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491B1 - Ultrasound Bone Fusion Promoters for Implants - Google Patents
Ultrasound Bone Fusion Promoters for Impla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4491B1 KR100844491B1 KR1020080038531A KR20080038531A KR100844491B1 KR 100844491 B1 KR100844491 B1 KR 100844491B1 KR 1020080038531 A KR1020080038531 A KR 1020080038531A KR 20080038531 A KR20080038531 A KR 20080038531A KR 100844491 B1 KR100844491 B1 KR 1008444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or
- probe
- bone fusion
- main body
- frequenc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2—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 A61C1/07—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characterised by the drive of the dental tools with vibratory drive, e.g. ultrason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3/0245—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with ultrasonic transducers, e.g. piezoelectric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6—Bone stimulation by mechanical vibrations for enhancing ossification
- A61F2002/2864—Bone stimulation by mechanical vibrations for enhancing ossification by ultrasonic or acoustic vib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14—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coole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13—Fracture hea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골 융합 촉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임플란트를 시술한 부분의 골 융합을 촉진하기 위한 촉진기에 있어서, 내부에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된 프로브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주파수를 인가받아 진동함으로써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와; 상기 프로브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고 내부에 전선이 내설되도록 통로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진동자와 상기 전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자에 주파수를 인가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브에는 상기 진동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도록 방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열이 잘 방출되어 진동자가 냉각되므로 사용상 안전하며 수명이 보장될 뿐 아니라 초음파 출력레벨이 최대가 되므로 출력효율 및 치료효과가 뛰어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fusion accelerator for implants using ultrasonic waves, and in particular, an accelerator for promoting bone fusion of the implanted portion, the probe having a concave receiving portion therein; A vibrator that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and generates an ultrasonic wave by applying a frequency to vibrate; A handle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probe to be gripped by a user's hand and having a passage therein so as to have a wire therein; And a main body connected to the vibrator and the wire to apply a frequency to the vibrator, wherein the probe has a heat dissipation hole formed to discharge heat generated from the vibrator, whereby the heat is well discharged. Cooling is safe for use and lifespan is ensured, and the output power of ultrasound is maximized, so the output efficiency and treatment effect are excell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초음파를 이용한 골 융합 촉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를 시술한 치아 주변의 치조골 및 피부의 생성을 촉진하도록 초음파를 방사하여 치료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골 융합 촉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e fusion accelerator using ultrasoun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lant bone fusion promoter using ultrasound to treat the ultrasonic radiation to promote the production of alveolar bone and skin around the implant.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은 윗턱 및 아래턱의 치조골에 상실된 자연치아의 대체물인 임플란트를 매입하여 치아의 본래 기능을 회복시켜주는 치과시술을 말한다.In general, implantation refers to a dental procedure in which an implant, which is a substitute for natural teeth lost in the alveolar bone of the upper and lower jaws, is purchased to restore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teeth.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체결되는 나사형상의 고정체(fixture)와 고정체에 결합되는 인공치아로 이루어지는데, 임플란트 시술시 고정체가 치조골에 융합되도록 일정기간(3개월 ~ 6개월) 동안 치조골이 자연생성되기를 기다려야 했다.The implant consists of a screw-like fixture that is fastened to the alveolar bone and an artificial tooth that is coupled to the fixture.Also, alveolar bone is spontaneously produc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3 months to 6 months) to fuse the fixture to the alveolar bone during implantation. I had to wait to be.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을 완료하기 위해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Therefore, it took considerable time to complete the implant procedure.
이러한 이유로 고정체를 치조골에 매입한 후 치조골의 생성을 촉진하기 위해 고정체가 매입된 잇몸 부위를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치료하는 초음파 치료장치가 개발되었다.For this reason, an ultrasonic treatment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to treat an area of the gum where the fixture is embedded by applying ultrasonic vibration to promote the production of alveolar bone after embedding the fixture into the alveolar bone.
종래기술을 예로 들자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351155호의 "초음파 치료기"(이하 '선행기술')가 있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there is a "ultrasound therapy device" (hereinafter, "prior art") of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4-351155.
도 1은 종래 초음파 치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ultrasonic therapy device.
