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40003B1 - 인삼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0003B1
KR100840003B1 KR1020070016208A KR20070016208A KR100840003B1 KR 100840003 B1 KR100840003 B1 KR 100840003B1 KR 1020070016208 A KR1020070016208 A KR 1020070016208A KR 20070016208 A KR20070016208 A KR 20070016208A KR 100840003 B1 KR100840003 B1 KR 100840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hours
black
steaming
dry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화
고완석
Original Assignee
고상화
고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상화, 고완석 filed Critical 고상화
Priority to KR1020070016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0003B1/ko
Priority to PCT/KR2008/000805 priority patent/WO200810005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00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1Instant products; Powders; Flakes; Gran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5Concentrates of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9Dry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4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adjustable volume; Tie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 1의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를 이용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흑삼 및 그 추출액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흑삼의 제조에 이용되는 도 1의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를 이용할 경우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한번 물을 첨가하면 더이상 물을 첨가할 필요가 없어 인삼을 증숙하는 공정에서 지속적으로 그 증숙 온도가 유지되고, 물과의 접촉이 전혀 없어 인삼의 유용한 활성성분이 빠져나가지 않게 되어 기존 흑삼보다 인삼사포닌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흑삼을 제조할 수 있다.
인삼사포닌, 흑삼, 흑삼 추출액

Description

인삼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EPARING A BLACK GINSENG HAVING HIGH GINSENOSIDE COMPONENTS}
도 1은 본원의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찜기 내부 구조를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찜기 내부의 스테인레스 소쿠리 및 채반의 상세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 단열재 2. 파라핀 왁스층
3. 스테인레스 소쿠리 4. 스테인레스 채반
5. 스테인레스 채반 받침대 6. 소쿠리 받침대
7. 물 8. 돔 구조의 뚜껑
11. 찜기 측벽과 소쿠리 사이의 간격
12. 스테인레스 채반 받침대의 두께
13. 찜기 바닥면과 받침대 사이의 간격
본 발명은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를 이용하여 인삼사포닌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이로부터 제조된 흑삼 및 흑삼의 추출액에 관한 것이다.
흑삼이란 수회 증숙 및 건조과정을 거쳐 인삼이 검은 색으로 변한 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수회 증식 및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인삼의 아주 유용한 활성성분인 인삼사포닌(Ginsenoside)이 빠져나가지 않아 인삼 및 홍삼에 비하여 그 활성성분의 함량이 증대된 것이다.
이러한 흑삼은 기존의 인삼의 가공식품으로 많이 이용되던 홍삼에 비하여 그 인삼사포닌의 함량 면에서 탁월하기 때문에, 최근 그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0005089호(흑삼과 흑미삼의 제조방법)에는, 인삼을 세척한 후에 몸체와 미삼으로 분리하고 인삼의 몸체와 미삼의 수분함량이 14% 이하가 되도록 건조시킨 다음, 이 과정을 7회 이상 반복하여 인삼이 홍삼으로, 홍삼이 흑삼으로 검게 변하면서 사포닌 속에 함유있는 주요 성분이 그대로 남아있는 흑삼 또는 흑미삼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공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인삼을 몸체와 미삼으로 분리함으로써 인삼에 흠집이 생긴 채로 증숙과정을 거침으로써 그 흠집에서 유용한 성분들이 빠져나오게 되어 인삼사포닌이 그리 많은 함량을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43862호(활성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 및 제10-0600795호(진세노사이드 알지쓰리 