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224B1 - Waste heat utilization hot water generator - Google Patents
Waste heat utilization hot water gen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8224B1 KR100838224B1 KR1020070084333A KR20070084333A KR100838224B1 KR 100838224 B1 KR100838224 B1 KR 100838224B1 KR 1020070084333 A KR1020070084333 A KR 1020070084333A KR 20070084333 A KR20070084333 A KR 20070084333A KR 100838224 B1 KR100838224 B1 KR 1008382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exchanger
- heat
- stack
- water
- discharge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1—Guiding means
- F24H9/0026—Guiding means in combustion gas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배기가스배출설비에서 가스배출관과 연돌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돌의 배기가스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돌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하는 연돌열교환기와; 상기 가스배출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배출관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하는 배출관열교환기와; 상기 연돌열교환기에 제공할 피열교환수와 상기 배출관열교환기로부터의 열교환수를 분리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연돌열교환기의 피열교환수를 상기 연돌교환기에 제공하는 연돌열교환기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배기가스에 포함된 열에너지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의 배기가스배출설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heat utilization typ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in the waste heat utilization typ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hot water using heat energy of exhaust gas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 gas discharge pipe and a stack in an exhaust gas discharge system, the exhaust gas of the stack A stack heat exchanger installed on a movement path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using heat energy of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tack; A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gas discharge pipe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operation using heat energy of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gas discharge pipe;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heat exchange water to be provided to the stack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 water from the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in a separated state; And a stack heat exchanger water supply unit providing the stack heat exchange water of the stack heat exchang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stack exchanger. Thereby, the utilization rate of the thermal energy contained in exhaust gas can be improved and it can apply easily to existing waste gas exhaust facilities.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의 설치상태도,1 is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waste heat using hot wat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에 도시된 연돌열교환기영역의 상세도,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stack heat exchanger region shown in Figure 1,
도3은 종래의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installation of the conventional waste heat utilization hot water generating apparatu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연돌열교환기 21 : 배출관열교환기11: stack heat exchanger 21: exhaust pipe heat exchanger
22 : 재처리열교환기 23 : 저장탱크22: reprocessing heat exchanger 23: storage tank
24 : 증기열교환기 30 : 재가열부24: steam heat exchanger 30: reheating unit
31 : 가열기 32 : 가열급수부31: heater 32: heating water supply
111 : 내통 112 : 외통111: inner cylinder 112: outer cylinder
113 : 저수통 201 : 연돌113: reservoir 201: stack
202 : 가스배출관202: gas discharge pipe
본 발명은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 가스배출설비에서 가스배출관과 연돌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heat utilization typ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hot water using heat energy of exhaust gas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 gas discharge pipe and a stack in an exhaust gas discharge facility.
산업폐기물 소각로, 용융로, 전기로, 화력발전소, 반도체제조설비 등과 같은 산업용 설비는 처리공정 중에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고 있으며, 이들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Industrial facilities such as industrial waste incinerators, melting furnaces, electric furnaces, thermal power plants,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ilities emit high-temperature exhaust gases during the treatment process, and devices that generate hot water by using the thermal energy of these exhaust gases have been devised. .
도3은 종래의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Figure 3 is a state diagram of the installation of the conventional waste heat utilization hot water generating apparatus.
