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8621B1 -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621B1
KR100848621B1 KR1020070069718A KR20070069718A KR100848621B1 KR 100848621 B1 KR100848621 B1 KR 100848621B1 KR 1020070069718 A KR1020070069718 A KR 1020070069718A KR 20070069718 A KR20070069718 A KR 20070069718A KR 100848621 B1 KR100848621 B1 KR 10084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vertical
link
ro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기
Original Assignee
장순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기 filed Critical 장순기
Priority to KR1020070069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62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08Wrapping of articles
    • B65B67/10Wrapping-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2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spending sacks, e.g. pedal- operated
    • B65B67/1227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spending sacks, e.g. pedal- operated only by a part of the periphery, e.g. by single points or handles, or by one side or two opposite side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7/00Apparatus or devices facilitating manual packaging operations; Sack holders
    • B65B67/12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 B65B67/1255Sack holders, i.e. stands or frames with means for supporting sacks in the open condition to facilitate filling with articles or materials characterised by positively acting means for stretching the mouth of the sack into the open condition, e.g. using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65B5/061Filled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는, 볼트가 채워진 볼트팩을 올려놓기 위한 테이블 및 그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포대 받침판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테이블과 수평 배치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수직하게 회동되게 설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포대를 확장 지지하는 포대지지판을 구비한 포대고정 수단과, 상기 포대고정 수단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포대 일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판을 구비한 가압수단과, 상기 포대고정 수단의 힌지 축에 결합된 걸림캠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걸림력을 작용하는 로드 및 작업자의 조작력을 받아 로드를 후퇴시켜 걸림력을 해제하는 풋 레버를 구비한 조작수단과, 상기 포대고정 수단의 수직 회동시 이를 감지하여 포대 받침판을 하강시키는 구동 실린더를 구비한 승강 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는 구조가 간소하고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볼트, 너트, 포장, 포대

Description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PACKING DEVICE OF SAG}
본 발명은 포대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량 포장된 팩 단위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포대에 담기 위한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트는 제조된 후 비닐봉투에 일정 수량 담아 팩 단위로 포장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렇게 포장된 볼트 팩은 일정 수량을 단위로 하여 물건을 담을 수 있도록 헝겊이나 합성원사를 엮어서 만든 포대에 담아서 납품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비닐봉투에 담긴 볼트 즉, 볼트팩을 포대에 담는 작업을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작업자가 볼트가 채워진 비닐봉투인 볼트팩을 손으로 잡고 포대의 입구를 벌린 상태에서 투입시켜야 하는데, 상기 볼트팩의 무게가 상당하여 반복 작업으로 인해 작업자에게 허리 통증과 같은 근육통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상해를 유발하는 원인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포대 포장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그에 따른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구조에 의해 사용상의 편의성과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볼트팩의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는, 볼트가 채워진 볼트팩을 올려놓기 위한 테이블 및 그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포대 받침판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테이블과 수평 배치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수직하게 회동되게 설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포대를 확장 지지하는 포대지지판을 구비한 포대고정 수단과; 상기 포대고정 수단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포대 일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판을 구비한 가압수단과; 상기 포대고정 수단의 힌지 축에 결합된 걸림캠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걸림력을 작용하는 로드 및 작업자의 조작력을 받아 로드를 후퇴시켜 걸림력을 해제하는 풋 레버를 구비한 조작수단과; 상기 포대고정 수단의 수직 회동시 이를 감지하여 포대 받침판을 하강시키는 구동 실린더를 구비한 승강 구동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포대 받침판은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기둥의 일측에 구름접촉되는 롤러를 구비하여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포대고정 수단은 상호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고정 수직판부와 가동수직판부로 된 포대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수직판부의 일측에는 외주면에 코일 스프링이 끼워진 샤프트의 일단이 접합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의 타단은 가동수직판부를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것에 의해 수직고정판부와 가동수직판부가 탄력적으로 이격되며, 상기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그 일측끝단이 가동수직판부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당길 수 있도록 된 당김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포대고정 수단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수직 브라켓트와; 상기 한쌍의 수직 브라켓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회동축부 및 이 회동축부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력을 받는 회동레버로 된 조작레버와; 상기 회동축부에 일단이 접합고정되는 판재형의 가압판과; 상기 한쌍의 수직 브라켓트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가압판의 일측으로 회동축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강 스프링에 의해 하향향의 탄성력을 받는 것으로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회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조작수단은 축방향 이동되게 구비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끝단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축에 의해 회동되는 제1링크 및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는 제2링크 그리고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면서 타단은 하향 연장되어 끝단부가 힌지 결합된 풋 레버의 중간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3링크로 된 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와 수직기둥의 일측을 연결하여 로드를 걸림캠에 접촉시키는 제동스프링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승강 구동원은 상기 포대고정 수단의 수직 회동을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축을 돌출시키는 구동 실린더와; 상기 구동 실린더의 축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는 제1승강링크와;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향 돌출되며 상기 제1승강링크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포대 받침판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2승강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는 구조가 간소하고 조작이 용이하여 사용상의 편의성과 동작의 신뢰성을 높이고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그에 따른 작업능률 향상과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완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대 포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대 포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대 포장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끝으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1) 크게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되는 공간과 뼈대를 제공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포대를 개구상태로 유지시키는 포대고정 수단(20) 그리고 포대고정 수단(20)의 일측을 가압지지하는 가압수단(30) 및 상기 포 대고정 수단(20)의 록킹된 상태를 해제하여 수평 상태에서 수직 상태로 회동되게 하는 조작수단(40)과, 상기 회동된 포대를 하강시키는 승강 구동원(50)으로 구성된다.
