대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manual rope brakes, the return time due to manual opening is not a big problem for small buildings with a small number of elevators.However, a power failure may occur when several elevators are operating at the same time, such as a large apartment complex or a complex mall. When the rope braking device was operated due to the occurrence of the rope braking device, a small number of maintenance personnel could not perform the return work of many elevator rope braking devic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power was turned on such as emergency power generation or power failure with the inevitable delay of the return work. Passengers who have boarded in the elevator are inconvenient to wait for a long time without being rescued from the elevator car until the manual return operation is completed.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전원인가 시 자동 복귀가 가능한 자동식 로프 제동장치를 선호하고 있으나 수동식 제동 장치에 비해 별도의 동력 발생장치가 필요함에 따라 제품 가격이 훨씬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in most cases, due to such inconvenience, the automatic rope braking device that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when the power is applied is preferr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 price is much higher as a separate power generating device is required than the manual braking devi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제동장치의 작동대기 시는 전원이 온(ON)인 상태이고 비상제동 시 혹은 정전 시는 오프(OFF)인 상태가 되어야 하는 국제규격을 만족하면서도 비상제동 시에만 기구적으로 작동하고 정 전 시에는 기구적으로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한 수동식 로프 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at the power should be on when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device is on (on) and in the state of emergency braking or off (power off). It is to provide a manual rope braking system configured to operate mechanically only in emergency braking and not mechanically in case of power failur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부품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 견인용 로프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브레이크에 대해 평행하게 접근 및 이격되는 작동판과, 상기 엘리베이터의 정상운행시 상기 작동판이 상기 바디에 대해 이격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엘리베이터의 이상운행시 상기 작동판이 상기 바디 측으로 이동하여 로프를 구속시키도록 동작하는 로프 제동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프 제동장치는, 상기 작동판이 바디 측으로 이동하도록 바디 면에 고정되는 베어링유니트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합된 크랭크 축과, 상기 크랭크 축과 일체로 조합되며 상부는 양분되어 절단된 형상의 반구형 홈이 형성되고 하부는 원호형상의 활주 걸림홈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누름핀이 조립되는 후크와, 상기 후크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설치되고 일측은 후크의 측면 홀에 조합되고 타측은 바디측 홀에 조합되는 비틀림스프링과, 상기 크랭크 축의 양단에 고정되어 설치된 커넥팅 로드 및 상기 커넥팅 로드에 선회 가능하게 작동판의 힌지샤프트에 작동링크로 연계되어 작동되는 크랭크 수단과; 상기 바디에 체결되는 로크 힌지와, 상기 로크 힌지와 힌지 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로크 바디와, 상기 로크 바디 내부에 구비된 베어링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후크의 활주 걸림홈에 맞물려서 활주가 가능하게 접촉된 원호형상의 걸림부가 구비되되 상기 활주 걸림홈과 걸림부의 두 접촉면은 서로 다른 경사각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로크 핀, 그리고 상기 로크 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커넥션으로 이루어져 상기 크랭크 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 수단의 회동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로크 수단과; 상기 크랭크 수단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랭크 수단의 회동에 따라 온/오프가 전환되는 스위칭 수단; 및 상기 스위칭 수단을 통해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항상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엘리베이터의 비상제동 시에는 상기 로크 수단을 동작시켜 연계된 크랭크 수단에 의해 작동판을 바디 측으로 이동시켜 엘리베이터를 제동하고, 정전 시에는 상기 로크 수단을 동작시키지 않도록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forming a component installation space, and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to the elevator towing rope between the fixed brakes And a working plate that is approached and spac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the operating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body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and the operating plate moves to the body side to restrain the rope during abnormal operation of the elevator. An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having a rope braking device, wherein the rope braking device comprises: a crank shaft rotatably coupled through a bearing unit fixed to a body surface so that the operating plate moves to the body side; Hemispherical in shape, cut in two parts Is formed and the lower portion is formed with an arc-shaped sliding locking groove and the side of the hook is assembled with a push pin, symmetrically installed on the basis of the hook, one side is combined with the side hole of the hook and the other side is combined with the body side hole A crank means which is connected to the hinge spring of the torsion spring, the connecting rod fixed to both ends of the crank shaft, and the hinge shaft of the operating plate so as to be pivotable to the connecting rod. The lock hinge fastened to the body, the lock body rotatably assembled by the lock hinge and the hinge pin, and rotatably assembled by a bearing provided in the lock body and slide by engaging the sliding locking groove of the hook. Is provided with an arc-shaped locking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sliding contact grooves and the two contact surfaces of the locking portion are formed with lock pins arranged to have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and a connection that is rotatably assembled by the lock pins. Lock means rotatably coupled to the lock means for vertically mov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crank means; Switching mean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rank means and switched on / off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rank means; And a state in which power is always supplied when the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switching means, and during emergency braking of the elevator, the lock means is operated to move the operation plate toward the body by the associated crank means to brake the elevator. And a solenoid means provided so as not to operate the lock means during a power failure.