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9625B1 - Wrap Joints for Multiple Cable Splicing - Google Patents
Wrap Joints for Multiple Cable Splic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9625B1 KR100839625B1 KR1020060138179A KR20060138179A KR100839625B1 KR 100839625 B1 KR100839625 B1 KR 100839625B1 KR 1020060138179 A KR1020060138179 A KR 1020060138179A KR 20060138179 A KR20060138179 A KR 20060138179A KR 100839625 B1 KR100839625 B1 KR 1008396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opper plate
- joint
- copper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는 한쪽끝은 선재삽입공이 형성되며, 한쪽끝은 선재삽입공이 형성되며, 상부 일부를 절개하여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제 1 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관통공은 선재삽입공과 연통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다른 랩조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제 1결합수단이 구비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제 1 관통공에 끼워 안착되면서 걸쳐질 수 있는 구조이고, 상부에 선재를 안착시킬 수 있는 홈인 제 1 선재 안착홈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 1 구리 플레이트,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와 구조를 가지며, 제 1 구리 플레이트에 결합시 제 2 선재 안착홈이 제 1 구리 플레이트의 제 1 선재 안착홈과 맞닿으며, 제 1 구리 플레이트와의 결합으로 인해 형성된 홀에 선재가 위치하는 제 2 구리 플레이트 및 전체적인 형상이 하판 일부가 절개된 홈 부분을 커버링할 수 있는 구조로, 중심부에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제 2 관통공이 구비되며, 길이방향 양측에는 또 다른 랩조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제 2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상판을 포함한다.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formed with a wire insertion hole, one end is formed with a wire insertion hole, the upper portion is cut in the groove provided, the center of the groov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through hole is provided, the first through hol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wire insertion hole, the lower plate is provided with a first coupling means for connecting to the other wrap joint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seated in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lower plate The first wire rod mounting groove, which is a structure that can be stretched and which is a groove for seating the wire rod on the top thereof,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copper plat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the first copper plate. It has a shape and structure, and when coupled to the first copper plate, the second wire seating groove abuts with the first wir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copper plate, and the first copper The second copper plate in which the wire is located in the hole formed by the coupling with the rate and the overall shape can cover the groove portion in which the lower part is cut, the second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center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plate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means for connecting with another wrap joint.
Description
도 1a 및 도 1b는 토카막장치의 각 구조물을 나타내는 구성상태도이다.1A and 1B are structural state diagrams showing each structure of the tokamak device.
도 2a는 전류인입선과 초전도버스라인의 연결구조의 개념도이다.2A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current lead line and a superconducting bus line.
도 2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랩 조인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b is a view showing a wrap joi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분리 사시도, 결합 사시도, 평면도, 및 A-A' 단면도이다.3A to 3D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 combined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multiple joint cable wrap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하판의 사시도, 우측면도, 평면도, 정면도, 및 B-B' 단면도이다.4A to 4E are a perspective view, a right side view, a top view, a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a lower plate of a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jo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구리 플레이트의 사시도, 좌측면도, 평면도, 및 C-C' 단면도이다.5A to 5D are a perspective view, left side view, top view, and C-C 'cross-sectional view of a copper plate of a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splic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상판의 사시도, 평면도, 및 D-D' 단면도이다.6A to 6C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an upper plate of a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jo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와 일반적인 랩 조인트간 연결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7A and 7B are separate and combin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wrap joint for a multi-cable joint and a general wrap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100: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splicing
110: 하판 111: 홈110: bottom 111: home
112: 선재 삽입공 113: 제 1 관통공112: wire insertion hole 113: first through hole
114: 결합부재(제 1결합수단) 114a: 제 1결합공(제 1결합수단)114: coupling member (first coupling means) 114a: first coupling hole (first coupling means)
115: 제 1 걸림턱 120: 제 1 구리 플레이트115: first latching jaw 120: first copper plate
121: 제 1 선재 안착홈 122: 제 2 걸림턱121: first wire rod mounting groove 122: second locking jaw
123: 제 3 걸림턱 130: 제 2 구리 플레이트123: third stopping step 130: second copper plate
131: 제 2 선재 안착홈 132: 제 4 걸림턱131: second wire rod mounting groove 132: fourth locking jaw
133: 제 5 걸림턱 134: 홀(선재가 위치함)133: fifth engaging jaw 134: hole (wire rod is located)
140: 상판 141: 제 2 관통공140: top plate 141: second through hole
142: 결합부재(제 2결합수단) 142a: 제 2결합공(제 2결합수단)142: coupling member (second coupling means) 142a: second coupling hole (second coupling means)
143: 제 6 걸림턱 200, 300: 일반 랩조인트143:
본 발명은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3가닥 이상의 초전도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접합시키기 위한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spl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splices for electrically splicing three or more superconducting cables.
