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9636B1 - 기능성 캔 - Google Patents

기능성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636B1
KR100839636B1 KR1020080025072A KR20080025072A KR100839636B1 KR 100839636 B1 KR100839636 B1 KR 100839636B1 KR 1020080025072 A KR1020080025072 A KR 1020080025072A KR 20080025072 A KR20080025072 A KR 20080025072A KR 100839636 B1 KR100839636 B1 KR 100839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elastic flexible
elastic
rigidity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5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인
Original Assignee
조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인 filed Critical 조영인
Priority to KR1020080025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63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2Cans, casks, barrels, or drums
    • B65D1/14Cans, casks, barrels, or drum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06Beverage can, i.e. beer, so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캔에 관한 것으로, 캔 몸체의 일부분에 캔의 내부 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함입 또는 팽출되는 탄성 가요부가 형성되어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탄성 가요부의 주위에는 강성 부여부 및 보강 비드가 형성됨으로써 시간, 온도, 습도 등의 외적인 조건이 변하더라도 탄성 가요부의 형상이 변하지 않고 유지되도록 한 기능성 캔에 관한 것이다.
캔, 탄성 가요부, 보강 비드, 강성 부여부

Description

기능성 캔{FUNCTIONAL CAN}
본 발명은 기능성 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 몸체의 일부분에 캔의 내부 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함입 또는 팽출되는 탄성 가요부가 형성되고, 그 탄성 가요부의 주위에는 강성 부여부 및 보강 비드가 형성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탄성 가요부의 변형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피스 또는 3피스의 부재로 제작되는 캔은 제조공정이나 유통과정에서 각 부재 사이에 미세한 틈이 생길 수 있어 캔의 밀폐 여부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캔의 일부분에 탄성 가요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캔의 밀폐 여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탄성 가요부는 캔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그 형상이 탄성적으로 변형됨과 동시에 특정한 소리를 냄으로써, 소비자에게 밀폐 여부를 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종래의 캔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탄성 가요부가 캔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기술과 같이 캔의 바닥부에 탄성 가요부를 형성시킬 경우에는 소비자의 입장에서 잘 보이지 않아 시인성에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캔의 덮개에 탄성 가요부를 형성시키는 경우라 하더라도, 얇은 금속 재질의 탄성 가요부가 시간, 온도, 습도 등의 외적인 조건에 따라 쉽게 늘어짐으로써 밀폐 확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탄성 가요부의 시인성 및 밀폐 확인 기능 상실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캔의 내부 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함입 또는 팽출되면서 특정한 소리를 내는 탄성 가요부를 소비자가 잘 볼 수 있도록 캔의 몸체에 형성시킴으로서 시인성이 향상되고, 상기 탄성 가요부의 주위에는 강성 부여부 및 보강 비드를 형성시킴으로써 시간, 온도, 습도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한 탄성 가요부의 변형을 방지하는 기능성 캔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캔 몸체와 덮개 부재로 결합되는 캔에 있어서,
상기 캔 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캔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테이퍼진 강성 부여부;와
상기 강성 부여부의 내측 주연으로부터 캔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캔의 내부 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함입 또는 팽출되면서 특정한 소리를 내는 탄성 가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
(2) 상기 탄성 가요부는,
중앙에 위치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주연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외주연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 사부; 상기 경사부의 외주연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상기 버튼부와 수평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평탄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에 대한 경사부의 경사각(θ2)은 상기 버튼부에 대한 탄성부의 경사각(θ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기능성 캔.
(3) 상기 강성 부여부의 외측 주연에 인접한 캔 몸체에는 보강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기능성 캔.
(4) 상기 강성 부여부와 탄성 가요부의 사이에는 보강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기능성 캔.
(5) 상기 강성 부여부는 임의의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기능성 캔.
(6) 상기 강성 부여부는 캔의 내측 방향으로 2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 기재의 기능성 캔.
(7) 상기 강성 부여부 및 탄성 가요부는 캔 몸체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기재의 기능성 캔.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은 사용자의 눈에 잘 보이는 캔의 몸체에 탄성 가요부가 형성됨으로써 시인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특히, 사용자가 손으로 캔의 몸체 부분을 파지하고 캔을 개봉할 경우에는 촉감으로도 캔의 밀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한다.
