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8461B1 -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461B1
KR100838461B1 KR1020070007622A KR20070007622A KR100838461B1 KR 100838461 B1 KR100838461 B1 KR 100838461B1 KR 1020070007622 A KR1020070007622 A KR 1020070007622A KR 20070007622 A KR20070007622 A KR 20070007622A KR 100838461 B1 KR100838461 B1 KR 100838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ve
weight
adhesive composition
surface prot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7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희
김성환
박종복
김원
김윤희
Original Assignee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율촌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율촌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7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461B1/ko
Priority to CN2008800029619A priority patent/CN101594993B/zh
Priority to PCT/KR2008/000452 priority patent/WO2008091119A1/en
Priority to JP2009547174A priority patent/JP2010516856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4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support and is thereafter removed from such areas of the surface which are not intended for current conducting or shielding
    • H05K3/022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 H05K3/025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ecursors of printed circuits, i.e. copper-clad substrates by transfer of thin metal foil formed on a temporary carrier, e.g. peel-apart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5Presence of polyester in the release co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3Moulding and encapsulation; Deposition techniques; Protective layers
    • H05K2203/1377Protective layers
    • H05K2203/1383Temporary protective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8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 H05K3/386Improvement of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substrate and the metal by the use of an organic polymeric bonding layer, e.g.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기재 필름, 기재 필름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 및 점착제층 상에 형성된 이형 필름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 및 이를 구성하는 점착 조성물에 대해서 개시된다. 이러한 표면 보호 필름은 제품 표면의 손상을 보호하는 기능성 필름으로서 연성제품의 제조공정에서 제품 표면에 부착되어, 제품의 취급이 쉽도록 하고 제품을 안전하게 보호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패턴의 인쇄, 노광, 박리, 부식, 현상, 세척, 건조, 고온 압축 공정 중에서 보호용 필름의 점착이 유지되어 부착 표면을 보호하고, 그 후 보호용 필름 제거 시 점착력이 초기 점착력으로부터 크게 상승하지 않아, 박리 시 피착재로의 점착제의 전이 없이 피착대상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초기 점착력을 기존의 제품보다 높게 하여 고온 압축 공정 이전까지는 피착재와 충분한 점착을 유지하면서도 고온 압축에서 점착력 상승이 3배 이내로 낮아서 점착필름 제거 시에 점착제의 전이가 없고 피착재에도 손상이 없는 공정보호용 점착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FPCB, 연성인쇄회로, 캐리어 필름, 보호 필름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 {Surface protective fil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재 필름
20: 점착제층
30: 이형 필름
본 발명은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성 제품의 제조 공정에서 제품의 표면을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재 필름의 내측이란 점착제층 및 이형 필름이 형성되 는 측을 의미하고 기재 필름의 외측이란 상기 내측의 반대측을 의미한다.
자재가 딱딱한 인쇄회로기판(Print Circuit Board; PCB)과는 달리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 Circuit Board; FPCB)의 제조시 사용되는 FCCL 또는 동박은 연성이고 얇기 때문에, FCCL의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면 또는 동박에 보호용 필름을 부착하여 제조 공정 중에 자재의 취급이 쉽도록 하고 이를 안전하게 보호 및 유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표면 보호용 필름으로는, 내열성 기재와 점착층을 갖는 내열 재박리성 점착필름으로서 내열성 기재와 점착체층 사이에 접착력을 증강시키는 중간체를 갖는 것이 있는데, 이는 아크릴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적용함으로써 상온과 가온 후의 접착력 차이를 4 배 이내로 조정한 것이다(린텍사 특허: 일본 특개 제2000-44896).
상기 기술에서는 점착제층과 기재 필름 사이에 중간체를 형성하는데, 이는 접착력을 증강시키는 것 이외에 별다른 이점이 없으면서도 공정이 부가되고 전체 두께를 증가시킨다는 측면에서 불리하다.
더욱이 아크릴계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함으로 인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고온 압축 과정에서 점착력의 상승을 가져오는 원인이 되어 고온 압축 후의 보호필름의 제거시 점착제의 전이를 유발하게 되고, 점착력이 높아 FPCB의 컬(curl)을 발생하는 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가열 처리 중에 피착재로부터의 들뜸이 발생하지 않으며 과도한 점착력의 상승이 없고, 박리시 피착재에 오염물의 부착이 없도록 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히드록실기의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적용한 것이 있다(도요잉크사 특허: 일본특개 2006-22313).