선행기술에 따른 상기 초음파 치료기는 구강 내에 임플란트 처치가 실시된 주위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프로브(1)와, 상기 프로브(1) 내부에 설치되고 해당 임플란트 처치가 실시된 부분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진동자(2)와, 상기 프로브(1) 일측으로 연장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와, 상기 진동자(2)에 적정 주파수 신호를 가하여 상기 진동자(2)를 진동시키는 본체(4)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진동자(2)와 본체(4)는 전선(5)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선(5)은 상기 손잡이(3) 내부를 통해 내설된다.The ultrasonic therapy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a probe (1) disposed in close proximity to the implant treatment in the oral cavity, and a vibrator for irradiating ultrasound to the portion installed inside the probe (1) and the implant treatment ( 2), a
이러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상기 진동자는 보통 1 ~ 5Mhz 정도의 고주파수로 진동하기 때문에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면 열이 발생한다.According to this prior art, the vibrator is usually vibrated at a high frequency of about 1 ~ 5Mhz generates heat when used for a certain time.
따라서 잇몸에 화상을 입을 수도 있고 상기 진동자가 내장된 함체가 녹기도 하며, 나아가 상기 진동자 수명이 단축되는 결과를 가져온다.Therefore, the gum may be burned, the housing in which the vibrator is built may melt, and further, the vibrator life may be shortened.
뿐만 아니라 상기 진동자는 만들어질 때 물리적 특성인 고유진동수를 가지는데, 실제 같은 재료와 크기를 가지는 진동자라 하더라도 각각 약간씩 고유진동수가 차이가 난다.In addition, the vibrator has a natural frequency, which is a physical characteristic when it is made, even if the vibrator having the same material and size actually differs slightly each.
이로 인해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진동자에 임의의 설정된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면 인가 주파수와 고유진동수가 일치하지 않아 상기 진동자의 초음파 출력레벨이 최대가 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when a predetermined frequency signal is applied to the vibrator from the main body, the applied frequency and the natural frequency do not coincide, and thus the ultrasonic output level of the vibrator is not maximiz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진동자에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는 초음파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골 융합 촉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bone fusion accelerator for implants using ultrasonic waves that can cool the heat generated in the vibrator.
또 다른 목적은 진동자의 고유진동수와 일치하는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여 초음파의 출력레벨을 최상으로 하는 초음파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골 융합 촉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implant bone fusion accelerator using an ultrasonic wave that has the best output level of the ultrasonic wave by applying a frequency signal matching the natural frequency of the vibra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를 시술한 부분의 골 융합을 촉진하기 위한 촉진기에 있어서, 내부에 오목한 수용부가 형성된 프로브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주파수를 인가받아 진동함으로써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진동자와, 상기 프로브의 일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고 내부에 전선이 내설되도록 통로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진동자와 상기 전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진동자에 주파수를 인가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브에는 상기 진동자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도록 방열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accelerator for promoting bone fusion of the implanted portion, a probe having a concave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and the ultrasonic wave is received by the vibration received at the receiving portion is applied to the receiving portion It is made of a vibrator for generating,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probe is gripped in the user's hand and the passage is formed so that the wire is in the interior, and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vibrator and the wire to apply a frequency to the vibrator The probe may have a heat dissipation hole formed to discharge heat generated from the vibra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열홀은 원형의 관통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로브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heat dissipation hole has a circular through shape and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probe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receiving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자와 전선이 접속되는 곳에 상기 진동자의 고유진동수가 기억된 기억소자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emory device further stores a natural frequency of the vibrator where the vibrator and the wire are connec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기억소자에 기억된 고유진동수를 감지하여 상기 고유진동수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ain body detects the natural frequency stored in the memory device and applies a frequency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atural frequency.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상기 진동자의 사용시간을 체크하여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main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change time by checking the use time of the vibra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진동자는 상기 수용부에 교체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vib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lacement portion is accommodated.
상술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는 방열홀에 의해 열이 방출되므로 진동자가 냉각되므로 사용상 안전하며 수명이 보장된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safe because the oscillator is cooled because the heat is released by the heat radiating hole and the life is guaranteed.
