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510B1 - 꺾임장치와 이를 채용한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기기 - Google Patents
꺾임장치와 이를 채용한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8510B1 KR100838510B1 KR1020070045167A KR20070045167A KR100838510B1 KR 100838510 B1 KR100838510 B1 KR 100838510B1 KR 1020070045167 A KR1020070045167 A KR 1020070045167A KR 20070045167 A KR20070045167 A KR 20070045167A KR 100838510 B1 KR100838510 B1 KR 1008385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swing link
- lower bracket
- upper bracket
- be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3)
- 상부 브라켓;상기 상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하부 브라켓;상기 상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 됨과 동시에 상기 하부 브라켓의 일부와 맞물리며, 외부로 노출된 스윙링크돌기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상기 상부 브라켓에 대하여 스스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이 상기 상부 브라켓에 결합된 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강제하는 스윙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 두 브라켓을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가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에 상기 하부 브라켓을 축결합을 시키기 위해 이들 두 브라켓에 마련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결합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 중 어느 한쪽에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나머지 한 쪽에는 상기 결합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축이 형성되 어, 상기 결합공에 상기 축이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상부 브라켓에 상기 하부 브라켓이 축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링크의 몸체에 형성된 스윙링크홈에 상기 하부 브라켓의 축이 삽입되는 형태로 상기 스윙링크와 상기 하부 브라켓이 맞물리며, 상기 스윙링크의 몸체와 더불어 회전하는 상기 스윙링크홈에 상기 하부 브라켓의 축이 강제적으로 가이드 됨으로써 상기 하부 브라켓이 상기 소정각도만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브라켓의 회전각도는 상기 스윙링크홈의 길이 또는 상기 하부 브라켓이 상기 소정각도만큼 회전하면 상기 상부 브라켓의 일부분에 맞닿아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된 구조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장치는 상기 스윙링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하부 브라켓이 상기 상부 브라켓에 대하여 벌어짐이 없이 일직선을 이루는 닫힘상태와 상기 소정각도만큼 벌어지는 꺾임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닫힘상태와 상기 꺾임상태 간의 상태 천이는 가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상태와 상기 꺾임상태에서 상기 스윙링크가 회전 하지 않는 한 상기 하부브라켓은 회전운동이 불가능하여 유격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의 상기 꺾임장치 두 개가 바 형상의 링크부재를 매개로 하여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두 개의 꺾임장치 각각에 있는 제1 및 제2 상부 브라켓을 연결하는 제1 링크부재와 제1 및 제2 하부 브라켓을 연결하는 제2 링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링크는 몸체의 측면에서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되게 연장되는 돌기를 통해 상기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는 다른 물체와 나사 결합을 하기 위한 결합공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상부 브라켓;상기 상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하부 브라켓;상기 상부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 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스윙링크돌 기를 포함하는 스윙링크; 및상기 하부 브라켓과 상기 스윙링크 사이에 위치하며 양쪽 단부가 상기 하부 브라켓과 상기 스윙링크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축결합된 링크를 구비하며,상기 스윙링크는 상기 스윙링크돌기를 통해 자신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상기 상부 브라켓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링크를 당겨 올리고, 그에 따라 상기 하부 브라켓이 상기 링크에 끌려가면서 상기 상부 브라켓에 대하여 소정각도만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 상기 하부 브라켓, 상기 스윙링크, 상기 링크를 한 쌍씩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브라켓은 바형 링크부재를 매개로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링크부재의 양단에 꺾임장치가 각각 하나씩 마련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링크는 상기 외력을 전달받기 위해 몸체의 측면에서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의 외부로 노출되게 연장되는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장치.
- 바 형상의 몸체의 좌우 양 측면에 결합축이 돌출되고, 상기 몸체의 좌우 양쪽 단부 모서리 부근에 한 쌍의 하부 브라켓이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몸체에 고정되면서 상기 몸체의 저면과 소정각도 경사진 상면을 갖는 받침 부와 이 받침부의 바깥쪽 모서리에서 아래쪽으로 직립한 돌기부를 포함하는 하부 브라켓부; 및상기 몸체의 양측의 상기 결합축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상부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브라켓은 상기 몸체의 측면에 대면하면서 상기 결합축에 축결합 하는 결합부와 상기 하부 브라켓의 상기 받침부의 상면과 상기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대면하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상부 브라켓부를 구비하여,상기 돌기부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상부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소정각도만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꺾임장치.
