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833B1 - Drum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 Google Patents
Drum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1833B1 KR100841833B1 KR1020060099487A KR20060099487A KR100841833B1 KR 100841833 B1 KR100841833 B1 KR 100841833B1 KR 1020060099487 A KR1020060099487 A KR 1020060099487A KR 20060099487 A KR20060099487 A KR 20060099487A KR 100841833 B1 KR100841833 B1 KR 1008418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um
- water
- stroke
- washing machine
- rotational spe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8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2 die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rins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드럼식 세탁기(50)는 회전 드럼(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세탁수의 순환 수로(22, 26, 27, 28)를 구성하여, 물받이조(6)에 마련한 취수구(20)에 세탁수를 넣고, 취수구(20)로부터 넣어진 세탁수를 토출구(34)로부터 회전 드럼(5) 내부로 토출함으로써, 세탁수를 세탁물에 뿌려서 순환시킨다. 이로써,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탁수와 회전 드럼(5) 내외의 세탁수가 적극적으로 순환되게 되어, 세정력과 헹굼 성능이 향상하고, 헹굼 불균일도 감소시킨다.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50 constitutes circulation channels 22, 26, 27, and 28 of the washing water rotating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drum 5, and washes the washing water in the intake port 20 provided in the drip tank 6. The wash water is sprinkled on the laundry by circulating the wash water put in the water intake port 20 from the discharge port 34 into the rotary drum 5. As a result,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laundry and the washing water inside and outside the rotary drum 5 are actively circulated, thereby improving cleaning power and rinsing performance and reducing rinsing unevennes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종단면도,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의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apparatus of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사용되는 물받이조 본체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p tank body used in the drum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사용되는 물받이조 커버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p tray cover used in the drum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사용되는 회전 드럼의 바닥부 평면도,5 is a bottom plan view of a rotating drum used in the drum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사용되는 회전 드럼의 주요부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a rotating drum used in the drum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도 7a는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사용되는 제어부의 동작 흐름도,7A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control unit used for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도 7b는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사용되는 제어부의 동작 흐름도,7B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control unit used for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드럼식 세탁기에 사용되는 제어부의 다른 형태의 동작 흐름도,8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nother form of a control unit used in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shown in FIG. 1;
도 9는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rum type washing machin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세탁기 본체 5 : 회전 드럼1: washing machine body 5: rotary drum
6 : 물받이조 7 : 구동 모터6: drip tank 7: drive motor
9 : 제 1 급수 밸브 11 : 제 2 급수 밸브9: first water supply valve 11: second water supply valve
15 : 제어 장치 16 : 제어부15
17 : 설정부 18 : 기억부17: setting unit 18: storage unit
19 : 파워 스위칭부 20 : 취수구19: power switching unit 20: water intake
22, 26, 27, 28 : 순환 수로 34 : 토출구22, 26, 27, 28: circulation channel 34: discharge port
50 : 드럼식 세탁기50: drum type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회전축을 갖는 회전 드럼을 이용하여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각 행정을 실행하는 드럼식 세탁기와 그것을 이용한 세탁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도 9는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의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9를 이용하여,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drum type washing machine.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drum type washing machine is demonstrated using FIG.
회전 드럼(103)[이하, 드럼(103)이라 칭함]의 외주에, 다수의 물 제거용 작은 구멍(108)이 형성되어 있다. 드럼(103)의 외부에, 물받이조(102)[이하, 수 조(102)라 칭함]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수조(102)의 외측 바닥부에, 드럼(103) 구동용의 모터(104)가 고정되어 있다. 게다가, 수조(102)는, 세탁기 본체인 외측 상자(101)로부터 스프링체(109)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수직 하방으로 방진되어서 지지되어 있다. 급수 밸브(106)로부터 연장된 세탁수 공급용의 급수 호스(112)가 수조(102)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수조(102)의 하방 바닥부에, 배수 밸브(113)에 접속된 배수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드럼(103)의 내부에, 세탁물인 의류의 교반용의 돌기(10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의류의 출입이 실행되는 제 1 개구부(103a)[이하, 개구부(103a)라 칭함]가 덮개(105)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덮개(105)는 외측 상자(101)에 대하여 개폐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215894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drum 103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rum 103), a plurality of
개구부(103a)와 덮개(105)에 대응하는, 수조(102)의 위치에는 제 2 개구부(102a)[이하, 개구부(102a)라 칭함]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02a)와 외측 상자(101)의 전면의 개구부 사이에는, 대략 통형상의 고무 등의 가요성 재료로 구성된 패킹 부재(115)가 마련되어 있다. 패킹 부재(115)는 개구부(102a)에 대하여 수밀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또한, 덮개(105)가 폐쇄된 경우에는, 패킹 부재(115)는 외측 상자(101)에 대하여 수밀적으로 접촉된다.A second opening 102a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ning 102a) is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제어 장치(116)는 외측 상자(101) 상부 전면에 마련되고, 모터(104), 급수 밸브(106), 배수 밸브(113)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세탁, 헹굼, 탈수 등의 일련의 행정을 순차 제어하는 제어부와 입력부와 표시부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The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드럼식 세탁기(150)에 있어서,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덮개(105)가 개방되고, 드럼(103)내에 세탁물인 의류가 투입된다. 다음에, 전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온(ON)"된 후, 제어 장치(116)에 마련된 시작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조작되어, 드럼식 세탁기(150)가 운전을 개시한다. 드럼식 세탁기(150)의 운전이 개시되면, 급수 밸브(106)가 동작하여 급수되고, 수위 검지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소정의 수위가 검지되면 급수가 정지한다. 그 후, 모터(104)가 구동된다.In the conventional drum
세탁 행정에서는, 드럼(103)은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되고, 내부의 의류는 돌기(107) 등에 의해 들어올려진다. 또한, 드럼(103) 내부의 의류는 적당한 높이로부터 낙하하고, 그 충격력에 의해 세탁된다. 소위 두드림 세정이 실행된다. 또, 드럼(103)의 회전은, 돌기(107)의 형상에도 관계되지만, 의류의 얽힘을 적게 하기 위해 정역 회전을 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washing stroke, the
세탁 행정이 종료하면, 배수 밸브(113)를 거쳐서 수조(102)내의 세탁수가 배수되고, 헹굼 행정으로 이행한다. 헹굼 행정에 있어서도, 드럼(103)의 동작은 세탁 행정과 거의 동일한 동작이 실행된다. 헹굼 행정에 있어서는, 급수 밸브(106) 등이 동작되어, 주수(注水) 헹굼 등도 실행된다.When the washing stroke is completed, the washing water in the
또한, 탈수 행정에서는, 세탁수의 배수후, 드럼(103)이 고속 회전되어,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이 원심 탈수된다.In addition, in the dehydration process, after draining the washing water, the
이러한 구성의 드럼식 세탁기(150)는, 세탁물의 자중 낙하에 의한 세탁 방식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교반력 부족에 의한 세정력의 부족과 헹굼 불균일이 생 기기 쉽다. 더욱이, 일정한 세정력과 헹굼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행정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Since the drum
이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215893 호 공보(이하, 특허문헌 2라 칭함)에 개시되는 세탁기가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세탁기는 외조(外槽)내에 모인 세탁수를 순환 펌프에 의해 빨아올려서, 회전 드럼내로 복귀시킨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 세탁수를 충분히 급수시켜서, 세정력과 헹굼 효과를 높이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exists a washing machine disclosed by Unexamined-Japanese-Patent No. 1997-215893 (henceforth a patent document 2). The washing machine disclosed in
세탁물의 자중 낙하에 의한 세탁 방식을 이용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교반력 부족에 의한 세정력의 부족과 헹굼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 더욱이, 일정한 세정력과 헹굼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각 행정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In the washing machine using the washing method by the fall of the weight of laundry, lack of washing power and rinsing nonuniformity tend to arise by lack of stirring power. Furthermore, in order to secure a constant cleaning power and rinsing power, a large amount of time is required for each stroke.