또한, 탄성 가요부의 외측 주연부에는 강성 부여부 및 보강 비드가 형성됨으 로써 외적 요인에 의한 탄성 가요부의 변형을 방지하고, 특히 탄성 가요부가 복수개 형성되었을 경우에는 일부의 탄성 가요부가 불량이더라도 나머지 완전한 탄성 가요부가 밀폐 확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제조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의 불량을 대비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에서 탄성 가요부를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이 밀봉된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의 개봉시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금속 캔은 제조방법 내지 구성 부재의 개수에 따라 2 피스 타입과 3 피스 타입으로 분류된다. 2 피스 타입은 딥드로잉 성형에 의해 바닥부와 일체형으로 제조된 캔 몸체와 상면판으로 구성되고, 3 피스 타입은 금속 판재의 용접으로 형성된 통형의 캔 몸체와 상면판 및 하면판으로 구성된다.
또한, 금속 캔은 상기와 같은 구성 부재의 개수에 따른 분류 이외에, 내용물 주입 후의 공정에 따라, 질소 가스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충전시키는 양압 캔, 캔의 내부 공기를 탈기시켜 진공을 형성하는 음압 캔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2피스 타입의 양압 캔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은 캔 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캔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테이퍼진 강성 부여부와, 상기 강성 부여부의 내주연으로부터 캔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캔의 내부 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함입 또는 팽출되면서 특정한 소리를 내는 탄성 가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탄성 가요부(100)에 대하여 설명하고 보강 비드(15) 및 강성 부여부(17)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음료용 캔이나 통조림 캔은 보존기간이 상당히 긴 편이어서 캔의 밀폐성 확인이 매우 중요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캔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2피스 또는 3피스의 부재로 구성되므로 제조과정이나 유통과정에서 각 부재 사이에 미세한 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물이 변질될 수 있다. 따라서 캔의 밀폐성을 확인시켜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밀폐성 확인에 대한 요청에 의해 종래부터 캔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탄성적으로 그 형상이 변형되면서 특정한 소리를 내는 탄성 가요부가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기능성 캔에 있어서는 캔의 밀폐 확인 기능을 하는 탄성 가요부가 소비자에게 잘 보이지 않는 캔의 바닥부에 형성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가요부(100)를 캔의 몸체(12) 부분에 형성시킴으로써, 캔의 개봉시에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밀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가요부(100)는, 중앙에 버튼부(101)가 위치하고, 탄성부(102), 경사부(103), 및 평탄부(104)가 연속하여 연장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102)와 경사부(103)는 각각 상기 버튼부(101)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θ1, θ2)을 가지며, 상기 평탄부(104)는 상기 버튼부(101)와 수평을 이룬다.
이 경우, 상기 버튼부(101)에 대한 경사부(103)의 경사각(θ2)은 상기 버튼부(101)에 대한 탄성부(102)의 경사각(θ1)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탄성 가요부(100)를 버튼부(101), 탄성부(102), 경사부(103), 및 평탄부(104)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경사각(θ1, θ2)을 조절하게 되면, 탄성 변형 과정에서 탄성부(102)가 먼저 변형하고 경사부(103)가 나중에 변형됨으로써, 탄성부(102) 및 경사부(103) 각각은 변형 전 면적과 변형 과정에서 최소 면적에 도달할 때 사이의 기하학적 면적비 차이를 분산하여 수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면적비 크기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재질의 탄성변형 저항력도 탄성부(102) 및 경사부(103)에 각각 분산됨으로써 탄성 가요부(100)는 캔 내부의 압력 변화에 대해 보다 민감하게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탄성 가요부가 캔 몸체에 형성되면 시인성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촉감으로도 캔의 밀폐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즉, 소비자가 탄성 가요부를 포함하는 캔 몸체 부분을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탭을 위로 젖혀 캔을 개봉하게 되면, 탄성 가요부의 형상이 반전되어 변형되는 것을 손바닥의 촉감으로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촉감으로도 캔의 밀폐 여부 확 인이 가능하도록 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에 있어서 탄성 가요부가 변형되는 모습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피스 타입의 양압 캔(10)에서 탄성 가요부(100)는 최초에 캔의 내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성형된다. 이후, 음료와 같은 내용물(도면 미도시)이 캔 몸체에 주입되고 질소 가스와 같은 불활성 기체가 충전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요부(100)의 탄성부(102), 경사부(103), 평탄부(104) 영역 각각은 완만한 곡선 모양으로 캔 바깥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게 된다.
