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4441B1 -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441B1
KR100844441B1 KR1020060049900A KR20060049900A KR100844441B1 KR 100844441 B1 KR100844441 B1 KR 100844441B1 KR 1020060049900 A KR1020060049900 A KR 1020060049900A KR 20060049900 A KR20060049900 A KR 20060049900A KR 100844441 B1 KR100844441 B1 KR 100844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heet
plate
hole
rubber p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443A (ko
Inventor
박철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엔씨, 구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지엔씨
Priority to KR102006004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441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44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3/00Form of contacts
    • H01H2203/036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 H01H2203/038Form of contacts to solve particular problems to be bridged by a dome shape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는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인쇄 필름, 인쇄 필름의 저면에 접하며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버튼 홀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및 버튼 시트의 저면에 제공되며 버튼 홀을 통해 인쇄 필름 및 버튼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러버 패드층을 포함한다. 버튼 플레이트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전면이 노출될 수 있으며, 얇은 인쇄 필름 및 버튼 시트를 이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얇은 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개인휴대단말기, 버튼 플레이트

Description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BUTTON PLATE FOR PERSONAL PORTABLE DEVICE}
도 1 에 종래의 휴대폰에서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단말기 및 버튼 플레이트 간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버튼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버튼 시트와 유사한 다른 버튼 시트들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버튼 시트와 발광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은 도 21의 버튼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버튼 플레이트 110:버튼 시트
112:버튼 홀 120:인쇄 필름
130:러버 패드층 132:누름 돌출부
200:개인휴대단말기 216:키패드 홀
본 발명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조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두께를 줄일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등의 개인휴대단말기에서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서 키 입력부의 버튼들이 사용된다. 휴대폰과 관련된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키 입력부로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것 외에도, 메시지 전달을 위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며, 게임 기능이나 각종 기능을 제어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경향은 비단 휴대폰에만 그치지 않고, 다른 휴대용 장치에도 적용되고 있다.
도 1 에 종래의 휴대폰에서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폰(1)에서 키 입력부는 버튼(12)이 형성된 키 패드(10), 돔 스위치(22)가 형성된 접착 시트(20), 및 원형의 전극(32)이 형성된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30)을 포함한다.
키 패드(10)는 고무,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키 패드(10)의 상면에는 휴대폰의 버튼(12)이 사출 성형 등을 통해 키 패드(10)와 일체로 형성되 어 있다. 키 패드(10)에서 버튼(12)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된 버튼(12)은 휴대폰의 상부 케이스(2)에 형성된 홀(4)를 통해서 각각 노출될 수가 있다.
키 패드(10)의 하부에는 돔 스위치(22)를 포함하는 접착 시트(20)가 제공된다. 돔 스위치(22)는 금속을 재질로 형성되며, 돔(dome) 형태의 스위치가 평평하게 눌러지면서 전극(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다시 원 상태로 복귀하여 전극(32)을 다시 분리시킬 수 있다. 돔 스위치(22)는 접착 시트(30)에 직접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른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서로 부착시킬 수가 있다.
PCB 기판(30)은 환형(ring-shaped) 전극(32)를 포함하며, 전극(32)은 버튼(12) 및 돔 스위치(22)의 위치에 대응하여 그 하부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전극(32)은 동심원의 환형 구조를 가지며, 돔 스위치(2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 패드(10)는 상부 케이스(2)의 하부에 위치하며, 버튼(12)은 상부 케이스(2)의 홀(4)을 통해 외부로 노출 또는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키 입력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부 케이스(2) 및 키 패드(10)를 겹쳐서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키 입력부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 밖에 없으며, 그 두께를 얇게 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2)에 홀(4)을 형성하여야 하며, 각 홀(4)에 대응하도록 버튼(12)을 위치시켜야 한다. 따라서, 조립을 통한 제작이 복잡하며 키 입력부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도 많다.
도 2는 종래의 키 입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의 버튼(12)이 키 패드(10)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키 패드(10)의 저면에는 간격 지지부(16) 및 누름 돌출부(14)가 아래를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12)을 누르면, 누름 돌출부(14)가 돔 스위치(22)를 누르게 되고, 돔 스위치(22)가 변형되면서 돔 스위치(22) 하부에 위치한 전극(32)을 연결할 수가 있다. 전극(32)이 연결됨에 따라 버튼(12)의 누름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전극(32)에서 발생된 신호는 숫자 또는 문자 입력을 위해 내부 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버튼(12)의 면적이 누름 돌출부(14)의 면적보다 훨씬 크므로, 버튼(12)을 누르는 힘이 모아져서 누름 돌출부(14)에 전해질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도 돔 스위치(22)를 용이하게 누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부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얇은 시트 구조를 유지하여 키 입력부에서 돌출된 부분을 없애거나 돌출된 높이를 최소로 유지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 입력부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열악하기 쉬운 경도 및 키감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 입력부의 두께뿐만 아니라 개인휴대단말기의 두께도 감소시킬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번에 제조가 가능하고,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 디자인 및 색채의 표현이 용이하여 제품으로서도 우수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버튼 플레이트는 인쇄 필름,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및 러버 패드층을 포함한다. 인쇄 필름 및 버튼 시트는 러버 패드층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인쇄 필름, 버튼 시트 및 러버 패드층은 얇은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휴대단말기에서는 버튼 플레이트에 대응하는 키패드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는 키패드 홀에 장착됨으로써 키패드 홀을 차단하여 케이스의 일부가 될 수 있으며, 얇은 두께를 유지하면서 본래의 키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 필름에는 키 입력을 위해 문자 또는 숫자 등의 영역, 즉 버튼 영역에 표시된다. 버튼 영역은 인쇄, 레이저 증착 또는 부분 도금 등의 방법에 의해서 인쇄 필름에 표시될 수가 있으며, 외형적으로는 다양한 디자인 또는 다양한 색채로 표현될 수가 있다.
