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0350B1 - Storage device - Google Patents

Storag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350B1
KR100840350B1 KR1020060101721A KR20060101721A KR100840350B1 KR 100840350 B1 KR100840350 B1 KR 100840350B1 KR 1020060101721 A KR1020060101721 A KR 1020060101721A KR 20060101721 A KR20060101721 A KR 20060101721A KR 100840350 B1 KR100840350 B1 KR 100840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corner
parallel
squar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7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35261A (en
Inventor
마코토 혼다
한성식
Original Assignee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350B1/en
Publication of KR20080035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2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35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22Adaptations of pumping plants for lifting sew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과 제) 본 발명은, 상부에서 저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용의 통로 또는, 물 배출용의 통로를 쉽게 확보할 수가 있는 저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orage device capable of easily securing a passage for observation or a passage for discharging water from which the inside of the reservoir can be observed.

(해결 수단) 저류 장치(T)는,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제 1의 적층 구성 부재(S 1)의 종방향의 조단부의 일변에 제 2의 적층 구성 부재(S 2)의 긴 쪽 방향의 변이,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제 1의 적층 구성 부재(S 1)의 종방향의 우단부의 일변에 제 2의 적층 구성 부재(S 2)의 긴 쪽 방향의 변이, 각각 일치하게 접촉 또는 근접하여 전면에 깔린 제 1의 병설(倂設)형태와, 이 제 1의 병설형태의 제 1의 적층 구성 부재(S 1) 및 제 2의 적층 구성 부재(S 2)의 직선상(狀)의 산부(山部)는, 모두 평행이고,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제 2의 적층 구성 부재(S 2)와 적층 구성 부재(S 2) 또는, 제 1의 적층 구성 부재(S 1)와 제 2의 적층 구성 부재(S 2)의 모서리부(角部)로 형성되는 십자의 교점(交點) 위치에 제 1의 적층 구성 부재(S 1)의 중심이 위치하게 전면에 깔고, 그 전면에 깐 제 1의 적층 구성 부재(S 1)의 나머지 부위에 제 1의 적층 구성 부재(S 1) 또는 제 2의 적층 구성 부재(S 2)를 깔아,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덮는 제 2의 병설형태와, 상기 제 2의 병설형태의 제 1의 적층 구성 부재(S 1) 및 제 2의 적층 구성 부재(S 2)의 직선상의 산부는, 모두 평행으로,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제 1의 적층 구성 부재(S 1) 및 제 2의 적층 구성 부재(S 2)의 직선상의 산부와 직교하는 것이고, 상기 제 2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2의 병설형태를 교호로 쌓아 겹치어 이루어지고, 제 1의 적층 구성 부재(S 1) 및 제 2의 적층 구성 부재(S 2)에 마련한 상기 구멍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Solution means) The storage device T has a long length of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 2 at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ends of all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 1 located at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hi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hi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 2,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right end of all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 1 located at the righ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first parallel structure of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member S1 and the second multilayer structural member S2 of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and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that are in contact with or close to each other in the same manner. The upper peaks of the upper parts are all parallel,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 2 and the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 2 or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The center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 1 is placed on the front surface at the intersection point of the cross formed by the corner of S 1)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 2. , The first laminated structural member S 1 or the second laminated structural member S 2 is laid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laminated structural member S 1 on the front surface, and the first laminated structural member S 1 is laid out in plan view. The linearly parallel portions of the second juxtaposed form covering the juxtaposed form and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 1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 2 of the second juxtaposed form are all parallel to each other. It is orthogonal to the straight line part of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of a 1st parallel formation form, and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and the said 1st parallel formation form on the said 2nd parallel formation form. The hole provided in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and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by making the 2nd parallel formation alternately and overlapping on the said 1st parallel formation form. This is a planar view, and it is comprised accordingly.

저류 장치 Storage device

Description

저류 장치 {Resevoir Device}Resevoi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저류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orage devic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저류 장치의 일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storage device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저류 장치를 구성하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constituting the storage device of FIG. 1.

도 4는, 도 3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개략적 평면도이다.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first laminated component of FIG. 3.

도 5는, 도 4의 5-5 선에 의한 개략적 단면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5-5 of FIG. 4.

도 6은, 도 4의 6-6 선에 의한 개략적 단면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4.

도 7은, 도 1의 저류 장치의 적층 상태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개략적 설명도이다. FIG. 7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showing a laminated state of the storage device of FIG. 1 in a plan view.

도 8은, 도 1의 저류 장치의 적층 상태를 측면적으로 나타낸 개략적 설명도이다. FIG. 8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lamination state of the storage device of FIG. 1 in a side view.

도 9는, 도 8의 적층 상태를 측면적으로 나타낸 개략적 설명도이다.FIG. 9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showing side by side the lamination state of FIG. 8.

도 10은, 도 3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와 다른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사시도이다.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of FIG. 3.

도 11은 도 10의 개략적 평면도이다.FIG. 1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FIG. 10.

도 12는, 도 10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 의한 적 층 상태를 평면적으로 나타낸 개략적 설명도이다. FIG. 12 is a schematic explanatory view showing a laminated state by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of FIG. 10 in plan view.

도 13은, 도 10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와 다른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 평면도이다.FIG. 1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of FIG. 10.

도 14는, 도 13의 개략적 사시도이다.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FIG. 13.

도 15는, 도 13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 의한 적층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FIG. 1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laminated state by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of FIG. 13.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T : 저류 장치 S1 : 제 1의 적층구성 부재T: storage device S1: first laminated member

S2 : 제 2의 적층구성 부재 S2: second laminated member

본 발명은 저류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부에서 저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용 통로 또는 물 배출용의 통로를 쉽게 확보할 수가 있는 저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orage device that can easily secure a passage for observation or a passage for discharging water from which the inside of the reservoir can be observed.

본 발명자는, 앞서, 단면형상이 연속하는 산형부(山形部)를 가지며, 상기 단면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거의 동일 단면으로 뻗어있는 형상을 가지는 골격 부재와 이 골격 부재를 적층하여 형성되는 적층 구조물을 개시하였다(특허문헌 1 참조). The inventor has previously described a laminated structure formed by stacking a skeletal member having a shape having a continuous cross-sectional shape and extending in substantially the same cross sect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ross section, and the skeletal member. It disclosed (refer patent document 1).

이 종류의 적층 구조물을 「물을 저장하는 저류 장치」내에 설치한 경우, 장기의 사용에 의해 저류 장치 내에 토사 등이 축적하기 때문에 저류 장치에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관통한 관찰용의 통로가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When a laminated structure of this kind is installed in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water", when soil and the like accumulate in the storage device due to long-term use, the storage device requires a passage for observation that penetrates from above to downward. There is.

그러한 경우, 골격 부재의 소정 위치에 구멍을 뚫는 동시에 그 구멍이 상하 일치하게 적층하지 않으면 아니 된다. In such a case, a hole must be dri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keleton member and the holes must be stacked up and down.

그렇지만 때로는, 구멍이 상하 일치하도록 적층하기를 잊거나 급히 관찰용의 통로를 변경해야 할 경우, 대응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생기었다.However, sometimes, when forgetting to stack the holes so that the holes coincide with each other or changing the passage for observation in a hurr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pe.

