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8221B1 -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 Google Patents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221B1
KR100838221B1 KR1020010076906A KR20010076906A KR100838221B1 KR 100838221 B1 KR100838221 B1 KR 100838221B1 KR 1020010076906 A KR1020010076906 A KR 1020010076906A KR 20010076906 A KR20010076906 A KR 20010076906A KR 100838221 B1 KR100838221 B1 KR 100838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ing
shooting
subject
switch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69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30046683A (en
Inventor
이진기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221B1/en
Publication of KR2003004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6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2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4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cameras or projectors providing touching or overlapping fields of view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18Focusing aids
    • G03B13/20Rangefinders coupled with focusing arrangements, e.g. adjustment of rangefinder automatically focusing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40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 H04N25/42Extracting pixel data from image sensors by controlling scanning circuits, e.g. by modifying the number of pixels sampled or to be sampled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operation using different resolutions or aspect ratios, e.g. switching between interlaced and non-interlaced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의 다중 촬영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출력 전류를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감지 수단; 피사체 주변의 휘도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 값을 이용하여 촬영 환경의 휘도 상태를 판정하고 휘도 상태에 따른 적정한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휘도 감지 수단;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거리 감지 수단과 휘도 감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촬영 스위치;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촬영 스위치; 다중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상태에 따라 촬영 모드가 다중 촬영 모드로 판정되면,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 수단; 상기 동작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되어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할 수 있게 점등되는 표시 수단; 및 촬영된 필름을 감기 위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shooting control apparatus of the camer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omprising: distance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a focal length with a subject by using an output current which changes according to a distance from the subject; Luminance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a luminance state of a shooting environment by using a voltage valu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uminance around a subject, and enabling proper shoo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A first photographing switch operated by a user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distance sensing means and the brightness sensing means; A second photographing switch operated by the user to control a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subject; A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multiple shooting mode; Operation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so as to display a multi-viewing field frame when the shooting mode is determined as the multi-shot mode according to the signal state output from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Display means for changing an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nd lighting to display a multi-view field frame; And motor driving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winding the photographed film.

카메라, 촬영장치, 다중촬영, 파인더프레임Camera, Shooting Device, Multi Shot, Finder Frame

Description

촬영 장치의 다중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aratus for multiphotographing of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aratus for multiphotographing of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파인더 시야 프레임 내의 표시 마크를 도시한 도.1 and 2 show display marks in a typical finder field of view fram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다중 촬영 장치의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 of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다중 촬영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multiple photographing of a camera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다중 촬영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multiple photographing of a camera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프레임 내의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도시한 도.6 (A) to 6 (D) are views showing the multi-view field frame in the finder fra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촬영 장치의 다중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촬영을 위한 표시 마크의 표시 상태를 제어하는 카메라의 다중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 of a camera for controlling a display state of a display mark for multiple photographing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카메라의 파인더 프레임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와 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초점 프레임(A)과, 전체 촬영 범위를 나타내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촬영 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 시야 프레임(B)과, 줌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카메라일 경우 광각단과 망원단의 시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시차 보정 마크(C)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노라마 기능이 내장된 카메라일 경우 파노라마 촬영 범위를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파노라마 촬영 범위를 표시하는 파노라마 촬영 범위 마크(D)가 파인더 프레임에 표시된다.In general, as shown in FIG. 1, a finder frame of a camera includes a focus frame A for focusing on a subject and a photographing field frame B, which shows an entire shooting range so that a user can set a desired shooting range (B). ) And a parallax correction mark (C) for correcting the parallax between the wide-angle end and the telephoto end in the case of a camera having a built-in zoom func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a camera having a built-in panorama function, a panorama shooting range mark D indicating a panorama shooting range is displayed on the finder frame so that a user can know the panorama shooting range.

이와 같이 파노라마와 같은 특정 모드를 제외하면 별도의 파인더 프레임 표시가 없었다. As such, there was no separate finder frame display except for certain modes such as panoramas.

카메라의 촬영 모드 중에는 다중 촬영 모드가 있다. 이 다중 촬영 모드는 필름 한 장에 두 가지 이상의 장면을 조합하여 촬영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카메라에 장착되어 있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중 촬영 모드를 선택한 후 설정된 동작을 실행하면 된다.Among the camera's shooting modes, there are multiple shooting modes. In this multi-shot mode,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scenes is shot on a single film. In general, a multi-shot mode is selected by using a shooting mode selector switch mounted on a camera, and then a set operation is performed.