인쇄 필름의 저면으로는 버튼 홀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가 제공되며, 버튼 시트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이나 고강도 플라스틱과 같은 고경도 재질을 이 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가락에 의해서 눌리는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버튼 시트에는 버튼 홀(button hole)이 형성된다. 따라서, 손가락이 버튼 영역을 누르게 되면, 인쇄 필름과 러버 패드층에서 버튼 홀이 형성된 부분만 아래로 움직일 수 있으며, 다른 부분은 버튼 시트의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어 상대적으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버튼 홀에 의해 러버 패드층은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며, 손가락의 누름에 대응하여 돔 스위치를 누를 정도로 이동할 수가 있다. 러버 패드층은 버튼 시트 및 인쇄 필름과 일체로 연결되며, 버튼 홀을 통해서 인쇄 필름의 저면이 부착될 수 있다. 러버 패드층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 고무로 구성되어 손가락의 가압력을 돔 스위치로 충분히 전달할 수 있지만, 각 버튼 홀의 위치에 대응하여 아래로 돌출된 누름 돌출부를 이용함으로써 좀더 용이하게 가압력을 전달할 수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Portable Device)라 함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핸드헬드(handheld) PC, 핸드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로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모듈,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유무선 랜카드와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소정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함으로써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키입력 센서부는 돔 스위치 및 전극으로 구성된 구조 외에도 적용되는 기술 수준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키입력 센서부가 선택될 수 있으며, 단말기에 맞게 변경될 수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단말기 및 버튼 플레이트 간의 결속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개인휴대단말기(200)은 단말기 본체(210), 버튼 플레이트(100) 및 키입력 센서부(230)를 포함한다.
단말기 본체(210)는 일반적인 단말기 기능을 포함하는 케이스, 내외 부품 및 회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휴대폰의 경우 단말기 본체(210)는 단말기 케이스, 키 입력부, 디스플레이 모듈, 무선 송수신 모듈, 배터리, 마이크 및 리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단말기 본체(210)는 바(bar)의 형상을 갖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본체는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스윙형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스타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버튼 플레이트(100)가 장착되는 단말기 본체(210)는 전면 케이스(212) 및 후면 케이스(214)를 포함한다. 전면 케이스(212)의 전면에는 키 입력부를 장착하기 위한 키패드 홀(216)이 제공된다.
버튼 플레이트(100)는 전면 케이스(212)의 내면에서 외부를 향해 장착되며, 버튼 플레이트(100)의 안쪽으로는 키입력 센서부(230)가 제공된다. 버튼 플레이트(100)는 키패드 홀(216)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키패드 홀(216)에 장착됨으로써 단일벽을 형성하는 키 입력부를 제공할 수 있고, 버튼 플 레이트(100)는 전면 케이스(212)의 일부로서 키패드 홀(216)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면 케이스(212)는 버튼을 개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을 포함하지 않으며, 버튼 플레이트는 전면 케이스(212)의 일부로서 평면을 형성할 수가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튼 플레이트(100)는 버튼 홀(1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110), 버튼 시트(110) 상에 형성되는 인쇄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을 포함한다. 버튼 시트(110) 및 인쇄 필름(120)은 얇은 시트 또는 판이기 때문에 버튼 플레이트(100) 자체도 약 0.05~0.5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버튼 시트(110)가 스테인리스 스틸(SUS)과 같은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버튼 플레이트(100)의 두께를 더 얇게 유지할 수가 있다.
버튼 플레이트(100)는 키패드 홀(216)에 바로 장착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100) 하나로 기존의 케이스 벽면 및 키패드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플레이트(100)는 단말기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제조에 필요한 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가 있다.
또한, 버튼 플레이트(100)의 외곽을 따라 위치 가이드 홈(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키패드 홀(216)의 내면에는 위치 가이드 홈(124)에 대응하는 위치 가이드 돌기(217)가 형성될 수 있다. 버튼 플레이트(100)는 나사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전면 케이스(212)에 고정될 수 있지만, 나사로 체결하기 전에 가이드 돌기(217) 및 위치 가이드 홈(124)을 서로 맞춤으로써 버튼 플레이트(100)를 키패드 홀(216)에 정위치 시킬 수가 있다.