현재까지 개발된 초전도자석은 지구자장의 26만배에 달하는 13테슬라의 자장을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자장은 핵융합 반응에서 요구되는 플라즈마를 만들고 가두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초전도자석의 핵심 기술은 '관내연선도 체'(CICC)라고 알려진 각각의 전선을 감아 코일을 형성하여 초전도자석을 제작함에 있다. 관내연선도체(CICC)는 35kA급의 대전류 운전을 위해서 360 또는 486가닥의 선재를 사각형의 금속관으로 둘러싸인 방식의 도체를 사용하여 자석을 제작하는 것으로, 초전도자석의 운전시 발생하는 열을 4.5K로 냉각하기 위해 약 5기압의 초임계 헬륨을 관내연선도체로 강제 순환시킨다.The superconducting magnets developed so far can produce a magnetic field of 13 tesla, which is 260,000 times the Earth's magnetic field, which is needed to create and trap the plasma required for the fusion reaction. Therefore, the core technology of the superconducting magnet is to make a superconducting magnet by forming coils by winding each wire known as 'ducting conductor conductor' (CICC). In-line twisted pair conductor (CICC) is a magnet made of a conductor surrounded by a rectangular metal tube of 360 or 486 stranded wire for 35kA class high current operation.The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superconducting magnet is 4.5K. About 5 atm supercritical helium is forced to circulate into the stranded conductor.
도 1a 및 도 1b는 국내에서 제작되는 초전도자석을 일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전도자석(100:SC Magnet)은 고온의 플라즈마를 진공용기 벽에 닿지 않고 가두어두기 위한 것으로, 그 주요장치인 토카막장치(101)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토카막장치(101)는 TF(Toroidal Field) 및 PF(Poloidal Field) 코일을 사용하여 플라즈마의 생성, 구속, 제어를 담당한다. 도 1b는 도 1a의 토카막장치(101)를 나타내며, TF(Toroidal Field)코일로 구성된 TF 구조물(107)과, CS(Central Solenoid)코일로 구성된 CS 구조물(109)과, PF(Poroidal Field)코일로 구성된 PF 구조물(103) 및 각 구조물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물(105)로 이루어진다.1A and 1B are diagrams illustrating, as an example, a superconducting magnet manufactured in Korea. As illustrated in FIG. 1A, a superconducting magnet (100: SC Magnet) is used to confine a high temperature plasma without touching the wall of a vacuum vessel, and has a main device, the
상기 TF 구조물(107)로 내설되는 코일은 약 35kA의 직류전류로 운전되며, 상기 CS 구조물(109)의 코일과 PF 구조물(103)의 코일은 펄스운전을 하여 상호 자장변화에 의한 기전력을 진공용기 내부에 발생시켜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플라즈마 전류 및 TF 자장과 함께 플라즈마를 구속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il built into the
상기와 같은 관내연선도체를 초전도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관내연선도체에 전류를 공급해주어야 한다. 초전도자석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선재의 양단을 포함하여 초전도 버스라인 등의 전기적 조인트(접합부)가 설치된다.In order to make the above-described stranded conductor in a superconducting state, a current must be supplied to the stranded conductor in the tube. In order to supply current to the superconducting magnets, electrical joints (joints) such as superconducting bus lines are installed including both ends of the wire rod.
