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778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9778B1 KR100839778B1 KR1020020088008A KR20020088008A KR100839778B1 KR 100839778 B1 KR100839778 B1 KR 100839778B1 KR 1020020088008 A KR1020020088008 A KR 1020020088008A KR 20020088008 A KR20020088008 A KR 20020088008A KR 100839778 B1 KR100839778 B1 KR 1008397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lder
- main body
- hinge
- display
- coupl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폴더부가 본체부 측으로 회동되어 접히는 동시에, 디스플레이가 전방위를 지향하도록 폴더부가 회전되어 폴더부 외측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폴더부의 개폐상태와 상관없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할 때 피사체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부에 복수의 입력버튼이 구비된 본체부; 그 일면에 상기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된 내용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의 전면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가려지도록 회동되는 폴더부; 및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그 일측이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 중 어느 하나에 그 폭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와 폴더부가 회동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고, 그 타측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 중 다른 하나에 서로 마주하는 면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가 서로에 대해 전방위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폴더, 본체부, 폴더부, 디스플레이, 힌지어셈블리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er part provided with the display is rotated and folded toward the main body side, and the folder part is rotated so that the display is oriented in all directions,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display on the outer side of the folder part. According to the necessity, the position of the display can be freely, and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facilitate the observation of the subject when taking a picture using a mounted camera, the main body having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on the front; A folder unit having a display for displaying contents input through the input button on one surface thereof, the folder unit being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so that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unit is rotated to be exposed or covered to the outside; And coupling means for rotatably coupl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older portion, and the coupling means has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an axis parallel to its width direction to on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older portion. The main part and the folder part are rotated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rotatably coupl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a surface facing each other to the other on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folder part so that the main body part and the folder part are omnidirection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Folder, main body, folder, display, hinge assembly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요부인 힌지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inge assembly,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본체부 200 : 폴더부100: main body 200: folder
203 : 디스플레이 300 : 힌지어셈블리203: display 300: hinge assembly
310 : 힌지홀더 320 : 힌지캡310: hinge holder 320: hinge cap
330 : 힌지몸체 340 : 연결부재330: hinge body 340: connecting member
350, 360 : 리벳 370, 380 : 멈치부재350, 360:
390 : FPC
390: FPC
본 발명은 본체부와 폴더부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폴더부가 본체부 측으로 회동되어 접히는 동시에 디스플레이가 전방위를 지향하도록 폴더부가 회전되어 폴더부 외측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폴더부의 개폐상태와 상관없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을 할 때 피사체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isting of a main body and a folder, and more particularly, a folder having a display is rotated to the main body and folded, and at the same time the folder is rotated so that the display is directed omnidirectionally.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display, and the position of the display can be freely se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regardless of the open / closed state of the folder,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easily observe the subject when shooting using the attached camera. will be.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크게 플립형과 폴더형이 있는데, 이 중 단말기는 폴더부에 LCD 등으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것으로, 플립형 단말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만들 수 있으면서도 디스플레이의 대형화가 용이하여 최근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Commonly us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clude a flip type and a clamshell type. Among them, a terminal is provided with a display made of an LCD, etc. in the folder part, and can be made relatively small in size compared to a flip type terminal, but it is easy to enlarge a display. It is a trend that is widely used recently.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말기 폴더부의 본체부와 마주하는 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됨으로써, 시간 확인이나 발신자 확인 등의 경우에 있어 사용자가 상기 폴더부를 반드시 개방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또한, 최근에는 카메라가 장착된 휴대단말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카메라 장착형 단말기의 경우에는 피사체의 촬영시에 카메라와 디스플레이가 모두 피사체 측을 지향하게 되어 촬영중에 디스플레이를 통한 피사체의 관찰이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촬영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a display is mounted on a surface facing the main body of the terminal folder, the user must open the folder in the case of time confirmation, caller verification, or the like. Recently, portable terminals equipped with a camera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case of such a camera-equipped terminal, both the camera and the display are directed toward the subject when the subject is being photographed, and thus the subject is not easily observed through the display during the photographing. Shooting was very inconvenient.