프레임(10)은 볼트가 채워진 볼트팩(bp)을 올려놓기 위한 작업용 테이블(11)과, 상기 테이블(11)의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할 승강 구동원(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포대 받침판(15)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포대 받침판(15)은 상기 프레임(10)을 구성하는 수직기둥(13)의 일측에 구름접촉되는 롤러(16)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상·하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대고정 수단(20)은 상술한 프레임(10)의 일측에 상기 테이블(11)과 수평 배치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수직하게 회동되게 설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포대를 개구 상태로 확장 지지히는 포대지지판(21)을 구비한다.
즉, 상기 포대고정 수단(20)에서 상기 포대지지판(21)은 상호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판재형의 부재인 고정 수직판부(21a) 및 가동수직판부(21b)로 구성되며, 이들 고정 수직판부(21a)와 가동수직판부(21b)는 힌지축(27)에 의해 상술한 프레임(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27)에는 걸림캠(28)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이때의 상기 걸림캠(28)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술할 로드(41)의 끝단부가 걸림되는 것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도록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수직판부(21a)의 일측에는 외주면에 코일스프링(24)이 끼워진 샤프트(23)의 일단이 접합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23)의 타단은 가동수직판부(21b)을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기 고정 수직판부(21a)와 가동수직판부(21b)가 탄성지지력에 의해 이격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23)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그 일측 끝단이 가동수직판부(21b)에 연결되어 작업자 가 당길 수 있도록 한 당김 레버(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포대고정 수단(20)은 힌지축(27)을 기준으로 90도 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10)의 테이블(11)과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수직 상태시에는 포대(p)의 입구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가압수단(30)은 상술한 포대고정 수단(20)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포대 일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판(31)을 구비한다.
즉, 상기 가압수단(30)은 상술한 포대고정 수단(20)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수직 브라켓트(31)와, 상기 한쌍의 수직 브라켓트(3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동축부(32a) 그리고 상기 회동축부(32a)의 일단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력을 받는 회동레버(32b)로 된 조작레버(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축부(32a)에는 가압판(31)의 일단이 접합 고정되는데, 이때의 상기 가압판(31)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재형의 부재로서 포대(p)의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포대고정 수단(20)의 회동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한쌍의 수직 브라켓트(31) 중 어느 하나에는 상부 일측에 걸림돌기(31a)가 돌출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걸림돌기(31a)는 상기 가압판(31)의 일측으로 회동축부(32a)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강 스프링(33)에 의해 하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을 받는 회동판(34)이 걸림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압수단(30)은 작업자가 회동레버(32b)를 앞쪽으로 잡아 당겨 상기 회동판(34)이 걸림돌기(31a)에서 이탈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면 하강 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회동판(34)이 하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동판(34)의 하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회동판(34)과 회동축부(32a)로 연결된 가압판(31)이 하향 회도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포대(p)의 일측을 가압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조작수단(40)은 상기 포대고정 수단(20)의 힌지축에 결합된 걸림캠(28)에 탄력적으로 걸림 접촉되는 것에 의해 걸림력을 작용하는 로드(41) 및 작업자의 조작력을 받아 로드(41)를 후퇴시켜 걸림력을 해제하는 풋 레버(43) 그리고 상기 로드(41)에 작업자로부터 조작력을 입력받는 풋 레버(43)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링크부재(42) 끝으로 상기 로드(41)를 걸림캠(28)에 걸림될 수 있게 탄성 지지하는 제동스프링(45)으로 구성된다.
