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1081B1 -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 Google Patents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1081B1
KR100841081B1 KR1020080003315A KR20080003315A KR100841081B1 KR 100841081 B1 KR100841081 B1 KR 100841081B1 KR 1020080003315 A KR1020080003315 A KR 1020080003315A KR 20080003315 A KR20080003315 A KR 20080003315A KR 100841081 B1 KR100841081 B1 KR 100841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rope
dam
small
coupler
perioste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린
김진
원창남
박성규
최승권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8000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1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1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10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토석차단부의 상부에 유목차단부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유목차단부는 다수의 주부재가 상기 토석차단부의 상부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주부재의 후방에 버트리스부재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주부재의 전방에 와이어 로프가 설치되어 구성되어지는 소형골막이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의 양단부가 상기 토석차단부의 양측 상부에 설치된 댐어깨에 고정되어지되, 상기 와이어 로프의 일측단은 커플러의 일측에 형성된 결속장공에 삽입되어 압착긴결되고, 상기 커플러의 타측에 형성된 숫나사봉이 고정브라켓의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 내부공간에서 코일스프링이 끼워져 너트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상기 댐어깨에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와이어 로프, 커플러, 숫나사봉, 고정브라켓, 실린더, 코일스프링, 너트

Description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closes the small valley a debris barrier which uses wire rope}
본 발명은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석차단부의 상부로 설치된 유목차단부를 구성하는 주부재의 전방으로 와이어 로프가 위치되어지도록 댐어깨의 일측에는 와이어 로프의 일측이 설치되어지며 댐어깨의 타측에는 와이어 로프의 타측이 커플러와 너트에 의하여 코일스프링이 삽입된 실린더를 갖는 브라켓에 결합되어 설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폭이 좁은 소계류로부터 토석 및 유목이 계류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소계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커다란 유목이나 암석이 유목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되어지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식이나 산사태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의 계곡 또는 소하천에는 토석류와 유목을 포착하고 유속을 줄여 통과시킴으로써 산기슭의 침식방지, 저사 수해방지, 토사저지 및 수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계곡 및 소하천을 횡단하는 투과형댐 구조물인 사방댐이 설치되어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사방댐은 통상 강관을 주부재로 사용하며 H형강의 이음부재가 적용되어지며 주부재에 철강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재가 결합되어지고, 기초부와 어깨부가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어깨부에 철강재인 주부재 및 주부재를 지지하는 버트레스부재가 하류측에 설치되어지며 주부재 사이에 철강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재가 설치된 버트레스형 사방댐 및 평평한 형태의 콘크리트 상부에 주부재와 버트레스부재가 결합된 유목차단부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슬릿형 사방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버트레스 사방댐은 상류측으로 설치된 스크린재는 구조적으로 어느 정도의 탄성력 즉, 늘어나고 줄어드는 성질이 없음으로써 상류로부터 물과 함께 떠내려 오는 커다란 유목이나 암석 등이 부딪칠 경우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변형이나 파손되었을 경우 이를 수리 및 교체하는 과정에서 많은 기술적 어려움과 예산의 낭비가 있었다.