그러나, 상기 기술에서도 또한 아크릴계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고온 압축 과정에서 점착력의 상승을 가져오는 원인이 되어 고온 압축 후의 보호필름의 제거시 점착제의 전이를 유발하게 되고, 점착력이 높아 FPCB의 컬(curl)을 발생하는 불량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온 압축 후의 점착력을 낮추기 위해 초기 점착력을 낮게 설계할 경우에는, 고온 압축 공정이전에 피착재로부터의 접착불량의 발생으로 인쇄, 노광, 박리, 부식, 현상, 세척 건조 공정에서 보호 필름의 들뜸 현상이 나타나 제품의 불량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에는 제조 공정시의 보호를 위한 코팅 작업이 일반 보호용 설비 등에서 이루어짐으로 인해 점착 코팅 필름면에 점착제 덩어리와 먼지 등의 이물질이 존재하게 됨에 따라, 보호용 필름을 FCCL 또는 동박에 합지시에 이물질로 인한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실제 실험에 있어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로는 아크릴계 수지의 고온 압축되는 조건에서의 접착력 상승을 막을 수 없고, 또한 무진룸의 특수한 시설이 없는 일반 점착제 코팅 작업장에서의 작업은 이물질의 필름 내 발생을 막을 수 없으며, 점착력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초기 점착력을 낮게 설계하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고온 압축 공정이전에 피착재로부터의 접착불량의 발생으로 인 쇄, 노광, 박리, 부식, 현상, 세척 건조 공정에서 보호 필름의 들뜸현상이 발생하여 제품의 불량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내열성 기재인 PET 필름에 점착제를 코팅한 필름을 FCCL 폴리이미드 필름면 또는 동박의 한 쪽 면에 부착하여 패턴의 인쇄, 노광, 박리, 부식, 현상, 세척, 건조, 고온 압축 공정 중에 FCCL의 손상 없이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내열성, 내약품성, 재박리성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초기 점착력을 기존의 제품보다 높게 하여 고온 압축 공정 이전까지는 피착대상과 충분한 점착을 유지하면서도 고온 압축에서 점착력 상승이 3배 이내로 낮아서 점착필름 제거시에 점착제의 전이가 없고 피착재에도 손상이 없는 공정보호용 점착보호필름으로서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약품성이 강하고 고온 및 고압의 환경 하에서도 점착력의 변화가 작아 제품의 손상을 보호하는 표면 보호 필름 및 이를 구성하는 점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점착코팅 기술 및 고분자 수지의 적절한 배합 및 응용 기술을 바탕으로 제조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재 필름, 기재 필름의 내측면 상에 형성된 점착제층, 및 점착제층 상에 형성된 이형 필름을 포함하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와 같은 표면 보호 필름을 구성하는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은,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경화제를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 조성물은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계 경화제를 1 내지 4 중량부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해서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은 기재 필름(10)의 내측면 상에 점착제층(20)이 형성되고, 점착제층(20) 상에 이형 필름(30)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기재 필름(10) 상에 점착제층(20) 형성시, 통상의 점착제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를 1.0 내지 4.0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경화제를 1.0 내지 4.0 중 량부로 함유하는 경우에 초기 점착력이 높을 뿐 아니라 고온 압축 공정에서 점착력 상승을 최소화시키는 데 있어서도 바람직하다.