그러나 다중 촬영 모드를 실행하고자 할 경우 2개 이상의 배경이나 인물 등을 한 화면에 겹치게 촬영할 때, 별도의 파인더 프레임 표시가 없어, 정확한 구도 설정이 매우 곤란하다.However, when the multi-shot mode is to be executed, when two or more backgrounds or portraits are photographed overlapping on one screen, there is no separate finder frame display, so it is very difficult to set the correct composition.

즉, 원하는 상태로 피사체의 구도를 설정하여 첫 번째 촬영을 실시한 후, 다시 두 번째 촬영을 실시할 때, 첫 번째 촬영시의 피사체 구도와 정확하게 피사체 구도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화면이 겹치거나 전체적인 촬영 구도가 어색하여 양호한 사진을 얻을 수 없다. In other words, if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is set as desired and the first shot is taken, and then the second shot is taken again, if the subject composition at the first shot does not exactly match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the screen overlaps or the overall shot composition is taken. Is awkward, and a good picture cannot be obtained.

특히, 다중 촬영을 위한 별도의 표시 마크가 없으므로, 일정한 모양새가 형 태가 없을 것을 기준으로 하여 촬영 구도를 설정할 경우에는 더욱더 다중 촬영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re is no separate mark for multiple shooting, multiple shooting is more difficult when setting the shooting composition on the basis that a certain shape is not pres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촬영을 선택하여 피사체 촬영을 실시할 때 파인더 프레임에 다중 촬영을 위한 다중 촬영용 시야테가 나타나도록 하여 다중 촬영을 좀더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 장치의 다중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shooting apparatu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for selecting a multi-shooting so that the multi-shooting field frame for the multi-shooting appears in the finder frame to perform the multi-shooting more easily; It is for providing the control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출력 전류를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감지 수단;Distance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a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bject by using an output curr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피사체 주변의 휘도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 값을 이용하여 촬영 환경의 휘도 상태를 판정하고 휘도 상태에 따른 적정한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휘도 감지 수단;Luminance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a luminance state of a shooting environment by using a voltage valu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uminance around a subject, and enabling proper shoo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거리 감지 수단과 휘도 감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촬영 스위치;A first photographing switch operated by a user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distance sensing means and the brightness sensing means;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촬영 스위치;A second photographing switch operated by the user to control a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subject;

다중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A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multiple shooting mode;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상태에 따라 촬영 모드가 다중 촬영 모드로 판정되면,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 는 동작 제어 수단;Operation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display a multi-viewing field frame when the shooting mode is determined as the multi-shot mode according to the signal state output from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상기 동작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변화되어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할 수 있게 점등되는 표시 수단; 및Display means for changing an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control means and lighting to display a multi-view field frame; And

촬영된 필름을 감기 위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And motor driving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winding the photographed film.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출력 전류를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감지 수단;Distance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a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bject by using an output curr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피사체 주변의 휘도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 값을 이용하여 촬영 환경의 휘도 상태를 판정하고 휘도 상태에 따른 적정한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휘도 감지 수단;Luminance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a luminance state of a shooting environment by using a voltage valu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uminance around a subject, and enabling proper shoo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거리 감지 수단과 휘도 감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촬영 스위치;A first photographing switch operated by a user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distance sensing means and the brightness sensing means;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촬영 스위치;A second photographing switch operated by the user to control a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subject;

다중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A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multiple shooting mode;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상태에 따라 촬영 모드가 다중 촬영 모드로 판정되면, 다중 촬영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 수단;Operation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multiple photographing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determined as the multi-photographing mode according to the signal state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switch;

촬영된 필름을 감기 위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구동 수단; 및Motor driving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winding the photographed film; And

다중 촬영용 시야테가 인쇄되어, 파인더 프레임 근처에 장착되는 인쇄판을 포함한다.The multi-view field frame is printed and includes a printing plate mounted near the finder fr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촬영 모드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photographing mode switch;

촬영 모드 스위치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표시 수단에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하는 단계;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hotographing mode switch is in the operating state, displaying the field frame for multiple photographing on the display means;

제1 및 제2 촬영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Controlling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hotographing switch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은,Anothe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촬영 모드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photographing mode switch;

