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3869B1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869B1
KR100843869B1 KR1020020037682A KR20020037682A KR100843869B1 KR 100843869 B1 KR100843869 B1 KR 100843869B1 KR 1020020037682 A KR1020020037682 A KR 1020020037682A KR 20020037682 A KR20020037682 A KR 20020037682A KR 100843869 B1 KR100843869 B1 KR 100843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tride film
film
forming
spacer
ox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2235A (ko
Inventor
강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2003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869B1/ko
Publication of KR2004000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86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Landscapes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이트전극 측벽에 제 1 질화막/산화막/제 2 질화막 구조의 스페이서(Spacer)를 형성하고, 그 후속 공정으로 셀(Cell)부의 랜딩 플러그(Landing plug)를 서로 격리시키기 위한 화학적 기계 연마 공정을 진행한 다음 전면에 베리어(Barrier)층으로 제 3 질화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3 질화막의 형성으로 주변부의 산화막 스페이서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후속 공정 진행 시 상기 산화막 스페이서를 통한 게이트 산화막으로의 이온 침투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게이트 산화막의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자의 특성,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변부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부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31 : 반도체 기판 13,33 : 게이트 산화막
15,35 : 제 1 다결정 실리콘층 17,37 : 텅스텐층
19,39 : 하드 마스크층 21,41 : 제 2 질화막 스페이서
23,43 : 산화막 스페이서 25,45 : 제 3 질화막 스페이서
27,47 : 층간 절연막 29,49 : 제 2 다결정 실리콘층
51 : 제 4 질화막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게이트전극 측벽에 제 1 질화막/산화막/제 2 질화막 구조의 스페이서(Spacer)를 형성하고, 그 후속 공정인 랜딩 플러그(Landing plug) 형성 공정을 한 다음, 상기 스페이서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자의 특성,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주변부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11) 상에 게이트 산화막(1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산화막(13) 상에 제 1 다결정 실리콘층(15), 텅스텐층(17) 및 제 1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어, 게이트전극용 마스크를 사용한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제 1 질화막을 식각하여 하드 마스크층(19)을 형성하고, 상기 텅스텐층과 제 1 다결정 실리콘층을 식각하여 게이트전극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게이트 산화막(13)을 식각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전극을 포함한 전면에 제 2 질화막, 산화막 및 제 3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제 3 질화막, 산화막 및 제 2 질화막을 전면식각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층(19)과 게이트전극 측벽에 제 2 질화막 스페이서(21), 산화막 스페이서(23) 및 제 3 질화막 스페이서(25)를 형성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질화막 스페이서(25)를 포함한 전면에 층간 절연막(27)을 형성하고 평탄화 시킨다.
그리고, 셀부(도시하지 않음)의 랜딩 플러그 콘택용 마스크를 사용한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층간 절연막(27)을 식각하여 랜딩 플러그용 콘택홀(도시하지 않 음)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랜딩 플러그용 콘택홀을 포함한 전면에 제 2 다결정 실리콘층(29)을 형성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29)을 에치백(Etch-back)한 후, 상기 하드 마스크층(19)을 식각 종말점으로 하는 화학적 기계 연마 방법으로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29)과 층간 절연막(27)을 식각하여 서로 격리된 랜딩 플러그(도시하지 않음)를 셀부에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화학적 기계 연마 공정으로 상기 산화막 스페이서(23)가 노출되고, 후속 공정 진행 시 이온이 상기 노출된 산화막 스페이서(23)를 통하여 상기 게이트 산화막에 침투(A)된다.