또한 슬릿형 사방댐의 경우 버트레스 사방댐에 비하여 변형이나 파손되는 량이 적은 반면 충분한 량의 유목이 포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버트레스 사방댐 및 슬릿형 사방댐은 하천폭이 넓으며 경사각이 적은 곳에 설치되어 폭이 좁으며 경사각이 큰 계류에서 흘러 모인 물에 포함된 유이나 토사가 하류로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사방댐을 폭이 좁으며 경사각이 큰 소계류에 시공할 경우 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소계류에 시공되었다 하더라도 폭이 좁은 소계류로부터 토사 및 유목이 계류 및 하천으로 흘러가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 없게 됨에 따라 계류 및 하천에 미리 설치된 다른 사방댐의 기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토석차단부의 상부로 설치된 유목차단부를 구성하는 주부재의 전방으로 와이어 로프가 위치되어지도록 댐어깨의 일측에는 와이어 로프의 일측이 설치되어지며 댐어깨의 타측에는 와이어 로프의 타측이 커플러와 너트에 의하여 코일스프링이 삽입된 실린더를 갖는 브라켓에 결합되어 설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폭이 좁은 소계류로부터 토사 및 유목이 계류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소계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커다란 유목이나 암석이 유목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되어지는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그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소형 골막이 사방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 유목차단부(20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유목차단부(200)는 다수의 주부재(210)가 상기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지고, 상기 주부재(210)의 후방에 버트리스부재(220)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주부재(210)의 전방에 와이어 로프(230)가 설치되어 구성되어지는 소형골막이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230)의 양단부가 상기 토석차단부(100)의 양측 상부에 설치된 댐어깨(300)에 고정되어지되, 상기 와이어 로프(230)의 일측단은 커플러(400)의 일측에 형성된 결속장공(410)에 삽입되어 압착긴결되고, 상기 커플러(400)의 타측에 형성된 숫나사봉(420)이 고정브라켓(500)의 걸림부(510)가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520) 내부공간에서 코일스프링(530)이 끼워져 너트(540)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라켓(500)이 상기 댐어깨(300)에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토석차단부의 상부에 설치된 유목차단부를 구성하는 주부재의 전방으로 와이어 로프가 위치되어지도록 댐어깨의 일측에는 와이어 로프의 일측이 설치되어지며 댐어깨의 타측에는 와이어 로프의 타측이 커플러와 너트에 의하여 코일스프링이 삽입된 실린더를 갖는 브라켓에 결합되어 설치되어지도록 함으로써, 폭이 좁은 소계류로부터 토사 및 유목이 계류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소계류에서 흘러 내려오는 커다란 유목이나 암석이 유목차단부에 의하여 차단되어지는 과정에서 스프링에 의하여 어느 정도의 충격력이 흡수되어짐으로써 유목차단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목차단부를 구성하는 와이어 로프의 일측이나 타측이 변형 및 파손되었을 경우 변형된 부분이나 파손된 부분만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좁은 소계류로부터 토사 및 유목이 계류로 흘러가는 것을 방지하여 하류측에 설치된 다른 사방댐이나 사방댐의 하류지역에서 발생되는 수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유목차단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유목차단부를 구성하는 와이어 로프 및 와이어 로프의 양단이 댐어깨에 결합되는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유목차단부를 구성하는 와이어 로프에 인장력이 작용하기 전후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종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 유목차단부(200)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토석차단부(100)는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진 것으로 양측 상부에 소정 높이를 갖는 댐어깨(300)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고, 토석차단부(100)의 양측에 복수개의 배수홀(120)이 관통되어지게 설치되어지고,하류측 토석차단부(100) 및 댐어깨(300)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목재패널(330)이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토석차단부(100)의 하류측으로 위치된 하부에는 하류방향을 향하여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침식방지부(900)가 콘크리트로 타설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목차단부(200)는 다수의 주부재(210)가 상기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지며 상기 주부재(210)의 후방에 버트리스부재(220)가 상기 주부재(2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지고, 상기 주부재(210)의 전방에는 수평방향을 갖는 와이어 로프(230)가 설치되어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주부재(210) 및 버트리스부재(220)는 H형강으로 되어지고, 상기 주부재(210)의 전면에는 와이어 로프(230)를 잡아주는 다수개의 U볼트(215)가 설치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주부재(210)는 앵커홀(211)이 형성된 제1고정판(212)의 상부에 상기 주부재(210)가 