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835B1 - Slag Separator in Slag Port - Google Patents
Slag Separator in Slag Po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3835B1 KR100843835B1 KR1020010073187A KR20010073187A KR100843835B1 KR 100843835 B1 KR100843835 B1 KR 100843835B1 KR 1020010073187 A KR1020010073187 A KR 1020010073187A KR 20010073187 A KR20010073187 A KR 20010073187A KR 100843835 B1 KR100843835 B1 KR 1008438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g
- port
- link
- slag port
- cap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9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628 steelma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5—Accessories
- F27D2099/0095—Means to collect the slag or spilled metal, e.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공정의 슬래그를 배제하여 담아내는 용기로서 배제된 슬래그를 슬래그 처리장으로 운송하여 냉각한 후 분리함에 있어서 포트 내의 바닥에 융착된 슬래그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슬래그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g separation device that can effectively separate the slag fused to the bottom in the port in transporting and cooling the removed slag to the slag treatment plant as a container for excluding the slag of the steelmaking process.
본 발명의 슬래그 분리장치는 슬래그 포트, 가이드, 회전축, 링크연결구, 중량추, 슬래그 분리캡 및 다관절 링크부재를 포함하게 되며, 제강공정 중에 슬래그를 담아내에 운반하는 슬래그 포트의 슬래그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슬래그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슬래그 처리작업시에 발생하는 안전사고 및 작업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The slag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ag port, a guide, a rotating shaft, a link connector, a weight, a slag separating cap, and a multi-joint link member, and easily remove the slag of the slag port carrying the slag in the steelmaking proces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ous effect of reducing the slag treatment time and reducing the safety accident and the work load generated during the slag treatment operation.
슬래그, 포트, 제강, 링크, 분리Slag, port, steelmaking, link, separation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슬래그 포트에서 슬래그를 제거하는 작업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캐리어 카에 의한 슬래그 포트의 이송상태, (b)는 슬래그 포트가 뒤집어진 상태, 및 (c)는 슬래그 포트에 잔류한 슬래그의 제거작업상태를 도시한 도면;Figure 1 shows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slag in the conventional slag port, (a) is the transport state of the slag port by the carrier car, (b) the slag port is upside down, and (c) the slag port A drawing showing a state of removing slag remaining in the furnace;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사시도;Figure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ag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평면도;Figure 2 (b) is a plan view of the slag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slag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가 뒤집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ag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pside down;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하부 조립도;Figure 4 (a) is a lower assembly view of the slag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Figure 5 shows a guide portion of the slag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sectional view;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슬래그 분리캡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작동전, (b)는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및 Figure 6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slag separation cap of the slag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b) after the operation; And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작동전, (b)는 작동후의 슬래그 분리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7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lag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slag separation device before operation, (b) after the opera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슬래그포트 2......회전축1 ......
3......가이드 8......제1 링크3 ......
10.....제2 링크 13.....로드10 .....
20.....슬래그 분리캡 110....종래의 슬래그포트
20 ...
본 발명은 슬래그 포트의 슬래그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강공정의 슬래그를 배제하여 담아내는 용기로서 배제된 슬래그를 슬래그 처리장으로 운송하여 냉각한 후 분리함에 있어서 포트 내의 바닥에 융착된 슬래그를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슬래그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ag separating apparatus of a slag port, and more particularly, a slag excluding a slag of a steelmaking process, the slag fused to the bottom in the port in transporting and cooling the separated slag to a slag treatment plant after cooling. It relates to a slag separator that can effectively separate the.
