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9684B1 - A mobi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 Google Patents

A mobi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684B1
KR100849684B1 KR1020070024702A KR20070024702A KR100849684B1 KR 100849684 B1 KR100849684 B1 KR 100849684B1 KR 1020070024702 A KR1020070024702 A KR 1020070024702A KR 20070024702 A KR20070024702 A KR 20070024702A KR 100849684 B1 KR100849684 B1 KR 100849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crown
item
focus
item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4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유미
이혜원
임경애
임덕신
전희경
권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6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684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두키(crown key)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의 각종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며 변경 가능한 복수의 항목을 갖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케이스의 일면에 이웃하는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용두키와,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으며 용두키의 회전량에 따라 항목을 변경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의 일측면에 설치된 용두키를 조작하여 필요한 기능을 쉽게 수행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thereof, and to conveniently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having a plurality of items which can be changed on one side of the case, a crown key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case, and embedded in the cas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item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crown key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the necessary functions by operating the crown ke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Description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Mobile terminal comprising crown key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thereof}Mobile terminal comprising crown key and method for executing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로서, 본체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being closed.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본체가 오픈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a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1.

도 3은 도 1의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of FIG. 1.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정보의 형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4A and 4B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the form of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FIG. 1.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기능 수행 방법에 따른 개념적인 화면 예시도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ual screen according to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FIG. 5.

도 7 내지 도 22는 도 5의 기능 수행 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화면 예시도들이다.7 to 22 illustrate exemplary screens according to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FIG. 5.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두키(crown key)의 조작을 통하여 기능을 수행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method for performing the function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for performing a function by operating a crown key and a method for performing the function.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과 휴대 단말기의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다양한 기능이 가능하고 휴대가 용이한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가 소개되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의 소형화의 요구에 따라 시계 형태의 휴대 단말기도 소개되고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anufacturing technology of portable terminals,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capable of various functions and easy portability have been introduced.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demand for miniaturization of portable terminals, portable terminals in the form of watches have been introduced.

그런데 소화된 휴대 단말기는 각종 키와 표시부의 크기가 작을 수 밖에 없다. 특히 휴대 단말기의 일면에, 통상적인 휴대 단말기와 같이, 3×4 배열의 키패드와 4방향 검색키를 함께 배치할 경우, 키의 크기는 더욱 작아진다. 이로 인해 작은 키를 조작하여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기가 불편하다. 그리고 표시부의 크기 또한 작기 때문에,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항목을 사용자가 쉽게 식별하기가 쉽지 않다.By the way, the extinguished portable terminal has a small size of various keys and a display unit. In particular, when on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arranged together with a 3x4 array of keypads and a four-way search key, as in a typical portable terminal, the size of the key becomes smaller. As a result, it is inconvenient to operate a small key to perform a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is small, it is not easy for the user to easily identify an item that the user wants to select from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 소형된 휴대 단말기는 새로운 형태의 입력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For this reason, the need for a new type of input device is increasing.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기능 조작이 쉬운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that is easy to operate,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표시부에 표시된 정보 중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항목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 user to easily identify an item to be selected from among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의 측면에 용두키를 설치하고, 용두키의 회전량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 및 그의 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body, and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crown key,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며, 변경 가능한 복수의 항목을 갖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이웃하는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용두키와,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용두키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항목을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a display unit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displaying information having a plurality of changeable items, a crown key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adjacent to one surface of the case; It is built in the case,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for changing the item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crown key to display on the display unit.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본체는 변경 가능한 복수의 항목을 갖는 정보를 양면에 표시하는 제 1 및 제 2 표시부를 갖는다. 상기 제 2 본체는 상기 제 1 본체의 일측과 연결된다. 특히 상기 제 2 본체는 상기 제 1 표시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본체의 일면에 설치된 키패드와,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두키와, 상기 제 2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을 포커스로 포커싱하여 표시하고, 상기 용두키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포커스를 현재 포커싱한 상기 특정 항목에서 다른 항목으로 이동시켜 재포커싱하는 제어부를 갖는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The first main body has first and second display portio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having a plurality of changeable items on both sides. The second body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In particular, the second main body includes a keypad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facing the first display unit, a crown key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embedded in the second main body. And a control unit for focusing and displaying a specific item among the items, and moving and refocusing the focus from the specific item currently focused to another item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crown key.

한편 본 발명은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실행 방법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수행 방법은, 변경 가능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을 포커스로 포커싱하는 과정과, 상기 용두키에 회전이 발생되면, 상기 회전에 따른 회전량을 산출하는 과정과, 상기 산출된 회전량에 따라 상기 포커싱한 특정 항목에서 다른 항목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재포커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executing 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That is, the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inform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changeable items, focusing a specific item among the items with focus, and if rotation occurs in the crown key, And a step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rotation and refocusing by moving the focus from the focused specific item to another item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mount of rotation.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회전량은 상기 용두키의 회전 방향과 회전각을 포함한다.In the method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rotation includes a rotation direction and a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항목들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포커싱된 항목은 다른 항목보다 크거나 밝게 표시된다. 이때 상기 항목들은 상기 포커싱된 항목을 중심으로 양쪽에 표시된다.In the method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tems are arranged and displayed in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The focused item is displayed larger or brighter than another item. In this case, the items are displayed on both sides of the focused item.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재포커싱 과정은 상기 용두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항목들을 상기 포커스로 이동시키고, 상기 용두키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항목을 상기 포커스로 이동시킨다.In the method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ocusing process moves the items to the focu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rown key, and moves the item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to the focus. .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포커싱 과정은 상기 용두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포커스를 상기 항목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포커스를 상기 용두키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항목으로 이동시킨다.In the method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ocusing process moves the focu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tem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rown key, and moves the focu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Move to the above item.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휴대 단말기Handheld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두키(34)를 갖는 휴대 단말기(100)로서, 본체(10)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체(10)가 오픈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losed state of a main body 10 as a portable terminal 100 having a crown key 34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pen state of the main body 10 of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시계형의 휴대 단말기로서, 본체(10)와 밴드(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폴더 타입(folder type)으로 제 1 본체(20)와, 제 1 본체(20)에 힌지(40)로 연결된 제 2 본체(30)를 갖는다. 그리고 밴드(90)는 본체(10)를 손목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 2 본체(30)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연결되어 있다.1 and 2,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ch-type portable terminal, which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band 90. The main body 10 has a first main body 20 and a second main body 30 connected to the first main body 20 by a hinge 40 in a folder type. The band 90 is connected to opposite sides of the second main body 30 so that the main body 10 can be worn on the wrist.

제 1 본체(20)는 제 1 케이스(11)와, 제 1 케이스(11)의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표시부(21)를 포함한다.The first body 20 includes a first case 11 and a display portion 21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case 11.

제 1 케이스(11)는 설치된 표시부(21)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 1 케이스(11)의 소재로는 경질의 플라스틱이나 금속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The first case 11 serves to protect the installed display unit 21 from external impact. As a material of the first case 11, a hard plastic or metal material may be used.

표시부(21)는 실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의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정보는 사용자가 키입력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항목을 포함한다. 항목은 메뉴, 응용프로그램의 기능 아이콘, 설정값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display unit 21 displays information of an executed application program as an image. The information includes a plurality of items that the user can select through key input. The item includes at least one of a menu, a function icon of an application program, and a setting value.

표시부(21)는 제 2 본체(30)의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된 제 1 표시부(23)와, 제 1 표시부(23)가 설치된 면에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제 2 표시부(25)를 포함한다. 이때 제 1 표시부(23)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실행되는 각종 응용프 로그램의 실행화면과 저장된 정보를 영상으로 표시한다. 제 2 표시부(25)는 기본적으로 시계 영상을 표시하고, 통신 이벤트 수신시 이에 대한 요약 정보를 표시한다. 아울러 제 2 표시부(25)는 알람 설정, 세계 시간 설정, 당일의 일정 확인 및 시간 설정에 필요한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통신 이벤트는 전화, 문자 메시지, 음성 메시지, 자동응답 등을 포함한다. 요약 정보와 설정 화면은 시계 영상 위에 알림창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표시부(23, 25)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1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23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30 and a second display unit 25 provid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23 is installed. do. In this case, the first display unit 23 displays an execution screen and stored information of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execu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s images. The second display unit 25 basically displays a clock image and displays summary information thereof when a communication event is received.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unit 25 displays an image necessary for setting an alarm, setting a world time, checking a schedule of the day, and setting a time. The communication event here includes a telephone call, a text message, a voice message, an autoresponder, and the like. The summary information and the setting screen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notification window on the clock image.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may be used as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23 and 25.

제 2 본체(30)는 제 2 케이스(13)와, 제 2 케이스(13)의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된 키입력부 (32)및 제 2 케이스(13)에 내장된 제어부, 저장부, 무선통신부, 음성처리부, 각속도 센서 및 회전량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body 30 includes a second case 13, a key input unit 32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case 13, a control unit, a storage unit,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embedded in the second case 13, And a sound processor, an angular velocity sensor, and a rotation amount calculator.

제 2 케이스(13)는 내장될 각종 부품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 2 케이스(13)의 소재로 제 1 케이스(11)와 동일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제 2 케이스(13)는 마주보는 양측면에 밴드(90)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15)를 갖는다. 이때 밴드(90)가 연결된 제 2 케이스(13)의 양측면 중에서 한측면에 제 1 케이스(11)가 힌지(40)로 제 2 케이스(13)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본체(20)는 제 2 본체(30)에 대해서 밴드(90)가 연결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된다.The second case 13 serves to protect various parts to be built up from external shocks.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ase 11 may be used as the material of the second case 13. The second case 13 has a connecting portion 15 to which the band 90 can be connected to opposite sides. At this time, the first case 11 is connected to the second case 13 by a hinge 40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second case 13 to which the band 90 is connected. Therefore, the first body 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nd 90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30 is opened and closed.

키입력부(32)는 키패드(33)와, 기능키(3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패드(33)는 제 1 표시부(23)와 마주보는 제 2 케이스(13)의 일면에 설치되며, 4×4 배열을 갖는 키를 포함한다. 키패드(33) 중 3×4 배열의 문자숫자키(33a)와, 한 열에 배열된 왼쪽 소프트키(33b), 취소키(33c), 오른쪽 소프트키(33d)를 포함한다. 이때 문자숫자키(33a)가 아래쪽에 배치되고, 나머지 한 열의 키(33b, 33c, 33d)가 제 1 표시부(23)에 근접한 쪽에 배치된다. 키패드(33)는 제 2 본체(30)에 대한 제 1 본체(20)의 이동으로 개폐된다.The key input unit 32 includes a keypad 33 and a function key 37. The keypad 33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case 13 facing the first display unit 23 and includes a key having a 4 × 4 arrangement. The keypad 33 includes alphanumeric keys 33a in a 3x4 arrangement, a left soft key 33b, a cancel key 33c, and a right soft key 33d arranged in one row. At this time, the alphanumeric keys 33a are arranged below, and the other one row of keys 33b, 33c, 33d are arranged closer to the first display unit 23. The keypad 33 is opened and clos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body 20 relative to the second body 30.