또한, 순환 펌프를 이용하여 세탁수를 순환하는 순환 펌프 부착식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물에 세탁수를 충분히 급수시켜, 헹굼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형의 순환 펌프가 필요하다. 그러나, 세탁기 본체의 콤팩트화의 관점에서는, 순환 펌프를 작게 하지 않을 수 없어, 충분한 순환수량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새로운 순환 펌프가 필요해서, 세탁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생산성 또는 제조 비용의 면에서 불리하다.Moreover, in the circulation pump type washing machine which circulates wash water using a circulation pump, a large circulation pump is required in order to supply sufficient wash water to a laundry, and to raise a rinsing effect.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pactness of the washing machine bod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irculation pump small, and it is difficult to obtain a sufficient amount of circulation water. In addition, a new circulation pump is required, which makes the structure of the washing machine complicated and disadvantageous in terms of productivity or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드럼식 세탁기는, 회전 드럼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세탁수의 순환 수로를 구성하여, 물받이조에 마련한 취수구에 세탁수를 넣고, 취수구로부터 넣 어진 세탁수를 토출구로부터 회전 드럼 내부로 토출함으로써, 세탁수를 세탁물에 뿌려서 순환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된 세탁수와 회전 드럼 내외의 세탁수가 적극적으로 순환되어, 세정력과 헹굼 성능이 향상하고, 헹굼 불균일도 감소하는 드럼식 세탁기가 제공된다.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circulation channel of the washing water that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drum, puts the washing water into the intake port provided in the drip tray, and discharges the washing water from the intake port from the discharge port into the rotating drum. Sprinkle the wash water into the laundry to circulate. By such a configuration, the washing water contained in the laundry and the washing water inside and outside the rotating drum are actively circulated, thereby providing a drum type washing machine which improves cleaning power and rinsing performance and reduces rinsing unevenness.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referring drawings.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embodiment.
(실시형태)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있어서, 드럼식 세탁기(50)의 본체(1)내에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물받이조(6)[이하, 수조(6)라 칭함]가 마련되어 있다. 수조(6)는 서스펜션(suspension) 구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본체(1)의 정면(1b)측으로부터 배면(1c)측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수조(6)는 물받이조 본체(2)[이하, 수조 본체(2)라 칭함]와 물받이조 커버(3)[이하, 커버(3)라 칭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수조 본체(2)와 커버(3)의 접속 부분은 제 1 패킹 부재(4)를 거쳐서 수밀적으로 접속되어서 고정되어 있다. 수조(6)의 내측에,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 드럼(5)[이하, 드럼(5)이라 칭함]이 마련되어 있다. 드럼(5)은 드럼(5)의 회전축이 본체(1)의 정면(1b)측으로부터 배면(1c)측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in the
본체(1)의 정면(1b)측에는, 의류 등의 세탁물을 출입하기 위한 본체 개구부(1a)[이하, 개구부(1a)라 칭함]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개구부(1a)를 개폐 가능하게 덮는 도어(8)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커버(3)에는, 개구부(1a)에 대응하는 위치에 물받이조 커버 개구부(3a)[이하, 개구부(3a)라 칭함]가 마련되어 있다. 드럼(5)에는, 개구부(1a)와 개구부(3a)에 대응하는 위치에 회전 드럼 개구부(5a)[이하, 개구부(5a)라 칭함]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개구부(3a)가 제 1 개구부를 구성한다. 또한, 개구부(5a)가 제 2 개구부를 구성한다. 개구부(1a)와 개구부(3a)와 개구부(5a)를 거쳐서, 본체(1)의 외부로부터 드럼(5)내로 세탁물의 출입이 실행된다.The
드럼(5)은, 개구부(5a)가 마련된 회전 드럼 전면부(5b)[이하, 전면부(5b)라 칭함]와,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몸통부를 갖는 회전 드럼 몸통부(5c)[이하, 몸통부(5c)라 칭함]와, 바닥부를 구성하는 회전 드럼 바닥부(5d)[이하, 바닥부(5d)라 칭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몸통부(5c)에는, 다수의 물 제거용 작은 구멍(5g)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몸통부(5c)의 내면에는, 복수의 교반 돌기(5e)가 마련되어 있다. 구동 모터(7)[이하, 모터(7)라 칭함]가 수조 본체(2)의 물받이조 본체 바닥부(2c)[이하, 바닥부(2c)라 칭함]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7)에 의해, 드럼(5)은 회전 구동된다. 드럼(5)의 회전 속도와 좌우의 회전방향은 가변적으로 제어된다.The
제 1 급수 밸브(9)[이하, 밸브(9)라 칭함]에, 제 1 급수 호스(10a)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제 1 급수 호스(10a)의 타단부는 주수 구금부(口金部)(10b)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9)가 제 1 급수부를 구성한다. 주수 구금부(10b)는 주수되는 물이 대략 수평방향으로 퍼지면서 드럼(5)내로 주수되도록 슬릿 형상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주수 구금부(10b)로부터 주수되는 물이 드럼(5)내로 퍼지도록 주수된다.One end of the first
제 2 급수 밸브(11)[이하, 밸브(11)라 칭함]에, 제 2 급수 호스(13a)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제 2 급수 호스(13a)의 타단부는 세제(13b)를 수납하는 세제 케이스(13c)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11)가 제 2 급수부를 구성한다. 더욱이, 세제 케이스(13c)의 하부에 제 3 급수 호스(13d)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제 3 급수 호스(13d)의 타단부는 수조(6)에 접속되어서, 세제(13b)가 혼입된 물을 수조(6)내로 급수한다.One end of the second