즉, 점착제 조성물을 형성하였을 때 각 조성에서 상기 경화제를 1.0 내지 4.0 중량부로 함유하는 경우 상기 경화제를 1.0 중량부 미만 또는 4.0 중량부 초과로 함유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초기 점착력이 높으면서도 고온 압축 공정에서 점착력 상승을 보다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점착 조성물의 주제는 일반적인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카르복실기의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로는 에폭시계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로서, 카르복실기의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에폭시계 경화제를 1.0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는, 상기 주제와 상기 경화제를 해당 조성으로 넣고 10분 동안 혼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제층(20)에서 점착 조성물의 구성과 관련하여, 관능기로 카르복실기 또는 히드록실기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카르복실기 및 히드록실기가 복합적으로 사용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채택할 수 있으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또는 에폭시계 경화제를 사용하여 적정한 비율을 찾는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의 경우 초기점착력을 낮추는 효과는 탁월하였으나 고온 압축 후의 점착력은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선택된 수지는 카르복실기의 관능기를 함유한 아크릴계 점착제에 에폭시계 경화제를 사용한 배합물을 코팅한 것으로서, 이는 초기 점착력이 높으면서도 고온 압축 후의 점착력 상승이 작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팅 설비는, 코팅 설비의 환경을 무진룸으로 하여 코팅 헤드(head) 부분 및 건조 쳄버의 내의 크린도를 100 ~ 1,000 클래스(class) 수준의 설비에서 점착 코팅을 실시하여 코팅 필름 내에 먼지와 이물질(불순물)의 혼입을 차단하고, M2당 100㎛이상의 이물은 3개 이하로 작업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공정보호용 캐리어 필름의 이물질 혼입에 의한 동박 눌림 불량이나 점착필름 들뜸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팅기 헤드를 코마 코터기를 사용하여 코팅액의 점도가 500~2,000cps/25℃ 점도를 유지하며 코팅하여 코팅 후 표면 조도가 Ra 0.3±0.1 이하, Rz 2.5±0.3 이하, Rmax 4.0±0.3 이하 수준이 되도록 한다.
코팅액의 점도를 유지하기 위하여는 용매가 사용되며, 용매는 점착 조성물과 경화제로 구성된 점착제를 용해 가능한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톨루엔(Toluene), 메틸에틸케톤(Methyle Ethyle Ketone),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싸이클로헥사논(Cyclohexanone), 초산에틸(Ethyle Acetate)이나 이것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재 필름(10)의 구성에 있어서, 기재 필름(10)은 내열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필름으로서, 10~200㎛ 범위의 두께를 갖는 내열성 수지로 된 필름을 사용한다.
이러한 내열성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olybuthylene terephthalate) 등의 폴리에스테르 (polyester) 수지, 폴리이미드 (polyimide)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수지, 폴리스티렌 (polystylene) 수지, 폴리아미드 (polyamide) 수지, 폴리에스테르 이미드 (polyeter imide) 수지, 폴리에스테르 에테르 (polyester ether) 수지 등의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D 및 TD방향 모두 인장력이 최소 16kg/mm2이상 이고, 신장율이 최소 80% 이상이며, 열수축이 150℃, 30분의 조건 하에서 MD방향 1.8% 이하 수준인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고온 압축 조건 등에서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간략하게 말해서,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그 일 실시예에 따라 코팅 설비를 무진룸에서 작업하며,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로서 카르복실기의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에 에폭시계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실험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고 단지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 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실시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험예 - 실시예 및 비교예]
본 실험예에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필름 적층 구성은 다음과 같다(기재 필름(10), 이형 필름(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것의 어느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실시예 1 (에폭시계 경화제 1.5 중량부는 1~2 중량부의 범위에서 동일한 결과를 얻었고 이를 실시예 1로 표현함)
