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0237B1 - Maglev train switch box - Google Patents
Maglev train switch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50237B1 KR100850237B1 KR1020070030220A KR20070030220A KR100850237B1 KR 100850237 B1 KR100850237 B1 KR 100850237B1 KR 1020070030220 A KR1020070030220 A KR 1020070030220A KR 20070030220 A KR20070030220 A KR 20070030220A KR 100850237 B1 KR100850237 B1 KR 1008502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ic levitation
- levitation train
- switch box
- control
- inju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339 levi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84 rea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4—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6—Means to sense or control vehicle position or attitude with respect to railwa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8—Sliding or levitation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5/00—Holding or levitation devices using magnetic attraction or repuls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전도 흡입식 자기부상열차의 부상제어를 담당하는 부상제어기를 조작하기 위한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각 차량에 구비하고, 서로 연결하여 각 차량의 자기부상열차에 구비된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가 각 차량의 부상제어기를 제어할 뿐만 아니라 선두 차량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가 전체 차량의 부상제어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witch box for the control of the injury controller of the phase-conduction suction type magnetic levitation train in each vehicl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connected to each other injuries provided in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of each vehicle The control switch box not only controls the lift controller of each vehicle, but also a switch box for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injury control switch, which allows the switch box of the lead vehicle to control the float controller of the entire vehicl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구비한 자기부상열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gnetic levitation train having a switch box for controlling the levitation train fl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차량 110 :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00: vehicle 110: switch box for floating control
112 : 스위치 114 : 회로 보드112: switch 114: circuit board
116 : 표시 장치 118 : 외부 접점116: display device 118: external contact
120 : 부상제어기 130 : 전자석120: flotation controller 130: electromagnet
140 : 센서부140: sensor unit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자기부상열차의 각 차량에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이용하여 각 차량의 부상을 제어하거나, 선두차량의 부상제 어용 스위치 박스를 이용하여 전체 차량의 부상을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box for floating control of a magnetic levitation train, and more specifically, to each vehicle of a magnetic levitation train, a floating control switch box is provided, and the floating control switch box is used to control the injuries of each vehicle or the head vehicle. It relates to controlling the injury of the entire vehicle using the switch box for the injury control.
종래 열차는 바퀴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바퀴와 철로의 마찰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는 바퀴방식이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 trains are used to transfer power to the wheel to the wheel method of moving forward or backwar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wheel and the railway.
그러나, 상기 바퀴방식의 열차는 바퀴와 철로의 마찰력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소음이 심하게 발생하고 고속으로 운행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wheel-type train has a lot of problems in that the noise is generated badly and run at high speed by moving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wheel and the railway.
상기와 같은 종래 열차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졌는데 그 결과 자기부상열차가 제시되었다.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rain as described above, a lo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been made as a result of the maglev train.
상기 자기부상열차는 궤도 위에 자기부상열차의 바닥부에 구비된 전자석으로 발생시킨 자기력으로 부상시켜 운행한다.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is driven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on the track.
이때, 상기 자기부상열차가 진행할 때는 상기 궤도와 상기 전자석이 상호 반발하여 자기부상열차가 궤도상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부상한 상태를 유지한 후, 전후로 진행한다.At this time, when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proceeds, the track and the electromagnet are repulsed to each other, and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is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track to maintain a floating state, and then proceeds back and forth.
따라서, 기존 열차에서 발생되었던 바퀴 마찰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이 원천적으로 발생되지 않아 미래의 대중운송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the energy loss due to the friction of the wheels generated in the existing trains can be minimized, and noise can be used as a source of public transportation in the future.
이때, 상기 자기부상열차는 궤도 위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때 상기 간격을 유지하는 장치는 부상제어기이며 상기 부상제어기는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전자석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간격을 유지한다.At this time,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must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on the track, the device for maintaining the interval is the injury controller and the injury controller is provided in the vehicl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to adjust the output of the electromagnet of the vehicle to the interval Keep it.