(특허문헌 1) 특허 제 2901959 호 공보(Patent Document 1) Patent No. 2901959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이 제거된 저류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age device in which the above problems are elimina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저류 장치는 저류 부 내에 적층 구성 부재를 적층하는 동시에, 적층한 상기 적층구성 부재와 부재의 사이의 공간에 물을 저류하는 저류 장치로서, 상기 적층구성 부재는 복수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복수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2L 의 정방형으로, 그 정방형의 일변을 따라서 마련된 직선상의 산부와 곡부(谷部)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상의 산부는 적어도 둘이며, 상기 두 산부의 사이에 상기 곡부가 위치하며,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정방형의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직선상의 산부에 평행인 대칭선(對稱線)에 대하여 상기 두 산부와 상기 곡부는 대칭위치에 있고, 상기 산부의 이면(裏面)은 요부형태(凹所)이며,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적어도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16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17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3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18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4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4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19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L의 장방형으로,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대칭선에 대한 일방 측의 형태와 같은 것이고,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의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1/4×루트2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이,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에 인접하되 장변 2L 측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0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저류장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를 평면상으로 보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병설하되, 상기 병설은 인접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일변끼리가 일치하게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으로, 상기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좌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상기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우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각각 일치하게 접촉 또는 근접하여서 저류장치에 깔린 제 1의 병설형태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device for stacking a laminated component member in a storage portion and storing water in a space between the laminated laminated member and the member. A first stacked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first laminated members and a plurality of second laminated members, wherein the first laminated member has a square shape of 2L × 2L in plan view, and is provided with a straight portion provided along one side of the square; A curved portion, at least two of the straight portions are located, and the curved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two portions, and in plan view,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square and is parallel to the straight portions. The two peaks and the curved portion are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line,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eak is in the form of a recess, and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the line bisecting the edge portions of at least the first of the square is the first 1/4 × 1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Figure 112008010355680-pat00016
The first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17
The secon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thir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18
A thir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ourth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fourth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19
Fourth holes are provided at positions L, respectively,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in a rectangular shape of 2L × L in plan view, and has the same shape as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line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In the second laminated member, a fift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of a quarter of the first corn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shape, and a fifth hole at a position of 1/4 × root 2L from the first corner portion. Adjacent to the corner portion, but is linear on the second corner portion on the long side 2L side, and is 1/4 × from the second corner portion.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0
Sixth holes are provided at positions L, respectively.
The storage device,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plan view, wherein the parallel arrangement is such that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laminated member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each other.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s located at one side of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located at the right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parallel form of the storage devic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righ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모서리부로 형성되는 십자의 교점 위치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깔고, 그 깔려진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나머지의 부위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깔아,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덮는 제 2의 병설형태의 적층배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는 모두 평행이고, 상기 제2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는 모두 평행으로,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와 직교하는 것이며,
상기 적층배열은 제 2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제 1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2의 병설형태를 교호로 쌓아 겹치게 이루어지어,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 마련한 상기 구멍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or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formed at the intersections of the cross-section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stacked member in the first parallel form Laying so that the center of the laminated structure member of 1 is located, the said 1st laminated component member or the said 2nd laminated component member was laid in the remaining site | part of the said 1st laminated component member, and it sees in plan view, It consists of a laminated arrangement of the second parallel form covering the first parallel form,
The linear portions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are all parallel and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n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The linear portions of are all parallel and orthogonal to the linear portions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n the first parallel form,
The laminated arrangement is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such that the first laminated configuration member and the second are overlapped. The holes provided in the laminated member of the structure are configured to coincide in plan view.

또, 청구항 2 기재의 저류 장치는 저류 부 내에 적층 구성 부재를 적층하는 동시에, 적층한 상기 적층구성 부재와 부재의 사이의 공간에 물을 저류하는 저류 장치로서, 상기 적층구성 부재는 복수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복수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2L 의 정방형으로, 그 정방형의 일변을 따라서 마련된 직선상의 산부와 곡부(谷部)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상의 산부는 적어도 둘이며, 상기 두 산부의 사이에 상기 곡부가 위치며,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정방형의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직선상의 산부에 평행인 대칭선(對稱線)에 대하여 상기 두 산부와 상기 곡부는 대칭위치에 있고, 상기 산부의 이면(裏面)은 요부형태(凹所)이며,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적어도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1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2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3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4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5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6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3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7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3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8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9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4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4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0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4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4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1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2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L의 장방형으로,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대칭선에 대한 일방측의 형태와 같은 것이고,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3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4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5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에 인접하되 장변 2L 측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6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이,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7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8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저류장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를 평면상으로 보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병설하되, 상기 병설은 인접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일변끼리가 일치하도록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이고, 상기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좌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상기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우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각각 일치하도록 접촉 또는 근접하여서 저류장치에 깔린 제 1의 병설형태와, Moreover, the storage device of Claim 2 is a storage device which laminates | stacks a laminated structural member in a storage part, and stores water in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laminated | stacked laminated structural member and member, The said laminated structural member is a plurality of 1st And a plurality of second laminated members, wherein the first laminated member has a square shape of 2L × 2L in plan view, and has a straight line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provided along one side of the square. At least two straight peaks, wherein the curved portion is located between the two peaks, and in plan view,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square and is parallel to the straight peaks ( The two peaks and the curved portion are in symmetrical positions, the back surface of the peak is in the form of a recess, and the first laminated member has at least the square. The line bisecting the corner parts of the one and X (0≤X≤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first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1
At the position of xL), the first hole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square and is located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2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3
A hole of 1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portion of the square and X (0≤X≤) from the first corner portion.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4
The secon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5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6
A hole of 2 'in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third corner of the square and X (0≤X≤)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7
The thir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thir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located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8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29
A hole of 3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ourth corner of the square and X (0≤X≤) from the fourth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0
The fourth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ourth corner of the square and is formed from the fourth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1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2
The 4 'hole is each provided in the position L), and the said 2nd laminated member is a 2 LxL rectangular planar view, and the form of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line of the said 1st laminated component member. The second laminated member has a bisected line on the first corner of the rectangle and X (0≤X≤)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3
The fifth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square and is separated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4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5
A 5 'hole in the position L) is adjacent to the first corner of the square and is linear to the second corner of the long side 2L and X (0≤X≤)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6
At the position L), the sixth hole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rectangle and is formed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7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8
6th 'hole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osition L),
The storage device,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in plan view, wherein the parallel arrangement is in contact or proximate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laminated member to coincide with each other.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s located at one side of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located at the righ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juxtaposition with the storage device in contact with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on one side of the right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respectively, to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모서리부로 형성되는 십자의 교점 위치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깔고, 그 깔려진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나머지 부위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깔아,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덮는 제 2의 병설형태의 적층배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는 모두 평행이고, 상기 제 2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는 모두 평행으로,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와 직교하는 것이고,
상기 적층배열은 상기 제 2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2의 병설형태를 교호로 쌓아 겹치게 이루어지어,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 마련한 상기 구멍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or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formed at the intersections of the cross-section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stacked member in the first parallel form The center of the laminated member of 1 is laid so that the first laminated member or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laid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planar view is performed. It consists of a laminated arrangement of a second parallel form covering the first parallel form,
The linear portions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are all parallel and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in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The straight portions of the member are all parallel and orthogonal to the straight portions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of the first parallel form,
The laminated arrangement is such that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is alternately stacked o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is overlapped to form the first laminated configuration member.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aid hole provided in the said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may match with planar view.

또, 청구항 3 기재의 저류 장치는 저류 부 내에 적층구성 부재를 적층하는 동시에, 적층한 상기 적층구성 부재와 부재의 사이의 공간에 물을 저류하는 저류 장치로서, 상기 적층구성 부재는 복수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복수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 × 2L의 정방형으로, 평탄한 면을 가지는 정방형의 정부(頂部)와 이 정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4개의 각부(脚部)를 구비하며,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정방형의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잇는 대칭선에 대하여 상기 4개의 각부는 대칭위치에 있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9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0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3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1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4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4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2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 × L의 장방형으로,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대칭선에 대한 일방 측의 형태와 같은 것이고,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3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이,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에 인접하되 장변 2L 측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4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저류장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를 평면상으로 보아 횡방향 및 종방항으로 병설하되, 상기 병설은 인접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일변끼리가 일치하도록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이고, 상기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좌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상기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우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각각 일치하도록 접촉 또는 근접하여서 저류장치에 깔린 제 1의 병설형태와,
상기 제 1의 병설형탱의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송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모서리부로 형성되는 십자의 교점 위치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깔고, 그 깔려진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나머지 부위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깔아,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덮는 제 2의 병설형태의 적층배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층배열은 제 2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2의 병설형태를 교호로 쌓아 겹치게 이루어지어,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 마련한 상기 구멍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3 is a storage device for laminating a laminated component member in a storage portion and storing water in a space between the stacked laminated member and the member, wherein the laminated component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members. Has a laminated member and a plurality of second laminated members, wherein the first laminated member has a square shape of 2L × 2L in plan view, and supports a square portion and a flat portion having a flat surface. At least four corners, wherein the four corners are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a symmetry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opposite sides of the square in plan view, and the square is formed in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bisectoral on the first corner of and is 1/4 × from the first corner o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39
The first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0
The secon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thir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1
A thir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ourth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fourth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2
Fourth holes are provided at positions L, respectively,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in a rectangular shape of 2L × L in plan view, and has the same shape as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line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The second laminated member has a bisecting line shape in the rectangular first corner portion, and is 1/4 × from the first corner portion.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3
The fifth hole at the position L is adjacent to the first corner of the rectangle, but is linear to the second corner of the long side 2L and is 1/4 ×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4
Sixth holes are provided at positions L, respectively.
The storage device,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plan view, wherein the parallel arrangement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each other so that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laminated member is in agreement with each other.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s located at one side of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located at the right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juxtaposition with the storage device in contact with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on one side of the right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respectively, to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second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or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formed in the intersection position of the second stacking member of the first parallel tank The center of the laminated member of 1 is laid so that the first laminated member or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laid on the rest of the laid first laminated member, and in plan view,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laid. It consists of a laminated arrangement of the second parallel form covering the parallel form of 1,
The laminated arrangement is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aid hole provided in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may match with planar view.

