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1065B1 - Variable power connector - Google Patents
Variable power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41065B1 KR100841065B1 KR1020060097376A KR20060097376A KR100841065B1 KR 100841065 B1 KR100841065 B1 KR 100841065B1 KR 1020060097376 A KR1020060097376 A KR 1020060097376A KR 20060097376 A KR20060097376 A KR 20060097376A KR 100841065 B1 KR100841065 B1 KR 1008410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connection
- plug
- cable
- conn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공급 가능한 전기기기의 대수 및 전원공급길이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전기기기의 전원공급 안정도 및 설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power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flexibly adjust the number and length of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able electric device, as well as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power connector that can improve stability and installation flexibility.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는 일단에는 입력플러그가 장치되어 있고, 타단에는 입력접속구 또는 입력플러그가 장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원입력케이블과, 복수개의 연결접속구 또는 연결플러그가 형성됨과 동시에, 전기 기기의 플러그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형성된 복수개의 멀티탭 및 양단에 각각 연결접속구 또는 연결플러그가 장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멀티탭을 서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variable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put plug at one end, and an input connection port or an input plug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power input cable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or At least one power connection cable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ower strips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ug or a connection plug at both ends and a plurality of power strips formed at least one connection port which is connected to a plug of an electric device and at the same time as the connection plug is forme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전원입력케이블, 전원연결케이블, 멀티탭, 연결접속구, 연결플러그, 접속구 Power input cable, power connection cable, power strip, connection port, connection plug, connection port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powe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원연결장치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powe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variable powe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의 보호캡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rotective cap of the variable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의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locking device of a variable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의 멀티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ulti-tap of the variable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variable powe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전원입력케이블 111: 입력플러그110: power input cable 111: input plug
112: 입력접속구 120: 멀티탭112: input connector 120: multi-tap
120a: 접속구 120b: 차단스위치120a:
120c, 130a: 연결접속구 120d: 보호캡120c, 130a:
120e: 잠금장치 123: 엘자형 멀티탭
124: 티자형 멀티탭 125: 크로스형 멀티탭
130: 전원연결케이블120e: lock 123: elliptical power strip
124: tee type power strip 125: cross type power tap
130: power connection c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공급 가능한 전기기기의 대수 및 전원공급길이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전기기기의 전원공급 안정도 및 설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power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devices, in particular, the number and power supply length of the power supply can be flexibly adjusted, as well as the power supply stability and install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power connector that can improve flexibility.
일반적으로 가정 및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전기기기들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구가 다수 구비된 멀티탭이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탭에는 외부 전원과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전원케이블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general, to supply power to various electric devices used in homes and offices, a multi-tap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to which electric devices are connected is used, and such a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cable is integrally formed.
그러나, 전원케이블이 일체로 형성된 멀티탭은 구매자의 구입 의도와는 상관없이, 획일적인 길이의 케이블이 부착됨은 물론 획일적인 접속구가 형성된 멀티탭 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서 그 사용상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multi-tap formed integrally with the power cabl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the multi-tap having a uniform connection is formed as well as a cable having a uniform length is attached, regardless of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purchaser.
예컨대, 구매자가 사용하고 싶어하는 전원장치 제품과 벽에 설치된 콘센트의 위치가 가까우면 전원 케이블이 남아서 주위가 지저분해지고, 전원장치 제품과 벽에 설치된 콘센트의 위치가 먼 경우에는 다소 긴 케이블이 부착된 멀티탭을 병렬로 연결해서 사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example, if the power supply product that the buyer wants to use is close to the wall outlet, the power cable remains and the surroundings become dirty, and if the power supply product and the wall outlet are far away, the power strip with a longer cable There was a problem to use in parallel connection.
