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9138B1 - 무선 헤드셋 - Google Patents

무선 헤드셋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138B1
KR100849138B1 KR1020070133120A KR20070133120A KR100849138B1 KR 100849138 B1 KR100849138 B1 KR 100849138B1 KR 1020070133120 A KR1020070133120 A KR 1020070133120A KR 20070133120 A KR20070133120 A KR 20070133120A KR 100849138 B1 KR100849138 B1 KR 100849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adset
speaker
terminal
micropho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수
강동원
Original Assignee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장애인표준사업장비클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138B1/ko
Priority to PCT/KR2007/006756 priority patent/WO2009078500A1/en
Priority to CNA2008100965150A priority patent/CN10146566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13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Details of 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earphones or monophonic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107Monophonic and stereophonic headphones with microphone for two-way hands fre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도록 된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마이콤, 스피커와 마이크, 무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본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헤드셋은, 특별하게, 일측이 상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접촉되고 타측이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다른 출력장치의 억스잭(AUX jack)에 끼워지는 억스단자(AUX terminal)와, 특정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출 전송하도록 설계된 콜버튼부를 포함한다.
무선, 헤드셋, 무선, 인터페이스, 억스단자, 출력장치, 송수신장치, 콜버튼

Description

무선 헤드셋 {Wireless headset}
본 발명은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능적으로 보강되어 보다 다양한 활용이 가능해진 개량된 무선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통상 헤드셋이란 개인용 음성신호 처리장치로서,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신체의 헤드부분에 착용되며 이 때 본체가 귀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장치를 말한다. 헤드셋은 적용된 걸이수단의 형태에 따라서, 헤어밴드(hair-band)를 사용하는 일반형과, 이어후크(ear-hook)를 사용하는 귀걸이형과, 넥밴드(neck-band)를 사용하는 넥밴드형으로 구분된다. 또한 그 형태와는 관계없이, 대응 송수신장치(예컨대 MP3플레이어, CDP, TV수신기, 휴대전화기 등 또는 이들의 복합장치)와의 접속 방법에 따라 유선형 또는 무선형으로 구분된다.
도 1은 종래의 헤드셋 중에서, 소위 '이어셋'이라고 하는 귀걸이형 헤드셋을 예시한 것이다. 이 헤드셋은 스피커(2)와 마이크(3)를 구비한 본체(1)와, 본체(2) 에 결합되어 착용시 본체(1)의 스피커(3)가 귀 부분에 위치되도록 하는 이어후크(4)를 포함한다. 본체(1)의 표면에는 온/오프버튼(5) 및 볼륨조절버튼(6) 등의 기능버튼이 설치된다. 상기 헤드셋은 본체(1)에 내장된 블루투스 규격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송수신장치와 접속된다. 그리하여 헤드셋과 송수신장치 간에 음성신호의 송수신이 수행된다.
헤드셋을 사용함으로써 송수신장치의 이용이 간편해지는 점, 공공장소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타인의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는 점, 이 헤드셋을 휴대전화기용 핸즈프리장치로 이용할 수 있는 점 등에서, 헤드셋은 상당한 활용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셋은 다음의 두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단지 신체의 헤드부분에 착용되어 이용될 수 있을 뿐이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헤드셋은 신체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는 사용될 수 없으며 더욱이 다른 출력장치 예컨대 음향출력장치, 영상출력장치 또는 이들의 복합장치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없다. 헤드셋 자체가 일종의 음향 출력장치로서 다른 출력장치와 결합될 수 있는 수단을 가지지 않으며, 한편으로는 그 사용방법이 관념상 이미 '헤드착용'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핸즈프리장치로서 단지 수동적으로 이용될 뿐이다. 즉, 종래의 헤드셋 은 음성신호의 입/출력만을 수행할 뿐이며, 이를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특정 상대방에 대한 전화접속을 요청할 수 없다. 전화접속 요청은 오로지 숫자버튼을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는, 신체의 헤드부분에 착용되는 소형의 제품에 콜링(calling)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 개의 숫자버튼을 구비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의 헤드부분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통상의 '포터블모드(portable mode)'로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출력장치와 물리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헤드셋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극적으로 특정한 상대방과의 전화접속을 요청할 수 있도록 된 헤드셋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무선 헤드셋은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 스피커와 마이크,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포터블모드에서 본체를 귀 부분에 위치하게 하는 걸이수단을 포함한다. 이 점에서는 보통의 헤드셋과 다르지 않다.
