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9476B1 -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 Google Patents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9476B1
KR100839476B1 KR1020070053488A KR20070053488A KR100839476B1 KR 100839476 B1 KR100839476 B1 KR 100839476B1 KR 1020070053488 A KR1020070053488 A KR 1020070053488A KR 20070053488 A KR20070053488 A KR 20070053488A KR 100839476 B1 KR100839476 B1 KR 100839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water
hose
spr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문
Original Assignee
전상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상문 filed Critical 전상문
Priority to KR1020070053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9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47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E03D9/085Hand-held spray heads for bidet use or for cleaning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 양변기 물통(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직육면체형상의 플라스틱통(1)과, 상기 플라스틱통(1)의 내측 상부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각 2개씩 형성되며 시트(9)를 걸고, 시트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철봉(3)과,
상기 플라스틱통(1)의 외측이며 양측에 형성된 스프레이(4)와, 상기 스프레이(4)에 연결된 티(5)와, 상기 티(5)에 연결된 호스(6)와, 상기 호스(6)에 연결된 엘보(7)와, 상기 플라스틱통(1)의 하부에 형성하는 물받이(8)와, 상기 물받이(8)의 일측에 형성된 물받이관(8-1)으로 구성되는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양변기, 시트세척기

Description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The washer for cleaning Toilet seat}
도1은 본 발명의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평면상세도
도2는 본 발명의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측면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양변기 시트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전체도
<도면의 부호>
플라스틱통(1), 레일(2), 철봉(3), 스프레이(4), 티(5), 호스(6), 엘보(7), 물받이(8), 물받이관(8-1), 시트(9), 양변기 물통(100), 물수위조절기(101), 양변기레버(102)
본 발명은 시트를 세척할 수 있도록 일반 양변기의 상부에 형성된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공중화장실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곳으로 위생상 청결하지 못하기 때문에 화장지를 감아서 사용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예를 들면,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실0168469호에는 타원형 변기 시트를 슬라이딩 홈이 파진 원형의 회전지지대 위에 장착하여 이 지지대의 홈에 연결된 위생처리 장치가 원형 회전하면서 시트에 1차 물을 살포 이 액체를 와이퍼로 제거하고 2차 살균 용액을 토포 후 다시 와이퍼로 제거한 후 위생처리 장치 회전용 직류 모터에 가속 기어로 연결된 송풍 팬을 이용 잔존한 습기를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회전식 화장실 변기 시트 위생처리 장치가 기술되어 있고,