세제 케이스(13c)의 상면에는, 복수의 주수 구멍(13e)이 마련되어 있다. 주수 구멍(13e)은 제 2 급수 호스(13a)에 의해 급수된 물을 세제 케이스(13c)내에 샤워(shower) 형상으로 주수하기 위해서 마련되어 있다. 주수 구멍(13e)으로부터 나온 샤워 형상의 물은 세제(13b)상에 낙하하여, 세제(13b)와 함께 수조(6)내로 흘러내린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또한, 토출구(34)가 개구부(3a) 근방의 수조(6) 하방에 형성되어 있다. 순환수를 드럼(5)과 수조(6)내로 토출하도록, 토출구(34)는 배치되어 있다. 배수 밸브(43)가 배수관로(42)의 도중에 마련되어 있다. 수조(6)내로 흘러내린 세탁수는 배수 행정시에 배수 밸브(43)가 개방됨으로써 배수관로(42)를 통해서 수조(6)의 외부로 배수된다.Moreover,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에 사용되는 제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제어 장치(15)는 제어부(16), 설정부(17), 기억부(18) 및 파워 스위칭부(1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It is a block diagram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control apparatus used for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2, the
전원 스위치(44)가 "온"으로 됨으로써, 드럼식 세탁기(50)에 100V 등의 상용 전원이 공급된다. 제어 장치(15)에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제어 장치(15)가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는 제어부(16)는, 설정부(17)로부터 입력되는 운전 코스의 선택 등의 설정 입력에 따라서, 기억부(18)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워 스위칭부(19)에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 파워 스위칭부(19)는 SCR[사이리스터(thyristor)] 등의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파워 스위칭부(19)는 제어부(16)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따라서 모터(7), 밸브(9), 밸브(11), 배수 밸브(43)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When the
모터(7)는, 예를 들어 직류 브러시리스 모터 등으로 구성되고, 제어부(16)와 파워 스위칭부(19)에 의해 정역 회전과 회전 속도가 가변적으로 제어된다. 더욱이, 세탁물의 양에 따라서, 모터(7)가 받는 부하 변화로부터 세탁물의 양을 검지하는 포량(布量) 검지부(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조(6)내의 세탁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검지부(14)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모터(7) 등의 제어, 포량 검지부(12)의 제어, 수위 검지부(14)의 제어 등을 제어 장치(15)가 행하고 있다. 더욱이, 세탁 행정으로부터 탈수 행정까지의 운전 동작의 일련의 행정을 제어 장치(15)가 제어하고 있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에 사용되는 물받이조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에 사용되는 물받이조 커버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수조 본체(2)를 본체(1)의 정면(1b)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4는 커버를 본체(1)의 배면(1c)측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3과 도 4를 이용하여, 순환 수로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p tank body used for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ough cover used for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when the water tank
도 3에 있어서, 수조 본체(2)는, 물받이조 본체 개구부(2a)[이하, 개구부(2a)라 칭함]와, 물받이조 본체 몸통부(2b)[이하, 몸통부(2b)라 칭함]과, 물받이조 본체 바닥부(2c)[이하, 바닥부(2c)라 칭함]를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이다.In FIG. 3, the water tank
바닥부(2c)의 내면의, 바닥부(2c)와 몸통부(2b)의 경계부의 근방에는, 대략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물받이조 본체 바닥 홈부(2d)[이하, 홈부(2d)라 칭함]가 몸통부(2b)와 대략 동심원의 원호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홈부(2d)에는, 내면측으로부터 홈부(2d)에 대응한 형상의 물받이조 본체 홈 덮개(23)[이하, 덮개(23)라 칭함]가 홈부(2d)의 외주 근방에 마련된 제 2 패킹 부재(24)를 거쳐서 고정되어 있다. 덮개(23)는, 덮개(23)의 외주부를 고정하는 나사(25)가 이용되어, 나사 체결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홈부(2d)와 덮개(23)에 의해, 제 1 순환 수로(22)[이하, 수로(22)라 칭함]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vicinity of the boundary between the
수로(22)의 일단부에 취수구(20)가 형성되고, 취수구(20)의 저면이 홈부(2d)의 저면으로부터 바닥부(2c)의 내면까지 서서히 변화하는 안내 오목부(21)에 연통하여 있다. 또한, 수조 본체(2)에는, 몸통부(2b)의 외측에, 개구부(2a)로부터 바닥부(2c)까지 연통하는 파이프 형상의 제 2 순환 수로(26)[이하, 수로(26)라 칭함]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로(26)의 바닥부(2c)측의 단부가 수로(22)의 타단부에 연통하고 있다.A
다음에, 도 4를 이용하여, 물받이조 커버(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structure of the
도 4에 있어서, 커버(3)는, 개구부(3a)가 마련된 물받이조 커버 전면부(3b)[이하, 전면부(3b)라 칭함]와, 물받이조 커버 몸통부(3c)[이하, 몸통부(3c)라 칭함]와, 물받이조 커버 후방 개구부(3d)[이하, 개구부(3d)라 칭함]를 갖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In FIG. 4, the
커버(3)에는, 몸통부(3c)의 외측에서, 수로(26)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3d)로부터 전면부(3b)까지 연통하는 제 3 순환 수로(27)[이하, 수로(27)라 칭함]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The
전면부(3b) 내면에는, 대략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물받이조 커버 전면 홈부(3e)[이하, 홈부(3e)라 칭함]가, 전면부(3b)의 외주측으로부터 개구부(3a)에 근접함에 따라, 도중에 두 갈래로 분리되는 대략 Y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홈부(3e)에는, 홈부(3e)의 내면측으로부터, 홈부(3e)의 형상에 대응한 형상의 물받이조 커버 홈 덮개(29)[이하, 덮개(29)라 칭함]가 고정되어 있다. 덮개(29)는, 덮개(29)의 외주 근방에 마련된 제 3 패킹 부재(30)를 거쳐서, 덮개(29)의 외주부가 나사(31)에 의해 나사 체결 고정되어 있다. 홈부(3e)와 덮개(29)에 의해, 대략 Y자형의 제 4 순환 수로(28)[이하, 수로(28)라 칭함]가 형성되어 있다.On the inner surface of the