또 초음파 출력레벨이 최대가 되므로 출력효율 및 치료효과가 뛰어나다.In addition, the ultrasonic output level is maximized, so the output efficiency and treatment effect is excellen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골 융합 촉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ne fusion accelerator for implants using ultrasonic wa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프로브(10)와, 진동자(20)와, 손잡이(30)와, 본체(40)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먼저 프로브(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상기 프로브(10)는 내부에 수용부(12)가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스로서, 상기 수용부(12)에는 후술할 진동자(20)가 삽입, 설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프로브(10)의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밀폐되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 중앙부에 방열홀(14)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12)와 통한다.One side of the
따라서 상기 방열홀(14)을 통해 상기 수용부(12)에 설치된 상기 진동자(20)가 공기와 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진동자(20)에 발생하는 열이 공기 중으로 방출된다. Therefore, the
상기 방열홀(14)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나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다음은 상기 진동자(2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Next, the
상기 진동자(20)는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진동함으로써 초음파를 방사하는 것으로서,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로브(10) 내에 교체 가능하도록 장탈착된다.The
상기 진동자(20)에 대해 좀더 설명하자면, 전압을 가하면 진동하는 압전소자로 구성되며 고유한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를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1Mhz, 3Mhz, 5Mhz 등 다양한 종류의 고유진동수를 가지도록 제작된다.To describe the
따라서 고유한 고유진동수를 가지는 상기 진동자(20)에 고유진동수와 동일한 주파수의 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진동자(20)는 공진을 일으켜 최대의 진폭으로 진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초음파가 최대로 방사된다.Therefore, when a signal having the same frequency as the natural frequency is input to the
이렇게 방사된 초음파는 주로 환부의 발열에 의한 신진대사 촉진, 고주파 진동에 의한 마이크로 마사지, 기타 생체조직 내에 작용하는 생물적 화학 작용을 일으켜 치료를 촉진한다.The emitted ultrasound mainly promotes metabolism by fever of the affected area, micro-massage by high frequency vibration, and biological chemistry acting on other tissues to promote treatment.
특히 임플란트 시술 후 고정체(fixture)와 이에 인접하는 잇몸 치조골 사이 에 방사되어 골 생성을 빠르게 촉진하여 고정체와 치조골이 단단하게 융합되도록 유도한다.In particular, after implantation is radiated between the fixture (fixture) and the adjacent alveolar bone to promote bone formation quickly to induce a firm fusion of the fixture and alveolar bone.
여기서, 상기 진동자(20)는 상기 프로브(10) 내에 끼움식으로 결합시켜 수명이 다하면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상기 방열홀(14)을 통해 상기 진동자(20)를 밀어냄으로써 교체가 용이할 것이다.In this case, the
다음은 손잡이(3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프로브(10)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긴 바(bar)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통로(32)가 형성되어 상기 프로브(10)의 수용부(12)와 연통된다.The
상기 손잡이(30)를 손으로 파지하고 상기 프로브(10)가 구강 내로 인입되도록 하므로 상기 손잡이(30)와 프로브(10)는 인체에 해가 없는 실리콘이나 이물감이 적은 바이오 세라믹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입 안에 넣기 용이하도록 유선형과 같은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제작 가능하다.Since the
다음은 상기 본체(4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상기 본체(40)는 일정한 주파수를 발생시켜 전기적인 신호를 상기 진동자(20)에 인가해주는 것으로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간단히 언급하기로 한다.Since the
보통 상기 본체(40)는 전원스위치(미도시), 주파수 발생부(미도시), 주파수 증폭부(미도시), 주파수 선택부(미도시), 각종 수치를 시현하는 디스플레이(미도시)로 구성되며 상기 진동자(20)와 전선(10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선(100)은 상기 손잡이(30)의 통로(32)에 내설된다.Usually, the
한편, 본 발명에는 기억소자(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 기억소자(50)는 상기 진동자(20)의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마이크로칩(micro chip)으로서 상기 전선(100)과 본체(40)가 접속되는 위치에 부착된다.The
실제로 상기 진동자(20)는 동일한 생산라인으로부터 생산되는 제품마다 고유진동수가 약간씩 달라지기 때문에 기본 정보로 알려진 고유진동수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입력하게 되면 완전한 공진이 발생하기 않을 수 있다. 즉, 공진을 일으키는 주파수 대역에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In fact, since the
예를 들어, 제품설명서에 1Mhz의 고유진동수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진동자(20)가 공급되는 경우 각 진동자(20)의 정확한 고유진동수를 측정한 결과 1.1Mhz라고 한다면, 실제 상기 본체(40)에서 1Mhz를 입력하면 공진이 일어나지 않아 초음파의 출력레벨이 낮아진다.For example, if the
그러므로 각 진동자(20)의 고유진동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그 측정값을 내장시킨 상기 기억소자(50)를 더 내장할 수 있으며, 앞 예에서 상기 1.1Mhz가 입력된 기억소자(50)를 통해 상기 본체(40)가 정확한 고유진동수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사용자는 1.1Mhz의 주파수 신호를 선택하여 입력함으로써 최대의 초음파 출력레벨을 얻을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measure the natural frequency of each