국내특허공보 출원번호 제10-1996-0006591호에는 양변기좌대(7)를 세척, 건조, 살균하기 위해 양변기좌대의 내측, 외측보다 작거나 큰 곡선형의 안내레일(6,27,32)을 만들고 그 안내레일(6,27,32)에 세척기(5)를 고정한 채 이동하면서 양변기 좌대 표면을 세척, 살균, 건조 하게 한 것으로 세척은 강한 물줄기를 분사해서 표면을 세척하는데 비데의 가압수를 호스에서 연결 분사 하거나 세척기(5)에 물 펌프(34)를 달아서 물을 세척기서 직접 가압 분사해서 세척할 수 있고 세척용 롤러(59) 세척용 벨트(53)를 회전시켜서 세척하는 방식도 있고 건조는 강한 공기를 외부에서 호스(11)로 공급받아서 양변기좌대 표면에 강하게 분사 좌대 표면의 물기를 빠르게 건조하고 살균은 세척기(5)에 자외광 방사등을 부착해서 좌대 표면에 집중 조명해서 살균하게 한 양변기 좌대 부분 세척, 살균 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0236424호에는 일측에 수조가 설치되고, 좌대에 좌판이 설치된 양변기에 있어서,
상기 좌대의 상부 테두리에 다수의 유출구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통구가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로 물을 유출시킬 수 잇도록 된 물공급관과, 상기 물공급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을 수조 내에 설치된 사이폰관에 연결되어 물공급관에 물을 공급하는 튜브로 구성된 양변기 좌대 세척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3-0002622호에는 양변기 뚜껑 내부에는 폭 1cm, 깊이 0.5cm의 홈을 따라 타원형의 주조된 급수라인과 그 출구인 직경이 1mm, 200-400개의 노즐형 물분사구가 뚜껑 하단부쪽으로 성형되고, 급수라인 안쪽으로 폭 5cm 깊이 0.5cm의 홈을 따라 타원형으로 주조된 송풍라인과 그 출구인 직경 3-5mm, 20-30개의 열풍 분사구가 형성되며, 양변기 뚜껑 밑면 중앙에는 연결선을 통해 조절 박스내 발진기와 연결되는 타원형으로 특수 제작된 자외선 살균 램프등으로 구성된 위생용 자동 세척 살균 양변기가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구조가 복잡하여 원가가 비싸며, 시트 전체를 세척하지 못하고 일부만 세척함으로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지 못하여 실제 사용 시 많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반 양변기 물통 상부에 직육면체형상의 플라스틱통을 설치하고, 내부에는 시트를 걸 수 있도록 레일과 철봉을 형성하며, 외부에는 스프레이를 형성하여, 기존 양변기의 물통에 연결된 호스로 물을 공급하여 형성된 스프레이로 물을 분사하면서 시트를 세척할 수 있는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반 양변기 물통(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직육면체형상의 플라스틱통(1)과, 상기 플라스틱통(1)의 내측 상부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각 2개씩 형성되며 시트(9)를 걸고, 시트(9)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철봉(3)과,
상기 플라스틱통(1)의 외측이며 양측에 형성된 스프레이(4)와, 상기 스프레이(4)에 연결된 티(5)와, 상기 티(5)에 연결된 호스(6)와, 상기 호스(6)에 연결된 엘보(7)와, 상기 플라스틱통(1)의 하부에 형성하는 물받이(8)와, 상기 물받이(8)의 일측에 형성된 물받이관(8-1)으로 구성되는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이 발표한 공중화장실좌대에 상존하는 병원균에 대한 연구조사보고서에 따르면 서양식 변기좌대에서 31종의 세균을 검출되었다고 한다.
세균은 좌대1개에 평균 71만 마리가 검출되었고 10㎠의 면적에서 발견된 세균은 3800마리, 이는 한국소비자보호원의 세균오염도 조사 중 지하철손잡이(10㎠당 340마리)의 11배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검출된 세균종류는 대장균그룹 17종, 살모넬라그룹 9종, 포도상구균그룹 5종 등이었다.
서울대 조사팀은 상기의 조사 내용이 가을에 조사한 결과이기 때문에 고온다습한 여름에는 상태가 더욱 심각할 것이라고 발표하였다.