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농축액)에서는 기존 흑삼에 대하여 활성성분의 함량이 뛰어난 흑삼 및 흑삼 농축액에 대하여 공개하고 있으나, 이들 모두는 인삼의 증숙공정을 가마솥에서 수행하는데, 장시간의 증숙공정을 가마솥에서 수행할 경우 물을 주기적으로 주입하여야하는데 이 때 외부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일시적으로 온도가 하강되어 지속적인 증숙 온도를 유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의 흑삼의 증숙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본 발명자가 고안한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를 이용하여 흑삼을 제조한 결과, 상기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의 경우에는 그 내부 구조적인 특징으로 인하여 물을 넣고 증숙공정을 수행하여도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물을 주기적으로 주입할 필요가 없어 증숙공정의 온도조절이 용이하고 외부의 찬 공기와의 접촉을 피할 수 있어 기존 흑삼에 비하여 인삼사포닌 성분의 함량이 더 높은 흑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 1의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를 이용하여 인삼사포닌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또한 이로부터 제조된 흑삼 및 흑삼의 추출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 1의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를 이용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삼을 세척하여 음지에서 24-48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인삼을 98-102℃에서,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7-9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 1 차 증숙하고, 54-56℃에서, 바람직하게는 55℃에서 48-72시간, 바람직하게는 7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98-102℃,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7-9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 2차 증숙하고, 54-56℃에서 12-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94-96℃에서, 바람직하게는 95℃에서, 7-9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 3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93-94℃에서, 바람직하게는 92℃에서, 7-9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 4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88-90℃에서, 바람직하게는 89℃에서, 7-9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 5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85-87℃에서, 바람직하게는 86℃에서, 7-9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 6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82-84℃에서, 바람직하게는 83℃에서, 7-9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 7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79-81℃에서, 바람직하게는 80℃, 7-9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 8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76-78℃에서, 바람직하게는 77℃에서 7-9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8시간 동안 9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흑삼에 20-27배의 물에서 90 내지 120℃에서 60 내지 80시간, 바람직하게는 72시간 동안 추출하여 흑삼의 추출액을 제조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흑삼의 제조방법은 도 1의 내부에 파라핀왁스층이 존재하여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를 이용하여 인삼을 증숙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찜기 내부 하부에는 인삼을 담는 스테인레스 소쿠리(3)를 받치는 받침대(6)가 찜기 밑바닥으로부터 약 10cm 가량 떨어져 있으며(도 2의 13), 물(7)을 붓더라도 그 받침대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증숙과정 동안 수증기가 발생하여 찜기의 돔 구조의 뚜껑(8)에 접촉하여 수증기가 물로 변하게 되면 돔을 따라 찜기의 측벽으로 물이 찜의 밑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는 찜기 내부의 소쿠리(3)와 찜기의 측벽 사이가 약 1cm(11) 정도의 틈이 있기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찜기 내부에 존재하는 스테인레스 소쿠리(3) 안에 인삼을 직접 올리게 되는 스테인레스 채반(4)을 넣어두는데, 채반 받침대(5)의 두께가 약 1cm(13) 정도 되어, 소쿠리에 부딪친 수증기가 물로 변하더라도 인삼에 직접적으로 물이 접촉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원의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를 이용하여 인삼을 증숙하게 되면, 증숙공정동안 발생하는 수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에 더이상의 물을 첨가할 필요도 없이 장시간 동안 증숙공정을 수행하여 인삼의 증숙공정동안 외부의 찬 공기와의 접촉이 완전히 배제된다. 