계속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이 젖혀져 캔이 개봉되면 충전되었던 질소가스가 방출되면서 내부 압력은 떨어지고, 이에 따라 탄성 가요부(100)는 최초의 형상으로 함입되면서 특정한 소리를 내게 된다.
상기와 같은 탄성 가요부의 팽출 및 함입은 캔의 밀폐가 확실하게 되어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므로, 소비자는 캔의 개봉시에 탄성 가요부의 형상 변형 및 소리의 발생 여부를 통하여 캔의 파손 내지는 밀폐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캔의 내부 압력 변화에 따른 탄성 가요부의 팽출 및 함입은 금속 소재 특유의 탄성력에 의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에 있어서는 탄성 가요부의 지속적인 탄성력 유지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즉, 탄성 가요부가 시간, 온도, 습도 등의 외부 조건에 따라 늘어나게 되면 탄성 가요부의 탄성력은 상실되고, 이에 따라 캔의 밀폐 여부 확인은 어려워진다. 일반적으로 캔은 장기간의 보존이 예정되어 있어 상기와 같은 탄성 가요부의 탄성 력 상실은 더욱 문제가 된다.
특히, 캔의 소재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은 두께가 얇고 강성이 비교적 낮은 편이어서 상기와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탄성력이 약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에는 탄성 가요부의 주위에 강성 부여부 및 보강 비드가 형성됨으로써 탄성력의 저하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에서 강성 부여부(17)는 캔 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캔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이 강성 부여부(17)를 형성시키게 되면, 상기 강성 부여부(17)의 내주부에 형성된 탄성 가요부(100)는 방사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 가요부(100)의 강성이 증가하게 됨으로써, 시간, 온도, 습도 등의 조건이 변하더라도 탄성 가요부(100)는 장기간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탄성력의 저하가 방지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에서 다른 모양의 강성 부여부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성 부여부(17)는 상품성이나 미관을 위해 여러 가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별히 원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에 있어서 강성 부여부는 캔의 내측 방향으로 2단의 계단형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강성 부여부를 2단으로 형성하는 것은 강성 부여부로 보강 비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에는 상기와 같은 강성 부여부 외에도, 탄성 가요부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비드(15)는 강성 부여부(17)의 외측 주연에 인접한 캔 몸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 비드는 탄성 가요부와 강성 부여부의 사이에 캔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하였다.
상기와 같이 탄성 가요부(100)의 주위에 보강 비드(15)를 더 형성하게 되면 외부에서 충격이나 힘이 가해지더라도 탄성 가요부는 그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피스 타입의 양압 캔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은 3피스 타입의 음압 캔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한 바, 이하에서는 3피스 타입의 음압 캔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에서 상면판, 캔 몸체, 및 하면판이 분리된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이 밀봉된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의 개봉시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20)은 3피스 타입의 음압 캔으로서, 상면판(11), 캔 몸체(12), 및 하면판(16)으로 구 성된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압 캔(20)의 경우에도 탄성 가요부(100)가 캔 몸체(12)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 가요부(100)의 주위에 강성 부여부(17)가 형성된다. 다만, 전술한 양압 캔의 경우와 달리 음압 캔에서는, 보강 비드(15)가 탄성 가요부(100)와 강성 부여부(17)의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음압 캔의 경우에는 내용물의 주입 후에 캔 내부의 공기를 탈기시켜 진공을 형성시키는 바, 탄성 가요부(100)의 최초 형상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의 외부 방향으로 볼록하게 성형된다.