또, 청구항 4 기재의 저류 장치는 저류 부 내에 적층구성 부재를 적층하는 동시에, 적층한 상기 적층구성 부재와 부재의 사이의 공간에 물을 저류하는 저류 장치로서, 상기 적층구성 부재는 복수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복수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가지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 × 2L의 정방형으로, 평탄한 면을 가지는 정방형의 정부와 이 정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4개의 각부(脚部)를 구비하며,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정방형의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잇는 대칭선에 대하여 상기 4개의 각부는 대칭위치에 있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5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6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7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8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9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0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3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1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3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2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3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4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4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4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4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4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5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6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 × L의 장방형으로,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대칭선에 대한 일방측의 형태와 같은 것이고,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7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8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9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에 인접하되 장변 2L 측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0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이,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1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2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저류장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를 평면상으로 보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병설하되, 상기 병설은 인접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일변끼리가 일치하도록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이고, 상기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좌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상기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우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각각 일치하도록 접촉 또는 근접하여서 저류장치에 깔린 제 1의 병설형태와,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모서리부로 형성되는 십자의 교점 위치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깔고, 그 깔려진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나머지 부위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깔아,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덮는 제 2의 병설형태의 적층배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적층배열은 제 2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2의 병설형태를 교호로 쌓아 겹치게 이루어지어,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 마련한 상기 구멍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4 is a storage device for laminating a laminated component member in a storage portion and storing water in a space between the stacked laminated member and the member, wherein the laminated component member comprises a plurality of first members. Has a laminated component member and a plurality of second laminated component members, wherein the first laminated component member has a square shape of 2L × 2L in plan view, and has a square portion having a flat surface and at least 4 supporting the portion. Four corners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a symmetry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square in plan view, and the first stacking member has the square first corners; Is bisectorally on the corner of X and 0 (0≤X≤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5
The first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square and is formed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6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7
A hole of 1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of the square and X (0≤X≤)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8
The secon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49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0
A hole of 2 'in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third corner of the square and X (0≤X≤)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1
The thir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thir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located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2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3
A hole of 3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ourth corner of the square and X (0≤X≤) from the fourth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4
The fourth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ourth corner of the square and is formed from the fourth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5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6
The 4 'hole is provided in the position L), and the said 2nd laminated member is a 2 L * L rectangular planar view, and the form of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line of the said 1st laminated member. The second laminated member has a bisected line on the first corner of the rectangle and X (0≤X≤)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7
A fifth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square and is formed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8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59
A 5 'hole in the position L) is adjacent to the first corner of the square and is linear to the second corner of the long side 2L and X (0≤X≤)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0
At the position L), a sixth hole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rectangle and is spaced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1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2
6th 'hole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osition L),
The storage device,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in plan view, wherein the parallel arrangement is in contact or proximate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laminated member to coincide with each other.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s located at one side of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located at the right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juxtaposition with the storage device in contact with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on one side of the right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respectively, to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or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formed at the intersections of the cross-section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stacked member in the first parallel form The center of the laminated member of 1 is laid so that the first laminated member or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laid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planar view is performed. Consisting of a stacked arrangement of a second parallel form covering the first parallel form,
The laminated arrangement is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It is comprised so that the said hole provided in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may match with planar vie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저류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storage devic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보이는 부호 T는 저류 장치로, 저류 장치(T)는 저류 부 내에 적층구성 부재(S)를 적층하는 동시에, 적층한 적층구성 부재(S)와 적층구성 부재(S)의 사이의 공간에 물을 저류하는 것이다(도 1 및 도 2 참조). The symbol T shown in FIG. 1 is a storage device, and the storage device T stacks the laminated component S in the storage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pace between the laminated laminated member S and the laminated component S. To store water (see FIGS. 1 and 2).

위에 기술한 저류 부는, 예를 들어, 지면 또는 지중에 형성된 요소의 주위를 차수(遮水)부재(1)로 형성한 부위이다. 참조번호 10은 저류 장치(T) 내의 저류 부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통로이고, 참조번호 20은 저류 장치 내의 물을 저류 부의 밖으로 배수하는 물 배출용의 통로이며, 참조번호 30은 상부부터 저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용의 통로이고, 참조번호 31은 관찰용의 통로(30)의 상방 개구부를 개폐하는 뚜껑이다. The storage portion described above is, for example, a portion formed around the element formed on the ground or in the ground by the order member 1. Reference numeral 10 is a supply passage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orage portion in the storage device T, reference numeral 20 is a passage for discharging water for draining water in the storage device out of the storage portion, and reference numeral 30 denotes a storage inside from the top. Is an observation passage through which observation can be made, and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opening of the passage 30 for observation.

적층구성 부재(S)는, 적어도, 복수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와 복수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를 가진다(도 3 참조). The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 has at least a plurality of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1 and a plurality of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2 (see FIG. 3).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는 평면상으로 보아 2L×2L 의 정방형으로(도 4 참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는 그 정방형의 일변을 따라서 마련된 직선상의 산부(2)와 곡부(3)를 구비하고, 직선상의 산부(2)는 적어도 둘이며[도 3 및 도 4에서는, 직선상의 산부(2)는 4개이나, 도 10 및 도 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2개이어도 좋다. 직선상의 산부(2)는 적어도 둘이면 좋다.], 두 산부(2, 2)의 사이에 직선상의 곡부(3)[도 3에서는 곡부가 3개이지만, 도 10 및 도 11에 보이는 바와 같이, 1개라도 좋다. 더구나 도 10 및 도 11에 보인 M, N, M'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또는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하방 단부가 걸려지는 걸림부(예를 들면, 요부)이다.]가 위치하며, 평면상으로 보아 정방형의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통과하는 직선부의 산부(2, 2)에 평행인 대칭선(도 3, 도 11로 말하면, AB)에 대하여 두 산부(2, 2)와 곡부(3)는 대칭위치에 있다. 게다가, 산부(2)의 이면은 요부형태(2a)로 돼 있다(도 4, 도 6 및 도 10 참조).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is a 2L × 2L square (see Fig. 4) in plan view, and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is formed with a straight line 2 provided along one side of the square. The curved part 3 is provided, and the linear part 2 is at least two (in FIG. 3 and FIG. 4, the linear part 2 is four, but may be two as shown in FIG. 10 and FIG. 11). . At least two linear peaks 2 may be used.] Between the two peaks 2 and 2, the linear curved sections 3 (three curved sections are shown in FIG. 3, but as shown in FIGS. 10 and 11, One may be good. Moreover, M, N, and M 'shown in FIG. 10 and FIG. 11 are the locking parts (for example, a recessed part) by which the lower end part of the 1st laminated member S1 or the 2nd laminated member S2 is caught. .] Is located, and the two peaks 2, 2, with respect to the line of symmetry parallel to the peaks 2, 2 of the straight por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square in plan view (AB, FIG. 3, FIG. 11). 2) and the bent portion 3 are in a symmetrical position. In addition, the back surface of the peak portion 2 has a recessed shape 2a (see Figs. 4, 6 and 10).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보아 정방형(CEDF)이며, 정방형(CEDF)의 제 1의 모서리부(C)의 이등분 선상(CE)으로 제 1의 모서리부(C)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3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4)이, 정방형(CEDF)의 제 2의 모서리부(D)의 이등분 선상(DF)으로 제 2의 모서리부(D)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4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5)이, 정방형(CEDF)의 제 3의 모서리부(E)의 이등분 선상(EC)으로 제 3의 모서리부(E)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5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6)이,정방형(CEDF)의 제 4의 모서리부(F)의 이등분 선상(FD)으로 제 4의 모서리부(F)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6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7)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is made of synthetic resin, for example, and as shown in FIG. 4, is a square CEDF in plan view, and the first corner portion C of the square CEDF. 1/4 x from the first edge (C) in bisected lines (CE) o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3
At the position of L, the first hole 4 is 1/4 × from the second corner portion D in a bisected line DF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D of the square CED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4
The second hole 5 at the position L is 1/4 × from the third corner portion E in a bisected line EC of the third corner portion E of the square CED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5
The third hole 6 at the position L is 1/4 × from the fourth corner portion F in a bisected line FD of the fourth corner portion F of the square CED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6
The 4th hole 7 is provided in the position of L, respectively.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는 평면상으로 보아 2L×L 의 장방형(C' A B F')이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대칭선(도 3으로 말하면, AB)에 대한 일방 측의 형태와 같은 것이고,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에는 장방형(C' A B F')의 제 1의 모서리부(C')의 이등분 선상(C' O)으로 제 1의 모서리부(C')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7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8)이, 장방형(C' A B F')의 제 1의 모서리부(C')에 인접하되 장변 2L 측의 제 2의 모서리부(F')의 이등분 선상(F'O)으로 제 2의 모서리부(F')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8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9)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O는 AB의 중점(中點)이다.The second laminated member S2 is 2L × L rectangular (C 'AB F') in plan view, and has a symmetry line (AB in FIG. 3)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S1. It is the same as the one-sided form, and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has a 1st corner part in bisectoral line C'O of the 1st corner part C 'of rectangular shape C' AB F ', 1/4 × from (C ')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7
The fifth hole 8 at the position L is adjacent to the first corner portion C 'of the rectangle C' AB F 'but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portion F' on the long side 2L side. 1/4 from the second corner portion F 'to (F'O)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8
The 6th hole 9 is provided in the position of L, respectively. O is the center of the AB.