수로(28)의 대략 Y자형의 하측 단부인 일단부는 수로(27)의 전면부(3b)측의 단부와 연통하고 있다. 덮개(29)에는, 두 갈래에 분리된 선단 부분의 근방에 세탁 수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구(34)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One end portion, which is a substantially Y-shaped lower end portion of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토출구(34)는, 개구부(3a)의 외주 근방에서, 또한 전면부(3b)의 내면측에서, 개구부(5a)내에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With this structure, as shown in FIG. 1, the
또한, 수조 본체(2)와 커버(3)가 접속 고정되어, 수조(6)로서 본체(1)에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토출구(34)는 전면부(3b)의 하반부의 부분에 위치하여, 취수구(20)보다 낮은 위치로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water tank
또한, 수조 본체(2)와 커버(3)가 접속 고정되었을 때에, 수로(26)와 수로(27)는 전술한 수조 본체(2)와 커버(3)를 접속 고정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제 1 패킹 부재(4)를 거쳐서 수밀적으로 접속 고정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tank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에 사용되는 회전 드럼 바닥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에 사용되는 회전 드럼의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도 1에 있어서, 화살표(A)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회전 드럼 바닥부(5d)의 평면도를 도시한다.It is a top view of the rotary drum bottom part used for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ncipal part of the rotating drum used for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5 shows the top view of the rotating drum
이하, 도 5와 도 6을 이용하여, 순환 수로에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펌프 기능을 달성하는 회전 드럼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rotating drum which achieves the pump function which circulates wash water to a circulation channel using FIG. 5 and FIG. 6 is demonstrated.
바닥부(5d)는, 바닥부(5d)의 외주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5f)가 마련됨으로써 대략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몸통부(5c)의 후단 부분과 플랜지부(5f)가 코킹(caulking) 또는 용접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3개의 연장부(35a)를 갖는 알루미늄 다이캐스팅제의 드럼 고정 부재(35)[이하, 부재(35)라 칭 함]가 마련되어 있다. 연장부(35a)는, 바닥부(5d)의 외면측의 플랜지부(5f) 내측에, 방사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더욱이, 각각의 연장부(35a) 사이에, 바닥부(5d)의 외주를 따르도록 형성된 대략 원호 상자형의 리브 장착 부재(37)[이하, 부재(37)라 칭함]가 3개 마련되어 있다.The
부재(37)의 외주에, 각각 후방으로 향해서 볼록형상의 외벽(40)과 내벽(41)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재(37)가 대략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부재(37)의 내부에는, 외벽(40)과 내벽(41)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리브(38)가 외벽(40)과 내벽(41)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외주측을 향해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재(35)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사(39b)에 의해 외주 방향으로부터 드럼(5)과 고착되어 있다. 또한, 부재(35)는 나사(39a)에 의해 평면 방향으로부터 부재(37)의 고정부(38a)에 고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재(35)는 드럼(5)과 부재(37)에 각각 고착되어 있다. 더욱이, 모터(7)로부터 연장된 샤프트(7a)와 부재(35)의 중앙 부분이 연결됨으로써, 모터(7)의 회전 구동력을 드럼(5)에 전달하고 있다.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드럼식 세탁기(50)에 대하여, 이하 동작과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drum
제어부(16)는, 세탁 행정 또는 헹굼 행정에 있어서, 모터(7)를 구동함으로써 드럼(5)을 제 1 소정 회전 속도로 회전시킨다. 제 1 소정 회전 속도는 드럼(5)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이 드럼(5)의 내주면(5h)에 달라붙는 정도의 회전 속도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소정 회전 속도는 예를 들어 80r/분이다. 드럼(5)의 회전에 의해, 세탁수는 리브(38)의 펌프 블레이드의 움직임에 의해 휘저어진다. 또, 리브(38)의 펌프 블레이드의 움직임에 의해, 도 6의 화살표(C)로 도시하는 것 같은 수류가 발생한다. 더욱이, 세탁수는, 몸통부(2b)와 바닥부(2c)의 경계 영역 근방을 회동하여, 안내 오목부(21)에 인도되어서 취수구(20)로 넣어진다. 또한, 세탁수는 수로(22, 26, 27, 28)를 통해 토출구(34)로부터 드럼(5)내로 기운차게 토출된다. 또, 토출구(34)는 취수구(20)보다 낮은 위치에 구성되어 있다.The
또한, 헹굼 행정의 하나의 행정인 샤워 헹굼 행정에 있어서, 드럼(5)의 회전속도가 제 1 소정 회전 속도로 드럼(5)을 회전한다. 드럼(5)내의 세탁물은 드럼(5)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내주면(5h)에 달라붙어 있다. 이 때문에, 수로(22, 26, 27, 28)를 통해 순환된 세탁수는 드럼(5)의 회전마다 세탁물에 쏟아진다. 원심력이 이용되어서 세탁수가 세탁물에 쏟아짐으로써, 효과적으로 세탁수가 세탁물내로 침투한다. 이와 같이, 샤워 헹굼 행정의 헹굼 동작이 실행되어, 효과적으로 세탁물로부터 세제가 제거된다.Moreover, in the shower rinse stroke which is one stroke of a rinse stroke, the rotation speed of the