상기 로드(4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부재로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링크부재(42)는 상기 로드(41)의 끝단부에는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축(41a)이 연결된느 제1링크(42a)와, 상기 회전축(41a)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는 제2링크(42b) 그리고 상기 제2링크(42b)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면서 타단은 하향 연장되어 끝단부가 힌지 결합된 풋 레버(43)의 중간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3링크(42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동스프링(45)은 상기 제1링크(42a)와 수직기둥(13)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기 로드(41)를 걸림캠(28)에 접촉시키도록 탄성 지지력을 작용한다. 이러한 제동스프링(45)은 공지의 코일 스프링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승강 구동원(50)은 상기 포대고정 수단(20)의 수직 회동시 이를 감지하여 포대 받침판(15)을 하강시키는 구동 실린더(5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승강 구동원(50)은 상기 포대고정 수단(20)의 수직 회동을 감지하는 감지기(51)와, 상기 감지기(51)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축을 돌출시키는 구동 실린더(53)와, 상기 구동 실린더(53)의 축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는 제1승강링크(54) 및 상기 프레임(1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향 돌출되며 상기 제1승강링크(54)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는 지지대(56) 그리고 상기 지지대(56)와 포대 받침판(15)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2승강링크(5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기(51)는 공지의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접촉식 감지센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는 포대고정 수단(20)의 회동을 감지할 수 있다면 적절히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구동 실린더(53)는 공지의 유공압 실린더가 사용되거나 또는 전원공급에 의해 로드를 출몰시키는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포대고정 수단(20)이 수평 상태로 회전되게 조절된 상태에서 포대(p)를 포대지지판(21)에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는 상기 포대고정 수단(20)의 당김 레버(25)를 앞쪽으로 당기면 상기 당김 레버(25)의 끝단과 연결된 포대지지판(21)을 구성하는 가동수직판부(21b)이 코일스프링(24)을 압축시키면서 고정 수직판부(21a) 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포대(p)의 입구를 벌려 고정 수직판부(21a)와 가동수직판부(21b)가 수용될 수 있게 씌운다. 이어서 상기 당김 레버(25)의 조작력을 해제하면 코일스프링(2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 수직판부(21a)와 가동수직판부(21b)가 상호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포대(p)를 벌려진 상태로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테이블(11)에 올려놓은 볼트팩(bp)을 포대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포대에 적정량의 볼트팩(bp)이 채워지면 작업자는 조작수 단(40)을 구성하는 풋 레버(43)를 발로 밟아 조작력을 가한다. 그러면, 상기 풋 레버(43)에 연결된 링크부재(42)가 로드(41)를 당겨 걸림캠(28)에서 이탈되는 것에 의해 상기 포대고정 수단(20)이 볼트팩(bp)의 자중에 의해 수직하게 회동하게 된다.
상기 포대고정 수단(20)이 수직하게 회동되면 상기 감지기(51)가 이를 감지하여 승강 구동원(50)을 구동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승강 구동원(50)과 연결된 포대 받침판(15)이 하강하게 되고, 작업자는 포대의 입구 부분을 끈 등을 이용하여 폐쇄시킨 뒤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볼트팩(bp)의 포대 포장작업이 종료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대 포장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대 포장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대 포장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대 포장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10 : 프레임
11 : 테이블 13 : 수직기둥
15 : 포대 받침판 20 : 포대고정 수단
21 : 포대지지판 21a : 고정 수직판부
21b : 가동수직판부 23 : 샤프트
24 : 코일스프링 25 : 당김 레버
30 : 가압수단 31 : 가압판
32 : 조작레버 32a : 회동축부
31b : 회동레버 33 : 하강 스프링
34 : 회동판 40 : 조작수단
41 : 로드 42 : 링크부재
43 : 풋 레버 50 : 승강 구동원
51 : 감지기 53 : 구동 실린더
56 : 지지대 bp : 볼트팩

Claims (6)

  1. 볼트가 채워진 볼트팩을 올려놓기 위한 테이블 및 그 하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포대 받침판을 구비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테이블과 수평 배치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수직하게 회동되게 설치되고 탄성력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포대를 확장 지지하는 포대지지판을 구비한 포대고정 수단과;
    상기 포대고정 수단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에 의해 포대 일측을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판을 구비한 가압수단과;
    상기 포대고정 수단의 힌지 축에 결합된 걸림캠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걸림력을 작용하는 로드 및 작업자의 조작력을 받아 로드를 후퇴시켜 걸림력을 해제하는 풋 레버를 구비한 조작수단과;
