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7104B1 -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7104B1
KR100847104B1 KR1020060116301A KR20060116301A KR100847104B1 KR 100847104 B1 KR100847104 B1 KR 100847104B1 KR 1020060116301 A KR1020060116301 A KR 1020060116301A KR 20060116301 A KR20060116301 A KR 20060116301A KR 100847104 B1 KR100847104 B1 KR 100847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ushroom
guava
fermented
atopic dermatit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373A (ko
Inventor
문상욱
서인수
Original Assignee
문상욱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상욱,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문상욱
Publication of KR20070055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2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fung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4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아바 추출물을 버섯 균사체, 젖산균, 및/또는 효모로 발효시켜 얻어지는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개시한다.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Description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ing an Atopy}
도 1은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포함되는 구아바 발효 조성물(A)과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의 에오탁신-1의 생성 억제 활성을 대비하여 보여주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아바(guajava)는 테르페노이드, 플라보노이드, 탄닌, 비타민, 여러 무기물질 등 여러 생리활성 물질을 지니고 있어 오래전부터 약용식물로 사용되어 온 식물이다.
특히 구아바는 항당뇨 활성, 항산화 활성, 항비만 활성, 항아토피 활성 등의 약리활성을 지닌다고 알려져 있다.
구아바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하나는 구아바 의 약리활성에 착안하여 구아바를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이며, 다른 하나는 구아바의 약리활성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연구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3-0026939호 등이 전자에 속하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119336호 등이 후자에 속한다.
본 발명은 상기 후자의 경우와 같이 구아바가 지니는 약리활성 특히 항아토피 활성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관점에서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약리활성이 강화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여타의 목적이나 구체적인 양태 등은 이하에서 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은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보여지듯이, 구아바 잎을 극성 용매(구체적으로는 물)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식용버섯인 상황버섯균사체 및/또는 차가버섯균사체와 젖산균 및/또는 효모액으로 발효시켜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발효되기 전의 구아바 잎 추출물보다는 더 높은 항아토피 활성을 가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는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화장료을 제조하고 이를 아토피 피부염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사용하도록 한 결과,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구아바 잎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보다는 더 높게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시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보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홀마커(hallmarker)로 여겨지고 있는 에오탁신-1(Mol. Med., 1996 May;2(3):334-348; J Immunol. 2000 Apr. 1;164(7):3847-54.) 생성도 더 높게 억제함도 확인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험 결과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토피 개선제 조성물은 하기 (a) 및 (b)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 구아바 잎을 극성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그 추출물에 식용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구아바"란 일차적으로는 식물 분류학상 페시디움 속(Psidium sp .) 식물로서 구아바로 알려진 식물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구아바는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에 사용된 페시디움 구아바(Psidium guajava L.) 뿐만 아니라, 구이사로(Guisaro; Psidium guinense SW.), 코스타 리칸 구아바(Costa Rican Guava; Psidium friendrichsthalianum Ndz.), 파라 구아바(Para Guava; Psidium acutangulum DC.)를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한편, 캐틀레이 구아바(Cattley Guava), 스트로우베리 구아바(Strawberry Guava), 브라질리안 구아바(Brazilian Guava; Feijoa sellowiana Berg.). 구아바 베리(Guavaberry; Myrciaria floribunda Berg.), 파인애플 구아바(Pineapple Guava ; feijoa) 등 구아바의 유사 종으로 분류되고 있는 식물의 경우도,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기초하는 한, 상기 식물의 잎을 극성 용매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을 버섯 균사체(및/또는 젖산균, 효모)로 발효시킬 경우에, 그 발효물이 항아토피 활성을 가질 것인가에 대한 예측, 확인·선별이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 속하는 이상, 상기 "구아바"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 된다.
