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2565B1 - Defecation device of patient bed - Google Patents
Defecation device of patient be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2565B1 KR100842565B1 KR1020070013752A KR20070013752A KR100842565B1 KR 100842565 B1 KR100842565 B1 KR 100842565B1 KR 1020070013752 A KR1020070013752 A KR 1020070013752A KR 20070013752 A KR20070013752 A KR 20070013752A KR 100842565 B1 KR100842565 B1 KR 1008425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d
- toilet
- wire
- patient
- slid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13872 defecatio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11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44000309466 calf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0016 psychiatr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920 primary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76 seden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7—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toile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스로 거동을 할 수 없거나 거동이 불편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해야되는 환자 본인 또는 간병인이 콘트롤러를 조작함에 따라 침대의 상판을 자동으로 가변되게 하여 침대에 앉은 자세에서 배변과 세정 및 건조 등의 뒷처리를 하게 되고 배변 후에는 침대를 원상태로 복귀되게 하면서 변기를 밀폐시켜 악취의 비산을 방지함에 따라, 배변으로 인하여 환자가 느끼는 부담감과 수치심을 덜 수 있는 한편, 환자를 돌보는 간병인의 수고를 줄일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안락의자 형태로 가변시켜 편안히 앉은 자세를 유지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환자의 허리와 무릎굴절부위에 대한 운동을 도모할 수 있게 한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top plate of the bed automatically as the patient or caregiver operating the controller can not be able to move on their own or inconvenient to rely on the help of other people bowel movements, washing and drying in a sitting position on the bed As a result of the back treatment and after the bowel movement, the be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toilet is closed to prevent the odor from being scattered, thereby reducing the burden and shame of the patient due to the bowel movement, and the caregiver's hard wor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d treatment apparatus for a patient bed that can be used to change the shape of an armchair and maintain a comfortable sitting position, and to automatically exercise the waist and knee refractive parts of a patient as needed. ,
즉, 표면에 쿠션력을 갖춘 침대의 상판이 인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등받이부와 둔부 및 종아리부로 구분되어 수평상태로부터 안락의자의 형태로 가변되도록 상부프레임 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에 레일을 설치하여 상판이 가변됨과 동시에 선택레버의 조작에 의해 등받이부의 하부에서 둔부로 슬라이딩되면서 둔부에 위치한 개구판의 개방부위로 변기가 이동설치되며, 상기 침대의 하부프레임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축을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 침대의 상판을 단순히 휴식용 안락의자 형태로 가변되게 하는 동작과 변기를 슬라이딩되게 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함으로써, 필요시 침대에 앉은 자세로 배변할 수 있는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더와 이에 분리동작이 가능한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된 구성이다.That is, the upper plate of the bed with cushioning force on the surface is divided into the backrest, the buttocks and the calf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to be changed from the horizontal state into the shape of the armchair, and the rail inside the upper frame. At the same time, the top plate is variable and the toilet is moved to the open part of the opening plate located in the buttocks by sliding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part by the operation of the selector lever, and the screw shaft driven by the motor in the lower frame of the bed. By install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to selectively change the top plate of the bed in the form of a resting armchair and the action of sliding the toilet seat, so that you can choose the action that can be changed to the sitting position on the bed if necessary Slider that provides driving force and power transmission means that can be separated A configurat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의 상판이 분리된 전체구성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the upper plate separated from the bowe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상기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의 상판 지지구와 변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plate support and the toilet bowl of the bed defecation treatment apparatus separately;
도 3은 상기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에 구비된 구동장치를 투시하여 나타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ing device provided in the bowe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bed,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배변 처리장치의 동력전달수단을 발췌한 분리사시도와 그 결합상태 사시도,4a and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upl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of the bowe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5c는 상기 배변 처리장치의 동력전달수단에 구비된 스토퍼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평면구성도,5a to 5c are plan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provi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apparatus;