키입력 센서부(230)는 누름 센서를 포함하며, 누름 센서는 돔 스위치(232) 및 접점 전극(234)을 이용한 구조를 갖는다. 버튼 플레이트(100)의 각 버튼에 대응하도록 버튼 홀(112)이 제공되며, 각 버튼 홀(112)에 대응하여 키입력 센서부(230)에는 돔 스위치(232) 및 접점 전극(234)이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쇄 필름(120)에 표시된 버튼 영역을 누르면, 누르는 힘은 버튼 홀(112)를 통해 러버 패드층(130)을 움직이게 할 수 있으며, 러버 패드층(130)은 돔 스위치(232)를 눌러 접점 전극(234)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접점 전극(234)의 연결에 대응하여 입력 신호가 생성되며, 각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는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버튼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4및 도 6을 참조하면, 버튼 플레이트(100)에는 인쇄 필름(120), 버튼 시트(110) 및 러버 패드층(130)이 위에서부터 차례로 적층되어 있다.
버튼 시트(110)는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110)에서 버튼 홀(112)과 면접하는 인쇄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의 일부분은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버튼 시트(110)는 인쇄 필름(1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버튼 시트(110)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금속 이외에도 고강도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버튼 홀(112)은 키 입력부에서 숫자나 문자에 대응하는 버튼 영역 하부에 형성된다. 버튼 홀(112)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으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하게 조절될 수가 있다. 또한, 복수개의 버튼 홀은 서로 분리되어 형성되거나 인접한 다른 버튼 홀과 연결되어 연결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버튼 시트(110)는 버튼 홀(112)을 형성하는 간단한 고정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으며, 버튼 홀(112)을 주변으로 버튼 시트(110)가 프레임(116)으로서 인쇄 필름(120)과 러버 패드층(130)을 지지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인쇄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때 버튼 홀(112)은 돔 스위치와 같은 누름 센서를 작동시킬 만큼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경도 버튼 홀을 구성하는 재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이지만, 구리나 구리합금, 알루미늄, 티타늄, 플래티늄. 니켈 등 금속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버튼 시트(110)는 약 0.05mm에서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110) 상에는 인쇄 필름(120)이 부착된다. 인쇄 필름(120)은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우레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인쇄 필름(120)는 약 10㎛ ~ 1mm의 두께로 가진다.
인쇄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은 버튼 시트(110)의 양면에서 버튼 홀(112)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버튼 영역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버튼 영역을 누른 후 힘을 제거하면, 돔 스위치, 인쇄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의 복원력에 의해서 인쇄 필름(120) 및 러버 패드층(130)이 평평하게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러버 패드층(130)은 버튼 홀(112)의 하부에 위치한 누름 돌출부(132)를 포함하며, 누름 돌출부(132)의 주변으로는 버튼 홀(112) 또는 버튼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간격 지지부(134)가 제공될 수 있다.
버튼 시트(110)는 도 6에 도시된 버튼 시트 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버튼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버튼 시트와 유사한 다른 버튼 시트들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버튼 시트(110a)에는 버튼 홀(112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나의 버튼 홀(112a)이 수개의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다만, 버튼 홀(112a)에는 각 버튼 영역을 구분할 수 있는 구획용 돌기(114a)가 형성되어 있으며, 구획용 돌기(114a)에 의해서 각 버튼 영역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7에서는 각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버튼 홀(112a)이 사각의 홀 모양을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버튼 홀은 원형의 홀 모양을 기본으로 할 수 있으며, 피넛 형상(peanut shape) 또는 눈사람 형상(snowman shape)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의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금형(I)에 버튼 플레이트(100)를 제조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홈에는 인쇄 필름(120)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버튼 시트(110)가 차례로 적층된다. 인쇄 필름(120)에는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인쇄되어 있으며, 인쇄 필름(120)의 상면으로 버튼 홀(1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110)가 올려진다. 버튼 홀(112)은 각 버튼 영역에 대응하도록 조절된 위치로 배치된다. 이때 인쇄 필름(120)에서 인쇄된 면을 아래를 향하고 있으며, 키패드 홀에 의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은 인쇄 필름(120)의 저면이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버튼 플레이트(100)를 기준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버튼 플레이트를 한번에 제작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버튼 플레이트를 한번에 제작한 후 버튼 플레이트의 크기에 맞게 버튼 플레이트를 재단하여 각각 제조할 수가 있다. 실제로, 버튼 플레이트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경우에는 후자의 방법을 택할 수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110) 위로 액상 실리콘(130-1)이 도포된다. 액상 실리콘은 겔 상태와 같이 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며, 압력을 받아 금형 내에서 유동하면서 변형될 수가 있다. 하부 금형(I)의 상부로는 상부 금형(II)이 제공되며, 상부 금형(II)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132) 및 간격 지지부를 성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버튼 플레이트를 하나로 연결하여 성형한 후, 하나의 원판을 재단함으로써 각각의 버튼 플레이트를 제작할 수가 있다. 이때에는 인쇄 필름 또는 버튼 시트 상에서 겔 상태의 실리콘 수지를 여러 지점에서 분사하여 도포할 수가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부 금형(II)이 아래로 이동하여 액상 실리콘(130-1)을 압축한다. 압력을 받은 액상 실리콘(130-1)은 버튼 시트(110)의 버튼 홀(112) 및 버튼 시트(110)의 측면으로 진입하여 인쇄 필름(110)과 접촉하게 되며, 압축된 상태에서 약 100~200℃의 열을 가함으로써 액상 실리콘(130-1)을 경화시킬 수 있으며, 액상 실리콘(130-1)은 누름 돌출부(132) 및 간격 지지부(134)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130)으로 전환될 수 있다. 