이처럼,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구아바"는 식물 분류학상 페시디움 속 식물로서 구아바로 알려진 식물 이외에 상기 열거한 구아바 유사 종을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사용되고 실제 검증된 페시디움 구아바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극성 용매"란 극성을 띤 분자로 이루어진 용매를 의미하는데, 예컨대 물, 증류수, 에탄올 등의 탄소수가 5 이하의 저급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추출물"이란 액상 형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컨대, 상기 구아바 잎을 알콜을 사용하여 추출할 경우, 그 추출물에 알콜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버섯 균사체가 생육하기에 적당하지 아니하므로, 이 때는 버섯 균사체에 의한 발효에 그 알콜이 제거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사용하거나 그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물 등의 적당한 용매로 용해 또는 희석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하기 실시 예에서는 극성 용매인 물을 사용하였고, 그 얻어진 추출물을 고형분 함량이 20%가 될 때까지 농축시켜 버섯 균사체의 배양에 사용하였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식용버섯"이란 사람이 식품 또는 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버섯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상기 식용버섯에는 예컨대, 느타리 버섯, 노랑느타리버섯, 잣버섯, 벚꽃버섯(밤버섯), 붉은산무명버섯, 연기색만가닥버섯, 자주졸각버섯, 졸각버섯, 혹깔때기버섯, 하늘색깔때기버섯, 민자주방망이버섯, 왕송이버섯, 뽕나무버섯, 흰우단버섯, 굽은애기버섯, 끈적긴뿌리버섯, 긴뿌리버섯, 팽이버섯, 달걀버섯, 노란달걀버섯, 흰달걀버섯, 붉은점박이광대버섯, 우산버섯, 흰우산버섯, 흰비단털버섯, 풀버섯, 노란난버섯, 큰갓버섯, 주름버섯, 먹물버섯, 족제비눈물버섯, 개암버섯, 무리우산버섯, 붉은비단그물버섯, 기와버섯, 젖버섯, 꾀꼬리버섯, 나팔버섯, 흰국수버섯, 좀나무싸리버섯, 노루궁뎅이버섯, 턱수염버섯, 향버섯(능이), 까치버섯, 흰굴뚝버섯, 붉은덕다리버섯, 말징버섯, 말불버섯, 말뚝버섯, 망태버섯, 노랑망태버섯, 목이버섯, 털목이버섯, 흰목이버섯, 곰보버섯, 영지버섯, 신령버섯, 상황버섯, 차가버섯, 복령버섯, 장주버섯, 잎새버섯, 노루궁뎅이버섯, 능이버섯, 저령버섯, 표고버섯, 송이버섯, 잣버섯, 구름버섯, 꽃송이버섯, 치마버섯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상황버섯 또는 차가버섯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단계 (b)의 추출물은 당이 첨가된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버섯 균사체에 그리고 후술하는 젖산균이나 효모에 탄소원/에너지원을 공급함으로써 발효가 보 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첨가되는 당은 버섯 균사체 등의 탄소원/에너지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상관없는데, 예컨대, 올리고당, 유당, 포도당, 과당, 설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이 첨가되는 양은 단계 (b)의 추출물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에, 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에 젖산균 및/또는 효모를 접종하여 추가로 발효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하기 실험예가 보여주듯이, 구아바 잎의 추출물을 버섯 균사체만으로 발효시킨 경우보다 젖산균 및/또는 효모를 접종하여 추가로 발효시킨 경우가 그 항아토피 활성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특히 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에 젖산균과 효모 모두를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경우가 항아토피 활성에 있어서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에, 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에 젖산균 및 효모 모두를 접종하여 추가로 발효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구아바 잎 추출물을 버섯 균사체로 발효시키거나, 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젖산균이나 효모로 발효시킬 때, 각 발효 단계 이전에 구아바 잎 추출물 또는 그 발효물의 멸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타균에 의한 원치 않는 발효가 진행되는 것을 저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멸균 단계의 수행은 자외선 조사, 고 압·고온 처리 등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발효 단계는 그것이 버섯 균사체에 의한 것이든, 젖산균에 의한 것이든 또는 효모에 의한 것이든 충분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충분히"란 버섯 균사체나 젖산균 또는 효모가 이미 최대로 증식함으로써 더 이상 증식하지 않는 단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어느 정도의 기간 동안 발효되어야 충분히 발효된 것이냐는 발효 생물체 및 발효 온도와의 관계에서 결정되는데, 당업자라면 그의 통상의 능력 범위에서 특정 온도에서 생물체의 종류에 따라 충분히 발효되는 시간을 용이하게 확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하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버섯 균사체의 경우는 25℃에서 약 15일 정도 발효를 수행하였고 젖산균 및 효모의 경우는 38℃에서 7일 정도 발효를 수행하였다.