조인트의 일례를 보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전원장치(10)와 초전도 코일 응용장치(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구리 재질의 상전도 버스바(20), 전류인입선(30) 및 초전도 버스라인(40)을 통해 연결시킨다. 상전도 버스바는 전원장치와 전류인입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며, 초전도 버스라인은 초전도 코일과 전류인입선을 연결시킨다. 전류인입선과 초전도 버스라인의 연결과 초전도 버스라인과 초전도코일의 연결은 랩조인트(61)에 의해 이루어진다.An example of a joint is as shown in FIG. 2A. That is,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랩 조인트(6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태가 직사각형태로, 한쪽 끝에 선재삽입공(63)이 관통되고,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선재삽입부(64)가 요홈 형성된다. 선재삽입부(64)는 선재삽입공(63)과 연통되고, 선재는 선재삽입공(63)을 통해 선재삽입부(64)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선재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홈 기저부를 가리킴)은 구리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 부분을 구리 플레이트(64a)라 한다. 즉, 선재가 선재삽입공(63)을 통해 선재 삽입부(64)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선재는 구리 플레이트(64a)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진다. 또한, 랩조인트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다수의 결합공(65)이 관통되어 있는데, 이 결합공(65)은 다른 랩조인트(보다 상세하게는 다른 랩조인트의 결합공을 가리킴)와 나사결합하기 위해 구비된 것이다. 또한, 랩조인트의 선재삽입부(64)에 안착 결합되는 덮개(70)가 별도 구비된다. 상기 덮개(70)는 선재 삽입부에 안착된 선재 상부면을 커버링한다. 또한, 상기 덮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주면을 납으로 코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납 코팅은 추후 덮개로 커버링할 때 선재와의 접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도 2b와 같은 랩 조인트는 두 개의 초전도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장치로, 다수의 초전도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랩 조인트를 다수 구비하여야 하며,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랩 조인트를 이용하여 케이블간을 연결시키면 그 구조가 복잡하고 지저분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wrap joint as shown in FIG. 2B is an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wo superconducting cables. In order to connect a plurality of superconducting cables, the wrap joint should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wrap joints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and messy when the interconnects are connec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2개의 랩 조인트 사이에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를 1개 이상 배치하여 연결하면 상기 랩 조인트에 삽입된 케이블과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에 삽입된 케이블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connect and connect one or more wrap joints for multiple cable connection between the two wrap joints for the cable and multi-cable joints inserted into the wrap joint It i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ables inserted into the wrap joi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는 한쪽끝은 선재삽입공이 형성되며, 상부 일부를 절개하여 홈을 구비하고, 상기 홈의 중심부에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제 1 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관통공은 선재삽입공과 연통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다른 랩조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제 1결합수단이 구비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제 1 관통공에 끼워 안착되면서 걸쳐질 수 있는 구조이고, 상부에 선재를 안착시킬 수 있는 홈인 제 1 선재 안착홈이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 1 구리 플레이트,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와 같은 형태와 구조를 가지며, 제 1 구리 플레이트에 결합시 제 2 선재 안착홈이 제 1 구리 플레이트의 제 1 선재 안착홈과 맞닿으며, 제 1 구리 플레이트와의 결합으로 인해 형성된 홀에 선재가 위치하는 제 2 구리 플레이트 및 전체적인 형상이 하판 일부가 절개된 홈 부분을 커버링할 수 있는 구조로, 중심부에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제 2 관통공이 구비되며, 길이방향 양측에는 또 다른 랩조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제 2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상판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joi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one end formed with a wire insertion hole, and has a groov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groove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groov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through hole is provided, and the first through hole communicates with the wire inserting hole, and the lower plate is provided with first coupling means for connecting with other wrap joints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fitted into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lower plate. And a first wire seating groove which is a groove capable of seating the wire r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copper plat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opper plate. Structure, the second wire seating groove abuts with the first wire seating groove of the first copper plate when the first copper plate is joined to the first copper plate. The second copper plate in which the wire is located in the hole formed by the coupling with the rate and the overall shape can cover the groove portion in which the lower part is cut, the second 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center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plate is provided with a second coupling means for connecting with another wrap joint.
본 발명에서는 납코팅된 선재와 접촉될 제 1 구리 플레이트 및 제 2 구리 플레이트의 내주면을 납으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copper plate and the second copper plate to be in contact with the lead-coated wire rod are coated with lead.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와 제 2 구리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면을 솔더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solder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rst copper plate and the second copper plate.
또한,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의 접촉면을 솔더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solder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upper plate.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 및 제 2 구리 플레이트는 구리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copper plate and the second copper plate are made of a copper material.