이때 상기 기억소자(50)에 고유진동수 측정값을 기억시키는 방법은 공지된 기술로서, 쉽게 말하자면 교통카드에 내장된 칩에 전자화폐를 충전시키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충전시키는 구조이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storing the natural frequency measurement value in the
또한 상기 기억소자(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선(100)이 상기 본체(40)에 접속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본체(40)에 전선을 접속하게 하는 공지의 접속단자(200)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단자(200) 내부에 상기 기억소자(50)를 내장시킨다.In addition, the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접속단자(200)를 상기 본체(40)에 꽂으면 상기 본체(40)가 상기 접속단자(200) 내에 있는 상기 기억소자(50)를 인식하고 내장된 값을 읽어들인다.In this way, when the
참고로 상기 본체(40)에는 타이머(미도시)가 더 내장되어 상기 진동자(20)의 실제 작동시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진동자(20)의 교환시기를 알 수 있게 된다. For reference, the
더불어 상기 진동자(20)의 치료시간이 경과하면 치료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경고 알람 기능도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보통 임플란트 치료를 위해 1회에 15분 정도 치료하기 때문에 치료시간을 알려주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treatment time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다.4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먼저 사용자가 상기 본체(40)에 상기 접속단자(200)를 연결하고 상기 본체(40)의 전원을 켜면 상기 기억소자(50)에 기억된 상기 진동자(20)의 고유진동수가 시현되고 사용자는 이것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선택하여 상기 진동자(20)에 입력하면 상기 진동자(20)가 진동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킨다.First, when the user connects the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30)를 잡고 상기 프로브(10)를 구강 내에 인입하여 상기 프로브(10)가 임플란트 시술 부위에 인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일정시간 동안 치료를 실시한다.Then, the user grabs the
이때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게 되면 상기 진동자(20)에서 열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프로브(10)에 형성된 방열홀(14)을 통해 열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게 된다.At this time, when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heat is generated in the
만일, 상기 진동자(20)의 수명이 다되었음을 알려주는 본체(40)의 신호에 의해 상기 진동자(20)를 교체하고 새로운 고유진동수를 감지하여 이에 맞는 주파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If the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s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도 1은 종래 초음파 치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ultrasonic therapy device.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초음파를 이용한 임플란트용 골 융합 촉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ne fusion accelerator for implants using ultras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4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0 : 프로브 12 : 수용부10
14 : 방열홀 20 : 진동자14: heat dissipation hole 20: vibrator
30 : 손잡이 32 : 통로30: handle 32: passage
40 : 본체 50 : 기억소자40: main body 50: memory element
100 : 전선100: wir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8531A KR100844491B1 (en) | 2008-04-25 | 2008-04-25 | Ultrasound Bone Fusion Promoters for Impla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8531A KR100844491B1 (en) | 2008-04-25 | 2008-04-25 | Ultrasound Bone Fusion Promoters for Implan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4491B1 true KR100844491B1 (en) | 2008-07-07 |
Family
ID=39823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8531A Ceased KR100844491B1 (en) | 2008-04-25 | 2008-04-25 | Ultrasound Bone Fusion Promoters for Impla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4491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01532A1 (en) * | 2009-07-03 | 2011-01-06 | 伊藤超短波株式会社 | Ultrasonic treatment apparatus |
CN102579146A (en) * | 2012-03-02 | 2012-07-18 | 四川大学 | In vivo microvibration loading device for promoting dental implant-bone interface osteogenesis |
KR101479296B1 (en) | 2013-12-12 | 2015-01-05 | 문창수 | Ultrasonic vibrator for periodontal disease |
KR101879757B1 (en) * | 2018-02-08 | 2018-07-19 | 에이치에스하임 (주) | Ultrasonic apparatus for promoting Osseointegration and blood circulation of Periodental tissue for implant |
KR101920423B1 (en) | 2018-07-11 | 2018-11-20 | 에이치에스하임 (주) | Ultrasonic apparatus for promoting Osseointegration and blood circulation of Periodental tissue for implant |
WO2019078423A1 (en) * | 2017-10-20 | 2019-04-25 |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 Ultrasonic bone fusion promoting apparatus |
KR20200104971A (en) | 2019-02-27 | 2020-09-07 | 한국광기술원 | Photoacoustic Simulus Apparatus for Oral Cavity |
WO2023132479A1 (en) * | 2022-01-04 | 2023-07-13 |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 Multi-frequency ultrasonic oscillation probe and dental device including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96256A (en) | 1994-06-09 | 1996-03-05 | Sonex International Corporation | Ultrasonic bone healing device for dental application |