또한, 듀얼(dual)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단말기 폴더부의 내부면에 메인 디스플레이를 장착하고, 그 반대측의 외부면에 서브 디스플레이를 장착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시키는데는 성공했지만, 추가적인 디스플레이의 장착에 따른 원가 상승과 아울러, 상대적으로 단말기의 크기 및 두께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u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main display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folder and the sub display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pposite side. In addition to the cost increase due to the mounti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terminal is relatively increased.
따라서, 시간이나 발신자 확인 등의 경우에 있어 사용자가 상기 휴대단말기의 폴더부를 반드시 개방시켜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모습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되, 제조 원가의 상승이나 단말기 크기의 증가와 같은 추가적인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ime or caller confirmation, the user has to open the folder part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ser can easily observe the state of the subject photographed by the camera through the display.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to prevent additional problems such as cost increase or terminal size increase.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가 폴더부에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폴더부가 본체부에 대하여 2개의 축방향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하여 폴더부 외측면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폴더부를 회동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를 외부창 또는 내부창으로 사용할 수 있고,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시에 디스플레이의 지향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피사체의 관찰이 용이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folder unit, the folder unit can be rotated about two axi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unit, so It is possible to use the display as an external window or an internal window by rotating the folder unit according to the user's need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display, and to easily observe the subject by adjusting the display's directing direction when shooting with the attached camera.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부에 복수의 입력버튼이 구 비된 본체부; 그 일면에 상기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된 내용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의 전면부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가려지도록 회동되는 폴더부; 및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수단은 그 일측이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 중 어느 하나에 그 폭방향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와 폴더부가 회동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고, 그 타측은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 중 다른 하나에 서로 마주하는 면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와 폴더부가 서로에 대해 전방위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input buttons on the front; A folder unit having a display for displaying contents input through the input button on one surface thereof, the folder unit being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unit so that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unit is rotated to be exposed or covered to the outside; And coupling means for rotatably coupl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older portion, and the coupling means has one side rotatably coupled to an axis parallel to its width direction to on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 folder portion. The main part and the folder part are rotated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rotatably coupl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a surface facing each other to the other one of the main body part and the folder part so that the main body part and the folder part are omnidirection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It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고, 도 2는 그 분해사시도이며, 이하의 설명에서 본체부(100) 및 폴더부(200)의 상하 위치는 단말기가 펼쳐진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thereof,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정 형상의 본체부 케이스(101)에 의해 팩킹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전면부에는 다수의 입력버튼(103)이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마이크가 내장된 송화부(105)가 구비된 본체부(100)와; 소정 형상의 덮개케이스(201)에 의해 팩킹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면에는 액정 디스플레이(203) 가 구비되고, 그 상부에는 스피커가 내장된 수화부(205)가 구비된 폴더부(200)와; 그 일측은 상기 본체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측은 상기 폴더부(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부(100)와 폴더부(200)를 서로 직교하는 2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어셈블리(300)로 구성된다. 1 and 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packed by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케이스(101)의 전면부 상측에는 상기 힌지어셈블리(300)의 일측이 관통 삽입되는 통공(107)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케이스(201)의 하단부에는 상기 힌지어셈블리(300)의 타측이 삽입되는 개구부(207)가 형성된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어셈블리(300)는 상기 본체부 케이스(101)의 상측 내벽면에 볼트(301)를 매개로 장착되며 그 중앙부에 상기 통공(107)과 연통되는 삽입구(311)가 형성된 힌지홀더(310)와, 상기 본체부 케이스(101)의 통공(107)을 관통하여 힌지홀더(310)의 삽입구(311)에 삽입결합되며 그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공간부(321)가 형성된 힌지캡(320)과, 상기 힌지캡(320)의 개구부 측에 제1리벳(35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양측에는 각각 힌지홀(331)이 구비된 한 쌍의 결합돌기(333)가 형성된 힌지몸체(330)와, 그 일측은 상기 덮개케이스(201)의 개구부(207) 측 내부에 볼트(302)를 매개로 결합되고 상기 덮개케이스(201) 외부로 노출되는 그 양측단에는 상기 힌지몸체(330)의 각 결합돌기(333)에 형성된 힌지홀(331)에 한 쌍의 제2리벳(26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341)가 구비된 연결부재(340)와, 상기 힌지몸체(330)의 결합돌기(333)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커버(305)로 구성된다.2 and 3, the