또한 인삼이 증숙되는 동안에도 물과의 접촉이 전혀 없어 인삼의 유효 성분이 빠져나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는 온도 및 압력이 디지털 방식으로 제어되어 증숙 시간 및 온도를 완벽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흑삼 제조방법의 경우, 흑삼을 몸체와 미삼으로 분리하지 아니하 고 인삼의 원형 그대로 증숙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인삼의 원형 그대로를 증숙함으로써 인삼의 몸체와 미삼으로 분리함으로써 생기는 흠집에서 인삼의 유용한 활성성분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흑삼의 제조방법은 인삼을 총 10회 건조하고, 9회 증숙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그 증숙 시간이 적어도 72시간 이상이 되어 인삼을 완벽하게 증숙하고, 완벽하게 건조시킴으로써 인삼의 유용한 활성성분이 더욱 함유된 흑삼을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삼에 포함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진세노사이드 Rb1은 중치신경억제 및 진정의 효과, 학습 저하에 대한 방어효과 및 항불안 효과, 항건망증 효과 및 단백질 합성의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진세노사이드 Rb2는 당뇨병에 있어서 혈당치 저하에 의한 당뇨를 개선시키고, 항고지혈 효과와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진세노사이드 Rc는 중추신경 억제효과, 진통효과, 항산화효과와 혈청단백질, 콜레스테롤, RNA 및 DNA의 합성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진세노사이드 Rd는 부신피질 자극호르몬을 분비시키는 효과 및 마우스의 호전성을 억제시키고, 진세노사이드 Re는 손상된 간을 보호하고 콜레스테롤의 대사를 촉진시키며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진세노사이드 Rf는 항통증효과 및 알콜에 의한 뇌손상을 방어하는 효과를 가지며, 진세노사이드 Rg1은 중추신경을 흥분시키고, 항피로 및 항혈전 효과를 가지며 기억학습효과와 혈관을 확장시킴으로써 성기능을 개신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 며, 진세노사이드 Rg2는 혈소판 응집을 억제시켜 항혈전 효과를 가지며, 진세노사이드 Rg3는 NO 방출을 통한 혈관이완효과, 항혈전효과, 암세포 전이억제 효과 및 항암제 내성을 억제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h1은 암세포의 정상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고 진세노사이드 Rh2는 암세포 증식억제, 암세포의 정상세포로의 분화유도 및 암세포의 능동적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지며, 진세노사이드 Ro는 항염증 및 항혈전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원의 예시일뿐 본원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흑삼의 제조
4년근 및 6년근 인삼 30kg을 구입하여 세척하고 음지에서 48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도 1의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에 물 8ℓ를 넣은 뒤 상기 건조한 인삼을 차곡차곡 넣어 100℃에서 8시간 동안 1차 증숙하였다. 그 후 1차 증숙된 인삼을 꺼내어 55℃에서 7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에, 다시 상기 찜기에 넣어 100℃에서 8시간 동안 2차 증숙하였다. 그 후 다시 꺼내어 55℃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상기 찜기에 다시 넣고 95℃ 8시간 동안 3차 증숙한 후 55℃에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고, 각각 8시간 동안 92℃에서 4차 증숙, 89℃에서 5차 증숙, 86℃에서 6차 증 숙, 83℃에서 7차 증숙, 80℃에서 8차 증숙 및 77℃에서 9차 증숙을 하였으며, 상기 4차 내지 9차 증숙 후에는 12시간 건조과정을 각각 수행하여 흑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흑삼의 추출액 제조
2-1. 흑삼 추출액 제조 1
상기 실시예 1에서 4년근 인삼으로 제조된 흑삼 300g을 물 8ℓ를 넣어 90℃에서 72시간 추출하여 흑삼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2-2. 흑삼 추출액 제조 2
상기 실시예 1에서 4년근 인삼으로 제조된 흑삼 300g을 물 8ℓ를 넣어 120℃에서 72시간 추출하여 흑삼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흑삼의 성분분석실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흑삼(4년근, 6년근)을 분말화한 시료와 상기 실시예 2-1 및 2-2에서 제조한 흑삼 추출액의 성분분석을 중앙대학교 인삼산업연구소에 의뢰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다.
