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6753B1 -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753B1
KR100846753B1 KR1020070114077A KR20070114077A KR100846753B1 KR 100846753 B1 KR100846753 B1 KR 100846753B1 KR 1020070114077 A KR1020070114077 A KR 1020070114077A KR 20070114077 A KR20070114077 A KR 20070114077A KR 100846753 B1 KR100846753 B1 KR 100846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
token
hole
trash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근
Original Assignee
(주)오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오토코리아
Priority to KR1020070114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75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08Authorization means
    • B65F2210/1085Coins or tok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량제 토큰을 수거자가 쓰레기를 수거할 때 같이 수거한 후, 수거된 종량제 토큰을 재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는 쓰레기통 뚜껑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정면에 종량제 토큰이 통과하는 투입공이 형성되며, 일면에 통공이 구비된 케이스; 상기 투입공의 일측 수용공간에 돌출형성된 안착부; 개구부를 갖도록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호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가 내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가 상기 투입공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몸체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파지편; 상기 파지편의 일측에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시 일측부에 형성된 날개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안착부에 안착된 종량제 토큰을 밀어주도록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및 일단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된 회전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종량제, 토큰, 보관, 케이스, 스프링, 투입공, 안착, 회전체, 회전부재

Description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A capacity token keeping device of the dustbin}
본 발명은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거자가 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를 수거할 때 같이 수거하는 종량제 토큰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쓰레기 종량제는, 쓰레기(음식물쓰레기를 포함함)없는 깨끗한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95년 1월부터 실시한 제도로 주택의 크기 또는 재산세액에 따라 차등적으로 수수료를 적용하던 기존의 제도와 달리 본인이 버린 쓰레기의 양 만큼 비용을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스스로 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품도 최대한 분리 배출하도록 한 제도이다.
특히, 일반가정과 소규모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는 시·군·구에서 제작 판매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에 넣어 일정한 장소에 배출하여야 한다. 그리고, 재활용품과 연탄재는 규격봉투를 사용하지 않으며, 시·군·구에서 정한 방법에 따 라 배출하면 무료로 수거해간다. 규격봉투에 넣기 어려운 대형쓰레기 등은 동사무소에 신고한 후 배출하고 시·군·구에 서 정한 별도의 수수료를 납부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종량제 쓰레기 봉투는 가격이 비싸고 약하여 잘 찢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그 지역에서 발생된 쓰레기량과 그 처리량을 정확히 계산할 수 없는 문제점과 쓰레기 봉투에 저장된 쓰레기(음식물 쓰레기를 포함)가 토출되어 극심한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종량제 쓰레기 봉투는 봉투의 끈이 묶기에 불편하고 봉투 색상이 투명해 내용물이 보여 사생활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쓰레기를 버린 만큼 비용을 낸다는 쓰레기 종량제의 기본 원칙 준수가 미흡하여 봉투 가격이 인상에 대한 주민 및 시민단체와 자치단체 간의 이견과 반발이 초래되고 지역간 봉투 가격 차이로 인하여 불만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거용지의 일부가 삽입고정되는 고정장치가 구비된 쓰레기통이 개발되었으나, 상기 용지가 비, 눈, 고양이 등에 의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절단이 용이하게 형성된 수거패널을 이용하며, 상기 패널의 일부가 삽입고정되고, 쓰레기통의 수거 시 수거자가 외부로 노출된 일부를 절단한 후 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를 수거하는 쓰레기통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것도 상기 플라스틱 패널의 일부를 절단함으로써,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량제 토큰이 훼손되지 않게 보관되고 있다가 수거자가 쓰레기를 수거할 때 같이 수거한 후, 수거된 종량제 토큰을 재사용할 수 있는 쓰레기통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는 쓰레기통 뚜껑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고, 정면에 종량제 토큰이 통과하는 투입공이 형성되며, 일면에 통공이 구비된 케이스; 상기 투입공의 일측 수용공간에 돌출형성된 안착부; 개구부를 갖도록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호형상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가 내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가 상기 투입공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와 대응되는 몸체의 일측에 관통공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파지편; 상기 파지편의 일측에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시 일측부에 형성된 날개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안착부에 안착된 종량제 토큰을 밀어주도록 설치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 및 일단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된 회전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안착부에 안착됨과 동시에 파지편에 의해 고정된 종량제 토큰을 회전부재를 이용하여 회전체를 회전시켜 이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종량제 토큰이 케이스의 수용공간에서 용이하게 배출됨으로써, 사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종량제 토큰이 케이스에 수용되었다가 배출됨으로써 종량제 토큰의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종량제 토큰을 갖는 쓰레기통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스토퍼가 더 구비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는 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를 수거할 때 같이 수거하는 종량제 토큰을 보 관하는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에 있어서, 크게, 수용공간(11) 및 투입공(12)이 구비된 케이스(10)와, 상기 투입공(12)의 일측 수용공간(11)에 설치되는 안착부(20)와, 상기 투입공(12)을 통해 투입되어 안착부(20)에 안착되는 종량제 토큰(C)을 파지하는 파지편(30)과, 상기 파지편(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샤프트(40)와, 상기 샤프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종량제 토큰(C)을 밀어주는 회전체(50)와, 상기 회전체(5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 및 회전된 회전체(50)를 원위치시키는 복원스프링(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는 쓰레기통 뚜껑(미도시함)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11)이 구비되고, 정면에 종량제 토큰(C)이 통과하는 투입공(12)이 형성되며, 일면에 통공(13)이 구비된다.