기재 필름(10) / 점착제층(20-1): 카르복실기 함유한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에폭시계 경화제 1.5 중량부 배합품 / 이형 필름(30)
실시예 2 (에폭시계 경화제 2.5 중량부는 2~3 중량부의 범위에서 동일한 결과를 얻었고 이를 실시예 2로 표현함)
기재 필름(10) / 점착제층(20-2): 카르복실기 함유한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에폭시계 경화제 2.5 중량부 배합품 / 이형 필름(30)
실시예 3 (에폭시계 경화제 3.5 중량부는 3~4 중량부의 범위에서 동일한 결과를 얻었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표현함)
기재 필름(10) / 점착제층(20-3): 카르복실기 함유한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에폭시계 경화제 3.5 중량부 배합품 / 이형 필름(30)
비교예 1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5 중량부는 1~2 중량부의 범위에서 동일한 결과를 얻었고 이를 비교예 1로 표현함)
기재 필름(10) / 점착제층(20-4): 히드록실기 함유한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1.5 중량부 배합품 / 이형 필름(30)
비교예 2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3.5 중량부는 2~4 중량부의 범위에서 동일한 결과를 얻었고 이를 비교예 2로 표현함)
기재 필름(10) / 점착제층(20-5): 히드록실기 함유한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3.5 중량부 배합품 / 이형 필름(30)
비교예 3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4.5 중량부는 4~5 중량부의 범위에서 동일한 결과를 얻었고 이를 비교예 3으로 표현함)
기재 필름(10) / 점착제층(20-6): 히드록실기 함유한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4.5 중량부 배합품 / 이형 필름(30)
비교예 4
기재 필름(10) / 점착제층(20-7): 카르복실기 함유한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에폭시계 경화제 0.9 중량부 배합품 / 이형 필름(30)
비교예 5
기재 필름(10) / 점착제층(20-8): 카르복실기 함유한 아크릴계 점착제 100 중량부에 에폭시계 경화제 4.1 중량부 배합품 / 이형 필름(30)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사용된 점착제 조성물(20-1 내지 20-3)은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에폭시계 수지 1 내지 4 중량부를 각 해당 비율로 넣고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코터기에서의 코팅 작업성을 위해 톨루엔을 용매로 사용하여 적정 점도를 유지하였다. 배합된 조성물을 콤마코터기로 기재인 PET(Poly ethylene Terephyhalate) 필름에 건조 도막두께가 6㎛ 이하, 6㎛ ~ 15㎛, 15㎛ ~ 18㎛, 18㎛ 이상이 되도록 코팅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권취시에는 이형필름을 점착제층에 합지하여, 기재/점착제층/이형필름으로 되는 표면보호필름을 얻었다. 이 표면보호필름의 경화를 위해 23℃, 50%RH의 분위기 하에서 7일간 숙성하였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3에 사용된 점착제 조성물(20-4 내지 20-6)은 히드록실기 함유한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1 내지 5 중량부를 각 해당 비율로 넣고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코터기에서의 코팅 작업성을 위해 톨루엔을 용매로 사용하여 적정 점도를 유지하였다. 배합된 조성물을 콤마 코터기로 기재인 PET(Poly ethylene Terephyhalate) 필름에 건조 도막 두께가 6㎛ 이하, 6㎛ ~ 15㎛, 15㎛ ~ 18㎛, 18㎛ 이상이 되도록 코팅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권취시에는 이형필름을 점착제층에 합지하여, 기재/점착제층/이형필름으로 되는 표면보호필름을 얻었다. 이 표면보호필름의 경화를 위해 23℃, 50%RH의 분위기 하에서 7일간 숙성하였다.
상기 비교예 4 내지 5에 사용된 점착제 조성물(20-7과 20-8)은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에폭시계 수지 0.9 와 4.1 중량부를 각 해당 비율로 넣고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코터기에서의 코팅 작업성을 위해 톨루엔을 용매로 사용하여 적정 점도를 유지하였다. 배합된 조성물을 콤마코터기로 기재인 PET(Poly ethylene Terephyhalate) 필름에 건조 도막 두께가 6㎛ 이하, 6㎛ ~ 15㎛, 15㎛ ~ 18㎛, 18㎛ 이상이 되도록 코팅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권취시에는 이형필름을 점착제층에 합지하여, 기재/점착제층/이형필름으로 되는 표면보호필름을 얻었다. 이 표면보호필름의 경화를 위해 23℃, 50%RH의 분위기 하에서 7일간 숙성하였다.
[상온 점착력 비교 측정 실험]
전술의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필름을 MD 방향으로 25mm * 120mm로 절단하고 시편 각각을 Polyimide 필름(Apical 25NPI)에 부착한 후 무게 4kgf/cm 압력으로 합지하고, 23℃, 50%RH의 분위기에서 60분간 방치한다. 그 후 상기의 시료를 박리각도 180˚, 박리속도 300mm/min로 박리시 이에 대한 응력을 측정한다.
[처리 후 점착력 비교 측정 실험]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필름을 MD 방향으로 25mm * 120mm로 절단하고 시편 각각을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Apical 25NPI)에 부착한 후 무게 4kgf/cm 압력으로 합지하고, 이 시료를 180℃, 40kgf/cm 압력으로 1시간 압착한 후 23℃, 50%RH의 분위기에서 60분간 방치한다. 그 후 상기의 시료를 박리각도 180˚, 박리속도 300mm/min로 박리시 이에 대한 응력을 측정한다.