러버 패드층(130)이 인쇄 필름(110)과 일체로 형성되고, 외곽을 정리하면서 버튼 플레이트(100)가 최종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압축성형에 의해서 러버 패드층을 형성하지만, 사출성형이나 그 외의 방법을 이용하여서도 러버 패드층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일 예로, 인쇄 필름(120) 및 버튼 시트(110)를 하부 금형(I)에 배치시킨 후, 하부 금형(I) 상에 상부 금형(II)을 덮고, 상부 및 하부 금형(I, II) 사이에 고무 재질의 액상 수지를 주입함으로써 러버 패드층을 제조할 수가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1의 버튼 플레이트는 이전 실시예의 도면 및 도면부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인쇄 필름(120) 및 버튼 시트(110) 사이에 제1 접착층(140)이 제공되며, 버튼 시트(110) 및 러버 패드층(130) 사이에서도 제2 접착층(145)이 제공된다. 제1 접착층(140)은 버튼 시트(110) 또는 인쇄 필름(12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도 8과 같이, 인쇄 필름(120)과 버튼 시트(110)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접착층(145)은 버튼 시트(11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그 위 에 액상 실리콘을 도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버튼 시트(110)의 상면 및 하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일정시간을 기다리는 것과 같이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후공정을 진행할 수 있으며, 접착제가 도포된 버튼 시트(110)를 인쇄 필름(120) 위에 올리고, 그 위에 액상 실리콘을 도포하여 러버 패드층(130)을 성형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버튼 시트(110)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을 이용하여 형성되어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매끄러운 표면에 의해서 인쇄 필름(120)과 용이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실제로 인쇄 필름(120)과 버튼 시트(110)를 상호 부착시키는 경우, 버튼 시트(110)의 버튼 홀(112)을 통해서 러버 패드층(130)과 인쇄 필름(120)이 상호 결속되기는 하지만, 버튼 홀(112) 이외의 영역에서 인쇄 필름(120)이 부분적으로 들떠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버튼 시트(110)와 인쇄 필름(120) 사이에 프라이머와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고, 필름과 시트를 상호 접착시킴으로써 필름이 들뜨는 부분을 없앨 수 있으며, 인쇄 필름(120) 및 버튼 시트(110) 간의 상호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12의 버튼 플레이트는 이전 실시예의 도면 및 도면부호를 참조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인쇄 필름(121), 버튼 시트(110) 및 러버 패드층(130)이 서로 적층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쇄 필름(121)은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버튼 돌기(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는 돌출된 부분 없이 평 평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인쇄 필름(121)에 버튼 돌기(122)를 형성하고, 버튼 시트(110) 및 러버 패드층(130)을 일체로 부착시킬 수가 있다. 이때 러버 패드층(130)의 일부가 버튼 돌기(122)의 내면으로 스며들어 안정된 돌기 구조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인쇄 필름(121) 및 버튼 시트(110) 사이에 제1 접착층(141)이 제공된다. 제1 접착층(141)은 버튼 시트(110) 또는 인쇄 필름(121)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도 8과 같이, 인쇄 필름(121)과 버튼 시트(110)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가 있다. 제1 접착층(141)은 버튼 돌기(122)가 있는 부분에서 러버 패드층(130)과 인쇄 필름(121)을 견고하게 접착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인쇄 필름(121)이 버튼 시트(110) 또는 러버 패드층(130)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버튼 시트와 발광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발광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버튼 플레이트는 버튼 시트(310), 인쇄 필름(320), 러버 패드층(330), 제1 접착층(340), 제2 접착층(345), 발광 시트(350) 및 러버 삽입층(36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버튼 플레이트는 단말기 본체의 키패드 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되어 키입력부 및 측벽을 제공할 수 있다.
버튼 시트(310)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이용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310)의 버튼 홀(312)에 의해서 인쇄 필름(310) 및 러버 패드층(330)은 각 각 부분적으로 움직일 수가 있다. 버튼 홀(312)은 키 입력부에서 각각의 버튼 영역에 배치되며, 버튼의 형상에 따라 사각형, 타원형 또는 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버튼 홀(312)은, 도 6과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310)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버튼 시트(310)는 약 0.05mm에서 1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더라도 인쇄 필름보다 우수한 경도를 갖기 때문에 얇게 만들어도 딱딱한 형태를 유지하기가 용이하며, 휘어지지 않으면서 정해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키 입력부 구조와 비교해도 버튼 플레이트의 두께는 물론 개인휴대단말기의 두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버튼 시트(310) 상에는 유기EL 또는 무기EL을 이용한 발광 시트(350)가 제공된다. 발광 시트(350)는 베이스 시트(352), 배면전극 패턴(354), 발광 패턴(356) 및 투명전극 패턴(358)을 포함한다. 베이스 시트(352)는 절연 물질로 구성되며, 베이스 시트(352) 상으로 각 버튼 영역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형성된다. 발광부는 배면전극 패턴(354), 발광 패턴(356) 및 투명전극 패턴(358)을 포함하며, 배면전극 패턴(354) 및 투명전극 패턴(358)에 전원이 인가되면 무기 EL(Electro Luminescent) 또는 유기 EL로 구성된 발광 패턴(356)으로부터 빛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배면전극 패턴(354) 및 발광 패턴(356)의 사이 또는 발광 패턴(356) 및 투명전극 패턴(358)의 사이에는 유전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베이스 시트(352) 상에는 각 버튼 홀(312)에 대응하여 발광부가 각각 형성되며, 발광부는 배면전극, EL 발광패턴 및 투명전극을 포함함으로써 각각 빛을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배면전극 패턴들(354)은 서로 전 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 급전부(353)를 통해서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투명전극 패턴(358)은 은(Ag), 알루미늄(Al), 금(Au) 등으로 구성된 버스전극 패턴(359)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 급전부(357)를 통해서 역시 외부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버스전극 패턴(359)이 투명전극 패턴(358) 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버스전극 패턴이 투명전극 패턴 아래에 형성될 수도 있다.