종래의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형성된 연도(203)에 연통하도록 기립 설치된 원통형상의 내통(111)과, 내통(111)과 협조하여 물저장공간(112a)을 형성하도록 내통(111)의 둘레영역에 기립 설치된 외통(112)과, 외통(112)의 상측에 형성된 저수통(113)을 갖고 있다.Conventional waste heat utilization type hot water growth value, as shown in Figure 3, the cylindrical
내통(111)은 티타늄 등의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제작된다.The
외통(112)에는 토수관(114)과 입수관(115)이 물저장공간(112a)에 연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외통(112)의 상단에는 물저장공간(112a)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압력조절밸브(116)가 설치되어 있다.In the
그리고 저수통(113)과 물저장공간(112a)사이에는 급수관(117)이 설치되어 있다.A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waste heat using hot water generating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먼저 저수통(113)에 저장된 물은 급수관(117)을 통해 물저장공간(112a)에 채워진다.First, the water stored in the
물저장공간(112a)의 물은 내통(111,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됨)에 의해 가열된다.The water in the
물저장공간(112a)의 가열된 물은 토수관(114)을 통해 소정지역으로 공급된 후, 입수관(115)을 통해 물저장공간(112a)으로 복귀한다.The heated water of the
압력조절밸브(116)는 물저장공간(112a)의 물이 가열되어 압력이 증가할 때 내부압력을 제어하도록 작동한다. The
그런데 종래의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에 따르면, 내통(111)을 통과하는 배기가스 중 내통(111)에 인접하는 배기가스만 물의 온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기 때문에 배기가스에 포함된 열에너지의 이용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waste heat utilization typ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only the exhaust gas adjacent to the
그리고 연돌의 일부를 구성하는 내통(111)에서만 배기가스의 열에너지가 이용되기 때문에 배기가스에 포함된 열에너지의 이용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And since the thermal energy of the exhaust gas is used only in the
또한 내통(111)과 외통(112)을 연돌구조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배기가스배출설비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기가스에 포함된 열에너지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의 배기가스배출설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 heat utilization typ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which can improve the utilization rate of thermal energy contained in exhaust gas and can be easily applied to existing exhaust gas discharge equipmen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기가스배출설비에서 가스배출관과 연돌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돌의 배기가스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돌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하는 연돌열교환기와; 상기 가스배출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배출관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하는 배출관열교환기와; 상기 연돌열교환기에 제공할 피열교환수와 상기 배출관열교환기로부터의 열교환수를 분리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연돌열교환기의 피열교환수를 상기 연돌교환기에 제공하는 연돌열교환기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aste heat utilization typ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hot water by using the heat energy of the exhaust gas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gas discharge pipe and the stack in the exhaust gas discharge facility, the exhaust gas movement path of the stack A stack heat exchanger installed at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operation using heat energy of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tack; A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gas discharge pipe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operation using heat energy of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gas discharge pipe;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heat exchange water to be provided to the stack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 water from the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in a separated state; It is achieved by the waste heat utilization typ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ack heat exchanger water supply for providing the heat exchange water of the stack heat exchang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stack exchanger.
여기서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열교환기보다 소정의 배기가스발생원에 인접하도록 상기 가스배출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배출관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하는 재처리열교환기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재처리열교환기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상기 배출관열교환기로부터의 열교환수를 상기 재처리열교환기에 피열교환수로 제공하는 재처리열교환기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연돌열교환기에 제공할 피열교환수와 상기 배출관열교환기로부터의 열교환수와 상기 재처리열교환기로부터의 열교환수를 분리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heat exchange operation is performed by using the heat energy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gas discharge pipe and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gas discharge pipe so as to be adjacent to a predetermined exhaust gas generating source than the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so as to efficiently use the heat energy of the exhaust gas. A reprocessing heat exchanger for supplying heat exchange water from the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the reprocessing heat exchanger as a heat exchange water interposed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reprocessing heat exchanger. Including; The storage tank preferably stores the heat exchange water to be provided to the stack heat exchanger, the heat exchange water from the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 water from the reprocessing heat exchanger in a separated state.
그리고 배기가스의 열이용율을 향상시키고 연돌열교환기와 배출관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작용을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열교환기보다 소정의 배기가스발 생원에 인접하도록 상기 가스배출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배출관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하는 재처리열교환기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재처리열교환기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저장탱크내의 저장수를 상기 재처리열교환기에 피열교환수로 제공하는 재처리열교환기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배출관열교환기로부터의 열교환수와 상기 재처리열교환기로부터의 열교환수를 혼합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as discharge pipe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gas discharge pipe so as to be adjacent to a predetermined exhaust gas source than the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so as to improve the heat utilization rate of the exhaust gas and to repeat the heat exchange operation in the stack heat exchanger and the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A reprocessing heat exchanger performing a heat exchange operation by using heat energy of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gas, and a reflow heat exchanger for supplying the stored water in the storage tank to the reprocessing heat exchanger as a heat exchanged water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reprocessing heat exchanger. Further comprising a treatment heat exchanger feed portion; The storage tank preferably stores the heat exchange water from the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 water from the reprocessing heat exchanger in a mixed state.