그리고, 도 7의 하방에 보이는 바와 같이, 1단째에 있어서,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를 평면상으로 보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병설[본 실시예에서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를 가로로 2개, 세로로 2개 병설하고, 병설한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직선상의 산부(2)는 모두 평행하며, 도시된 상태에서는 수직방향으로 돼 있다.]하되, 상기 병설은 인접하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일변끼리가 일치하도록 접촉(또는 근접)하게 한다. And as shown below in FIG. 7, in the 1st step | paragraph,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was juxta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a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 Two horizontally and two vertically S1)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he straight portions 2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which are parallel are all parallel, and in the illustrated state, ar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juxtaposition causes contact (or proximity) of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laminated component S1 to coincide.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본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는 2개]의 종방향의 좌단부의 일변에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본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는 2개]의 긴 쪽 방향의 변이, 상기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본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는 2개]의 종방향의 우단부의 일변에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긴 쪽 방향의 변이, 각각 일치하게 접촉(또는 근접)하여서 저류장치에 깔려, 제 1의 병설형태(K 1)를 형성한다. All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1 located at the lef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wo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1 located at the lef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two). Th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two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2 located in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on one side of the negative portion,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1 located in the right end portion (in this embodiment, two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2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right end portion are two) on one side of the righ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des of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S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r close to each other) in such a manner as to be laid on the storage device to form the first parallel form K 1.

제 1의 병설형태(K 1)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직선상의 산부(2)는 모두 평행하게 돼 있다. 도 7에서는 직선상의 산부(2)는 수직방향으로 되어 있다.Both the linear stacked portions 2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of the first parallel form K 1 are parallel to each other. In FIG. 7, the linear part 2 is in the vertical direction.

2단째에 위치하는 제 2의 병설형태(K 2)는 제 1의 병설형태(K 1)를 덮는 것으로, 우선, 제 2의 병설형태(K 2)에 있어서는 제 1의 병설형태(K 1)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와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 또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와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모서리부로 형성되는 십자의 교점 위치, 환언하면,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와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모서리부가 십자로 교차하는 위치(도 7로 말하면, 1단째에 있어서의 X 1, X 2, X 3)에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중심(Y 1, Y 2, Y 3)이 위치하게 제2의 병설형태가 깔려진다.The second juxtaposed form K 2 located at the second stage covers the first juxtaposed form K 1. First, in the second judo form K 2, the first juxtaposed form K 1. The intersection position of the cross formed by the corners of the second laminated member S2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S2 or the first laminated member S1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S2, In other words, at the position where the edge portions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S1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S2 intersect the cross (in Fig. 7, X 1, X 2, X 3 in the first stage). The second parallel form is laid so that the centers Y 1, Y 2, Y 3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are located.

결국, 도 7의 1단째에 있어서의 좌에 위치하는 X 1에는 2단째의 좌에 위치하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중심 Y 1이, 도 7의 1단째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는 X 2에는 2단째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중심 Y 2가, 도 7의 1단째에 있어서의 우에 위치하는 X 3에는 2단째의 우에 위치하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중심 Y 3이 각각 일치하도록 저류장치에 깔린다.As a result, the center Y 1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stage is located at the center in the first stage of FIG. 7 in X 1 positioned on the left side in the first stage of FIG. 7. In X 2, the center Y 2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stage is located at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stage in X 3 located at the right side in the first stage of FIG. 7. The storage device is laid so that the centers Y 3 of the constituent members S1 coincide with each other.

깔려진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나머지 부위에는,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도 7의 2단째로 말하면, 중심이 Y 1인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상과 하에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를 1개씩, 중심이 Y 2인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상과 하에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를 1개씩, 중심이 Y 3인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상과 하에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를 1개씩]를 깔아, 평면상으로 보아 제 1의 병설형태(K 1)를 덮도록 한다(제 2의 병설형태).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S1 laid down, the second laminated member S2 (in the second stage of FIG. 7 is referred to as the image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S1 whose center is Y1).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S2 is formed one by one,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S2 is placed one by one, and the center is Y 3, respectively, above and below the first laminated member S1 having a center of Y 2. 2nd laminated structure members S2 are arrange | positioned one by one above and below the 1st laminated structure member S1, and it may cover 1st parallel form K1 by planar view (2nd Parallel form).

본 실시예에서는, 깔려진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나머지 부위에 까는 부재는,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뿐이었으나, 깔 스페이스가 있으면,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를 깔아도 좋다.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second laminated member S2 extends to the rest of the laid first laminated member S1, but if there is a carpet space, the first laminated member S1 is provided. May be laid.

또, 제 2의 병설형태(K 2)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직선상의 산부(2)는 모두 평행하며, 도 7에서는, 직선상의 산부(2)는 수평방향으로 되어 있어, 제 1의 병설형태(K 1)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직선상의 산부(2)와 직교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의 병설형태(K 2)(2단째)의 위에 제 1의 병설형태(K 1)(3단째)를, 제 1의 병설형태(K 1)(3단째)의 위에 제 2의 병설형태(K 2)(4단째)를 교호로 순차 쌓아 겹치게 한다(도 7 ~ 도 9 참조).In addition, both the linear straight parts 2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of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K 2 are parallel, and in FIG. (2) becomes a horizontal direction, and becomes orthogonal to the straight | difference part 2 of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of 1st parallel form K1, and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and is orthogonal. have. And the 1st juxtaposed form K 1 (third stage) on the 2nd juxtaposed form K2 (2nd stage), and the 2nd juxtaposition form K1 (third stage) on the 1st juxtaposed form K1 (third stage) The juxtaposed forms K 2 (fourth stage) are stacked alternately and stacked (see FIGS. 7 to 9).

그 결과,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에 마련한 구멍(4, 5, 6, 7, 8, 9)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도록 구성된다.As a result, the holes 4, 5, 6, 7, 8, and 9 provided in the first laminated member S1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S2 are configured to coincide in plan view.

따라서, 일치한 구멍(4, 5, 6, 7, 8, 9)이 다수 형성되기 때문에, 상부에서 저류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관찰용의 통로(30) 또는 물 배출용의 통로(20)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도 1 참조). Therefore, since many coincidence holes 4, 5, 6, 7, 8, and 9 are formed, the observation passage 30 for observing the inside of the reservoir from the top or the passage 20 for water discharge 20 It can be ensured easily (refer FIG. 1).

더구나, 관찰용의 통로(30)에 있어서는, 뚜껑(31)을 열어 CCD 카메라(도시하지 않음)를 상방으로부터 넣어 저류 내의 저부의 토사 등의 축적상태를 관찰할 수가 있어, 토사 등이 많은 경우, 일치한 구멍을 이용하여 진공 등의 배출 파이프(도시하지 않음)를 저류 내부에 넣어 축적한 토사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assage 30 for observation, when the lid 31 is opened and a CCD camera (not shown) is inserted from above, it is possible to observe the accumulation state of the earth and sand at the bottom of the reservoir, and when there is a lot of earth and sand, By using the matching holes, a discharge pipe (not shown) such as a vacuum can be put inside the reservoir to discharge the accumulated soil and the like to the outside.

위에 기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1단째에 제 1의 병설형태(K 1), 2단째에 제 2의 병설형태(K 2)로 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한하지 않고, 거꾸로 1단째에 제 2의 병설형태(K 2), 2단째에 제 1의 병설형태(K 1)로 하여도 좋으며, 요는, 제 1의 병설형태(K 1)와 제 2의 병설형태(K 2)를 교호로 하여 쌓아 겹치게 하면 좋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first juxtaposed form K 1 is formed in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juxtaposed form K 2 is formed in the second stage. The second juxtaposed form K 2 and the second stage may be the first juxtaposed form K 1, and the yaw includes the first juxtaposed form K 1 and the second juxtaposed form K 2. It is good to stack them alternately.