무기EL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무기의 발광체 분말을 페이스트 형태로 준비한 후, 준비된 패턴을 이용한 스크린 인쇄 과정을 통해서 발광 패턴을 형성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발광 패턴은 배면전극 패턴 상에 각각 형성되며, 주변의 전기적인 영향에 의해서 발광할 수가 있다. 이외에도 발광 패턴은 포토 레지스트 방식 또는 잉크젯 방식 등 다양한 패턴 형성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유기EL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벤조티아졸계, 벤조이미다졸계, 벤조옥사졸계, 금속킬레이트화옥소늄화합물, 스틸릴벤젠계화학물, 방향족디메틸리딘계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유기 발광물질을 이용한 발광 패턴은 증착 등의 방법을 통해서 배면전극 패턴 상에 형성될 수가 있다.
투명전극 패턴(358)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ITO 또는 IZO의 투명전극 패턴(358)은 스퍼터링(sputtering) 또는 증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ITO 또는 IZO를 페이스트 형태로 인쇄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발광 시트(350)에서 발광 패턴(356)을 포함하는 발광부는 각 버튼 홀(3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외부의 전원극과 연결되어 자체적으로 빛을 발할 수가 있다. 버튼 시트(310) 및 발광 시트(350)의 상하로는 제1 접착층(340) 및 제2 접착층(345)이 상하로 형성된다. 발광 시트(350)를 이용하기 때문에 버튼 홀(312)은 차단될 수 있으며, 인쇄 필름(320)과 러버 패드층(330)은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가 없다. 따라서 버튼 시트(310)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러버 패드층(330)을 형성하여 견고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버튼 시트(310) 역시 발광 시트(350)에 의해서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며, 울퉁불퉁한 표면으로는 인쇄 필름(320)과 안정된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시트(310) 및 발광 시트(350) 상에 제1 접착층(340)을 형성하고, 러버 삽입층(360)과 버튼 시트(310) 간의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즉, 러버 삽입층(360)은 고르지 못한 표면을 갖는 버튼 시트(310) 및 인쇄 필름(320) 사이에 개재되며, 러버 삽입층(360)은 발광 시트(350) 및 기타 요철에 의한 표면을 메움으로써 편평도가 좋은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할 수가 있다. 압축하여 성형하는 과정에서 러버 삽입층(360) 및 러버 패드층(330)은 일체로 연결되며, 안정된 결합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쇄 필름(320) 및 버튼 시트(310)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버튼 시트(310) 상에는 인쇄 필름(320)이 적층된다. 인쇄 필름(320)은 폴리프로필렌(PP), 방향성 폴리프로필렌(O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에틸렌(PE), 폴리염화비닐(PVC), 아크릴부타디엔스티 렌(ABS), 폴리카보네이트(PC), 우레탄 등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인쇄 필름(320)는 약 10㎛ ~ 1mm의 두께로 가진다.
러버 패드층(330)은 버튼 홀(312)의 하부에 형성된 누름 돌출부(332)를 포함하며, 누름 돌출부(332)의 주변으로는 버튼 홀(312) 또는 버튼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간격 지지부가 제공된다.