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상기 크랭크 수단에 인접한 상기 바디의 일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 수단이 작동판에 대해 제동해제방향으로 임의 회전하는 것을 록킹시키는 개방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one region of the body adjacent to the crank means, and is opened to lock the crank means to rotate arbitrarily in the braking relea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erating plate. Means; further comprising.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개방 수단은, 바디에 설치되는 개방힌지와; 상기 개방힌지에 회전가능하게 핀으로 체결된 개방볼트와; 상기 개방볼트에 결합되며 전면이 반구형으로 형성된 개방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평상시에는 상기 개방너트가 개방힌지에 고정된 상태가 되며, 비상제동 시에는 상기 개방힌지가 회동되어 개방너트가 크랭크 수단으로 이동하여 체결되어 상기 크랭크 수단이 제동해제방향으로 임의 회전하는 것을 록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preferably, the opening means, and an opening hinge installed on the body; An open bolt fastened to the open hinge by a pin; Open nut is coupled to the opening bolt and the front surface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it is usually made, the opening nut is fixed to the open hinge, during emergency braking the open hinge is rotated open nut is a crank means It is preferable to lock the crank means to rotate arbitrarily in the braking release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솔레노이드 수단은, 각각의 코일, 아마추어, 보빈코어를 가진 복수의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며, 복수의 솔레노이드 중 적어도 한 곳의 솔레노이드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제동 시에 소자(off)되어 상기 로크 수단을 승강시키도록 구성되고, 복수의 솔레노이드 중 적어도 한 곳의 솔레노이드는 엘리베이터의 정전 시에만 소자(off)되어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로크 수단을 동작시키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olenoid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solenoids having respective coils, armatures and bobbin cores, and at least one of the solenoids of the plurality of solenoids is deactivated during emergency braking of the elevator to lock the locking means. The solenoid of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solenoids is preferably turned off only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of the elevator so that the locking means is not operated by the elastic member.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수단은, 엘리베이터의 비상제동 시에 상기 스위칭 수단의 개방에 의해 비틀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따라 로크 핀의 걸림부가 후크의 활주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이때 크랭크 수단이 하강 동작되어 작동판을 바디측으로 이동시켜 엘리베이터를 비상제동하도록 동작하는 제1 솔레노이드 부; 및 엘리베이터의 정전 시에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따라 로크 핀의 걸림부가 후크의 활주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는 힘에 대응하는 반대방향의 힘을 제공하여 이탈이 방지되어 크랭크 수단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제2 솔레노이드 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olenoid means is, when the emergency braking of the elevator by the opening of the switching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is released from the sliding locking groove of the hook, the crank means is lowered operation operating plate A first solenoid portion operable to move the body side to emergency braking the elevator; And providing a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orce that is released from the sliding locking groove of the hook according to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of the elevator to prevent the release of the crank mean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2 solenoid portion.
여기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부는, 외주면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1 코일이 권선되고, 그 중앙에는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1 보빈코어 와; 상기 제1 보빈코어의 관통홀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하단부에 소정크기의 반경방향 돌기가 형성된 로드; 및 상기 제1 보빈코어의 하단부와 로드의 돌기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 보빈코어의 제1 코일을 통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화되어 그 상단 및 하단부에 서로 다른 극성이 형성되는 제1 아마추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solenoid part may include: a first bobbin core having a first coil woun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having a through hole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thereof; A rod mounted in the through-hole of the first bobbin core so as to be movable and having a radial protrusion of a predetermined size at a lower end thereof; And a first armatur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first bobbin core and the protrusion of the rod, and magnetized as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coil of the first bobbin core to form different polarities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thereof.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여기서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부는, 상기 제1 보빈코어의 하단에 인접하게 장착되며, 그 외주면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제2 코일이 권선되고, 그 중앙에는 상하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된 제2 보빈코어와; 상기 제2 보빈코어의 관통홀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그 상단부에 소정 크기의 반경방향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보빈코어의 제2 코일을 통해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화되어 그 상단 및 하단부에 서로 다른 극성이 형성되는 제2 아마추어; 및 상기 제2 보빈코어의 제2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하방으로 이동하려는 상기 제2 아마추어를 상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제2 보빈코어에 설치된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solenoid portion is mounted adjacent to a lower end of the first bobbin core, a second coil is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a second bobbin having a vertical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 core; It is mounted in the through-hole of the second bobbin core so as to be movable, and a radial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magnetized as power is applied through the second coil of the second bobbin core. A second armature having different polarities at lower ends thereof; And a coil spring installed on the second bobbin core to elastically support the second armature to be moved downward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econd coil of the second bobbin core.