또한, 헹굼 행정의 하나의 행정인 교반 헹굼 행정에 있어서, 드럼(5)의 회전속도가 제 2 소정 회전 속도로 드럼(5)을 회전한다. 제 2 소정 회전 속도는 제 1 소정 회전 속도 이하의 속도이고, 예를 들어 45r/분으로 제어되어 있다. 제 2 소정 회전 속도로 드럼(5)이 회전됨으로써, 원심력에 의한 세탁물의 달라붙는 힘에 비하여, 세탁물의 중력이 크다. 더욱이, 세탁수의 휘젓기력이 낮아, 토출구(34)로부터의 세탁수의 토출수량은 극히 소량이거나, 또는 토출량이 없는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헹굼 동작은, 세탁수의 상면을 향해서 세탁수의 상방으로부터 세탁물이 낙하하는 두드림 세정과 동일한 동작이 된다. 이에 의해서, 세탁물이 풀어지면서, 교반 헹굼 행정의 헹굼 동작이 실행되어, 효과적인 헹굼이 실행된다.Moreover, in the stirring rinsing stroke which is one stroke of a rinsing strok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이상 설명한 샤워 헹굼 행정과 교반 헹굼 행정을 조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헹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샤워 헹굼 행정에 있어서, 세탁물 내부의 세제가 샤워에 의해 침투 제거되는 동작이 실행된다. 더욱이, 교반 헹굼 행정에 있어서, 서로 얽힌 세탁물이 풀어지면서, 세탁물 내부에 존재하는 세제가 세탁수에 의해 용해되어, 제거되는 교반 동작이 실행된다. 또한, 세탁수가 세탁물에 뿌려져서 순환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는 세탁수와 드럼(5) 내외의 세탁수가 적극적으로 순환된다. 이 결과, 세정력과 헹굼 성능이 향상하고, 헹굼 불균일이 적은 드럼식 세탁기(50)가 제공된다.By combining the shower rinse stroke and the stirring rinse stroke described above, a more effective rinsing effect can be obtained. That is, in the shower rinse stroke, an operation in which the detergent in the laundry is penetrated and removed by the shower is performed. Furthermore, in the stirring rinse stroke, while the tangled laundry is released, the stirring operation in which the detergent present in the laundry is dissolved by the washing water and removed is performed.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is sprinkled on the laundry and circulated. As a result, the wash water contained in the laundry and the wash water inside and outside the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드럼식 세탁기의 헹굼 행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7a와 도 7b를 이용하여, 헹굼 행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7b에 나타내는 흐름도는 도 7a에 나타내는 흐름도에 이어서 실행된다.7A and 7B are flowcharts showing a rinsing stroke of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rinse stroke is demonstrated using FIG. 7A and FIG. 7B. In addition, the flowchart shown in FIG. 7B is performed following the flowchart shown in FIG. 7A.
우선, 단계 S100에 있어서, 터치 패널(touch panel)(도시하지 않음)이 조작되어, 헹굼 행정의 운전 개시의 입력이 실행되면, 제어부(16)는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부(18)로부터 판독하여, 하기와 같은 단계로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First, in step S100, when a touch panel (not shown) is operated to input the start of the rinsing operation, the
단계 S101에 있어서, 헹굼 행정전의 세탁 행정 등의 동안에 수조(6)내에 모인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가 배수된다. 다음에, 단계 S102에 있어서, 제 2 소정 회전 속도의 조건으로, 드럼(5)이 좌우 반전 또는 정지가 반복된다. 이에 의해, 드럼(5)내로 얽힌 세탁물이 풀어진다. 소위, 포(布) 풀림 교반이 실행된다. 또, 제 2 소정 회전 속도는 드럼(5)의 내주면(5h)에 세탁물이 달라붙지 않는 정도의 회전 속도이며, 예를 들어 45r/분 정도이다.In step S101, the washing water including the detergent collected in the
다음에, 단계 S103에 있어서, 드럼(5)의 회전 속도가 제 5 소정 회전 속도로 유지되는 정도의 조건으로, 모터(7)에 전압이 인가된다. 여기에서, 제 5 소정 회전 속도는 제 1 소정 회전 속도와 동등한 속도이며, 예를 들어 80r/분 정도이다. 드럼(5)이 제 5 소정 회전 속도로 회전되는 상태에서, 단계 S104에 있어서, 드럼(5)의 회전 속도의 변동이 측정되어, 드럼(5)의 회전의 밸런스 상태가 좋은지 나쁜지가 판정된다. 밸런스 상태가 좋다고 판정될 때, 다음의 중간 탈수 행정 단계 S105로 이행한다. 또한, 밸런스 상태가 나쁘다고 판정될 때, 드럼(5)의 회전이 정지되고, 단계 S102의 포 풀림 교반 행정으로 복귀되어서, 다시 포 풀림 교반 행정이 실행된다. 포 풀림 교반 행정이 다시 실행됨으로써, 세탁물의 얽힘이 풀어져서, 드럼(5)의 회전 밸런스 상태가 개선된다.Next, in step S103, a voltage is applied to the
다음에, 단계 S105에 있어서, 드럼(5)이 제 3 소정 회전 속도까지 서서히 가속된다. 제 3 소정 회전속도는 예를 들어 900r/분이다. 드럼(5)이 고속 회전됨으로써, 원심력 탈수가 실행되어, 수조(6)로부터 세탁수가 배수된다. 또, 단계 S105에 의해, 헹굼 행정전에, 세탁물에 포함되어 있는 다량의 세제를 포함한 세탁수가 세탁물로부터 제거된다. 더욱이, 다량의 세제를 포함한 세탁수가 드럼(5)으로부터 배수된다.Next, in step S105, the
다음에, 단계 S106에 있어서, 드럼(5)의 회전에 제동이 걸려서, 드럼(5)의 회전이 정지된다. 다음에, 단계 S107에 있어서, 드럼(5)이 우회전[도 3에 도시하는 화살표(B) 방향]하여, 제 1 소정 회전 속도 정도까지 서서히 가속된다. 또, 제 1 소정 회전 속도는 드럼(5)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세탁물이 내주면(5h)에 달라붙는 정도의 회전 속도이며, 예를 들어 80r/분이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 작용하는 중력보다도 원심력이 커진다. 이 결과, 세탁물이 내주면(5h)에 달라붙는다. 이 때, 구동 모터(7)에 인가되는 전압의 변동이 측정된다. 또한, 단계 S107에 있어서, 드럼(5)의 회전 밸런스 상태가 좋은지 나쁜지를 판정한다. 밸런스 상태가 좋다고 판정되었을 때, 샤워 헹굼 행정인 단계 S109로 이행한다. 또한, 밸런스 상태가 나쁘다고 판정되었을 때, 드럼(5)의 회전이 정지되고, 교반 헹굼 행정의 단계 S115로 이행한다.Next, in step S106, the rotation of the
이상과 같이, 단계 S105와 단계 S106의 중간 탈수 행정에 있어서, 강한 원심력이 이용됨으로서, 세탁물로부터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가 탈수되어, 드럼(5)으로부터 세탁수가 배수된다. 드럼(5)의 내주면(5h)에 세탁물이 강하게 달라붙은 상태에서, 단계 S107에 있어서, 밸런스 제어 판정이 실행된다. 이에 의해, 이미 단계 S103에 있어서, 밸런스 제어되고, 또한 세탁물이 드럼(5)의 내주면(5h)에 달라붙은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 그대로, 제 1 소정 회전 속도까지 서서히 가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밸런스를 다시 원상으로 되돌리는 것이 불필요하여, 헹굼 행정의 시간 단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in the intermediate dewatering stroke of steps S105 and S106, by using a strong centrifugal force, the washing water including the detergent is dewatered from the laundry, and the washing water is drained from the
다음에, 단계 S109에 있어서, 드럼(5)의 회전 밸런스가 좋은 상태에서, 제 1 소정 회전 속도로 회전 속도가 유지된다. 또, 제 1 소정 회전 속도는 제 5 소정 회전 속도와 동등한 속도이며, 예를 들어 80r/분이다.Next, in step S109, the rotational speed is maintained at the first predetermined rotational speed while the rotational balance of the
