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0148B1 - 분기밸브 - Google Patents

분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148B1
KR100840148B1 KR1020070050652A KR20070050652A KR100840148B1 KR 100840148 B1 KR100840148 B1 KR 100840148B1 KR 1020070050652 A KR1020070050652 A KR 1020070050652A KR 20070050652 A KR20070050652 A KR 20070050652A KR 100840148 B1 KR100840148 B1 KR 100840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ranch
thread
piston
sealing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0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규
Original Assignee
나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은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은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50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1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14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3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tapered plu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Valve Housing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관로에서 관로를 분기시켜 물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에 급수관로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분기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기밀용으로 사용되는 밀폐부재류를 제외한 모든 부품을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하여 가공 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제성, 실용성 및 친환경성을 갖춘 급수 분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분기밸브는 모든 구성부품이 결합하는 몸체가 십(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 하부에는 원수관로와 접속되는 연결너트가 탄성 결합하며, 상부에는 제1 외부관로와의 접속부가 몸체와 일체 성형되어 구비된다. 한편, 몸체 중앙부 외주면의 일 측면에는 분기유로가 돌출 성형되어 있고, 분기유로와 대향하는 타 측면에는 밸브유니트 결합부가 돌출 성형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서 몸체의 하부 외주면에는 걸림쇠 결합홈과 걸림쇠 지지턱을 동심원상으로 일체 성형하고 연결너트 상부에는 걸림쇠와 지지대를 동심원상으로 일체로 구비하여 몸체와 탄성 결합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밸브유니트는 크게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실린더 하단부에는 나사산을 구비하여, 피스톤에 일체 성형된 나사산부와 맞물려서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하여 피스톤의 끝 부분에 형성된 원추형 유량제어부가 제2출수로의 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며, 밸브결합부 끝 부분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되고 덮개와 나사결합하고, 밸브 손잡이는 피스톤 끝 부분 에 형성된 밸브 손잡이 안내홈에 끼워져서 조립되며, 실린더와 몸체 사이 및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는 각각 밀폐부재가 끼워져서 기밀을 유지하며, 제2출수로를 완전히 막기 위해 피스톤의 하부에 있는 원추형 유량제어부 바로 윗부분에 별도의 유로 차단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 하부에는 밀폐부재 지지턱과 밀폐부재 이탈방지턱이 일체로 성형 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너트의 외주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체결 손잡이가 일체 성형 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연결너트의 걸림쇠는 플라스틱 소재의 취약점인 강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걸림쇠 지지대를 곡면으로 구성하고 지지대 외면에 복수의 보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몸체의 제1 외부 관로 접속부의 나사산, 제 2 외부관로 접속부의 나사산 및 밸브 유니트 결합부의 나사산은 숫나사산으로, 상기 연결너트의 나사산은 암나사산으로 구성되며, 규격을 동일하게 하여 분기 밸브를 직병렬 어느 방향으로든 다중으로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필요한 분기 유로 만큼 확장은 물론, 개별 분기 유로의 개폐 및 유량제어가 되며, 밸브 유니트를 분리하면 부가적으로 제 3 출수로가 형성되는 등 최대한의 확장성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라스틱이 갖는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분기밸브의 부품구성 및 가공공정을 단순화하여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밸브 유니트를 내장시켜서 보다 신뢰성 있는 유량제어 기능을 실현시켰으며, 종래의 급수분기구가 구비하지 못했던 연결너트 체결 손잡이 및 밀폐부재 이탈방지 구조가 부가되어 실용성을 향상시켰으며, 금속 급수분기구에서 적용되는 부식 방지용 크롬 도금 공정이 배제되어 환경유해물질 배출 작업 및 그 적용 부품에 대한 국제적 규제에 대응할 수 있고, 몸체에 세 방향으로 형성된 숫 나사산과 연결너트의 암나사산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분기밸브를 다중 결합하여 분기유로의 수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igure 112007038102229-pat00001