촬영 모드 스위치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제1 촬영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If the photographing mode switch is determined to be an operating state, 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photographing switch;

제1 촬영 스위치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피사체 촬영을 위해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와 피사체 주변의 휘도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bject and a luminance state around the subject to photograph the subject when the first photographing switch is determined to be in the operating state;

표시 수단에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multi-view field frame on the display unit;

제2 촬영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imaging switch;

제2 촬영 스위치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Photographing a subject when the second photographing switch is determined to be in an operating state;

다중 촬영용 시야테의 표시를 소등시키는 단계;Turning off the display of the multi-view field frame;

촬영 모드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photographing mode switch;

판정된 촬영 모드 스위치가 동작 상태일 경우, 제1 촬영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hooting switch when the determined shooting mode switch is in an operating state;

제1 촬영 스위치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피사체 촬영을 위해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와 피사체 주변의 휘도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If the first photographing switch is determined to be in an operating state, determining a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bject and a luminance state around the subject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표시 수단에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multi-view field frame on the display unit;

제2 촬영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imaging switch;

제2 촬영 스위치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hotographing a subject when the second photographing switch is determined to be in an operating state.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다중 촬영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다중 촬영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다중 촬영 제어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인더 시야 프레임 내의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도시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 of a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a multiple photographing control method of a camera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ultiple photographing of a camera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S. 6A to 6D illustrate a field of view for multiple photographing in a finder field of view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출력 전류를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감지부(11)와, 피사체 주변의 휘도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 값을 이용하여 촬영 환경의 휘도 상태를 판정하고 휘도 상태에 따른 적정한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휘도 감지부(12)와, 피사체와의 거리와 휘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릴리즈 1단 스위치(S1)와,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릴리즈 2단 스위치(S2)와, 여러 촬영 모드 중에서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와, 이들 거리 감지부(11), 휘도 감지부(12), 릴리즈 1단 및 2단 스위치(S1, S2),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와 연결되어 있고,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의 동작에 따라 다중 촬영 모드가 선택될 경우 다중 촬영용 프레임 표시기를 점등시킨 후, 릴리즈 1단 및 2단 스위치(S1, S2)를 이용하여 다중 촬영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동작 제어부(2)와, 동작 제어부(2)에 연결되어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를 이용하여 다중 촬영 선택할 경우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와, 상기 동작 제어부(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다중 촬영이 완료될 경우 촬영한 프레임을 감기 위해 장착된 필름 감기 모터(M)를 동작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부(4)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3, the distance detection unit 11 to determine the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bject using the output curr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and the degree of brightness around the subject A luminance detector 12 which determines a luminance state of the shooting environment using a voltage valu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target and a proper shoo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and a release to measure the distance and luminance from the subject. A first-stage switch S1, a release two-stage switch S2 for performing a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subject, a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for selecting a desired mode among various shooting modes, and these distance sensing units 11, connected to the brightness detection unit 12, the release first and second stage switches (S1, S2), and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When the shooting mode is select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which enable the multi-shooting to be performed using the release 1st stage and 2nd stage switches S1 and S2 after lighting the frame indicator for multiple shooting. When the multi-shooting is selected by using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connected to the display unit 3 for displaying a multi-view field frame, and when the multi-shoot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It consists of a motor drive part 4 for operating the film winding motor M mounted for winding the photographed frame.

거리 감지부(11)는 적외선을 발사할 수 있는 적외선 발광부와 반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하는 적외선 수광부로 이루어져, 반사되어 입사되는 적외선을 입사 위치에 따라 출력 전류의 크기가 변화하는 광감지 소자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distance detecting unit 11 includes an infrared light emitting unit for emitting infrared rays and an infrared ligh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reflected infrared rays, such as a light sensing element for changing the magnitude of the output current according to the incident position of the reflected infrared rays. consist of.

휘도 감지부(12)는 조사되는 빛의 조사량에 따라 내부 전기적인 저항 값의 크기가 변화하여 출력되는 전압이 변화하는 Cds 광도전 셀(Cadmium sulfide photoconductive cell)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luminance detector 12 includes a Cds sulfide photoconductive cell in which the magnitude of the internal electrical resistance valu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rradiation amount of the irradiated light and the output voltage is changed.