[들뜸 비교 측정 실험]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필름을 100mm * 100mm로 절단하고 시편 각각을 FCCL(Flexible Copper Clad Laminate)에 부착한 후 무게 4kgf/cm 압력으로 합지하고, 이 시료를 100℃ 오븐에서 1시간 가열 처리 후 , 오븐에서 꺼내서 25℃, 50%RH의 분위기에서 60분간 방치한다. 이때 외관상으로 점착 필름과 FCCL과의 들뜸 유무를 측정한다.
[가열 후 컬(curl) 상태 비교 측정 실험]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필름을 TD 방향에 20mm * 120mm로 절단한 시편 각각을 FCCL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에 부착 후 무게 4kgf/cm 압력으로 합지하여 30분간 방치 후, 이 시료를 180℃ 오븐에서 1시간 가열 했다. 그 뒤 꺼내서 25℃, 50%RH의 분위기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시료의 컬(curl) 상태를 관찰했다.
[박리 후 피착재 상태 비교 측정 실험]
전술의 컬(curl) 시험으로 사용한 각 시편의 점착 필름을 손으로 반을 천천히, 나머지 반을 재빠르게 T자형 박리로 벗긴 때에, 피착재의 외형적인 손상(굽힘, 동박 부분의 끊김 등)이 없는 지를 확인한다.
[박리 후 피착재 오염 비교 측정 실험]
전술의 컬(curl) 시험으로 사용한 각 시표의 점착 필름을 손으로 반을 천천히, 나머지 반을 재빠르게 T자형 박리로 벗긴 때에, CCL의 폴리 이미드면에 점착제의 흔적이 없는지를 확인한다.
위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들에 따른 실험을 수행하여 비교 측정한 결과를 각각 다음의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07409674-pat00001
Figure 112007007409674-pat00002
이상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점착제층의 점착 조성물 구성으로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경화제를 포함함으로써, 히드록실기를 함유한 아크릴계 수지 및 이소시아네이트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카르복실기를 함유한 아크릴계 수지 및 이소시아 네이트계를 포함하는 점착 조성물 구성에 비해 초기 점착력을 동등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고온 압축 공정의 수행 후에도 점착력 상승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날 수 있었다.
따라서, 점착필름 제거시에 점착제의 전이가 없고, 피착재에도 손상이 없는 공정보호용 점착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초기 점착력에 비해 고온 압축 공정수행된 이후의 점착력이 크게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온 압축 후의 보호필름의 제거시 점착제의 전이를 유발하게 되고, 이에 따른 피착재 상태의 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비교예 4 내지 5의 경우, 에폭시 경화제가 1.0 중량부 미만 및 4.0 중량부를 초과한 것으로 박리 후의 피착재 상태가 불량하거나 피착재 오염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내열성 기재인 PET 필름에 점착제를 코팅한 필름을 FCCL 폴리이미드 필름면, 또는 동박의 한 쪽 면에 부착하여 패턴의 인쇄, 노광, 박리, 부식, 현상, 세척, 건조, 고온 압축 공정 중에 FCCL의 손 상 없이 공정을 진행할 수 있는 내열성, 내약품성, 재박리성을 갖는 보호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초기 점착력을 기존의 제품보다 높게 하여 고온 압축 공정 이전까지는 피착대상과 충분한 점착을 유지하면서도 고온 압축에서 점착력 상승이 3배 이내로 낮아서 점착필름 제거시에 점착제의 전이가 없고 피착재에도 손상이 없는 공정보호용 점착보호필름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9)

  1.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는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박리성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은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경화제를 함유하되,
    상기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폭시계 경화제를 1 내지 4 중량부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2.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는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박리성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은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경화제를 함유하되,
    상기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폭시계 경화제를 1 내지 4 중량부 함유하며, 상기 기재 필름에는 건조 도막 두께가 6 내지 18㎛가 되도록 상기 점착 조성물이 코팅되어 점착체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3.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내측면 상에 형성되는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을 포함하는 재박리성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은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및 에폭시계 경화제를 함유하되,