하류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류측으로 위치된 부주재(210)의 전면에 다수개의 U볼트홀(2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앵커홀(211)로 노출된 앵커(A)에 결합판(213)이 끼워진 상태에서 너트(N)로 상기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트리스부재(220)는 제2앵커홀(221)이 형성된 제2고정판(222)의 상부 에 상기 버트리스부재(220)가 상류를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주부재(210)의 하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트리스부재(220)의 상부에는 결합홀(223)이 형성된 결합판(224)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 현장에서 상기 주부재(210)의 하류측인 즉, 후방에 볼트결합으로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버트리스부재(220)의 하단에 결합된 제2고정판(222) 역시 상기 제1가압판(213)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다른 제1가압판(213)을 이용하여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 너트(N)로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로프(230)는 각각의 주부재(210) 사이를 통과하는 유목 또는 암석이 차단되어짐과 동시에 차단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흡수되어지도록 설치되어진 것으로 이러한 와이어 로프(230)의 양단부가 상기 토석차단부(100)의 양측 상부에 설치된 댐어깨(300) 사이에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와이어 로프(230)의 일측단은 커플러(400)의 일측에 형성된 결속장공(410)에 삽입되어 압착긴결되어지고, 상기 커플러(400)의 타측에 형성된 숫나사봉(420)이 고정브라켓(500)의 걸림부(510)가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520) 내부공간에서 코일스프링(530)이 끼워져 너트(540)로 체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500)은 상기 댐어깨(300)에 미리 설치된 앵커(A)에 너트로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로프(230)의 타측단은 커플러(400)의 일측에 형성된 결속장공(410)에 삽입되어 압착공구에 의하여 긴결되게 압착되어지고, 상기 커플러(400)의 타측에 형성된 숫나사봉(420)이 터언버클(700)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부(710) 에 삽입되어 체결되어지고, 상기 터언버클(700)의 타측에 형성된 암나사부(710)에 후크(800)의 숫나사봉(810)이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후크(800)가 상기 댐어깨(300)의 내벽에 미리 설치된 고리부(310)에 끼워져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 로프(230)의 일측단에 체결된 커플러(400) 및 고정브라켓(500)이 상기 와이어 로프(230)의 상,하에 설치되는 또 다른 와이어 로프(230)에서는 타측단에 체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와이어 로프(230)의 하부나 상부에 위치된 다른 와이어 로프(230)가 지그 재그의 형태를 갖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어깨(300)의 상류측 단부에는 보호플레이트(320)가 고정볼트(321)로 설치되어 상류로부터 물에 떠내려오는 암석 등이 고정브라켓(500)의 실린더(520)와 커플러(400) 및 터언버클(700) 그리고 후크(800)와 고리부(310)에 부딪쳐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500)은 고정판(550)에 다수개의 고정공(570)이 형성되어지며 중앙에 속이 빈 형태를 갖는 실린더(520)에 형성된 걸림부(510)의 타측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판(550)과 실린더(520)의 외주연부 사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560)이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520)가 결합되어진 고정판(550)은 실린더(520)가 결합된 부분이 관통된 형태가 유지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코일스프링(530)과 너트(540)가 삽입되어 결합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은 먼저 사 방댐이 시공되어질 위치를 선정한 후 기초터파기, 기초거푸집을 설치하고, 와이어메쉬가 매립되어지도록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다음 양생되어진 기초콘크리트의 상부에 토석차단부의 거푸집과 철근배근 및 앵커가 설치되어지도록 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것으로 댐어깨(300)를 갖는 토석차단부(100)가 시공된다.
다음 와이어 로프(230)의 일측에 각각 커플러(400)의 결속장공(410)이 끼워지도록 한 후 압착공구를 이용하여 긴결되게 압착되어지도록하고, 일측의 커플러(400)의 숫나사봉(420)이 고정브라켓(500)의 형성된 걸림부(510)를 통해 실린더(520)의 내부로 삽입되어지도록 하고, 고정판(550)의 관통된 부분을 통해 실린더(520)의 내부로 코일스프링(530)이 삽입되어지도록 하고, 코일스프링(530)의 가운데로 노출된 숫나사봉(420)에 너트(540)가 체결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와이어 로프(230)의 타측으로 압착되어진 다른 커플러(400)의 숫나사봉(420)에 터언버클(710)의 일측으로 형성된 암나사부(710)가 나사결합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터언버클(710)의 타측으로 형성된 다른 암나사부(710)에 후크(800)에 형성된 숫나사봉(810)이 나사결합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이와 같이 와이어 로프(230)에 결합되어진 브라켓(500)의 고정판(550)에 형성된 고정공(570)으로 댐어깨(300)의 내벽에 미리 설치된 앵커(A)가 노출되어지도록 한 후 너트(N)로 결합되어지도록 하고, 터언버클(700)에 나사결합된 후크(800)를 댐어깨(300)의 다른 내벽에 미리 설치된 고리부(310)에 걸려지도록 한 후 터언버클(700)을 회전시켜 와이어 로프(230)가 어느 정도 인장된 상태가 유지되 어지도록 한다.
