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9760B1 - 신호 전송 장치 및 신호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전송 장치 및 신호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760B1
KR100849760B1 KR1020060127008A KR20060127008A KR100849760B1 KR 100849760 B1 KR100849760 B1 KR 100849760B1 KR 1020060127008 A KR1020060127008 A KR 1020060127008A KR 20060127008 A KR20060127008 A KR 20060127008A KR 100849760 B1 KR100849760 B1 KR 100849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tor
signal
crest factor
crest
adjus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4672A (ko
Inventor
강형창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7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760B1/ko
Publication of KR20080054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76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1/0475Circuits with means for limiting noise, interference o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2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for providing a predistortion of the signal in the transmitter and corresponding correction in the receiver, e.g. for improving the signal/noise rat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3Shaping networks in transmitter or receiver, e.g. adaptive shaping networks
    • H04L25/03006Arrangements for removing intersymbol interference
    • H04L25/03178Arrangements involving sequence estimation techniq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는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crest factor)이 산출된다. 상기 산출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가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파고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이 조정된다.
전력 증폭기, 백오프, 파고율

Description

신호 전송 장치 및 신호 전송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전송단의 예시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를 설정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를 설정하는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논리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본 출원은 이동 통신 시스템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RF: 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련되어 있다.
최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변조 방식,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는 사용자별 데이터에 따라 또는 반송파(캐리어)에 실리는 데이터에 따라 결합 신호의 전력이 크게 달라진다. 즉, 평균 전력 대 최대 전력 비(PAR: Peak-to Average Ratio) 또는 파고율(CF: crest factor)이 상당히 높으며, 나아가 시스템 통합화 추세에 따라 이들 상이한 변조 방식의 신호를 결합하여 멀티 표준(Multi-Standard)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PAR의 변동 차는 더욱 커진다.
이동 통신 기지국은 단말기로 전송할 음성 및 데이터를 가지는 무선 신호를 송출하기 위하여 RF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를 사용한다. RF 전력 증폭기는 기지국 셀 영역의 모든 단말기에 전송하기에 충분한 RF 전력을 출력하여야 하는 한편, 전력 증폭기의 출력 신호의 인접 채널 전력(ACP: Adjacent Channel Power) 간섭은 요구되는 수준 이하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충분한 RF 전력을 얻기 위해 전력 증폭기의 입력 신호를 높일 경우 전력 증폭기의 선형 증폭을 넘어서 비선형 증폭이 일어날 수 있다. 신호가 비선형 증폭되는 경우, 신호 주파수 대역 외 왜곡성분이 발생하여 인접 채널 전력 간섭이 야기된다. 따라서, 충분한 전력 출력을 발생하면서도 간섭을 방지하려면, 전력 증폭기의 선형 동작 영역이 커야 한다. 이러한 전력 증폭기는 고가이고, 높은 입력 전력을 사용하여 전력 효율성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전력 소모, 전체적인 전송 시스템의 부피 및 가격을 증가시킨다. 또한, 통상적으로 이동 통신 기지국은 복수 개의 주파수 할당(FA: Frequency Allocation)을 통해 동시에 복수의 FA 신호를 전 송하므로 각 FA에 이와 같은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는 경우 가격 부담은 더욱 증가한다.