그러나 종래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게이트전극 측벽에 제 1 질화막/산화막/제 2 질화막 구조의 스페이서를 형성하므로, 셀부의 랜딩 플러그 형성 공정 에 있어서 진행되는 화학적 기계 연마 공정 시 주변부의 산화막 스페이서가 노출되기 때문에 후속 공정 진행 시 이온이 상기 산화막 스페이서를 통하여 게이트 산화막에 침투함으로 상기 게이트 산화막의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게이트전극 측벽에 제 1 질화막/산화막/제 2 질화막 구조의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그 후속 공정으로 셀부의 랜딩 플러그를 서로 격리시키기 위한 화학적 기계 연마 공정을 진행한 다음 전면에 베리어(Barrier)층으로 제 3 질화막을 형성함으로써, 후속 공정 진행 시 상 기 산화막 스페이서를 통한 게이트 산화막으로의 이온 침투 현상을 방지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셀부 및 주변부가 정의된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산화막을 개재하며 그 상부에 하드 마스크층이 구비된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 마스크층과 게이트전극 측벽에 제 1 질화막, 산화막 및 제 2 질화막 순으로 적층된 구조의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페이서를 포함한 전면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평탄화 시키는 단계와,
셀부의 랜딩 플러그 콘택용 마스크를 사용한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층간 절연막을 식각하여 랜딩 플러그용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구조물 전면에 도전층을 형성하고, 에치백한 후, 상기 하드 마스크층을 식각 종말점으로 하는 화학적 기계 연마 방법으로 상기 도전층과 층간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셀부에 서로 격리된 랜딩 플러그를 형성하되, 상기 스페이서가 노출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스페이서를 포함한 층간 절연막 상에 제 3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과,
상기 제 1 질화막을 50 ∼ 100Å의 두께로 형성하되, 증착온도가 550 ∼ 850℃인 LP(Low Pressure)계열의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것과,
상기 산화막을 50 ∼ 100Å의 두께로 형성하되, 증착온도가 550 ∼ 850℃인 LP계열의 산화막 또는 증착온도가 350 ∼ 550℃인 PE(Plasma Enhance)계열의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제 2 질화막을 200 ∼ 300Å의 두께로 형성하되, 증착온도가 550 ∼ 850℃인 LP계열의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것과,
상기 제 3 질화막을 100 ∼ 300Å의 두께로 형성하되, 증착온도가 550 ∼ 850℃인 LP계열의 질화막 또는 증착온도가 350 ∼ 550℃인 PE계열의 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원리는 게이트전극 측벽에 제 1 질화막/산화막/제 2 질화막 구조의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그 후속 공정으로 셀부의 랜딩 플러그를 서로 격리시키기 위한 화학적 기계 연마 공정을 진행한 다음 전면에 베리어층으로 제 3 질화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 3 질화막의 형성으로 주변부의 산화막 스페이서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후속 공정 진행 시 상기 산화막 스페이서를 통한 게이트 산화막으로의 이온 침투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게이트 산화막의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변부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좌측으로 셀부를 도시하고 우측은 주변회로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반도체 기판(31) 상에 게이트 산화막(33)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산화막(33) 상에 제 1 다결정 실리콘층(35), 텅스텐층(37) 및 하드마스크층(39)인 제 1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이어, 게이트전극용 마스크를 사용한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하드 마스크층을 패터닝하고, 상기 텅스텐층(39)과 제 1 다결정 실리콘층(35)을 식각하여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 다음, 상기 게이트 산화막(33)을 식각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전극을 포함한 전면에 제 2 질화막, 산화막 및 제 3 질화막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상기 제 3 질화막, 산화막 및 제 2 질화막을 전면식각하여 상기 하드 마스크층(39)과 게이트 전극 측벽에 제 2 질화막 스페이서(41), 산화막 스페이서(43) 및 제 3 질화막 스페이서(45)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2 질화막을 50 ∼ 100Å의 두께로 형성하되, 증착온도가 550 ∼ 850℃인 LP계열의 질화막으로 형성하고, 상기 산화막을 50 ∼ 100Å의 두께로 형성하되, 증착온도가 550 ∼ 850℃인 LP계열의 산화막 또는 증착온도가 350 ∼ 550℃인 PE계열의 산화막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질화막을 200 ∼ 300Å의 두께로 형성하되, 증착온도가 550 ∼ 850℃인 LP계열의 질화막으로 형성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질화막 스페이서(45)를 포함한 전면에 층간 절연막(47)을 형성하고 평탄화 시킨다.