가장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하기 <실시예 4 및 8>에 개시된 공정과 조건으로 발효시켜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하기 <실시예 4 및 8>에서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항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 항염증 활성 및/또는 항아토피 활성에 있어 가장 우수하였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 발명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하기 단계 (a) 내지 (f)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것을 말한다.
(a) 구아바 잎을 열수추출하여 그 여과액을 얻는 단계.
(b) 상기 여과액을 당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여과액과 당의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
(d) 상기 멸균된 혼합물에 상황버섯 균사체 또는 차가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상온에서 25℃에서 15일 이상 발효시키는 단계.
(e) 상기 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을 멸균하는 단계, 및
(f) 상기 멸균된 발효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Lactobacillus plantarum )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를 접종하여 38℃에서 7일 이상 발효시키는 단계.
한편,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젖산균"이란 클루코스 등 당류를 분해하여 젖산을 생성하는 세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젖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 젖산균(Lactobacillus sp .), 스트렙토코쿠스속 젖산균(Streptococcus sp .), 페디오코쿠스속 젖산균(Pediococcus sp .), 류코노스톡속 젖산균(Leuconostoc sp .) 및 비피도박테리움속 젖산균(Bifidobacterium sp .)으로 대별되는데, 상기 젖산균은 이러한 모든 젖산균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된다. 다만, 하기 실시예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이 사용되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젖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 젖산균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특히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효모"란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를 의미하며, 예컨대 사카로마이세스 루시(Saccharomyces rouxii),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Saccharomyces cereviciae), 사카로마이세스 오비폴미스(Saccharomyces oviformis), 사카로마이세스 스테이네리(Saccharomyces steineri)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아토피 피부염"은 그 발생 의 직·간접적인 원인을 불문하고 당업계에서 아토피 피부염으로 분류되는 모든 질환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통상 아토피 피부염은 그 발병 시기 또는 그 발명 대상에 따라 유아형 아토피 피부염과 소아형 아토피 피부염과 성인형 아토피 피부염 그리고 임산부 아토피 피부염으로 분류되는데, 본 명세서에서 아토피 피부염은 이러한 모든 유형의 아토피 피부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이 상기 모든 유형의 아토피 피부염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임은 본 발명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확인되는 바이다.
또한 청구범위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상기 "개선"이란 치료, 예방 또는 증상의 경감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있어서, 그 유효성분인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에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의 정도에 따라 그것이 인체에의 독성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구아바 발효 조성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약품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 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약 50 중량% 내지 약 9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는 약 0.1 중량 % 내지 약 2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정도에 따라 투여 방법이 결정되는데, 통상적으로는 국소 투여 방식이 적합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엘렉시르제,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경고, 도고제, 로션, 연고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그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지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는 유효성분인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포함되는 것 이외에,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또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가 첨가될 수 있고,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콜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타우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감미제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 그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에멀젼, 로션, 크림(수중유적형, 유중수적형, 다중상), 용액, 현탁액(무수 및 수계), 무수 생성물(오일 및 글리콜계), 젤, 마스크, 팩, 분말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인 구아바 발효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장료 제제에 있어서 수용가능한 담체"란 화장료 제제에 포함될 수 있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거나 앞으로 개발될 화합물 또는 조성물로서 피부와의 접촉시 인체가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 불안정성 또는 자극성이 없는 것을 말한다.