또, 위에 기술한 실시예(도 7)에 있어서는 평면상으로 보아 장방형이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한하지 않고 정방형(도시하지 않음)이어도 좋고, 또, 계단상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즉, 도 12에 보이는 바와 같이, 1단째에 있어서,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를 평면상으로 보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병설[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를 가로로 3개, 세로로 1개]하되, 상기 병설은 인접하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일변끼리가 일치하게 접촉(또는 근접)하도록 한다.In addition, in the Example (FIG. 7) mentioned above, although it was rectangular in plan view, in this invention, not only this but square (not shown) may be sufficient, and it may have a stepped part. That is, as shown in Fig. 12, in the first stage,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is viewed in a plan view and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e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1 vertically], but the juxtaposition is such that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laminated component S1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the same.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본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는 2개]의 종방향의 좌단부의 일변에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본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는 2개]의 긴 쪽 방향의 변이, 상기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본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는 2개]의 종방향의 우단부의 일변에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긴 쪽 방향의 변이, 각각 일치하도록 접촉(또는 근접)하여 깔리어, 제 1의 병설형태(K 1)를 형성한다.All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1 located at the lef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wo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1 located at the lef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two). The sid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two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2 located in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on one side of the negative portion,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1 located in the right end portion (in this embodiment, two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2 positioned in the longitudinal right end portion are two) on one side of the righ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ides of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S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contacted (or close to each other) to coincide with each other to form a first parallel form K 1.

이와 같이, 1단째에 있어서,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를, 평면상으로 보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병설하고, 병설한 복수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중 단부에 위치하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좌 사이드와 우 사이드에는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가 위치하게 한다.Thus, in the 1st stage,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is arranged in parallel to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direction by planar view, and is located in the edge part of the several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which was parallel. The second laminated member S2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S1.

도 12에 있어서,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직선상의 산부(2)는 생략하여 있으나, 도 12에 있어서도, 제 1의 병설형태(K 1)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직선상의 산부(2)는 모두 평행으로, 도 12에서는 직선상의 산부(2)는 수직방향으로 되어 있다.In FIG. 12, although the linear part 2 of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and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is abbreviate | omitted, also in FIG. 12, 1st parallel form K1 Both of the straight lined portions 2 of the first stacked structure member S1 and the second stacked structure member S2 are parallel, and in FIG. 12, the straight portion 2 is vertical.

2단째로 위치하는 제 2의 병설형태(K 2)에 있어서는, 제 1의 병설형태(K 1)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와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모서리부로 형성되는 십자의 교점 위치, 환언하면,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와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모서리부가 십자로 교차는 위치(도 12로 말하면, 1단째에 있어서의 X 4, X5)에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제2의 병설형태를 깐다.In the second juxtaposed form K 2 positioned in the second stage, the edges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of the first juxtaposed form K 1 are formed. Intersecting position of the cross, in other words, the position where the edges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S1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S2 intersect the cross (in Fig. 12, X 4 and X5 in the first stage). ), The second juxtaposition form is placed so that the center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is located.

결국, 도 12의 1단째에 있어서의 좌에 위치하는 X 4에는 2단째의 중앙의 좌에 위치하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중심 Y 4가, 도 12의 1단째에 있어서의 우에 위치하는 X 5에는 2단째의 중앙의 우에 위치하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중심 Y 5가 각각 일치하도록 저류장치에 깔린다. As a result, in X 4 located on the left side in the first stage of FIG. 12, the center Y 4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center of the second stage is located at the right side in the first stage of FIG. 12. Positioning X 5 is placed on the storage device so that the center Y 5 of the first laminated component S1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center of the second stage coincides with each other.

깔려진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나머지 부위에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또는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를 깔아, 평면상으로 보아 제 1의 병설형태(K 1)를 덮게 한다(제 2의 병설형태).The first laminated structure member S1 or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member S2 is laid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laminated component member S1 which is laid, and the first parallel form K 1 is viewed in plan view. To cover (second juxtaposed form).

또한, 도 12에 있어서,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직선상의 산부(2)는 생략하여 있으나, 도 12에 있어서도, 제 2의 병설형태(K 2)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직선상의 산부(2)는 모두 평행으로, 도 12에서는, 직선상의 산부(2)는 수평방향으로 되어 있어, 제 1의 병설형태(K 1)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직선상의 산부(2)와 직교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 2의 병설형태(K 2)(2단째)의 위에 제 1의 병설형태(K 1)(3단째)를, 제 1의 병설형태(K 1)(3단째)의 위에 제 2의 병설형태(K 2)(4단째)를 교호로 순차 쌓아 겹치게 한다. 그 결과, 상술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에 마련한 구멍(4, 5, 6, 7, 8, 9)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게 구성된다.In addition, in FIG. 12, although the linear part 2 of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and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is abbreviate | omitted, also in FIG. 12, 2nd parallel form K Both the linear straight portions 2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S2 of 2) are parallel, and in Fig. 12, the linear straight portions 2 are horizontal. And orthogonal to the straight line portions 2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of the first parallel form K 1. And the 1st juxtaposed form K 1 (third stage) on the 2nd juxtaposed form K2 (2nd stage), and the 2nd juxtaposition form K1 (third stage) on the 1st juxtaposed form K1 (third stage) The juxtaposition form (K2) (the fourth step) is piled up alternately and overlaps. As a result, the holes 4, 5, 6, 7, 8, and 9 provided in the first laminated member S1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S2 are plana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constructed consistently.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에 마련한 구멍은 적어도 4개,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에 마련한 구멍은 적어도 2개이나, 본 발명에 있어서서는, 이에 한하지 않고, 적층구성 부재(S)를「적어도 구멍 8개를 가진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와 「적어도 구멍 4개를 가진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도 13)로 하여도,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3 기재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에 마련한 구멍(4, 4', 5, 5', 6, 6', 7, 7', 8, 8', 9, 9')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t least four holes provided in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and at least two holes provided in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ar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the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 is referred to as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having at least eight holes"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having at least four holes" (Fig. 13). Also,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oles 4, 4 ', 5, 5', 6, 6 provided in the first laminated member S1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S2 described in FIG. ', 7, 7', 8, 8 ', 9, 9') can be configured to coincide in plan view.

즉,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는 평면상으로 보아, 2L×2L 의 정방형(CDEF)으로, 정방형(CDEF)의 제 1의 모서리부(C)의 이등분 선상에서 제 1의 모서리부(C)로부터 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9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4)이, 정방형(CDEF)의 제 1의 모서리부(C)의 이등분 선상에서 제 1의 모서리부(C)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0
L-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1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4')이, 정방형(CDEF)의 제 2의 모서리부(D)의 이등분 선상에서 제 2의 모서리부(D)로부터 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2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5)이, 정방형(CDEF)의 제 2의 모서리부(D)의 이등분 선상에서 제 2의 모서리부(D)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3
L-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4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5')이, 정방형(CDEF)의 제 3의 모서리부(E)의 이등분 선상에서 제 3의 모서리부(E)로부터 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5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6)이, 정방형(CDEF)의 제 3의 모서리부(E)의 이등분 선상에서 제 3의 모서리부(E)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6
L-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7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6')이, 정방형(CDEF)의 제 4의 모서리부(F)의 이등분 선상에서 제 4의 모서리부(F)로부터 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8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7)이, 정방형(CDEF)의 제 4의 모서리부(F)의 이등분 선상에서 제 4의 모서리부(F)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9
L-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0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7')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That is,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has a square CDEF of 2L × 2L in plan view, and has a first edge portion on a bisector of the first corner portion C of the square CDEF. X from C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69
The first hole 4 at the position L) is from the first corner portion C on a bisecting line of the first corner portion C of the square CDE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0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1
The first hole 4 'at the position of L is X (0≤X≤) from the second corner portion D on the bisector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D of the square CDE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2
At the position L), the second hole 5 is formed from the second corner portion D on the bisected line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D of the square CDE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3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4
The hole 5 'of the second' at the position L) is X (0≤X≤ from the third corner E in the bisector of the third corner E of the square CDE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5
At the position L), the third hole 6 is located from the third corner portion E on the bisected line of the third corner portion E of the square CDE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6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7
In the position L), the third'hole 6 'is X (0≤X≤) from the fourth corner portion F on the bisector of the fourth corner portion F of the square CDE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8
At the position L), the fourth hole 7 extends from the fourth corner portion F on a bisecting line of the fourth corner portion F of the square CDE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79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0
The 4th hole 7 'is provided in the position of L), respectively.