전력 증폭기에 요구되는 선형 영역, 즉 백오프율(back-off factor)을 줄이기 위하여 소정의 파고율 조정 인자에 따라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을 조정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이 방식은 이전의 기지국 테스트에서 결정된 값을 고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이어서 실제 필드(field)에서 신호가 겪는 다양한 환경에 부합하지 못한다. 예컨대, 각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coverage)는 기지국의 위치, 즉 도심지인가 또는 외곽 지역인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전력의 적정 범위도 달라지며, 그 중에서도 디지털 전력이 큰 것이 바람직한 경우와 RF 전력이 큰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달라질 수 있다. 즉 디지털 전력이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약간의 RF 손실(spurious)을 감수하더라도 처리 효율(throughput)을 우선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에는 RF 전력만을 고려하여 다양한 환경에 따라 적응적인 운용을 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환경에서 효율적인 전력 운용과 함께 처리 효율(throughput)을 증진시키는, 이동 통신 기지국에서의 신호 전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신호 전송 장치는 파고율 산출부, 제어 유닛 및 파고율 조정부를 포함한다. 파고율 산출부는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crest factor)을 산출한다. 제어 유닛은 상기 산출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를 설정한다. 파고율 조정부는 상기 설정된 파고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을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설정된 파고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감쇄율(attenuation factor) 조정 인자를 설정하고, 상기 신호 전송 장치는, 상기 파고율이 조정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RF: 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감쇄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감쇄시키기 위한 감쇄율 조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신호 전송 방법은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파고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전송단의 예시적인 구성도이다. 전송단(100)은 디지털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신호 생성부(120) 및 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전송 규격에 따라 변환하여 안테나(140)를 통해 전송하는 신호 전송 장치(140)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생성부(120)는 전송될 데이터를 소정의 규격에 따라 디지털 신호로 생성한다. 디지털 신호는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신호, CDMA 1X (CDMA 시스템에서 음성 통신 이외에 고속 패킷 데이터 통신 또는 다양한 멀티미 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채널을 구비하여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유동적으로 채널을 할당할 수 있는 시스템) 신호, EV-DO(EVolution Data Only) 신호, W-CDMA(Wideband CDMA) 신호 또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신호 등을 포함한다.
신호 전송 장치(140)는 디지털 신호 생성부(120)에 연결되어 디지털 신호 생성부(120)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 전송 장치(140)는 수신된 디지털 신호에서 파고율(crest factor)을 산출하고, 산출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수신된 디지털 신호를 조정한 후, 안테나(160)를 통해 전송될 수 있는 무선 신호 형태로 변환한다. 파고율이란 디지털 신호의 전력 평균값에 대한 최고 전력값의 비율(peak to average power ratio: PAR)을 의미한다. CDMA, EV-DO, W-CDMA, 또는 OFDM 신호는 전송되는 정보에 따라 파고율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OFDM 신호에서 보통의 경우 각 반송파(캐리어)에 대한 위상이 무작위로 분포되므로 평균 전력이 낮지만, 모든 반송파가 동위상이 되는 경우 전력이 높아진다. 즉, 반송파의 갯수가 16인 OFDM 신호에서 최대 전력은 평균 전력의 16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신호 전송 장치(140)는 산출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안테나(160)를 통해 출력되는 전송 신호의 전력이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전력 및 변환된 무선 신호의 전력을 조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전송 장치(200)는 파고율 산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파고율 산출부(220)는 디지털 신호 생성부(120)(도 1)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 즉 전력 평균값에 대한 최고 전력값의 비율을 산출한다. 파고율은, CDMA 1X 신호인 경우, 0.01%에서 RC-3를 기준으로 통상 9.5dB, EV-DO 신호인 경우, 통상 10.5dB의 값을 갖는다.
신호 전송 장치(200)는 파고율 산출부(220)에 연결되는 제어 유닛(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40)은 파고율 산출부(220)로부터 파고율을 수신하고, 수신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를 설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를 설정하는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캐리어 신호가 311이고, 제2 캐리어 신호가 312일 때, 결합 신호는 313이다. 파고율인, 최대 전력(313)의 평균 전력(310)에 대한 비율이 높으므로, 일 실시예에서 파고율 조정 인자(320)는 높게 설정된다. 설정된 파고율 조정 인자(320)에 따라 제1 캐리어 보상(321) 및 제2 캐리어 보상(322)이 이루어지고 파고율 조정된 신호(323)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수신 신호의 파고율이 높은 경우, 신호의 왜곡도를 고려하여 에러 벡터 크기(EVM: Error Vector Magnitude)나 코드 도메인(code domain) 특성의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파고율 조정 인자(320)가 높게 설정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를 설정하는 다른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캐리어 신호가 411이고, 제2 캐리어 신호가 412일 때, 결합 신호는 413이다. 파고율인 최대 전력(413)의 전력의 평균 전력(410)에 대한 비율이 낮으므로, 일 실시예에서 파고율 조정 인자(420)는 평균 전력(410)과 같도록 설정된다. 설정된 파고율 조정 인자(420)에 따라 제1 캐리어 보상(421) 및 제2 캐리어 보상(422)이 이루어지고 파고율 조정된 신호(423)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수신 신호의 파고율이 낮은 경우, 최대 전송 전력을 고려하여 디지털 전력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파고율 조정 인자(420)가 설정된다.