상기 담체는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화장료 조성물에 그것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약 1 중량 % 내지 약 99.999 중량 %,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중량의 약 50 중량% 내지 약 99.999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율은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는 전술한 바의 형태에 따라 또 그것의 구체적인 적용 부위(얼굴, 목 등)나 그것의 바람직한 적용량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비율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담체로서는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오일, 계면활성제, 지방산, 실리콘 오일, 습윤제, 보습제, 점성 변형제, 유제, 안정제, 자외선 차단제, 발색제, 향료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조성물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업자라면 적절한 해당 물질/조성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은 비누 조성물로서도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이 비누 조성물로서 파악될 경우에,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비누 기재에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첨가제로서 피부 보습제, 유화제, 경수연화제 등을 포함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누 기재로서는 야자유, 팜유, 대두유, 파마자유, 올리브유, 팜핵류 등의 식물유지 또는 우지, 돈지, 양지, 어유 등의 동물유지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피부 보습제로서는 글리세린, 에리트리톨,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글리콜,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실리콘 유도체, 알로에베라, 솔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화제로서는 천연오일, 왁스 지방알콜, 탄화수소류, 천연식물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경수연화제로서는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은 또한 첨가제로서 항균제, 분산제, 거품억제제, 용매, 물때 방지제, 부식 방지제, 향료, 색소, 금속이온 봉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비누 기재나 첨가제는 당업계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는데, 비누 기재는 일반적으로 비누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 중량 % 내지 99.999 중량 %로 첨가될 수 있으며, 첨가제는 1 중량 % 내지 20 중량 %로 첨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1
시중에서 구입한 구아바(Psidium guajava L.)의 잎을 건조시키고, 분쇄하여 미세 분말을 만든 후, 분말 5 kg을 취하여 여기에 물을 100ℓ를 넣은 후, 95℃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을 여과시켜 10 ㎛ 이상의 입자를 제거하고, 여과액을 50℃에서 고형분 함량 20%가 될 때까지 농축한 후, 그 얻어진 농축물 2ℓ에 당밀 40g을 첨가하고, 120℃, 1.4기압 하에서 20분간 처리하여 농축물을 멸균하였다. 멸균된 농축물에 PDB(Potato Dextrose Broth)배지로 15일간 25℃, 110rpm 조건에서 배양된 상황버섯균사체( Phellinus linteus KCTC 4212) 배양액 100㎖를 넣은 후, 25℃에서 15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2>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2
살균 처리한 상기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약 2ℓ에 젖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ATCC8014) 배양액 100㎖를 첨가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3>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3
살균 처리한 상기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약 2ℓ에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IFO0203) 배양액 100㎖를 첨가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4>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4
살균 처리한 상기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약 2ℓ에 젖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ATCC8014) 배양액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IFO0203) 배양액의 1:1 혼합물 100㎖를 첨가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5>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재료, 공정 및 조건으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황버섯균사체 배양액 대신에 차가버섯균사체(Inonotus obliquus; KCTC 18572) 배양액을 사용하여,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6
살균 처리한 상기 <실시예 5>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약 2ℓ에 젖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ATCC8014) 배양액 100㎖를 첨가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7>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7
살균 처리한 상기 <실시예 5>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약 2ℓ에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IFO0203) 배양액 100㎖를 첨가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시예 8>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제조예 8
살균 처리한 상기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약 2ℓ에 젖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ATCC8014) 배양액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IFO0203) 배양액의 1:1 혼합물 100㎖를 첨가하여 3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100℃에서 10분간 살균처리한 후 하기 실험에 이용하였다.
< 비교예 >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의 제조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은 발효 전 상태에 있는 <실시예 1>의 구아바 열수 추 출물의 여과액의 농축물을 말한다. 하기 실험에서는 이 농축물을 120℃, 1.4기압 하에서 20분간 멸균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 실험예 >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항아토피 활성 실험
<실험예 1> 에오탁신-1의 억제 활성 실험
NIH3T3 섬유 아세포(1 x 106 cells/㎖)를 24 웰 플레이트에서 18 시간 배양하고 여기에 TNF-α(10ng/ml)를 처리하여 에오탁신-1의 발현을 유도하고 동시에 0.001%, 0.005%, 0.01%, 0.05% 농도의 시료(<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를 처리하여, 16 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세포배지를 50 ㎕씩 수집하였다. 수집된 세포배지를 이용하여 R&D systems의 protocol(Kor. J. Pharmacogn. 2003, 34(3) 228-232)에 따라 에토탁신-1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는데,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A)은 에오탁신-1의 발현을 억제하지 못하였으나, 실시예 4(B)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은 에오탁신-1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아토피 치료에 대한 관능평가