또한,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 및 하판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co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are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또한, 상기 제 2 구리 플레이트 및 상판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co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are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상기 하판과 다른 랩조인트간 결합 방법에는 그 일례로, 그 랩조인트의 결합공과 대응되게 상기 하판의 길이방향 양측에 결합공을 형성시키고, 하판 및 랩조인트에 형성된 결합공을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 등이 있다. For example, in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lower plate and the other wrap joint, coupling holes are formed at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plat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holes of the wrap joint, and the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lower plate and the wrap joint are fastened by using a bolt or the like. And the like.
상기 상판과 또 다른 랩조인트간 결합 방법에는 그 일례로, 그 랩조인트의 결합공과 대응되게 상기 상판의 길이방향 양측에 결합공을 형성시키고, 상판 및 랩조인트에 형성된 결합공을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 등이 있다.In 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another lap joint, for example, coupling holes are formed at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plat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holes of the lap joint, and the coupling holes formed in the upper plate and the lap joint may be formed using bolts or the like. Fastening method.
상기 하판에 구비된 제 1 관통공에 제 1 구리 플레이트의 안착은, 상기 제 1 관통공이 접하는 하판의 상측에 제 1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하판의 제 1 걸림턱에 걸쳐질 수 있도록 제 1 구리 플레이트의 하측에 제 2 걸림턱을 구비함으로써 가능하다.The seating of the first copper plate on the first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lower plate may include a first catching jaw on an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contacting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first catching jaw may cover the first catching jaw of the lower plate. It is possible by providing the second locking step below the copper plate.
또한,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와 제 2 구리 플레이트간 결합은,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와 제 2 구리 플레이트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제 3걸림턱과 제 4걸림턱을 각각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와 제 2 구리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면을 솔더링함으로써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pper plate and the second copper plate is provided with a third catching jaw and a fourth catching jaw at portions where the first copper plate and the second copper plat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copper This is possible by solderi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plate and the second copper plate.
상기 상판에 구비된 제 1 관통공과 하판에 구비된 제 2 관통공이 서로 대칭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upper plat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lower plate are configured to be symmetric with each other.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와 하판간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의 하부면이 하판의 하부면보다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is mad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pper plate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또한, 상기 제 2 구리 플레이트와 상판간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2 구리 플레이트의 상부면이 상판의 상부면보다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co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is mad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pper plate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와 제 2 구리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면을 솔더링하는 방법은 그 일례로, 제 1 구리 플레이트와 제 2 구리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부분에 납 시트를 배치한 후, 납 시트가 녹는 상태에서 상하 압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As a method of solderi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first copper plate and the second copper plate, for example, after placing a lead sheet in a portion where the first copper plate and the second copper plate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ead sheet are melted. There is a method of pressing.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의 접촉면을 솔더링하는 방법은 그 일례로, 상판과 하판이 접촉하는 부분에 납 시트를 배치한 후, 납 시트가 녹는 상태에서 상하 압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As a method of soldering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for example, after arranging a lead sheet in a portion where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contact, there is a method of pressing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 lead sheet is melted.
상기 선재안착홈의 반경은 납 코팅된 선재의 반경과 같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dius of the wire seating groove is preferably designed to be the same as the radius of the lead coated wi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분리 사시도, 결합 사시도, 평면도, 및 A-A' 단면도이다.3A to 3D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 combined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the multiple joint cable wrap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100)의 구성요소를 하(下)방향에서 상(上)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하면 하판(110), 제 1 구리 플레이트(120), 제 2 구리 플레이트(130) 및 상판(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drawings, when the components of the wrap joint 100 for a multi-cable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the order from the lower (up) direction to the upper (110)
하판(110) 및 상판(14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판(110) 및 상판(140) 각각은 다른 랩 조인트(도 7에서의 도면부호 200 및 300을 가리킴)와 연결하기 위한 제 1, 2결합수단이 각각 구비된다.The
상기 하판(110)과 상판(140) 사이에는 두 개의 플레이트(제 1 구리 플레이트 및 제 2 구리 플레이트)(120)(130)가 위치하고, 이 두 개의 플레이트 사이에는 케이블 선재가 삽입된다. 또한 플레이트와 선재간 고정시키기 위해 솔더링이 이루어진다.Two plates (first copper plate and second copper plate) 120 and 130 are positioned between the
또한, 플레이트(120)(130)는 도전성 재질(예: 구리 등)로 이루어져 두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케이블 선재와 다른 두 개의 랩조인트에 삽입된 케이블 선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에서는 하판(110)과 제 1 구리 플레이트(120) 사이, 상판(140)과 제 2 구리 플레이트(130) 사이는 전자 빔 용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electron beam welding between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판(110)과 상판(140) 사이를 티그(Tig) 용접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IG welding between the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2 플레이트는 구리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제 1, 2 구리 플레이트라고도 명명한다.As mention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e made of copper,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first and second copper plates.