한편, 상기 솔레노이드 수단은,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의 교류 전원을 받아 직류 전원을 발생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의 전압을 받아 솔레노이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신호를 받아 스위칭 작용을 하는 스위칭부와; 상기 정류부와 스위칭부 사이에 연결된 시간지연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마이컴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 구동전원이 차단되는 제1 솔레노이드 부; 및 상기 정류부에 직렬로 접속되어 구동하는 제2 솔레노이드 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olenoid means, the power supply for supplying AC power; A rectifying unit receiving the AC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to generate DC power; A microcomputer receiving the voltage of the rectifier and generating a solenoid driving signal; A switch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of the microcomputer and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A first solenoid unit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time delay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rectifying unit and the switching unit to delay the output signal of the microcomputer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cut off driving power; And a second solenoid part connected to the rectifier in series and driven.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 수단은,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부와 제2 솔레노이드 부의 시정수를 다르게 구성하여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부는 코일에 콘덴서를 병렬로 설치한 RC회로를 구성하여 정전시에는 제1 솔레노이드 부가 동작하기 이전에 제2 솔레노이드 부가 이탈력 이상의 코일 스프링 탄성력을 제1 솔레노이드 부에 작용토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olenoid means is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time constants of the first solenoid portion and the second solenoid portion differently in parallel, and the first solenoid portion constitutes an RC circuit in which a capacitor is installed in parallel in the coil so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il spring elastic force greater than the second solenoid part detachment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solenoid part before the first solenoid part is operat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엘리베이터는 부품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일측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 견인용 로프(1)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고정브레이크에 대해 평행하게 접근 및 이격되는 작동판(20)과, 상기 작동판(20)이 바디(10) 측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판(20)의 힌지샤프트(240)에 작동링크(310)로 연계되어 작동되는 크랭크 수단(30)과, 상기 크랭크 수단(30)에 회동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기 크랭크 수단(30)의 작동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로크 수단(40)과, 상기 크랭크 수단(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랭크 수단(30)의 회전운동에 따라 온/오프가 전환되는 스위칭 수단(50)과, 상기 스위칭 수단(50)을 통해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항상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엘리베이터의 비상제동 시에는 상기 로크 수단(40)에 의해 크랭크 수단(30)을 작동시켜 작동판(20)을 바디(10) 측으로 이동시켜 엘리베이터를 제동하고, 정전 시에는 상기 로크 수단(40)을 동작시키지 않도록 구비되는 솔레노이드 수단(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vator is a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바디(10)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디(10)는 소정의 부품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되는 것으로서, 상호 평행하게 대향 이격된 한 쌍의 측면판(110,120)과, 양 측면판(110,120)을 연결시키는 고정판(130)을 갖는다. 상기 바디(10)의 양 측면판(110,120) 하부에는 제동장치를 엘리베이터의 로프(1)와 인접한 영역에 설치하기 위한 설치프레임(140)이 결합된다. 이 설치프레임(140)은 양 측면판(110,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의 저부에는 후술되는 솔레노이드 수단(60)이 안착되는 바닥판(150)이 구비된다.2 and 3, the
상기 고정판(130)은 로프(1)의 길이방향에 평행하도록 바디(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 고정판(130)의 외측 판면에는 로프(1)와 접촉되는 브레이크 라이닝(13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130)의 중앙영역 좌우에는 후술할 작동링크(310)가 통과하기 위한 한 쌍의 링크통과구(134)가 형성되고, 후술될 작동판(20)이 고정판(130)에 대해 평행을 유지하면서 동작하도록 하는 복수의 가이드 핀(136)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 핀(136)은 고정판(130)의 상하좌우 4곳에 고정되어 있다.The fixing
또한, 상기 고정판(130)의 내측 판면에는 베어링유니트(138)가 설치되고, 상 기 베어링유니트(138)에는 후술될 크랭크 축(330)이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고정판(130)과 로프(1)를 사이에 두고 평행하게 접근 및 이격되는 작동판(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판(20)의 내측 판면에도 로프(1)를 향하는 브레이크 라이닝(2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판(20)의 폭 방향 양측 판면에는 상기 가이드 핀(136)이 통과하는 가이드 핀 안내홀(220)이 형성되어 있어 바디(10)에 설치된 가이드 핀(136)을 따라 직선 운동한다. 상기 가이드 핀 안내홀(220)은 고정판(130)의 가이드 핀(136)에 대응하는 4개로 마련된다. 이에 의해, 작동판(20)이 가이드 핀(136)을 따라 고정판(130)에 대해 평행하게 접근 및 이격되도록 왕복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판(130)의 가이드 핀(136)은 4개로 마련되어 있지만, 제동장치의 크기 및 제작여건에 따라 단일 또는 한 쌍 이상의 복수 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And the working
또한, 상기 고정판(130)의 각 링크통과구(134)와 인접하는 작동판(20)의 이면(브레이크 라이닝 결합면의 반대면)에는 작동링크(310)의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샤프트(2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힌지샤프트(240)는 힌지(230)에 관통되어 삽입되고, 상기 힌지(230)는 작동판(20)에 고정되고 일체로 구성된다.In addition, a hinge shaft having one end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크랭크 수단(30)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crank mean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크랭크 수단(30)은 상기 작동판(20)이 바디(10) 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작동판(20)의 힌지샤프트(240)에 작동링크(310)로 연계되어 함께 동작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작동판(20)의 배면 중앙영역 상, 하부에 후술될 크랭크 축(330)의 일단부가 회동된다. The crank means 30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즉, 상기 크랭크 축(330)의 양단은 커넥팅 로드(320)가 키(322)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고, 커넥팅 로드(320)의 반대편에 돌출된 축 부에 작동링크(310)의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작동링크(310)의 타측은 고정판(130)의 링크통과구(134)를 통과한 상태에서 작동판(20)과 힌지(2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힌지샤프트(240)와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That is, both ends of the
그리고, 상기 크랭크 축(330)에는 후크(340)가 키(322)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며, 후크(340)의 측면에는 비틀림스프링 삽입홀(342)이 형성되고 누름핀(344)이 조립되어 있다. 후크(340)의 상부는 후술될 개방볼트(7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양분되어 절단된 형상의 반구형 홈(340a)을 형성되며, 상기 반구형 홈(340a)에는 죄임 시 개방너트(730)가 자리할 수 있도록 반구 형상의 자리파기홈(340b)이 형성되어 있다. 후크(340)의 하부는 원호형상의 활주 걸림홈(340c)이 형성되어 후술될 로크 수단(40)의 로크 핀(420)과 조합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크랭크 축(330)의 외주 면을 따라 비틀림스프링(350)이 설치되는데, 상기 비틀림스프링(350)의 양끝 중 일측은 후크(340)의 측면에 형성된 비틀림스프링 삽입홀(342)에 삽입되고, 타측은 바디(10)의 고정판(130)에 형성된 비틀림스프링 삽입홀(130a)에 삽입되도록 후크(340)를 기준으로 양분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크랭크 축(330)을 회전시키는 경우 비틀림스프링(350)은 비틀림 량에 따라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고 크랭크 축(330)을 역으로 회전시키려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여기서 크랭크 축(330)과 작동판(20)의 배치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크랭크 축(330)의 회전 중심선(A)과 작동판(20)의 이동 중심선(B)이 일치하지 않고 일정량의 간격(편위)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Here, the arrangement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로크 수단(40)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locking mean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로크 수단(40)은 상기 크랭크 수단(30)에 회동가능하게 축 결합되어 상기 크랭크 수단(30)의 회동에 따른 움직임을 상하운동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The lock means 40 is pivotally coupled to the crank means 30 to serve to transfer the movemen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rank means 30 in the vertical movement.