이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의 동작을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각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면, 동작 가능한 상태로 되어 피사체의 촬영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First, when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device is supplied, it becomes an operable state and can perform the photographing operation of the subject.

이와 같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 대기 상태일 때, 피사체 촬영을 위해 카메라에 부착되어 있는 촬영 스위치(릴리즈 1단 및 릴리즈 2단 스위치)가 작동되면, 선택된 촬영 모드에 따라 피사체와 촬영을 실시한다. When the shooting switch (release 1 stage and release 2 stage switches) attached to the camera is activated to capture a subject while the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is supplied and the subject is ready to shoot, the selected shot is taken. Perform shooting with the subject depending on the mode.

동작 제어부(2)의 동작이 시작되면(S10), 동작 제어부(2)는 카메라의 모든 동작 상태를 초기화하여(S11),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is started (S10),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initializes all operation states of the camera (S11), and sets the shooting mode of the camera to the general mode.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S12), 카메라의 촬영 모드가 다중 촬영 모드인지를 판정한다(S12). 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determin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S12), and determines whether the shooting mode of the camera is the multiple shooting mode (S12).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판정된 카메라의 촬영 모드가 다중 촬영 모드가 아닐 경우, 동작 제어부(2)는 계속해서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판정한다. When the photographing mode of the camera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switch S3 is not the multiple photographing mod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continuously determines the photographing mode of the camera.

그러나, 판정된 카메라의 촬영 모드가 다중 촬영 모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 이루어지고, 카메라 내부의 파인더 프레임 근처에 장착되어 현재 카메라의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기존의 표시부(3)에 이미 설정된 표시 마크로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한다.However, when the determined shooting mode of the camera is the multi-shot mod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is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the like, and is mounted near the finder frame inside the camera to display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of the camera. The field frame for multiple photographing is displayed by the display mark already set on the display unit 3 of.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는 릴리즈 1단 스위치(S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S14).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determin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S14).

판정된 릴리즈 1단 스위치(S1)의 동작 상태가 오프 상태일 경우, 즉 사용자가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지 않을 경우 동작 제어부(2)는 계속해서 릴리즈 1단 스위치(S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When the determined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tage switch S1 is off, that is,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o photograph the subject,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continuously determin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tage switch S1.

그러나, 판정된 릴리즈 1단 스위치(S1)가 온 상태로 판정되면, 동작 제어부 (2)는 거리 감지부(11)와 휘도 감지부(1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와 주변 휘도 상태를 측정하고(S15), 피사체와의 초 점 거리와 주변 휘도 정도를 산출한다.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ermined release first-stage switch S1 is in the on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reads a signal output from the distance sensing unit 11 and the luminance sensing unit 12 with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The focal length and the ambient luminance state are measured (S15), and the focal length and the ambient luminance degree with respect to the subject are calculated.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는 피사체 촬영을 위한 릴리즈 2단 스위치(S2)의 상태를 판정한다(S16).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determines the state of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for photographing the subject (S16).

이 릴리즈 2단 스위치(S2)가 오프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 계속해서 릴리즈 2단 스위치(S2)의 동작 상태를 체크한다.When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is in the off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continuously checks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그러나, 릴리즈 2단 스위치(S2)가 온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 도시하지 않은 셔터용 모터 등을 구동시켜 피사체의 촬영을 실시한다(S17).However, when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is in the on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drives a shutter motor or the like not shown to photograph the subject (S17).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다중 촬영 모드가 다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S18).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determines whether the multiple shooting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again u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S18).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다중 촬영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상태로 판정되면, 동작 제어부(2)는 다시 릴리즈 1단 스위치(S1)가 온 상태인지를 판정한다(S19).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ulti-photography mode is not selected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switch S3,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again determines whether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is on (S19).

판정된 릴리즈 1단 스위치(S1)의 상태가 오프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다중 촬영을 위한 다음 피사체 촬영을 위해 계속해서 릴리즈 1단 스위치(S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When the determined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is in the off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continuously determin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for the next subject photographing for multiple shooting.

그러나, 판정된 릴리즈 1단 스위치(S1)가 온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 단계 S15에서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거리 감지부(11) 및 휘도 감지부(1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산출하여 주변 휘도 상태를 판정한다(S20).However, when the determined first release switch S1 is in the on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outputs the signals output from the distance detecting unit 11 and the luminance detecting unit 12 as described above in step S15. The focal length with the subject i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peripheral luminance state (S20).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는 릴리즈 2단 스위치(S2)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 다(S21).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determin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S21).