한편 상기 목적은 배기가스배출설비에서 가스배출관과 연돌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하는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돌의 배기가스이동경로상에 설치되어 상기 연돌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하는 연돌열교환기와; 상기 가스배출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배출관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하는 배출관열교환기와; 상기 연돌열교환기에 제공할 피열교환수와 상기 배출관열교환기로부터의 열교환수를 혼합 상태로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내의 저장수를 상기 연돌교환기에 제공하는 연돌열교환기급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에 의해 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object is a waste heat utilization typ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hot water by using the heat energy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gas discharge pipe and the stack in sequence in the exhaust gas discharge facility, the stack is installed on the exhaust gas flow path of the stack A stack heat exchanger for performing a heat exchange operation by using heat energy of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air; A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installed in an inner space of the gas discharge pipe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operation using heat energy of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gas discharge pipe;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heat exchanged water to be provided to the stack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d water from the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in a mixed state; It is achieved by a waste heat utilization typ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stack heat exchanger water supply unit for providing the storage water in the storage tank to the stack exchanger.
여기서 배기가스의 열이용율을 향상시키고 연돌열교환기와 배출관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작용을 반복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관열교환기보다 소정의 배기가스발생원에 인접하도록 상기 가스배출관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배출관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하는 재처리열교환기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재처리열교환기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저장탱크내의 저장수를 상기 재처리열교환기에 피열교환수로 제공하는 재처리열교환기급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연돌열교환기에 제공할 피열교환수와 상기 배출관열교환기로부터의 열교환수와 상기 재처리열교환기로부터의 열교환수를 혼합 상태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as exhaust pipe i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gas discharge pipe so as to be adjacent to a predetermined exhaust gas generating source than the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so as to improve the heat utilization rate of the exhaust gas and to repeat the heat exchange operation in the stack heat exchanger and the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A reprocessing heat exchanger performing a heat exchange operation by using heat energy of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gas, and a reflow heat exchanger for supplying the stored water in the storage tank to the reprocessing heat exchanger as a heat exchanged water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reprocessing heat exchanger. Further comprising a treatment heat exchanger feed portion; The storage tank preferably stores the heat exchange water to be provided to the stack heat exchanger, the heat exchange water from the discharge pipe heat exchanger, and the heat exchange water from the reprocessing heat exchanger in a mixed state.
그리고 고온증기의 열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연돌열교환기사이에 설치되어 고온증기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하는 증기열교환기와, 상기 저장탱크에 대한 상기 증기열교환기와 상기 연돌열교환기사이의 유로를 선택하는 열교환선택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steam heat exchanger installed between the storage tank and the stack heat exchanger to perform heat exchange operation using the heat energy of the high temperature steam, so as to use the heat energy of the high temperature steam, and between the steam heat exchanger and the stack heat exchanger for the storage tank.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 exchange selector for selecting the flow path is further configured.
또한 저장탱크에 저장된 저장수의 온도에 적응하여 온수수요처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를 갖는 온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가열기와 상기 저장탱크내의 저장수를 상기 가열기에 제공하는 가열급수부와 상기 가열기의 가열동작을 제어하는 가열제어부를 가지고, 상기 가열기의 가열수를 온수수요처에 공급하는 재가열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ting water supply unit for providing a heater and the storage water in the storage tank to the heater to adapt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o provide hot water having a temperature required by the hot water demand, and the heating of the heater. It is preferable to have a hea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and to further include a reheating unit for supplying the heating water of the heater to the hot water demand.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의 설치상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연돌열교환기영역의 상세도이다.1 is a state diagram of the waste heat utilization hot wat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etailed view of the stack heat exchanger region shown in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돌(201)의 배기가스이동경로상에 설치된 한 쌍의 연돌열교환기(11)와, 가스배출관(202)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배출관열교환기(21) 및 재처리열교환기(22)와, 연돌열교환기(11)에 제공할 피열교환수와 배출관열교환기(21)로부터의 열교환수와, 재처리열교환기(22)로부터의 열교환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23)와, 저장탱크(23)와 연돌열교환기(11)사이에 설치된 증기열교환기(24)와, 저장탱크(23)에 대한 증기열교환기(24)와 연돌열교환기(11)사이의 유로를 선택하는 열교환선택부(26)와, 저장탱크(23)내의 저장수를 연돌열교환기(11)에 제공하는 연돌열교환기급수부(25)와, 저장탱크(23)내의 저장수를 재처리열교환기(22)에 제공하는 재처리열교환기급수부(28)와, 저장탱크(23)와 온수수요처사이에 개재하는 재가열부(30)를 갖고 있다.Waste heat utilization type hot water growth valu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se drawings, a pair of
연돌열교환기(11)의 전단에는 분기탱크(12)와 집수탱크(13)가 설치되어 있고, 연돌열교환기(11)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피열교환수와 열교환수가 들어가고 나오게 된다.A
즉, 바이패스관(14)을 통해 또는 증기열교환기(24)를 통해 연돌열교환기(11)에 제공되는 피열교환수는 분기탱크(12)에서 나누어 진 후 각 연돌열교환기(11)에 제공되고, 각 연돌열교환기(11)로부터의 열교환수는 집수탱크(13)에서 합쳐진 후 배출관열교환기(21)에 제공된다. That is, the heat-exchanged water provided to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각 연돌열교환기(11)는 연돌(201)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한다.Each stack heat exchanger (1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performs a heat exchange operation using the thermal energy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tack (201).