또 서울대 화공과조사팀은 가정양변기 사용방법에서 용변을 마치고 변기뚜껑을 덮고 물을 내려 보내지 않으면 화장실 안이나 가정 안에 병균이 비산한다고 하였으며 뚜껑을 덮고 물을 내려도 변기뚜껑이나 좌대에는 많은 병균들이 달라붙게 마련이고 또 시트(좌대)위에 아이들이나 조심성 없는 사람들은 서서 소변을 보아서 시트(좌대)를 더럽히게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원발명은 양변기세척기를 기존 양변기 물통 위나 혹은 벽에 걸어서 그 안에 기존시트(좌대)혹은 제작한 시트(좌대)를 끼워 걸어 놓고 시트와 시트사이에 수돗물이 잘 흘러 내려갈 수 있게 간격을 만들어 소변 및 대변을 마친 후 기존물통의 레버를 누르면 물통의 물이 대변 혹은 소변을 흘러 내려가게 하고 그 후 수돗물은 물통 안에 수위조절기를 통하여 액체염소가 들어있는 수돗물이 이들 시트위에서 아래로 흐르게 하여 3~4장의 시트를 동시에 살균 세척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에 의하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쉬운 구성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그 생산성이 향상되고, 전체적으로 시공이 용이한 바, 그 시공성이 향상됨은 물론 시공비 절감과 위생성 향상 및 화장지 절약으로 인한 불필요한 낭비가 줄어들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평면상세도, 도2는 본 발명의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측면상세도, 도3은 본 발명의 양변기 시트 상세도, 도4는 본 발명의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전체도를 도시한 것이며,
플라스틱통(1), 레일(2), 철봉(3), 스프레이(4), 티(5), 호스(6), 엘보(7), 물받이(8), 물받이관(8-1), 시트(9), 양변기 물통(100), 물수위조절기(101), 양변기레버(102)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 양변기 물통(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두께 약2~3㎜, 넓이 400 × 550㎜로 형성된 플라스틱 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2)과, 상기 레일(2)에 끼워 만든 직육면체형상의 플라스틱통(1)과, 상기 플라스틱통(1)의 내측 상부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각 2개씩 형성되어 시트(9)를 걸고, 삽입된 시트(9)가 깨끗이 세척될 수 있도록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개의 철봉(3)과,
상기 플라스틱통(1)의 외측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4)와, 상기 스프레이(4)에 연결된 티(5)와, 상기 티(5)에 연결된 호스(6)와, 상기 호스(6)와 양변기 물통(100)의 내부에 형성된 물수위조절기(101)에 연결시켜주는 엘보(7)로 구성되며,
상기 플라스틱통(1)의 하부에 형성하는 물받이(8)와, 상기 물받이(8)의 일측에 형성된 물받이관(8-1)로 구성되는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두께 약 2~3㎜, 넓이 400 × 550㎜로 형성된 플라스틱 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2)에 끼워 직사각형상의 플라스틱통(1)을 제작하고, 상기 플라스틱통(1)의 상단에 각각 스프레이(4)를 끼울 수 있는 구멍을 만들어 스프레이(4)를 끼운 후, 상기 플라스틱통(1)의 상부에는 시트(9) 3~4장을 삽입될 수 있도록 가로, 세로방향으로 3∼4개의 철봉(3)을 끼운 다음,
양변기 물통(100) 내에 형성된 물수위조절기(101) 하단에 90도 엘보(7)를 부착시켜 호스(6)연결하고, 상기 스프레이(3)에 연결된 티(5)를 끼운 후, 호스(12)를 연결하여 놓은 다음,
상기 플라스틱통(1)의 하부에 물받이(8)를 끼워, 양변기 물통(100)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용변을 보고 난 후에 양변기레버(102)를 내리게 되면 양변기물통(100)의 물은 배설물과 함께 배출되고, 수도전에 통전된 물은 상기 물수위조절기(101)가 작동함으로서 호스(6)에 연결된 스프레이(4)를 통해 분사되어 플라스틱통(1)에 삽입된 시트(9)를 약 1분간 세척하도록 한 후, 시트(9)를 세척한 물은 상기 물받이(8)의 연결된 물받이 관(8-1)을 통하여 양변기 물통(100)으로 배수되어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면 다시 물수위조절기(101)에 의해 상수도의 물의 공급이 끝나는 양변기 세척기인 것이다.
또한, 상기 양변기 시트(9)는 기존 양변기 시트보다 조금 크게 야외용 돗자 리의 재질로 만들어 2장을 1세트로 하여 서로 마주보게 하고 그 사이를 접착제 본드로 접착시켜 만들어서 이 시트가 구부러지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이 시트를 기존 양변기 시트위에 올려놓고 용변을 보면 사람의 피부가 기존의 더러운 시트에 직접 닿지 않아 위생적이면서도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는 양변기 시트 세척기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 제품은 일반인 누구나 쉽게 제작할 수 있고, 일반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반 양변기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제작비가 저렴하고 수명은 영구적이며,
제작된 시트는 스펀지 플라스틱 제품으로 기존시트보다 조금 크게 제작하여 기존 시트에는 엉덩이 살이 닿지 않아서 기분이 상쾌하고 위생적이기 때문에 마음 놓고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으므로, 사람들이 용변을 보기 전에 휴지로 변기를 닦지 않아도 되니까 편리하고 경제적이다.