분기밸브, 플라스틱, 제1 출수구, 제2 출수구, 밸브유니트, 연결너트, 밀폐부재

Description

분기밸브 {Two-way Connector with Valve Unit}
도 1은 종래의 급수분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밸브의 외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밸브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밸브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유니트의 조립 외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의 외관도 및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스톤의 외관 및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손잡이의 구조도 및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너트의 외관도 및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쇠 및 지지대의 상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밸브의 제조 공정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밸브의 직병렬 접속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몸체
110. 제1 외부관로 접속부
111. 제1 출수구 112. 나사산
120. 제2 외부관로 접속부
121. 제2 출수구 122. 나사산
123. 제2 출수구 입구
130. 연결너트 접속부
131. 입수구
132. 걸림쇠 결합홈 133. 걸림쇠 지지턱
134. 밀폐부재 지지턱 135. 밀폐부재 끼움홈
136. 밀폐부재 이탈방지턱
140. 밸브 유니트 결합부
141. 밸브 유니트 삽입부 142. 나사산
143. 실린더 밀폐부재 조립턱
200. 연결너트
210. 몸체 결합부
211. 걸림쇠 212. 지지대
213. 보강돌기
220. 원수관로 결합부
222. 체결 손잡이 223. 나사산
300. 밸브 유니트
310. 피스톤
311.밸브 손잡이 조립부
311-a. 밸브 손잡이 안내홈 311-b. 밸브 손잡이 고정홈
312. 나사산
313. 피스톤 멈춤턱 314. 피스톤 밀폐부재 결합홈
315. 유로 차단 부재 지지턱 316. 차단부재 삽입홈
317. 유량 제어부 318. 유로 차단부재
319. 피스톤 밀폐부재
320. 실린더
321. 실린더 밀폐부재 322. 나사산
330. 덮개
340. 손잡이
341. 밸브 손잡이 걸림턱 342. 밸브 손잡이 멈춤 돌기
343. 피스톤 결합부
400. 밀폐부재
본 발명은 원수관로에서 관로를 분기시켜 물을 사용하는 가전제품에 급수관로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분기 밸브에 관한 것이다. 특히 더욱 상세하게는 기밀용으로 사용되는 밀폐부재류를 제외한 모든 부품을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하여 가공 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경제성, 실용성 및 친환경성을 구비함과 동시에 분기 유로에 대한 개폐 및 유량제어가 가능하도록 밸브 기능을 포함시킨 분기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정수기나 비데 등의 제품은 기능상 수돗물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시 옥내의 수도 관로에서 관로를 분기시키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한편, 건물을 새로 지으면서 하는 배관용 분기구와는 달리, 가정용 기기에 적용되는 급수분기구는 기존 배관의 접속부를 분리해서 설치를 해야 하며, 시공 후의 접속부의 기밀이 확보되어 누수가 발생하지 않아야 함은 물론, 분기 출구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호스가 꺾이거나 비틀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구조적 요건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본적 요건을 구비한 종래의 급수분기구의 일반적 사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특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급수분기구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부품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관은 부식 방지를 위해 크롬 도금 처리를 하고 있다. 몸체(70)의 상단 외주면에는 나사산(71)이 가공되어 있어 외부 관로의 접속구(20)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으며, 몸체 하단에는 연결너트(73)이 별도로 가공된 결합구(미 도시)에 의해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연결너트는 몸체와 독립적으로 회전이 되는 구조이며, 연결너트 내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되어 원수관로(10)의 단부에 있는 나사산에 나사 결합된다. 몸체 중앙부에는 분기 유로(72)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분기 유로 내부에 가공된 나사산에 별도의 호스 접속구(74)가 나사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급수 분기구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부품이 황동과 같은 금속 소재를 절삭 가공하여 제작되므로 소재의 가격도 고가이며, 가공도 여러 단계의 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성 및 그에 따른 비용 부담의 문제가 있고, 부식 방지를 위해 환경유해물질로 규제되는 크롬도금 작업을 수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분기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기능이 없어서 분기 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받는 제품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원수관로에 있는 밸브를 잠글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 분기 유로 뿐만 아니라, 원래의 용도로 접속된 외부 관로도 단수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플라스틱 소재가 갖는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복잡한 개별 구조들을 한 