이하, 도 13의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하부 금형(I)에 버튼 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홈에는 인쇄 필름(320) 및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버튼 시트(310)가 차례로 적층된다. 인쇄 필름(320)에는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인쇄되어 있으며, 인쇄 필름(320) 위로 버튼 홀(3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310)가 올려진다. 이때 버튼 시트(310)의 상면에는 각각 발광 시트(350)가 제공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버튼 시트(310) 및 발광 시트(350)의 외면으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버튼 시트(310)를 올리기 전에 인쇄 필름(320) 위에 러버 삽입층(360)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액상 실리콘(360-1)을 도포한다. 제1 액상 실리콘(360-1)은 겔 또는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도포되며, 한 지점 또는 복수의 지점들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버튼 시트(310) 위로 제2 액상 실리콘(330-1) 이 도포된다. 제2 액상 실리콘(330-1)은 제1 액상 실리콘(360-1)과 같이 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며, 압력을 받아 금형 내에서 유동할 수가 있다. 하부 금형(I)의 상부로는 상부 금형(II)이 제공되며, 상부 금형(II)의 저면에는 누름 돌출부(332) 및 간격 지지부를 성형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버튼 플레이트를 하나로 연결하여 성형한 후, 하나의 원판을 재단함으로써 각각의 버튼 플레이트를 제작할 수가 있다. 이때에는 인쇄 필름 또는 버튼 시트 상에서 겔 상태의 실리콘 수지를 여러 지점에서 분사하여 도포할 수가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부 금형(II)이 아래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액상 실리콘(360-1, 330-1)을 압축한다. 압력을 받은 액상 실리콘은 버튼 시트(310)의 상하에서 버튼 홀(312) 또는 버튼 시트(310)의 측면으로 진입할 수 있으며, 하부 금형(I) 및 상부 금형(II) 사이에서 인쇄 필름(320), 발광 시트(350) 및 버튼 시트(310)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압축된 상태에서 약 100~200℃의 열을 가함으로써, 제1 및 제2 액상 실리콘(360-1, 330-1)을 경화시킬 수 있으며, 제2 액상 실리콘(330-1)은 누름 돌출부(332) 및 간격 지지부를 포함하는 러버 패드층(330)으로 전환되고, 제1 및 제2 액상 실리콘(360)은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러버 패드층(330)과 러버 삽입층(360)을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버튼 시트(310)와 발광 시트(350) 상에 제1 접착층(340)이 형성되어 러버 삽입층(360)과 견고한 접착관계를 유지하며, 불규칙한 표 면으로 성형되는 러버 삽입층(360)과 안정된 결속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버튼 시트(310)와 수지 재질의 인쇄 필름(320)은 상호 접착된 상태를 이루지 못하고 들뜰 수 있으며, 불규칙한 표면의 러버 삽입층(360)과 발광 시트(350) 역시 잦은 상하 이동에 서로 분리될 수가 있다. 하지만, 도 13에서와 같이, 버튼 시트(310) 및 발광 시트(350) 상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버튼 시트(310) 및 발광 시트(350)를 러버 삽입층(360)에 접착시킴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러버 삽입층(360) 및 인쇄 필름(320)은 상호 수지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접착제 없이도 상호 견고한 결속 상태를 형성할 수가 있다.
또한, 버튼 시트(310) 및 러버 패드층(330) 사이에서도 제2 접착층(345)이 제공된다. 제2 접착층(345)은 버튼 시트(310)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액상 실리콘을 도포한 후 압축성형 및 열 경화를 통해서 러버 패드층(330)과 견고한 접착을 이룰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버튼 플레이트는 버튼 홀(4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410)는 포함하며, 버튼 시트(410)의 외곽부가 약 0.2mm 정도로 절곡되어 외곽 보강부(418)를 제공한다. 외곽 보강부(418)는 버튼 시트(410)의 외곽 전체 또는 일부를 따라 형성되며, 외곽 보강부(418)는 버튼 플레이트의 외곽을 지지하는 외곽 간격 지지부(435)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외곽 보강부(418)에 의해서 버튼 시트(410)는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얇은 버튼 플레이트의 형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버튼 플레이트는 버튼 홀(512)을 포함하는 버튼 시트(510)는 포함하며, 버튼 시트(510)의 외곽부가 오목하게 굴곡되어 외곽 보강부(518)를 제공한다. 외곽 보강부(518)는 프레스 공법에 의해서 버튼 시트(510)의 외곽 전체 또는 일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외곽 보강부(518)는 버튼 플레이트의 외곽을 지지하는 외곽 간격 지지부(535)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역시 외곽 보강부(518)에 의해서 버튼 시트(510) 및 버튼 플레이트는 안정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얇은 버튼 플레이트의 형상을 더욱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가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참고로, 도 20에는 버튼 플레이트 중 버튼 시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를 이용하여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과정 및 결과물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0의 (e)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610)는 저면으로 편차를 가지도록 식각되어 있다. 따라서, 두꺼운 영역 및 얇은 영역을 포함하며, 두꺼운 영역은 대체로 버튼 시트(610)의 외곽 또는 버튼 홀(612) 주변 영역에 대응하며, 그 이외의 부분은 편차 식각되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진다. 따라서 버튼 시트(610)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얇은 두께를 유지하면서 쉽게 굽어질 수 있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두 껍게 유지하여 안정된 플레이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버튼 시트(610)의 전/후면에 인쇄 필름 및 러버 패드층을 형성한 후, 필름 또는 러버가 부분적으로 수축되어 버튼 플레이트가 굽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버튼 시트(610)의 프레임 부분을 두껍게 할 수 있으며, 다른 부분을 얇게 하여 버튼 플레이트의 휨을 방지하는 동시에 우수한 키감을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두께 차이를 갖는 버튼 시트(610)를 형성하기 위해서 식각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0의 (a)를 참조하면, SUS 시트(610-1)가 제공된다. SUS 시트(610-1)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제공되며, 얇은 두께를 갖는다. SUS 시트(610-1)는 하나의 버튼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격자 배열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버튼 플레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큰 크기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20의 (b)를 참조하면, 포토레지스트 식각을 위한 감광액을 이용하여 SUS 시트(610-1)의 양면에 제1 감광액 층(621) 및 제2 감광액 층(625)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감광액 층(621)은 인쇄 필름이 제공되는 SUS 시트(610-1)의 전면에 형성되며, 제2 감광액 층(625)은 러버 패드층이 제공되는 SUS 시트(610-1)의 후면에 형성된다.