배출관열교환기(21)는 가스배출관(202)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연돌열교환기(11)로부터의 열교환수에 대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한다.The exhaust
재처리열교환기(22)는 배출관열교환기(21)보다 소정의 배기가스발생원(204, 배기가스배출시스템에서 배기가스가 생성되는 장치부분)에 인접하도록(즉 재처리열 교환기가 배출관열교환기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배기가스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작용을 행할 수 있도록) 가스배출관(202)의 내부공간에 설치된다.The reprocessing
저장탱크(23)는 연돌열교환기(11)에 제공할 피열교환수와 배출관열교환기(21)로부터의 열교환수와 재처리열교환기(22)로부터의 열교환수가 혼합 상태로 저장된다.The
이에 따라 연돌열교환기(11)에 제공할 피열교환수는 배출관열교환기(21)로부터의 열교환수가 저장탱크(23)에 유입되기 전에는 수도관 등을 통해 저장탱크(23)로 유입되는 원수가 되고, 배출관열교환기(21)로부터의 열교환수가 저장탱크(23)에 유입되기 시작한 후에는 수도관 등을 통해 저장탱크(23)로 유입되는 원수와 배출관열교환기(21)로부터의 열교환수의 혼합수가 되며, 재처리열교환기(22)로부터의 열교환수가 저장탱크(23)에 유입되기 시작한 후에는 수도관 등을 통해 저장탱크(23)로 유입되는 원수와 배출관열교환기(21)로부터의 열교환수와 재처리열교환기(22)로부터의 열교환수의 혼합수가 된다.Accordingly, the heat exchanged water to be provided to the
그리고 저장탱크(23)에는 압력조절밸브를 설치하여 내부압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nd the
증기열교환기(24)는 저장탱크(23)와 연돌열교환기(11)사이에 설치되어 고온증기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열교환동작을 행한다. 이러한 증기열교환기(24)는 소정의 증기배출시스템의 증기발생원에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열교환선택부(26)는 증기열교환기(24)에 직접 연결되어 있는 바이패스관(14)과 증기열교환기(24)에 연결된 증기열교환기입수관(27)의 접속점에 전동식 삼방밸 브를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삼방밸브의 동작상태에 따라 저장탱크(23)와 증기열교환기(24)사이 또는 저장탱크(23)와 연돌열교환기(11)사이의 유로가 선택된다.The flow path between the
연돌열교환기급수부(25)는 저장탱크(23)와 연돌열교환기(11)사이에 연돌열교환기급수펌프를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stack heat exchanger
재처리열교환기급수부(28)는 저장탱크(23)와 재처리열교환기(22)사이에 재처리열교환기급수펌프를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 The reprocessing heat exchanger
재가열부(30)는 가열기(31)와, 저장탱크(23)내의 저장수를 가열기(31)에 제공하는 가열급수부(32)와, 가열기(31)의 가열동작을 제어하는 가열제어부(33)를 갖고 있다.The reheating
가열기(31)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가열방식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가열제어부(33)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대응하여 가열기(31)에 전달되는 전력량이 달라지도록 하는 방법 등으로 가열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가열급수부(32)는 저장탱크(23)와 가열기(31)사이에 가열급수펌프를 설치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heating
온수수요처는 비닐하우스, 열대작물재배단지, 치어배양장 등이 될 수 있다.Hot water needs can be a plastic house, tropical crop cultivation complex, or a cheerleader farm.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열이용형 온수생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waste heat using hot water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저장탱크(23)로부터 연돌열교환기급수부(25)를 통해 공급되는 피열교환수(초기에는 수돗물의 원수가 됨)는 증기열교환기(24, 열교환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경우), 연돌열교환기(11), 배출관열교환기(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열교환작용이 이루어진 후 저장탱크(23)에 저장된다.The heat-exchanged water supplied from the
저장탱크(23)에 저장된 배출관교환기(21)로부터의 열교환수는 재처리열교환기급수부(28)를 통해 재처리열교환기(22)에 제공된다.The heat exchange water from the
재처리열교환기(22)에서 열교환작용이 이루어진 열교환수는 저장탱크(23)에 저장된다.The heat exchange water having undergone heat exchange in the
저장탱크(23)내의 저장수는 다시 연돌열교환기급수부(25)를 통해 증기열교환기(24, 열교환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경우), 연돌열교환기(11), 배출관열교환기(21)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열교환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storage water in the