여기서, 상기 힌지캡(320)의 외주면에는 힌지홀더(310)에 삽입된 후 이탈되 지 않도록 그 삽입방향 측면이 경사진 쐐기형의 걸림돌기(323)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캡(320)의 내측 공간부(321)에는 상기 제1리벳(350)의 축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도록 제1멈치부재(370)가 삽입 설치되고, 이 제1멈치부재(370)는 상기 힌지캡(32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76)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힌지몸체(330) 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제1멈치부재(370)와 힌지몸체(330)의 서로 접촉되는 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돌기(371) 및 요홈(335)이 각각 형성된다. Her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상기 연결부재(340)의 양측 힌지결합부(341)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결합부(341)의 내부에는 제2리벳(360)의 축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도록 제2멈치부재(380)가 삽입 설치되고, 이 제2멈치부재(380)는 상기 힌지결합부(341)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386)에 의해 상기 힌지몸체(330)의 결합요홈(337) 측으로 가압 밀착된다. At least one interior space is formed inside at least one of the
또한, 상기 힌지몸체(330)의 회전동작, 즉 힌지홀더(330)의 중심축에 대한 힌지몸체(330)의 회전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수단이 구비된다.In addition, a stopper means for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상기 스토퍼수단은, 상기 힌지홀더(330)의 삽입구(311) 일측에 구비되는 스토퍼(312)와, 상기 힌지몸체(330)의 요홈(335) 양측에 각각 돌출되는 돌기(330a)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폴더부(200)를 회전 시킬때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게한 스토퍼역할을 하며, 또한, 180도 회전하여 열었을 때의 스토퍼역할을 한다.The stopper means includes a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부케이스(101)의 내부에는 상기 입력버튼(103)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여 소정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메인 회로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덮개케이스(201)의 내부에는 상기 본체부케이스(101)의 메인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203)의 작동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회로기판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 회로기판과 디스플레이 회로기판을 연결시키는 가용성인쇄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이하 FPC라 칭함)(3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분은 상기 연결부재(340)의 힌지결합부(341)의 외주면을 따라 말려지고, 다른 일부분은 상기 힌지캡(320)의 외주면을 따라 말려져 상기 본체부(100)에 대하여 폴더부(200)가 제1리벳(350)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와 제2리벳(360)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간섭되지 않고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Although not shown, a main circuit board is installed inside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을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부(200)와 본체부(100)를 접거나 펼칠 때에는 상기 폴더부(200)에 연결된 연결부재(340)가 제2리벳(360)을 중심으로, 즉 본체부(100)의 폭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2멈치부재(380)가 스프링(386)에 의해 지지되므로,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회동력에 따라 상기 제2멈치부재(380)의 돌기(381)가 힌지몸체(330)의 결합요홈(337)으로부터 이탈되면 폴더부(200)와 본체부(100)가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고,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어 상기 제2멈치부재(380)의 돌기(381)와 결합돌기(333)에 형성된 요홈(337)이 다시 맞물리면 폴더부(200)와 본체부(100)가 접혀지거나 펼쳐진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폴더부(200)를 본체부(100) 표면과 수직한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폴더부(200)의 폭방향 양측을 밀어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제1리벳(350)을 중심으로 폴더부(20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때 가해지는 회전력에 따라 상기 제1멈치부재(370)의 돌기(371)와 힌지몸체(330)의 요홈(335)이 서로 맞물리거나 분리되어 폴더부(200)가 본체부(100)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otat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더부(200)를 서로 직교하는 회전축을 이루는 제1리벳(350) 및 제2리벳(36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폴더부(200) 일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03)의 위치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으므로, 본체부(100)와 폴더부(200)를 접었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203)가 외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폴더부(200)를 펼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203)에 표시된 내용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하나의 디스플레이(203)만으로 내부창과 외부창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외부창을 부착함에 따른 제조비용의 증가 및 기기의 대형화가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또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카메라 부착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4에 도시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mera-attached terminal which is widely used in recent years,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이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진 힌지어셈블리(300)에 의해 폴더부(200)가 본체부(100)의 폭방향 축 및 본체부(100) 표면과 직교하는 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힌지어셈블리(300)의 힌지몸체(330) 측에 카메라(400)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휴대단말기는 상기 카메라(400)의 지향 방 향과 무관하게 상기 