이하, 상기 하판, 제 1 구리 플레이트, 제 2 구리 플레이트 및 상판의 구조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s of the lower plate, the first copper plate, the second copper plate, and the upper plat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하판의 사시도, 우측면도, 평면도, 정면도, 및 B-B' 단면도이다.4A to 4E are a perspective view, a right side view, a top view, a front view, and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a lower plate of a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join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하판(110)은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태가 길이방향으로 긴 사각 형상이다.The
하판(110)의 한쪽 끝에는 선재(미도시됨)가 삽입될 선재 삽입공(112)이 형성된다.One end of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판(110)의 상부 일부를 절개하여 홈(111)을 구비한다. 이 홈(111)에는 하기에 설명될 상판(140)이 커버링(Covering)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홈(111)의 중심부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홀(제 1 관통공)(11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공(113)은 선재삽입공(112)과 연통된다.The center of the
상기 하판(11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다른 랩조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제 1결합수단(114, 114a)이 구비된다.First coupling means 114 and 114a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상기 제 1결합수단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면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하판(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다수의 제 1결합공(114a)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 1결합공(114a)과 다른 랩조인트에 형성된 제 1결합공을 볼트(미도시됨)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법 등이 있다.The first coupling means may have a variety of methods, bu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결합공(114a)이 형성된 결합부재(114)를 하판(110)의 길이방향 양측에 날개형식으로 설치하여 다른 랩조인트(도 7의 도면부호 200에 해당함)와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다른 랩조인트에도 상기 날개형태의 결합부재(도 7의 도면부호 210에 해당함)가 형성된다. 물론 하판의 결합공과 다른 랩조인트의 결합공(도 7의 도면부호 211에 해당함)은 대응되게 구비된다.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도 7 설명부분을 참조하기로 한다.In more detail,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구리 플레이트의 사시도, 좌측면도, 평면도, 및 C-C' 단면도이다.5A to 5D are a perspective view, left side view, top view, and C-C 'cross-sectional view of a copper plate of a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splic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제 1 구리 플레이트(120)는 반원통 형상으로, 하판(110)의 중심부에 구비된 제 1 관통공(113)에 끼워 안착되면서 걸쳐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결론적으로, 제 1 구리 플레이트(120)는 제 1 관통공(113)을 메우는 형상이면서 제 1 관통공(113)에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걸쳐져 있다.3 and 5, th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120)의 길이를 제 1 관통공(113)의 길이와 같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design the length of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제 1 구리 플레이트(120)가 제 1 관통홀(113)에 끼워 안착되면서 걸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하판(110) 및 제 1 구리 플레이트(120) 각각에 제 1, 2 걸림턱(115)(122)을 구비하였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1 관통공(113)과 접하는 하판(110)의 상측에 제 1 걸림턱(115)을 구비하고, 제 1 구리 플레이트(120)의 하측에 제 2 걸림턱(122)을 구비하여 제 1 걸림턱(115)에 제 2 걸림턱(122)이 걸쳐지도록 하였다.In addition, in order to allow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선재가 안착될 홈(제 1 선재 안착홈)(121)이 구비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groove (first wire seating groove) 121 on which the wire rod is to be seated is provided on the
상기 제 1 선재안착홈(121)의 반경은 추후 안착될 선재(보다 정확하게는 납 코팅된 선재임)(미도시됨)의 반경과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선재안착홈(121)은 납 코팅된 선재가 안착 될 수 있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The radius of the firs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1 선재 안착홈(121)을 제 1 구리 플레이트(120) 길이방향으로 상부 전체에 걸쳐 구비하지는 않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제 1 구리 플레이트(120)의 상부측을 살펴보면, 일단(124)은 제 1 선재 안착홈(121)에 의해 개방되어 있고, 타단(125)은 막혀 있는 걸 알 수 있다. 