도 3 내지 도 4에 예시된 파고율 조정 인자의 설정 방식은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어 유닛(240)은 또한 설정된 파고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최종 전송 신호의 전력이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감쇄율 조정 인자를 설정할 수 있다. 파고율 조정 인자가 전송 신호의 디지털 전력을 조정하는 값이라면, 감쇄율 조정 인자는 전송 신호의 무선 전력을 조정하는 값에 해당된다. 예컨대, 파고율 조정 인자가 높게 설정된 경우 감쇄율 조정 인자는 낮게 설정되고, 파고율 조정 인자가 낮게 설정된 경우 감쇄율 조정 인자는 높게 설정되어 최종 전송 신호의 전력을 소정의 범위 내로 유지할 수 있다. 제어 유닛(240)은 전술한 연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프로세서, 또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신호의 전력 상황에 따라 파고율과 감쇄율, 즉 디지털 전력과 무선 전력을 적응적으로 조정한다. 따라서, 경우에 따라 디지털 전력의 조정폭을 줄이는 대신, 무선 전력을 크게 감쇄시켜 일방적으로 사용자의 트래픽 데이터가 희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된 파고율을 사용하여 전력 증폭기의 백오 프율을 줄이는 종래 방식과 달리 디지털 전력과 무선 전력을 적응적으로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 부합하도록 전력이 조정되어 보다 효율적인 전력 운용과 함께 처리 효율(throughput)이 증진된다.
신호 전송 장치(200)는 파고율 산출부(220) 및 제어 유닛(240)에 연결되는 파고율 조정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고율 조정부(260)는 파고율 산출부(220)로부터 전달된 디지털 신호에 대해 제어 유닛(240)으로부터 수신된 파고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파고율을 조정한다. 일 실시예에서, 파고율 조정부(260)는 클리핑(clipping)을 이용하여 파고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고율 조정부(260)는 파고율 산출부(220)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신호, 예컨대 칩 속도 1의 CDMA 1X 신호, 또는 EV-DO 신호를 펄스 성형 필터링(pulse shape filtering), 2X 보간(interpolating), 디지털 업 컨버팅(DUC: Digital Up Converting) 및 결합(combining)을 수행하면서 파고율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고율 조정부(260)는 펄스 성형 필터링 이전에 클리핑을 수행하는 프리 클리핑(pre clipping) 방식으로 파고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고율 조정부(260)는 펄스 성형 필터링 이후에 클리핑을 수행하는 포스트 클리핑(post clipping) 방식으로 파고율을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파고율 조정부(260)는 파고율 산출부(220)와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신호 전송 장치(200)는 파고율 조정부(260) 및 제어 유닛(240)에 연결되는 감쇄율 조정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쇄율 조정부(280)는 파고율 조정부(260)로부터 수신된, 조정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RF) 신호로 변환하고, 제어 유 닛(240)으로부터 수신된 감쇄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변환된 무선 신호를 감쇄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감쇄율 조정부(260)는 디지털 투 아날로그 컨버터(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RF 필터 및 RF 감쇄기(atten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전송 장치(200)는 감쇄율 조정부(280)에 연결되는 전력 증폭기(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290)는 감쇄율 조정부(280)로부터 감쇄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선정된 레벨로 이 무선 신호를 증폭시키고 안테나(160)(도 1)를 통해 송출될 최종 전송 신호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된 신호 전송 장치(200)는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이로써 제한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통합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송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 예컨대 파고율 조정부(260)와 감쇄율 조정부(280) 사이에 디지털 신호를 사전 왜곡하는 수단(digital pre-distortion) 내지 데이터 정렬 수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전송 장치(200)에서 각 구성요소들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 신호의 전력 분포에 따라 그 디지털 전력과 RF 전력을 적응적으로 조정한다. 예컨대, 입력 신호의 파고율이 높은 경우, EVM 열화를 고려하여 디지털 전력을 조정하는 파고율 조정 인자를 높이고, 이에 따라 RF 전력을 조정하는 감쇄율 조정 인자는 낮출 수 있다. 또한, 최종 RF 출력이 전력 증폭기(290)의 최대 출력에 비해 현저히 여유가 있는 경우, 즉 입 력 신호의 파고율이 작은 경우, 일방적으로 파고율 조정 인자를 낮게 설정하여 처리 효율(throughput)을 제한하는 대신, 최대 전송 출력을 고려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 및 감쇄율 조정 인자를 설정함으로써 전력 운용 및 처리 효율 양자에서 효율적인 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전송 방법의 논리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계(510)에서,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 즉 평균 전력에 대한 최대 전력의 비율을 산출한다. 다음, 산출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를 설정한다(단계 520).