또한, 도 13 기재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는, 구멍의 위치를 제외하면, 도 3 기재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와 마찬가지로, 평면상으로 보아, 2L×2L 의 정방형(CDEF)으로, 그 정방형의 일변을 따라서 마련된 직선상의 산부(도시하지 않음)와 곡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상의 산부는 적어도 둘이며, 상기 두 산부의 사이에 상기 곡부가 위치하며, 평면상으로 보아 정방형의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직선상의 산부에 평행한 대칭선(AB)에 대하여 상기 두 산부와 상기 곡부는 대칭위치에 있고, 상기 산부의 이면은 요부형태(凹所)(도시하지 않음)이다.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는 평면상으로 보아 장방형으로,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대칭선(AB)에 대한 일방 측의 형태와 같은 것이다.In addition, except for the position of a hole,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of FIG. 13 is 2 L * 2L square in plan view similarly to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of FIG. (CDEF) having a straight portion (not shown) and a curved portion (not shown) provided along one side of the square, wherein the straight portion is at least two, and the curved portion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portions. The two peaks and the curved portion are located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ne of symmetry AB parallel to the straight peaks and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square in plan view,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eaks is shaped like a recess.所) (not shown).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S2 is rectangular in plan view, and is the same as the shape of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line AB of the first laminated component S1.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는, 도 13의 하방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보아 2L×L의 장방형(C'BAF')으로,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에는 그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C')의 이등분 선상에서 제 1의 모서리부(C')로부터 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1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8)이,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C')의 이등분 선상에서 제 1의 모서리부(C')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2
L-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3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8')이,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C')에 인접하되 장변 2L 측의 제 2의 모서리부(F')의 선상에서 제 2의 모서리부(F')로부터 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4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9)이, 장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F')의 이등분 선상에서 제 2의 모서리부(F')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5
L-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6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9')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13,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is 2L * L rectangular shape C'BAF 'in planar view, and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has the rectangular shape of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X (0≤X≤) from the first edge C 'on the bisector of the first edge C'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1
At the position L), the fifth hole 8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rner portion C 'on the bisected line of the square first corner portion C'.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2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3
At the position L), the 5 'hole 8' is adjacent to the square first corner portion C 'and has a second edge on the line of the second corner portion F' on the long side 2L side. X (0≤X≤) from negative F '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4
At the position L), the sixth hole 9 is formed from the second corner portion F 'on the bisected line of the second rectangular corner portion F'.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5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6
The 6th 'hole 9' is provided in the position of L), respectively.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는 위에 기술한 것에 한하지 않고, 도 14 및 도 15에 보이는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라도 좋다.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shown in FIGS. 14 and 15.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는 평면상으로 보아 2L×2L의 정방형(CDEF)으로, 평탄한 면을 가지는 정방형의 정부(頂部)(21)와 이 정부(21)를 지지하는 적어도 8개[도 1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적어도 8개로서, 도 14에서는 8개 중 F의 하방 가까이 위치하는 1개의 각부(脚部)(22)가 잠복하여 보이지 않으나, 경우에 따라서, 도 14에 보이는 CDEF의 하방 가까이 위치하는 4개의 각부(22)만 남기고 다른 각부(22)는 생략하여, 적어도 4개의 각부(22)로 하여도 좋다 ]의 각부(22)를 구비하며, 평면상으로 보아 정방형의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잇는 대칭선(AB)에 대하여 상기 8개의 각부(22)는 대칭위치에 있다. 도 14 기재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는 도 3 기재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것의 산부(2), 곡부(3)의 기복(起伏)이 평탄한 면을 가지는 정방형의 정부(21)로 치환되어, 각부(22) 및 각부(22)의 선단이 정부(21)에 마련한 걸림부(예를 들어, 요부) M, N에 걸려지는 결합부가 부가돼 있는 이외는, 도 3 기재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와 같은 모양이므로, 도 14 및 도 15 기재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에, 도 3 기재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와 동일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에 동일부호를 달아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is a square (CDEF) of 2L × 2L in plan view, and has a square top portion 21 having a flat surface and at least eight supporting the top portion 21 [ As shown in FIG. 14, at least eight corners 22 positioned near the lower side of F in FIG. 14 are not hidden and visible, but in some cases, the lower part of the CDEF shown in FIG. At least four corners 22 may be omitted, leaving only four corners 22 positioned close to each other, and at least four corners 22 may be provided. The eight corners 22 are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symmetry AB.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of FIG. 14 has a square shape in which the ridges 2 and the undulations of the curved portion 3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of FIG. 3 have flat surfaces. The coupling part which is replaced by the government part 21 and hangs on the latching parts (for example, recessed part) M and N which the front end part of each part 22 and each part 22 provided in the government part 21 is added, FIG. Since it is the same shape as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of 3 base materials, it is the same as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of FIG. 3 base material to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of FIG. 14 and FI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parts corresponding to the part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또, 도 14 기재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는 평면상으로 보아 장방형(C'ABF')으로,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는 도 14 기재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의 대칭선(AB)에 대한 일방 측의 형태와 같은 것으로, 평탄한 면을 가지는 장방형의 정부(21')와 이 정부(21')를 지지하는 적어도 4개의 각부(22')를 구비하고, 평면상으로 보아 장방형의 대향하는 장변의 중앙을 잇는 대칭선(A' B')에 대하여 상기 4개의 각부(22')는 대칭위치에 있다.In addition,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of FIG. 14 is rectangular (C'ABF ') by planar view, and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is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FIG. 14) of FIG. It is the same as the shape of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line AB of S1), and has a rectangular government part 21 'which has a flat surface, and at least 4 corner parts 22' which support this government part 21 ', The four corners 22 'are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ine of symmetry A' B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opposite opposing long sides in plan view.

또, 도 14 기재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는 도 3 기재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의 것의 산부(2), 곡부(3)의 기복(起伏)이 평탄한 면을 가지는 장방형의 정부(21')로 치환되어, 각부(22) 및 각부(22')의 선단이 정부(21')에 마련한 걸림부(예를 들어, 요부) M'에 결합하는 결합부가 부가돼 있는 이외는, 도 3 기재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2)와 같은 모양이므로, 도 14 및 도 15 기재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S1)에 도 3 기재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S1)와 동일부분에 상당하는 부분에 동일부호를 달아 그의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of description of FIG. 14 has the surface of which the mountain part 2 of the thing of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of FIG. 3, and the relief of the curved part 3 are flat. Replaced by a rectangular government portion 21 ', and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engaging portion (for example, recessed portion) M'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parts 22 and 22 'by the government part 21' is added. Other than that, since it is the same shape as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2 of FIG. 3, the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of FIG. 3 is applied to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S1 of FI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parts a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청구항 1~4 기재의 저류 장치에 의하면,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를 평면상으로 보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병설하되, 상기 병설은 인접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일변끼리가 일치하게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이고, 상기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좌단부의 일변에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상기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우단부의 일변에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각각 일치하게 접촉 또는 근접하여 깔린 제 1의 병설형태와,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제 2 적층구성 부재의 모서리부(角部)로 형성되는 십자의 교차위치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중심이 위치하게 하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나머지 부위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위치시켜서,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덮는 제 2의 병설형태의 적층배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제 2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는 모두 평행이고, 상기 제 2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 직선상의 산부는 모두 평행으로,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와 직교하는 것이고, 상기 적층배열은 상기 제 2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2의 병설형태를 교호로 쌓아 겹치게 하여,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 마련한 상기 구멍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상부에서 저류 내부를 관할할 수 있는 관찰용의 통로, 물 배출용의 통로, 저류 내부에의 적하수의 통로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According to the storage device of Claims 1 to 4,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dispos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in plan view, and the parallelism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laminated member. Or a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member on one side of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ll the first laminated component members positioned in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right end portion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parallel form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member is in contact with o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longitudinal right end portion of all the first laminated component members to be positioned, respectively, and the first The first stacking member is formed at an intersection position of a cross formed by a corner portion of the second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or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in a parallel form.The center of the layered member is positioned, and the first laminated member or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placed i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first parallel form is viewed in plan view. The linear arrangement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of the first parallel form, all parallel, and the parallel arrangement of the second parallel form. Both the first stacked constituent members and the second stacked constituent members linearly peaked portions are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ridges of the first stacked constituent members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ent members of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member. The stacking arrangement alternately stacks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and alternately stacks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Since the holes provided in the layer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are formed in a planar view, the holes are used for observation, passage for water discharge, and dropping into the reservoir. A water passage can be easily secured.