- 제1항 내지 제5항, 제7항 내지 제14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꺾임장치;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홈의 아래쪽 끝에는 상기 가이드홈보다 더 깊은 깊이의 꺾임걸림홈이 마련되고 하단부는 경사면인 베이스부; 및상기 꺾임장치의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 각각 고정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상부 무빙부와 하부 무빙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대면하면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무빙부를 구비하여,상기 꺾임장치의 스윙링크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 있는 동안에는 상기 하부 무빙부가 상기 상부 무빙부에 대하여 일직선상으로 펴진 닫힘상태(펴짐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무빙부를 아래로 당기는 외력에 의해 상기 꺾임장치가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스윙링크돌기가 상기 꺾임걸림홈 안에 진입한 후 그 속에 갇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스윙링크가 제1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이 상기 상부 브라켓에 대하여 상기 경사면 쪽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강제하고, 그 결과 상기 하부 브라켓과 일체로 움직이는 상기 하부 무빙부가 꺾임상태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위로 밀어 올리는 외력에 의해 상기 스윙링크돌기가 상기 꺾임걸림홈을 빠져나와 상기 가이드홈으로 올라타는 과정에서 상기 스윙링크돌기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스윙링크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강제되고, 그 결과 상기 하부 브라켓과 일체로 움직이는 상기 하부 무빙부가 상기 닫힘상태(펴짐상태)로 환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과 나란히 가는 가이드레일이 더 마련되고, 상기 상부 무빙부의 저면의 양측에 고정되어 슬라이더에 고정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한 쪽 팔은 상기 상부 무빙부의 저면에 결합되고 나머지 다른 쪽 팔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무빙부가 아래 또는 위로 슬 라이드 운동을 할 때 끝까지 끌어내리거나 밀어 올리는 힘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과 상기 꺾임걸림홈은 상기 베이스부의 좌우 양쪽에 측면 모서리와 나란히 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은 상기 상부 무빙부 및 상기 하부 무빙부와 각각 한 몸으로 설계되어, 상기 스윙링크만 상기 상부 브라켓과 상기 하부 브라켓에 조립하면 되는 구조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장치.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장치는 슬라이드 개폐형 휴대폰, PDA, 스마트폰,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5167A KR100838510B1 (ko) | 2007-05-09 | 2007-05-09 | 꺾임장치와 이를 채용한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기기 |
US12/597,595 US20100134973A1 (en) | 2007-05-09 | 2008-05-07 | Bendable mechanism and bendable sliding opening type apparatus |
EP08753363A EP2145396A1 (en) | 2007-05-09 | 2008-05-07 | Bendable mechanism and bendable sliding opening type apparatus |
PCT/KR2008/002566 WO2008140207A1 (en) | 2007-05-09 | 2008-05-07 | Bendable mechanism and bendable sliding opening type apparatus |
CN200880015189A CN101682349A (zh) | 2007-05-09 | 2008-05-07 | 可弯曲机构和可弯曲的滑动打开式装置 |
RU2009139299/07A RU2402875C1 (ru) | 2007-05-09 | 2008-05-07 | Механизм, имеющий возможность сгиба, и устройство-слайдер, имеющее возможность сгиба |
JP2010507324A JP2010526509A (ja) | 2007-05-09 | 2008-05-07 | ベンダブル装置とこれを採用したベンダブルスライド開閉型機器 |
TW097116967A TW200910785A (en) | 2007-05-09 | 2008-05-08 | Bendable mechanism and bendable sliding opening type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45167A KR100838510B1 (ko) | 2007-05-09 | 2007-05-09 | 꺾임장치와 이를 채용한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8510B1 true KR100838510B1 (ko) | 2008-06-17 |
Family
ID=3977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451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8510B1 (ko) | 2007-05-09 | 2007-05-09 | 꺾임장치와 이를 채용한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기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134973A1 (ko) |
EP (1) | EP2145396A1 (ko) |
JP (1) | JP2010526509A (ko) |
KR (1) | KR100838510B1 (ko) |
CN (1) | CN101682349A (ko) |
RU (1) | RU2402875C1 (ko) |
TW (1) | TW200910785A (ko) |
WO (1) | WO2008140207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6423B1 (ko) * | 2010-03-22 | 2012-07-19 | 이종성 | 부스바 고정브라켓유닛 및 부스바 가공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715281A (zh) * | 2008-10-06 | 2010-05-26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滑动模组及应用该滑动模组的便携式电子装置 |
JP5733309B2 (ja) * | 2010-05-20 | 2015-06-10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機器 |
CN102799231B (zh) * | 2011-05-26 | 2016-06-08 | 罗普特(厦门)科技集团有限公司 | 可调整显示角度的显示模组 |
TWI631887B (zh) * | 2014-10-28 | 2018-08-01 | 富智康(香港)有限公司 | 散熱結構及具有所述散熱結構的電子裝置 |
KR101736683B1 (ko) * | 2016-09-06 | 2017-05-17 | 주식회사 엠아이 | 배관계에 배기물의 부착퇴적을 방지하기 위한 배관계 부품 |