그리고 저장탱크(23)내의 저장수는 가열급수부(32)를 통해 가열기(31)에 제공되어 가열된 후 온수수요처로 공급된다.And the storage water in the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저장탱크(23)는 연돌열교환기(11)에 제공할 피열교환수와 배출관열교환기(21)로부터의 열교환수와 재처리열교환기(22)로부터의 열교환수가 혼합 상태로 저장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저장탱크(23)의 저장방법을 달리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① 연돌열교환기(11)에 제공할 피열교환수와 배출관열교환기(21)로부터의 열교환수와 재처리열교환기(22)로부터의 열교환수를 각각 분리 상태로 저장함(하나의 저장탱크내에 3개의 저장공간을 형성하거나 저장탱크를 3개로 구성함)① Stores the heat exchang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② 연돌열교환기(11)에 제공할 피열교환수와 배출관열교환기(21)로부터의 열교환수를 혼합 상태로 저장하는 한편 재처리열교환기(22)로부터의 열교환수만을 분리 저장함(하나의 저장탱크내에 2개의 저장공간을 형성하거나 저장탱크를 2개로 구성함)② The heat exchang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③ 연돌열교환기(11)에 제공할 피열교환수는 분리 저장하는 한편 배출관열교환기(21)로부터의 열교환수와 재처리열교환기(22)로부터의 열교환수를 혼합 저장함(하나의 저장탱크내에 2개의 저장공간을 형성하거나 저장탱크를 2개로 구성함)③ The heat exchanged water to be provided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돌(201)의 배기가스이동경로상에 설치된 연돌열교환기(11)와 가스배출관(202)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배출관열교환기(21)에서 열교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에 포함된 열에너지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의 배기가스배출설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eat exchange operation in the
그리고 재처리열교환기(22)를 추가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열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By adding the
또한 연돌열교환기(11)에 제공할 피열교환수, 배출관열교환기(21)로부터의 열교환수 및 재처리열교환기(22)로부터의 열교환수 모두 또는 일부를 혼합 상태로 저장탱크(23)에 저장함으로서, 연돌열교환기(11)와 배출관열교환기(21)에서의 열교환작용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ll or part of the heat exchange water to be supplied to the
또한 열교환선택부(26)를 추가함으로써, 고온증기의 열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adding the heat
또한 재가열부(30)를 추가함으로써, 저장탱크(23)에 저장된 저장수의 온도에 적응하여 온수수요처에서 필요로 하는 온도를 갖는 온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adding the reheating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연돌의 배기가스이동경로상에 설치된 연돌열교환기와 가스배출관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배출관열교환기에서 열교환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기가스에 포함된 열에너지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의 배기가스배출설비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tack heat exchanger installed on the exhaust gas flow path of the stack and the exhaust pipe heat exchanger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gas discharge pipe, thereby improving the utilization rate of the thermal energy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I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exhaust gas discharge equipment of th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4333A KR100838224B1 (en) | 2007-08-22 | 2007-08-22 | Waste heat utilization hot water gen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84333A KR100838224B1 (en) | 2007-08-22 | 2007-08-22 | Waste heat utilization hot water gene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8224B1 true KR100838224B1 (en) | 2008-06-16 |
Family
ID=3977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843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8224B1 (en) | 2007-08-22 | 2007-08-22 | Waste heat utilization hot water gen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8224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619848B (en) | 2008-06-30 | 2010-12-01 |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 A coke oven raw gas waste heat recovery system and recovery method |
CN107676829A (en) * | 2017-09-26 | 2018-02-09 | 南充烽英堂厨房电器设备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Waste Heat Recovery integrates side fish stove |
CN107763680A (en) * | 2017-09-26 | 2018-03-06 | 南充烽英堂厨房电器设备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integrated large stove of used heat conversion |
CN108571654A (en) * | 2018-04-13 | 2018-09-25 | 江苏吉庆管材有限公司 | A kind of high temperature chemical industry pip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4900A (en) * | 2001-07-07 | 2003-01-15 | 이준형 | Closed circuit hot water boiler system with steam generator |