기능키(37)는 제 2 케이스(13)의 일면에 이웃한 일측면에 설치되며, 용두키(34), 통화키(35) 및 종료키(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용두키(34)가 설치되는 일측면은 밴드(90)가 연결되는 제 2 케이스(13)의 양측면과 이웃하는 측면이다. 예컨대 용두키(34)가 설치되는 일측면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왼쪽 팔목에 착용한다고 가정했을 때 오른손으로 조작이 쉬운 위치인 왼손을 향하는 일측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unction key 37 is installed on one side adjacent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ase 13, and includes a crown key 34, a call key 35, and an end key 36. At this time, one side surface on which the crown key 34 is installed is a side surface adjacent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second case 13 to which the band 90 is connected. For example, one side where the crown key 34 is installed is preferably installed on one side facing the left hand, which is a position where the user can easily operate with the right hand when the user wears the portable terminal 100 on the left cuff.

용두키(34)는 제 2 케이스(13)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가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 2 케이스(13)의 일측면에 대해서 돌출되어 있다. 용두키(34)는 통상적인 휴대 단말기의 4방향 검색키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용두키(34)는 표시부(21)에 표시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에서 항목을 검색하는 검색키로 사용될 수 있다. 용두키(34)의 조작으로 선택된 항목에 포커스가 위치하게 된다. 용두키(34)는 한번에 일정 각도씩 불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거나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용두키(34)가 한번에 일정 각도씩 불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정 각도는 한 항목을 이동할 수 있는 회전각으로서, 이하에서는 스텝이라 한다.The crown key 34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ase 13 and protrudes with respect to one side of the second case 1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otate it. The crown key 34 serves as a four-way search key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crown key 34 may be used as a search key for searching for an item in inform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item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 The focus is placed on the item selected by operation of the crown key 34. The crown key 34 may be configured to rotate discontinuously by an angle at a time or may be configured to rotate continuously. In this embodiment, the crown key 34 is configured to rotate discontinuously by a predetermined angle at a time. The constant angle is a rotation angle capable of moving one i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ep.

그리고 통화키(35)와 종료키(36)는 용두키(34)를 중심으로 양쪽에 배치된다. 이때 통화키(35)는 통화 모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통화키(35)는 포커싱된 항목을 선택하거나 확인하는 확인키로서의 역할도 담당한다. 종료키(36)는 통화 모드에서 통화를 종료하거나, 수행 중인 기능을 종료할 때 사용된다.The call key 35 and the end key 36 are arranged at both sides of the crown key 34. At this time, the call key 35 is used to perform a call function in the call mode. 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call key 35 also serves as a confirmation key for selecting or confirming a focused item. The end key 36 is used to end a call in the call mode or to end a function being perform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통화키(35)에 종래의 통화키로서의 역할과 함께 확인키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두 기능을 분리하여 별도의 물리적인 키로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확인키는 용두키(34)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거나, 용두키(34)가 설치된 일측면에 또는 다른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n example implemented to play a role as a confirmation key in addition to the role as a conventional call key to the call key 35, it can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physical key by separating the two functions. For example, the confirmation key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crown key 34, or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where the crown key 34 is install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제 2 본체(30)에 대해서 제 1 본체(20)가 밴드(90)가 연결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구조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 본체(120a, 120b)는 용두키(134)가 설치된 일측면을 제외한 한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body 20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nd 90 is connect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body 30,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first bodies 120a and 120b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except for one side on which the crown key 134 is installed.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200)는 폴더형을 개시하였지만, 바(bar)형, 슬라이드(slide)형, 플립(flip)형, 스윙(swing)형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바형이나 플립형의 휴대 단말기의 경우, 제 1 본체와 제 2 본체는 일체로 형성되며, 키패드가 설치된 면에 표시부가 설치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discloses a folder type, the portable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bar type, a slide type, a flip type, and a swing type. At this time, in the case of a bar-type or flip-type portable terminal, the first main body and the second main body are integrally formed, and the display unit is installed on the surface where the keypad is install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시계형으로 구현된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본체(10)에서 밴드(90)가 제거된 형태일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as an example implemented in a clock form,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t may have a form of a general portable terminal, in which case the band 90 may be removed from the main body 1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제 2 케이스(13)에 내장된 제어부(31), 저장부(38), 무선통신부(39), 음성처리부(41), 각속도 센서(42) 및 회전량 산출부(43)에 대해서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trol unit 31, the storage unit 38,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9, the voice processing unit 41, the angular velocity sensor 42 and the rotation amount calculating unit 43 built in the second case 13 are illustrated in FIG. 3, FIG.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is as follows.

제어부(31)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제어부(31)는 용두키(34)의 회전에 따른 기능 수행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31 performs an overall contro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controller 31 controls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rown key 34.

저장부(38)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38)는 용두키(34)의 조작에 대응하는 기능 수행을 위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실행 데이터를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38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data generated while executing the program. The storage unit 38 stores a program for perform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crown key 34, and various execution data for executing the program.

무선통신부(39)는 제어부(31)에서 출력되는 정보를 변조 및 주파수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무선신호를 송신한다. 아울러 무선통신부(39)는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로부터 수신신호를 분리하여 주파수 변환 및 복조하여 제어부(31)로 출력한다.The radio communication unit 39 modulates and frequency-converts the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31 to transmit a radio signal through the antenna ANT.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9 separates the received signal from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ANT, converts and demodulates the frequency,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31.

음성처리부(41)는 제어부(31)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MIC)로 입력되는 음성을 디지털화하고, 무선통신부(39)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복조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The voice processor 41 digitizes the voice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MIC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1, demodulates the voice data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39, and outputs the voice data through the speaker SPK.

그리고 회전량 산출부(43)는 용두키(34)의 물리적인 회전에 따른 회전량을 산출한다. 이때 회전량은 용두키(34)의 회전 방향과 회전각을 포함한다. 회전 방향은 시계 방향(CW; clockwise) 또는 반시계 방향(ACW; anti-clockwise) 중에서 하나 이다. 이때 회전량 산출부(43)는 용두키(34)의 물리적인 회전에 따른 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42)로부터 검출된 각속도를 이용하여 회전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n, the rot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43 calculates the rot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physical rotation of the crown key 34. In this case, the rotation amount includes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34.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either clockwise (CW) or anti-clockwise (ACW). At this time, the rot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43 may calculate the rotation amount using the angular velocity detected by the angular velocity sensor 42 that detects the angular velocity according to the physical rotation of the crown key 34.

특히 제어부(31)는 표시부(21)에 표시된 정보(50)의 항목들(51) 중 특정 항목(51a)을 포커스(55)로 포커싱하여 표시하고, 회전량 산출부(43)에서 수신한 용두키(34)의 회전량에 따라 포커스(55)를 현재 포커싱한 특정 항목(51a)에서 다른 항목으로 이동시켜 재포커싱하여 표시한다. 즉 용두키(34)의 회전량 중 회전 방향은 포커스(55)가 이동하는 방향과 관계된다. 용두키(34)의 회전각은 포커스(55)의 이동 거리와 관계되며, 회전각에 따라서 건너뛰는 항목 수가 결정된다.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31 focuses and displays a specific item 51a among the items 51 of the information 5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 with the focus 55, and the crown received by the rotation amount calculating unit 43.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key 34, the focus 55 is moved from the currently focused specific item 51a to another item to be refocused and displayed. That i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on amount of the crown key 34 is relate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cus 55 moves. The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34 is related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focus 55, and the number of items skipp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항목들(51)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표시된다. 포커스(55)는 고정된 형태 또는 이동하는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표시부(21) 상의 포커스(55)의 위치는 고정되고, 용두키(34)의 회전량에 따라 항목들(51)이 포커스(55)쪽으로 이동하여 포커싱될 수 있다. 반대로 표시부(21) 상의 항목들(51)의 위치는 고정되고, 용두키(34)의 회전량에 따라 포커스(55)가 이동하여 포커싱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가지 방식이 혼합된 형태로 포커스(55)가 표시될 수 있다. 즉 포커스(55)가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표시부(21)에 표시되는 항목(51)을 초과하는 항목에 대해서는 항목들(51)이 포커스(55)쪽으로 이동하여 포커싱될 수 있다.The items 51 are displayed arranged in at least on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e focus 55 may be displayed in a fixed form or in a moving form. That is, the position of the focus 55 on the display unit 21 is fixed, and the items 51 may be moved toward the focus 55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crown key 34 to be focused. On the contrary, the positions of the items 51 on the display unit 21 are fixed, and the focus 55 may move and focus according to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crown key 34. In addition, the focus 55 may be displayed in a mixture of the two methods. That is, in the case where the focus 55 moves, the items 51 may move toward the focus 55 and focus on an item that exceeds the item 5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목들(51)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포커스(55)는 항목들(51)이 배열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포커스(55)는 표시부(21)의 중심을 통과하여 가로 방향으로 고정된 형태로 표시되고, 제어부(31)는 용두키(34)의 회전 방향으로 항목(51)을 포커스(55)쪽으로 이동시킨다. 즉 용두키(34)를 시계 방향(CW)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31)는 현재 포커싱된 항목(51a) 아래쪽의 항목(51b)을 포커스(55)쪽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용두키(34)를 반시계 방향(ACW)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31)는 현재 포커싱된 항목(51a) 위쪽의 항목(51c)이 포커스(55)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표시부(21)의 중심에 표시된 포커스(55)는 용두키(34)의 위치와 연계되고, 용두키(34)의 회전 방향으로 항목들(51)이 포커스(55)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용두키(34)를 조작하여 항목(51)을 검색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같은 방식으로 항목들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포커스는 세로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용두키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는 현재 포커싱된 항목 왼쪽의 항목을 포커스쪽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용두키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는 현재 포커싱된 항목 오른쪽의 항목을 포커스쪽으로 이동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items 51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A, the focus 55 may be display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tems 51 are arranged. That is, the focus 55 is displayed in a form fix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21, and the control unit 31 moves the item 51 toward the focus 55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rown key 34. Let's do it. That is,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CW, the controller 31 moves the item 51b below the currently focused item 51a toward the focus 55. On the contrary,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CW), the controller 31 moves the item 51c above the currently focused item 51a toward the focus 55. In this case, the focus 55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21 is associated with the position of the crown key 34, and the items 51 are displayed to move toward the focus 55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rown key 34. Therefor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ho searches the item 51 by operating the crown key 34 can be increased.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items may b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In this case, the focus may be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when the crown key is rotated clockwise, the controller moves the item left of the currently focused item toward the focus. On the contrary, when the crown key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controller moves the item to the right of the currently focused item toward the focus point.