또한, 접속구의 개수가 증대함에 따라 멀티탭의 길이가 또한 길어지게 되므로, 가정 또는 사무실 등에서 많은 공간을 차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the number of access ports increases, the length of the multi-tap also increases, which takes up a lot of space in a home or office, thereby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이를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384517호의 분리형 멀티탭 케이블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멀티탭(0)에서 케이블(4)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케이블(4)을 1m, 2m, 3m, 5m, 7m, 10m 등 각 길이별로 규격화하여 상기 멀티탭(0)과 케이블(4)을 각각 별도의 제품으로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20-402639호의 분리형 멀티탭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구를 구비하되, 서로 분리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순차 접속되는 복수의 서브 멀티탭(11, 12, 13)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제시하고 있다.To this end, in the detachable multi-tap cable of the Utility Model No. 20-384517, as shown in Figure 1,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cable 4 from the existing multi-tap (0), wherein the cable (4) 1m, 2m, 3m, 5m, 7m, 10m standardized for each length, such as the multi-tap (0) and the cable (4) is proposed to be sold as a separate product, respectively, and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402639 In the split type power strip, as illustrated in FIG. 2, each of the plurality of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에 의해서도, 케이블의 길이와 멀티탭의 갯수를 모두 유연하게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없어, 가정 또는 사무실용 전기기기 배치 상태에 따라 최적의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However, even with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s, neither the length of the cable nor the number of the power strips can be flexibly increased or reduced, and thus optimum power supply cannot be achieved depending on the arrangement of home or office electric equipment.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복수개의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전원공급 가능한 전기기기의 대수 및 전원공급 길이를 유동적으로 가변할 수 있음은 물론, 전기기기의 전원공급 안정도 및 설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변형 전원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n supplying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devices, the number and power supply length of the power supply can be changed in a flexible manner, of course, the power supply of the electrical equipment We want to provide a variable power connector that can improve supply stability and installation flexibility.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는 일단에는 입력플러그가 장치되어 있고, 타단에는 입력접속구 또는 입력플러그가 장치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원입력케이블과, 복수개의 연결접속구 또는 연결플러그가 형성됨과 동시에, 전기기기의 플러그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구가 형성된 복수개의 멀티탭 및 양단에 각각 연결접속구 또는 연결플러그가 장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멀티탭을 서로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연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variable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put plug at one end, and an input connection port or an input plug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a power input cable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s or At least one power connection cable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ower strips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plug or a connection plug at both ends and a plurality of power strips formed at least one connection port which is connected to a plug of an electrical device and at the same time, respective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이때, 상기 연결접속구 및 연결플러그는 매입형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connector and the connection plug are embedded.
또한, 상기 전원입력케이블 또는 전원연결케이블과 연결되는 멀티탭의 연결접속구 또는 연결플러그 측에는 상기 전원입력케이블 또는 전원연결케이블과 상기 멀티탭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locking device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the power input cable or power connection cable and the power strip is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 or connection plug side of the power strip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cable or power connection cable.
또한, 상기 멀티탭의 미사용시 상기 접속구 또는 연결접속구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구 또는 연결접속구와 결합하는 보호캡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cap coupled to the connector or the connection connector to prevent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connector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multi-tap is not in use.