도 6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구비된 스토퍼를 동작시키는 선택레버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ection lever for operating the stopper provi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도 7은 본 발명의 배변 처리장치에 구비된 슬라이딩 와이어를 제어하는 브레이커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eaker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sliding wire provided in the bowe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배변 처리장치에 구비된 변기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support provided in the bowe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9e는 본 발명의 침대의 가변과정과 변기의 이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구성도,9a to 9e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a variable process of the bed and the moving state of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배변 처리장치에 구비된 슬라이딩 와이어의 권취상태를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Figure 10 is a side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inding state of the sliding wire provided in the bowe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 : 상판 11 : 등받이부10: top plate 11: backrest
12 : 둔부 12' : 개구판12: buttocks 12 ': opening plate
13 : 종아리부 14 : 경첩13: calf part 14: hinge
20 : 변기하우징 20' : 변기20: toilet seat 20 ': toilet seat
21 : 변기하우징거치대 30 : 레일21: toilet seat holder 30: rail
40 : 동력전달수단 41 : 슬라이더40: power transmission means 41: slider
42 : 스크류축 42' : 구동모터42: screw shaft 42 ': drive motor
43 : 견인롤 50 : 선택레버43: towing roll 50: selection lever
51 : 키 52 : 스토퍼51: key 52: stopper
60 : 슬라이딩와이어 61 : 안내롤60: sliding wire 61: guide roll
62 : 핸들 70 : 브레이커62: handle 70: breaker
80 : 승강부재 80' : 승강암80: lifting member 80 ': lifting arm
81 : 텐션릴 110 : 제1지지대81: tension reel 110: first support
111, 131 : 힌지 112, 132 : 암111, 131:
113 : 로드 114 : 브레이크와이어113: Rod 114: Brake Wire
130 : 제2지지대 133 : 견인와이어130: second support 133: tow wire
본 발명은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스스로 거동을 할 수 없거나 거동이 불편하여 다른 사람의 도움에 의존해야되는 환자 본인 또는 간병인이 콘트롤러를 조작함에 따라 침대의 상판을 자동으로 가변되게 하여 침대에 앉은 자세에서 배변과 세정 및 건조 등의 뒷처리를 하게 되고 배변 후에는 침대를 원상태로 복귀되게 하면서 변기를 밀폐시켜 악취의 비산을 방지함에 따라, 배변으로 인하여 환자가 느끼는 부담감과 수치심을 덜 수 있는 한편, 환자를 돌보는 간병인의 수고를 줄일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안락의자 형태로 가변시켜 편안히 앉은 자세를 유지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라 자동으로 환자의 허리와 무릎굴절 부위에 대한 운동을 도모할 수 있게 한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top plate of the bed automatically as the patient or caregiver to operate the controller of the patient's bed defecation treatment device, more specifically, the patient or caregiver who can not be able to move on their own or is uncomfortable with the help of other people In the posture of sitting on the bed, after treatment such as bowel movements, washing and drying, and after the bowel movement, the bed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and the toilet is sealed to prevent the odor from being scattered. While reducing the burden on the caregiver who cares for the patient, it can be changed into a recliner chair to maintain a comfortable sitting position and to automatically exercise the patient's waist and knee flexion as needed. It relates to a bowel processing apparatus of a patient bed.
일반적으로, 생활환경과 의료수준의 향상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이에 비례하여 노인성 환자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으며, 도시화와 환경공해로 인한 각종 사고나 질환이 증가되면서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는 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중증 심신장애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이다.In general, the aging population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 and medical standards, and the number of senile patients is increasing rapidly, and as various accidents and diseases caused by urbaniza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crease, it is impossible to live without the help of others. Patients with severe mental and mental disorders are also increasing.
따라서, 중증환자를 돌볼 사람이 절실히 요구되면서 경제적으로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 복지차원에서 국가가 지원을 해줘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되고 있으나, 복지정책에서 우리 나라보다 앞섰다고 평가되는 일본의 경우에도 재정적인 부담으로로 인하여 현재 38만 개 정도의 요양 병상 수를 2012년까지 약 15만 개로 대폭 줄일 방침이라는 정책(출처 : 조선일보 2006. 10. 21 기사)으로 전환되고 있다.Therefore, whil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eople to take care of seriously ill patients, there is a demand for the support of the state in terms of welfare for those in economically blind spots. As a result of the burden,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reduce the number of 380,000 nursing beds to about 150,000 by 2012 (Source: Chosun Ilbo, October 21, 2006 article).
더욱이 우리 나라의 경우에는 일본에 비해 인구의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므로 복지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재원조달로 인하여 각 가정과 사회 전체에 경제적인 부담을 가중케 하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고, 본 발명도 역시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발명된 것이다.Moreover, in Korea, the aging of the population is progressing faster than in Japan, and the financial burden to support welfare policies is increasing the economic burden on each family and society, and many people try to solve this problem. The invention is also invented as part of this effort.