본 발명의 헤드셋은, 특징적으로: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다른 출력장치의 억스잭(AUX jack)에 끼워져 접속될 수 있도록 된 억스단자(AUX terminal)와;
특정의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저장된 전화번호를 추출 전송하도록 설계된 콜버튼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억스단자는 힌지 메카니즘을 통하여 본체를 중심으로 회전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이 걸이수단을 포함하며, 당연하게 종래의 헤드셋과 마찬가지로 포터블모드로서의 적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은 억스단자를 포함하며, 따라서 다른 출력장치의 억스잭에 끼워 사용하는 억스모드(AUX mode)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헤드셋은 포터블모드 또는 억스모드로 변환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위의 특징과 동시에, 본 발명의 헤드셋은 전화번호 메모리와 상기 전화번호에 연계된 콜버튼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헤드셋은 단순히 수동적 핸즈프리기능을 갖는 것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전화통화 상대방을 호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의 헤드셋을 이용하여 필요한 상대방과의 전화통화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 기재된 본 발명 무선 헤드셋의 특징과 효과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 기재를 통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우선 밝혀둘 것 은,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으로서 귀걸이형 헤드셋을 예시하고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그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헤드셋은 부호 10으로 표기된다. 상기 헤드셋(10)은 스피커(14)와 마이크(15)를 포함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각각 결합된 걸이수단(12)과 억스단자(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헤드셋(10)은 상기 걸이수단(12) 및 억스단자(13)로 인하여, 포터블모드 또는 옥스모드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게 된다.
귀걸이형 이어후크로 도시된 걸이수단(12)은 본체(1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걸이수단(12)을 매개로 하여 헤드셋(10)이 헤드부분에 착용되어 포터블모드로 적용되었을 때, 본체(11)는 귀 부분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스피커(14)가 귀에 위치하며 마이크(15)가 입에 근접하게 또는 입을 향하여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걸이수단(12)은, 헤드셋(10)을 헤드부분에 착용했을 때에 본체(11)가 귀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수단이면 족하며, 본 발명이 상기 걸이수단(12)의 구체적인 형태나 명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걸이수단(12)으로서는 도시된 상기 이어후크 이외에 헤어밴드, 넥밴드 기타 알려진 수단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본체(11)는 스피커(14)와 마이크(15) 이외에, 표면에 배치 형성되는 온/오프버튼(16) 및 볼륨 업/다운버튼(17)등의 기능버튼을 포함한다. 다만, 헤드셋(10)에 이러한 요소들을 구비하는 것 자체가 본 발명에서 특별한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한 기능버튼들(16,17)이 본 발명의 헤드셋(10)에서 반드시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헤드셋(10)이 억스단자(13)를 통하여 다른 출력장치의 억스잭에 끼워져 억스모드로 적용될 때에는 그 출력장치의 기능버튼들이 전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헤드셋(10)이 억스모드로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 본체(11)의 스피커(14)는 동작하지 않는 것이 음향출력의 완성도를 위하여 오히려 좋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 상기 스피커(14)는 착탈식으로 구비되며, 장착과 동시에 마이콤(MICOM: microcomputer)과 회로 연결되도록 설계된다.