성분(mg/g) 실시예 1의 흑삼분말 (4년근) 실시예 1의 흑삼분말 (6년근) 실시예 2-1의 추출액 실시예 2-2의 추출액
조사포닌 250.500 245.000 151.203 162.750
진세노사이드-Rh2 0.877 1.298 0.158 0.172
진세노사이드-Rh1 0.275 0.665 0.168 0.276
진세노사이드-Rg2 0.326 흔적 0.200 0.201
진세노사이드-Rg3 92.062 25.417 4.894 1.398
진세노사이드-Rg1 0.123 0.122 0.193 0.165
진세노사이드-Rf 0.428 0.651 0.351 0.478
진세노사이드-Re 0.104 0.102 0.023 0.025
진세노사이드-Rd 0.071 0.226 0.031 0.024
진세노사이드-Rc+Rb2 1.795 0.385 0.063 0.070
진세노사이드-Rb1 0.092 0.099 흔적 흔적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흑삼의 경우, 홍삼 특이 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3가 4년근 흑삼분말은 92.062mg/g, 6년근 흑삼분말의 경우에는 25.417mg/g으로서 현저하게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다른 성분들 역시 그 함량이 증가되어 있어 기존의 흑삼 제조방법에 의한 것보다 인삼사포닌 등의 인삼 특유의 활성성분들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내부에 파라핀왁스층이 도포되어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 디지털 온도제어식 찜기를 이용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찜기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증숙과정에서 더이상의 물 첨가가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외부 공기와의 접촉이 차단되고, 디지털로 온도가 제어됨으로써 인삼의 증숙과정에서 그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상기 찜기를 이용할 경우 인삼과 물의 접촉이 전혀 없어 인삼의 유용한 성분이 물로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원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흑삼은 유용한 성분이 아주 높게 함유되어 있으며, 이를 20 내지 30배로 희석 추출하여도 그 유용한 성분이 다량 함유된 흑삼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가볍게 음용할 수 있으면서도 흑삼의 유용한 성분의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잇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밑바닥과 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내부 밑바닥에 물이 채워지는 찜기 본체와 상기 찜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찜기 본체의 밑바닥과 측벽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소쿠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삼 증숙용 찜기를 이용하여 흑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삼을 세척하여 음지에서 24-48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인삼을 98-102℃에서 7-9시간 동안 1차 증숙하고, 54-56℃에서 48-7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98-102℃에서 7-9시간 동안 2차 증숙하고, 54- 56℃에서 12-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94-96℃에서 7-9시간 동안 3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93-94℃에서 7-9시간 동안 4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88-90℃에서 7-9시간 동안 5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85-87℃에서 7-9시간 동안 6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82-84℃에서 7-9시간 동안 7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79-81℃에서 7-9시간 동안 8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인삼을 76-78℃에서 7-9시간 동안 9차 증숙하고, 54-56℃에서 10-12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삼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증숙 단계에서 인삼을 100℃에서 8시간 동안 증숙하는 것인 흑삼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차 증숙단계에서 인삼을 95℃에서, 4차 증숙은 92℃, 5차 증숙은 89℃, 6차 증숙은 86℃, 7차 증숙은 83℃, 8차 증숙은 80℃ 및 9차 증숙은 77℃에서 각 단계 모두 8시간 동안 증숙하는 것인 흑삼 제조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흑삼.
  7. 제6항의 흑삼에 흑삼 중량 대비 20-30배의 물에서 90 내지 120℃에서 60 내지 80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삼 추출액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흑삼에 흑삼 중량 대비 27배의 물에서 90℃에서 72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인 흑삼 추출액의 제조방법.
  9. 제7항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흑삼 추출액.