상기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를 간병할 때 가장 큰 어려움은 증상의 종류를 불문하고 환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부축하거나 환자가 배설한 변을 치울 때 느끼는 불편 등 용변을 여하히 처리하느냐 하는 점에 집중되었고, 그 해결책으로 환자에게 기저귀를 채워 용변을 받아내도록 한 방법이 가장 보편적이었으나, 배설물이 묻은 기저귀를 즉시 갈아주지 않을 경우에는 옷이나 이불이 오손되면서 악취를 유발할 뿐 아니라 배설물이 접촉되는 피부가 오염되어 2차 질환이 발생되었다.The biggest difficulty in caring for the severely inconvenient behavior was focused on whether or not to treat the stool regardless of the type of symptoms, such as the discomfort that the patient feels in order to see the stool or the stool removed by the patient. The most common solution was to fill the diaper with a stool, but if the diapers with the feces were not changed immediately, the clothes or the quilt would be fouled, causing bad odors, and contaminated skin. Primary disease developed.
또한 간병인이 기저귀를 교체하고 오염부위를 닦아내는 등의 과정에 환자의 체중을 감당해야되는 육체적인 어려움과 함께 배설물로 인한 혐오스러운 감정을 배제할 수 없었고, 이러한 간병을 받고 있는 환자가 의식이 있는 경우에는 환자 본인도 심적인 부담과 함께 수치심을 느끼게 하는 등 여러 가지의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to the physical difficulties of caring for diapers and cleaning contaminants, the caregiver could not rule out the disgusting feelings caused by feces. In the case, there were various difficulties, such as the patient's own feelings and shame.
한편, 중증 환자의 배변처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환자용 침대에 관하여 여러 종류의 선행기술이 공개되었으며, 이에 관련한 선행기술들로서 실용신안등록 제222921호의 변기가 부착된 환자용 자동침대와 실용신안등록 제336171호의 다기능 환자용 침대의 슬라이딩식 좌변기 안전구조 등이 제안된 바 있다.Meanwhile, various types of prior arts have been disclosed with respect to a patient bed to facilitate the treatment of a severe patient. As a related art, the automatic bed for a patient and the utility model registered with the toilet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22921 are registered. A sliding toilet seat safety structure of a multifunctional patient bed of the arc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22921호의 변기가 부착된 환자용 자동침대는, 침대의 대퇴부 하측에 결합된 변기의 개구부가 항상 개방된 상태인데다 개구부 전면에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는 방지턱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침대로서의 기능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침대에 누웠을 때 수평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므로 환자에게 불편함을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automatic bed for the patient with the toilet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22921, the opening of the toile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bed is always open, and the prevention jaw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opening as a bed. Deterioration of the function,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s uncomfortable to the patient because the horizontal state is not maintained when lying in bed.
한편, 실용신안등록 제336171호의 다기능 환자용 침대의 슬라이딩식 좌변기 안전구조는 무릎이 위치되는 부위가 굴절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배변자세가 불안한 문제점이 있었고, 침대 내부에 설치된 좌변기를 감지센서와 이에 연동되는 리미트스위치 및 그 리미트스위치의 신호를 받는 제어부에 의해 적어도 2개의 구동수단을 제어되게 함으로써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 것이므로 구조가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toilet seat safety structure of the multi-functional patient bed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36171 has a problem that the bowel position is unstable because the knee position is not refrac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oilet seat is installed in the bed and the limit that is linked to the sensor Since at least two driving means are controlled by a switch and a control unit receiving a signal of the limit switch, the sliding is possible, and thus the structure is very complicated.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변기가 구비된 중증환자용 침대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환자가 용변을 보기에 적합한 자세로 침대가 가변되는 과정에 침상 중앙의 일부분이 개방되면서 변기가 이동되어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배변과 세정 및 건조 등의 뒷처리를 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ed with a serious toilet bed, the object is to open the toilet while a part of the center of the b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the bed in a position suitable for the patient to see the toilet. It is provided to move and expose the bowel treatment apparatus of the patient bed that can be installed to be exposed after the defecation and washing and dry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변으로 인한 뒷처리가 끝난 후 침상이 수평상태로 복귀되어 환자가 편안히 누울 수 있도록 하면서 수평상태로 복귀한 침상의 등받이 저면이 변기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뚜껑 역할을 하여 악취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of the back of the bed rested in the horizontal state while the bed rests to the horizontal state after the after treatment due to bowel movements to return to the horizontal state to serve as a lid to seal the opening of the toilet odor To provide a bowel treatment apparatus for a patient bed that can prevent the scattering o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대를 좌식(坐式) 배변에 적합한 자세로 가변되게 하는 기능 이외에 단순한 안락의자 기능과 허리 또는 무릎 등의 관절운동을 변행하는 기능을 구비되게 하면서 침대의 가변기능과 변기의 사용에 따른 모든 동작을 1대의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되도록 하는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 armchair function and a function of changing joint motion such as a waist or knee,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varying the bed in a posture suitable for sedentary defec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dside treatment apparatus for allowing a patient's all movements to be linked by one driving moto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표면에 쿠션력을 갖춘 침대의 상판이 인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등받이부와 둔부 및 종아리부로 구분되어 수평상태로부터 안락의자의 형태로 가변되도록 상부프레임 위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내측에 레일을 설치하여 이에 상판이 가변됨과 동시에 선택레버의 조작에 의해 등받이부의 하부에서 둔부로 슬라이딩되면서 둔부에 위치한 개구판의 개방부위로 변기가 이동설치되며, 상기 침대의 하부프레임에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축을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 침대의 상판을 단순히 휴식용 안락의자 형태로 가변되게 하는 동작과 변기를 슬라이딩되게 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함으로써, 필요시 침대에 앉은 자세로 배변할 수 있는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더와 이에 분리동작이 가능한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so that the upper plate of the bed with a cushioning force on the surface is divided into the back portion, buttocks and calf por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body to be changed in the form of an armchair from the horizontal state The upper plate is variable by installing a rail inside the upper frame, and the toilet is moved to the open part of the opening plate located in the buttocks while sli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backrest part to the buttocks by the operation of the selector lever. By installing a screw shaft driven by a motor in th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d, by selectively changing the upper plate of the bed into a resting armchair type and sliding the toilet bowl, if necessary, Sliders that provide driving force to select defe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capable of separating operation is installed.