    상기 카르복실기 관능기를 가진 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에폭시계 경화제를 1 내지 4 중량부 함유하며, 상기 기재 필름에는 건조 도막 두께가 6 내지 18㎛가 되도록 상기 점착 조성물이 코팅되어 점착체층이 형성되고,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합지 시에 초기 점착력이 10~30g/25mm이고, 가열 압축 후의 점착력이 10~40g/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내열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필름으로서, 10~200㎛ 범위의 두께를 갖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을 가진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polyester) 수지, 폴리이미드 (polyimide)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수지, 폴리스티렌 (polystylene) 수지, 폴리아미드 (polyamide) 수지, 폴리에스테르 이미드 (polyeter imide) 수지, 폴리에스테르 에테르 (polyeter ether) 수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은 MD 및 TD방향 모두 인장력이 16kg/mm2이상이고, 신장율이 80% 이상이며, 열수축이 MD방향 1.8% 이하인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으로 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 점착 조성물 상에 형성되는 이형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필름으로 실리콘이 한쪽 면에 코팅된 PET 필름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KR1020070007622A 2007-01-24 2007-01-24 표면 보호 필름 Active KR100838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622A KR100838461B1 (ko) 2007-01-24 2007-01-24 표면 보호 필름
CN2008800029619A CN101594993B (zh) 2007-01-24 2008-01-24 表面保护膜
PCT/KR2008/000452 WO2008091119A1 (en) 2007-01-24 2008-01-24 Surface protective film
JP2009547174A JP2010516856A (ja) 2007-01-24 2008-01-24 表面保護フィル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7622A KR100838461B1 (ko) 2007-01-24 2007-01-24 표면 보호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461B1 true KR100838461B1 (ko) 2008-06-16

Family

ID=3964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7622A Active KR100838461B1 (ko) 2007-01-24 2007-01-24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0516856A (ko)
KR (1) KR100838461B1 (ko)
CN (1) CN101594993B (ko)
WO (1) WO2008091119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98B1 (ko) * 2009-12-21 2012-05-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용 점착보호필름
KR101188170B1 (ko) 2011-01-21 2012-10-0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보호필름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용 보호필름
KR101429959B1 (ko) 2012-01-10 2014-08-14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착된 광학 부품과 공업 제품
KR101628551B1 (ko) * 2014-12-02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
KR20200003616A (ko) * 2018-07-02 2020-01-1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노광 공정용 점착보호필름
KR20220133709A (ko) 2021-03-25 2022-10-05 율촌화학 주식회사 내용제성이 우수한 다이싱 테이프
KR20230132266A (ko) 2022-03-08 2023-09-1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보호필름용 저수축 점착시트
US11796719B2 (en) 2018-10-11 2023-10-24 Lg Chem, Ltd. Protection film for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5348B (zh) * 2011-12-28 2014-08-13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无胶双面挠性覆铜板生产用保护膜及其制造方法
CN102975460A (zh) * 2012-11-23 2013-03-20 安文娟 一种透明耐磨型显示屏贴膜的制备方法
CN104097370A (zh) * 2013-04-11 2014-10-15 汉达精密电子(昆山)有限公司 防拉伸变形橡胶贴片
CN103561546B (zh) * 2013-11-10 2016-05-18 大连吉星电子有限公司 柔性电路板与金属片热压式贴附工艺
CN105647411B (zh) * 2015-11-27 2018-09-07 东莞市航达电子有限公司 耐高温保护膜
CN105898988B (zh) * 2016-06-01 2018-10-02 深圳市汇晨电子股份有限公司 背光源fpc整版胶膜及其整体贴胶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164A (ja) * 1995-08-08 1997-02-18 Nitsukan Kogyo Kk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およびカバーレイフィルム
JP2002080810A (ja) 2000-01-20 2002-03-22 Shin Etsu Chem Co Ltd 接着剤組成物、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用基板及びカバーレイフィルム
KR20050075693A (ko) * 2004-01-16 2005-07-21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재박리성 공정 필름
KR20060051762A (ko) * 2004-09-29 2006-05-19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아크릴계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및 아크릴계 난연성 접착제시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57A (ja) * 1992-06-18 1994-01-11 Mitsui Toatsu Chem Inc 表面保護用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