Claims (4)

저류 부 내에 적층구성 부재를 적층하는 동시에, 적층한 상기 적층구성 부재와 부재의 사이의 공간에 물을 저류하는 저류 장치로서,A storage device for stacking a laminated component member in a storage portion and storing water in a space between the stacked laminated member and the member, 상기 적층구성 부재는 복수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복수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가지며, The laminated member has a plurality of first laminated members and a plurality of second laminated members,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2L 의 정방형으로, 그 정방형의 일변을 따라서 마련된 직선상의 산부와 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상의 산부는 적어도 두개이며, 상기 두 산부의 사이에 상기 곡부가 위치하며,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정방형의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직선상의 산부에 평행인 대칭선에 대하여 상기 두 산부와 상기 곡부는 대칭위치에 있고, 상기 산부의 이면(裏面)은 요부형태(凹所)이며, The first laminated member has a square shape of 2L × 2L in plan view, and includes a straight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provided along one side of the square, and the at least two straight portions are disposed between the two portions. The curved portion is located, the two peaks and the curved portion are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a symmet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square in plan view and parallel to the straight peak portion,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eak portion. Is the lumbar form,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角部)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7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8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3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9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4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4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0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7
The first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8
The secon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thir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x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89
A thir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ourth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fourth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0
Fourth holes are provided at positions L, respectively.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L의 장방형으로,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대칭선에 대한 일방 측의 형태와 같은 것이고,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in a rectangular shape of 2L × L in plan view, and is the same as the shape of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line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1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이,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에 인접하되 장변 2L 측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2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shape and is 1/4 × from the first corner portion.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1
The fifth hole at the position L is adjacent to the first corner of the rectangle, but is linear to the second corner of the long side 2L and is 1/4 ×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2
Sixth holes are provided at positions L, respectively.
저류장치는,The storage device,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를 평면상으로 보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병설하되, 상기 병설은 인접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일변끼리가 일치하게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으로, 상기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좌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상기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우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각각 일치하게 접촉 또는 근접하여서 저류장치에 깔린 제 1의 병설형태와,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plan view, wherein the parallel arrangement is such that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laminated member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each other.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s located at one side of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located at the right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parallel form of the storage devic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each other on one side of the righ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모서리부(角部)로 형성되는 십자의 교점 위치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깔고, 그 깔려진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나머지의 부위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깔아,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덮는 제 2의 병설형태의 적층배열로 이루어지며,The cross formed by the edge part of the said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and the said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or the said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and the said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of a 1st parallel form. The center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placed at the intersection position, and the first laminated member or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laid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laid down, It consists of a laminated arrangement of a second parallel form covering the first parallel form in plan view,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는 모두 평행이고, The linear portions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are all parallel, 상기 제2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는 모두 평행으로,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와 직교하는 것이며, The linear portions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n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are all parallel, and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are parallel. Perpendicular to the straight line of 상기 적층배열은 제 2의 병설형태 위에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상기 제 1의 병설형태 위에 상기 제 2의 병설형태를 교호로 쌓아 겹치게 이루어지어,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 마련한 상기 구멍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 장치.The stacking arrangement is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such that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configuration are overlapped. A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provided in the laminated member is configured to coincide in plan view.
저류 부 내에 적층구성 부재를 적층하는 동시에, 적층한 상기 적층구성 부재와 부재의 사이의 공간에 물을 저류하는 저류 장치로서,A storage device for stacking a laminated component member in a storage portion and storing water in a space between the stacked laminated member and the member, 상기 적층구성 부재는 복수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복수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가지며, The laminated member has a plurality of first laminated members and a plurality of second laminated members,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2L의 정방형으로, 그 정방형의 일변을 따라서 마련된 직선상의 산부와 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직선상의 산부는 적어도 두개이며, 상기 두 산부의 사이에 상기 곡부가 위치하며,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정방형의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통과하고 상기 직선상의 산부에 평행인 대칭선에 대하여 상기 두 산부와 상기 곡부는 대칭위치에 있고, 상기 산부의 이면(裏面)은 요부형태(凹所)이며,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s a 2L × 2L square in plan view, and has a straight line portion and a curved portion provided along one side of the square, and the at least two straight portion portions are disposed between the two peak portions. The curved portion is located, the two peaks and the curved portion are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a symmetry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square in plan view and parallel to the straight peak portion, and the back surface of the peak portion. Is the lumbar form,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角部)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3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4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5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6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7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8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3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9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3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0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1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4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4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2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4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4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3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4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In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X (0≤X≤) from the first corner portion, which is bisected in a line shape of the square first corner portion.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3
The first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square and is formed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4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5
A hole of 1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portion of the square and X (0≤X≤) from the first corner portion.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6
The secon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7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8
A hole of 2 'in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third corner of the square and X (0≤X≤)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099
The thir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thir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located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0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1
A hole of 3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ourth corner of the square and X (0≤X≤) from the fourth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2
The fourth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ourth corner of the square and is formed from the fourth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3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4
4 'hole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osition L),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L의 장방형으로,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대칭선에 대한 일방 측의 형태와 같은 것이고,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in a rectangular shape of 2L × L in plan view, and is the same as the shape of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line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5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이,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6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7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이,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에 인접하되 장변 2L 측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8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이,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9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0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In said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t is bisect-linear on the rectangular 1st corner part, and X (0 <= X <=) from the said 1st corner part.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5
The fifth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rectangle and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6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7
A 5 'hole at the position L) is adjacent to the first corner of the rectangle, and is linear to the second corner of the long side 2L and X (0≤X≤)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8
At the position L), the sixth hole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rectangle and is formed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09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0
6th 'hole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osition L),
저류장치는,The storage device,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를 평면상으로 보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병설하되, 상기 병설은 인접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일변끼리가 일치하도록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이고, 상기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좌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상기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우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각각 일치하도록 접촉 또는 근접하여서 저류장치에 깔린 제 1의 병설형태와,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in plan view, wherein the parallel arrangement is in contact or proximate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laminated member to coincide with each other.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s located at one side of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located at the right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juxtaposition with the storage device in contact with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on one side of the right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respectively, to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모서리부(角部)로 형성되는 십자의 교점 위치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깔고, 그 깔려진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나머지 부위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깔아,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덮는 제 2의 병설형태의 적층배열로 이루어지며,The cross formed by the edge part of the said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and the said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or the said 1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and the said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of a 1st parallel form. The center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placed at an intersection position, and the first laminated member or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laid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plac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As seen from the top, it consists of a lamination arrangement of a second parallel form covering the first parallel form,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는 모두 평행이고,The linear portions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member of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are all parallel, 상기 제 2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는 모두 평행으로,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직선상의 산부와 직교하는 것이고, The linear portions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and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n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are all parallel, and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and the second i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are parallel. It is orthogonal to the straight mountain part of the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상기 적층배열은 상기 제 2의 병설형태 위에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상기 제 1의 병설형태 위에 상기 제 2의 병설형태를 교호로 쌓아 겹치게 이루어지어,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 마련한 상기 구멍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 장치. The stacking arrangement is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such that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first configuration are overlapped. A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 provided in the laminated member of 2 is configured to coincide in plan view.
저류 부 내에 적층구성 부재를 적층하는 동시에, 적층한 상기 적층구성 부재와 부재의 사이의 공간에 물을 저류하는 저류 장치로서, A storage device for stacking a laminated component member in a storage portion and storing water in a space between the stacked laminated member and the member, 상기 적층구성 부재는 복수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복수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가지며, The laminated member has a plurality of first laminated members and a plurality of second laminated members,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2L의 정방형으로, 평탄한 면을 가지는 정방형의 정부(頂部)와 이 정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4개의 각부(脚部)를 구비하며,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정방형의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잇는 대칭선에 대하여 상기 4개의 각부는 대칭위치에 있고, The first laminated member has a square shape of 2L × 2L in plan view, and has a square top portion having a flat surface and at least four corner portions supporting the top portion. In view of the symmetry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opposite sides of the square, the four corners are in a symmetrical position,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1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2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3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3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4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4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4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s bisected in the first corner portion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first corner portion.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1
The first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2
The secon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thir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3
A thir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ourth corner of the square and is 1/4 × from the fourth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4
Fourth holes are provided at positions L, respectively.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L의 장방형으로,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대칭선에 대한 일방 측의 형태와 같은 것이고,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in a rectangular shape of 2L × L in plan view, and is the same as the shape of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line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5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이,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에 인접하되 장변 2L 측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1/4×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6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shape and is 1/4 × from the first corner portion.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5
The fifth hole at the position L is adjacent to the first corner of the rectangle, but is linear to the second corner of the long side 2L and is 1/4 ×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6
Sixth holes are provided at positions L, respectively.
저류장치는,The storage device,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를 평면상으로 보아 횡방향 및 종방항으로 병설하되, 상기 병설은 인접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일변끼리가 일치하도록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이고, 상기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좌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상기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우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각각 일치하도록 접촉 또는 근접하여서 저류장치에 깔린 제 1의 병설형태와,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plan view, wherein the parallel arrangement is in contact with or close to each other so that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laminated member is in agreement with each other.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s located at one side of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located at the right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juxtaposition with the storage device in contact with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on one side of the right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respectively, to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송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모서리부로 형성되는 십자의 교점 위치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깔고, 그 깔려진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나머지 부위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깔아,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덮는 제 2의 병설형태의 적층배열로 이루어지되, The second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or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formed in the intersection position of the cross-sectional member formed in the first parallel form The first laminated member or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laid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planar view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placed so that the center of the laminated member of the first member is located. It consists of a laminated arrangement of the second parallel form covering the parallel form of 상기 적층배열은 제 2의 병설형태 위에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상기 제 1의 병설형태 위에 상기 제 2의 병설형태를 교호로 쌓아 겹치게 이루어지어,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 마련한 상기 구멍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 장치The laminated arrangement is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such that the first laminated configuration member and the second are overlapped. A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es provided in the laminated component members of the structure are configured to coincide in plan view.
저류 부 내에 적층구성 부재를 적층하는 동시에, 적층한 상기 적층구성 부재와 부재의 사이의 공간에 물을 저류하는 저류 장치로서, A storage device for stacking a laminated component member in a storage portion and storing water in a space between the stacked laminated member and the member, 상기 적층구성 부재는 복수의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복수의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가지고, The laminated component member has a plurality of first laminated member and a plurality of second laminated member,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2L의 정방형으로, 평탄한 면을 가지는 정방형의 정부와 이 정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4개의 각부(脚部)를 구비하며,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정방형의 대향하는 변의 중앙을 잇는 대칭선에 대하여 상기 4개의 각부는 대칭위치에 있고, The first laminated member has a square shape of 2L × 2L in plan view, and has a square portion having a flat surface and at least four corner portions supporting the portion. The four corners are in a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opposite sides of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X(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7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8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9
L)의 위치에 제 1'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0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1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2
L)의 위치에 제 2'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3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3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3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3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4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5
L)의 위치에 제 3'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4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4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6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4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4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7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8
L)의 위치에 제 4'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In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X (0≤X≤) from the first corner portion, which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portion of the square.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7
The first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square and is formed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8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19
A hole of 1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of the square and X (0≤X≤)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0
The secon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secon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1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2
A hole of 2 'in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third corner of the square and X (0≤X≤)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3
The third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third corner of the square and is located from the thir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4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5
A hole of 3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ourth corner of the square and X (0≤X≤) from the fourth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6
The fourth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ourth corner of the square and is formed from the fourth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7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8
4 'hole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osition L),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는 평면상으로 보아 2L×L의 장방형으로,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대칭선에 대한 일방 측의 형태와 같은 것이고,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in a rectangular shape of 2L × L in plan view, and is the same as the shape of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symmetry line of the first laminated member.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는,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9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130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31
L)의 위치에 제 5'의 구멍이, 상기 정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에 인접하되 장변 2L 측의 제 2의 모서리부의 선상이며 상기 제 2의 모서리부로부터 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32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이, 상기 장방형의 제 1의 모서리부의 이등분 선상이며 상기 제 1의 모서리부로부터
Figure 112008010355680-pat00133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34
L)의 위치에 제 6'의 구멍이 각각 마련되고,
In said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t is bisect-linear on the rectangular 1st corner part, and X (0 <= X <=) from the said 1st corner part.
Figure 112008010355680-pat00129
A fifth hole at the position L)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square and is formed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30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31
A 5 'hole in the position L) is adjacent to the first corner of the square and is linear to the second corner of the long side 2L and X (0≤X≤) from the second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32
At the position L), a sixth hole is bisected on the first corner of the rectangle and is spaced from the first corner.
Figure 112008010355680-pat00133
LX (0≤X≤
Figure 112008010355680-pat00134
6th 'hole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osition L),
저류장치는,The storage device,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를 평면상으로 보아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병설하되, 상기 병설은 인접하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일변끼리가 일치하도록 접촉 또는 근접하는 것이고, 상기 종방향의 좌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좌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상기 종방향의 우단부에 위치하는 모든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종방향의 우단부의 일변에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긴 쪽 방향의 변이, 각각 일치하도록 접촉 또는 근접하여서 저류장치에 깔린 제 1의 병설형태와, The first laminated member is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viewed in plan view, wherein the parallel arrangement is in contact or proximate one side of the adjacent first laminated member to coincide with each other.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s located at one side of the left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ll of the first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s loc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located at the right end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juxtaposition with the storage device in contact with or in close proximit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laminated component on one side of the right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mber, respectively, to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와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의 모서리부로 형성되는 십자의 교점 위치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깔고, 그 깔려진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의 나머지 부위에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또는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를 깔아, 평면상으로 보아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덮는 제 2의 병설형태의 적층배열로 이루어지되,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or the first stacking member and the second stacking member formed at the intersections of the cross-section formed in the cross-sectional position of the second stacked member in the first parallel form The center of the laminated member of 1 is laid so that the first laminated member or the second laminated member is laid on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laid first laminated member, and the planar member is placed in plan view. It consists of a laminated arrangement of the second parallel form covering the parallel form of 1, 상기 적층배열은 제 2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1의 병설형태를, 상기 제 1의 병설형태의 위에 상기 제 2의 병설형태를 교호로 쌓아 겹치게 이루어지어, 상기 제 1의 적층구성 부재 및 상기 제 2의 적층구성 부재에 마련한 상기 구멍이 평면상으로 보아 일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 장치.The laminated arrangement is formed by alternately stacking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and the second parallel configuration on the first parallel configuration. The said storage hole provided in the 2nd laminated constitution member is comprised so that it may coincide with planar view, The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KR1020060101721A 2006-10-19 2006-10-19 Storage device Active KR1008403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721A KR100840350B1 (en) 2006-10-19 2006-10-19 Stor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721A KR100840350B1 (en) 2006-10-19 2006-10-19 Storag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261A KR20080035261A (en) 2008-04-23
KR100840350B1 true KR100840350B1 (en) 2008-06-20