제강공정 중에 슬래그 포트에 슬래그를 담아내어서 슬래그(100)를 제거하는 작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래크 포트(110)를 캐러어 카(150)로 제거 위치로 운반하고, 슬래그 포트(110)를 뒤집어 제거하게 되는 과정을 따르게 된다. 즉 캐리어 카(150)는 슬래그 포트(110)의 상부축(170) 부분을 후크(140)로 잡게되고, 후크(140) 부분에 설치된 다른 회전장치(160)를 사용하여 상기 슬래그 포트(1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는 도 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다.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도 1의 (c)에는 잔류된 슬래그(100)를 다른 방법으로 제거하는 작업을 도시한 것으로, 슬래그를 배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슬래그 포트(110) 바닥에 슬래그가 융착되어 포트를 경동시켜도 분리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여 슬래그가 바닥에 잔류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잔류 슬래그(100)를 제거하기 위하여 브레이커(breaker, 120) 또는 절단용 토치(130)를 사용하여 제거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시에는 파쇄물에 의한 작업자의 타격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슬래그의 처리작업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1 (c) illustrates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remain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강공정 중에 슬래그를 담아내에 운반하는 슬래그 포트의 슬래그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슬래그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슬래그 처리작업시에 발생하는 안전사고 및 작업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치를 얻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facilitate the slag separation of the slag port carrying the slag in the steelmaking process to reduce the slag processing time and to reduce the safety accidents and work load occurring during the slag treatment operation It is an object to obtain a device that can be reduc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슬래그 포트의 슬래그 분리장치는 슬래그의 운반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슬래그 포트와; 슬래그 포트의 상부 양측에 장착되고, 내부가 원통형의 중공으로 형성된 가이드와; 가이드의 내부에 일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가이드의 내부에 위치되는 단부에 축 방향으로 링크연결구가 편심되게 구비되며, 다른 일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중량추가 구비되는 회전축과; 슬래그 포트의 내부의 하부측에 하부로 테이퍼진 형상의 원통형으로 위치하고, 그 하부가 다시 수직축으로 연결되어 슬래그 포트의 외측 하부로 연장되게 구비되며, 축의 하단에 누름판이 형성되어 슬래그 포트의 내부에 위치된 슬래그를 밀어낼 수 있도록 수직축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래그 분리캡과; 일 단부가 상기 회전축에 구비된 링크연결구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부가 상기 링크열결구의 편심에 의해 이동되어 슬래그 분리캡의 누름판을 누를 수 있도록 슬래그 포트에 장착되는 다관절 링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a construction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lag separation device of the slag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lag port is configured to enable the transport of slag; Guide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lag port, the guides having a hollow inside; A rotation shaft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the link connector being eccentrically provided at an end positioned inside the guide axially, and having a weight added to be fixed to the other end; Located in the lower side of the inside of the slag port in a cylindrical shape of tapered downward, the low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axis again is provided to extend to the outside lower portion of the slag port, the pressing plate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haft is located inside the slag port A slag separating cap coupl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vertical axis so as to push the slag; One end is connected to the link connector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multi-joint link member mounted to the slag port to be moved by the eccentricity of the link heat connector to press the pressing plate of the slag separation cap Can be.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가 뒤집어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하부 조립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 (b)는 단면도이다.
Figure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lag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b) is a plan view of the slag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Figure 3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portion of the slag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ag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verted, Figure 4 (a) is Bottom view of the slag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guide portion of the slag sepa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erspective view, (b) is a cross-sectional view.
도 2(a)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슬래그 분리장치는 슬래그 포트의 양측면에 부착된 가이드(3)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3)의 내부에는 베어링이 제공되어 회전축(2)이 회전할 수 있도록 내부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2)의 끝단부에 는 중량추(12)가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으며, 회전축(2)에는 가이드 내부의 끝단에서 편심되어 원통형으로 돌출된 링크연결구(7)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링크연결구(7)는 가운데에 슬래그포트의 측면에서 상부와 하부를 통해 뻗어있는 로드를 중심으로 한 다관절 링크부재와 연결된다.
As shown in Figure 2 (a), the slag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include a guide (3)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lag port. A bearing is provided inside the
도 2(b)는 슬래그 분리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거의 원통형인 슬래그 포트의 하부에는 슬래그 포트의 하부와 같은 모양으로 형성된 원형의 슬래그 분리캡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슬래그 분리캡(20)은 슬래그포트(1)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좁아지는 특징을 갖는다.
Figure 2 (b) shows a top view of the slag separation device, the slag separation cap of a circular cylindrical slag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wer portion of the slag port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lag port, the
도 5에서는 슬래그 포트(1) 상부에 형성된 가이드(3)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 및 (b)에서와 같이, 회전축(2)은 가이드(3)의 내부에 베어링(31)을 통하여 지지되며, 가이드(3)와는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서 가이드(3)가 회전하여도 회전축(3)은 회전하지 않을 수도 있게 된다. 또한, 회전축(2)은 가이드(3) 내부에 링크연결구(7)가 형성되어서 제1 링크(8)와 연결된다. 또한 제1 링크(8)는 V자형으로 형성된 제2 링크(10)와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3)에는 상기 제1 링크(8)가 가이드(3)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홈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와 제1 링크는 서로 간섭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링크(10)는 슬래그 포트(1)의 외벽에 그 중앙부가 고정핀(11)을 통해 부착된다. 상기 회전축(2)에는 중량추(12)가 도 5(a)에서와 같이 고정되어 형 성된다.