번의 사출 성형으로 형성시키고, 플라스틱 소재의 취약점인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휨이나 꺾임을 방지하는 지지 구조를 보강하는 한편, 분기 유로를 개별적으로 개폐 또는 유량제어가 가능하도록 밸브 유니트를 내장시킴으로써 실용성이 향상된 분기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라스틱 자체가 내식성 소재이기 때문에 별도의 크롬 도금 공정이 필요치 않아 환경 친화적인 분기 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기 유로의 수를 확장하고 싶을 때, 본 발명의 분기 밸브를 직병렬 어느 방향으로나 다중으로 결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 분기 밸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기 밸브는,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 된 몸체 하부에 동심원상으로 걸림쇠 결합홈과 걸림쇠 지지턱으로 구성된 걸림쇠 결합수단을 구비하고, 연결너트 상부에 몸체와 동심원상으로 복수의 걸림쇠를 일체로 성형하여, 몸체와 연결너트가 탄성 결합됨과 동시에 결합한 연결너트가 몸체와는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 중앙에는 제2 외부 관로와 접속되는 제2 출수로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제2 출수로에 대향하는 반대면에는 밸브 유니트 결합부가 몸체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그 내부에 밸브 유니트가 삽입되고 몸체와 나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밸브 유니트는 피스톤, 실린더, 밸브 덮개, 밸브 손잡이, 피스톤 밀폐부재 및 유로 차단부재로 구성되며, 피스톤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부분적으로 나사산을 구비하여 실린더 하부의 나사산과 맞물려 밸브 손잡이를 회전시키면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피스톤의 끝에 구비된 유량제어부가 제2 출수로 입구의 유로 단면적에 변화를 주게되어 제2 출수로를 통해 제2 외부 관로로 공급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 하단에는 밀폐부재 지지턱과 밀폐부재 이탈방지턱을 구비하여 조립, 포장, 운반, 시공, 수리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밀폐부재의 이탈을 방지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너트의 외주면에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손잡이를 일체로 돌 출 성형하여 외부 관로와 연결시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특징은 몸체, 연결너트 및 밸브 유니트를 내식성 소재인 플라스틱을 사용함으로써 환경유해물질을 배출하는 대표적인 공정인 크롬 도금 공정이 배제된 부품 구성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몸체의 제1 외부 관로 접속부의 나사산, 제 2 외부관로 접속부의 나사산 및 밸브 유니트 결합부의 나사산은 숫나사산으로, 상기 연결너트의 나사산은 암나사산으로 구성되며, 규격을 동일하게 하여 분기 밸브를 직병렬 어느 방향으로든 다중으로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필요한 분기 유로 만큼 확장은 물론, 개별 분기 유로의 개폐 및 유량제어가 되며, 밸브 유니트를 분리하면 부가적으로 제 3 출수로가 형성되는 등 최대한의 확장성을 구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성 및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된 분기 밸브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기 밸브의 외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기 밸브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기 밸브의 전개도이다. 또, 도 5에서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개별 구성 부품에 대한 세부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기 밸브의 제조공정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기 밸 브는 크게 몸체(100), 연결너트(200) 및 밸브유니트(300) 로 구성된다. 상기 각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본 발명의 각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수세식 좌변기에 설치되는 비데에 적용한 분기 밸브의 경우를 일실시 예로 설명하면,
상기 분기밸브는 원수관로로부터 입수구(131)를 통해 유입된 물이 변기 탱크로 흘러가는 제 1 출수구(111)와 비데로 공급되는 제 2 출수구(121)로 분기되는 내부 유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몸체(100)는 입수구(131) 측 끝 부분에 연결너트 접속부(130)와, 제 1 출수구(111) 측 끝 부분에 제1 외부 관로 접속부(110)와, 제 2 출수구(121) 측 끝 부분에 제2 외부 관로 접속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연결너트 접속부(130)는 밀폐부재(400)가 장착되는 밀폐부재 끼움홈(135)과, 연결너트(200)의 상부에 있는 걸림쇠(211)가 몸체(100)에 탄성 결합되는 걸림쇠 결합홈(132)과, 결합한 연결너트(200)가 빠지지 않도록 상기 걸림쇠(211)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쇠 지지턱(1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0)의 제1 외부 관로 접속부(110)는 외주면에 나사산(112)을 형성하여 제1 외부 관로 끝 부분에 조립되어 있는 접속너트(미도시)와 나사 결합한다.
상기 몸체(100)의 제2 외부 관로 접속부(120)는 외주면에 나사산(122)을 형성하여 제2 외부 관로와의 접속 수단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2 외부 관로 접속부(120)와 대향하는 반대면에 밸브 유니트 결합 부(140)가 몸체(100)에 돌출 성형되고, 그 내부에 밸브 유니트(300)가 삽입되고 몸체(100)와 나사 결합한다. 밸브 유니트(300)를 조립하기 전에 실린더 밀폐부재(321)를 몸체의 실린더 밀폐부재 조립턱(143)에 먼저 조립함으로써 밸브 유니트(300)와 몸체(100) 사이에 기밀이 유지된다.