다음에, 단계 S110에 있어서, 밸브(9) 또는 밸브(11)로부터 수조(6)내에 세탁수의 급수가 개시된다. 수조(6)내에 급수된 세탁수가 어느 정도의 수위에 도달하면, 세탁수가 리브(38)에 의해 올려진다. 이에 의해, 세탁수는 몸통부(2b)와 바닥부(2c)의 경계 영역 근방을 회동한다. 그리고, 세탁수는, 바닥부(2c)에 마련된 안내 오목부(21)에 인도되어서 취수구(20)에 넣어진다. 더욱, 세탁수는 수로(22, 26, 27, 28)를 통해 토출구(34)로부터 드럼(5)내로 토출된다. 이에 의해, 대량의 세탁수가 드럼(5)내를 순환한다. 단계 S110에 있어서, 급수가 개시되고 나서, 세탁수가 제 1 소정 수위까지 도달하기까지 동안, 샤워 헹굼 행정이 급수와 함께 계속되어서 실행된다(단계 S111).Next, in step S110, water supply of the washing water is started from the
또한, 단계 S109로부터 단계 S111이 반복되고, 드럼의 회전과 급수가 실행되는 동안, 수조(6)내의 세탁수의 수위가 서서히 높아짐에 따라, 토출구(34)로부터 드럼(5)내로 토출되는 샤워의 기세가 자꾸자꾸 강해진다. 이에 의해, 세탁수가 세탁물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뿌려진다. 또, 세탁수가 제 1 소정 수위까지 도달하면, 다음 단계 S112로 진행한다.In addition, while step S111 is repeated from step S109, and while the drum rotation and water supply are performed,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in the
다음에, 단계 S112에 있어서, 드럼(5)의 회전 속도가 제 1 소정 회전 속도로부터 제 4 소정 회전 속도까지 올려진다. 제 4 소정 회전 속도는 제 1 소정 회전 속도에 비하여, 높은 회전 속도이며, 예를 들어 170r/분이다. 또, 제 4 소정 회전 속도는 제 5 소정 회전 속도에 비해서도, 높은 회전 속도이다. 또, 드럼(5)의 회 전방향은 도 3의 화살표(B)로 도시하는 우회전으로 회전된다. 드럼(5)이 고속의 제 4 소정 회전 속도의 조건으로 회전됨으로써, 수조(6)내의 세탁수가 고속으로 순환된다. 이에 의해, 세탁물에 대하여, 단계 S110일 때에 비해 더욱 기세가 강한 샤워가 접촉된다. 이러한 기세가 강한 샤워가 접촉되면서, 세탁물이 헹구어지는 행정이 샤워 헹굼 행정이다. 샤워 헹굼 행정은 제 1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된다. 또한, 제 1 소정 시간은 예를 들어 5분간이다. 또한, 제 1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아닌지는 단계 S113에서 판단된다. 제 1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단계 S114로 진행하고, 드럼(5)의 회전이 정지된다.Next, in step S112, the rotation speed of the
또, 단계 S112에 있어서, 드럼(5)의 회전 속도가 높다. 이 때문에, 토출구(34)로부터 드럼(5)내로 토출되는 샤워의 수량이 많고, 게다가 원심력도 크다. 이에 의해, 원심력을 이용한 세탁물로부터 세제를 제거하는 힘도 크다. 이 결과, 높은 헹굼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step S112, the rotation speed of the
다음에, 단계 S115에 있어서, 밸브(9)로부터, 드럼(5)내에 제 1 소정 수위보다 높은 수위인 제 2 소정 수위까지 세탁수가 더욱 급수된다. 단계 S116에 있어서, 제 2 소정 수위까지 급수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음 단계 S117로 진행한다.Next, in step S115, the washing water is further supplied from the
단계 S117에 있어서, 드럼(5)이, 제 2 소정 회전 속도의 조건에 의한 우회전·휴지(休止)·제 2 소정 회전 속도에 의한 좌회전·휴지의 순차로 반복하여 회전된다. 또, 제 2 소정 회전 속도는 드럼(5)내에 수용된 세탁물을 드럼(5)의 회전에 의해 회전방향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더욱이, 드럼(5)의 회전에 따라 세탁물에 작용하는 관성이나 원심력보다도, 세탁물의 자중이 커지는 높이의 위치로 세탁물이 이동했을 때에, 드럼(5)의 하방 내주면(5j)상에 세탁물이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회전 속도이다. 이러한 드럼(5)의 회전 속도로서, 제 2 소정 회전 속도는 예를 들어 45r/분이다. 또한, 우회전은 도 3에 도시하는 화살표(B) 방향의 회전이며, 반대로 좌회전은 도 3에 도시하는 화살표(B) 반대방향의 회전이다. 단계 S117에 있어서의 드럼(5)의 우회전·휴지·좌회전·휴지의 회전·정지 동작이 순차로 반복하여 실행됨으로써, 교반 헹굼이 실행된다. 교반 헹굼 동작은 제 2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된다. 또, 제 2 소정 시간은 예를 들어 12분간이다. 또한, 제 2 소정 시간이 경과하였지 아닌지는 단계 S118에서 판단된다. 제 2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단계 S119로 진행하고, 헹굼 행정이 종료한다. 단계 S115로부터 단계 S118까지가 교반 헹굼 행정이다. 헹굼 행정이 종료하면, 탈수 행정이 실행된다.In step S117, the
또, 교반 헹굼 행정에 있어서, 세탁수의 수량이 샤워 헹굼 행정보다 많이 급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드럼(5)내에 저수된 다량의 세탁수를 향해서 세탁물이 낙하한다. 이 때문에, 세탁물의 얽힘이 제거되면서, 높은 헹굼 효과를 얻을 수 있다.Moreover, in the stirring rinse stroke, the quantity of wash water is set so that more water may be supplied than the shower rinse stroke. As a result, the laundry falls toward the large amount of wash water stored in the
이상과 같이, 샤워 헹굼 행정과 교반 헹굼 행정이 조합됨으로써, 헹굼 불균일이 없는 효과적인 헹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샤워 헹굼 행정에 있어서, 세탁물의 내부의 세제가 샤워에 의해 효과적으로 침투 제거된다. 더욱이, 교반 헹굼 행정에 있어서, 서로 얽힌 세탁물이 풀어지면서, 헹굼 동작이 실행된다. 이에 의해, 세제가 세탁수에 용해되어서 세탁물로부터 제거된다.As described above, by combining the shower rinse stroke and the stirring rinse stroke, an effective rinsing effect without rinsing nonuniformity can be obtained. That is, in the shower rinse stroke, the detergent in the laundry is effectively penetrated and removed by the shower. Furthermore, in the stirring rinse stroke, the tangled laundry is released while the tangled laundry is released. As a result, the detergent is dissolved in the wash water and removed from the laundry.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반 헹굼 행정 이후에는, 헹굼 행정이 종료하고, 샤워 헹굼 행정을 실행하지 않는 구성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세탁물의 종류나 양, 세탁물의 오염, 세제의 종류나 양에 따라, 정성들인 헹굼 효과를 기대할 경우 등에는, 교반 헹굼 행정과 샤워 헹굼 행정이 교대로 복수회 실행되어도 좋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fter a stirring rinse stroke, the rinse stroke was complete | finished and it demonstrated as a structure which does not perform a shower rinse stroke. However, depending on the type and amount of the laundry, the contamination of the laundry, the type and amount of the detergent, and the like, when the elaborate rinsing effect is to be expected, the stirring rinsing stroke and the shower rinsing stroke may be alternately performed plural times.