5 shows the components associated with the
도 3(a)는 슬래그 분리장치의 하부를 도시한 것으로, 슬래그 포트(1)의 하부의 중앙에는 슬래그 분리캡(20)에 연결된 수직축에 형성된 누름판(23)이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누름판(23)의 좌우 양측으로는 제4 링크(17)가 맞닿아 있다. 제4 링크(17)는 고정대(16)를 축으로 고정되어 지렛대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제4 링크(17)는 다시 제3 링크(14)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3 링크(14)는 로드(13)와 연결되어서 로드(13)로부터의 직선운동을 전달하게 된다.
Figure 3 (a) shows a lower portion of the slag separation device, the
도 3(b)는 슬래그포트(1)가 뒤집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로드(13)가 상부에서 하부를 거쳐서 길게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상기 로드(13)는 제2 링크(10)와 연결되며, 다른 한쪽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링크(14)와 연결된다. 중량추(12)는 항상 하부로 향해있으며, 따라서 상기 회전축(2)은 회전하지 않고, 슬래그 포트(1)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3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도 4는 슬래그 분리캡(20)을 상세히 도시하며, 슬래그 포트(1)의 하부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것으로, 슬래그포트(1)의 하부 중앙에 형성된 구멍(26)에 상기 슬래그 분리캡(20)의 하부의 누름판(23)이 삽입된다. 슬래그 분리캡(20)의 하부(21)는 상기 구멍(26)의 상부, 즉 슬래그 포트의 하부면의 구멍에 들어맞도록 원뿔형의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하부 돌출부(21)에는 하방으로 원 통형의 수직축(22)이 부착된다. 수직축(22)의 최하단에는 원판형의 누름판(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축(22)에는 고정핀을 통해 스프링(24)이 또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2)은 상부가 수직축(22)에 고정핀(25)으로 고정되며, 하부는 수직축(22)에 끼워져 물리는 구조 또는 누름판(23)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은 슬래그 분리캡(20)은 포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테이퍼와 동일하게 테이퍼로 형성되어 있어서,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4 shows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포트의 슬래그 분리장치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ction of the slag separating apparatus of the slag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슬래그 분리캡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작동전, (b)는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슬래그 분리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작동전, (b)는 작동후의 슬래그 분리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Figure 6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slag separation cap of the slag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before operation, (b) after operation, Figure 7 is a slag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the slag separating device before the operation, and (b) after the operation.
도 7에서와 같이, 먼저 제강 작업중에 발생된 슬래그가 담겨진 슬래그 포트(1)를 슬래그 처리 장소로 운송하고, 냉각작업을 한 후에 슬래그가 응고되면 캐리어카(150)를 사용하여 슬래그 포트(1)를 거꾸로 뒤집게 된다. 포트(1)가 뒤집어지면 중량추(12)는 하부로 쳐져 있게 되고, 포트만 거꾸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회전축(2)은 실제로 회전하지 않지만, 포트(1)의 회전에 의해 회전효과를 가지게 되며, 회전축(2)의 링크연결구(7)에 의해 제1 링크(8)가 작동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7, first, the
제1 링크(8)가 작동하면서 제2 링크(10)를 움직이면, 제2 링크(10)는 고정핀(11)을 중심으로 운동하며, 로드(13)에 직선운동을 전달하게 된다. 로드(13)는 슬래그 포트(1)의 하부에 형성된 제3 링크(14)와 연결되고, 제 3 링크(14)는 로드(13)로부터의 직선운동을 제4 링크(17)에 전달한다. 제4 링크(17)는 위와같은 동력의 전달에 의해 누름판(23)을 누르게 된다. 도 6에서와 같이, 누름판(23)은 링크부재의 작동이 없을 때에는 포트(1) 하부의 구멍(26)에서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스프링(24)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누름판(23)이 밀리면서 슬래그 분리캡(20)이 수직축(22)을 밀게되면, 포트(1)의 내부 바닥에 형성된 슬래그 분리캡(20)이 밀려나가면서 고착된 슬래그를 밀어내게 된다. 이때 슬래그 분리캡(20)의 수직축(22)에 삽입된 스프링(24)이 슬래그 분리캡(20)과 수직축(22)을 항상 당기고 있어서 힘의 전달이 없을 경우에 슬래그 분리캡(20)은 원상태로 포트 바닥의 구멍으로 삽입된다.