이후, 캔의 내부 공기를 탈기시켜 진공이 형성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가요부(100)의 탄성부(102), 경사부(103), 평탄부(104) 영역 각각은 완만한 곡선 모양으로 캔 안쪽 방향으로 탄성변형하게 된다. 계속하여,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이 개봉되면, 진공 상태의 캔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진공 상태가 해소되고, 이에 따라 탄성 가요부(100)는 최초의 형상으로 팽출되면서 특정한 소리를 내게 된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는 탄성 가요부는 그 주위에 강성 부여부 및 보강 비드가 형성되어 있음에도, 캔의 제작 공정이나 유통 과정에서의 부주의로 인해 파손되어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캔 몸체에 형성된 탄성 가요부가 하나일 경우에는, 불량이 발생하면 밀폐 여부의 확인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이 탄성 가요부가 불량일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의 몸체에 강성 부여부, 탄성 가요부, 및 보강 비드를 복수 개 형성하게 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서는, 캔 몸체(12)의 중앙부에 좌우 양측으로 대칭되게 강성 부여부(17), 탄성 가요부(100), 및 보강 비드(15)를 형성한 모습을 도시하였다. 그러나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강성 부여부(17), 탄성 가요부(100), 및 보강 비드(15)의 개수나 형성 위치는 2개나 캔 몸체의 중앙부로 제한되지 않으며, 3개 이상 또는 캔 몸체의 상단이나 하단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의 구성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의 제조공정을 2피스 타입과 3피스 타입으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2피스 타입 캔의 제조공정은, 미리 고안된 탄성 가요부의 문양을 금속판의 외면에 인쇄하는 단계, 인쇄된 금속판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절단된 금속판을 딥드로잉 성형하여 바닥부와 일체형으로 된 캔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 캔 몸체의 일부분에 강성 부여부, 탄성 가요부, 및 보강 비드를 성형하는 단계, 네크 및 플랜지를 성형하는 단계, 상면판을 캔 몸체에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3피스 타입 캔의 제조공정은, 금속판의 양측 단부를 결합하여 원통형의 캔 몸체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캔 몸체의 일부분에 강성 부여부, 탄성 가요부, 및 보강 비드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캔 몸체의 양 개방부를 상면판 및 하면판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3피스 타입 캔은, 캔 몸체의 일부분에 강성 부여부, 탄성 가요부, 및 보강 비드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캔 몸체의 양측 단부를 결합하여 원통형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원통형 캔 몸체의 양 개방부를 상면판 및 하면판으로 결합시키는 단계에 의해서도 제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의 강성 부여부, 탄성 가요부, 및 보강 비드를 성형하는 장치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고하여 상기 2피스 타입 및 3피스 타입 캔의 제조공정에서 캔 몸체에 강성 부여부, 탄성 가요부, 및 보강 비드를 성형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 몸체(21)는 공급부(110)와 환상 회전부(130), 및 원호형 성형판(200)을 거쳐 배출구(111)로 나오게 된다. 구체적으로, 공급부(110)에 공급된 캔 몸체(21)는 이송휠(120)에 의해 환상 회전부(130)로 이송되어 환상 회전부(130)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고무 성형롤(300)에 끼워진다. 계속하여 환상 회전부(130)가 회전하면서 캔 몸체(21)에 삽입된 고무 성형롤(300)이 환상 회전부에 의해 원호형 성형판(200)에 형성된 요철 성형판(210)에 이르게 되면 캔 몸체(21)는 압착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요철 성형판(200)에는 강성 부여부, 탄성 가요부, 및 보강 비드의 모양이 양각 또는 음각으로 성형되어 있고, 캔 몸체의 내부에는 고무 성형롤이 삽입되어 있는 바, 캔 몸체의 내부도장이 손상될 염려 없이 간단하게 탄성 가요부 등을 성형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모든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에서 탄성 가요부를 상세하게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이 밀봉된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의 개봉시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에서 다른 모양의 강성 부여부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에서 상면판, 캔 몸체, 및 하면판이 분리된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이 밀봉된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캔의 개봉시의 형상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캔의 강성 부여부, 탄성 가요부, 및 보강 비드를 성형하는 장치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캔 11 : 상면판
12 : 캔 몸체 13 : 바닥부
14 : 탭 15 : 보강 비드
16 : 하면판 17 : 강성 부여부
20 : 캔 21 : 캔 몸체
30 : 캔 100 : 탄성 가요부
101 : 버튼부 102 : 탄성부
103 : 경사부 104 : 평탄부
110 : 공급부 111 : 배출구
120 : 이송휠 130 : 환상 회전부
200 : 원호형 성형판 210 : 요철 성형판
300 : 고무 성형롤

Claims (7)

  1. 캔 몸체와 덮개 부재로 결합되는 캔에 있어서,
    상기 캔 몸체의 일부분으로부터 캔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테이퍼진 강성 부여부;와
    상기 강성 부여부의 내측 주연으로부터 캔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캔의 내부 압력에 따라 탄성적으로 함입 또는 팽출되면서 특정한 소리를 내는 탄성 가요부;
    상기 탄성 가요부는,
    중앙에 위치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의 주연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탄성부; 상기 탄성부의 외주연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외주연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상기 버튼부와 수평을 이루면서 연장되는 평탄부;를 포함하되,
    상기 버튼부에 대한 경사부의 경사각(θ2)은 상기 버튼부에 대한 탄성부의 경사각(θ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여부의 외측 주연에 인접한 캔 몸체에는 보강 비드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여부와 탄성 가요부의 사이에는 보강 비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여부는 원 또는 삼각형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여부는 캔의 내측 방향으로 2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부여부 및 탄성 가요부는 캔 몸체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캔.