선재를 안착시켰을 때, 이 제 1 구리 플레이트(120)의 타측에 선재의 일단부가 위치하게 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물론 본 발명에서는 제 1 선재 안착홈(121)을 제 1 구리 플레이트 길이방향으로 상부 전체에 걸쳐 구비하여도 무방하다.Of cours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120) 및 하판(110)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하판 및 제 1 구리 플레이트에 걸림턱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되므로 그 구조가 간단해 질뿐만 아니라 견고성도 우수해진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 구리 플레이트(120)를 하판(110)에 안착시켰을 때, 제 1 구리 플레이트(120)의 하부면이 하판(110)의 하부면보다 약간 더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른 랩 조인트(200)의 구리 플레이트(도 7의 도면부호 220임)와 긴밀한 밀착을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상기와 같이, 하판(110)과 제 1 구리 플레이트(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선재의 삽입을 살펴보면, 선재는 선재 삽입공(112)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의 제 1 선재 안착홈(121)에 안착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looking at the insertion of the wire rod in the state in which the
한편, 제 2 구리 플레이트(130)는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120)와 같은 형태와 구조를 가진다. 다만, 제 2 구리 플레이트(130)를 제 1 구리 플레이트(120)에 결합시킬 때, 상기 제 2 구리 플레이트(130)의 제 2 선재 안착홈(131)이 제 1 구리 플레이트(120)의 제 1 선재 안착홈(121)과 맞닿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도면상에서 제 2 구리 플레이트(130)의 하부와 제 1 구리 플레이트(120)의 상부가 접촉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1 구리 플레이트의 제 1 선재 안착홈(121)과 제 2 구리 플레이트의 제 2 선재 안착홈(131)이 서로 맞닿는 상태로 결합되면, 즉 제 1, 2선재 안착홈(121, 131)이 합쳐지면 하나의 홀(134)이 형성되는데, 이 홀(134)에 선재(미도시됨)가 위치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와 제 2 구리 플레이트간 결합 방식은 다양하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와 제 2 구리 플레이트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제 3, 4 걸림턱(123)(132)을 각각 구비하였다. 이에 따라, 제 1 구리 플레이트 및 제 2 구 리플레이트의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제 5 걸림턱이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제 1 구리 플레이트 하측의 걸림턱(제 2 걸림턱)(122)은 하판 상측에 구비된 걸림턱(제 1 걸림턱)(115)과 연결되고, 제 1 구리 플레이트 상측의 걸림턱(제 3 걸림턱)(123)은 제 2 구 리플레이트 하측의 걸림턱(제 4 걸림턱)(132)과 연결되며, 또한 제 2 구리 플레이트 상측의 걸림턱(제 5 걸림턱)(133)은 하기 설명될 상판의 하측에 구비된 걸림턱(제 6 걸림턱)(143)과 연결된다.The coupling method between the first copper plate and the second copper plate may vary, bu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and fourth latching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120) 및 제 2 구리 플레이트(130)의 내주면(제 1, 2선재 안착홈 ; 121, 131)에 납 코팅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납 코팅된 선재와 제 1 구리 플레이트간, 납 코팅된 선재와 제 2 구리 플레이트간 최대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ad coating is appli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the first and second wire seating recesses 121 and 131) of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구리 플레이트(120)와 제 2 구리 플레이트(130) 사이의 접촉면을 솔더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두 플레이트간 최대한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solder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여기서, 솔더링 방법은 다양하나, 그 일례로서, 제 1 구리 플레이트와 제 2 구리 플레이트가 서로 맞닿는 부분에 납 시트를 배치한 후, 납 시트가 녹는 상태에서 상하 압착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Here, although the soldering method is various, as an example, after arranging a lead sheet in the part which a 1st copper plate and a 2nd copper plate contact each other, there exists a method of pressing up and down in the state which a lead sheet melt | dissolves.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 트의 상판의 사시도, 평면도, 및 D-D' 단면도이다.6A to 6C are a perspective view,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an upper plate of a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splic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상판(140)은 전체적인 형상이 하판(110) 일부가 절개된 홈(111) 부분을 커버링할 수 있는 구조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즉, 상기 상판(140)의 전체적인 높이, 폭 및 길이를 하판 상부에 구비된 홈(111)의 깊이, 폭 및 길이와 같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it is preferable to set the overall height, width and length of the
상기 상판(140)의 중심부에는 하판의 제 1 관통공(113)처럼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홀(제 2 관통공)(14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판의 제 1 관통홀(113)과 하판의 제 2 관통홀(141)의 형태 및 크기를 같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enter of the