다음 상기 와이어 로프(230)의 위치에 맞추어 주부재(210)의 하단에 결합된 제1앵커홀(211)이 토석차단부(100)에 미리 노출되어지도록 설치된 앵커(A)에 끼워지도록 하고, 버트리스부재(220)의 하부에 형성된 제2앵커홀(221)이 다른 행커(110)에 끼워지도록 한 후 버트리스부재(220) 상부에 형성된 결합판(224)이 주부재(210)의 뒷면에 맞닿도록 하고, 이어 결합홀(223)을 통해 볼팅으로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가압판(213)과 너트(N)를 이용하여 각각의 제1고정판(212)과 제2고정판(222)이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 고정되어지도록 한 후 이러한 반복되는 작업을 통해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 모든 주부재(210) 및 버트리스부재(220)가 설치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U볼트(215)에 와이어 로프(230)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U볼트(215)가 U볼트홀(211)에 결합되어지도록 한다.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다른 와이어 로프(230)가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되어지도록 한 후 이들을 다른 U볼트(215)로 고정되어지도록 하고, 댐어깨(300)의 상류 측 단부에 보호플레이트(320)를 설치하고, 하류측에 목재패널(330)을 설치하는 것으로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이 시공되어지게 된다.
이 같이 설치되어진 사방댐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류로부터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암석이 물에 쓸려 많이 내려올 경우, 암석의 일부가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 설치된 유목차단부(200)를 넘어 가는 과정에서 주부재(200)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와이어 로프(230)에 의하여 걸리게 되는데 이때 암석의 힘이 와이어 로 프(230)를 끊어뜨리는 전단력이나 늘리는 인장력의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 로프(230)에 결합된 커플러(400)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숫나사봉(420)에 결합된 너트(540)가 코일스프링(530)을 압축시키는 과정에서 전단력이나 인장력이 흡수되어지게 되며 어느 정도 암석이 걸린상태가 유지될 경우 다시 코일스프링(530)의 반발력에 의하여 와이어 로프(230)가 인장된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됨에 따라 암석이 유목차단부(200)를 통해 넘어 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암석이 쓸려 내려오는 힘 또는 충격에 의하여 와이어 로프(230)가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다른 방향으로부터 댐어깨(300) 방향으로 내려오는 암석은 보호플레이트(230)에 의하여 와이어 로프(230)가 연결된 부분에 직접적으로 부딪치지 못하게 됨에 따라 그 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정브라켓(500)에 커플로(400)로 결합된 와이어 로프(230)의 타측이 터언버클(700)과 후크(800)에 의하여 고리부(310)에 결합되어지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구성 이외에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230)의 타측단이 상기 댐어깨(300)의 내벽에 설치된 고리부(310)에 끼워져 접혀지도록 하고, 접혀진 부분이 다수개의 U고정구(600)에 의하여 결합되어 고정되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와이어 로프(230)의 타측단을 고정하는 구성부품수를 줄여 경제적이면서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유목차단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유목차단부를 구성하는 와이어 로프 및 와이어 로프의 양단이 댐어깨에 결합되는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유목차단부를 구성하는 와이어 로프에 인장력이 작용하기 전후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종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배면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소형골막이 사방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토석차단부 200:유목차단부
210:주부재 220:버트리스부재
230:와이어 로프 300:댐어깨
400:커플러 410:결속장공
420:숫나사봉 500:고정브라켓
510:걸림부 520:실린더
530:코일스프링 540:너트

Claims (5)

  1.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 유목차단부(200)가 설치되어지되, 상기 유목차단부(200)는 다수의 주부재(210)가 상기 토석차단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지고, 상기 주부재(210)의 후방에 버트리스부재(220)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주부재(210)의 전방에 와이어 로프(230)가 설치되어 구성되어지는 소형골막이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230)의 양단부가 상기 토석차단부(100)의 양측 상부에 설치된 댐어깨(300)에 고정되어지되, 상기 와이어 로프(230)의 일측단은 커플러(400)의 일측에 형성된 결속장공(410)에 삽입되어 압착긴결되고, 상기 커플러(400)의 타측에 형성된 숫나사봉(420)이 고정브라켓(500)에 걸림부(510)가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520) 내부공간에서 코일스프링(530)이 끼워져 너트(540)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브라켓(500)이 상기 댐어깨(300)에 고정되어지며,