다음으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목들(51)이 가로 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제어부(31)는 포커스(55)를 용두키(34)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용두키(34)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위치의 항목(51)으로 이동시켜 포커싱한다. 이때 용두키(34)를 시계 방향(CW)으로 회전시킨 경우, 제어부(31)는 포커스(55)를 현재 포커싱된 항목(51a)의 오른쪽의 항목(51b)을 포커싱할 수 있도록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반대로 용두키(34)를 반시계 방향(ACW)으로 회전시킨 경우, 제어부(31)는 포커스(55)를 현재 포커싱된 항목(51a)의 왼쪽 항목(55c)을 포커싱할 수 있도록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포커스(55)는 항목(51)에 대응되는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같은 방식으로 항목들이 세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용두키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는 현재 포커싱된 항목의 위쪽 항목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 반대로 용두키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는 현재 포커싱된 항목 아래쪽의 항목으로 포커스를 이동시킨다.Next, when the items 51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shown in FIG. 4B, the controller 31 moves the focus 55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rown key 34, and the crown key. It moves to the item 51 of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34, and focuses. At this time,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CW, the controller 31 moves the focus 55 to the right so that the item 51b on the right side of the currently focused item 51a can be focused. . On the contrary,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CW), the control unit 31 moves the focus 55 to the left so that the left item 55c of the currently focused item 51a can be focused. . The focus 55 may be display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item 51.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items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In this case, when the crown key is rotated clockwise, the controller moves the focus to the item above the currently focused item. On the contrary, when the crown key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he controller moves the focus to the item under the currently focused item.

또한 제어부(31)는 제한된 표시부(21)의 영역에서 포커싱된 항목(51a)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싱된 항목(51a)이 비포커싱된 항목(51b, 51c)보다 상대적으로 크고 밝게 표시할 수 있다. 포커싱된 항목(51a)을 중심으로 양쪽에 비포커싱된 항목(51b, 51c)이 배치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포커싱된 항목(51a)을 다른 항목(51b, 51c)보다 밝게만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1 also allows the user to easily identify the item 51a focused in the region of the limited display unit 21, as shown in FIG. 4A, the item 51b in which the focused item 51a is unfocused. It can be displayed larger and brighter than 51c). The non-focused items 51b and 51c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focused item 51a.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4B, the controller 31 may display the focused item 51a brighter than the other items 51b and 51c.

또한 제어부(31)는 음성 명령 모드에서 음성인식을 통하여 통신 이벤트를 처리한다. 예컨대 착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31)는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따라 통화를 수행하거나 착신호를 차단한다. 사용자의 음성 명령 모드에서 발신 통화 및 발신 메시지를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31 processes the communication event through voice recognition in the voice command mode. For example,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the controller 31 performs a call or blocks an incoming call according to a user's voice command. You can make outgoing calls and outgoing messages in your voice command mode.

그 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부, GPS 수신부, 디지털 방송 수신부, 카메라부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such as Bluetooth and Zigbee, a GPS receiver,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a camera unit.

기능 수행 방법How to do thi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의 정보 표시를 위한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S71과정에서 제어부(31)는 복수의 항목을 갖는 정보를 표시부(21)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 신호는 키입력이나 본체(10)를 오픈하는 동작에 의해 제어부(31)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31)는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며, 표시된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을 포커스로 포커싱하여 표시한다.1 to 3 and 5, when a selection signal for displaying a user's information is input, the controller 31 displays information having a plurality of items on the display unit 21 in step S71. In this case, the user's selection signal may be input to the controller 31 by a key input or an operation of opening the main body 10. The controller 31 displays at least one of the items, and focuses and displays a specific item among the displayed items with focus.

다음으로 S73과정에서 제어부(31)는 용두키(34)의 조작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31)는 용두키(34)의 물리적인 회전이 발생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73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용두키(34)의 조작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1)는 현재의 정보 표시 상태를 유지한다.Next, in step S73, the controller 31 determines whether the crown key 34 is operated. That is, the control unit 3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hysical rotation of the crown key 34 is genera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3, when no operation of the crown key 34 occurs, the controller 31 maintains the current information display state.

하지만 S73과정에서의 판단 결과 용두키(34)의 조작이 발생되면, 회전량 산출부(43)는 용두키(34)의 회전 방향과 회전각을 포함하는 회전량을 산출한다. 회전량 산출부(43)는 산출한 회전량을 제어부(31)에 전송한다.However,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73, when the operation of the crown key 34 occurs, the rot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43 calculates the rotation amount includ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34. The rotation amount calculating unit 43 transmits the calculated rotation amount to the control unit 31.

다음으로 S77과정에서 제어부(31)는 산출된 회전량에 따라 정보를 조작한다. 즉 제어부(31)는 산출된 회전량에 따라 포커싱한 특정 항목에서 다른 항목으로 포커스를 이동시켜 재포커싱한다.Next, in step S77, the control unit 31 manipulates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amount of rotation. That is, the controller 31 refocuses by moving the focus from one focused item to another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otation amoun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수행 방법을 도 6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을 참조하면, 정보(50)의 항목들은 세로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항목은 아이콘 또는 텍스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표시된다. 예컨대 포커싱된 항목은 아이콘과 텍스트로 표시되며, 비포커싱된 항목은 텍스트만 표시된다. 포커싱된 항목의 텍스트는 비포커싱된 항목의 텍스트보다 크고 밝게 표시된다. 한편 k 번째 항목은 IT0k 또는 ITkk 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0k"는 비포커싱된 k 번째 항목을 나타내며, 아이콘없이 텍스트로만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 "kk"는 포커싱된 k 번째 항목을 나타내며, 아이콘과 텍스트로 표시된 상태를 나타낸다.(m, k : 자연수)Such a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creen example of FIG. 6 as follows. Referring to FIG. 6, items of the information 50 may be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tem is displayed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con or text. For example, a focused item is represented by an icon and text, while a non-focused item is displayed only by text. The text of the focused item is displayed larger and brighter than the text of the unfocused item. Meanwhile, the k th item may be indicated as IT 0k or IT kk . Here, "0k" represents the k-th item unfocused and represents a state displayed only in text without an icon. "kk" indicates the k th item focused and indicates the state displayed by icons and text. (m, k: natural numbers)

먼저 사용자의 선택 신호가 입력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1)에 정보(50)가 표시된다. 이때 제어부(31)는 표시된 항목들(IT11, IT02) 중 첫 번째 항목(IT11)을 포커스(55)로 포커싱하여 표시한다. 물론 포커싱된 첫 번째 항목(IT11)은 아이콘(I1)과 텍스트(T1)로 표시된다. 포커싱된 첫 번째 항목(IT11)을 중심으로 아래쪽에 두 번째 항목(IT02)이 텍스트로 표시된다. 본 예에서는 첫 번째 항목(IT11)이 포커싱되어 때문에, 첫 번째 항목(IT11)의 위쪽에는 항목이 표시되지 않는다.First, when the user's selection signal is input, as shown in FIG. 6A, the information 5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1 focuses and displays the first item IT 11 among the displayed items IT 11 and IT 02 with the focus 55. Of course, the first focused item IT 11 is represented by an icon I 1 and a text T 1 . The second item (IT 02 ) at the bottom centered on the first focused item (IT 11 ) is displayed as text. In this example, since the first item IT 11 is focused, the item is not displayed above the first item IT 11 .

도 6(a)의 상태에서 용두키(3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의 상태에서 용두키(34)를 시계 방향으로 한 스텝 회전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두 번째 항목(IT22)을 시계 방 향으로 회전시켜 포커스(55)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첫 번째 항목(IT01)은 포커싱된 두 번째 항목(IT22)의 위쪽에 텍스트로 표시된다. 그리고 포커싱된 두 번째 항목(IT22)의 아래쪽에 세 번째 항목(IT03)이 텍스트로 표시된다.A case in which the crown key 34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6A is as follows. First,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one step clockwise in the state of FIG. 6 (a), as shown in FIG. 6 (b), the controller 31 moves the second item IT 22 in the clockwise direction. Rotate to move to focus 55. In this case, the first item IT 01 is displayed as text on the upper part of the focused second item IT 22 . The third item IT 03 is displayed as text below the focused second item IT 22 .

다음으로 도 6(b)의 상태에서, 용두키(34)를 시계 방향으로 n-2 스텝 회전시키면, 제어부(31)는 항목들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n 번째 항목(ITnn)을 포커스(55)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포커싱된 n 번째 항목(ITnn)을 중심으로 위쪽에 n-1 번째 항목(IT0n-1)이 표시된다. 본 예에서는 n 번째 항목(ITnn)이 최종 항목이기 때문에, n 번째 항목(ITnn) 아래에는 항목이 표시되지 않는다.Next, in the state of FIG. 6B,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n-2 steps clockwise, the controller 31 rotates the items clockwise to focus the n-th item ITnn on the focus 55. To the side. At this time, the n-1 th item IT 0n-1 is displayed on the center of the focused n th item IT nn . In this example, since the n th item IT nn is the last item, the item is not displayed below the n th item IT nn .

그리고 도 6(c)의 상태에서 용두키(34)를 시계 방향으로 한 스텝 회전시키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첫 번째 항목(IT11)을 포커스(55)에 표시한다. 즉 제어부(31)는 도 6(a)의 상태로 정보(50)를 표시한다.And when the crown key 34 in the state of Figure 6 (c) a step rotation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 section 31 as shown in Figure 6 (a) is the focus (55) on the first item (IT 11) Mark on. That is,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information 50 in the state of FIG. 6 (a).

반대로 용두키(3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31)는 전술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와 반대로 항목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포커스(55)쪽으로 이동시킨다.On the contrary,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ler 31 rotates the item counterclockwise to move it toward the focus 55 as opposed to the case in which the crown key 34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 수행 방법의 실제적인 응용프로그램에서의 구현예를 도 7 내지 도 22의 화면 예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용두키(34)를 회전시켜 기능을 수행할 때, 용두키(34)의 회전 방향만 상 이할 뿐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이 수행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용두키(3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를 중심으로 기능 수행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도면에서 표시된 아이콘은 아래와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An implementation example of the actual application program of the method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creen examples of FIGS. 7 to 22 as follows. At this time, when performing the function by rotating the crown key 34, only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crown key 34 is different, the function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hereinafter, a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case where the crown key 34 is rotated clockwise. And the icon displayed in the figure performs the function a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07020359493-pat00001
Figure 112007020359493-pat00001

검색 방법Search method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용두키(34)를 이용한 정보 검색 방법을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pecifically, an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using the crown key 34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용두키(34)를 이용한 대기영상(22)에서 메뉴를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본체(20)를 열면, 제어부(31)는 제 1 표시부(23)에 대기영상(22)을 표시한다. 이때 대기영상(22)의 양쪽 모서리 부분에 왼쪽 소프트키(33b)로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아이콘(26)과, 오른쪽 소프트키(33d)로 선택할 수 있는 폰북 아이콘(27)이 표시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7,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menu in the standby image 22 using the crown key 34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s shown in FIG. 7A, when the first body 20 is opened,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standby image 22 on the first display unit 23. At this time, the menu icon 26 selectable by the left softkey 33b and the phonebook icon 27 selectable by the right softkey 33d are displayed at both corners of the standby image 22.