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의 파고율이 높은 경우, EVM 열화 방지를 고려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를 높게 설정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의 파고율이 낮은 경우, 처리 효율 및 최대 전송 전력을 고려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 설정된 파고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을 조정한다(단계 5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신호 전송 방법(500)은 설정된 파고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감쇄율 조정 인자를 설정하는 단계(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40)(도 2)과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 같이, 수신된 신호의 파고율이 높아 파고율 조정 인자가 높게 설정된 경우, 감쇄율 조정 인자를 낮추어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전력이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신호의 파고율이 낮은 경우, 최대 전송 신호 전력 범위 이내에서 처리 효율이 제한되지 않도록 파고율 조정 인자 및 감쇄율 조정 인자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전송 방법(500)은 파고율이 조정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이 무선 신호를 설정된 감쇄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감쇄시키는 단계(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전송 방법(500)은 단계(550)에서 감쇄된 무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전송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560)에서 형성된 전송 신호는 안테나(160)(도 1)를 통해 송출될 최종적인 전송 신호이다.
이와 같이 파고율 내지 감쇄율을 수신 신호의 전력 분포에 따라 조정함으로써 최종 전송 신호의 전력이 소정의 범위 내로 유지되어 효율적인 전력 운용과 함꼐 처리 효율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그 다양한 기능적 구성요소들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시스템, 서브시스템,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서브 구성요소들로 활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요소들은 필요한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와 같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또는 반송파(carrier wave)로 구체화되는 컴퓨터 데이터 신호 또는 반송파에 의해 변조된 신호에 의해 전송 매체 또는 통신 링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 또는 프로세서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예컨대, 프로세서, 컴퓨터 등)에 의해 판독되고 실행가능한 형태로 정보를 저장 또는 전송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은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되고 도시되었으나, 당해 분야에 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호 전송시 입력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에 따라 디지털 신호의 전력과 무선 신호의 전력을 적응적으로 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전력 운용과 함께 처리 효율(throughput)을 증진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신호 전송 장치로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crest factor)을 산출하기 위한 파고율 산출부,
    상기 산출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유닛, 및
    상기 설정된 파고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을 조정하기 위한 파고율 조정부
    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산출된 파고율이 클 경우 상기 파고율 조정 인자를 높이고, 상기 파고율이 작을 경우 최대 전송 신호 출력을 고려하여 상기 파고율 조정 인자를 조정하는, 신호 전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설정된 파고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감쇄율(attenuation factor) 조정 인자를 설정하고, 상기 신호 전송 장치는,
    상기 파고율이 조정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RF: 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감쇄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감쇄시키기 위한 감 쇄율 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파고율이 클 경우 상기 파고율 조정 인자를 높이고 상기 감쇄율 조정 인자를 낮추며, 상기 파고율이 작을 경우 최대 전송 신호 출력을 고려하여 상기 파고율 조정 인자 및 상기 감쇄율 조정 인자를 조정하는, 신호 전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고율이 조정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감쇄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감쇄시키기 위한 감쇄율 조정부, 및
    상기 감쇄된 무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전송 신호를 형성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송 신호의 전력이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파고율 조정 인자 및 감쇄율 조정 인자를 설정하는, 신호 전송 장치.