한편, 포터블모드에서 마이크(15)는 입에 근접하게 위치해 있으므로 그 감음레벨이 낮게 그리고 일정하게 설정되어 있어도 사용상 별 문제가 없다. 그러나 억스모드에서는 마이크(15)가 입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최초에 설정된 레벨로는 마이크(15)의 사용이 불가능해 질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15)의 감음레벨은 조정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 스피커(14)의 착탈을 마이콤이 감지하여 스피커(14)가 이탈되었 을 때 마이크(15) 감음레벨은 '하이(high)'로 되고, 스피커(14)가 장착되었을 때 감음레벨은 '로우(low)'로 조정된다. 억스모드에서는 어차피 스피커(14)를 분리하는 것이 출력 완성도에서 유리한 것이고, 따라서 스피커(14)의 분리와 함께 마이크(15)의 감음 레벨이 하이로 조정되도록 설계하는 것은 최적의 조합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마이크(15)의 감음레벨이 별도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조정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마이크(15)의 감음레벨을 높게 또는 낮게 조정되도록 함으로써, 포터블모드이든 억스모드이든 상기 헤드셋(10)의 핸즈프리 기능은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억스단자(13)는 동축단자로서, 그 일측이 본체(11)의 마이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본체(11)에 결합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11)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출력장치의 억스잭에 직접 끼워져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헤드셋(10)은 이 억스단자(13)에 의하여 억스모드로의 적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1)는 위에 설명된 요소(14,15,16,17) 이외에 무선통신용 인터페이스(18), 메모리(19), 콜버튼부(2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11)를 구성하는 각 요소(14-20)는 마이콤(21)에 회로 접속되어, 당연하게 상기 마이콤(21)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인터페이스(18)는 헤드셋(10)이 대응하는 송수신장치와 무선통신 가능하도록 하는 요소로서, 바람직하게는 무선통신 표준인 통상의 블루투스 규격이 사용되지만, UWB(Ultra Wideband)나 바이너리 CDMA 또는 기타 알려진 무선통신 규격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9)는 특정의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이며, 상기 콜버튼부(20)는 상기 전화번호에 연계되어 그 번호를 추출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입력 저장된 상기 전화번호는 헤드셋(10)의 제작자 또는 판매자에 의하여 일괄적으로 정해진 번호이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정해진 번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콜센터(call center) 번호, 긴급용 번호 또는 자주 사용하는 번호 등이 입력될 것이다.
상기 콜버튼부(20)가 조작되면, 그에 연계된 전화번호가 메모리(19)로부터 추출되어, 대응 송수신장치인 휴대전화기(도 6의 부호 36 참조)에 전송되고, 휴대전화기를 통하여 그 전화번호에 대한 호출신호가 송출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억스단자(13)는 본체(11)와의 관계에서 힌지 메카니즘을 통하여 회전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억스단자(13)는 라운드형 단부면을 가지며, 이 단부면에는 연속하는 요철(21)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11)는 상기 단부면에 접하는 대응면을 가지며, 이 대응면에는 스프링(2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돌출 스토퍼(23)가 설치된다.
억스단자(13)와 본체(11)는 상기 단부면과 대응면이 서로 접하면서 힌지축(22)으로 결합되며, 이에 억스단자(13)는 본체(11)를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해 진다. 이 때 스토퍼(23)는 요철(21)의 홈에 배치되고 억스단자(13)의 단부면을 압박하여, 억스단자(13)의 회전을 제어한다. 따라서 억스단자(13)는 본체(11)를 중심으로 필요한 만큼의 회전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헤드셋(10)은 억스단자(13)가 차량 내부에 설치된 출력장치의 억스잭에 직접 끼워질 수 있다. 부호 30은 차량 내에 설치된 출력장치이며, 부호 31은 상기 출력장치(30)에 전송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억스잭이다. 상기 힌지 메카니즘이 적용되어 있음에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억스단자(13)는 필요한 만큼 회전되고, 상기 억스잭(31)에 끼워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헤드셋(10)은 억스모드로 사용되는 것이다. 억스모드에서, 휴대전화기(36)와 같은 송수신장치와 헤드셋(10) 간에는 인터페이스(17)를 통한 무선통신이 수행되고, 상기 헤드셋(10)과 차량의 출력장치(30) 간에는 억스단자(13)와 억스잭(31)을 경유하는 유선통신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헤드셋(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포터블모트 또는 억스모드로 사용이 가능하다. 어느 경우이든 헤드셋(10)은 송수신장치와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며, 포터블모드에서는 그 송수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음향출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헤드셋(10)이라고 하여 포터블모드의 적용이 통상의 헤드셋의 경우와 다르지 않으므로, 헤드셋(10)의 포터블모드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억스모드 중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 무선 헤드셋(10)의 핸즈프리 기능을 설명한다. 먼저 억스단자(13)를 다른 출력장치(30)의 억스잭(31)에 끼워 넣음으로서, 헤드셋(10)을 억스모드 상태로 준비한다.