다음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소프트키(33b)로 메뉴 아이콘(26)을 선택하면, 제어부(31)는 대기영상(22)을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메인 메뉴 영상(61)으로 전환한다. 메인 메뉴는 달력, 시계, 메시지, 폰북, 어드밴스트, 설정, 블루투스 등의 메뉴를 포함한다. 이때 메인 메뉴 중 시계 메뉴가 포커싱된 예를 개시하였다. 포커싱된 시계 메뉴는 아이콘(□)과 텍스트(Watch)로 표시된다. 포커싱된 시계 메뉴를 중심으로 위쪽에 달력 메뉴가 텍스트(Calendar)로 표시되고, 아래쪽에 메시지 메뉴가 텍스트(Message)로 표시된다. 이때 아이콘은 "□"로 도시되어 있지만, 메뉴의 특징을 표시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포커싱된 메뉴는 비포커싱된 메뉴에 비해서 크고 밝게 표시된다.Next, as illustrated in FIG. 7B, when the menu icon 26 is selected using the left softkey 33b, the controller 31 may select the main image 22 from the main menu image 61. Switch to). The main menu includes menus such as calendar, clock, message, phonebook, advanced, settings, and Bluetooth. In this case, an example in which the clock menu of the main menu is focused is disclosed. The focused watch menu is indicated by an icon (□) and text (Watch). The calendar menu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focused clock menu as text, and the message menu at the bottom is displayed as text. At this time, the icon is shown as "□", but has a shape that can displ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nu. The focused menu is displayed larger and brighter than the unfocused menu.

그리고 용두키(34)를 회전시켜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도 7(b)의 상태에서 용두키(34)를 시계 방향으로 한 스텝 회전시키면, 제어부(31)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메뉴 아래의 메시지 메뉴를 포커스(55)로 이동시킨다. 이때 포커싱된 메시지 메뉴는 아이콘(□)과 텍스트(Message)로 표시된다. 포커싱된 메시지 메뉴를 중심으로 위쪽에 시계 메뉴가 텍스트(Watch)로 표시되고, 아래쪽에 폰북 메뉴가 텍스트(Phonebook)로 표시된다.The crown key 34 may be rotated to search for a menu to be selected. That is,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one step clockwise in the state of FIG. 7B, the control unit 31 focuses the message menu under the clock menu as shown in FIG. 7C. Move to. At this time, the focused message menu is indicated by an icon (□) and text (Message). The watch menu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focused message menu as a watch, and the phonebook menu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menu as text.

다음으로 도 7(c)의 상태에서 용두키(34)를 시계 방향으로 다수 스텝 회전시키면, 제어부(31)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싱된 메시지 메뉴에서 해당 스텝수 뒤에 위치하는 세팅 메뉴를 포커스(55)로 이동시킨다.Next,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a plurality of steps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state of FIG. 7C, the controller 31 is positioned after the corresponding number of steps in the focused message menu as shown in FIG. 7D. The setting menu is moved to the focus 55.

반대로 용두키(34)를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스텝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31)는 포커싱된 메뉴에서 일정수 앞에 위치하는 메뉴를 포커스(55)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메뉴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On the contrary,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counterclockwise by a predetermined step, the control unit 31 moves the menu located in front of the predetermined number in the focused menu toward the focus 55. At this time, the menu rotates counterclockwise.

도 8을 참조하여 메인 메뉴에서 특정 메뉴를 선택한 이후에 하위 메뉴를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되겠지만, 특정 메뉴의 선택은 통화키(35)의 키입력에 의해 수행되며, 제 2 표시부(23)에 특정 메뉴의 하위 메뉴 리스트(62)가 표시된다.A process of searching for a submenu after selecting a specific menu from the main menu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As will be described later, selection of a particular menu is performed by key input of the call key 35, and the submenu list 62 of the specific menu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3.

도 8을 참조하면, 특정 메뉴의 하위 메뉴 리스트(62)는 세로 방향으로 텍스트로 표시되며, 포커스(55)는 제 1 표시부(23)의 중심에 가로 방향으로 표시된다. 제 1 표시부(23)의 상부에 특정 메뉴의 제목(Title)이 표시된다. 하위 메뉴 리스트(62) 아래의 양쪽 모서리 부분에 왼쪽 소프트키(33b)로 선택할 수 있는 옵션(option) 아이콘과, 오른쪽 소프트키(33d)로 선택할 수 있는 이전(back)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포커싱된 하위 메뉴는 비포커싱된 하위 메뉴에 비해서 크고 밝게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8, the sub-menu list 62 of a specific menu is displayed in tex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ocus 55 is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enter of the first display unit 23. A title of a specific menu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3. At both corners below the submenu list 62, an option icon selectable by the left softkey 33b and a back icon selectable by the right softkey 33d are displayed. Focused submenus are displayed larger and brighter than unfocused submenus.

도 8(a) 내지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두키(34)를 시계 방향으로 일정 스텝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31)는 시계 방향으로 하위 메뉴를 일정수 뒤에 위치하는 메뉴를 포커스(55)쪽으로 이동시킨다.As shown in FIGS. 8 (a) to 8 (e),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step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ler 31 selects a menu located behind a certain number of submenus in the clockwise direction. Move toward focus 55.

반대로 용두키(34)를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스텝 회전시키는 경우, 제어부(31)는 포커싱된 하위 메뉴에서 일정수 앞에 위치하는 하위 메뉴를 포커스(25)쪽으로 이동시킨다.On the contrary,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step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controller 31 moves the lower menu positioned in front of the predetermined number in the focused lower menu toward the focus 25.

도 9를 참조하여 달력 메뉴에서 특정일을 검색하여 이벤트를 확인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9, a process of checking an event by searching for a specific day in the calendar menu is as follows.

메인 메뉴에서 달력 메뉴가 선택되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달력 영상(63)을 제 1 표시부(23)에 표시한다. 제어부(31)는 특정 날짜를 포커스(55)에 표시한다. 이때 포커싱된 날짜는 일, 달 및 요일 순으로 표시된다. 포커싱된 날짜를 중심으로 아래쪽에 다음날의 일이 표시되고, 위쪽에 이전날의 일이 표시된다. 예컨대 포커싱된 날짜는 "10,AUG,THU"으로 표시된다. 이때 요일의 모서리에 표시되는 색인은 해당 요일에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가 있음을 나타낸다.When the calendar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as shown in FIG. 9A,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calendar image 63 on the first display unit 23.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specific date on the focus 55. In this case, the focused date is displayed in the order of days, months, and days of the week. The day of the next day is displayed at the bottom and the day of the previous day is displayed at the top of the focused date. For example, the focused date is represented by "10, AUG, THU". At this time, the index displayed at the corner of the day indicates that there is at least one event on the day.

다음으로 용두키(34)를 한 스텝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다음날인 "11,AUG,FRI"를 포커스(55)로 이동시킨다.Next,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in one step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9B, the controller 31 moves "11, AUG, FRI" which is the next day to the focus 55.

다음으로 용두키(34)를 세 스텝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3일뒤인 "14,AUG,MON"를 포커스(55)로 이동시킨다. 이때 "MON"에 색인이 표시되어 있다.Next,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three steps clockwise, as shown in FIG. 9 (c), the controller 31 moves "14, AUG, MON" three days later to the focus 55. . At this time, the index is displayed in "MON".

그리고 사용자가 14일에서 통화키(35)를 누르면, 제어부(31)는 14일에 설정된 이벤트(63a)를 표시한다. 예컨대 14일의 일정은 시간 순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13시에 "Check email"이란 이벤트(63a)가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일에 다수의 이벤트가 있는 경우 시간 순으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용두키(34)를 회전시켜 이벤트(63a)를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key 35 on the 14th,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event 63a set on the 14th. For example, a schedule of 14 days may be display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it may be confirmed that an event 63a of "Check email" is set at 13:00. In this cas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events on the corresponding day, they are display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the user can check the event 63a by rotating the crown key 34.

도 10을 참조하여 제 2 표시부(25)에 표시된 시계 영상(29)에서 설정할 세계 시간을 검색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통화키(35)를 누르면, 시계 영상(29) 위에 설정된 세계 시간을 검색할 수 있는 알림창(57)이 표시될 수 있도록 설정된 경우이다.Referring to FIG. 10, a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world time to be set in the clock image 29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5 will be described below. In this case,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a notification window 57 for searching the world time set on the clock image 29 may be displayed.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표시부(25)에 시계 영상(29)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키(35)를 누르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현재 설정된 나라의 시간을 알림창(57)에 표시한다.As shown in FIG. 10A,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while the clock image 29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5, the control unit 31 as shown in FIG. The time of the currently set country is displayed on the notification window 57.

다음으로 용두키(34)를 한 스텝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알림창(57) 안에 설정 가능한 나라의 이름을 표시하며, 포커스(55)는 현재 설정된 나라의 이름에 위치한다.Next,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in one step clockwise direction, as shown in FIG. 10 (c), the controller 31 displays a name of a country that can be set in the notification window 57 and the focus 55. Is located in the name of the currently set country.

그리고 용두키(34)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일정 스텝 회전시켜 설정할 나라를 검색할 수 있다.The crown key 34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step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o search for a country to be set.

이와 같이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용두키(34)를 조작하여 표시부(21)에 표시된 정보중에서 필요한 항목을 쉽게 검색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user can easily search for necessary items among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 by manipulating the crown key 34 of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제 2 표시부에서의 기능 수행 방법Method of performing functions on the second display unit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제 2 표시부(25)에서의 기능 수행 과정을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표시부(25)에서 알람 설정, 세계 시간 설정, 당일의 일정 확인 및 시간 설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A function performing process of the second display unit 25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5 as follows. The second display unit 25 may perform an alarm setting, a world time setting, a schedule check of the day, and a time setting process.

먼저 제 1 표시부(23)에서 특정키의 선택을 통하여 수행할 기능을 링크하는 과정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설정 과정은 제 1 표시부(23)에서 진행되며, 특정키로는 통화키(35)가 사용될 수 있다. 그 외 특정키로는 별도로 설치된 확인키가 사용될 수 있다.First, a process of linking a function to be performed by selecting a specific key in the first display unit 2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In this case, the sett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3, and the call key 35 may be used as a specific key. As a specific key, a separately installed verification key may be used.

메인 메뉴에서 시계 메뉴를 선택하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시계 메뉴의 하위 메뉴 리스트(65)를 표시한다. 다시 용두키(34)를 조작하여 하위 메뉴 리스트(65) 중 설정 메뉴를 포커스(55)에 위치시킨다.When the clock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as shown in FIG. 11A, the controller 31 displays a submenu list 65 of the clock menu. The crown key 34 is operated again to position the setting menu in the lower menu list 65 at the focus 55.