When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이 슬래그 포트(1)를 뒤집는 작동에 의하여 슬래그 포트(1)의 하부에 장착된 슬래그 분리캡(20)이 슬래그를 밀게 되며, 보다 용이하게 고착된 슬래그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강공정 중에 슬래그를 담아내에 운반하는 슬래그 포트의 슬래그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슬래그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슬래그 처리작업시에 발생하는 안전사고 및 작업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remove the slag of the slag port carrying the slag in the steelmaking process, thereby reducing the slag processing time and reducing the safety accident and the work load occurring during the slag processing work. There is.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particular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know.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73187A KR100843835B1 (en) | 2001-11-23 | 2001-11-23 | Slag Separator in Slag Po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73187A KR100843835B1 (en) | 2001-11-23 | 2001-11-23 | Slag Separator in Slag Por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42519A KR20030042519A (en) | 2003-06-02 |
KR100843835B1 true KR100843835B1 (en) | 2008-07-03 |
Family
ID=2957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731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3835B1 (en) | 2001-11-23 | 2001-11-23 | Slag Separator in Slag Po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383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1129B1 (en) * | 2013-04-23 | 2015-01-13 | 주식회사 포스코 | Device for removing slag in molten steel |
CN115255344B (en) * | 2022-07-25 | 2023-10-27 | 安徽中科大禹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metal smelting equipment with automatic pouring mechanis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0143A (en) * | 1988-06-27 | 1990-01-30 | 미터, 쉬트루쯜 | Slag and Steel Separator |
JP2007090000A (en) * | 2005-09-30 | 2007-04-12 | Nippon Koden Corp | ECG data compression method and electrocardiogram telemeter device |
-
2001
- 2001-11-23 KR KR1020010073187A patent/KR10084383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0143A (en) * | 1988-06-27 | 1990-01-30 | 미터, 쉬트루쯜 | Slag and Steel Separator |
JP2007090000A (en) * | 2005-09-30 | 2007-04-12 | Nippon Koden Corp | ECG data compression method and electrocardiogram telemeter devic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국내 공개특허공보 특1990-000014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42519A (en) | 2003-06-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86386B2 (en) | Centrifuge rotor cover fixing device | |
US20030205635A1 (en) | Safety device for a food processor with a large chute | |
KR100843835B1 (en) | Slag Separator in Slag Port | |
CN1244025A (en) | Closing support and ejecting assembly for energy storing mechanism of electric switch plant | |
US20050121241A1 (en) | Battery replacement system for an industrial truck | |
KR100348719B1 (en) | Cup Supplying Apparatus | |
JP2005528278A (en) | Automatic locking device for shipboard containers | |
CA2360113C (en) | Manually operated stopper extractor of a container filled with carbonated beverage, sparkling wine and the like | |
CN216849862U (en) | Reaction chamber for semiconductor and semiconductor equipment | |
JP2007038920A (en) | Carrier | |
CN215964067U (en) | Fan coal mill with impact wheel adopting cast-forged welding structure | |
US6244798B1 (en) | Drill or milling head | |
CN100528055C (en) | Safety switch for kitchen utensils | |
JPH0226840Y2 (en) | ||
CN213620896U (en) | On-line ratio continuous analyzer | |
US5529209A (en) | Easy load elevating hopper | |
CN114007976B (en) | Tool box for escalator | |
US5699728A (en) | Waste food treatment apparatus | |
CN112191531A (en) | Crushing degree screening and feedback device of crusher | |
RU2027581C1 (en) | Grinding wheel housing | |
CN219534065U (en) | Fuel assembly gripping apparatus with self-locking structure | |
KR20040037519A (en) |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locking ladle to a moving cart | |
EP1201597B1 (en) | Manually operated stopper extractor of a container filled with carbonated beverage, sparkling wine and the like | |
RU2101182C1 (en) | Device for removal of parts from press zone | |
KR940003002Y1 (en) | Coilling stopp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1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1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