또한, 물받이를 사용하여 물이 물받이 밑에 호스를 통하여 기존 물통 속으로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소음이 없고 수위조절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물의 양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에 있어서,
    일반 양변기 물통(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두께 2~3㎜, 넓이 400 × 550㎜로 형성된 플라스틱 판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2)과, 상기 레일(2)에 끼워 만든 직육면체형상의 플라스틱통(1)과, 상기 플라스틱통(1)의 내측 상부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각 2개씩 형성되어 시트(9)를 걸고, 삽입된 시트(9)가 깨끗이 세척될 수 있도록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철봉(3)과,
    상기 플라스틱통(1)의 외측 상부 양측에 형성되어 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4)와, 상기 스프레이(4)에 연결된 티(5)와, 상기 티(5)에 연결된 호스(6)와, 상기 호스(6)와 양변기 물통(100)의 내부에 형성된 물수위조절기(101)에 연결시켜주는 엘보(7)로 구성되며,
    상기 플라스틱통(1)의 하부에 형성하는 물받이(8)와, 상기 물받이(8)의 일측에 형성된 물받이관(8-1)로 구성되는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KR1020070053488A 2007-05-31 2007-05-31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839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488A KR100839476B1 (ko) 2007-05-31 2007-05-31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488A KR100839476B1 (ko) 2007-05-31 2007-05-31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9476B1 true KR100839476B1 (ko) 2008-06-19

Family

ID=39771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488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9476B1 (ko) 2007-05-31 2007-05-31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94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745A (ko) 2003-05-24 2004-12-02 (주) 지엔티 좌변기용 시트의 자동 살균세척장치
KR100467911B1 (ko) * 2002-04-11 2005-01-24 (주) 지엔티 좌변기용 시트의 자동 살균 세척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911B1 (ko) * 2002-04-11 2005-01-24 (주) 지엔티 좌변기용 시트의 자동 살균 세척 시스템
KR20040100745A (ko) 2003-05-24 2004-12-02 (주) 지엔티 좌변기용 시트의 자동 살균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33215U (ja) 泡洗浄装置を具えた衛生器具
JP2012515726A5 (ko)
CN108993961B (zh) 一种用于住院病房的床单位消毒装置
CN204581068U (zh) 一种智能卫浴柜
CN203420340U (zh) 一种具有自动杀菌的马桶
CN103735376A (zh) 一种智能护理床垫
KR102249345B1 (ko) 세척 및 살균 기능을 가진 양변기
KR200441147Y1 (ko) 소독기능을 겸비한 손 건조기
KR100712147B1 (ko) 이동식 세면대
KR101326145B1 (ko) 다기능 세면대
KR100839476B1 (ko) 양변기 시트(좌대)세척기
KR101358493B1 (ko) 소변기
CN204662609U (zh) 一种具有消毒除菌功能的冲洗装置
CN206385617U (zh) 马桶清洗装置
KR101342096B1 (ko) 위생 소변기
US20130014340A1 (en) Katy cleaner
ES2553156B1 (es) Inodoro sanitario autolimpiable y procedimiento de limpieza del mismo
CN203914812U (zh) 清洁工具收纳装置
CN215442230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卫生洁具
CN205369460U (zh) 一种便于老年人使用的蹲便器
KR101877663B1 (ko) 시트 물걸레 세척식 변기
CN216195212U (zh) 一种用于马桶的自动消毒装置
KR101715602B1 (ko) 살균세정 기능을 갖는 롤휴지 디스펜서
CN218902808U (zh) 一种自动清洁的卫生马桶
CN207898700U (zh) 一种毛巾口罩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0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0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030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23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0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