이에 따라 환자 본인 또는 간병인이 간단한 조작에 의해 침대를 가변시켜 앉은 자세에서 용변을 해결하게 되므로 환자와 간병인의 부담과 수고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침대를 단순한 안락의자로 가변시켜 환자가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 으며 침대의 상판을 안락의자로 가변되도록 하는 과정에 환자의 허리나 무릎 등의 관절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부족을 보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atient or caregiver can change the bed by simple operation to solve the stool in a sitting position, thereby reducing the burden and effort of the patient and the caregiver, and also changing the bed to a simple armchair to maintain the patient's comfortable posture.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bed can be converted into an armchair to compensate for the lack of exercise by allowing joint movement such as the waist or knee of the patient.
이하, 본 발명의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bowe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atient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의 상판이 분리된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배변 처리장치의 상판 지지구와 변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에 구비된 구동장치를 투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upper plate of the bed defecation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plate support and the toilet of the defecation treatment apparatus separated, Figure 3 is a bed treatment apparatus of the bed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rough the drive apparatu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는, 침대의 상부프레임(F)에 수평상태로 설치된 상판(10)을 인체의 특성에 맞게 등받이부(11)와 둔부(12) 및 종아리부(13)로 구분하여 안락의자 형태로 접혀졌다가 펼쳐지는 가변동작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침대에 기대어 앉은 자세에서 용변을 볼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 것이다.The bowe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atient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상판(10)의 각부를 구성하는 등받이부(11)와 둔부(12) 및 종아리부(13)는 상호 굴절이 가능하게 경첩(14) 또는 유연성 소재 등을 매개로 일체로 연결되고, 둔부(12)의 중앙부위에는 상판(10)이 용변자세로 가변 될 때 상판의 하부에서 대기하는 변기(20)를 통할 수 있도록 열리는 반면 상판이 수평으로 복귀될 때 닫혀지는 개구판(12')이 형성되어 있다.The
이때, 등받이부(11)와 둔부(12) 및 종아리부(13)의 표면 전부분에는 그 굴절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쿠션재(C)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attach the cushioning material C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상부프레임(F)의 내측에 침대의 길이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쌍의 레일(30)이 설치되고, 상기 레일(30)의 내측에는 용변을 받기 위한 변기(20')가 탈착되게 장착된 변기하우징(20)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변기하우징(20)은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40)에 의해 등받이부(11) 하부의 대기위치로부터 용변위치인 둔부(12)의 개구판(12')의 하부 사이를 왕복으로 진행하게 된다.A pair of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을 발췌한 분리사시도와 그 결합상태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5c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구비된 스토퍼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며, 도 6은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구비된 스토퍼를 동작시키는 선택레버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동력전달수단(40)은 침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프레임에 설치된 스크류축(42)에 슬라이더(41)와 함께 장착되어 구동모터(42')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축(42)의 정,역회전에 따라 정해진 구간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Figure 4a and 4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upl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to 5c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opper provi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Figure 6 A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ection lever for operating the stopper provided in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40 is mounted and driven with the