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단계 S100에 있어서, 헹굼 행정의 운전 개시의 입력이 실행된다. 다음에, 단계 S101에 있어서, 세제를 포함하는 세탁수가 배수된다. 다음에, 단계 S201에 있어서, 중간 탈수 행정이 실행된다. 다음에, 단계 S202에 있어서, 밸런스 행정이 실행된다. 다음에, 단계 S203에 있어서, 샤워 헹굼 행정이 실행되고, 단계 S204에 있어서, 교반 헹굼 행정이 실행된다. 더욱이, 단계 S205에 있어서, 헹굼 행정을 종료할 것인지 아닌지가 판단되어, 헹굼 행정을 종료할 경우에는, 헹굼 행정이 종료된다(단계 S119). 또한, 헹굼 행정을 종료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단계 S203과 단계 S204에 있어서, 샤워 헹굼 행정과 교반 헹굼 행정이 실행된다. 또한, 반드시 샤워 헹굼 행정과 교반 헹굼 행정이 다시 실행될 필요는 없고, 샤워 헹굼 행정만이 다시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교반 헹굼 행정만이 다시 실행되어도 좋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first, in step S100, the input of the start of operation of a rinse stroke is performed. Next, in step S101, the washing water including the detergent is drained. Next, in step S201, an intermediate dewatering stroke is executed. Next, in step S202, a balance stroke is executed. Next, in step S203, the shower rinse stroke is executed, and in step S204, the stirring rinse stroke is executed. Further, in step S205,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rinse stroke is to be ended, and when the rinse stroke is finished, the rinse stroke is terminated (step S119). When the rinse stroke is not finished, the shower rinse stroke and the stirring rinse stroke are executed again in steps S203 and S204. In addition, the shower rinse stroke and the stirring rinse stroke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executed again, and only the shower rinse stroke may be executed again. In addition, only the stirring rinse step may be executed again.
또한, 단계 S100 내지 단계 S119에서 나타낸 헹굼 행정이 세탁물의 양이나 종류 등에 따라 복수회 반복 실행되어도 좋다. 이 경우, 단계 S100 내지 단계 S119에 나타낸 헹굼 행정이 복수회 반복 실행된 후에 탈수 행정이 실행되도록 제어된다.In addition, the rinsing stroke shown in steps S100 to S119 may be repeatedly executed a plurality of times depending on the amount, type, and the like of the laundry. In this case, after the rinsing stroke shown in steps S100 to S119 is repeatedly executed a plurality of times, the dewatering stroke is controlled to be executed.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샤워 헹굼 행정에 있어서, 드럼(5)의 회전 속도가 제 1 소정 회전 속도로부터 제 4 소정 회전 속도로 상승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했 다. 그러나, 세탁물의 종류나 양 등에 따라서는, 특히 정성들인 헹굼 효과를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 등에는, 제 1 소정 회전 속도로부터 제 4 소정 회전 속도로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지 않아도 좋다. 즉, 샤워 헹굼 행정에 있어서, 제 1 소정 회전 속도의 조건에 의한 드럼(5)의 회전 구동을 계속하여도 좋다.Moreover, in this embodiment, in the shower rinse stroke, it was set as the structure which can raise the rotation speed of the
또한, 리브(38)의 형상은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럼(5)의 회전에 따라, 리브(38)의 작용에 의해 세탁수를 순환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별도의 구성에 의해, 드럼(5)의 회전에 의해 세탁수를 순환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리브(38)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또한, 취수구(20)와 수로(22, 26, 27, 28)와 토출구(34)는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취수구(20)는 수조(6)내의 세탁수를 넣을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또한, 수로(22, 26, 27, 28)는 취수구(20)로부터 넣어진 세탁수를 토출구(34)까지 순환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 더욱이, 토출구(34)는 취수구(20)로부터 넣어진 세탁수를 드럼(5)내로 토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다.In addition, the
또한, 드럼(5)의 회전축이 본체(1)의 정면(1b)측으로부터 배면(1c)측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된 드럼식 세탁기(50)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드럼(5)의 회전축은, 반드시 본체(1)의 정면(1b)측으로부터 배면(1c)측을 향해서 하향으로 경사진 구성이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드럼(5)의 회전축이 수평한 축이어도, 상기의 작용과 효과는 하향으로 경사진 구성과 동일하게 발휘된다.Moreover, the dru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식 세탁기는, 순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 순환 샤워 헹굼을 실행할 수 있으므로, 세정력과 헹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헹굼 불균일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세탁기에 한하지 않고, 회전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세정을 실행하는 각종 기기, 장치에도 널리 적용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circulating shower rinsing without using a circulation pump, it is possible to improve cleaning power and rinsing performance and to reduce rinsing unevenness. Thereby, it is not only limited to a washing machine but it is widely applied also to the various apparatuses and apparatus which perform cleaning, rotating a rotating drum.