    상기 포대고정 수단의 수직 회동시 이를 감지하여 포대 받침판을 하강시키는 구동 실린더를 구비한 승강 구동원;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 받침판은 상기 프레임을 구성하는 수직기둥의 일측에 구름접촉되는 롤러를 구비하여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대고정 수단은 상호 간격을 두고 수직하게 배치되는 고정 수직판부와 가동수직판부로 된 포대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수직판부의 일측에는 외주면에 코일 스프링이 끼워진 샤프트의 일단이 접합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의 타단은 가동수직판부를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것에 의해 수직고정판부와 가동수직판부가 탄력적으로 이격되며, 상기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면서 그 일측끝단이 가동수직판부에 연결되어 작업자가 당길 수 있도록 된 당김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포대고정 수단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한쌍의 수직 브라켓트와;
    상기 한쌍의 수직 브라켓트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회동축부 및 이 회동축부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작업자의 조작력을 받는 회동레버로 된 조작레버와;
    상기 회동축부에 일단이 접합고정되는 판재형의 가압판과;
    상기 한쌍의 수직 브라켓트 중 어느 하나의 상부 일측에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가압판의 일측으로 회동축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하강 스프링에 의해 하향향의 탄성력을 받는 것으로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회동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수단은, 축방향 이동되게 구비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의 끝단부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회전축에 의해 회동되는 제1링크 및 상기 회전축에 일단이 일체로 결합되는 제2링크 그리고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면서 타단은 하향 연장되어 끝단부가 힌지 결합된 풋 레버의 중간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3링크로 된 링크부재와;
    상기 제1링크와 수직기둥의 일측을 연결하여 로드를 걸림캠에 접촉시키는 제동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원은 상기 포대고정 수단의 수직 회동을 감지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축을 돌출시키는 구동 실린더와;
    상기 구동 실린더의 축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는 제1승강링크와;
    상기 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향 돌출되며 상기 제1승강링크의 타단이 힌지 연결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포대 받침판(15)에 각각 힌지 연결되는 제2승강링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KR1020070069718A 2007-07-11 2007-07-11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48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718A KR100848621B1 (ko) 2007-07-11 2007-07-11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718A KR100848621B1 (ko) 2007-07-11 2007-07-11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621B1 true KR100848621B1 (ko) 2008-07-28

Family

ID=39825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7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8621B1 (ko) 2007-07-11 2007-07-11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6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316A (ja) 1996-10-02 1998-05-06 Okabe Lock:Kk 袋押込み式敷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4316A (ja) 1996-10-02 1998-05-06 Okabe Lock:Kk 袋押込み式敷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260591B2 (en) Film clamp and rel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wrapping loads
US6772573B2 (en) Automatic stretch film roll changer
KR100848621B1 (ko) 볼트용 포대 포장장치
KR102644693B1 (ko) 포장용 수동 랩핑기
CA2597214C (en) Bulk bag filler with hook latch mechanism
US7313897B2 (en) Garment bagging apparatus
CN220483804U (zh) 服装折叠打包设备
KR100886355B1 (ko) 자동 세탁물 포장장치
KR101718619B1 (ko) 방수원단 압착용 회전식 열 프레스
JP2004010222A (ja) エレベータタイダウン装置の係止解除装置
JP2008254605A (ja) 駐輪装置
JP2005145571A (ja) 昇降装置
KR100770730B1 (ko) 포장용 스트랩 공급장치
RU189480U1 (ru) Держатель запасного коле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11895879U (zh) 一种电动提升机
EP0657357A1 (en) Apparatus for getting an umbrella received into an umbrella cover
JPS5851508B2 (ja) 物品搬送仲介装置
GB2436322A (en) Handling of bags to be filled
CN207726579U (zh) 一种大型设备安装用吊装构架
JP4979994B2 (ja) 包装補助具およびこの包装補助具を用いた包装機
CN215885450U (zh) 一种夹持式旋转倒包机
KR0134019B1 (ko) 간이 지게차
ITMO20110284A1 (it) Macchina avvolgitrice per bagagli
CN105084268B (zh) 带有走线机构的取料机
US365686A (en) Bag-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P16-X000 Ip right document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Q16-X000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307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30722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