즉, 침대의 일측에 설치한 선택레버(50)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키(51)가 슬라이더(41)에 록킹되면 동력전달수단(40)은 그 슬라이더(41)와 함께 스크류축(42)의 정, 역회전에 따라 진행하게 되고, 한편 키(51)의 록킹이 해제되면 스토퍼(52)가 작동하여 동력전달수단(40)을 출발지점에 붙들어 작동수단을 정지시켜 슬라이더(41) 만이 왕복운동을 하게 됨으로써, 침대의 상판을 휴식용 안락의자 형태로 가변되게 하는 동작 또는 배변을 위한 준비상태로 가변되게 하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at is, when the key 51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동력전달수단(40)이 스크류축(42)의 정, 역회전에 의해 동작되는 슬라이더(41)와 분리작동 가능하게 조합된 상태에서, 선택레버(50)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키(51)가 슬라이더(41)에 록킹(locking) 되면, 동력전달수단(40)과 슬라이더(41)가 함께 작동하여 침대의 상판(10)을 가변시키면서 배변위치로 변기하우징(20)을 슬라이딩시키는 전체적인 동작부위에 구동력이 제공되고, 키(51)가 언록킹(unlocking) 되면, 슬라이더(41)만이 동작되어 침대의 상판만을 가변시키는 일부분의 동작부위에 구동력이 제공된다.More specifically, by operating the
상기 상판(10)의 등받이부(11)는 상부프레임(F)의 양측에 힌지(111)로 고정된 제1지지대(110) 위에 장착되고, 이 제1지지대(110)를 연장하여 하부에 형성된 암(112)에는 슬라이더(41)의 동력을 전달받아 힌지(111)를 기점으로 제1지지대(110)를 수평상태로부터 적당한 각도로 가변되게 하는 링크 구조의 로드(113)가 결합되어 있다.The
그러므로, 상기 제1지지대(110)의 암(112)에 구비된 로드(113)의 자유단에 스크류축(42)의 회전에 의해 움직이는 슬라이더(41)의 동력이 전달되어 지지대(110) 위에 장착된 등받이부(11)를 정해진 각도범위에서 기립되게 한다.Therefore, the power of the
한편, 상기 제1지지대(110)에 형성된 암(112)의 양측 끝 부분에 각각 브레이크와이어(114)의 일단을 각각 결속시키며, 상기 브레이크와이어(114)의 타측단은 각각 브레이커(70)를 경유되게 설치하고, 그 브레이커(70)를 경유한 브레이크와이어(114)는 상부프레임(F)을 거쳐 제1지지대(110)에 형성된 암(112)의 타측단에 연결 및 고정시킴으로써, 제1지지대(110)의 암(112)이 시계방향으로 회전 이동함에 따라 브레이크와이어(114)가 견인되도록 한다.Meanwhile, one end of each of the
따라서, 수평상태인 제1지지대(110)가 힌지(111)를 기점으로 경사지게 변위되었을 때 브레이커(70)를 조작하여 브레이크와이어(114)를 정지되게 함으로써 제1지지대(110)가 환자가 원하는 경사 각도를 유지하게 되며, 브레이커(70)의 조작에 의해 제1지지대(110)가 정지된 상태에서 로드(113)를 밀고 있던 슬라이더(41)를 출발대기 지점으로 후퇴시킴에 따라 상판(10)의 등받이부(11)를 제외한 둔부(12)와 종아리부(13)가 수평상태로 되므로, 환자가 휠체어를 타거나 이동을 하기에 원활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Therefore, when the
상판(10)의 일부를 구성하는 종아리부(13)는 상부프레임(F)의 양측에 힌지(131)로 고정 설치된 제2지지대(130)에 의해 동작된다. 즉, 제2지지대(130)의 하단에 형성된 암(132)과 슬라이더(41)는 견인와이어(133)로 연결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보면, 견인와이어(133)의 일단을 슬라이더(41)에 고정시키고 다른 일단은 제2지지대(130)의 암(132)에 감겨지도록 한 후 슬라이더(41)의 후방에 위치한 하부프레임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견인와이어(133)의 결속방식은 슬라이더(41)에 의한 견인거리를 약 1/2로 반감시켜 제2지지대(130)의 굴절각도를 적절히 유지되도록 함에 있다. The
이로써 슬라이더(41)가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견인와이어(133)를 통해 암(132)을 끌어당기면, 암(132)에 전달된 힘에 의해 그 힌지(131)를 기점으로 제2지지대(1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상승되면서 둔부(12)와 함께 종아리부(13)가 가변된다.Accordingly, when the
즉, 상판(10)의 등받이부(11)와 둔부(12)가 가변될 때 둔부와 경첩으로 연결된 종아리부(13)의 일측단(무릎부위) 역시 둔부(12)의 가변정도에 비례하여 상향으로 이동되므로, 상판을 구성하는 각부가 안락의자 형태로 가변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back 11 and the
도 7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배변 처리장치에 구비된 슬라이딩 와이어를 제어하는 브레이커의 사시도와 그 슬라이딩 와이어의 권취 상태를 나타낸 측면구성도 이고, 도 8은 상기 배변 처리장치에 구비된 변기 지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7 and 1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erspective view of a breaker for controlling a sliding wire provided in the bowel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ound state of the sliding wire, and FIG. 8 is a toilet support provided in the bowel processing apparatus. Is a perspective view.