CN211137036U (zh) * | 2019-10-29 | 2020-07-31 | 富港电子(昆山)有限公司 | 弧形握把的组装结构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5635B1 (ko) | 2003-12-18 | 2006-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부 절곡장치 |
WO2007000677A2 (en) | 2005-06-28 | 2007-01-04 | Nokia Corporatio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KR100683535B1 (ko) | 2006-03-29 | 2007-02-15 | 강원구 | 경사각을 갖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
KR20070021728A (ko) * | 2005-08-19 | 2007-0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슬라이드 구동형 휴대용 단말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994712B2 (ja) * | 2001-10-02 | 2007-10-24 | 日本電気株式会社 | 携帯電話機 |
JP4025118B2 (ja) * | 2002-05-21 | 2007-12-19 |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
JP2004235897A (ja) * | 2003-01-29 | 2004-08-19 | Kato Electrical Mach Co Ltd | 携帯電話機並びにスライド機構 |
RU2264693C2 (ru) * | 2003-12-11 | 2005-11-20 | Наличаев Илья Борисович | Способ использовани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и мобильный телефон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
-
2007
- 2007-05-09 KR KR1020070045167A patent/KR10083851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5-07 CN CN200880015189A patent/CN101682349A/zh active Pending
- 2008-05-07 EP EP08753363A patent/EP2145396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8-05-07 JP JP2010507324A patent/JP2010526509A/ja not_active Withdrawn
- 2008-05-07 RU RU2009139299/07A patent/RU2402875C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5-07 US US12/597,595 patent/US2010013497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8-05-07 WO PCT/KR2008/002566 patent/WO200814020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08-05-08 TW TW097116967A patent/TW200910785A/zh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5635B1 (ko) | 2003-12-18 | 2006-06-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슬라이드식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부 절곡장치 |
WO2007000677A2 (en) | 2005-06-28 | 2007-01-04 | Nokia Corporatio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KR20070021728A (ko) * | 2005-08-19 | 2007-02-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슬라이드 구동형 휴대용 단말기 |
KR100683535B1 (ko) | 2006-03-29 | 2007-02-15 | 강원구 | 경사각을 갖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6423B1 (ko) * | 2010-03-22 | 2012-07-19 | 이종성 | 부스바 고정브라켓유닛 및 부스바 가공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RU2402875C1 (ru) | 2010-10-27 |
US20100134973A1 (en) | 2010-06-03 |
TW200910785A (en) | 2009-03-01 |
EP2145396A1 (en) | 2010-01-20 |
WO2008140207A1 (en) | 2008-11-20 |
CN101682349A (zh) | 2010-03-24 |
JP2010526509A (ja) | 2010-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00769B1 (ko) |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 |
KR100838510B1 (ko) | 꺾임장치와 이를 채용한 꺾임 슬라이드 개폐형 기기 | |
US7885693B2 (en) | Sliding device for dual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 |
US7711397B2 (en) |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 |
US8229525B2 (en) |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0891775B1 (ko) | 멀티미디어 휴대 전자 장치 | |
EP2242237A1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BRPI0317877B1 (pt) | Mecanismo de abertura com auto-operação para utilização em um dispositivo eletrônico de mão | |
KR100810354B1 (ko) | 게임 겸용 휴대 단말기 | |
KR100754605B1 (ko) | 폴딩형 키패드를 구비한 게임 겸용 휴대 통신 단말기 | |
KR101013626B1 (ko) | 두-방향 힌지를 갖는 무선 단말기 | |
KR100842530B1 (ko) | 휴대용 전자 장치 | |
KR20100033622A (ko) | 휴대 장치 | |
BRPI0312878B1 (pt) | Auto-open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hand electronic device | |
KR100800711B1 (ko) |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 |
KR20080048661A (ko) |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 |
JP4761344B2 (ja) | 携帯情報端末装置 | |
KR20080023898A (ko) | 멀티미디어용 이동 통신 단말기 | |
JP2005534237A (ja) | 電子デバイス用の自動開放機構 | |
KR100694498B1 (ko) | 투웨이 오픈 타입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및 휴대단말기 | |
KR100614528B1 (ko) |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120056580A (ko) | 휴대단말기용 거치대 | |
KR100874765B1 (ko) | 회전과 슬라이딩이 가능한 일체형 휴대폰의 결합장치 | |
KR100881579B1 (ko) | 멀티 모드 구조 | |
KR200372884Y1 (ko) |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6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61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