또한, 밸브 유니트(300)는 피스톤(310), 실린더(320), 밸브 덮개(330), 밸브 손잡이(340), 피스톤 밀폐부재(319) 및 유로 차단부재(318)로 구성되며, 피스톤의 중앙부 외주면에는 부분적으로 나사산(312)을 구비하여 실린더 하부의 나사산(322)과 맞물려 밸브 손잡이(340)를 회전시키면 피스톤(310)이 실린더(320) 내부에서 왕복운동을 하면서 피스톤(310)의 끝에 구비된 유량제어부(317)가 제2 출수로 입구(123)의 유로 단면적에 변화를 주게되어 제2 출수로(121)를 통해 제2 외부 관로로 공급되는 유량을 제어한다.한편, 피스톤(310)의 나사산(312) 상단에는 복수개의 피스톤 밀폐부재 결합홈(314)이 일체로 구비되며, 여기에 1개 이상의 피스톤 밀폐부재(319)가 끼워져서 피스톤(310)과 실린더(320) 벽면 간에 기밀을 제공한다. 또한, 제2 출수로(121)를 완전히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유량제어부(317)과 인접하여 차단부재 삽입홈(316)이 일체로 구비되고, 여기에 유로 차단부재(318)가 끼워지며, 밸브 손잡이(340)의 무리한 작동으로 유로 차단부재(318)가 차단부재 삽입홈을 이탈하는 것을 막기 위해 유로 차단부재 지지턱(315)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310)의 나사산(312)이 실린더(320)의 나사산(322)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피스톤 멈춤턱(314)이 피스톤 밀폐부재 결합홈(314)의 상측에 구비되어 밸브 손잡이(340)를 회전시켜서 제2 출수로(121)를 완전 개방하더라도 피스톤 멈춤 턱(313)이 덮개(330) 하단에 이르면 더 이상 회전이 안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손잡이(340)는 하단부에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걸림턱(341)이 상기 피스톤(310)의 밸브 손잡이 조립부(311)에 구비되어 있는 밸브 손잡이 안내홈(311-a)에 끼워서 조립되며, 손잡이 안내 홈(311-a) 중앙에는 밸브 손잡이 고정홈(311-b)이 구비되어 밸브 손잡이 걸림턱(341) 중앙에 구비된 손잡이 멈춤돌기(342)가 탄성 결합되어 밸브 손잡이(340)가 피스톤(3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피스톤(310)의 상부에 있는 밸브 손잡이 조립부(311)는 밸브 손잡이(340)를 회전할 때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면이 밸브 손잡이(340)의 피스톤 결합부(343)의 내부 벽면과 꽉 끼워지도록 양면이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조립된 밸브 유니트는 덮개(330) 내주면에 있는 나사산(미 도시)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밸브 유니트 결합부(140)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142)과 나사 결합한다.
상기 연결너트(200)는 원수관로 결합부(220)와 몸체 결합부(210)로 구성되며, 원수 관로 결합부(220) 내주면에 나사산(223)을 형성하여 원수 관로 끝 부분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나사결합된다. 상기 몸체 결합부(210)는 내주면에 동심원 상으로 복수의 걸림쇠(211) 및 지지대(212)를 구비한다.상기 걸림쇠(211)는 연결너트(200)를 몸체(100)에 결합하는 작업 과정에서는 탄성이 요구되지만 일단 결합 작업이 종료되면 높은 수압에서도 이탈이 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이 요구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지지대(211)의 단면을 곡면으로 형성시키고 지지대(212) 외면에 복수의 보강돌기(213)를 구비하여 금속에 비해 취약한 플라스틱의 강성을 보완하는 한편, 연결너트(200)를 몸체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지지대(212)가 탄성 한계를 벗어나 영구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합 전에 연결너트(200)를 끓는 물속에 담가 일시적 연화 처리 공정을 거친 뒤, 압입장치로 탄성 결합한 뒤 상온에 방치하면 걸림쇠(211)의 강성이 회복되는 조립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너트(200)의 걸림쇠(211) 및 몸체(100)의 걸림쇠 결합홈(132)은 상호 동심원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너트(200)가 몸체(100)에 탄성 결합한 후에 몸체(100)와 연결너트(200)가 독립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제2 외부 관로와 배관할 때 제2 외부관로의 방향과 몸체(100)의 제2 출수구(122)의 방향을 일치시켜서 호스의 비틀림 또는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재(400)는 상기 몸체(100)의 연결너트 접속부(13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밀폐부재 지지턱(134)과 밀폐부재 이탈방지턱(136) 사이에 형성된 밀폐부재 끼움홈(135)에 조립되어, 조립, 포장, 운반, 시공, 수리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밀폐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밀폐부재(40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100)와 원수관로와의 나사 결합을 한 이후에 두 관로 간의 누수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몸체(100)의 제1 외부 관로 접속부의 나사산(112), 제 2 외부관로 접속부의 나사산(122) 및 밸브 유니트 결합부(14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42)은 숫나사산으로, 상기 연결너트(200)의 나사산(223)은 암나사산으로 구성되며, 규격을 동일하게 하여 분기 밸브를 직병렬 어느 방향으로든 다중으로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여, 필요한 분기 유로 만큼 확장은 물론, 개별 분기 유로의 개폐 및 유량제어가 되며, 밸브 유니트를 분리하면 부가적으로 제 3 출수로가 형성되는 등 최대한의 확장성을 구비한다.