KR20040024901A (en) * | 2002-09-17 | 2004-03-24 | 최동순 | Double effect model absorbtion type refrigerator |
KR200351383Y1 (en) * | 2004-03-09 | 2004-05-22 | 노영환 | A hot water reproducte system of bathhouse for boiler waste |
KR20070007644A (en) * | 2005-07-11 | 2007-01-16 | 박세룡 | Bath Heat Pump |
-
2007
- 2007-08-22 KR KR1020070084333A patent/KR10083822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04900A (en) * | 2001-07-07 | 2003-01-15 | 이준형 | Closed circuit hot water boiler system with steam generator |
KR20040024901A (en) * | 2002-09-17 | 2004-03-24 | 최동순 | Double effect model absorbtion type refrigerator |
KR200351383Y1 (en) * | 2004-03-09 | 2004-05-22 | 노영환 | A hot water reproducte system of bathhouse for boiler waste |
KR20070007644A (en) * | 2005-07-11 | 2007-01-16 | 박세룡 | Bath Heat Pump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1619848B (en) | 2008-06-30 | 2010-12-01 |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 A coke oven raw gas waste heat recovery system and recovery method |
CN107676829A (en) * | 2017-09-26 | 2018-02-09 | 南充烽英堂厨房电器设备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Waste Heat Recovery integrates side fish stove |
CN107763680A (en) * | 2017-09-26 | 2018-03-06 | 南充烽英堂厨房电器设备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integrated large stove of used heat conversion |
CN108571654A (en) * | 2018-04-13 | 2018-09-25 | 江苏吉庆管材有限公司 | A kind of high temperature chemical industry pip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7205187A (en) | Heat recovery system attached to boiler-steam turbine system | |
KR100838224B1 (en) | Waste heat utilization hot water generator | |
JP6078894B2 (en) | New solar steam pressure equipment | |
CN204100217U (en) | Power economized boiler | |
CN102589308A (en) | Waste heat recycling system of industrial furnaces | |
CN203584576U (en) | Gas-steam combined circulation system | |
CN112879935A (en) | Boiler flue gas waste heat recovery-based optimal control method and system | |
RU111261U1 (en) | DEVICE FOR FEEDING VAPORIZING LIQUID | |
CN109798511B (en) | Waste heat recovery device of steam boiler | |
WO2014064949A1 (en) | Boiler system | |
KR200423080Y1 (en) | Heat medium boiler with hot water supply device using heat medium | |
KR101642351B1 (en) | boiler | |
CN203488273U (en) | Small-scale gas electrical generation waste heat utilization device | |
CN113324172B (en) | Heat exchange liquid nitrogen vaporization system,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EP3473820A1 (en) | Method and installation of cogenertion in heat plants, especially those equipped with water-tube boilers | |
RU78486U1 (en) | DEVICE FOR DISPOSAL OF HEAT OF WASTE SMOKE GASES OF TECHNOLOGICAL UNITS | |
RU2163703C1 (en) | Centralized heat supply system | |
CN104100957A (en) | Boiler waste heat recovery system | |
CZ308268B6 (en) | Steam boiler for combusting waste | |
CN205536520U (en) | Energy -conserving heating system of integrated form boiler | |
CN102042766A (en) | Waste heat utilization structure of used smoke of waste heat device | |
RU2163327C1 (en) | Method of centralized heat supply | |
CN107676761A (en) | A kind of novel steam boiler | |
CN206247297U (en) | A kind of corrosion-resistant biomass direct-fired fire grate boiler | |
CN204665235U (en) | An energy-saving and environment-friendly heat conduction oil furn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1061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K12-X000 | Request for ip right revival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2-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1061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