도 20의 (c)를 참조하면, 제1 감광액 층(621) 및 제2 감광액 층(625)을 각각 다른 패턴에 노광시킨 후, 제1 마스크 패턴(622) 및 제2 마스크 패턴(626)을 형성한다. 제1 마스크 패턴(622)은 버튼 홀(612)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며, 제2 마스크 패턴(626)은 제1 마스크 패턴(622)이 형성된 영역과 상대적으로 얇은 깊이로 형성 될 영역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마스크 패턴(626)은 버튼 시트(610)의 외곽 부분 및 버튼 홀(612) 주변을 따라 일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도 20의 (d)를 참조하면, 제1 마스크 패턴(622) 및 제2 마스크 패턴(626)을 이용하여 SUS 시트(610-1)을 식각한다. 제1 마스크 패턴(622)에 의해서 노출된 부분은 제2 마스크 패턴(626)에 의해서 후면도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식각에 의해서 버튼 시트(610)를 관통하는 버튼 홀(612)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마스크 패턴(626)에만 노출된 부분은 부분적으로 식각되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1 및 제2 마스크 패턴(622, 626)을 제거함으로써 도 20의 (e)에 도시된 버튼 시트(610)를 제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버튼 플레이트 및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2은 도 21의 버튼 시트의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21 및 도 22에서는, 버튼 플레이트 중 버튼 시트가 설명되어 있으며, 버튼 시트를 이용하여 버튼 플레이트를 제공하는 과정 및 결과물은 이전 실시예의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710)는 제1 버튼 시트(711) 및 제2 버튼 시트(715)를 서로 맞대어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버튼 시트(711) 및 제2 버튼 시트(715)는 얇은 SUS 재질로 제공된다. 제1 버튼 시트(711)는 도 5 및 도 6의 버튼 시트(110)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버튼 홀(712) 역시 도5의 버튼 홀(112)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버튼 홀(712)에 대응하여 제2 버튼 시트(715)이 포개어져 제공되며, 제2 버튼 시트(715)는 복수개의 홀로 구성되 는 제2 버튼 홀(716)을 포함한다. 제2 버튼 홀(716)은 제1 버튼 홀(712)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1 버튼 홀(712)에 의해서 인쇄 필름(720) 및 러버 패드층(730)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제1 버튼 홀(712) 주변의 버튼 시트(710)은 프레임으로서 인쇄 필름(720) 및 러버 패드층(730)을 지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버튼 시트(710)에서 제1 버튼 홀(712)이 형성된 부분은 얇은 두께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부분인 제1 버튼 시트(711) 및 제2 버튼 시트(715)가 겹쳐지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를 유지하여 버튼 시트(710)의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버튼 플레이트는 얇은 고경도 버튼 홀과 인쇄 필름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약 0.05~1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될 수가 있다. 따라서 버튼 플레이트는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부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경도가 약해지는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가 있다.
또한, 버튼 플레이트가 개인휴대단말기의 키 입력부 뿐만 아니라 케이스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라는 하나의 부품을 장착함으로써 양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가 있다.
또한, 버튼 플레이트는 얇은 시트 구조를 유지하여 키 입력부에서 돌출된 부분을 아예 없앨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돌출된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원하는 디자인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가 있다.
또한, 버튼 플레이트는 한 번에 제조가 가능하고,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단가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양질의 제품을 공급할 수가 있다.
또한, 인쇄 필름에는 종래의 인쇄 기술을 다양하게 적용할 수가 있으며, 여러 디자인 및 색채의 표현이 용이하여 종래의 키 입력부 구조보다 훨씬 다양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고,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생산할 수가 있다.
또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버튼 시트 및 인쇄 필름을 상호 접착시킬 수 있으며, 인쇄 필름 및 버튼 홀을 서로 밀착시킴으로써 버튼 영역의 들뜸 현상을 예방할 수가 있다.