휴대전화기(36)로 호출신호가 도착했음이 확인되고, 본체(11)의 온/오프버튼(18)을 눌러 헤드셋(10)을 가동시키면, 접속을 요청한 상대방과의 호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휴대전화기(36)로부터 전송된 음성/영상신호는 헤드셋(10)으로 수신되고, 억스단자(13)를 경유하여 출력장치(30)에 도달된다. 그 후, 출력장치(30)는 수신한 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출력한다. 한편, 마이크(15)를 통한 음성신호는 인터페이스(18)를 통해 휴대전화기(36)로 전송되고, 휴대전화기(36)의 안테나를 통해 송출된다.
스피커(14)의 분리를 통하여 마이크(15)의 감음레벨은 이미 하이로 조정되어 있으므로, 송출되는 음성신호의 레벨은 충분하다. 예를 들어, 마이크(15)의 레벨이 포터블모트와 같이 여전히 낮아진 상태라면, 마이콤(21)에서 음성출력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레벨조정을 요구할 수 있다.
전화통화를 위한 호접속 요청은 본 발명의 헤드셋(10)을 통해서도 할 수 있는 바, 헤드셋(10) 온(ON) 상태에서 콜버튼부(20)의 조작에 의하여 메모리(19)에 저장된 특정의 전화번호가 추출되고, 추출된 전화번호는 휴대전화기(36)를 경유하여 송출되며, 이에 따라 원하는 상대방과의 호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호접속이 이루어지면, 본 발명의 헤드셋(10)은 위와 같은 핸즈프리기능을 수행한다.
타 출력장치(30)를 통한 음성/영상출력 및 마이크(15)를 통한 음성입력이 반복되고, 이용자에 의하여 헤드셋 오프(OFF) 상태로 되면 헤드셋(10)의 억스모드 이용이 종료된다.
이상에서는 송수신장치로서 휴대전화기를 예를 들고 핸즈프리 기능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헤드셋(10)과 무선 접속된 송수신장치에 따라서는 MP3신호, AM/FM 라디오신호, DMB(Digital Multi-Broadcasting)신호 등이 동일한 신호전송 및 출력 체계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헤드셋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본체의 블럭 구성도.
도 4는 도 2의 억스단자의 결합관계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면.
도 5는 도 2의 억스단자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적용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셋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무선 헤드셋 11. 본체
12. 걸이수단 13. 억스단자
14. 스피커 15. 마이크
18. 인터페이스 19. 메모리
20. 콜버튼부 30. 출력장치
36. 휴대전화기

Claims (7)

  1. 헤드셋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 스피커와 마이크, 대응 송수신장치와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전화번호를 추출하고 상기 송수신장치로서의 휴대전화기에 전송하여 호출신호의 송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작되는 콜버튼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헤드셋의 헤드부분 착용시에 상기 본체가 귀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는 걸이수단과;
    일측이 상기 마이콤에 접속되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다른 출력장치의 억스잭에 끼워져 접속될 수 있도록 된 억스단자와;
    연속하는 요철이 형성된 단부면을 가진 상기 억스단자와, 상기 단부면에 접촉하는 대응면을 가진 상기 본체와, 상기 단부면과 대응면이 접촉하는 상태로 상기 억스단자와 상기 본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축과, 상기 억스단자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제어하는 돌출스토퍼로 이루어진 힌지 메카니즘;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은 헤어밴드, 이어후크 또는 넥밴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는 감음레벨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마이크는 감음레벨이 스피커 분리시 하이(high)로 전환되고 스피커 장착시 로우(low)로 전환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헤드셋.