KR20040030811A (ko) * 2001-07-16 2004-04-09 덴끼 가가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JP4191945B2 (ja) * 2002-03-29 2008-12-03 ソマール株式会社 粘着体、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並びに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用積層材料
JP4437638B2 (ja) * 2002-08-09 2010-03-2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再剥離型表面保護シート用粘着剤組成物及び再剥離型表面保護シート
JP4682299B2 (ja) * 2003-11-17 2011-05-11 綜研化学株式会社 保護シート用感圧接着剤
JP4581061B2 (ja) * 2004-06-25 2010-11-17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保護シート用粘着剤組成物及び光学フィルム保護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1164A (ja) * 1995-08-08 1997-02-18 Nitsukan Kogyo Kk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およびカバーレイフィルム
JP2002080810A (ja) 2000-01-20 2002-03-22 Shin Etsu Chem Co Ltd 接着剤組成物、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用基板及びカバーレイフィルム
KR20050075693A (ko) * 2004-01-16 2005-07-21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재박리성 공정 필름
KR20060051762A (ko) * 2004-09-29 2006-05-19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아크릴계 난연성 접착제 조성물 및 아크릴계 난연성 접착제시트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198B1 (ko) * 2009-12-21 2012-05-0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연성인쇄회로기판용 점착보호필름
KR101188170B1 (ko) 2011-01-21 2012-10-0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연성회로기판 보호필름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용 보호필름
KR101429959B1 (ko) 2012-01-10 2014-08-14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표면 보호 필름 및 그것이 첩착된 광학 부품과 공업 제품
KR101628551B1 (ko) * 2014-12-02 2016-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
KR20200003616A (ko) * 2018-07-02 2020-01-1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노광 공정용 점착보호필름
KR102117873B1 (ko) 2018-07-02 2020-06-02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노광 공정용 점착보호필름
US11796719B2 (en) 2018-10-11 2023-10-24 Lg Chem, Ltd. Protection film for foldable display and foldabl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220133709A (ko) 2021-03-25 2022-10-05 율촌화학 주식회사 내용제성이 우수한 다이싱 테이프
KR20230132266A (ko) 2022-03-08 2023-09-15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보호필름용 저수축 점착시트
KR102627768B1 (ko) * 2022-03-08 2024-01-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보호필름용 저수축 점착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1119A1 (en) 2008-07-31
CN101594993B (zh) 2012-12-26
JP2010516856A (ja) 2010-05-20
CN101594993A (zh)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461B1 (ko) 표면 보호 필름
JP2012177084A (ja) 耐熱仮着用の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テープ
CN112126372B (zh) 抗静电表面保护膜的制造方法、抗静电表面保护膜
TWI754102B (zh) 補強膜
JP7075893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9035618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粘着力消失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テープ
JP5560965B2 (ja) エネルギー線易剥離型粘着剤組成物
JP5565173B2 (ja) 耐熱仮着用粘着テープ
KR102752931B1 (ko) 표면 보호 필름
CN110791210A (zh) 晶圆加工用胶带
JP2000044896A (ja) 耐熱再剥離性粘着フィルム
KR20200024088A (ko) 적층체
JP5565174B2 (ja) 耐熱仮着用粘着テープ
JP5110852B2 (ja) ソルダレジスト保護用粘着テープ
KR102808337B1 (ko) 보강 필름을 구비하는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보강 방법
KR20160073668A (ko) 소자삽입형 인쇄회로기판용 점착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JP5918668B2 (ja) ソルダレジスト保護用粘着テープ
KR102132282B1 (ko) 이형필름
JP5436047B2 (ja) ソルダレジスト保護用粘着テープ及びソルダレジストの表面平滑性制御方法
TW202132115A (zh) 組件、以及使用該組件之第三積層體之製造方法
JP7214303B2 (ja) 薄膜サポート粘着フィルム
JP7214302B2 (ja) 薄膜サポート粘着フィルム
TW201825635A (zh) 黏著劑組成物及其應用
JP2005059220A (ja) 耐熱性及び耐薬品性保護フィルム
CN105459562B (zh) 配线基板制造工序用支持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