또한, 상기 멀티탭은 일(-)자형, 엘(L)자형, 티(T)자형, 또는 크로스(+)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ulti-tap is any one of a (-) shape, an L (L) shape, a T (T) shape, or a cross (+) shap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할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variable power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이하에서는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기들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However, hereinafter, the electric devices used in the home or office will be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의 보호캡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의 잠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variable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protective cap of the variable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variable power conne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locking device of the device.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100)는 크게,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원입력케이블(110)과,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도록 접속구(120a)가 형성된 복수개의 멀티탭(120, 121, 122), 및 상기 멀티탭(120, 121, 122)들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전원연결케이블(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ure 3, the
여기서, 전원입력케이블(11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각종 전기기기에 인가할 수 있도록, 그 일단에는 벽면 등에 설치된 콘센트(concent)와 접속하는 입력플러그(plug, 111)가 장치되어 있고, 타단에는 그 중심부에 플러그 장착공(112a)이 형성되어 있는 입력접속구(112)가 장치되어 있다.Here, the
멀티탭(120,121,122)은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상기 전기기기에 인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3개의 접속구(120a)가 형성된 멀티탭(120)을 예로들어 설명하며, 상부에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구(120a)가 형성되어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일측에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차단스위치(120b)가 장치되어 있으며, 바(bar) 형상의 멀티탭(120) 양단에는 연결플러그(120c)를 형성시켜 그 중 일단의 연결플러그(120c)에는 상기한 전원입력케이블(110)의 입력접속구(112)와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멀티탭(120)의 양측부 중 어느 일측부의 연결접속구(120c')에 전원입력케이블(110)의 입력 접속구(112)에 형성된 플러그 장착공(112a)와 동일한 형태로 플러그장착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고, 상기 전원입력케이블(110)의 일측, 즉 상기 멀티탭(120)에 결합되는 방향의 입력접속구(112)에 상기 멀티탭(120)의 플러그장착공(미도시) 결합되는 입력플러그(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멀티탭(120)에 전원연결케이블(110)을 연결시킬 수도 있다.The
Or a plug mounting hole (not shown) in the same form as the
이때, 멀티탭(120)에 형성된 연결플러그(120c)와 연결접속구(120c')는 그 단자(terminal)가 멀티탭(1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매입형으로 이루어져, 인체의 접촉에 따른 감전 사고 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lug 120c and the
또한, 멀티탭(120)의 미사용시 연결플러그(120c) 또는 연결접속구(120c')가 외부에 노출되어 이물질 또는 먼지 등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플러그(120c) 또는 연결접속구(120c')의 내측에 걸림홈(120e)을 형성시키고, 상기 걸림홈(120e)과 결합하는 걸림돌기(120f)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플러그(120c) 또는 연결접속구(120c')와 결합될 수 있는 보호캡(120d)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보호캡(120d)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플러그(120c) 또는 연결접속구(120c')와 압착결합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방수의 효과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멀티탭(120)의 접속구(120a)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걸림홈(도시되지 않음)을 형성시켜 보호캡(120d)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However, the protective cap (120d)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so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the connection plug (120c) or the connection port (120c ') is preferably so as to have a waterproof effect. Furthermor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engaging groove (not shown) as described above in the
한편, 전원연결케이블(130)은 상기한 복수개의 멀티탭(120, 121, 122)들을 서로 연결시켜, 가정 또는 사무실의 전기기기 배치에 따라 전원공급 길이를 유연하 게 증가 혹은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그 양단에는 각각 연결접속구(130a)가 장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전원입력케이블(110)의 일단은 벽면에 장치된 콘센트와 연결되고 타단은 멀티탭(120)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멀티탭(120)의 타단은 전원연결케이블(130)을 통해 다른 멀티탭(121, 122)들과 연결이 가능하여, 전원공급길이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one end of the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입력케이블(110)을 각 길이별로 표준화하여 제공하고, 전기기기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접속구(120a, 121a, 122a)의 갯수를 다양하게 제공하는 멀티탭(120, 121, 122)들 역시 표준화하여 제공함에 따라 설치 유연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multi-taps 120, 121, and 122 which standardize and provide the
단,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멀티탭(120, 121, 122)을 전원연결케이블(130) 또는 전원입력케이블(110)과 연결하여 사용 중, 일부의 전원연결케이블(130) 또는 전원입력케이블(110))과 멀티탭(120)에 분리가 발생하면, 그 다음단에 접속된 전기기기들까지 모두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기기고장의 원인이 되거나 컴퓨터의 경우에는 저장되지 않은 작업파일이 모두 지워지는 문제를 초래하게 되므로, 전원연결케이블(130) 또는 전원입력케이블(110))과 멀티탭(120) 사이의 원치않는 분리를 방지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lurality of