상기 실시 예는 편의상 욕실에서 사용된, 비데에 적용한 상태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 외에 수도관 등에서 관로를 분기시켜 사용하는 다양한 제품 등에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기 밸브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은 강성 및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를 이용하여 몸체와 연결너트를 탄성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부품 구성 및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분기 유로인 제2 출수로를 개별적으로 개폐하고 외부 수압에 따라 적절한 유량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분기 관로나 그 관로에 접속된 제품 고장시에도 제1 출수로의 사용에는 제한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플라스틱 소재의 장점인 내식성을 활용함으로써 크롬 도금 공정이 배제되어 국제적으로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환경 관련 규제에 매우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분기 밸브의 하부너트 외주면에 체결 손잡이를 일체 성형함으로써, 작업성을 개선하고 공구를 사용한 무리한 체결로 밀폐부재의 변형 또는 파손으로 인한 누수 문제를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몸체에 구비된 3개의 숫나사산과 연결너트의 암나사산의 규격을 일치시킴으로써 분기유로의 수를 늘리고 싶은 경우, 본 발명의 분기 밸브를 직렬 또는 병렬의 어느 방향으로든 다중으로 결합하여 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비데 또는 정수기 등의 수도 직결형 제품에 있어서 원수관으로부터 관로를 분기시키는데 사용하는 분기 밸브에 있어서,
    강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 되며, 일단부에 걸림쇠 결합홈(132)과, 걸림쇠 지지턱(133)가 동심원상으로 구비된 연결너트 접속부(130)와, 타단부에 외주면상으로 나사산(112)을 형성하여 제1 외부 관로와 나사 결합하는 제1 외부 관로 접속부(110)와, 중앙부에서 돌출 성형 되어 그 끝 부분 외주면에 나사산(122)을 구비한 제2 외부 관로 접속부(120)가 일체로 성형 된 몸체(100)와;
    강성과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소재로 성형 되며, 내주면에 원수관로와의 접속을 위한 나사산(223)이 구비된 원수관로 결합부(220)와, 복수의 걸림쇠(211) 및 지지대(212)가 몸체(100)와 동심원상으로 일체로 성형 된 몸체 결합부(210)가 일체로 성형 된 연결너트(200)와;
    실린더(320) 하단에 일체로 성형된 나사산(322)과 피스톤(310) 중앙부에 일체로 성형된 나사산(312)가 맞물려 조립되며, 피스톤 끝에 원추형의 유량제어부(317)가 일체로 성형되고, 유로 개폐부재(318) 및 1개 이상의 피스톤 밀폐부재(319)가 피스톤(310)에 일체 성형되어 있는 피스톤 밀폐부재 결합홈(314)에 삽입되고, 상기 피스톤(310)의 상부에 덮개(330) 및 밸브 손잡이(340)가 끼워져서 구성된 밸브 유니트(300)와;
    상기 몸체(100)의 실린더 밀폐부재 조립턱(143)에 조립되는 실린더 밀폐부재(32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연결너트 접속부(130) 하단에 밀폐부재 지지턱(134), 밀폐부재 끼움홈(135) 및 밀폐부재 이탈방지턱(136)이 상기 몸체(100)와 일체 성형 되어 구비되며, 탄성을 가진 재질의 밀폐부재(400)가 상기 밀폐부재 끼움홈(135)에 조립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211)를 지탱하는 지지대(212)는 단면이 몸체 외주면과 동심원상으로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지지대의 외면에는 복수의 보강돌기(21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너트(200)는 그 하부 외주면에 서로 대향한 체결 손잡이(222)를 일체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너트(200)는 몸체(100)와 탄성 결합하기 전에 끓는 물에 담가 일시적 연화처리 공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손잡이의 하단부에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 걸림턱(341)이 상기 피스톤(310)의 밸브 손잡이 조립부(311)에 구비되어 있는 밸브 손잡이 안내홈(311-a)에 끼워서 조립되며, 손잡이 안내 홈(311-a) 중앙에는 밸브 손잡이 고정홈(311-b)이 구비되어 밸브 손잡이 걸림턱(341) 중앙에 구비된 손잡이 멈춤돌기(342)가 탄성 결합되는 한편, 피스톤(310)의 상부에 있는 밸브 손잡이 조립부(311)는 피스톤 결합부(343)의 내부 벽면과 꽉 끼워지도록 양면이 평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밸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제1 외부 관로 접속부의 나사산(112), 제 2 외부관로 접속부의 나사산(122) 및 밸브 유니트 결합부(14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42)은 숫나사산으로, 상기 연결너트(200)의 나사산(223)은 암나사산으로 구성되며, 규격을 동일하게 하여 분기 밸브를 직렬 또는 병렬의 어느 방향으로든 다중으로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 밸브