먼저, 실시예의 각 구아바 발효 조성물 또는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1.5g, 스테아린산 2.0g, 세틸알코올 2.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2.0㎖,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0.5㎖, 솔비탄세스퀴올레리트 0.5㎖,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1.0㎖, 왁스1.0 ㎖, 유동파라핀 4.0㎖, 스쿠알란 4.0㎖,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부틸글리콜 5.0㎖, 글리세린 3.0㎖, 트리에탄올아민 0.5㎖, 향료 0.01mg, 색소 0.01mg 등을 넣고 전체가 100 g 이 되도록 정제수를 넣어 발효구아바 조성물이 함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2년 이상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5~30 세의 아토피 환자들에게 매일 저녁 세정 후 피부에 1회 30일간 도포하게 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상태 치료 정도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15명을 1군의 실험군으로 하여 4점 척도법(4: 매우 좋아졌다, 3: 보통 좋아졌다, 2: 조금 좋아졌다, 1: 변화가 없었다, 0: 더 나빠졌다)에 따라 점수를 매기도록 하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아토피 피부염의 치료 시작 후 30일 후에 아토피 피부염 증상의 전반적 개선도를 4단계로 구분하여 환자나 환자의 부모에게 설문지 형식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구분 관능 평가 결과
<실시예 1>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87
<실시예 2>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43
<실시예 3>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32
<실시예 4>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97
<실시예 5>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64
<실시예 6>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2.95
<실시예 7>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12
<실시예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 3.87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 1.67
상기 <표 7>은 비교예의 구아바 비발효 조성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과가 낮았으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은 아토피 피부염 치료 효과가 높았다. 특히 실시예 4 및 8의 구아바 발효 조성물의 경우가 가장 높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생리 활성이 강화된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개선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Claims (20)

  1. 하기 (a) 및 (b)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구아바 발효 조성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a) 페시디움 구아바 잎을 물, 증류수,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 및
    (b) 그 추출물에 상황버섯 균사체 및 차가버섯 균사체 중 하나 이상을 접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의 추출물은 당이 첨가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후에, 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에 젖산균 및 효모 중 하나 이상을 접종하여 추가로 발효시키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멸균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 균사체 발효물은 멸균된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젖산균은 락토바실루스속 젖산균(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쿠스속 젖산균(Streptococcus sp.), 페디오코쿠스속 젖산균(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속 젖산균(Leuconostoc sp.) 및 비피도박테리움속 젖산균(Bifidobacterium sp.)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젖산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젖산균은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속 효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효모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15. 하기 (a) 내지 (f)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a) 페시디움 구아바(Psidium guajava L.) 잎을 열수추출하여 그 여과액을 얻는 단계.
    (b) 상기 여과액을 당과 혼합하는 단계.
    (c) 상기 여과액과 당의 혼합물을 멸균하는 단계.
    (d) 상기 멸균된 혼합물에 상황버섯 균사체 또는 차가버섯 균사체를 접종하여 상온에서 25℃에서 15일 이상 발효시키는 단계.
    (e) 상기 버섯 균사체의 발효물을 멸균하는 단계, 및
    (f) 상기 멸균된 발효물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시아에를 접종하여 38℃에서 7일 이상 발효시키는 단계.
  16.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17.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기능성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18.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음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19.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20. 제1항 및 제7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20060116301A 2005-11-24 2006-11-23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0847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2774 2005-11-24
KR1020050112774 2005-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373A KR20070055373A (ko) 2007-05-30
KR100847104B1 true KR100847104B1 (ko) 2008-07-18

Family

ID=382768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301A KR100847104B1 (ko) 2005-11-24 2006-11-23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20060116297A KR100847103B1 (ko) 2005-11-24 2006-11-23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297A KR100847103B1 (ko) 2005-11-24 2006-11-23 구아바 발효 조성물 및 그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84710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509B1 (ko) 2011-01-25 2011-06-23 이상권 호흡기질환 및 아토피 피부염에 효능을 가지는 무수 유산균 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2129585B1 (ko) 2019-05-15 2020-07-02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2426B1 (ko) 2020-02-25 2020-08-11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미백 개선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980B1 (ko) 2020-02-25 2020-09-29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피지 조절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978B1 (ko) 2020-02-25 2020-09-29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트러블 캐어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2661A (ko) 2020-02-06 2020-11-25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3712B1 (ko) 2020-02-17 2020-12-21 (주)에이치투엠씨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4456A (ko) 2020-02-17 2021-08-25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2975B1 (ko) 2020-02-17 2021-08-26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1413A (ko) 2021-11-16 2023-05-23 박숙우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453B1 (ko) * 2006-12-13 2008-06-26 농업회사법인 에스 씨 바이오텍 주식회사 겨우살이 성분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100910040B1 (ko) * 2007-07-02 2009-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89606B1 (ko) * 2007-07-02 2009-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KR100889604B1 (ko) * 2007-07-02 2009-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백용 화장료