Claims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298631A JP4548299B2 (en) | 2005-10-13 | 2005-10-13 | Drum washing machine |
JPJP-P-2005-00298631 | 2005-10-13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41366A KR20070041366A (en) | 2007-04-18 |
KR100841833B1 true KR100841833B1 (en) | 2008-06-26 |
Family
ID=3801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948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1833B1 (en) | 2005-10-13 | 2006-10-12 | Drum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548299B2 (en) |
KR (1) | KR100841833B1 (en) |
CN (1) | CN100532676C (en) |
TW (1) | TW200722584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8488A (en) * | 2010-02-26 | 2011-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with liquid jet device |
KR101739385B1 (en) * | 2010-02-26 | 2017-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machine with liquid injector |
US11230804B2 (en) * | 2016-10-05 | 2022-01-25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13233B2 (en) * | 2008-08-29 | 2011-01-12 | シャープ株式会社 | Washing machine |
CN101691689B (en) * | 2008-12-22 | 2012-09-26 | 株式会社东芝 | Washing machine |
KR101602668B1 (en) * | 2009-07-23 | 2016-03-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US9506178B2 (en) * | 2009-12-23 | 2016-11-29 | Lg Electronics Inc. | Washing method and washing machine |
JP5746942B2 (en) * | 2011-09-27 | 2015-07-08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Drum washing machine |
CN102733143B (en) * | 2012-04-11 | 2016-12-14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A kind of roller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of washing and roller washing machine |
CN104711811A (en) * | 2013-12-17 | 2015-06-17 | 海尔集团公司 | Laundry procedures for washing machine with inner circulation function and washing machine |
CN106149272B (en) * | 2015-03-24 | 2018-07-31 | 无锡飞翎电子有限公司 | Washing machine and its air-dried control method |
CN105839346B (en) * | 2016-05-19 | 2019-01-25 |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 Rolle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s for roller washing machine |
CN110387705B (en) * | 2018-04-16 | 2022-04-15 |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 Roller washing machine and spraying system thereof |
CN110894665B (en) * | 2018-09-11 | 2022-07-12 |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 a washing machine |
WO2020173290A1 (en) * | 2019-02-25 | 2020-09-03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Front-loading washing machin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15894A (en) * | 1996-02-15 | 1997-08-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Washing machine |
JPH09215893A (en) * | 1996-02-15 | 1997-08-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Washing machine |
KR20050044249A (en) * | 2003-11-07 | 2005-05-12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Drum type wash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36644B2 (en) * | 1996-10-30 | 2003-08-11 | シャープ株式会社 | Drum type washing machine |
JP3812533B2 (en) * | 2002-11-25 | 2006-08-2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Drum washing machine |
-
2005
- 2005-10-13 JP JP2005298631A patent/JP454829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
- 2006-09-21 TW TW095134946A patent/TW200722584A/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10-11 CN CNB2006101321429A patent/CN100532676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6-10-12 KR KR1020060099487A patent/KR10084183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15894A (en) * | 1996-02-15 | 1997-08-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Washing machine |
JPH09215893A (en) * | 1996-02-15 | 1997-08-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Washing machine |
KR20050044249A (en) * | 2003-11-07 | 2005-05-12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Drum type washing machin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98488A (en) * | 2010-02-26 | 2011-09-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with liquid jet device |
KR101688137B1 (en) * | 2010-02-26 | 2016-1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machine with liquid injector |
KR101739385B1 (en) * | 2010-02-26 | 2017-05-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machine with liquid injector |
US11230804B2 (en) * | 2016-10-05 | 2022-01-25 | Lg Electronics Inc. |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4548299B2 (en) | 2010-09-22 |
TW200722584A (en) | 2007-06-16 |
CN100532676C (en) | 2009-08-26 |
KR20070041366A (en) | 2007-04-18 |
JP2007105212A (en) | 2007-04-26 |
CN1948596A (en) | 2007-04-18 |
TWI320066B (en) | 2010-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1833B1 (en) | Drum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ethod | |
KR100716336B1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CN109983169B (en) |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0529231C (en) | Drum-type washer | |
CN106048965B (en) | The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 |
KR101597527B1 (en) | Control method of a laundry treatment machine | |
JP2005124765A (en) | Drum washing machine | |
JP4665711B2 (en) | Drum washing machine | |
JPH08299669A (en) | How to rinse a washing machine | |
JP5719955B2 (en) | Washing machine | |
CN103469523B (en) | Washing machine | |
JP4466521B2 (en) | Drum washing machine | |
JP4548300B2 (en) | Drum washing machine | |
JP5177152B2 (en) | Washing machine | |
JP6072506B2 (en) | Washing machine | |
JP5982596B2 (en) | Washing machine | |
KR100741806B1 (en) | How to rinse the washing machine | |
JP5802822B2 (en) | Washing machine | |
JP7289042B2 (en) | washing machine | |
JP4661521B2 (en) | Drum washing machine | |
KR100316990B1 (en) | How to remove lint from a washing machine | |
JPH0994376A (en) | Washing machine | |
WO2020020268A1 (en) | Top-loading washing machine | |
JP2024082333A (en) | washing machine | |
JP2022094853A (en) | wash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