이러한, 케이스(10)는 상부케이스(14) 및 하부케이스(15)가 체결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입공(12)은 상부케이스(14)와 하부케이스(15)의 정면에 각각 홈(12a, 12b)이 형성되며, 이 홈(12a, 12b)이 상기 상부케이스(14)와 하부케이스(15)의 결합 시 서로 대응되게 결합되어 상기 투입공(12)을 이룬다.
상기 안착부(20)는 상기 투입공(12)의 일측 수용공간(11)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투입공(12)을 통해 투입되는 종량제 토큰(C)을 받쳐준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20)는 상기 투입공(12)을 통해 수용되는 종량제 토큰(C)이 상기 투입공(12)을 용이하게 통과하여 안착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공(12)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로 하부케이스(15)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일측이 상기 하부 케이스(15)의 정면 내측과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안착부(20)는 상기 종량제 토큰(C)과 같거나 작은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후술할 파지편(30)이 종량제 토큰(C)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파지편(30)은 상기 투입공(12)을 통해 안착부(20)에 안착되는 종량제 토큰(C)을 파지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되고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되며, 상기 안착부(20)의 직경과 같거나 큰 내경을 갖는 호형상의 몸체(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20)가 내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32)가 상기 투입공(12)과 대응되도록 상기 수용공간(11)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32)와 대응되는 몸체(31)의 일측에 후술할 회전체(50)의 날개가 통과하는 관통공(33)이 형성된다.
이러한 파지편(30)은 양단부가 벌어져 개구부(32)를 통해 투입되는 종량제 토큰(C)을 파지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 하부가 상기 하부케이스(15)의 내부 바닥면과 고정연결된다.
한편, 상기 파지편(30)에 의해 파지되고 안착부(20)에 안착된 종량제 토큰(C)이 상부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착부(20)와 대응하는 상부케이스(14)의 내면에 플레이트(16)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레이트(16)는 종량제 토큰(C)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20)와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소정 간격은 종량제 토큰(C)의 두께와 같거나 큰 간격이며, 바람직하게는 종량제 토큰(C)이 원활하게 수평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부(20)와 큰 간격을 두고 상기 플레이트(16)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샤프트(40)는 상기 파지편(3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세움 설치되며, 상면에 후술할 복원스프링(7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연결홈(41)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체(50)는 중앙에 상기 샤프트가 관통하는 중공(51)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날개(52)가 구비된다.
그리고, 후술할 복원스프링(70)의 타단부가 끼워지는 제2연결홈(53)이 상기 중공(51)의 상측 내주연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날개(52)는 선단부가 회전체(50)의 회전 시 상기 파지편(30)의 관통공(33)을 통과하여 안착부(20)에 안착된 종량제 토큰(C)을 밀어주도록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재(60)는 상기 회전체(50)와 동일한 회전축을 갖도록 중공(51)의 하부에 형성되고, 내부에 샤프트(40)가 관통하는 구멍(61)이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62)와, 일단에 상기 피니언 기어(62)와 치합되는 랙 기어(63)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일면에 형성된 통공(13)에 삽입되는 키(64)로 이루어지며, 상기 키(64)의 수평 이동 시 키(64)에 구비된 랙 기어(63)와 이 랙 기어(63)에 치합되며 회전체(50)의 하부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62)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체(50)가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피니언 기어(62)는 상기 하부케이스(15)의 내면에 안착됨으로 이 피니언 기어(62)와 치합되는 랙 기어(63)를 갖는 키(64)가 통과하는 케이스(10)의 통공(13)은 하부케이스(15)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키(64)가 흔들림 없이 원활하게 수평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키(64)의 상면 또는 저면 또는 상면과 저면 중 어느 한곳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65)이 더 구비되며, 이 가이드 홈(65)과 대응되는 케이스(10)의 내면 즉, 상 부케이스(14)의 상면, 또는 하부케이스(15)의 바닥면, 또는 상부케이스(14)의 상면과 하부케이스(15)의 바닥면에 가이드 돌기(6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키(64)가 상기 통공(13)을 관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10)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될 때 흔들리지 아니하도록 상기 키(64)의 일면이 상기 케이스(10)의 배면 내측과 인접하도록 상기 통공(1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키(64)의 폭과 같거나 큰 거리를 둠과 동시에 케이스(10)의 배면과 나란하도록 가이드 벽(67)이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키(64)를 파지하기 쉽도록 타단부 일측에 손잡이(68)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복원스프링(70)은 일단은 상기 샤프트(40)의 제1연결홈(41)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체(50)에 형성된 제2연결홈(53)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60)에 의해 회전된 회전체(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여기서, 상기 복원스프링(70)이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원스프링(70)의 타측부 즉, 제2연결홈(53)에 설치되는 타단부측은 상기 회전체(50)의 중공(51)에 수용 설치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단은 상기 안착부(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형성되며, 타단부 테두리에 투입공(12)을 통해 배출되는 종량제 토근(C)을 잡아주는 돌기(81)가 형성된 스토퍼(80)가 더 구비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80)의 상면은 상기 안착부(20)의 상면과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토퍼(80)는 회전체(50)의 회전에 의해 투입공(12)을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되는 종량제 토큰(C)이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종량제 토큰(C)의 분실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는 사용상태를 도 4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량제 토큰(C)을 파지하여 상기 투입공(12)을 통해 케이스(10)의 수용공간(11)으로 종량제 토큰(C)을 투입한다.