  6. 삭제
  7. 삭제
KR1020070133120A 2007-12-18 2007-12-18 무선 헤드셋 Expired - Fee Related KR100849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120A KR100849138B1 (ko) 2007-12-18 2007-12-18 무선 헤드셋
PCT/KR2007/006756 WO2009078500A1 (en) 2007-12-18 2007-12-21 Wireless headset
CNA2008100965150A CN101465661A (zh) 2007-12-18 2008-05-12 无线头戴式送受话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120A KR100849138B1 (ko) 2007-12-18 2007-12-18 무선 헤드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138B1 true KR100849138B1 (ko) 2008-07-30

Family

ID=3982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1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9138B1 (ko) 2007-12-18 2007-12-18 무선 헤드셋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849138B1 (ko)
CN (1) CN101465661A (ko)
WO (1) WO20090785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11A1 (en) * 2014-08-25 2016-03-03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ll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208Y1 (ko) 2000-05-26 2000-11-15 정병희 휴대용 무선통신단말기의 핸즈프리장치
KR200302150Y1 (ko) 2002-09-24 2003-01-30 (주)텔레넷피아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mp3 플레이어 겸용 무선 헤드셋
KR20060035442A (ko) * 2004-10-22 2006-04-26 (주)한국무선네트워크 다기능 블루투스 헤드셋
KR100689881B1 (ko) 2005-11-02 2007-03-09 주식회사 디오스텍 리시버를 이용한 스테레오 무선 헤드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322B1 (ko) * 2004-02-21 2007-01-30 최호준 귀걸이형 헤드셋
KR100727292B1 (ko) * 2006-11-17 2007-06-13 주식회사 디오스텍 외장스피커를 스피커폰으로 활용할 수 있는 무선 헤드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2208Y1 (ko) 2000-05-26 2000-11-15 정병희 휴대용 무선통신단말기의 핸즈프리장치
KR200302150Y1 (ko) 2002-09-24 2003-01-30 (주)텔레넷피아 블루투스 모듈이 장착된 mp3 플레이어 겸용 무선 헤드셋
KR20060035442A (ko) * 2004-10-22 2006-04-26 (주)한국무선네트워크 다기능 블루투스 헤드셋
KR100689881B1 (ko) 2005-11-02 2007-03-09 주식회사 디오스텍 리시버를 이용한 스테레오 무선 헤드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11A1 (en) * 2014-08-25 2016-03-03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lling the same
US10057397B2 (en) 2014-08-25 2018-08-21 Lg Electronics Inc.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65661A (zh) 2009-06-24
WO2009078500A1 (en)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3862B2 (en) Wireless headphones with selective connection to auxiliary audio devices and a cellular telephone
US20020067825A1 (en) Integrated headphones for audio programm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 biased microphone boom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JPH06292195A (ja) 携帯無線式tv電話
KR20090007694A (ko) 오디오 헤드셋
US20100081488A1 (en)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50008147A1 (en) Two-purpose wireless hand-free earphone set for use in driving
KR20060092487A (ko) 휴대폰용 리모컨
KR100849138B1 (ko) 무선 헤드셋
RU2006146740A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и телевидени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ее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0849137B1 (ko) 억스단자를 갖는 무선 헤드셋
JP4382773B2 (ja) 携帯端末のハンズフリー兼用リモコン装置
WO2001019054A1 (en) Integrated headphones for audio programm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s with a biased microphone boom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KR200218536Y1 (ko) 이동 단말기의 무선 핸즈프리시스템
KR20000018393U (ko) 안테나가 내장된 목걸이줄을 구비한 휴대폰
KR1013663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음성 입출력 제어방법
JPH06292197A (ja) 携帯無線式tv電話
KR100425703B1 (ko) 휴대용 단말기
JP3112619U (ja) 携帯機器用のイヤホン装置
KR1007365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268709Y1 (ko) 라디오가 내장된 모자
KR100349098B1 (ko) 음성인식 핸드프리장치
KR1006197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음량 조정이 가능한 이어폰-마이크장치
KR200289574Y1 (ko) 홈 멀티핸즈프리 다기능 시스템
KR20050028486A (ko) 무선 이어폰 세트
JP3204265B2 (ja) 携帯無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