동력전달수단(40)의 일측에 와이어홈(43')을 갖춘 견인롤(43)이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견인롤(43) 주위의 상, 하부 구조물에 장방형으로 배치되게 다수의 안내롤(61)이 장착되어 이에 슬라이딩와이어(60)가 설치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슬라이딩와이어(60)를 변기하우징(20)과 핸들(62)이 장착된 레일(3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그 슬라이딩와이어(60)의 양측은 전, 후방의 상, 하측에 장방형으로 각각 위치한 4개의 안내롤(61)을 경유하여 견인롤(43)의 와이어홈(43')에 교차로 감겨지게 하며, 슬라이딩와이어(60)의 양측 단부는 하부프레임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와이어(60)의 결선구조는 변기하우징(20)이 용변위치로 이동되는 길이가 60㎝일 때 그 변기하우징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슬라이딩와이어(60)의 진행거리가 30㎝로 되게하여 2배 정도의 이동거리를 얻을 수 있도록 함에 있다.A
그러므로 동력전달수단(40)에 고정되어 있는 견인롤(43)이 움직이면서 슬라이딩와이어(60)를 끌어당기고, 이로 인해 개구판(12')의 하부를 지지하던 핸들(61)이 이동하게 됨으로써 개구판(12')이 자중에 의해 밑으로 회전 개방되며, 이와 동 시에 등받이부(11)의 하부에서 대기하고 있던 변기하우징(20)은 둔부(12)의 하부의 용변위치로 슬라이딩된다.Therefore, the pulling
변기하우징(20)이 용변위치에 도달되는 순간 변기하우징의 앞부분이 올려지도록 함과 아울러 변기하우징(20)이 원래의 대기 위치로 복귀될 때 들어 올려진 앞부분이 원상태로 하강되도록 변기하우징(20)이 지지되는 변기하우징거치대(21)에 승강부재(80)를 설치하고, 상기 승강부재(80)는 그 승강부재에 일체로 형성된 승강암(80')과 제1지지대(110)의 암(112)에 연결고정된 텐션릴(81)의 작용에 의해 승강되도록 한다. 즉, 변기하우징거치대(21)의 앞부분에 장착되어 있는 승강부재(80)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변기하우징(20)의 앞 부분을 들어올리는 구조로 됨으로써, 승강부재(80)의 승강암(80')에 일단이 연결 고정된 텐션릴(81)이 그 타단으로 연결 고정된 제1지지대(110)의 암(112)이 회전되는 동작에 의해 신장되는 과정에서 승강부재(80)가 변위되면서 변기하우징(20)의 앞 부분을 들어 올려지게 하는 것이며, 이로써 소변이 변기(20')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The
이때 변기(20') 내에는 배변 위치로 변기하우징(20)이 도착되어 그 앞 부분이 들어 올려질 때 세정위치로 향했다가 변기하우징의 앞 부분이 내려갈 때 감춰지도록 세정노즐(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여 배변 후 뒷 처리를 청결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정노즐에 관련된 사항은 일반적인 기술에 따른다.At this time, in the toilet 20 ', the
용변후 원래의 대기 위치로 복귀된 변기(20)의 개방부위는 그 대기위치의 상부에 설치한 뚜껑에 의해 밀페되도록 하여 간병인이 변기를 비울 때까지 냄새의 비산을 방지하게 된다.The open part of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침대의 가변과정과 변기의 이동상태를 도 9a 내지 9e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9a에서와 같이 침대의 상판(10)을 수평상태로 하여 침대로 사용하는 과정에 침대의 일측에 구비된 선택레버(50)의 키(51)를 동력전달수단(40)에서 언록킹(unlocking) 되게 조작한 후 구동모터(42')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스크류축(42)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41) 만이 진행되면서 도 9b 및 9c에서와 같이 침대의 상판(10)과 그 등받이(11)를 가변시키는 일부분의 동작부위에 구동력이 제공되므로, 그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안락의자로 사용하여 편안히 휴식을 하게 되고 상판의 가변동작이 연속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때는 그 위에 앉아 있는 환자의 허리와 무릎 등의 관절부위에 대한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편의성을 제공한다.Therefore, referring to the variable process of the bed and the moving state of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s 9a to 9e, the b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bed as a bed with the
한편, 선택레버(50)의 조작에 의해 동작되는 키(51)를 동력전달수단(40)과 스크류축(42)에 록킹(locking)되게 조작할 경우에는 동력전달수단(40)과 슬라이더(41)가 함께 작동하여 침대의 상판(10)을 가변시키면서 도 9d에서와 같이 배변위치로 변기하우징(20)을 슬라이딩시키는 전체적인 동작이 이루어진 후 도 9e에서와 같이 변기하우징거치대(21)에 설치된 승강부재(80)의 동작에 의해 변기하우징(20)의 앞 부분을 들어올려지게 하여 소변이 변기(20')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key 51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장치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를 간병할 때 따르는 가장 큰 어려움인 용변처리를 침대에 누운 채로 해결하게 되고 용변 후에는 침대를 원상태로 복귀되게 하면서 간편하고 청결하게 용변을 처리함에 따라, 용변으로 인하여 환자가 느끼는 부담감과 수치심을 덜 수 있는 한편 환자를 돌보는 간병인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Such a bowel treatment apparatus for a patient b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biggest difficulty that occurs when caring for patients with uncomfortable behavior while lying on the bed and to return the bed to its original state after the toilet, easy and clean toilet As a result of the treatment, the burden of the patient due to the stool can reduce the shame while reducing the effort of the caregiver caring for the patient.