이러한 상기 로크 수단(40)은 양측의 로크 바디(410)에 삽입된 베어링(410a)을 따라 로크 핀(420)이 설치되며, 로크 바디(410)의 하부에 형성된 홀은 로크 힌지(430)와 힌지 핀(4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로크 힌지(430)의 관통된 구멍에는 베어링(430a)이 삽입되어 있다.The lock means 40 has a
또한, 상기 로크 바디(410)에는 후술될 솔레노이드 수단(60)과의 연동을 위해 커넥션(440)이 설치되며, 상기 커넥션(440)에는 조립 홀(440a)이 구비되어 커넥션 핀(44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커넥션(440)의 다른 한 측은 후술될 솔레노이드 수단(60)의 로드(614)와 로드 핀(61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칭 수단(50)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switching means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스위칭 수단(50)은 상기 크랭크 수단(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크랭크 수단(30)의 회동에 따라 온/오프가 전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바디(10)의 측면에 설치된 스위치 고정판(510)에는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520) 및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530)가 설치되고, 후술될 개방 수단(70)의 수동개방에 의해 후크(340)를 회전시킬 경우 후크(340) 측면에 설 치된 누름핀(344)에 의해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switching means 5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rank means 30 to serve to switch on / off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rank means 30, the switch provided on the side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 수단(60)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solenoid means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대기 상태의 솔레노이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 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in the standby state of the rope brake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솔레노이드 수단(60)은 상기 로크 수단(40)을 회동시킬 수 있도록 로크 수단(40)과 인접하게 바디(10) 하부에 설치된 바닥판(150)에 조립되어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위칭 수단(50)을 통해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항상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며, 엘리베이터의 비상제동 시에는 상기 로크 수단(40)을 동작시켜 로크 수단(40)과 연계된 크랭크 수단(30)에 의해 작동판(20)을 바디(10) 측으로 이동시켜 엘리베이터를 제동하도록 하고, 정전 시에는 상기 로크 수단(40)을 동작시키지 않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 4, the solenoid means 60 is assembled and fixed to the
이러한 상기 솔레노이드 수단(60)은 제1 솔레노이드 부(610)와 제2 솔레노이드 부(620)로 나뉘어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lenoid means 60 is preferably formed of a plurality of divided into the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부(610)는 제1 보빈코어(611)에 제1 코일(612)이 권선되어 있으며, 제1 보빈코어(611)의 외부는 코일케이스(613)에 조립되고 내부는 안내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안내 홀을 따라 비자성체인 로드(614)가 자성체인 제1 아마추어(615)와 일체로 조합되어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614)는, 하부 형상이 일정량의 두께를 가지고 있어 후술될 제2 솔레노이드 부(620)의 제2 아마추어(623)와 로드(614)와의 접촉 시 자성체인 제1 솔레노이드 부(610)의 제1 아마추어(615)과 제2 솔레노이드 부(620)의 제2 아마추어(623) 사이는 항상 일 정량의 간격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부(620)는 제2 보빈코어(621)에 제2 코일(622)이 권선되어 있으며, 제2 보빈코어(621)의 외부는 코일케이스(613)에 조립되고 내부는 제2 아마추어(623)의 안내 홀(미도시)과 제2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625)가 자리한다. 상기 제2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625)는 제2 아마추어(623)의 상하 이동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보빈코어(621)와 제2 코일(622) 사이에는 코일스프링(624)이 설치되어 제2 아마추어(623)를 가압하고 있다.The
한편, 도 5a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비상제동 시 솔레노이드 회로 구성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정전 시 솔레노이드 회로 구성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On the other hand, Figure 5a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olenoid circuit during the emergency braking of the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olenoid circuit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of the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기 솔레노이드 수단(60)을 회로적인 측면에서 설명하면,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2)와, 상기 전원부(602)의 교류 전원을 변압하여 직류 전원으로 발생하는 정류부(604)와, 상기 정류부(604)의 전압을 받아 솔레노이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컴(606)과, 상기 마이컴(606)의 신호를 받아 스위칭 작용을 하는 스위칭부(608)와, 상기 정류부(604)와 스위칭부(608) 사이에 연결된 시간지연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마이컴(606)의 출력신호를 일정시간 지연시킨 후 구동전원이 차단되는 제1 솔레노이드 부(610)와, 상기 정류부(604)에 직렬로 접속되어 구동되는 제2 솔레노이드 부(62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the solenoid means 60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ircuits. A
여기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부(610)와 제2 솔레노이드 부의 시정수(R×C)를 다르게 구성하여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부(610)는 저항(R1)에 커패시터(C1)를 병렬로 설치한 RC회로를 구성하여, 정전시에는 제1 솔레노이드 부(610)가 동작하기 이전에 제2 솔레노이드 부(620)가 이탈력 이상의 코일스프링(624)의 탄성력을 먼저 제1 솔레노이드 부(610)에 작용토록 구성된다.Here, the time constants (R × C)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솔레노이드 수단(60)은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2)로부터 마이컴(606)이 정류부(604)를 통해 직류를 받아 필요시 제1,2 솔레노이드 부(610,620)의 구동신호를 발생할 때, 스위칭부(608)에 의한 스위칭으로 제1,2 솔레노이드 부(610,620)가 구동하는 원리는 종래와 같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608)은 엘리베이터의 제어반(미도시)으로부터 제동장치의 구속지령을 검출하는 구속지령 스위치(S1)와, 제1 솔레노이드 부(610)의 개방완료를 검출하는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S2)(520)와, 제1 솔레노이드 부(610)의 개방완료를 마이컴(606)으로 송출하는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S3)(530) 및 제2 솔레노이드 부(620)의 개방완료를 마이컴(606)으로 송출하는 