그러나 종래의 자기부상열차는 상기 부상제어기를 제어하는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가 차량에 구비되어 차량의 부상제어기를 제어할 수는 있었지만 상기 자기 부상열차가 다수개의 차량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체 차량의 부상제어기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는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agnetic levitation train, the injury control switch box for controlling the levitation controller is provided in the vehicle to control the levitation controller of the vehicle, but when the levitation train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vehicles, the entire vehicle is injured. There is no suggestion of a switch box for floating control to collectively control the controll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기부상열차의 각 차량에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부상제어용 박스를 이용하여 각 차량의 부상을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두차량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이용하여 전체 차량의 부상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선두차량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이용하여 전체 차량의 부상을 제어할 경우에는 선두차량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로만 전체 차량의 부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후부차의 부주의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the disadvantage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each vehicl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is provided with a switch box for the control of the injury, using the injury control box to control the injury of each vehic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injuries of the entire vehicle by using the switch box for controlling the injuries of the head vehicle.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box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injury control, which enables the control of the injuries of the entire vehicle only by the switch box so that malfunctions due to inadvertent rearing of the vehicle do not occu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에 표시 장치를 구비하여 자기부상열차의 부상제어의 진행 상태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고장 여부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자기부상열차의 상태를 손쉽게 알 수 있게 하는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on the switch box for the floating control to not only display the progress of the floating control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but also to indicate whether the levitation train for the driver to easily know the stat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 box for floating control.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자기부상열차의 부상을 제어하는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에 있어서,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는 운전자가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부상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회로 보드; 및 상기 회로 보드에 연결되며 상기 회로 보드에서 송신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는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각 차량에 구비되어 있고, 각 차량에 구비된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들은 각 차량의 부상을 제어하는 개별제어기능과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각 차량에 구비된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선두 차량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에서 모든 차량의 부상을 제어하는 일괄제어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 box for injury control to control the injuries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The injury control switch box is a switch for the driver to inpu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jury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A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switch; And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and display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ircuit board, wherein the floating control switch box is provided in each vehicl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and the floating control switch provided in each vehicle. The box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individual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injuries of each vehicle and the injury control switch boxes provided in each vehicl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so that all vehicles are injured in the injury control switch box of the first vehicl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It is achieved by a switch box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floating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llective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levitation.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chieved by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float control switch box,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of the float control switch box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communicate wirelessly with the outsid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상기 자기부상열차:가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의 회로 보드와 연결된 부상제어기; 상기 부상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부상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부상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자기부상열차가 궤도로부터 부상되도록 하는 전자석;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에 의해서도 달성된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a float controller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of the switch box for the float control; A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floating controller to detect a floating stat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And an electromagnet that is connected to the lift controller to cause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to float from the track.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Details of the above objects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and the effect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는 운전자가 자기부상열차의 부상을 제어하고,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부상제어의 진행 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The switch box for magnetic levitation train floating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allowing a driver to control the levitation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and display the progress state of the levitation control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이때,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는 크게 운전자가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부상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 내부에 구비된 회로 보드 및 상기 회로 보드에 연결되며 상기 회로 보드에서 송신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injury control switch box is a switch that allows the driver to input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injury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connected to the switch and the circuit board and the circuit board provided inside the injury control switch box And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and display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ircuit board.
그리고,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는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각 차량에 각각 구비되어 그 차량의 부상을 제어하는 개별제어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각 차량에 각각 구비된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부상제어 스위치 박스 바람직하게는 선두차량의 부상제어 스위치 박스에 의해 전체 차량의 부상제어기를 제어하여 전체 차량의 부상을 제어하는 일괄제어기능 역시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loating control switch box is provided in each vehicl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and has an individual control function for controlling the injury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injury control switch boxes provided in each vehicl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jury controller of the entire vehicle is controlled by one injury control switch box, preferably the injury control switch box of the first vehicle. It also has a batch control function to control the injury of the whole vehicle.