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3752A KR100842565B1 (en) | 2007-02-09 | 2007-02-09 | Defecation device of patient be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3752A KR100842565B1 (en) | 2007-02-09 | 2007-02-09 | Defecation device of patient be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42565B1 true KR100842565B1 (en) | 2008-07-01 |
Family
ID=3982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37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2565B1 (en) | 2007-02-09 | 2007-02-09 | Defecation device of patient be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2565B1 (en)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6062B1 (en) * | 2009-03-06 | 2012-04-18 | 주식회사 엠아이텍 | Bed |
KR101282765B1 (en) | 2011-10-13 | 2013-07-05 | 김길섭 | Nursing bed |
KR101288333B1 (en) | 2011-03-04 | 2013-07-19 | 주식회사 에이엠 | disposing excreta |
KR101522929B1 (en) * | 2015-02-27 | 2015-05-28 | 임윤택 | Bed chair for patient convertible into bed or wheel chair with stool function |
CN107468457A (en) * | 2017-09-19 | 2017-12-15 | 宁波天明电子股份有限公司 | Care bed with motion facilities |
KR101851202B1 (en) | 2016-11-11 | 2018-06-11 | 김미정 | Apparatus for treating urine and feces |
CN109223385A (en) * | 2018-10-31 | 2019-01-18 | 南通市第二人民医院 | A kind of multifunctional nursing device in cardiology department |
KR20200002062A (en) * | 2018-06-29 | 2020-01-08 | 주식회사 해피존 | Patient bed with bidet |
US10849805B1 (en) | 2015-02-25 | 2020-12-01 | Bernadette de Isaza | Bed |
CN114272037A (en) * | 2021-12-26 | 2022-04-05 | 刘志贤 | Multifunctional medical bed |
CN114452100A (en) * | 2022-02-23 | 2022-05-10 | 北京数维时空科技有限公司 | Self-help adjusting lying, sitting and convenient-hole opening rehabilitation nursing bed |
JP7181513B1 (en) * | 2022-08-02 | 2022-12-01 | 諒吉 渡邊 | A bed for nursing care that allows excretion to wash the buttocks and the mat around the buttocks. |
CN117338555A (en) * | 2023-10-19 | 2024-01-05 |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二医学中心 | A hospital bed used to assist intestinal cleaning preparation for colonoscopy |
WO2024253399A1 (en) * | 2023-06-05 | 2024-12-12 | 주식회사 세라젬클리니컬 | Mat having massage fun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35491A (en) * | 1975-09-13 | 1977-03-18 | Shiyouji Usui | Bed |
JPS6351859A (en) | 1986-08-22 | 1988-03-04 | 株式会社 三五商会 | Bed apparatus |
KR20000058591A (en) * | 2000-06-17 | 2000-10-05 | 홍길영 | A bed for patient |
KR200402017Y1 (en) | 2005-07-11 | 2005-11-24 | 유도로보틱스(주) | Bed for a patient |
-
2007
- 2007-02-09 KR KR1020070013752A patent/KR1008425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35491A (en) * | 1975-09-13 | 1977-03-18 | Shiyouji Usui | Bed |
JPS6351859A (en) | 1986-08-22 | 1988-03-04 | 株式会社 三五商会 | Bed apparatus |
KR20000058591A (en) * | 2000-06-17 | 2000-10-05 | 홍길영 | A bed for patient |
KR200402017Y1 (en) | 2005-07-11 | 2005-11-24 | 유도로보틱스(주) | Bed for a patient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6062B1 (en) * | 2009-03-06 | 2012-04-18 | 주식회사 엠아이텍 | Bed |
KR101288333B1 (en) | 2011-03-04 | 2013-07-19 | 주식회사 에이엠 | disposing excreta |