즉, 일 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탭(120)의 일측에 장치된 연결플러그(120c)의 양측에 각각 힌지 결합에 의해 회동이 가능하되, 전원연결케이블(130) 또는 전원입력케이블(110)의 연결접속구에 형성된 걸림돌기(112b)에 걸려 고정됨에 따라, 멀티탭(120)과 전원연결케이블(130) 또는 전원입력케이블(110)과의 원치 않는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잠금장치(120e)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ure 5, it is possible to rotate by the hinge coupling on both sides of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의 다양한 멀티탭 및 그 적용 예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various power strips of the variable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pplication examples thereof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의 멀티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multi-tap of the variable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variable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전원연결장치(100)는 상술한 바와같은 바 형상의 멀티탭(120) 이외에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엘(L)자형 멀티탭(123),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티(T)자형 멀티탭(124), 및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크로스(+)형 멀티탭(125)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때 엘자형 멀티탭(123)은 그 양단에 연결플러그(120c)가 장치되어 전원연결케이블(130)들 혹은 전원연결케이블(130)과 전원입력케이블(110)을 서로 직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티자형 멀티탭(124)은 각 세개소의 단부에 연결플러그(120c)가 장치되어 전원연결케이블(130)들 혹은 전원연결케이블(130)들과 전원입력케이블(110)이 서로 직각을 이루며 세 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도록 하며, 크로스형 멀티탭(125)은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서로 직각을 이루며 네 방향으로 분기될 수 있도록 한다.First, as shown in FIG. 6, the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기가 소정 위치에 각각 분포되어 있는 경우, 전원입력케이블(110)을 통해 입력된 전원을 전원연결케이블(130)을 이용하여 전원공급길이를 연장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각 분기소마다 엘자형 멀티탭(123), 티자형 멀티탭(124), 또는 크로스형 멀티탭(125)을 연결시켜, 다수의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illustrated in FIG. 7, when electrical devices used in homes or offices are distribut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the power input through the
단, 본원발명의 가변형 전원연결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 가능한 전기기기의 대수 및 전원공급 길이를 자유롭게 변형이 가능하기는 하나, 많은 수의 전기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큰 정격용량을 갖는 두꺼운 전원입력케이블(110) 및 전원연결케이블(130)을 사용하여야 할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의 적절한 대수의 전기기기를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power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reely modify the number and power supply length of the electric device that can be supplied, but when using a large number of electric devices, A thick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variable power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Such a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이상에서는 멀티탭의 연결을 위해 각 단에 연결플러그가 형성된 것을 일 예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 멀티탭의 각 단에 연결접속구를 장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전원연결케이블의 양단에 연결플러그를 장치하거나, 멀티탭의 일단에는 연결플러그를 장치하고 타단에는 연결접속구를 장치하고 이에 대응하여 전원연결케이블 양단에 연결플러그와 연결접속구가 각각 장치(이 경우, 전원연결케이블들간의 연결도 가능함)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업자 수준에서 자명할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above description, a connection plug is formed at each end to connect the power strips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connection connector is provided at each end of the power strip, and both ends of the power connection cable are correspondingly provided. A connecting plug at the end of the power strip or a connecting plug at one end of the power strip, and a connecting connector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correspondingly, a connecting plug and a connecting connector at both ends of the power connecting cable (in this case, a connection diagram between the power connecting cables). It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the meanings of the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scope and equivalent concep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가변형 전원연결장치에 의하면, 복수개의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서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전원연결케이블 및 멀티탭을 구비함에 따라, 전원공급 가능한 전기기기의 대수 및 전원공급 길이를 유동적으로 가변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variable power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supplying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ical devices, by having a power connection cable and a power strip that can be separat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number and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capable of supplying power The length can be changed flexibly, and the us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멀티탭과 전원연결케이블 또는 전원입력케이블의 원치않는 분리를 방지하는 잠금장치를 구비함에 따라 전기기기의 전원공급 안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ower supply stability of the electric device by having a locking device to prevent the unwanted disconnection of the power strip and the power connection cable or power input cable.