그리고,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들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외부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외부에서 무선으로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ny one or more of the floating control switch boxes ar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ly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so as to control the floating control switch boxes wirelessly from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자기부상열차는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의 회로 보드와 연결된 부상제어기, 상기 부상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부상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부 및 상기 부상제어기에 연결되어 상기 자기부상열차가 궤도로부터 부상되도록 하는 전자석을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부상제어기는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한 자기부상열차의 부상 상태 등의 정보와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의 제어를 입력받아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석의 출력을 변화시켜 부상하거나 착지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is a floating controller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of the floating control switch box, a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floating controller to detect the floating stat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and the floating controller connected to the floating controller. It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 to be lifted from the track, the floating controller receives the information of the injury stat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detected by the sensor unit and the control of the switch box for the control of the levitation and calculates, using the calculation result By changing the output of the electromagnet to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floating or land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구비한 자기부상열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이다. 이때, 도 1에서는 선두차량과 마지막 차량의 블록 구성도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그 사이에 여러 차량이 있을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agnetic levitation train having a switch box for controlling the levitation train floa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only the block diagrams of the first vehicle and the last vehicle are illustrated, but there may be several vehicles therebetwee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자기부상열차는 다수 개의 차량(100)이 연결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plurality of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차량(100)들에는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와 연결된 부상제어기(120), 상기 부상제어기(120)에 연결된 전자석(130) 및 상기 부상제어기(120)에 연결된 센서부(140)를 구비하고 있다.In the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는 운전자가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부상을 제어하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스위치(112), 상기 스위치(112)에 연결되며, 운전자가 입력한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회로 보드(114) 및 상기 회로 보드(114)에 연결되며 상기 회로 보드(114)에서 송신된 전기적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 장치(116)를 구비하고 있다.The injury
이때,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는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각 차량에 구비되어 있어 각 차량의 부상을 제어하는 개별제어기능을 가지고 있다.At this time, the floating
또한,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각 차량에 구비된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 바람직 하게는 선두차량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가 전체 차량의 부상을 제어하는 일괄제어기능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oating
이때, 각 차량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에는 리모트 컨트롤 또는 로컬 컨트롤을 설정할 수 있는 스위치와 회로를 구비하고 있어 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의 개별제어기능과 일괄제어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jury
예컨대,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각 차량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의 스위치(112)에서 로컬 컨트롤을 실행하는 스위치를 선택하여 실행하면 각 차량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에서 각 차량의 부상 제어를 실행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각 차량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의 스위치(112)에서 선두차량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에서는 리모트 컨트롤이 가능하도록 상기 스위치들을 선택하여 실행하게 되면 상기 선두차량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에서 모든 차량의 부상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switch for executing the local control is selected and executed in the
이때, 일괄제어기능으로 전체 차량의 부상제어를 하는 경우, 선두차량 이외의 스위치 박스(110)로는 차량의 부상제어를 할 수 없게 됨으로써 운전자 또는 승무원의 부주의로 인해 부상제어를 조작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At this time, in case of controlling the injuries of the entire vehicle by the collective control function, the injuries of the vehicle cannot be controlled by the
또한,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들은 외부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하는 외부 접점(118)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외부 접점(118)은 상기 회로 보드(114)에 연결되어 있어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회로 보드(114)에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In addition, the floating
이때, 상기 외부 접점(118)은 무선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 외부에서 무선 통신으로 상기 회로 보드(114)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자기부상열차는 외부 접점(118)을 통해 외부, 예컨대 선두차량 또는 지상에서 무선 통신으로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부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접점(118)과 자동운행시스템을 연결하게 되면 상기 자기부상열차는 자동운행 및 무인 운전도 가능해진다. At this time, the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는 자기부상열차에 구비된 부상제어기(120)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부상제어기(120)는 상기 자기부상열차를 부상시킬 수 있는 전자석(130) 및 상기 자기부상열차와 궤도 간의 공극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부(140)와 연결되어 있다.The floating
상기 부상제어기(120)는 상기 부상제어기(120)와 연결되어 있는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센서부(140)로부터 상기 자기부상열차와 궤도 간의 공극을 검출하여 송신한 신호를 받는다.The
그리고 상기 부상제어기(120)는 송신 받은 상기 신호들을 연산하고, 상기 연산을 바탕으로 상기 전자석(130)의 출력을 조절하여 상기 자기부상열차가 부상 또는 착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상기 자기부상열차와 궤도 간의 공극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예컨대, 상기 부상제어기(120)는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에 입력된 사용자의 부상 또는 착지 명령에 의해 DC 100V의 제어용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전자석(13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초퍼 장치(미도시)의 입력단에 K(Line Contactor) 및 CHK(Charging Contactor)의 동작 후 부상 혹은 착지 명령을 실행시켜 상기 자기부상열차의 부상 또는 착지 동작이 수행된다.For example, the
이때, 상기 부상제어기(120)는 K 동작 및 부상 또는 착지 명령을 조작하거나 부상 또는 착지 동작의 수행 여부와 제어기의 고장 유무를 상기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110)의 표시 장치(116)로 표시하게 한다. 상기 표시 장치(116)에 표시된 신호로 운전자는 부상 또는 착지 동작의 수행 여부 및 부상제어기(120)의 고장 여부를 알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의 각 차량에 스위치, 상기 스위치에 연결된 회로 보드 및 상기 회로 보드에 연결된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구비함으로써 각 차량의 부상을 제어하는 개별제어기능과 선두 차량의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에서 모든 차량의 부상을 제어하는 일괄제어기능을 가진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제공하고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ividual control function and a head for controlling the injury of each vehicle by providing a switch box for the injury control including a switch, a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switch, and a display device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in each vehicle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In the vehicle injury control switch box, there is provided a switch box for the floating control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having a collective control function to control the injuries of all vehicles.