또한, 상판(14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또 다른 랩조인트(도 7에서의 도면부호 300을 가리킴)와 연결하기 위한 제 2결합수단(142, 142a)이 구비된다.In addition, second coupling means 142 and 142a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상기 상판(140)과 또 다른 랩조인트(300)간 결합은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그 일례로 하판(110)과 다른 랩조인트(200)간 결합하는 방식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Coupling between the
즉, 랩조인트(300)의 결합공(도 7에서의 도면부호 311에 해당함)과 대응되게 상기 상판(140)의 길이방향 양측에 제 2결합공(142a)을 형성시키고, 상판(140)과 그 랩조인트(300) 각각에 형성된 제 2결합공(142a)(311)을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을 이용한다.That is,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구리 플레이트(130) 및 상판(140)을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2 구리 플레이트(130)와 상판(140)을 결합시켰을 때, 상기 제 2 구리 플레이트(130)의 상부면이 상판(140)의 상부면보다 약간 더 돌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또 다른 랩 조인트(300)의 구리 플레이트(도 7의 도면부호 320임)와 긴밀한 밀착을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본 발명에서는 하판 상부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된 홈(111)에 상판(140)을 커버링했을 때, 하판(110)과 상판(140) 사이의 접촉면을 솔더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판에 구비된 제 2 결합공(142a)과 하판에 구비된 제 1 결합공(114a)이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와 일반적인 랩 조인트간 연결을 보여주기 위한 분리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다.7A and 7B are separate and combin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wrap joint for a multi-cable joint and a general wrap jo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는 2개의 일반적인 랩 조인트(200)(300) 사이에 위치하여 각 랩 조인트에 삽입된 케이블 선재(미도시됨)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joi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between two
도면상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 상하측에 구비된 일반적인 랩조인트는 서로 상하 대칭구조를 가진다. 즉,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 하측에 있는 랩조인트는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상측에 있는 랩 조인트를 길이방향에 대해 180도 회전시켜 놓은 것이다.In the drawing, the general wrap joint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joints have a vertically symmetrical structure. That is, the lap joint below the lap joint for the multi-cable joining is a rotation of the lap joint on the upper side of the lap joint for the multi-cable joining by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100)와 2개의 랩 조인 트(200)(300)간 결합관계를 살펴보기 전에, 일반적인 랩 조인트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Before examining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wrap joint 100 and the two
일반적인 랩 조인트(200)(300)는 한쪽 끝에 선재삽입공(240)(340)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선재삽입부(350)가 요홈 형성된다. 선재삽입부(350)는 선재삽입공(340)과 연통되고 선재는 선재삽입공(340)을 통해 선재삽입부(350)에 삽입된다. 여기서, 선재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홈 기저부를 가리킴)은 구리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이 부분(220)(320)은 도 5에 도시된 하판 및 상판의 관통공(113)(141)에 안착된 구리 플레이트(120)(130)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선재는 선재삽입공을 통해 선재 삽입부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선재는 플레이트와 직접적으로 접촉이 이루어진다. 또한, 랩조인트(200)(30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다수의 결합공(211)(311)이 형성된 결합부재(210)(3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랩조인트의 선재삽입부에 안착 결합되는 덮개(230)(330)가 별도 구비된다. 상기 덮개(230)(330)는 선재 삽입부에 안착된 선재 위를 커버링하는 것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상, 하측으로 각각 1개의 랩 조인트가 결합된다.As mentioned above, one wrap joint is respectively joined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wrap joint for multiple cable jo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100)와 2개의 랩 조인트(200)(300)간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하판에 구비된 제 1결합공(114a)과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하측에 위치한 다른 랩 조인트(200)의 결합공(211)이 나사결합(또는 볼트결합)된다. 또한,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상판에 구비된 제 2결합공(142a)과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의 상측에 위치한 또 다른 랩 조인트(300)의 결합공(311)이 나사결합(또는 볼트결합)된다. 이로 인해 각 랩 조인트(100)(200)(300)에 삽입된 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Looking a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wrap joint 100 for the multi-cable joint and the two