KR1020070016208A 2007-02-15 2007-02-15 인삼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840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208A KR100840003B1 (ko) 2007-02-15 2007-02-15 인삼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의 제조방법
PCT/KR2008/000805 WO2008100052A1 (en) 2007-02-15 2008-02-12 A method for preparing a black ginseng having high ginsenoside compon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208A KR100840003B1 (ko) 2007-02-15 2007-02-15 인삼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0003B1 true KR100840003B1 (ko) 2008-06-20

Family

ID=39690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2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40003B1 (ko) 2007-02-15 2007-02-15 인삼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0003B1 (ko)
WO (1) WO200810005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7052A3 (ko) * 2008-12-30 2010-10-07 Lee Hong Sik 삼의 흑삼화 제조방법
KR101248935B1 (ko) 2010-11-19 2013-04-02 주식회사 고려홍삼공사 인삼을 원료로한 건강보조음료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832B1 (ko) * 2011-07-14 2013-11-05 고완석 진세노사이드 Rh2 성분의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제품
KR101644490B1 (ko) * 2014-02-26 2016-08-02 주식회사 이노웨이 초임계 가수분해추출장치 및 가수분해방법
CN104382484A (zh) * 2014-10-28 2015-03-04 成都格瑞思文化传播有限公司 一种新型电蒸锅
EP3326498A1 (en) 2016-11-23 2018-05-30 Koninklijke Philips N.V. Table-top cooking device
CA3095508C (en) * 2019-01-29 2022-10-18 Foshan Shunde Midea Electrical Heat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imited Pot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827B1 (ko) * 2004-06-22 2004-12-30 신민우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홍삼제조기
KR100495080B1 (ko) * 2003-01-15 2005-07-05 김영진 다기능 중탕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04598C1 (de) * 1996-02-08 1997-08-28 Braun Ag Dampfkochgerät
EP1080676B1 (en) * 1999-08-31 2003-02-26 Daewoong Electric Industrial Co., Ltd. Home-style decoctor endowed with steamy boiling function, and method of preparing red ginseng extract using the same
JP2006087843A (ja) * 2004-08-23 2006-04-06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レンジ用調理容器
KR100910699B1 (ko) * 2005-06-14 2009-08-04 김원규 9회 증숙, 9회 동결건조에 의하여 진세노사이드 류의함량을 증가시킨 홍삼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홍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080B1 (ko) * 2003-01-15 2005-07-05 김영진 다기능 중탕기
KR100463827B1 (ko) * 2004-06-22 2004-12-30 신민우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홍삼제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7052A3 (ko) * 2008-12-30 2010-10-07 Lee Hong Sik 삼의 흑삼화 제조방법
KR101248935B1 (ko) 2010-11-19 2013-04-02 주식회사 고려홍삼공사 인삼을 원료로한 건강보조음료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00052A1 (en) 200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003B1 (ko) 인삼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의 제조방법
JP6025839B2 (ja) ジンセノサイドRh2成分の含有量が増加された黒参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黒参製品
KR101259421B1 (ko) 인지능을 향상시키는 분무건조된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도라지 양갱의 제조방법
CN101088352A (zh) 一种灵芝保健茶的制作方法
CN104171133A (zh) 一种苹果味低咖啡因红茶制备方法
CN105767314A (zh) 柑橘红茶及其制备方法
CN103710241A (zh) 一种蛹虫草配制酒的制备方法
CN102178012A (zh) 一种低咖啡碱茶叶的制备方法
JP7350137B2 (ja) 連続式蒸曝及び複合濃縮技術を用いたプロサポゲニンジンセノサイド含量が増加した黒参濃縮液の製造方法
KR101100120B1 (ko) 홍삼 또는 홍삼박으로부터 추출된 홍삼 오일을 포함하는 식용 유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8428A (ko) 베타글루칸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차가버섯의 로스팅 및 추출방법
CN103740556A (zh) 一种蛹虫草老白干型配制酒的制备方法
CN108157855A (zh) 一种富含茶多酚的陈皮冻干片制备方法
KR101359078B1 (ko) 자주색 산삼배양근의 제조방법
KR102299952B1 (ko) 산초 과피 추출물이 함유된 아토피 크림 제조방법
KR101315005B1 (ko) 은행잎을 이용한 조청제조방법
KR101516582B1 (ko) 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퍼라아제-1의 활성을 촉진시켜 지방세포 내 지방의 분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청고추 유래 항비만용 조성물
CN106187978A (zh) 一种提取火龙果皮中原花青素的方法
KR100917478B1 (ko) 괴산청결고추를 이용한 고추술 생산
KR101097664B1 (ko) 삼의 흑삼화 제조방법
CN106008483A (zh) 异牡荆素的制备和用途
CN105670783A (zh) 辽东楤木油及其提萃取方法
KR101309054B1 (ko) 저온 공법을 이용한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KR102818204B1 (ko) 홍삼기능성분이 강화된 홍삼농축액 제조방법
CN104840451A (zh) 一种用于治疗冠心病、高脂血症的中药有效部位、制备方法及从中分离有效成分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805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