또한, 액상 실리콘을 이용하여 러버 패드층을 버튼 시트의 저면에 성형할 수 있으며, 역시 러버 패드층 및 버튼 시트 사이에도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접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버튼 시트 및 인쇄 필름 사이에 러버 삽입층을 형성할 수가 있다. 러버 삽입층은 러버 패드층과 일체를 이루어 안정된 접착을 형성할 수 있으며, 버튼 플레이트의 키감을 향상시키고, 내부의 발광시트 등을 보호할 수 있으며, 내부 표면 상태와 무관하게 버튼 플레이트의 표면을 편평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2)

  1.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플레이트에 있어서,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인쇄 필름;
    상기 인쇄 필름의 저면에 접하며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버튼 홀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상기 버튼 시트 및 상기 인쇄 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버튼 시트의 저면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 홀을 통해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러버 패드층;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는 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패드층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패드층은 고무 재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가 미리 배치된 금형 내에서 성형되어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패드층은 실리콘계 고무 또는 우레탄계 고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 및 상기 러버 패드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접착제 층을 더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는 외곽을 따라 절곡 또는 굴곡된 외곽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 및 얇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시트의 외곽 및 상기 버튼 홀의 주변 경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영역은 편차 식각을 이용한 식각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는 제1 버튼 홀을 포함하는 제1 버튼 시트 및 제2 버튼 홀을 포함하는 제2 버튼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시트를 서로 맞대어 상기 버튼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12. 개인휴대단말기의 키패드 홀에 장착되어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 플레이트에 있어서,
    키 입력을 위한 버튼 영역이 표시된 인쇄 필름;
    상기 인쇄 필름의 저면에 제공되는 발광 시트;
    상기 발광 시트의 저면에 접하며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된 버튼 홀을 포함하는 고경도 재질의 버튼 시트;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접착층; 및
    상기 버튼 시트의 저면에 제공되며 상기 버튼 홀을 통해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는 러버 패드층;
    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는 금속 또는 고강도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시트는 유기 EL 또는 무기 EL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패드층은 상기 버튼 영역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된 누름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러버 패드층은 고무 재질의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가 미리 배치된 금형 내에서 성형되어 상기 인쇄 필름 및 상기 버튼 시트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17. 삭제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 및 상기 러버 패드층 사이에 개재되는 제2 접착제 층을 더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는 외곽을 따라 절곡 또는 굴곡된 외곽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 및 얇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시트의 외곽 및 상기 버튼 홀의 주변 경계 중 적어도 하나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얇은 영역은 편차 식각을 이용한 식각 과정을 통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시트는 제1 버튼 홀을 포함하는 제1 버튼 시트 및 제2 버튼 홀을 포함하는 제2 버튼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버튼 시트를 서로 맞대어 상기 버튼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KR1020060049900A 2006-06-02 2006-06-02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Expired - Fee Related KR100844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900A KR100844441B1 (ko) 2006-06-02 2006-06-02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900A KR100844441B1 (ko) 2006-06-02 2006-06-02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443A KR20070115443A (ko) 2007-12-06
KR100844441B1 true KR100844441B1 (ko) 2008-07-08

Family

ID=3914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9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4441B1 (ko) 2006-06-02 2006-06-02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299B1 (ko) 2008-05-30 2010-04-20 갤럭시아디바이스 주식회사 도파시트 및 도파시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221Y1 (ko) * 1993-10-25 1998-09-15 배순훈 멤브레인 키보드의 구조
JP2005135876A (ja) * 2003-10-31 2005-05-2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タッチ式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404434Y1 (ko) 2005-10-12 2005-12-22 이영순 휴대폰용 금속 서스형 박막 키패드
KR20060099860A (ko) * 2005-03-15 2006-09-20 (주)지엔씨 격자형 금속판이 일체화된 키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5221Y1 (ko) * 1993-10-25 1998-09-15 배순훈 멤브레인 키보드의 구조
JP2005135876A (ja) * 2003-10-31 2005-05-2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タッチ式入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60099860A (ko) * 2005-03-15 2006-09-20 (주)지엔씨 격자형 금속판이 일체화된 키패드
KR200404434Y1 (ko) 2005-10-12 2005-12-22 이영순 휴대폰용 금속 서스형 박막 키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299B1 (ko) 2008-05-30 2010-04-20 갤럭시아디바이스 주식회사 도파시트 및 도파시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443A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89934A (ko) 박형 키 시트 및 해당 박형 키 시트를 조립한 박형 키 유닛
EP1028445B1 (en) Support structure for a keypad
US7705256B2 (en) Thin key sheet
KR100768269B1 (ko) 버튼이 일체화된 개인휴대단말기의 전면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844441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KR100739539B1 (ko) 개인휴대단말기용 버튼 플레이트 및 버튼 플레이트의제조방법
US20070275751A1 (en) Faceplate having keys for mobile phone
KR100583353B1 (ko) 전도성 고분자로 구성된 전면전극층 및 배면전극층을 포함한 무기 el 램프, 상기 무기 el 램프를 이용한 키패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0113762A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
KR100538112B1 (ko)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0472000B1 (ko) 박막형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CN202167388U (zh) 便携式通信装置的键盘装置
KR100774611B1 (ko) 통신기기용 일체형 금속 전면커버
KR100925823B1 (ko) 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돔 시트
KR100584241B1 (ko) 휴대폰 키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0779066B1 (ko) 키 패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이용한 키 패드
KR200378607Y1 (ko) 메탈 키패드
KR100924507B1 (ko) 키패드의 제조 방법 및 키패드
KR100847276B1 (ko) 일체형 키패드와 그 제조방법
KR20060110879A (ko) 발광층이 직접 형성이 된 버튼 플레이트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0865397B1 (ko) 키 패드용 표시장치
KR101173100B1 (ko) 휴대단말기용 이엘시트 일체형 키패드
KR200374991Y1 (ko) 휴대폰용 키-패드의 구조
WO2006059834A1 (en) Super thin type light emitting keypad
KR20080037974A (ko) 키패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7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