    상기 와이어 로프(230)의 일측단에 체결된 커플러(400) 및 고정브라켓(500)이 상기 와이어 로프(230)의 상,하에 설치되는 또 다른 와이어 로프(230)에서는 타측단에 체결되어지고, 상기 댐어깨(300)의 상류측 단부에는 보호플레이트(320)가 설치되고 하류측에는 목재패널(33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400) 및 고정브라켓(500)이 체결되지 않은 와이어 로프(230)의 타측단은 상기 댐어깨(300)의 내벽에 설치된 고리부(310)에 끼워 접혀지고, 상기 접혀진 부분이 다수개의 U고정구(600)에 의하여 결합되어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400) 및 고정브라켓(500)이 체결되지 않은 와이어 로프(230)의 타측단은 커플러(400)의 일측에 형성된 결속장공(410)에 삽입되어 압착긴결되고, 상기 커플러(400)의 타측에 형성된 숫나사봉(420)이 터언버클(700)의 일측에 형성된 암나사부(710)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상기 터언버클(700)의 타측에 형성된 암나사부(710)에 후크(800)의 숫나사봉(810)이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후크(800)가 상기 댐어깨(300)의 내벽에 설치된 고리부(310)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목차단부(200)의 주부재(210) 및 버트리스부재(200)는 H형강으로 되어지고, 상기 주부재(210)의 전면에는 와이어 로프(230)를 잡아주는 다수개의 U볼트(21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5. 삭제
KR1020080003315A 2008-01-11 2008-01-11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Active KR100841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15A KR100841081B1 (ko) 2008-01-11 2008-01-11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315A KR100841081B1 (ko) 2008-01-11 2008-01-11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1081B1 true KR100841081B1 (ko) 2008-06-30

Family

ID=39772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315A Active KR100841081B1 (ko) 2008-01-11 2008-01-11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10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73B1 (ko) * 2008-07-28 2009-01-23 대한민국 빔크린 사방댐
KR200452943Y1 (ko) * 2010-07-13 2011-03-29 니스코 주식회사 혼용 스크린부를 적용한 버트러스 사방댐
KR101194220B1 (ko) * 2011-11-28 2012-10-29 (주)대흥이엔지 사방댐용 지주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0866A (ja) * 1996-08-14 1998-03-03 Tokyo Seiko Co Ltd 砂防ダム
JP2002339338A (ja) * 2001-05-15 2002-11-27 Landcreate Kenkyusho:Kk 流下物捕捉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60866A (ja) * 1996-08-14 1998-03-03 Tokyo Seiko Co Ltd 砂防ダム
JP2002339338A (ja) * 2001-05-15 2002-11-27 Landcreate Kenkyusho:Kk 流下物捕捉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73B1 (ko) * 2008-07-28 2009-01-23 대한민국 빔크린 사방댐
KR200452943Y1 (ko) * 2010-07-13 2011-03-29 니스코 주식회사 혼용 스크린부를 적용한 버트러스 사방댐
KR101194220B1 (ko) * 2011-11-28 2012-10-29 (주)대흥이엔지 사방댐용 지주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922B1 (ko) 에이치형강과 스크린이 결합된 빔크린 사방댐
US7828499B2 (en) Erosion control system
KR100844925B1 (ko) 자연석 고정용 장치
KR100817901B1 (ko) 절취사면 보강토옹벽 구조물
KR100704415B1 (ko) 슬리트와 스크린이 결합된 슬리크린 사방댐
KR100841081B1 (ko)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소형골막이 사방댐
KR20080000156A (ko) 호안블럭 시공방법
JP3479516B2 (ja) 斜面安定工法および斜面安定装置
CN210946837U (zh) 一种边坡防护结构
KR101055635B1 (ko) 사면보호용 비오스톤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000257049A (ja) 流下物捕捉構造
KR101008839B1 (ko) 복합형 사방댐
KR102218755B1 (ko) 보강토옹벽 시공 및 보수방법
JP2011153505A (ja) 法枠底面に伸縮区間を設定しシース長さを調整して地盤アンカー効果の促進を図る法枠定着工法。
KR200452944Y1 (ko) 버트러스 사방댐
JP6997250B2 (ja) 堰堤
KR200452943Y1 (ko) 혼용 스크린부를 적용한 버트러스 사방댐
KR100939441B1 (ko) 다목적 정착구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KR20060135582A (ko) 분리형 와이어 로프를 가지는 낙석방지망
KR100879973B1 (ko) 빔크린 사방댐
KR100964721B1 (ko) 도로 확장 블록 시공방법
JP7421835B1 (ja) 防護柵
KR101059539B1 (ko) 도로 확장 블록
JP4663403B2 (ja) 透過型砂防堰堤
KR100931866B1 (ko) 장력조절식 비탈면 수로관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080618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18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