그러면, 파지편(30)의 개구부(32)측으로 상기 종량제 토큰(C)이 들어오며, 이에 따라 파지편(30)의 양단부가 벌어지면서 상기 종량제 토큰(C)이 안착부(20)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파지편(30)에 의해 파지된다.
일정시간 경과 후, 수거자가 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를 수거할 때, 수거자는 키(64)를 파지한 후 상기 키(64)의 일측에 형성된 랙 기어(63)가 케이스(10)의 통공(13)으로 삽입되게 한다.
이때, 상기 랙 기어(63)는 피니언 기어(62)와 치합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62)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피니언 기어(62)와 일체로 형성되며, 샤프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체(50)가 회전하며, 상기 회전체(50)의 회전에 의해 날개(52)가 파지편(30)의 관통공(33)을 통과하여 파지편(30)이 파지하고 있는 종량제 토큰(C)을 밀어준다.
이로 인해, 종량제 토큰(C)을 파지하고 있던 파지편(30)의 양단부는 벌어져 종량제 토큰(C)의 파지가 해제되어 상기 종량제 토큰(C)이 개구부(32) 및 투입공(12)을 통해 케이스(10)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 다음, 상기 키(64)를 밀어주던 힘을 빼면 일단은 샤프트(40)의 제연결홈(41)에 연결되고, 타단은 회전체(50)의 제2연결홈(53)에 연결된 복원스프링(70)의 복원작용에 의해 회전체(5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 다음에, 상기 케이스(10)의 통공(13)으로부터 키(64)를 빼내고, 또한, 상기 종량제 토큰(C)도 수거한다.
그 후, 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를 수거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스토퍼가 더 구비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 12 : 투입공
20 : 안착부 30 : 파지편
32 : 개구부 33 : 관통공
40 : 샤프트 50 : 회전체
60 : 회전부재 62 : 피니언 기어
63 : 랙 기어 64 : 키
70 : 복원스프링 80 : 스토퍼
81 : 돌기

Claims (6)

  1. 쓰레기통에 담긴 쓰레기를 수거할 때 같이 수거하는 종량제 토큰을 보관하는 쓰레기통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에 있어서,
    쓰레기통 뚜껑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11)이 구비되고, 정면에 종량제 토큰(C)이 통과하는 투입공(12)이 형성되며, 일면에 통공(13)이 구비된 케이스(10);
    상기 투입공(12)의 일측 수용공간(11)에 돌출형성된 안착부(20);
    개구부(32)를 갖도록 양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호형상의 몸체(31)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부(20)가 내측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개구부(32)가 상기 투입공(12)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32)와 대응되는 몸체(31)의 일측에 관통공(33)이 형성된 탄성재질의 파지편(30);
    상기 파지편(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샤프트(40);
    상기 샤프트(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시 일측부에 형성된 날개(52)가 상기 관통공(33)을 통과하여 안착부(20)에 안착된 종량제 토큰(C)을 밀어주도록 설치되는 회전체(50);
    상기 회전체(5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 및
    일단은 상기 샤프트(40)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회전체(5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60)에 의해 회전된 회전체(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스프링(7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60)는 내부에 샤프트(40)가 관통하는 구멍(61)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피니언 기어(62);
    일측부에 상기 피니언 기어(62)와 치합되는 랙 기어(63)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일면에 형성된 통공(13)에 삽입되는 키(6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키(64)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 또는 저면 또는 상면과 저면 중 어느 한곳에 가이드 홈(65)이 구비되며, 이 가이드 홈(65)과 대응되는 케이스(10)의 내면에 가이드 돌기(6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편(30)에 의해 파지되고 안착부(20)에 안착된 종량제 토큰(C)이 상 부측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착부(20)와 대응하는 케이스(10)의 내면에 플레이트(16)가 더 구비되는 것을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16)는 안착부(20)와 소정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 소정 간격은 종량제 토큰(C)의 두께와 같거나 큰 간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일단은 상기 안착부(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스(10)의 외부로 돌출형성되며, 상면 일측 테두리에 돌기(81)가 형성된 스토퍼(8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KR1020070114077A 2007-11-09 2007-11-09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46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077A KR100846753B1 (ko) 2007-11-09 2007-11-09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077A KR100846753B1 (ko) 2007-11-09 2007-11-09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753B1 true KR100846753B1 (ko) 2008-07-16