제2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S4)(625)를 포함한다.When the solenoid means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the direct current from th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비상제동 시에는 제1 솔레노이드 부(610)의 전원공급은 차단되고, 제2 솔레노이드 부(620)의 전원공급은 계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부(610)가 소자되어 상기 로크 수단(40)을 상방으로 밀고 있는 힘이 없어지므로 로크 수단(40)과 연계된 크랭크 수단(50)의 비틀림스프링(350)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340)가 회전되게 되고, 이에 의해 힌지 샤프트에 연계된 작동판(20)이 로프(1)를 가압하도록 동작되어 엘리베이 터가 비상제동상태가 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power supply of the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가 정전이 된 경우에는, 회로와 같이 제1 솔레노이드 부(610)는 저항(R1) 및 커패시터(C1)의 시정수 즉,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에너지가 방전될 때까지 동작이 지연된다. 이때 제2 솔레노이드 부(620)가 우선 소자 동작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제2 솔레노이드 부(620)는 제1 솔레노이드 부(610)이 동작하기 전에 이미 이탈력 이상의 코일스프링(624)력이 제1 솔레노이드 부(610)의 제1 아마추어에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시정수 기간 후부터는 제1 솔레노이드 부(610)의 자력이 완전히 상실된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when the elevator is out of power,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수동복귀를 위한 개방 수단(70)이 더 구비된다.Next, the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n opening means 70 for manual retur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ning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 수단(70)은 크랭크 수단(30)에 인접한 상기 바디(10)의 일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크랭크 수단(30)이 작동판(20)에 대해 제동해제방향으로 임의 회전하는 것을 록킹시키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 6, the opening means 70 is installed in an area of the
즉, 상기 개방 수단(70)은 바디(10)에 개방힌지(710)가 설치되고, 개방힌지(710)에 구성된 홀을 따라 개방볼트(720)가 개방볼트 핀(72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개방너트(730)는 개방볼트(720)에 체결되며 개방너트(730)의 형상은 전면이 반구형 돌출부(730a)로 구성되어 있다.That is, the opening means 70 has an
이와 같이 구성된 개방 수단(70)은 평상시에는 개방너트(730)를 완전히 체결 하여 개방힌지(710)에 고정한 상태이며, 이때 개방볼트(720)는 바디(10) 중심에 직각으로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크랭크 수단(30)의 동작 시에는, 후크(340) 상부에 형성된 양분되어 절단된 형상의 반구형 홈(340a)에 배치되어 간섭이 없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The opening means 7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normally fixed to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에 대한 작동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By this configuration, 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운행할 경우인 작동대기일 때는, 전술한 도 4를 참조하면, 작동판(20)이 고정판(130) 측으로 접근된 제동해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비틀림스프링(350)은 바디(10) 측의 비틀림스프링 삽입홀(130a)과 후크(340)의 측면 비틀림스프링 삽입홀(342) 사이에서 압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비틀림 각이 a˚인 상태가 되고 비틀림 각 a˚인 상태의 비틀림 모멘트에 해당하는 복원력을 가지고 있다. First, when the elevator is operating in normal operation, referring to FIG. 4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후크(340) 측면에 구성된 누름핀(344)은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520) 및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530)를 눌러 온(ON)인 상태이며 솔레노이드 수단(60)은 통전된 상태이다. 상기 후크(340)의 하부에 구성된 원호형상의 활주 걸림홈(340)에는 로크 핀(420)의 걸림부(422)가 접촉하고 있으며 두 접촉면은 서로 다른 경사각 차 d˚를 가지고 배치된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비틀림스프링(350)의 비틀림 모멘트에 의한 복원력으로 후크(340)는 크랭크 축(330)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고, 이 힘으로 인해 후크(340)의 하부에 구성된 원호형상의 활주 걸림홈(340)과 로크 핀(420)의 걸림부(422)는 접촉 경사각 차 d˚에 따라 이탈하려는 힘이 발생함으로써 로크 수단(40)는 힌지 핀(43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이 발생된다.Therefore,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회전하려는 힘 이상으로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유지되어야 하며, 이 힘은 제1 솔레노이드 부(610)의 자기력으로 만들어진다.In order to prevent this, a force must be maintain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beyond the force to rotate, and this force is generat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후크(340) 측면에 구성된 누름핀(344)이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520) 및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530)를 온(ON)한 상태가 되면 제1 솔레노이드 부(610)는 통전되고, 제1 아마추어(615)가 제1 보빈코어(611)로 이동함으로써 제1 아마추어(615)와 일체로 구성된 로드(614)가 상기 로크 수단(40)를 힌지 핀(432)를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이탈하려는 힘에 대응하는 힘을 로크 핀(420)에 발생시킨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때 제2 솔레노이드 부(620)는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520) 및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530)의 작동과는 무관하게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는 항상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제2 아마추어(623)가 항상 제2 보빈코어(621)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때 제2 아마추어(623)는 코일스프링(624)을 압축한 상태이고, 제2 보빈코어(621)와 슬라이딩되는 제2 아마추어(623)의 하부는 제2 보빈코어(621)의 내부에 구성된 제2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625)를 온(ON)한 상태가 된다.In this case, the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대기 시의 솔레노이드 수단(60)은 제1 솔레노이드 부(610)와 제2 솔레노이드 부(620)가 모두 통전된 상태이며 제1 아마추 어(615)와 제2 아마추어(623) 사이는 일정한 공극을 유지한 상태로 유지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the solenoid means 60 at the time of operation standby is in a state where both the