릴리즈 2단 스위치(S2)가 오프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 다음 촬영 동작을 위해 계속 릴리즈 2단 스위치(S2)의 동작 상태를 체크한다.When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is in the off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continuously check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for the next photographing operation.

그러나, 판정된 릴리즈 2단 스위치(S2)가 사용자에 의해 온 상태로 판정되면, 동작 제어부(2)는 도 6의 (A) 내지 (F)에 도시한 것과 같은 표시부(3)에 표시되어 있는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이용하여 첫 번째 피사체 촬영시의 촬영 구조에 대응하여 다시 두 번째 피사체의 촬영을 실시한다(S22).However, when the determined release two-stage switch S2 is determined to be in an on state by the user,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 as shown in Figs. 6A to 6F. The second subject is photographed again in response to the photographing structure when the first subject is photographed using the multi-viewing frame (S22).

이 다중 촬영용 시야테의 형상은 임의로 조정될 수 있으며, 촬영시 촬영자의 눈에 거부감을 주지 않으면 된다.The shape of the multi-view frame may be arbitrarily adjusted, and it does not have to be rejected by the photographer's eyes when shooting.

그런 다음, 더 이상의 다중 촬영을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을 것으로 판정하여, 동작 제어부(2)는 표시부(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다중 촬영 모드를 위한 다중 촬영용 시야테의 표시를 소등시킨다(S23).T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select any more multiple shots, an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unit 2 to turn off the display of the multi-shot field frame for the multiple shooting mode (S23). .

그리고, 이중 촬영이 실시되어 촬영된 프레임의 필름을 감기 위해, 동작 제어부(2)는 모터 구동부(4)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필름 구동용 모터(M)를 작동시키므로, 필름의 감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S24).In addition, in order to wind the film of the frame in which the dual shooting is perform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motor driving unit 4 to operate the film driving motor M, so that the winding operation of the film is performed. (S24).

그러나, 단계 S18에서 판정된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의 동작 상태가 또 다시 다중 촬영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정되면, 동작 제어부(2)는 이미 기술한 단계 S14로 릴리즈 1단 스위치(S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determined in step S18 again selects the multiple shooting mod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operates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to step S14 described above. Determine the state.

따라서, 3회 이상의 다중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ree or more multi-shot operations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이, 도 5에 따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 의 동작에 따라 다중 촬영 모드가 선택될 경우 표시부(3)에 다중 촬영시 촬영 구조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5, when the multiple shooting mod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the display unit 3 can accurately adjust the shooting structure when the multiple shooting is performed. Display the field frame.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동작 제어부(2)의 동작이 시작되면(S110), 동작 제어부(2)는 카메라의 모든 동작 상태를 초기화하여(S111),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starts (S110),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initializes all operation states of the camera (S111), and sets the shooting mode of the camera to the general mode.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S112), 카메라의 촬영 모드가 다중 촬영 모드인지를 판정한다.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determin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S112), and determines whether the shooting mode of the camera is the multiple shooting mode.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판정된 카메라의 촬영 모드가 다중 촬영 모드가 아닐 경우, 동작 제어부(2)는 계속해서 카메라의 촬영 모드를 판정한다. When the photographing mode of the camera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gnal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switch S3 is not the multiple photographing mod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continuously determines the photographing mode of the camera.

그러나, 판정된 카메라의 촬영 모드가 다중 촬영 모드일 경우, 동작 제어부 (2)는 릴리즈 1단 스위치(S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여, 릴리즈 1단 스위치(S1)가 온 상태인지를 판정한다(S113).However, when the determined shooting mode of the camera is the multiple shooting mod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determin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is in the on state ( S113).

릴리즈 1단 스위치(S1)가 온 상태가 아닐 경우, 동작 제어부(2)는 다중 촬영을 위해 계속해서 릴리즈 1단 스위치(S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When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is not in the on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continuously determin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for multiple shooting.