KR1020070050652A 2007-05-25 2007-05-25 분기밸브 Expired - Fee Related KR100840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652A KR100840148B1 (ko) 2007-05-25 2007-05-25 분기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0652A KR100840148B1 (ko) 2007-05-25 2007-05-25 분기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148B1 true KR100840148B1 (ko) 2008-06-23

Family

ID=3977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06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0148B1 (ko) 2007-05-25 2007-05-25 분기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014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189Y1 (ko) 2011-06-21 2012-12-14 김기래 호스 연결용 핸드 밸브
KR20150107045A (ko) * 2014-03-13 2015-09-23 이용철 양식장 사육수 공급장치
KR102227095B1 (ko) * 2020-08-13 2021-03-11 노응석 수지인서트를 갖는 분기용 어댑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916A (ko) * 1998-07-18 2000-02-15 전점영 솔레노이드 밸브
JP2004116556A (ja) 2002-09-24 2004-04-15 Sumida Tekko Kk
KR200393811Y1 (ko) 2005-05-26 2005-08-31 연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분배밸브 및 이를 이용한 헤더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916A (ko) * 1998-07-18 2000-02-15 전점영 솔레노이드 밸브
JP2004116556A (ja) 2002-09-24 2004-04-15 Sumida Tekko Kk
KR200393811Y1 (ko) 2005-05-26 2005-08-31 연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분배밸브 및 이를 이용한 헤더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189Y1 (ko) 2011-06-21 2012-12-14 김기래 호스 연결용 핸드 밸브
KR20150107045A (ko) * 2014-03-13 2015-09-23 이용철 양식장 사육수 공급장치
KR101582028B1 (ko) * 2014-03-13 2015-12-31 이용철 양식장 사육수 공급장치
KR102227095B1 (ko) * 2020-08-13 2021-03-11 노응석 수지인서트를 갖는 분기용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35310B2 (en) Flow quantity regulator
KR100840148B1 (ko) 분기밸브
KR100854469B1 (ko) 급수 분기구
KR101143869B1 (ko) 수도전 푸시밸브
KR101830396B1 (ko) 친환경 관붙이 앵글밸브
EP2821712B1 (en) Anti-lime collectors having a modular structure
EP2142829A1 (en) Tap
KR100478083B1 (ko) 보조공급수 연결용 튜브가 접속되는 수도꼭지 연결구
KR20110091255A (ko) 체크밸브 내장형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0420699Y1 (ko) 밸브를 겸하는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220170107A (ko) 관붙이용 앵글밸브
KR101021884B1 (ko) 워터햄머 흡수기용 밸브조립체
AU2017100675A4 (en) Improved Tap
KR200464189Y1 (ko) 호스 연결용 핸드 밸브
KR101172710B1 (ko) 개선된 배관연결구조를 갖는 냉온수 및 혼합수 공급용 싱글레버수전
KR200462897Y1 (ko) 유체 분기장치
KR200440774Y1 (ko) 배관 분기용 연결구
KR20080002553U (ko) 걸림테가 구비된 관이음구
KR20090045784A (ko) 볼 밸브를 일체형으로 내장한 유니언 및 유니언의 연결방법
KR20040020689A (ko) 변환밸브
KR20070065764A (ko) 다용도 코크
KR102227095B1 (ko) 수지인서트를 갖는 분기용 어댑터
AU2011101764A4 (en) Isolating stop cock valve
KR200409417Y1 (ko) 수전 배관연결 밸브
KR200157827Y1 (ko) 파이프 어댑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