  6. 신호 전송 방법으로서,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파고율에 기초하여 파고율 조정 인자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파고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의 파고 율을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고율 조정 인자는 상기 파고율이 클 경우 높아지고, 상기 파고율이 작을 경우 최대 전송 신호 출력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고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감쇄율 조정 인자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파고율이 조정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상기 감쇄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감쇄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호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고율 조정 인자는 상기 파고율이 클 경우 높아지고, 상기 파고율이 작을 경우 최대 전송 신호 출력을 고려하여 설정되고,
    상기 감쇄율 조정 인자는 상기 파고율 조정 인자가 클 경우 낮아지고 상기 파고율 조정 인자가 낮을 경우 높아지도록 설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고율이 조정된 디지털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무선 신호를 감쇄율 조정 인자에 기초하여 감쇄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감쇄된 무선 신호의 전력을 증폭하여 전송 신호를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고율 조정 인자 및 감쇄율 조정 인자는 상기 전송 신호의 전력이 소정의 범위가 되도록 설정되는, 신호 전송 방법.
KR1020060127008A 2006-12-13 2006-12-13 신호 전송 장치 및 신호 전송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49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008A KR100849760B1 (ko) 2006-12-13 2006-12-13 신호 전송 장치 및 신호 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008A KR100849760B1 (ko) 2006-12-13 2006-12-13 신호 전송 장치 및 신호 전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672A KR20080054672A (ko) 2008-06-19
KR100849760B1 true KR100849760B1 (ko) 2008-07-31

Family

ID=39801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0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9760B1 (ko) 2006-12-13 2006-12-13 신호 전송 장치 및 신호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7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572A (ko) 2001-06-14 2002-12-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파고율 감소장치
KR20040106545A (ko) 2002-05-14 2004-12-1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KR100700102B1 (ko) * 2005-12-27 2007-03-28 엘지노텔 주식회사 디지털 트랜시버의 일정한 par 유지방법
KR20070065984A (ko) 2005-12-21 2007-06-27 엘지노텔 주식회사 입력신호의 전력변화에 따른 적응성 cfr 장치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572A (ko) 2001-06-14 2002-12-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파고율 감소장치
KR20040106545A (ko) 2002-05-14 2004-12-1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전송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
KR20070065984A (ko) 2005-12-21 2007-06-27 엘지노텔 주식회사 입력신호의 전력변화에 따른 적응성 cfr 장치 및 그방법
KR100700102B1 (ko) * 2005-12-27 2007-03-28 엘지노텔 주식회사 디지털 트랜시버의 일정한 par 유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672A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24246B2 (ja) Rf電力増幅器用の動的バイアス
US8437697B2 (en) Processing of multi-carrier signals before power amplifier amplification
US20140169496A1 (en) Crest Factor Reduction for Multi-Band System
US83402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rest factor reduction architecture
JP2005012750A (ja) 拡張された範囲のディジタル・アナログ変換
CN101702698B (zh) 发送机
JP5755145B2 (ja) 合成信号から得られるピーク低減歪を使用した2以上の信号に関連するパワーレベルの低減
KR20020048990A (ko) 멀티캐리어 전송 장치, 기지국 장치, 통신 단말 장치 및멀티캐리어 전송 방법
US20160227549A1 (en) Radio device that has function to reduce peak power of multiplexed signal
US10778153B2 (en) Crest factor reduction in power amplifier circuits
US8031803B2 (en) Transmitter capable of suppressing peak of transmission signal
US9148096B2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put signal of a power amplifier
US20160373143A1 (en)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KR100849760B1 (ko) 신호 전송 장치 및 신호 전송 방법
US20140187183A1 (en) Transmission signal power control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3322307B2 (ja) 送信機
JP2004186900A (ja) 電力制限器
US2024017144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20250062729A1 (en) Efficiency improvement in a wireless transmission circuit
CN111435929B (zh) 基于rapp曲线压缩的削峰处理方法及装置、ofdm发射机
KR20110001464A (ko) 신호들의 합성을 위한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0109630A (ja) 送信装置および信号送信方法
CN117559918A (zh) 一种电压校正方法、设备和存储介质
WO2014141335A1 (ja) 通信装置及びそのピーク抑圧方法
JP2003258654A (ja) 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607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072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