폴더부(200)를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400)를 피사체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203)의 방향을 사용자 측을 향하도록 하여 피사체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관찰하면서 촬영을 행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화상통신을 할 때, 상기 본체부(100)와 폴더부(200)를 접은 상태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203)가 외부를 향하도록 한 상태로 화상을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폴더부(200)에 마이크(401) 및 스피커(403)를 내장하여 화상과 동시에 음성을 송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freely rotat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of ordinary knowledg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어셈블리에 의해 폴더부가 본체부의 폭방향과 평행한 축 및 본체부의 표면과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 가능하게 본체부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디스플레이만으로 내부창과 외부창의 기능을 구현하여 폴더부를 펼치지 않고도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내용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창을 부착하지 않음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기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장착된 카메라의 지향 방향과 무관하게 디스플레이가 사 용자 측을 향하도록 폴더부를 회전시켜 피사체를 정확하게 관찰하면서 촬영을 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the hinge assembly, the folder por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at the same time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By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the external window, you can easily check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without unfolding the folder, and by not attaching a separate external window, you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miniaturize the device, regardless of the orientation of the mounted camera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take a picture while observing the subject accurately by rotating the folder so that the display faces the use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8008A KR100839778B1 (en) | 2002-12-31 | 2002-12-3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8008A KR100839778B1 (en) | 2002-12-31 | 2002-12-3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1718A KR20040061718A (en) | 2004-07-07 |
KR100839778B1 true KR100839778B1 (en) | 2008-06-20 |
Family
ID=37353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800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9778B1 (en) | 2002-12-31 | 2002-12-3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977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02355B2 (en) * | 2003-01-21 | 2010-01-20 | 京セラ株式会社 | Stackable mobile terminal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9166A (en) * | 1999-12-14 | 2001-06-22 | Nec Corp | Portable terminal |
JP2002135380A (en) * | 2000-10-27 | 2002-05-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Fold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2002
- 2002-12-31 KR KR1020020088008A patent/KR10083977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69166A (en) * | 1999-12-14 | 2001-06-22 | Nec Corp | Portable terminal |
JP2002135380A (en) * | 2000-10-27 | 2002-05-1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Foldabl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61718A (en) | 2004-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39527B1 (en) | Portable Telephone with Camera | |
JP3882687B2 (en)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JP4234379B2 (en) | Folding terminal hinge device and folding terminal | |
KR20050049232A (en) | Mobile device | |
KR20050073163A (en) |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rotary type display device | |
KR100839778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30003056A (en) | Portable terminal | |
KR100527164B1 (en) | Camera apparatus for folder type potable terminal | |
KR100557084B1 (en) | Camera lens assembly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JP4070520B2 (en) | Foldable mobile terminal | |
KR100539790B1 (en) | Rotating camera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KR100447628B1 (en) | Mobile phone having camera | |
KR100474037B1 (en) | Mobile phone having rotary camera | |
KR100531936B1 (en) |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 |
KR100585736B1 (en) | Hinge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664157B1 (en) |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otatable camera module | |
KR100640838B1 (en) | Unfixed contact structure of rotating camera module and mobile phone | |
KR200340063Y1 (en) |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 |
KR100536395B1 (en) |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 |
KR200339127Y1 (en) |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amera | |
KR100631677B1 (en) | Handheld terminal with swivel type folder | |
KR100664100B1 (en) | Biaxial Hinge Device of Clamshell Portable Terminal | |
KR100661578B1 (en) | 2-axis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camera protruding | |
KR20050067290A (en) |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 |
KR20030072442A (en) | Portable wireless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6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2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