다음으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키(35)를 누르면 제어부(31)는 시계 설정 영상(66)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두키(34)를 조작하여 포커스(55)를 통화키 기능에 위치시킨다.Next, as illustrated in FIG. 11B,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clock setting image 66. Next, as shown in Fig. 11 (c), the crown 55 is operated to place the focus 55 in the call key function.

다음으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키(35)를 누르면 제어부(31)는 통화키(35)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들을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기능은 알람 설정, 세계 시간 설정, 당일의 일정 확인 및 시간 설정을 포함하며, 텍스트로 표시된다. 이때 현재 통화키(35)에 링크된 기능이 알람 설정이기 때문에, 포커스(55)는 알람 설정을 포커싱하고 있다.Next, as shown in FIG. 11 (d),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the controller 31 sequentially displays the functions selectable by the call key 35. Functions include alarm settings, world time settings, check of the day's schedule and time settings, and are displayed in text. At this time, since the function linked to the current call key 35 is the alarm setting, the focus 55 focuses on the alarm setting.

그리고 도 1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두키(34)를 조작하여 통화키(35)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에 포커스(35)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저장(save) 아이콘에 대응되는 왼쪽 소프트키(33b)를 누르면, 제어부(31)는 포커싱된 기능을 통화키(35)에 링크시킨다.As shown in FIG. 11E, the focus 35 is moved to a function that can be selected by the call key 35 by operating the crown key 34. When the left soft key 33b corresponding to the save icon is pressed, the controller 31 links the focused function to the call key 35.

먼저 통화키(35)에 알람 설정 기능이 링크된 경우의 알람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표시부(25)에 시계 영상(29)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키(35)를 누르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날짜가 표시된 부분에 현재 시간에 따라 "AM" 또는 "PM"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제어부(31)는 도 12(a)의 "9"일을 도 12(b)의 "AM"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First, a process of setting an alarm when the alarm setting function is linked to the call key 3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As shown in FIG. 12A,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while the clock image 29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5, the control unit 31 as shown in FIG. In the displayed area, switch to "AM" or "PM" according to the current time. For example, the controller 31 converts " 9 " days in FIG. 12 (a) to " AM " in FIG.

그리고 도 12(c) 내지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두키(34)를 조작하여 알람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키(35)를 누르거나 현재의 상태에서 일정 시간(N초)이 경과하면, 제어부(31)는 현재 변경된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고, 다시 현재 시간을 표시한다. 12 (c) to 12 (d), the alarm time may be changed by manipulating the crown key 34. Finally, as shown in FIG. 12 (e), when a predetermined time (N seconds) has elapsed in the current state by pressing the call key 35, the controller 31 sets the currently changed time as the alarm time, The current time is displayed again.

다음으로 통화키(35)에 세계 시간 설정 기능이 링크된 경우의 세계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13(a) 내지 도 13(c)와 관련된 설명은 도 10(a) 내지 도 10(c)와 중복되기 때문에, 관련 설명은 생략하고 그 이후 과정부터 설명하도록 하겠다. 즉 도 13(c)의 베이징이 포커싱된 상태에서 용두키(34)를 시계 방향으로 한 스텝 회전시키면,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징 아래에 있는 서울이 포커스(55)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키(35)를 누르면 제어부(31)는 서울의 현재 시간을 세계 시간으로 설정하면, 서울의 현재 시간을 표시한다.Next, a process of setting the world time when the world time setting function is linked to the call key 3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Here, since descriptions related to FIGS. 13A to 13C are overlapped with FIGS. 10A to 10C, relat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and will be described afterwards. In other words, if the crown of the crown is rotated one step clockwise while Beijing in FIG. 13 (c) is focused, Seoul below Beijing moves to the focus 55 as shown in FIG. 13 (d). . As shown in FIG. 13E,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current time of Seoul when the current time of Seoul is set as the world time.

다음으로 통화키(35)에 당일의 일정 확인 기능이 링크된 경우의 일정 확인 과정을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표시부(25)에 시계 영상(29)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키(35)를 누르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현재 시간 이후에 당일 설정된 일정을 알림창(57)에 표시한다. 이때 알림창(57)에는 "일월년"과, 현재 시간에 가장 가까운 일정이 먼저 표시될 수 있다.Next, the schedule check process when the schedule check function of the day is linked to the call key 3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As shown in FIG. 14A,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while the clock image 29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5, the control unit 31 as shown in FIG. The schedule set on the day after the current time is displayed on the notification window 57. In this case, the notification window 57 may first display the "Monthly Year" and the schedule closest to the current time.

다음으로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두키(35)를 조작하여 이후에 설정된 일정을 검색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14 (c), the set key can be retrieved by manipulating the crown key 35.

그리고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키(35)를 누르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31)는 시계 영상(29) 위의 알림창(57)을 삭제한다.As shown in FIG. 14 (d),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ntroller 31 deletes the notification window 57 on the clock image 29.

한편 도 14(a)의 상태에서 당일 설정된 일정이 없는 경우,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알림창(57)에 당일 일정이 없음을 표시한다. 그리고 이 후에 통화키(35)를 누르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시계 영상(29) 위의 알림창(57)을 삭제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re is no schedule set on the day in the state of Figure 14 (a), as shown in Figure 14 (e), the control unit 31 displays that there is no schedule of the day on the notification window (57). Then, after pressing the call key 35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s shown in FIG. 14 (d), the controller 31 deletes the notification window 57 on the clock image 29.

다음으로 통화키(35)에 현재 시간 설정 기능이 링크된 경우의 시간 설정 과정을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표시부(25)에 시계 영상(29)이 표시된 상태에서 통화키(35)를 누르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날짜가 표시된 부분에 현재 시간에 따라 "AM" 또는 "PM"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제어부는 도 15(a)의 "9"일을 도 15(b)의 "AM"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Next, a time setting process when the current time setting function is linked to the call key 3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5. As shown in FIG. 15A,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while the clock image 29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5, the control unit 31 as shown in FIG. In the displayed area, switch to "AM" or "PM" according to the current time. For example, the controller converts the "9" day of FIG. 15 (a) to "AM" of FIG. 15 (b) and displays it.

다음으로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두키(34)를 조작하여 현재 시간을 변경한다. 다음으로 도 1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키(35)를 누르면 제어부(31)는 변경된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설정한다. 이때 "AM"을 "9"로 전환하여 표시한다.Next, as shown in Fig. 15 (c), the crown key 34 is operated to change the current time. Next, as shown in FIG. 15 (d),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the controller 31 sets the changed time to the current time. At this time, "AM" is displayed by switching to "9".

다음으로 도 1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두키(35)를 조작하여 날짜를 변경한다. 예컨대, "9"일을 "10"일 변경한다.Next, as shown in Fig. 15E, the crown key 35 is operated to change the date. For example, "9" days are changed to "10" days.

그리고 도 1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키(35)를 누르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31)는 변경된 날짜를 현재 날짜로 설정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 날짜 순으로 변경하여 설정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반대로 날짜, 시간 순으로 변경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f),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ntroller 31 sets the changed date as the current date.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of changing and setting in order of time and date has been disclos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be changed and set in order of date and time.

응용프로그램의 기능 아이콘 선택 방법How to choose a feature icon for an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실행 방법 중 응용프로그램의 기능 아이콘 선택 방법을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응용프로그램은 뮤직 플레이어, 계산기, 보이스 레코더 등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뮤직 플레이어(68)와 계산기(69)를 예시하였다.A method of selecting a function icon of an application in the method of execut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program includes a music player, a calculator, a voice recorder, and the like. In this embodiment, the music player 68 and the calculator 69 are illustrated.

도 16을 참조하여 뮤직 플레이어(68)의 기능 아이콘을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selecting a function icon of the music player 68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6.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표시부(23)에 표시되는 뮤직 플레이어(68)에는 기능 아이콘들이 가로 방향으로 표시된다. 기능 아이콘은 볼륨 아이콘, 되감기 아이콘, 재생 및 일지 정지 아이콘, 빨리감기 아이콘 및 리스트 아이콘을 포함하며, 왼쪽의 볼륨 아이콘부터 시작해서 리스트 아이콘까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포커스(55)는 기능 아이콘들 중에서 재생 아이콘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부(31)는 음악을 재생하고 있는 상태이다.As shown in FIG. 16A, the function icons are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music player 68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3. The function icon includes a volume icon, a rewind icon, a play and pause icon, a fast forward icon, and a list icon, and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from the volume icon on the left to the list icon. At this time, since the focus 55 is located at the play icon among the function icons, the controller 31 is in a state of playing music.

다음으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두키(34)를 한 스텝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31)는 포커스(55)를 재생 아이콘 오른쪽의 빨리 감기 아이콘으로 이동시킨다.Next, as shown in Fig. 16B,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one step clockwise, the control unit 31 moves the focus 55 to the fast forward icon to the right of the playback icon.

그리도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키(35)를 누리면 제어부(31)는 음악 재생을 중지하고 포커싱된 빨리 감기 기능을 수행한다.As shown in FIG. 16C,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the controller 31 stops playing the music and performs the focused fast forward function.

한편 도 16(a)의 상태에서, 포커스(55)가 재생 및 일시 정지 아이콘에 위치하기 때문에, 통화키(35)를 누르면 제어부(31)는 음악 재생을 일시 중지한다. 그리고 재생되는 음악을 정지 기능은 옵션 아이콘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of Fig. 16A, since the focus 55 is located at the play and pause icons, the controller 31 pauses the music playback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In addition, the music stop function can be selected through an option icon.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수행 방법 중 계산기(69)에서의 계산 방법을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alculation method in the calculator 69 among the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7 as follows.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메뉴에서 계산기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31)는 제 1 표시부(23)에 계산기(69)를 표시한다. 계산기(69)는 복수의 기능 아이콘을 포함하며, 기능 아이콘은 가로 방향으로 표시된다. 기능 아이콘은 나눗셈 아이콘, 곱셈 아이콘, 덧셈 아이콘, 뺄셈 아이콘 및 등호 아이콘을 포함하며, 왼쪽의 나눗셈 아이콘으로부터 시작해서 등호 아이콘까지 순차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포커스(55)는 덧셈 아이콘에 위치할 수 있으며, 포커싱된 덧셈 아이콘은 다른 기능 아이콘들보다 상대적으로 밝게 표시된다. 한편 기능 아이콘 위에 계산식과 그에 따른 계산값이 표시되는 계산창(69a)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17A, when the calculator menu is selected in the main menu,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calculator 69 on the first display unit 23. The calculator 69 includes a plurality of function icons, and the function icons are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function icon includes a division icon, a multiplication icon, an addition icon, a subtraction icon, and an equal sign icon, and may be sequentially displayed from the left division icon to the equal sign icon. In this case, the focus 55 may be located at the addition icon, and the focused addition icon may be displayed relatively brighter than other function icons. Meanwhile, a calculation window 69a is displayed on the function icon to display the calculation formula and the calculated value.