다음으로 도 7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작동대기 시의 솔레노이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작동대기 시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작동대기 시는 비틀림스프링(350)의 비틀림 각이 a˚인 상태로 크랭크 축(330)과 고정된 후크(340) 및 커넥팅 로드(320)의 위치가 결정되며, 이때 커넥팅 로드(320)와 선회 가능하게 조립된 작동링크(310)는 작동판(20)을 로프(1)에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후크(340)는 크랭크 축(33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크랭크 축(330)과 일체로 구성된 커넥팅 로드(320)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커넥팅 로드(320)와 연동되는 작동링크(310)를 회전시키게 되고, 작동링크(310)의 다른 한쪽에 선회가능하게 조립된 작동판(20)을 바깥쪽으로 밀게 됨으로써 로프(1)를 양측 브레이크 라이닝(132)(210)에서 멀어지게 한다. 상기 후크(340)의 회전에 따라 후크(340) 측면에 구성된 누름핀(344)도 동일하게 회전하여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520) 및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530)를 눌러줌으로써 솔레노이드 수단(60)은 작동 대기상태가 된다. 제1 솔레노이드 부(610)와 제2 솔레노이드 부(620)가 모두 통전된 상태로 상기 비틀림스프링(350)에 의한 복원력에 대응하는 힘을 로크 핀(420)에 발생시키고 있어 로프(1)가 양측 브레이크 라이닝(132)(210) 사이를 간섭없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가능하게 한다.Next,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when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rope brak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when looking at the moveme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the operation standby the
이 상태에서 엘리베이터 사용 중에 가버너(gaverner)에 의한 과속검출이나 엘리베이터 카의 층 위치 검출 장치의 이탈 신호에 따른 개문발차 등의 비상제동상태가 발생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제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In this state, if an emergency braking condition such as an overspeed detection by a governor or an opening departure according to a departure signal of the floor position detection device of an elevator car occurs, the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follows. do.
도 8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비상제동 시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비상제동 시의 솔레노이드 수단의 단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8 is a side view of the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emergency braking,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means at the time of emergency braking of the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먼저 통전의 상태에서 발생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이나 목적지층에서 정지하였다가 미끄러지는 등의 이상운행 상황이 검출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606)에 의해 제동장치 구속지령이 떨어지게 되고, 제1 솔레노이드 부(610)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고, 후크(340)의 작동에 따라 후크(340) 측면에 구성된 누름핀(344)이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520) 및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530)를 오프(OFF)시키게 되어 수동 개방에 의해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520) 및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530)를 동작시키기 전까지는 엘리베이터는 운행될 수 없다. First, when an abnormal driving situation such as falling of an elevator car generated in a state of energization or stopping at a destination floor and slipping is detected, the braking device restraint command is dropped by the
도 8을 참조하면, 제1 솔레노이드 부(610)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 보빈코어(611)과 제1 아마추어(615) 사이에 발생되고 있는 자력이 상실됨에 따라 상기 비틀림스프링(350)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340)가 로크 수단(40)를 이탈하려고 하는 힘에 대응하여 로크 핀(420)에 이탈 방지력을 발생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로크 수단(40)은 힌지 핀(43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후크(340)가 동작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 the power supplied to the
이때 상기 로크 수단(40)이 후크(340)에서 분리되면 비틀림스프링(350)의 비틀림 각은 b˚인 상태가 되며, 후크(340) 측면에 구성된 누름핀(344)은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520) 및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530)에서 분리되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520) 및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530)는 오프(OFF)인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에도 제2 솔레노이드 부(620)는 도 5a에서와 같이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At this time, when the lock means 40 is separated from the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비상제동 시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상기 후크(340)는 비틀림스프링(350)의 복원력에 의해 크랭크 축(33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크랭크 축(330)과 일체로 구성된 커넥팅 로드(320)가 동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커넥팅 로드(320)와 연동되는 작동링크(310)를 회전시키게 되고, 작동링크(310)의 다른 한쪽에 선회가능하게 조립된 작동판(20)을 당겨오게 됨으로써 브레이크 라이닝(132)(210) 사이를 운행하는 로프(1)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스위치의 오프(OFF) 신호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어 엘리베이터의 비상제동 상태임을 확인시킨다. 이때 후크(340)의 상부에 형성된 절단된 형상의 반구형 홈(340a) 사이로 개방 수단(70)의 개방볼트(720)는 간섭없이 배치된다. Next, as shown in Figure 9, looking at the movement during emergency braking of the elevator rope bra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의 이상운행에 따른 로프(1)의 제동상태에서 탑승자의 구출 및 엘리베이터의 고장수리 등의 안전조치가 완료되면, 제동장치의 작동에 따른 복귀를 위해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수단(70)의 개방너트(730)를 풀어 개방너트(730)의 전면에 형성된 반구형 돌출부(730a)가 후크(340)의 상부에 반구 형상으로 자리파기(340b) 되어 있는 부분에 결합하여 조임으로써 가능하다.Then, when safety measures such as rescue of the occupant in the braking state of the
한편, 엘리베이터에 정전상태가 발생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blackout condition occurs in the elevator, the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s follows.