Family

ID=3957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721A Active KR100840350B1 (en) 2006-10-19 2006-10-19 Storag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35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049A (en) 1997-05-21 1999-07-13 Kankyo Assessment Center:Kk Laminated structure
JP2003155762A (en) 2001-11-20 2003-05-30 Sekisui Chem Co Ltd Storing and/or permeation facilities for rainwater or the like
JP2003313926A (en) 2002-04-19 2003-11-06 Ebata Kk Blocked laminated bodies and rain water storage/ infiltration facil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0049A (en) 1997-05-21 1999-07-13 Kankyo Assessment Center:Kk Laminated structure
JP2003155762A (en) 2001-11-20 2003-05-30 Sekisui Chem Co Ltd Storing and/or permeation facilities for rainwater or the like
JP2003313926A (en) 2002-04-19 2003-11-06 Ebata Kk Blocked laminated bodies and rain water storage/ infiltration fac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261A (en)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835B2 (en) Drainage cell modular raintank and water storage system
CN101405203B (en) Drainage cell modular raintank and water storage system
AU2010305511B2 (en) Drainage body
BR112017005320B1 (en) Plastic infiltration unit and system
JP5294439B1 (en) Structural members used for rainwater storage laminated structure
JP5392940B1 (en) Structural member used for rainwater storage laminated structure
CN101711299B (en) Treatment equipment for rainwater
KR100840350B1 (en) Storage device
TWI716542B (en) Storage unit
CA2581624C (en) Drainage cell modular raintank and water storage system
JP5832658B2 (en) Breakwater structure with rubble removed
JP4877545B2 (en) Concrete block body for rainwater storage and penetration facilities, and rainwater storage and penetration facilities using the same
JP4673264B2 (en) Storage device
KR101237197B1 (en) Reservoir facility for rainwater
JP7021385B1 (en) Stormwater retention board of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y and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y
KR101157098B1 (en) The Protection Plate of Underground Cable
JP4933867B2 (en) Rainwater storage / infiltration facility structural member, rainwater storage / infiltration facility structure, and rainwater storage / infiltration facility using the same
JP2007016555A (en) Constituent member for rain water storage infiltration tank and the rain water storage infiltration tank
JP2004092268A (en) Storage infiltration device
JP2025082687A (en) Rainwater storage laminate
JP6889655B2 (en) Storage tank
JP2025082566A (en) Structural member of rainwater storage laminate, and rainwater storage laminate
JP5412352B2 (en) Foamed synthetic resin block laminated structure for embankment, its lamination method and foamed synthetic resin block
CN111663565A (en) Combined ecological retaining w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061143A (en) Connector of drain material and driving method of the drain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6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0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4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