JP2004351155A (en) | 2003-05-30 | 2004-12-16 | Bio Map Co | Ultrasonic therapeutic apparatus |
WO2007066419A1 (en) | 2005-12-07 | 2007-06-14 | Bio Map Co., Ltd. | Ultrasonic therapy apparatus |
-
2008
- 2008-04-25 KR KR1020080038531A patent/KR100844491B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496256A (en) | 1994-06-09 | 1996-03-05 | Sonex International Corporation | Ultrasonic bone healing device for dental application |
JP2004351155A (en) | 2003-05-30 | 2004-12-16 | Bio Map Co | Ultrasonic therapeutic apparatus |
WO2007066419A1 (en) | 2005-12-07 | 2007-06-14 | Bio Map Co., Ltd. | Ultrasonic therapy apparatus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01532A1 (en) * | 2009-07-03 | 2011-01-06 | 伊藤超短波株式会社 | Ultrasonic treatment apparatus |
JP5411269B2 (en) * | 2009-07-03 | 2014-02-12 | 伊藤超短波株式会社 | Ultrasonic therapy device |
CN102579146A (en) * | 2012-03-02 | 2012-07-18 | 四川大学 | In vivo microvibration loading device for promoting dental implant-bone interface osteogenesis |
KR101479296B1 (en) | 2013-12-12 | 2015-01-05 | 문창수 | Ultrasonic vibrator for periodontal disease |
WO2019078423A1 (en) * | 2017-10-20 | 2019-04-25 |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 Ultrasonic bone fusion promoting apparatus |
KR101879757B1 (en) * | 2018-02-08 | 2018-07-19 | 에이치에스하임 (주) | Ultrasonic apparatus for promoting Osseointegration and blood circulation of Periodental tissue for implant |
KR101920423B1 (en) | 2018-07-11 | 2018-11-20 | 에이치에스하임 (주) | Ultrasonic apparatus for promoting Osseointegration and blood circulation of Periodental tissue for implant |
KR20200104971A (en) | 2019-02-27 | 2020-09-07 | 한국광기술원 | Photoacoustic Simulus Apparatus for Oral Cavity |
WO2023132479A1 (en) * | 2022-01-04 | 2023-07-13 | 에코디엠랩 주식회사 | Multi-frequency ultrasonic oscillation probe and dental device including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4491B1 (en) | Ultrasound Bone Fusion Promoters for Implants | |
KR101541585B1 (en) | Treatment device | |
ES2271212T3 (en) | IMPANTS AND DEVICE TO JOIN TISSUE PARTS. | |
US6910887B2 (en) | Device for performing an endodontic treatment | |
ES2894861T3 (en) | Ultrasonic tip for ultrasonic instrument and dental treatment method with said ultrasonic tip | |
AU2008222313A1 (en)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shortening menstrual period duration | |
WO2020123992A1 (en) | Dental care mouthpiece cleaning system | |
KR20180048959A (en) | Dental Kits | |
US8414295B2 (en) | Non-contact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ty assessment of dental implant | |
KR101411141B1 (en) | Multi frequency ultrasound oscillation device having a resonant requency of the auto-matching capabilities | |
EP2146660B1 (en) | Ultrasound frequency resonant dipole for medical use | |
KR100991977B1 (en) | Dental treatment device with ultrasound, ultraviolet and ozone water treatment | |
JP2011004883A (en) | Oral cavity care device | |
CN111093556A (en) | Implant setting strength evaluation method, implant setting strength evaluation device and program | |
KR20070038964A (en) | Tips for Ultrasonic Tartar Removal | |
CN106031660B (en) | A kind of wireless correction auxiliary therapeutic instrument | |
KR100993315B1 (en) | Tooth tray unit | |
WO2008075708A1 (en) | Ultrasonic treatment apparatus | |
KR2010012642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local congestion of cerebrospinal fluid | |
JP3553486B2 (en) | Mechanical anesthesia and affected area separation device | |
KR20100009670A (en) | Ultrasonic therapeutic device for dental clinic | |
US20090048545A1 (en) | Ultrasonic therapeutic apparatus | |
KR101750374B1 (en) | Cast for fracture treatment and the assist treatment device thereof | |
JP2006312032A (en) | Apparatus utilizing ultrasonic waves | |
KR102489670B1 (en) | Easy-to-clean mouthpiec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804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030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0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90305 Decision date: 20100129 Appeal identifier: 2009100000510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305 Effective date: 20100129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0012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90305 Decision date: 20100129 Appeal identifier: 2009100000510 |
|
EXTG | Ip right invalidated | ||
PC2102 | Extingu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