뿐만 아니라, 엘자형, 티자형, 및 크로스형 멀티탭에 의해 방향 전환이 가능하여 전기기기의 설치 유연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elliptical, tee, and cross-shaped power strip to improve the installation flexibility of the electrical equipment.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7376A KR100841065B1 (en) | 2006-10-02 | 2006-10-02 | Variable power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7376A KR100841065B1 (en) | 2006-10-02 | 2006-10-02 | Variable power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0867A KR20080030867A (en) | 2008-04-07 |
KR100841065B1 true KR100841065B1 (en) | 2008-06-24 |
Family
ID=3953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7376A Active KR100841065B1 (en) | 2006-10-02 | 2006-10-02 | Variable power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4106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7733B1 (en) * | 2020-08-27 | 2021-01-25 | 김찬은 | Multi-tap compatible multi-tap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47523A (en) * | 2008-10-29 | 2010-05-10 | 주식회사 라인전선 | Multi-tap having independence output section |
MY163859A (en) | 2008-11-12 | 2017-10-31 | Far East Pyramid Sdn Bhd | Detachable electrical extension sockets |
WO2011081225A1 (en) * | 2009-12-28 | 2011-07-07 | Song Won June | Power strip |
KR102777488B1 (en) * | 2022-08-22 | 2025-03-12 | 신현숭 | Electric outlet with modular assembly structure and the electric outlet wire assembly us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9723Y1 (en) * | 2003-07-25 | 2004-01-28 | 홍성협 | Power cord Safe Unit |
KR200343601Y1 (en) * | 2003-12-20 | 2004-03-05 | 김인균 | Multi tab with concentric plug sockets |
KR20040035650A (en) * | 2004-04-06 | 2004-04-29 | 이기곤 | Waterproof Socket & Plug |
KR20050051439A (en) * | 2003-11-27 | 2005-06-0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Usb device on storable cable |
-
2006
- 2006-10-02 KR KR1020060097376A patent/KR10084106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9723Y1 (en) * | 2003-07-25 | 2004-01-28 | 홍성협 | Power cord Safe Unit |
KR20050051439A (en) * | 2003-11-27 | 2005-06-0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Usb device on storable cable |
KR200343601Y1 (en) * | 2003-12-20 | 2004-03-05 | 김인균 | Multi tab with concentric plug sockets |
KR20040035650A (en) * | 2004-04-06 | 2004-04-29 | 이기곤 | Waterproof Socket & Plug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35650호 |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51439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07733B1 (en) * | 2020-08-27 | 2021-01-25 | 김찬은 | Multi-tap compatible multi-ta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30867A (en) | 2008-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02148A (en) | Multiple receptacle extension cord | |
US7959362B2 (en) | Electro-optical plug and receptacle | |
US6767255B1 (en) | Temporary power outlet adapter | |
US9793697B1 (en) | Junction box and plug-ins | |
US7285725B1 (en) | Weatherproof and restraining apparatus for electrical plugs | |
US5503565A (en) | Receptacle assembly | |
CA2850681C (en) | Low voltage power receptacle for modular electrical systems | |
CA2402738C (en) | Power-cord connection set | |
CA1140644A (en) | Reversing plug connector | |
WO2002103849A3 (en) | Power strip with adjustable outlets | |
CA2968873C (en) | Electrical devices with longitudinal electrical conductor entries | |
KR100841065B1 (en) | Variable power connector | |
US20060035508A1 (en) | Protective device of extension cord | |
MXPA06014339A (en) | Pluggable surge protector. | |
US6962506B1 (en) | Electrical coupling device for use with an electrical power converter | |
MXPA06014837A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pilatory compositions. | |
US11682863B2 (en) | Secure outlet device and method | |
CA2642963A1 (en) | Energy distribution system | |
US4019797A (en) | System including household connector plug for split wire receptacle | |
KR20200125180A (en) | Power data cable connector for preventing disconnection and short | |
US20250015545A1 (en) | Power track system with leakage current protection function | |
KR200258712Y1 (en) | Multiple outlet | |
KR20030023842A (en) | Multiple outlet | |
KR102191418B1 (en) | Multi- connectable electric plug | |
KR200183094Y1 (en) | Electric concentric plu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6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