다음으로 사용자는 키입력을 통하여 "54"를 입력하면,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산창(69a)에 "54"가 표시된다.Next, when the user inputs "54" through key input, as shown in FIG. 17B, "54" is displayed in the calculation window 69a.

이어서 사용자는 기능 아이콘을 용두키(34)로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본 예에서는 포커싱된 덧셈 아이콘을 선택하는 예를 개시하였다. 즉 사용한 기능 아이콘에 포커스(55)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통화키(35)를 누르면,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싱된 덧셈 아이콘에 대응되는 "+"기호가 계산창(69a)에 표시된다. 예컨대 덧셈 아이콘이 선택된 경우, 계산창(69a)에는 "54+"가 표시된다.The user can then search for and select the function icon with the crown key 34. In this example, an example of selecting the focused addition icon has been described. That is,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while the focus 55 is placed on the used function icon, as shown in FIG. 17C, a "+" symbol corresponding to the focused addition icon is calculated in the calculation window 69a. Is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addition icon is selected, "54+" is displayed in the calculation window 69a.

이어서 사용자는 키입력을 통하여 "2"를 입력하면, 도 1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산창(69a)에 "54+2"가 표시된다.Subsequently, when the user inputs "2" through key input, as shown in FIG. 17 (d), "54 + 2" is displayed in the calculation window 69a.

다음으로 사용자는 용두키(3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1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커스(55)를 등호 아이콘에 위치시킨다.Next, the user rotates the crown key clockwise to position the focus 55 on the equal sign icon, as shown in FIG.

그리고 통화키(35)를 누르면, 도 1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54+2"의 계산값인 "56"이 계산창(69a)에 표시된다. 이때 계산식은 계산창(9a)에서 삭제될 수 있다.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as shown in Fig. 17 (f), "56" which is a calculated value of "54 + 2" is displayed on the calculation window 69a. At this time, the calculation formula may be deleted in the calculation window (9a).

응용프로그램의 설정값 변경 방법How to change settings in an application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수행 방법 중 응용프로그램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방법을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changing a setting value of an application program among the method for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19.

설정 메뉴가 복수의 하위 설정 메뉴를 갖는 경우에,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설정 메뉴(64)가 세로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포커싱된 첫 번째 하위 설정 메뉴는 첫 번째 하위 설정 메뉴를 나타내는 텍스트(Setting 1)와 설정값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포커싱된 첫 번째 하위 설정 메뉴의 텍스트(Setting 1)는 상대적으로 밝게 표시되고, 설정값은 상대적으로 어둡게 표시된다. 물론 비포커싱된 다른 하위 설정 메뉴는 상대적으로 어둡게 표시된다. 포커싱된 첫 번째 하위 설정 메뉴를 중심으로 아래쪽에 두 번째 하위 설정 메뉴가 텍스트(Setting 2)로 표시된다. 본 예에서는 첫 번째 하위 설정 메뉴가 포커싱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첫 번째 하위 설정 메뉴의 위쪽에는 하위 설정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다. 이때 첫 번째 하위 설정 메뉴의 설정값은 "On"이다.When the setting menu has a plurality of lower setting menus, as shown in Fig. 18A, the lower setting menu 64 may be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focused first lower setting menu may be displayed as text (Setting 1) indicating the first lower setting menu and a setting value. At this time, the text of the first focused sub-setting menu (Setting 1) is displayed relatively brightly, and the setting value is displayed relatively darkly. Of course, other unfocused sub-settings menus appear relatively dark. The second subsetting menu is displayed as text (Setting 2) at the bottom centered on the first focused subsetting menu. In this example, since the first lower setting menu is focused and displayed, the lower setting menu is not displayed above the first lower setting menu. At this time, the setting value of the first sub setting menu is “On”.

이와 같이 첫 번째 하위 설정 메뉴가 포커싱된 상태에서 통화키(35)를 누르면,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설정값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값을 활성화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while the first lower setting menu is focused, the controller 31 activates the setting value to change the setting value.

다음으로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용두키(35)를 회전시켜 변경할 설정값을 검색한다. 예컨대 용두키(35)를 한 스텝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35)는 현재 설정된 설정값 "On"을 "Off"로 변경하여 표시한다.Next, as shown in FIG. 18C, the user rotates the crown key 35 to search for a setting value to be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crown key 35 is rotated one step clockwise, the controller 35 changes the currently set setting value "On" to "Off" and displays it.

다음으로 도 1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키(35)를 누르면 제어부(31)는 첫 번째 하위 설정 메뉴의 설정값을 "Off"로 저장한다. 제어부(31)는 변경된 첫 번째 하위 설정 메뉴의 설정값을 비활성화한다.Next, as shown in FIG. 18D,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the controller 31 stores the setting value of the first lower setting menu as “Off”. The controller 31 deactivates the set value of the first lower setting menu that has been changed.

그리고 도 1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용두키(34)를 회전시켜 설정값을 변경할 하위 설정 메뉴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본 예에서는 용두키(34)를 한 스텝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예를 개시하였다. 즉 용두키(34)를 한 스텝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31)는 두 번째 하위 설정 메뉴를 포커스(55)로 이동시킨다. 이때 포커싱된 두 번째 하위 설정 메뉴는 두 번째 하위 설정 메뉴를 나타내는 텍스트(setting 2)와 설정값(Setting value 01)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포커싱된 두 번째 하위 설정 메뉴를 중심으로 아래쪽에 세 번째 하위 설정 메뉴가 텍스트(setting 3)로 표시되고, 위쪽에 첫 번째 하위 설정 메뉴가 텍스트(setting 1)로 표시된다.As illustrated in FIG. 18E, the user may search the lower setting menu to change the setting value by rotating the crown key 34. In this example, an example in which the crown key 34 is rotated in one step clockwise direction is disclosed. That is,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one step clockwise, the controller 31 moves the second lower setting menu to the focus 55. In this case, the focused second lower setting menu may be displayed as text (setting 2) and setting value (Setting value 01) indicating the second lower setting menu. The third sub-setting menu is displayed as text (setting 3) at the bottom and the first sub-setting menu is displayed as text (setting 1) at the center of the focused second sub-setting menu.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수행 방법 중 시간을 설정 방법을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method of setting a time in a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9 as follows.

설정 메뉴에서 시간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시간 설정 영상(81)을 제 1 표시부(23)에 표시한다. 본 예에는 12시간으로 표시되며, 현재 시간은 "시","분" 및 "오전/오후"로 표시된다. 포커스(55)는 특정 시간에 위치한다. 예컨대, 포커스(55)는 "08:00 AM"에 위치한다.When the time setting menu is selected in the setting menu, as shown in FIG. 19A, the control unit 31 displays the time setting image 81 on the first display unit 23. In this example, 12 hours are displayed, and the current time is displayed as "hours", "minutes", and "am / pm". Focus 55 is located at a particular time. For example, focus 55 is located at "08:00 AM".

"시", "분" 및 "오전/오후"에 따른 설정값은 세로 방향으로 표시되며, "시", "분" 및 "오전/오후" 순으로 설정값을 변경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시"는 "00"부터 "12"로 표시되고, "분"은 "00"부터 "59"로 표시되고, "오전/오후"는 "AM"과 "PM"으로 표시된다.The setting values according to "hours", "minutes" and "am / pm" are display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examples of changing the setting values in the order of "hours", "minutes" and "am / pm" have been disclosed. It doesn't happen. At this time, "hour" is displayed as "00" to "12", "minute" is displayed as "00" to "59", and "am / pm" is displayed as "AM" and "PM".

먼저 포커싱된 "08:00 AM"중, "시"를 나타내는 "08"이 상대적으로 밝게 표시되며, "08"를 중심으로 위쪽에 "07"이 표시되고, 아래쪽에 "09"가 표시된다.Among the focused "08:00 AM", "08" indicating "hour" is displayed relatively brightly, "07" is displayed at the top centering around "08", and "09" is displayed at the bottom.

다음으로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용두키(34)를 회전시켜 "시"에 대한 변경할 설정값을 검색한다. 예컨대 용두키(34)를 한 스텝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어부(31)는 현재 설정된 설정값 "08"을 "09"로 변경하여 표시한다.Next, as shown in Fig. 19B, the user rotates the crown key 34 to search for a setting value to be changed for " hour ". For example, when the crown key 34 is rotated one step clockwise, the controller 31 changes the currently set value "08" to "09" and displays it.

다음으로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키(35)를 누르면 제어부(31)는 "시"에 대한 설정값을 "09"로 저장한다. 제어부(31)는 변경된 "시"에 대한 설정값을 비활성화하고, "분"에 대한 설정값을 활성화한다. 즉 포커싱된 "09:00 AM"중, "분"을 나타내는 "00"이 상대적으로 밝게 표시되며, "00"를 중심으로 위쪽에 "59"이 표시되고, 아래쪽에 "01"가 표시된다.Next, as shown in FIG. 19C, when the call key 35 is pressed, the controller 31 stores the set value for “hour” as “09”. The control unit 31 deactivates the set value for the changed "hour" and activates the set value for the "minute". That is, among the focused "09:00 AM", "00" representing "minute" is displayed relatively brightly, "59" is displayed at the upper side of "00", and "01" is displayed at the bottom.

다음으로 도 19(c) 내지 도 1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에 대한 설정값을 변경하는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두키(34) 및 통화키(35)를 사용하여 "분"에 대한 설정값을 변경한다.Next, as shown in Figs. 19 (c) to 19 (e), " minute " using the crown key 34 and the call key 35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etting value for "hour " Change the value for ".

다음으로 도 19(e) 내지 도 1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에 대한 설정값을 변경하는 과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두키(34) 및 통화키(35)를 사용하여 "오전/오후"에 대한 설정값을 변경하여 저장한다.Next, as shown in Figs. 19 (e) to 19 (g), "morning" is performed using the crown key 34 and the call key 35 in the same manner as the process of changing the setting value for "hour". Change the setting value for "/ PM" and save.

그리고 도 19(a) 내지 도 19(g)에서 "OK" 아이콘에 링크된 왼쪽 소프트키(33b)를 누르면, 제어부(31)는 변경된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설정한다..19A and 19G, when the left soft key 33b linked to the "OK" icon is pressed, the controller 31 sets the changed time to the current time.

통신 이벤트 처리 방법How communication events are handled

본 발명에 따른 용두키(34)를 갖는 휴대 단말기(100)의 통신 이벤트 처리 방법을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communication event processing method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having the crown key 3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 to 22.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용두키(34)를 갖는 휴대 단말기9100)의 음성 인식을 통한 착신 통화 처리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음성 명령이 활성화되어 있다.2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coming call processing method through voice recognition of a mobile terminal 9100 having a crown key 3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100 activates a voice command.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표시부(25)에 시계 영상(29)이 표시된 상태에서 착신호가 수신되면, 도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시계 영상(29) 위에 발신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창(57)을 표시한다. 아울러 제어부(31)는 스피커(SPK)를 통하여 착신호의 수신 여부를 사용자에게 요청한다.As shown in FIG. 20A,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while the watch image 29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5, as shown in FIG. 20B,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watch image ( 29) A notification window 57 including the sender's information is display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1 requests the user whether the incoming call is received through the speaker SPK.