KR101282765B1 (en) | 2011-10-13 | 2013-07-05 | 김길섭 | Nursing bed |
US10849805B1 (en) | 2015-02-25 | 2020-12-01 | Bernadette de Isaza | Bed |
KR101522929B1 (en) * | 2015-02-27 | 2015-05-28 | 임윤택 | Bed chair for patient convertible into bed or wheel chair with stool function |
WO2016137094A1 (en) * | 2015-02-27 | 2016-09-01 | 구트이데 주식회사 | Bedchair for patient convertible to bed and wheelchair equipped with sitting toilet |
KR101851202B1 (en) | 2016-11-11 | 2018-06-11 | 김미정 | Apparatus for treating urine and feces |
CN107468457A (en) * | 2017-09-19 | 2017-12-15 | 宁波天明电子股份有限公司 | Care bed with motion facilities |
KR20200002062A (en) * | 2018-06-29 | 2020-01-08 | 주식회사 해피존 | Patient bed with bidet |
KR102082972B1 (en) | 2018-06-29 | 2020-02-28 | 주식회사 해피존 | Patient bed with bidet |
CN109223385A (en) * | 2018-10-31 | 2019-01-18 | 南通市第二人民医院 | A kind of multifunctional nursing device in cardiology department |
CN114272037A (en) * | 2021-12-26 | 2022-04-05 | 刘志贤 | Multifunctional medical bed |
CN114272037B (en) * | 2021-12-26 | 2023-09-26 | 北京亿家老小科技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medical bed |
CN114452100A (en) * | 2022-02-23 | 2022-05-10 | 北京数维时空科技有限公司 | Self-help adjusting lying, sitting and convenient-hole opening rehabilitation nursing bed |
JP7181513B1 (en) * | 2022-08-02 | 2022-12-01 | 諒吉 渡邊 | A bed for nursing care that allows excretion to wash the buttocks and the mat around the buttocks. |
WO2024253399A1 (en) * | 2023-06-05 | 2024-12-12 | 주식회사 세라젬클리니컬 | Mat having massage function |
CN117338555A (en) * | 2023-10-19 | 2024-01-05 |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二医学中心 | A hospital bed used to assist intestinal cleaning preparation for colonoscopy |
CN117338555B (en) * | 2023-10-19 | 2024-04-09 |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二医学中心 | Sickbed for auxiliary intestinal tract cleaning preparation in enteroscop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2565B1 (en) | Defecation device of patient bed | |
KR101017655B1 (en) | Articulated beds and mattresses for patients | |
US8419124B2 (en) | Chair with movable arms and tables sections | |
KR100856669B1 (en) | A patient bed | |
CN111671587B (en) | Nursing auxiliary turning device | |
KR20200138824A (en) | Multifunctional wheelchair | |
US20100071129A1 (en) | Bed,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are-needing person from the bed | |
US7234178B2 (en) | Electromotive bed | |
JP2017144032A (en) | Multi function care bed for achieving evacuation of patient by himself/herself | |
JP2006175181A (en) | Medical treatment bed | |
JP2000279454A (en) | Bed device for self-reliance care | |
KR101822751B1 (en) | Medical bed | |
DE3805431A1 (en) | Lounger for nursing and elderly care | |
TW201316976A (en) | Sit-lie dual-purpose hospice hospital bed chair | |
JP2012000421A (en) | Self excretion bed with excrement tank | |
TWI598085B (en) | Multifunctional patient self defecation care bed | |
KR101102513B1 (en) | Multifunctional Bed for Disabled Persons | |
CN211095445U (en) | Medical bed | |
KR200359358Y1 (en) | Technical Bed for Patient | |
JP3796705B2 (en) | Sliding bed | |
JP2001212185A (en) | Bed with defecation device | |
KR200313187Y1 (en) | A Bed for Patient | |
CN221932394U (en) | A self-service multifunctional nursing bed suitable for disabled people | |
CN211512399U (en) | Full-electric nursing bed | |
JP2003245313A (en) | Body position changing type be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