Family

ID=3982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0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6753B1 (ko) 2007-11-09 2007-11-09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67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567B1 (ko) 2010-11-15 2011-01-27 박윤근 종량제 칩을 이용한 도어잠금해제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장치
KR101076461B1 (ko) * 2010-12-09 2011-10-25 박윤근 쓰레기통의 종량제 칩 보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855A (ko) * 1988-08-10 1990-03-27 다니이 아끼오 디스크매거진
KR19980024796A (ko) * 1996-09-20 1998-07-06 히로시 아베 금속제 원판체의 방출장치
KR200372689Y1 (ko) 2004-10-20 2005-01-14 (주)오토코리아 종량제 칩을 갖는 쓰레기통
KR200384208Y1 (ko) 2005-01-06 2005-05-12 주식회사 삼보 쇼핑카트용 체인잠금장치
KR100679223B1 (ko) 2005-08-24 2007-02-05 주식회사 동호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설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855A (ko) * 1988-08-10 1990-03-27 다니이 아끼오 디스크매거진
KR19980024796A (ko) * 1996-09-20 1998-07-06 히로시 아베 금속제 원판체의 방출장치
KR200372689Y1 (ko) 2004-10-20 2005-01-14 (주)오토코리아 종량제 칩을 갖는 쓰레기통
KR200384208Y1 (ko) 2005-01-06 2005-05-12 주식회사 삼보 쇼핑카트용 체인잠금장치
KR100679223B1 (ko) 2005-08-24 2007-02-05 주식회사 동호 공기 이송방식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567B1 (ko) 2010-11-15 2011-01-27 박윤근 종량제 칩을 이용한 도어잠금해제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장치
KR101076461B1 (ko) * 2010-12-09 2011-10-25 박윤근 쓰레기통의 종량제 칩 보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6753B1 (ko) 쓰레기통의 종량제 토큰 보관장치
CN111924383A (zh) 一种市政环保用固液分离垃圾桶
KR101055470B1 (ko) 칩 보관함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통
KR101076462B1 (ko) 이중 뚜껑을 갖는 대형 쓰레기통
EP1274634A2 (fr) Dispositif de collecte de dejections animales
KR200372689Y1 (ko) 종량제 칩을 갖는 쓰레기통
KR20070106229A (ko) 이동가능한 재활용 쓰레기통
KR200456329Y1 (ko) 쓰레기통 뚜껑 잠금장치
KR200383942Y1 (ko) 음식물 쓰레기통의 수거용지 케이스
KR100624390B1 (ko) 음식물 쓰레기통의 수거용지 및 수거용지 보관구조
KR200402128Y1 (ko) 음식물 쓰레기통의 수거용지 및 수거용지 보관구조
KR100868305B1 (ko) 납부필증 보관수단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통 걸림망체 손잡이
KR100958709B1 (ko) 종량제 코인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통
KR20080010106A (ko) 전자카드 개폐형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KR101010567B1 (ko) 종량제 칩을 이용한 도어잠금해제수단이 구비된 쓰레기 수거장치
KR200442269Y1 (ko) 쓰레기 수거장치
DE19536629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verursachergerechter Müllentsorgungsgebühren in Großwohnanlagen
KR100926176B1 (ko) 종량제 동전 보관이 가능한 음식물쓰레기통
BE1010404A3 (fr) Conteneur de grandes dimensions pour se debarrasser d&#39;immondices ou de matieres ayant encore de la valeur notamment dans les maisons ou habitent plusieurs familles ou des ensembles residentiels.
KR100784457B1 (ko) 쓰레기통의 종량제 칩 보관장치
KR101076461B1 (ko) 쓰레기통의 종량제 칩 보관장치
KR100770639B1 (ko) 납부필증보관함이 구비되는 음식물쓰레기분리수거함 및납부필증
KR101225747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JP3218917U (ja) ゴミ箱
KR200487348Y1 (ko) 재활용 가능한 생활쓰레기 수거용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