KR1020080025072A 2008-03-18 2008-03-18 기능성 캔 Expired - Fee Related KR100839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072A KR100839636B1 (ko) 2008-03-18 2008-03-18 기능성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072A KR100839636B1 (ko) 2008-03-18 2008-03-18 기능성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636B1 true KR100839636B1 (ko) 2008-06-19

Family

ID=3977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5072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9636B1 (ko) 2008-03-18 2008-03-18 기능성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6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657B1 (ko) 2008-12-01 2011-01-17 김성기 엔드부가 프레스 시이밍되는 금속 캔 및 이의 성형방법
KR101298947B1 (ko) * 2010-09-24 2013-08-22 오희원 넘침방지용 가압버튼을 갖는 막걸리용 플라스틱병
CN115140419A (zh) * 2022-08-12 2022-10-04 东莞市驷思包装有限公司 一种气密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252A (ko) * 1995-10-16 1999-07-26 비. 다이아몬드 조지 박형 콘테이너 내에 살균가능한 식용품을 패키징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패키지
JP2001209299A (ja) * 2000-01-28 2001-08-03 Showa Aluminum Kan Kk 2ピース金属缶の点字付き缶胴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93261A (ja) * 2000-12-27 2002-07-10 Toyo Seikan Kaisha Ltd 缶体および缶蓋
JP2003312660A (ja) * 2002-04-16 2003-11-06 Daiwa Can Co Ltd 負内圧吸収構造を備えたボトル型缶およびそ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252A (ko) * 1995-10-16 1999-07-26 비. 다이아몬드 조지 박형 콘테이너 내에 살균가능한 식용품을 패키징하는 방법 및상기 방법을 채용한 패키지
JP2001209299A (ja) * 2000-01-28 2001-08-03 Showa Aluminum Kan Kk 2ピース金属缶の点字付き缶胴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2193261A (ja) * 2000-12-27 2002-07-10 Toyo Seikan Kaisha Ltd 缶体および缶蓋
JP2003312660A (ja) * 2002-04-16 2003-11-06 Daiwa Can Co Ltd 負内圧吸収構造を備えたボトル型缶およびその使用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657B1 (ko) 2008-12-01 2011-01-17 김성기 엔드부가 프레스 시이밍되는 금속 캔 및 이의 성형방법
KR101298947B1 (ko) * 2010-09-24 2013-08-22 오희원 넘침방지용 가압버튼을 갖는 막걸리용 플라스틱병
CN115140419A (zh) * 2022-08-12 2022-10-04 东莞市驷思包装有限公司 一种气密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56348A1 (en) Flex panel lid or cap
US20220410620A1 (en) Rim with Recessed Channel and Rim Strip Apparatus and System
US20170129644A1 (en) Reclosable tear-open lid
US6974046B2 (en) Tamper evident closure with integrated ven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0839636B1 (ko) 기능성 캔
US3677429A (en) Nipple assembly and package
WO2013146116A1 (ja) キャップの製造方法
JP7058361B2 (ja) 容器蓋の製造方法
JP3306732B2 (ja) タンパーエビデント特性を有する合成樹脂製容器蓋
JP4585126B2 (ja) 天面壁が補強された容器蓋
JPH10250755A (ja) 嵌合容器
JP5912661B2 (ja) 合成樹脂製ヒンジキャップ
JP2018103993A (ja) 包装用容器
JP4810176B2 (ja) 内圧開放特性を有する金属製容器蓋
JP2005014917A (ja) 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ボトル
JP2004269016A (ja) 内圧開放特性を有する容器蓋。
JP2018111538A (ja) 包装用容器
WO2024042958A1 (ja) 容器
JP4745508B2 (ja) 天面壁が補強された容器蓋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318415A (ja) シール剤入りタイヤ
JP4416155B2 (ja) 医療用キャップの製造方法
KR100836891B1 (ko) 기능성 캔
WO2024209289A1 (en) Crown cap closure
JP2007050646A (ja) 中空タイヤ
JP2004291983A (ja) 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