도 10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정전 시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정전 시의 솔레노이드 수단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의 각 솔레노이드 정전 시 시정수 그래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Figure 10 is a side view of the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Figure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olenoid means at the time of power failure of the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levator rope bra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time constant graphs at each solenoid power outage.
정전이 발생하면 솔레노이드 수단(60)에 인가되던 모든 전원이 상실되고, 따라서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부(610)와 제2 솔레노이드 부(620) 모두 아마추어(615)(624)와 코어(611)(621)에 발생하던 자력이 소멸된다.If a power failure occurs, all power applied to the solenoid means 60 is lost, so that both the
여기서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솔레노이드 부(610)의 코일(52)에 콘덴서(C1)를 병렬로 설치한 RC회로를 구성하여 제1 솔레노이드 부(610)와 제2 솔레노이드 부(620)의 시정수(t=R×C)를 다르게 구성하였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부(610)와 제2 솔레노이드 부(620)의 시정수 차에 따른 코일스프링(624)의 작동시간 범위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정전 시의 경우에 제1 솔레노이드 부(610)는 콘덴서(C1)에 충전된 에너지가 방전될 때까지 동작이 지연되므로, 도 10에서와 같이, 제2 솔레노이드 부(620)는 제1 솔레노이드 부(610)가 동작하기 전에 이미 이탈력 이상의 코일스프링(624)력을 제1 솔레노이드 부(610)의 제1 아마추어(615)에 작용하게 된다. Here, as shown in FIGS. 5A and 5B, an RC circuit in which a capacitor C1 is provided in parallel to a coil 52 of the
상기 제2 아마추어(623)에 의한 코일스프링(624)의 압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솔레노이드 부(620)의 전원이 상실되어 코일스프링(624)의 복원력에 의해 제2 아마추어(623)가 제1 아마추어(615)를 밀고 있는 경우에도 상기 이탈하려는 힘 이상으로 설정되도록 코일스프링(624)의 초기 압축이 이루어진다.Compression of the
이후 제1 솔레노이드 부(610)의 자력이 완전히 상실되면 로크 수단(40)와 후크(340) 사이에는 이탈력이 발생하지만 이탈력 이상의 코일스프링(624)력이 제1 솔레노이드 부(610)의 제1 아마추어(615)에 이미 작용하고 있게 되어 로크 수단(40)의 이탈로 인한 제동장치의 작동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제2 솔레노이드 부(620)의 우선 동작에 따라 제2 아마추어(623)는 코일스프링(624)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제2 보빈코어(621) 내부에 장착된 제2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625)는 오프(OFF) 상태가 된다.Thereafter, when the magnetic force of the
따라서, 비상제동 시와는 달리 정전의 경우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520) 및 제1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530)는 온(ON)인 상태로 유지되며, 전원인가 시 곧바로 제1 솔레노이드 부(610)와 제2 솔레노이드 부(620) 모두 전원이 인가되어 자력이 발생하므로, 제1 솔레노이드 부(610)에는 다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제1 보빈코어(611)과 제1 아마추어(615) 사이에 자력이 발생되어 상기 비틀림스프링(350)에 의한 복원력으로 발생되는 로크 수단(40) 사이에서의 이탈력에 대응하는 힘을 로크 핀(420)에 전달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 4 및 도 7과 같이 초기 대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동시에 제2 보빈코어(621)의 내부에 장착된 제2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검출스위치(625)는 제2 아마추어(623)의 동작에 따라 온(ON)인 상태가 되며, 온(ON) 신호는 엘리베이터의 제어부(미도시)로 전달되어 엘리베이터의 운행이 가능함을 알려준다. 만약 제2 솔레노이드 개방완료 송출스위치(625)가 온(ON) 상태가 되지 않는 경우는 제2 코일(622)의 단선이나 제2 아마추어(623)의 슬라이딩부에 이물질 등으로 인한 작동불능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수동 제동장치의 작동 대기상태가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알리며,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운행을 중지시키는 검출 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Therefore, unlike in the case of emergency braking, in the case of a power failure, as shown in FIG. 5B, the first solenoid opening
이와 같은 동작 순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는 작동대기상태가 전원이 온(ON)인 상태로 제동장치를 유지하면서도 정전이 되어도 기구적으로는 동작하지 않는 록킹 수단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can constitute a locking means that does not operate mechanically even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while maintaining the braking device in a state where the operating standby state is ON. Will be.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s described abov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merely as illustrati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정전 시 복귀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고 극히 소수의 비상제동 발생에 따른 제동장치의 작동 시에만 그 호기에 한정하여 수동으로 복귀 작업을 수행하면 되므로 종래의 자동식 제동장치의 복귀를 위한 동력장치 구성을 없애면서도 자동복귀식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수동식 로프 제동장치의 공급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로프 제동장치의 제품원가를 획 기적으로 낮출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로 인해 로프 제동장치의 시장을 자동식에서 수동식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the return operation in case of power failure, and only the operation of the braking devic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braking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very few emergency braking operations may be performed manually. By elimin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ower unit for the return of the braking system, it is possible to supply a manual rope braking device having the same effect as the automatic return type, which can significantly lower the product cost of the rope braking device and, as a result, the rope braking devi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market from automatic to manual.