그리고, 셀부의 랜딩 플러그 콘택용 마스크를 사용한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층간 절연막(47)을 식각하여 반도체기판(31)을 노출시키는 랜딩 플러그용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랜딩 플러그용 콘택홀을 포함한 전면에 제 2 다결정 실리콘층(49)을 형성한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49)을 에치백한 후, 상기 하드 마스크층인 제 1 질화막(39)을 식각 종말점으로 하는 화학적 기계 연마 방법으로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49)과 층간 절연막(47)을 식각하여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층(49)으로 형성된 랜딩 플러그를 셀부에 형성한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하드 마스크층인 제 1 질화막(39)을 포함한 층간 절연막(47) 상에 제 4 질화막(5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4 질화막(51)을 100 ∼ 300Å의 두께로 형성하되, 증착온도가 550 ∼ 850℃인 LP계열의 질화막 또는 증착온도가 350 ∼ 550℃인 PE계열의 질화막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게이트전극 측벽에 질화막/산화막/질화막 구조의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그 후속 공정으로 셀부의 랜딩 플러그를 서로 격리시키기 위한 화학적 기계 연마 공정을 진행한 다음 전면에 베리어층으로 질화막을 형성함으로써, 주변부의 산화막 스페이서가 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후속 공정 진행 시 상기 산화막 스페이서를 통한 게이트 산화막으로의 이온 침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게이트 산화막의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소자의 특성,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셀부 및 주변부가 정의된 반도체 기판 상에 게이트 산화막을 개재하며 그 상부에 하드 마스크층이 구비된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하드 마스크층과 게이트전극 측벽에 제 1 질화막, 산화막 및 제 2 질화막 순으로 적층된 구조의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페이서를 포함한 전면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평탄화 시키는 단계와,
    랜딩 플러그 콘택용 마스크를 사용한 사진식각 공정으로 상기 층간 절연막을 식각하여 셀부에 랜딩 플러그용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랜딩 플러그용 콘택홀을 매립하는 도전층을 형성하고, 화학적 기계 연마 방법으로 상기 도전층과 층간 절연막을 식각하여 랜딩 플러그를 형성하되, 상기 스페이서가 노출되는 단계와,
    상기 노출된 스페이서를 포함한 층간 절연막 상에 제 3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2.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질화막을 50 ∼ 100Å의 두께로 형성하되, 증착온도가 550 ∼ 850℃인 LP계열의 질화막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3.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막을 50 ∼ 100Å의 두께로 형성하되, 증착온도가 550 ∼ 850℃인 LP계열의 산화막 또는 증착온도가 350 ∼ 550℃인 PE계열의 산화막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4.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질화막을 200 ∼ 300Å의 두께로 형성하되, 증착온도가 550 ∼ 850℃인 LP계열의 질화막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5.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질화막을 100 ∼ 300Å의 두께로 형성하되, 증착온도가 550 ∼ 850℃인 LP계열의 질화막 또는 증착온도가 350 ∼ 550℃인 PE계열의 질화막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20037682A 2002-06-29 2002-06-29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43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682A KR100843869B1 (ko) 2002-06-29 2002-06-29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682A KR100843869B1 (ko) 2002-06-29 2002-06-29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235A KR20040002235A (ko) 2004-01-07
KR100843869B1 true KR100843869B1 (ko) 2008-07-03

Family

ID=3731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6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3869B1 (ko) 2002-06-29 2002-06-29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8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360A (ko) * 1998-03-10 1999-10-05 윤종용 광역평탄화된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360A (ko) * 1998-03-10 1999-10-05 윤종용 광역평탄화된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235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880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400308B1 (ko) 반도체소자의 보더리스 콘택 형성방법
KR100505450B1 (ko)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소자 제조 방법
US7723229B2 (en) Process of forming a self-aligned contact in a semiconductor device
KR100843869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680948B1 (ko) 반도체 소자의 스토리지 노드 콘택 형성방법
KR100597594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플러그 형성방법
KR100506050B1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형성방법
KR10097326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0639193B1 (ko) 반도체장치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0668843B1 (ko) 반도체 소자의 스토리지 노드 콘택 형성방법
JP2005183916A (ja) フラッシュ素子の製造方法
KR10052510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80095669A (ko) 콘택 구조물 형성 방법
KR100922546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를 위한 제조 방법
KR100522419B1 (ko) 반도체소자 제조 방법
KR20080060303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80062011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JP2012256950A (ja)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030003306A (ko) 반도체 장치의 랜딩 플러그 제조 방법
KR20100102253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60095610A (ko) 반도체 소자의 랜딩 플러그 폴리 형성방법
KR20020010799A (ko) 반도체소자의 형성방법
KR20060075427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01939A (ko) 반도체소자의 자기정렬콘택 형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3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6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