그러나 릴리즈 1단 스위치(S1)가 온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 거리 감지부(11)와 휘도 감지부(1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와 주변 휘도 상태를 측정하고(S114),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와 주변 휘도 정도를 산출한다.However, when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is turned o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reads signals output from the distance detection unit 11 and the luminance detection unit 12 to adjust the focal length and the surrounding luminance state with the subject. In operation S114, the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bject and the degree of ambient luminance are calculated.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는 표시부(3)에 이미 설정된 마크로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한다(S115).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displays the field frame for multiple photographing with the mark already set on the display unit 3 (S115).

그리고, 동작 제어부(2)는 릴리즈 2단 스위치(S2)의 상태를 판정한다(S116).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determines the state of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S116).

릴리즈 2단 스위치(S2)가 오프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 계속해서 릴리즈 2단 스위치(S2)의 동작 상태를 체크하고, 릴리즈 2단 스위치(S2)가 온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 피사체의 촬영을 실시한다(S117).When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is in the off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continuously checks the operating state of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and when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is in the on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photograph the subject (S117).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는 표시부(3)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현재 표시중인 다중 촬영 모드 표시 마크를 소등시킨다(S118).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unit 3 to turn off the multi-shot mode display mark currently being displayed (S118).

그리고 다시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다중 촬영 모드가 다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S119).The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ulti-photographic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again by u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switch S3 (S119).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의 동작 상태가 다중 촬영 모드가 아닐 경우, 동작 제어부(2)는 릴리즈 1단 스위치(S1)가 온 상태인지를 판정하여(S120), 릴리즈 1단 스위치(S1)의 상태가 오프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 다중 촬영을 위한 다음 피사체 촬영을 위해 계속해서 릴리즈 1단 스위치(S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When the operation state of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is not the multiple shooting mod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determines whether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is on (S120), and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When the state is in the off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continuously determin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for capturing the next subject for multiple photographing.

그러나, 릴리즈 1단 스위치(S1)가 온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 다시 거리 감지부(11) 및 휘도 감지부(1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산출하여 주변 휘도 상태를 판정하고(S121), 다시 표시부(3)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다중 촬영 모드를 위한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점등시킨다(S122).However, when the release first stage switch S1 is turned on, the operation controller 2 calculates a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bject by us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distance detector 11 and the luminance detector 12 again. The peripheral luminance state is determined (S121), and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3 again to light up the multi-viewing field frame for the multi-photographing mode (S122).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는 릴리즈 2단 스위치(S2)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S123).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determin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S123).

릴리즈 2단 스위치(S2)가 오프 상태일 경우, 동작 제어부(2)는 다음 촬영 동 작을 위해 계속 릴리즈 2단 스위치(S2)의 동작 상태를 체크한다.When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is in the off stat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continuously checks the operation state of the release two-stage switch S2 for the next photographing operation.

그러나, 판정된 릴리즈 2단 스위치(S2)가 사용자에 의해 온 상태로 판정되면, 동작 제어부(2)는 표시부(3)에 현재 표시중인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이용하여 첫 번째 피사체 촬영시의 촬영 구조에 맞게 다시 두 번째 피사체의 촬영을 실시한다(S124).However, when the determined release two-stage switch S2 is determined to be on by the user,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uses the multi-viewing field frame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3 to capture the structure of the first subject. In operation S124, the second subject is photographed again.

그런 다음, 동작 제어부(2)는 표시부(2)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다중 촬영용 시야테의 표시 상태를 소등하여(S125), 더 이상의 다중 촬영 동작을 실시하지 않는다.Then,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display unit 2 to turn off the display state of the multi-view field frame (S125), and does not perform any further multi-shot operation.

그리고, 이중 촬영이 실시된 프레임을 감기 위해, 동작 제어부(2)는 모터 구동부(4)를 동작시켜 필름 구동용 모터(M)를 이용한 필름 감기 동작을 실시한다 (S126).Then, in order to wind the frame on which the double photographing has been performed,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operates the motor driving unit 4 to perform a film winding operation using the film driving motor M (S126).

그러나, 단계 S119에서 판정된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S3)의 동작 상태가 또 다시 다중 촬영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정되면, 동작 제어부(2)는 이미 기술한 단계 S113로 되돌아가 릴리즈 1단 스위치(S1)의 동작 상태를 판정한다.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S3 determined in step S119 again selects the multiple shooting mode, the operation control unit 2 returns to the above-described step S113 to release the first stage switch S1. Determine the operating state of.