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7339A KR100851566B1 (en) | 2006-09-11 | 2006-09-11 | The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7339A KR100851566B1 (en) | 2006-09-11 | 2006-09-11 | The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4380U Division KR200433517Y1 (en) | 2006-09-11 | 2006-09-11 | Rope Braking System for Elev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3436A KR20080023436A (en) | 2008-03-14 |
KR100851566B1 true KR100851566B1 (en) | 2008-08-18 |
Family
ID=39396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733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1566B1 (en) | 2006-09-11 | 2006-09-11 | The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156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3486698U (en) * | 2013-08-22 | 2014-03-19 | 常熟市琴茂机械有限公司 | Elevator steel wire rope holder |
CN104803254B (en) * | 2015-05-20 | 2017-03-15 | 南通中尧特雷卡电梯产品有限公司 | A kind of mechanical type elevator shock-absorbing device |
WO2017129850A1 (en) * | 2016-01-25 | 2017-08-03 | Kone Corporation | Tensioning arrangement for an elevator |
CN114368702B (en) * | 2022-01-11 | 2024-03-15 | 安徽舒马克电梯股份有限公司 | Box elevator arresting gea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9930U (en) * | 1997-08-26 | 1999-03-15 | 이종수 | Hoist brake for elevator |
KR20040039532A (en) * | 2002-11-02 | 2004-05-12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Brake for Elevator |
WO2005044709A1 (en) | 2003-10-07 | 2005-05-19 | Otis Elevator Company | Remotely resettable ropeless emergency stopping device for an elevator |
-
2006
- 2006-09-11 KR KR1020060087339A patent/KR10085156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09930U (en) * | 1997-08-26 | 1999-03-15 | 이종수 | Hoist brake for elevator |
KR20040039532A (en) * | 2002-11-02 | 2004-05-12 |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 Brake for Elevator |
WO2005044709A1 (en) | 2003-10-07 | 2005-05-19 | Otis Elevator Company | Remotely resettable ropeless emergency stopping device for an eleva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23436A (en) | 2008-03-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83829C2 (en) | Elevator comprising cabin and counterweight | |
US9169104B2 (en) | Activating a safety gear | |
AU2011344429B2 (en) | Arrangement for actuating and restoring an intercepting apparatus | |
KR100851566B1 (en) | The rope braking device for an elevator | |
RU2600424C2 (en) | Emergency brake with return into initial position | |
US11325810B2 (en) | Traction sheave safety device and elevator car emergency stop method thereof | |
GB2564782B (en) | A brake comprising a spring and hinged counterforce element | |
CN101311095B (en) | Velocity limiter for elevator device and conveyor devices comprising the velocity limiter | |
US20130313052A1 (en) | Stop Sequencing for Braking Device | |
CN108367892A (en) | Robustness electrical safety actuating module | |
CN102892698B (en) | Braking device of lifter, lifter and method for controlled stop of lifter | |
CN107207199A (en) | Deliverance apparatus and elevator | |
EP0708051A1 (en) | Safety brake for an elevator | |
CN109516331A (en) | Sure brake system for elevator | |
US5732796A (en) | Elevator car evacuation deterrent device | |
CN111032555B (en) | Elevator emergency brake with brake shoe | |
KR200433517Y1 (en) | Rope Braking System for Elevator | |
CN104692206B (en) | The maintenance overhaul arrester control device of elevator | |
KR102086246B1 (en) | Clutch System for Door of Elevator | |
US7316297B2 (en) | Elevator escape device | |
EP3216735A1 (en) | Pulsed opening of elevator brake enabling passenger evacuation | |
JPH11106154A (en) | Disc brake device for elevator | |
CN108726311B (en) | Elevator emergency self-rescue system and upright elevator | |
Eberle | Safety First-Reliable Brakes For Latest Elevator Designs | |
CN216272558U (en) | Electromagnetic device for elevator brake, elevator brake and elevato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8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