이때 사용자는 알림창(57)을 통하여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발신자와의 통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may check the caller's phone number through the notification window 57 and determine whether to call with the caller.

먼저 사용자는 통화키(35)를 누르거나 수신을 응낙하는 음성(43; Accept)을 마이크(MIC)에 입력하면, 도 20(c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발신자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때 알림창(57)에는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통화 시간이 표시된다. 발신자와의 통화를 종료하면, 도 20(d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키(36)를 눌러 통화를 종료한다. 이때 알림창(57)에는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최종 통화 시간이 표시된다. 그리고 제어부(31)는, 도 20(e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발신자와 통화가 종료된 사실을 알림창(57)에 표시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31)는 알림창(57)을 제거하고 시계 영상(29)을 표시한다.First, when the user presses the call key 35 or inputs a voice 43 (Accept) to accept the reception into the microphone MIC, as shown in FIG. 20 (c1), the controller 31 communicates with the caller. Control to run.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window 57 displays the caller's phone number and call time. When the call with the caller is terminated, the call is terminated by pressing the end key 36 as shown in FIG. 20 (d1). At this time, the notification window 57 displays the caller's phone number and the last call time. As shown in FIG. 20 (e1), the controller 31 displays on the notification window 57 that the caller and the call are termin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 certain time elapses, the controller 31 removes the notification window 57 and displays the clock image 29.

한편 사용자가 발신자와 통화를 거부하는 경우가 도 20(c2) 및 도 20(d2)에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종료키(36)를 누르거나 수신을 거부하는 음성(43; Reject)을 마이크(MIC)에 입력하면, 도 20(c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발신자와의 통화를 차단한다. 이때 제어부(31)는 알림창(57)을 제거하고 시계 영상(29)을 표시한다. 그리고 제 1 본체(20)가 오픈되면, 도 20(d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제 1 표시부(23)에 거부된 착신호에 대한 부재중 정보(82)를 표시한다.Meanwhile, the case in which the user rejects the call with the caller is illustrated in FIGS. 20 (c2) and 20 (d2).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end key 36 or inputs a voice 43 (Reject), which rejects the reception, into the microphone MIC, as shown in FIG. 20 (c2), the controller 31 calls the caller. To block.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1 removes the notification window 57 and displays the clock image 29. When the first main body 20 is opened, as shown in FIG. 20 (d2),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missed information 82 for the incoming call reject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3.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용두키(34)를 갖는 휴대 단말기(100)의 착신 통화 처리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 이때 휴대 단말기(100)는 음성 명령이 비활성화되어 있다.2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according to a method of processing an incoming call of a mobile terminal 100 having a crown key 3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the voice command is deactiva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표시부(25)에 시계 영상(29)이 표시된 상태에서 착신호가 수신되면,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시계 영상(29) 위에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알림창(57)을 표시한다.As shown in FIG. 21A, when an incoming call is received while the watch image 29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5, as shown in FIG. 29) A notification window 57 including the caller's phone number is displayed.

사용자는 알림창(57)을 통하여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발신자와의 통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발신자와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 제 1 본체(20)를 열거나 닫은 상태에서 수행할 수 있다.The user may check the caller's phone number through the notification window 57 and may determine whether to call the caller. In this case, when the call with the caller may be performed, the first body 20 may be opened or closed.

먼저 제 1 본체(20)를 닫은 상태에서의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가 도 21(c1) 내지 도 21(e1)에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통화키(35)를 눌러 발신자와 통화를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전술한 도 20(c1) 내지 도 20(e1)과 동일하게 진행된다.First, a case where a call is performed while the first main body 20 is closed is illustrated in FIGS. 21 (c1) to 21 (e1). That is, the user presses the call key 35 to perform a call with the caller, which proceeds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0C1 to 20E1.

제 1 본체(20)를 열어 통화를 수행하는 경우가 도 21(c2) 내지 도 21(e2)에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도 21(c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본체(20)를 열어 발신자와 통화를 수행한다. 이때 제어부(31)는 제 1 표시부(23)의 화면(83)에 발신자의 정보 및 통화 시간을 표시한다. 발신자와의 통화를 종료하면, 도 21(d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키(36)를 눌러 통화를 종료한다. 이때 제 1 표시부(23)의 화면(83)에는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최종 통화 시간이 표시된다. 제어부(31)는, 도 21(e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시간 동안 발신자와 통화가 종료된 사실을 화면(83)에 표시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31)는 제 1 표시부(23)에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21 (c2) to 21 (e2) show a case where the first main body 20 is opened to make a call. That is, the user opens the first body 20 to talk with the caller, as shown in FIG. 21 (c2).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1 displays the caller's information and talk time on the screen 83 of the first display unit 23. When the call with the caller is terminated, the call is terminated by pressing the end key 36 as shown in Fig. 21 (d1). In this case, the screen 83 of the first display unit 23 display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and the final call time. As shown in FIG. 21E, the controller 31 displays on the screen 83 that the caller has ended the call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ntroller 31 displays a standby screen on the first display unit 23.

한편 사용자가 발신자와 통화를 거부하는 경우가 도 21(c3) 및 도 21(d3)에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종료키(36)를 누르면, 도 21(c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발신자와의 통화를 차단한다. 이때 제어부(31)는 시계 영상(29) 위의 알림창(57)을 제거한다. 그리고 제 1 본체(20)가 오픈되면, 도 21(d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1)는 제 1 표시부(23)에 거부된 착신호에 대한 부재중 정보(82)를 표시한다.Meanwhile, the case in which the user rejects the call with the caller is illustrated in FIGS. 21 (c3) and 21 (d3).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end key 36, as shown in Fig. 21 (c3), the controller 31 blocks the call with the caller. At this time, the controller 31 removes the notification window 57 on the clock image 29. When the first main body 20 is opened, as shown in FIG. 21 (d3), the controller 21 displays the missed information 82 for the incoming call reject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3.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용두키(34)를 갖는 휴대 단말기(100)의 착신 메시지 처리 방법에 따른 화면 예시도이다.22 is an exemplary view of a screen according to a method of processing an incoming message of a mobile terminal 100 having a crown key 3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표시부(25)에 시계 영상(29)이 표시된 상태에서 착신 메시지가 수신되면,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시계 영상(29) 위에 메시지 발신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알림창(57)을 표시한다. 예컨대, 알림창(57)에는 메시지를 나타내는 편지 아이콘과 함께 발신자의 전화번호 또는 이름이 표시된다.As shown in FIG. 22A, when an incoming message is received while the watch image 29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5, as shown in FIG. 22B,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watch image. (29) The notification window 57 including the message sender information is displayed. For example, the notification window 57 displays a caller's telephone number or name along with a letter icon indicating a message.

다음으로 사용자가 종료키(36)를 누르거나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제어부(31)는 시계 영상에서 알림창(57)을 제거한다.Next, when the user presses the end key 36 o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controller 31 removes the notification window 57 from the clock image.

그리고 제 1 본체(20)가 오픈되면,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는 제 1 표시부(23)에 수신된 메시지(84)를 표시한다.When the first main body 20 is opened, as shown in FIG. 22D, the controller 31 displays the message 84 received on the first display unit 23.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esented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를 따르면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설치된 용두키의 물리적인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 방향과 회전각에 따라 응용프로그램의 각종 기능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용두키를 조작하여 메뉴를 검색하고, 기능 아이콘을 검색하고, 설정값을 변경하는 등의 작업을 쉽게 진행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the appli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generated by the physical rotation of the crown key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operations such as searching a menu, searching for a function icon, changing a setting value, and the like by operating the crown key.

그리고 시계 영상이 표시되는 외부의 제 2 표시부를 통하여 시간 뿐만 아니라 수신되는 통신 이벤트에 대한 요약 정보를 제 1 본체를 오픈하지 않고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제 2 표시부를 통하여 필요한 기능 예컨대, 알람 설정, 세계 시간 설정, 당일의 일정 확인 및 시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not only the time but also summary information on the received communication event may be confirm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on which the clock image is displayed without opening the first body. In addition, necessary functions such as alarm setting, world time setting, schedule check of the day, and time setting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또한 포커싱된 항목은 다른 항목에 비해서 밝거나 크게 표시되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표시부에서도 쉽게 선택하고자 하는 항목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의 중심에 표시된 포커스는 용두키의 위치와 연계되고, 용두키의 회전 방향으로 항목들이 포커스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용두키를 조작하여 항목을 검색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ocused item is displayed brighter or larger than other items, the item to be easily selected can be checked even in a small display unit. In particular, since the focus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is associated with the position of the crown key and the items move toward the focus i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rown ke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who searches for the item by manipulating the crown key.

Claims (34)