따라서, 3회 이상의 다중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ree or more multi-shot operations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이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표시부(3)의 동작 상태가 릴리즈 1단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변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FIG. 5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splay unit 3 is conver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release switch.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는 다중 촬영을 위한 시야테 표시를 카메라 내부 파인더 프레임 근처에 장착되어 있는 기존의 표시부를 이용하여 표시 및 소등 상태를 전자적으로 제어하였으나, 별도의 제어 동작없이 유리 등에 다중 촬영용 시 야테를 인쇄한 후 카메라 내부 파인더 근처에 장착시켜 필요할 때마다 유리 등에 인쇄된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frame and the light-off state are electronically controlled by using the existing display unit mounted near the internal finder frame of the field frame for multiple shooting. You can also print a yate for multiple shots on your back and mount it near the camera's internal finder so you can use the multi-shot field on the glass whenever you need it.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다중 촬영을 실시할 경우, 파인더 시야 프레임에 나타나는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이용하여 다중 촬영시의 피사체 구도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다중 촬영 동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원하는 구도를 갖는 양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By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when photographing multiple subjects using the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switch, the composition of the subject during multiple photographing can be easily adjusted by using the photographing frame for multiple photographing shown in the viewfinder frame. Can be easily carried out, and a good quality photograph having a desired composition can be obtained.

Claims (6)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출력 전류를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감지 수단;Distance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a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bject by using an output curr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피사체 주변의 휘도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 값을 이용하여 촬영 환경의 휘도 상태를 판정하고 휘도 상태에 따른 적정한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휘도 감지 수단;Luminance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a luminance state of a shooting environment by using a voltage valu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uminance around a subject, and enabling proper shoo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거리 감지 수단과 휘도 감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촬영 스위치;A first photographing switch operated by a user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distance sensing means and the brightness sensing means;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촬영 스위치;A second shooting switch operated by a user to control an operation of photographing a subject; 다중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A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multiple shooting mode;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상태에 따라 촬영 모드가 다중 촬영 모드로 판정되면,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 수단;Operation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so as to display a multi-viewing field frame when the shooting mode is determined as the multi-shot mode according to the signal state output from the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상기 동작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점등하여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 및Display means for lighting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said operation control means to display a field frame for multiple photographing; And 촬영된 필름을 감기 위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구동 수단Motor drive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to wind the film taken 을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다중 촬영 장치.Multiple shooting device of the shooting device includ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상기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상태가 다중 촬영 모드일 경우 상기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표시 수단으로 출력하는 촬영 장치의 다중 촬영 장치.And the operation control means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multi-view field frame to a display means when the stat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switch is a multi-capture mod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동작 제어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촬영 스위치가 작동하면 상기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표시 수단으로 출력하는 촬영 장치의 다중 촬영 장치.And the operation control means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displaying the multi-view frame to the display means when the first photographing switch is operated by a user. 피사체와의 거리에 따라 변화하는 출력 전류를 이용하여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를 판정할 수 있도록 하는 거리 감지 수단;Distance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a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bject by using an output curr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istance to the subject; 피사체 주변의 휘도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 값을 이용하여 촬영 환경의 휘도 상태를 판정하고 휘도 상태에 따른 적정한 촬영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휘도 감지 수단;Luminance sensing means for determining a luminance state of a shooting environment by using a voltage valu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luminance around a subject, and enabling proper shoot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luminance state;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거리 감지 수단과 상기 휘도 감지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촬영 스위치;A first photographing switch operated by a user to control operations of the distance sensing means and the brightness sensing means;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촬영 스위치;A second shooting switch operated by a user to control an operation of photographing a subject; 다중 촬영 모드를 선택하는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A shooting mode selection switch for selecting a multiple shooting mode; 상기 촬영 모드 선택 스위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상태에 따라 촬영 모드가 다중 촬영 모드로 판정되면, 다중 촬영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작 제어 수단;Operation control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multiple photographing when the photographing mode is determined as the multi-photographing mode according to the signal state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mode selection switch; 촬영된 필름을 감기 위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구동 수단; 및Motor driving means for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winding the photographed film; And 다중 촬영용 시야테가 인쇄되어, 파인더 프레임 근처에 장착되는 인쇄판A printing plate that is printed near the viewfinder frame with a field frame for multiple shooting 으로 이루어져 있는 촬영 장치의 다중 촬영 장치.Multiple shooting device of the shooting device consisting of. 촬영 모드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photographing mode switch; 상기 촬영 모드 스위치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표시 수단에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하는 단계;If the photographing mode switch is determined to be in an operating state, displaying a field frame for multiple photographing on a display means; 제1 및 제2 촬영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Controlling an operation of photographing a subjec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hotographing switches 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다중 촬영 제어 방법.Multi-shooting control method of the photographing device comprising a. 촬영 모드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photographing mode switch; 상기 촬영 모드 스위치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제1 촬영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a first shooting switch when the shooting mode switch is determined to be an operating state; 상기 제1 촬영 스위치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피사체 촬영을 위해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와 피사체 주변의 휘도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bject and a luminance state around the subject to photograph the subject when the first photographing switch is determined to be in an operating state; 표시 수단에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a multi-view field frame on the display unit; 제2 촬영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imaging switch; 상기 제2 촬영 스위치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Photographing a subject when the second photographing switch is determined to be in an operating state; 상기 다중 촬영용 시야테의 표시를 소등시키는 단계;Turning off the display of the multi-view field frame; 상기 촬영 모드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hotographing mode switch; 판정된 촬영 모드 스위치가 동작 상태일 경우, 상기 제1 촬영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shooting switch when the determined shooting mode switch is in an operating state; 상기 제1 촬영 스위치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피사체 촬영을 위해 피사체와의 초점 거리와 피사체 주변의 휘도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If the first photographing switch is determined to be in an operating state, determining a foc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ubject and a luminance state around the subject to photograph the subject; 상기 표시 수단에 상기 다중 촬영용 시야테를 표시하는 단계;Displaying the multi-view field frame on the display unit; 상기 제2 촬영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econd photographing switch; 상기 제2 촬영 스위치가 동작 상태로 판정되면 피사체를 촬영하는 단계Photographing a subject when the second photographing switch is determined to be in an operating state 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의 다중 촬영 제어 방법.Multi-shooting control method of the photographing device comprising a.
KR1020010076906A 2001-12-06 2001-12-06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KR1008382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906A KR100838221B1 (en) 2001-12-06 2001-12-06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6906A KR100838221B1 (en) 2001-12-06 2001-12-06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683A KR20030046683A (en) 2003-06-18
KR100838221B1 true KR100838221B1 (en) 2008-06-13