또한, 본 발명에서는 2개 이상의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를 결합하고, 최상 및 최하측에 위치한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와 각각 1개씩의 일반 랩조인트를 결합시키면 4개 이상의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wo or more multiple cable joint wrap joints, and combin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multiple cable joint wrap joint and each one of the general wrap joint to connect four or more cables electrically Can b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를 2개의 일반 랩 조인트 사이에 배치하여 연결하면 상기 랩 조인트에 삽입된 케이블과 다중 케이블 접합용 랩 조인트에 삽입된 케이블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동시에 다수개의 케이블 접합이 가능하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ulti-cable joint wrap joint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is disposed between two general wrap joints and connected, the cable inserted in the wrap joint and the cables inserted in the multi-joint wrap join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is allows for multiple cable splices at the same time.
Claims (1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8179A KR100839625B1 (en) | 2006-12-29 | 2006-12-29 | Wrap Joints for Multiple Cable Splic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38179A KR100839625B1 (en) | 2006-12-29 | 2006-12-29 | Wrap Joints for Multiple Cable Splic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9625B1 true KR100839625B1 (en) | 2008-06-20 |
Family
ID=39771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38179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9625B1 (en) | 2006-12-29 | 2006-12-29 | Wrap Joints for Multiple Cable Splic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9625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700493A (en) * | 1984-09-13 | 1988-03-15 | Joint connector | |
KR100338792B1 (en) * | 1999-03-31 | 2002-05-31 | 야자키 야스히코 | Press-contact joint connector |
KR100341361B1 (en) * | 1999-04-06 | 2002-06-22 | 야자키 야스히코 | Press-contact joint connector |
-
2006
- 2006-12-29 KR KR1020060138179A patent/KR10083962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80700493A (en) * | 1984-09-13 | 1988-03-15 | Joint connector | |
KR100338792B1 (en) * | 1999-03-31 | 2002-05-31 | 야자키 야스히코 | Press-contact joint connector |
KR100341361B1 (en) * | 1999-04-06 | 2002-06-22 | 야자키 야스히코 | Press-contact joint connec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8550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interconnection of two electrical cables | |
US4834673A (en) | Flat cable power distribution system | |
CN104396089B (en) |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 |
TW200905999A (en) | Electrical termination device | |
CN106159525A (en) | Magnetic-extraction connector and micro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 |
WO2016182084A1 (en) | Electric cable connecting terminal and method for connecting together electric cable connecting terminal and electric cable | |
JP2015510663A (en) | Connection method of current return network in non-conductive structure, equipotential shunt connection, and equipotential bonding | |
EP0820649A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839625B1 (en) | Wrap Joints for Multiple Cable Splicing | |
KR10151312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Cable | |
US20240235070A1 (en) | Multi-Dimensional, Flux-Excluding, Low-Inductance Electrical Interconnect | |
CN100595987C (en) | power splitter | |
JP6743270B2 (en) | Method and component composite for forming a laser welded joint | |
KR100839624B1 (en) | Electrical bonding device of superconducting wire with low alternating current loss | |
CN212392729U (en) | Outer rotor motor stator and motor | |
CN1125511C (en) | Cable connector and cable connecting method | |
KR100767646B1 (en) | Lap joint wire connecting device of twisted pair conductor and its method | |
US6984787B2 (en) | Shield-processing structure of shielded cable | |
CN102130384A (en) | Conductor with U-shaped welded junction | |
TWI736058B (en) | Electric connector | |
JP3141013U (en) | Solar cell module terminal box and solar cell module with terminal box | |
GB2299900A (en) | Electrical connector | |
CN101752715A (en) | Cable connector | |
JP2023543391A (en) | feed through | |
KR100826586B1 (en) | Helium Container Suppor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