케이스와;A case;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설치되며, 변경 가능한 복수의 항목을 갖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A display unit installed on one surface of the case and displaying information having a plurality of changeable items;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이웃하는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용두키와;A crown key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surface adjacent to one surface of the case;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을 포커스로 포커싱하여 표시하고, 상기 용두키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포커스를 현재 포커싱한 상기 특정 항목에서 다른 항목으로 이동시켜 재포커싱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embedded in the case and focusing and displaying a specific item among the items as a focus, and moving and refocusing the focus from the specific item currently focused to another item according to the rotation amount of the crown key; 상기 용두키를 중심으로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포커싱된 항목을 선택하는 통화키와;A call ke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rown key to select the focused item; 상기 용두키를 중심으로 타측에 설치되며, 현재 수행중인 기능을 종료하는 종료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And a termination ke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rown key to terminate a func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스에 내장되며 상기 용두키의 회전량을 산출하는 회전량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And a rotation amount calculating unit built in the case and calculating a rotation amount of the crown key.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량은 상기 용두키의 회전 방향과 회전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The mobile terminal of claim 2, wherein the rotation amount includes a rotation direction and a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삭제delet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포커싱된 항목을 비포커싱된 항목보다 상대적으로 크거나 밝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3,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s the focused item relatively larger or brighter than the unfocused item.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들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5, wherein the items are arranged in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를 상기 용두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항목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용두키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항목으로 이동시켜 포커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ler moves the focu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tem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rown key, and moves the focus to the ite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두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항목들을 상기 포커스로 이동시키고, 상기 용두키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항목을 상기 포커스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The crown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ler moves the items to the focus in accordance with a rotation direction of the crown key, and moves the item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to the focus. A mobile terminal having a key.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용두키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포커싱된 항목을 선택하는 확인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And a confirmation key protruding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crown key and selecting the focused item.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용두키의 회전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포커싱된 항목을 선택하는 확인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And a confirmation key protruding in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crown key and selecting the focused i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폴더형, 슬라이드형, 바형, 플립형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case is one of a folding type, a sliding type, a bar type, and a flip typ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은 메뉴, 응용프로그램의 기능 아이콘, 설정값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item is one of a menu, a function icon of an application program, and a setting valu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se, 상기 표시부를 갖는 제 1 케이스와;A first case having the display portion; 상기 제 1 케이스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용두키 및 상기 제어부를 갖는 제 2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case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case, the second case having the crown key and the control unit.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의 표시부는,The display unit of claim 13, wherein the display unit of the first case includes: 상기 제 2 케이스의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된 제 1 표시부와,A first display unit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case facing the one surface of the second case; 상기 제 1 표시부가 설치된 면에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제 2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display portion provid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display portion is provided. 제 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 5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에 이웃하는 마주보는 양측면에 연결된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bands connected to opposite side surfaces adjacent to one side of the case. terminal. 변경 가능한 복수의 항목을 갖는 정보를 양면에 표시하는 제 1 및 제 2 표시부를 갖는 제 1 본체와;A first main body having first and second display portions for displaying information having a plurality of changeable items on both sides; 상기 제 1 본체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 2 본체로서,As a second bod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irst body, 상기 제 1 표시부와 마주보는 상기 제 2 본체의 일면에 설치된 키패드와,A keypad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facing the first display unit;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두키와,A crown key rotatabl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상기 제 2 본체에 내장되며, 상기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을 포커스로 포커싱하여 표시하고, 상기 용두키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포커스를 현재 포커싱한 상기 특정 항목에서 다른 항목으로 이동시켜 재포커싱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embedded in the second main body, focusing and displaying a specific item among the items with focus; , 상기 용두키를 중심으로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포커싱된 항목을 선택하는 통화키와,A currency ke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rown key to select the focused item; 상기 용두키를 중심으로 타측에 설치되며, 현재 수행중인 기능을 종료하는 종료키를 갖는 제 2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And a second main bod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crown key and having an end key for terminating a func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표시부에 시계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시계 영상 위에 상기 정보를 알림창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6,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s a clock image o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clock image as a notification window.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창에 표시되는 상기 정보는,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notification window, 수신된 통신 이벤트에 대한 요약 정보와,A summary of the received communication event, 알람 설정, 세계 시간 설정, 당일의 일정 확인 및 시간 설정에 필요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which is information required for alarm setting, world time setting, checking the schedule of the day, and time setting.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는 상기 용두키의 회전량을 산출하는 회전량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17.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6, wherein the second main body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amount calculating section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rotation of the crown key.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량은 상기 용두키의 회전 방향과 회전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20.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9, wherein the rotation amount includes a rotation direction and a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포커싱된 항목을 비포커싱된 항목보다 상대적으로 크거나 밝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21.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20, wherein the controller displays the focused item relatively larger or brighter than the unfocused item.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들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22.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21, wherein the items are arranged in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를 상기 용두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항목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용두키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항목으로 이동시켜 포커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23. The apparatus of claim 22, wherein the controller moves the focu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tem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rown key, and moves the focus to the ite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용두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항목들을 상기 포커스로 이동시키고, 상기 용두키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항목을 상기 포커스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23. The crown of claim 22, wherein the controller moves the items to the focu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rown key, and moves the item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to the focus. A mobile terminal having a key. 삭제delete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은 메뉴, 응용프로그램의 기능 아이콘, 설정값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17. 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6, wherein the item is one of a menu, a function icon of an application program, and a setting value. 제 16항 내지 제 24항 또는 제 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본체의 일측면에 이웃하는 마주보는 양측면에 연결된 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27. The portable terminal as claimed in any one of claims 16 to 24 or 26, further comprising a band connected to opposing opposite sides adjacent to one side of the second body. 제 16항에 따른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으로,A method of performing a functio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ccording to claim 16, 변경 가능한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되, 상기 항목들 중 특정 항목을 포커스로 포커싱하는 과정과;Displaying inform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changeable items, and focusing a specific item among the items with focus; 상기 용두키에 회전이 발생되면, 상기 회전에 따른 회전량을 산출하는 과정과;Calculating rotation amount according to the rotation when rotation occurs in the crown key; 상기 산출된 회전량에 따라 상기 포커싱한 특정 항목에서 다른 항목으로 상기 포커스를 이동시켜 재포커싱하는 과정과;Refocusing by moving the focus from the focused specific item to another item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otation amount; 상기 통화키를 눌러 상기 포커싱된 항목을 선택하거나 상기 종료키를 눌러 현재 수행중인 기능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실행 방법.Pressing the call key to select the focused item or pressing the end key to end a function currently being performed; and executing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crown key.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량은 상기 용두키의 회전 방향과 회전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rotation amount includes a rotation direction and a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들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30. The method of claim 29, wherein the items are arranged and displayed in at least one of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vertical direction.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된 항목은 다른 항목보다 크거나 밝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31. The method of claim 30, wherein the focused item is displayed larger or brighter than another item.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들은 상기 포커싱된 항목을 중심으로 양쪽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32. 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items are displayed on both sides of the focused item. 제 32항에 있어서, 상기 재포커싱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32, wherein the refocusing process, 상기 용두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항목들을 상기 포커스로 이동시키고, 상기 용두키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항목을 상기 포커스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And moving the items to the focus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rown key, and moving the ite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to the focus. .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재포커싱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31, wherein the refocusing process, 상기 용두키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포커스를 상기 항목들이 배열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포커스를 상기 용두키의 회전각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항목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두키를 갖는 휴대 단말기의 기능 수행 방법.The mobi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rown key, the focus is mov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tems are arranged, and the focus is moved to the item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crown key. How to do this.
KR1020070024702A 2007-03-13 2007-03-13 A mobi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Expired - Fee Related KR1008496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702A KR100849684B1 (en) 2007-03-13 2007-03-13 A mobi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4702A KR100849684B1 (en) 2007-03-13 2007-03-13 A mobi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684B1 true KR100849684B1 (en) 2008-08-01

Family

ID=3988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47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9684B1 (en) 2007-03-13 2007-03-13 A mobi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684B1 (en)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4748A3 (en) * 2009-05-19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particular function through touch event on communication related list
KR20160104365A (en) * 2015-02-26 2016-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 screen by receiving user input
JP2017083978A (en) * 2015-10-26 2017-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Wearable terminal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WO2017126727A1 (en) * 2016-01-22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220139436A (en) * 2013-06-11 2022-10-14 애플 인크.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988995B2 (en) 2015-03-08 2024-05-21 Apple Inc. Compressible seal for rotatable and translatable input mechanisms
US12045416B2 (en) 2014-02-12 2024-07-23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12066795B2 (en) 2017-07-18 2024-08-2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US12086331B2 (en) 2016-07-15 2024-09-10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2092996B2 (en) 2021-07-16 2024-09-17 Apple Inc. Laser-based rotation sensor for a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US12105479B2 (en) 2016-07-25 2024-10-01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2105480B2 (en) 2018-06-25 2024-10-01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2104929B2 (en) 2016-05-17 2024-10-01 Apple Inc. Rotatable crown for an electronic device
US12181840B2 (en) 2013-08-09 2024-12-31 Apple Inc.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12189347B2 (en) 2022-06-14 2025-01-07 Apple Inc. Rotation sensor for a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US12259690B2 (en) 2018-08-24 2025-03-25 Apple Inc. Watch crown having a conductive surface
US12282302B2 (en) 2018-08-02 2025-04-22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2346070B2 (en) 2019-02-12 2025-07-01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542A (en) * 2004-04-07 200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wireless terminal
KR20060043960A (en)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ide key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542A (en) * 2004-04-07 2005-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wireless terminal
KR20060043960A (en)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side keys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4748A3 (en) * 2009-05-19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particular function through touch event on communication related list
US9817546B2 (en) 2009-05-19 2017-1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particular function through touch event on communication related list
US11029816B2 (en) 2009-05-19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particular function through touch event on communication related list
KR20220139436A (en) * 2013-06-11 2022-10-14 애플 인크.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2663770B1 (en) * 2013-06-11 2024-05-10 애플 인크.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2181840B2 (en) 2013-08-09 2024-12-31 Apple Inc. Tactile switch for an electronic device
US12045416B2 (en) 2014-02-12 2024-07-23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12307047B2 (en) 2014-02-12 2025-05-20 Apple In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60104365A (en) * 2015-02-26 2016-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 screen by receiving user input
KR102360177B1 (en) * 2015-02-26 2022-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pplication screen by receiving user input
US11988995B2 (en) 2015-03-08 2024-05-21 Apple Inc. Compressible seal for rotatable and translatable input mechanisms
JP2017083978A (en) * 2015-10-26 2017-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Wearable terminal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WO2017126727A1 (en) * 2016-01-22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Watch-type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2104929B2 (en) 2016-05-17 2024-10-01 Apple Inc. Rotatable crown for an electronic device
US12086331B2 (en) 2016-07-15 2024-09-10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2105479B2 (en) 2016-07-25 2024-10-01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2066795B2 (en) 2017-07-18 2024-08-2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US12105480B2 (en) 2018-06-25 2024-10-01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2282302B2 (en) 2018-08-02 2025-04-22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2259690B2 (en) 2018-08-24 2025-03-25 Apple Inc. Watch crown having a conductive surface
US12346070B2 (en) 2019-02-12 2025-07-01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US12092996B2 (en) 2021-07-16 2024-09-17 Apple Inc. Laser-based rotation sensor for a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US12189347B2 (en) 2022-06-14 2025-01-07 Apple Inc. Rotation sensor for a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9684B1 (en) A mobile terminal having a crown key and a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KR100754674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lecting menu in mobile terminal
EP1635550B1 (en) Display apparatus for multitasking operation of a mobile terminal and related method
JP4828632B2 (en) Housing configuration for portable equipment with display
EP1655657B1 (en) Screen changing method in mobile terminal
US8723808B2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touch rotary dial display
EP187680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rotary key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thereof
US7761806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50098309A1 (en) Multi-media wireless watch
US20100064212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a User Input Interface Opposite a Display
US2008002227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background task
US7215975B1 (en) Portable device
KR20090019918A (en) Operation Mode Switch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O2006106640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function selection startup method used for the same
US7120474B1 (en) Communication device
WO2007036595A1 (en) Electronic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ntrol method
WO2016060848A1 (en) Multi-media wireless watch
JP4960825B2 (en) Terminal device
KR100705020B1 (en) Scroll type mobile terminal
KR20040037998A (en) Method for setting short-cut menu and selecting menu using short-cut key in mobile phone
KR200369021Y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puttable a Pointer
KR20050087221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mode dial and method for setting keypad
KR20060060181A (en) How to Select Menu Items Using Shortcut Key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19440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ointer input and its operation method
KR20020078970A (en) Method for displaying watch information on external display wind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207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2072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