Family

ID=29573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6906A KR100838221B1 (en) 2001-12-06 2001-12-06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22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997A (en) * 1996-11-11 1998-08-05 이대원 Automatic red-eye reduction of the camera and its control method
KR19990054522A (en) * 1997-12-26 1999-07-15 유무성 Device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0184260A (en) * 1998-12-17 2000-06-30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image pickup device
KR100406609B1 (en) * 2001-04-18 2003-11-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photographing modes of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4997A (en) * 1996-11-11 1998-08-05 이대원 Automatic red-eye reduction of the camera and its control method
KR19990054522A (en) * 1997-12-26 1999-07-15 유무성 Device for controlling light emission of camera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0184260A (en) * 1998-12-17 2000-06-30 Olympus Optical Co Ltd Electronic image pickup device
KR100406609B1 (en) * 2001-04-18 2003-11-2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photographing modes of photograp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683A (en)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6970B2 (en) Image sen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user interface display apparatus
US8730378B2 (en) Optical apparatus
JP2007286438A (en) Imag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JP5341214B2 (en) Camera system
JP3184043B2 (en) camera
US6061523A (en) Photographic camera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JP4957435B2 (en) Imaging device
JP4497698B2 (en) camera
KR100838221B1 (en) Multipl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ts control method
US6819357B1 (en) Camera having a zoom lens
JP3890098B2 (en) Optical device
JPH0961923A (en) Camera
JP3911423B2 (en) camera
JP2008309840A (en) Camera system and camera
JP3060362B2 (en) Display device
JP2004212892A (en) Photographing device
JP4316830B2 (en) camera
JP2001318415A (en) Camera provided with previewing function
JP2005227598A (en) Auto-focus camera
JP2004247773A (en) Camera
JP2005295476A (en) Studio photographing device
JPH08262550A (en) Display device for camera
JPH10186442A (en) Camera provided with automatic focusing mode
JPH10142664A (en) Camera with photographic mode setting function
JPH05107629A (en) Display device for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2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1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