또한,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의 부상 또는 착지 동작의 수행 여부 및 제어기의 고장 여부를 알 수 있게 하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운전자가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의 표시 장치를 통해 자기부상열차의 동작 수행 여부 및 고장 여부를 알 수 있게 해준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floating or landing operation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and the failure of the controller, so that the driver can perform the operation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the switch box for controlling the injury. And whether or not there is a failure.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는 개별제어기능 및 일괄제어기능을 구비하여 각 차량의 부상제어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선두차량에서 전체 차량의 부상제어를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injury control switch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dividual control function and a collective control function to individually control the injury control of each vehicle or to control the injury control of the entire vehicle collectively from the head vehicle. It is effective to provide a control switch box.
또한, 본 발명의 자기부상열차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여 자기부상열차의 동작 수행 여부 및 고장 여부를 운전자가 쉽게 알 수 있는 부상제어용 스위치 박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float control switch box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switch box for the levitation control that the driver can easily know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magnetic levitation train performs or not.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0220A KR100850237B1 (en) | 2007-03-28 | 2007-03-28 | Maglev train switch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30220A KR100850237B1 (en) | 2007-03-28 | 2007-03-28 | Maglev train switch box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50237B1 true KR100850237B1 (en) | 2008-08-04 |
Family
ID=3988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302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50237B1 (en) | 2007-03-28 | 2007-03-28 | Maglev train switch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5023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5769B1 (en) | 2008-05-19 | 2010-03-05 | 현대로템 주식회사 | Electric vehicle total control device with switch box function for magnet drive of magnetic levitation trai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5410A (en) * | 1992-09-17 | 1994-04-15 | Hitachi Kiden Kogyo Ltd | Magnetically levitated transfer device using linear induction motor |
US6359767B1 (en) | 1999-03-09 | 2002-03-19 | Ebara Corporation | Apparatus for controlling magnetic levitation system |
KR20060023813A (en) * | 2004-09-10 | 2006-03-15 | 한국기계연구원 | Maglev train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
KR20060097244A (en) * | 2005-03-04 | 2006-09-14 | 문원기 | Pantograph Lift Control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
-
2007
- 2007-03-28 KR KR1020070030220A patent/KR10085023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05410A (en) * | 1992-09-17 | 1994-04-15 | Hitachi Kiden Kogyo Ltd | Magnetically levitated transfer device using linear induction motor |
US6359767B1 (en) | 1999-03-09 | 2002-03-19 | Ebara Corporation | Apparatus for controlling magnetic levitation system |
KR20060023813A (en) * | 2004-09-10 | 2006-03-15 | 한국기계연구원 | Maglev train wireless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
KR20060097244A (en) * | 2005-03-04 | 2006-09-14 | 문원기 | Pantograph Lift Control System for Electric Vehicl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5769B1 (en) | 2008-05-19 | 2010-03-05 | 현대로템 주식회사 | Electric vehicle total control device with switch box function for magnet drive of magnetic levitation trai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407853B (en) | Operating tab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table | |
KR101208268B1 (en) | Virtual omnimover | |
US9796399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land transport vehicle, land transport vehicle, ground equipment and transport system | |
ZA200502980B (en) | Automatic neutral section control system | |
CN108349400B (en) | Method for controlling charging of a vehicle | |
CN110509774B (en) | Pantograph control circuit and train | |
JP2009537114A5 (en) | ||
WO2011076433A2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electric energy to a vehicle | |
EP1912327A3 (en) | Control system for a generator | |
RU2008136897A (en) | DISTRIBUTED TRAIN INTELLECTUAL SYSTEM AND METHOD | |
NZ599317A (en) | Traction systems for electrically powered vehicles | |
BR112017025801B1 (en) | ASSEMBLY CONSISTING OF AN ELECTRIC VEHICLE) AND A RECHARGING SYSTEM, STATIONARY DRIVING TYPE RECHARGING SYSTEM, POWER SUPPLY INSTALLATION, RAIL VEHICLE AND METHOD FOR USING AN ASSEMBLY | |
CN103648826A (en) | Trai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train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 |
CN104326047B (en) | A kind of singly balanced block electric unicycle | |
CN102910079A (en) | Subway train pantograph control method based on train network system | |
KR100850237B1 (en) | Maglev train switch box | |
CA3030790A1 (en) | Improvements to aircraft taxiing | |
CN104085812A (en) | Comprehensive electronic control system of mineral rope traction transportation devices | |
AU2012223512A1 (en) |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upply voltage polarity on a vehicle | |
CN112124087B (en) | Distribute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bidirectional running vehicle | |
CN107112775B (en) | Charging device for inductively transferring electrical energy and method for operating a charging device | |
CN104843453B (en) | Remote control type electric single-rail transport device | |
CN207809442U (en) | A kind of Electric hand cart | |
US20090301834A1 (en) | Electric Vehicle and Associated Transport System | |
KR101229941B1 (en) | Unmanned charging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