KR100889605B1 (ko) * 2007-07-02 2009-03-2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3573B1 (ko) * 2007-07-02 2014-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12346B1 (ko) * 2008-09-18 2011-02-09 (주)우성바이오 꽃송이버섯 추출물과 그것의 항염증제로서의 용도
KR101138411B1 (ko) * 2009-01-29 2012-04-26 김경자 발효액을 이용한 샴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샴푸 조성물
KR101147541B1 (ko) * 2010-06-09 2012-05-21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우방자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1503352B1 (ko) * 2010-11-05 2015-03-1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젖버섯아재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피부보호 및 항염증용 조성물
WO2014027864A1 (ko) * 2012-08-16 2014-02-2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노화 및 치매의 예방 및/또는 치료 활성을 갖는 유산균
KR102067283B1 (ko) * 2012-12-21 2020-01-16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곰보버섯 자실체 추출물 또는 곰보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6647B1 (ko) 2015-09-23 2018-01-09 코웨이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송라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8187B1 (ko) * 2016-02-18 2016-08-16 주식회사 비앤에이치코스메틱 오미약성 이론과 곰보버섯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오미조세약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피부 장벽기능 개선,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9500B1 (ko) 2018-07-27 2019-03-14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구아바 나노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2400B1 (ko) * 2019-04-30 2019-09-18 (주)진셀팜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2048723B1 (ko) * 2019-07-12 2019-11-27 이혜영 기능성 주스의 제조방법
CN110734932B (zh) 2019-07-29 2021-10-22 浙江养生堂天然药物研究所有限公司 发酵的桦树汁及其生产方法
CN115998664B (zh) * 2023-02-01 2023-07-21 广州杨森药业有限公司 一种含番石榴发酵产物的组合物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725A (ja) * 2001-03-07 2002-11-19 Ryukyu Bio Resource Kaihatsu:Kk 発酵食材、その製造方法、飲食物及び抽出エキ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0725A (ja) * 2001-03-07 2002-11-19 Ryukyu Bio Resource Kaihatsu:Kk 発酵食材、その製造方法、飲食物及び抽出エキス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509B1 (ko) 2011-01-25 2011-06-23 이상권 호흡기질환 및 아토피 피부염에 효능을 가지는 무수 유산균 발효 건강 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2129585B1 (ko) 2019-05-15 2020-07-02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132661A (ko) 2020-02-06 2020-11-25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3712B1 (ko) 2020-02-17 2020-12-21 (주)에이치투엠씨 피부 보습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04456A (ko) 2020-02-17 2021-08-25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항산화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2975B1 (ko) 2020-02-17 2021-08-26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2426B1 (ko) 2020-02-25 2020-08-11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미백 개선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980B1 (ko) 2020-02-25 2020-09-29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피지 조절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0978B1 (ko) 2020-02-25 2020-09-29 오가닉브릿지 주식회사 피부 트러블 캐어 및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71413A (ko) 2021-11-16 2023-05-23 박숙우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103B1 (ko) 2008-07-18
KR20070055373A (ko) 2007-05-30
KR20070055372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104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2144318B1 (ko) 인삼열매 다당체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20190060511A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N114262667A (zh) 新型出芽短梗霉菌株及其用途
WO2019143055A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532001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장품
KR101963572B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제비집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2484422B1 (ko) 사막 선인장 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67961B1 (ko)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2111752B1 (ko) 콜라겐 합성 촉진용 조성물
KR102016640B1 (ko) 포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00007122A (ko) 항균 또는 항진균용 조성물
KR20170031578A (ko) 구절초를 이용한 삼투압 효소 발효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식품 또는 약학 조성물
KR20220098594A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4782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표고버섯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20180114783A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KR101994618B1 (ko) 발효 지실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KR20110055351A (ko) 한약재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한약재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7116A (ko) 발효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세포 사멸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87507A (ko) 녹두·강낭콩·흑콩 발효-효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1166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240112719A (ko) 복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39679A (ko) 콩 발효액으로 발효시킨 한방약재 추출물을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40B1 (ko) 튤립 잎 추출물, 구약감자 가수분해 추출물 및 앵무새나무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10116389A (ko) 알로에와 천마 발효여과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12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