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38211B1 - Mobile terminal that can remove an external folder with an external keypad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that can remove an external folder with an external keypa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211B1
KR100838211B1 KR1020070053835A KR20070053835A KR100838211B1 KR 100838211 B1 KR100838211 B1 KR 100838211B1 KR 1020070053835 A KR1020070053835 A KR 1020070053835A KR 20070053835 A KR20070053835 A KR 20070053835A KR 100838211 B1 KR100838211 B1 KR 100838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cover
keypad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38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명구
Original Assignee
(주)테일러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테일러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테일러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70053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2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211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를 탈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키패드와 표시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장 키패드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장 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detach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keypad and a display uni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external folder equipped with an external keyp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one end of the main bod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Description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를 탈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LOADING AND UNLOADING EXTERNAL FOLDER WITH EXTERNAL KEYPAD}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LOADING AND UNLOADING EXTERNAL FOLDER WITH EXTERNAL KEYPA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를 탈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detach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shown in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를 탈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상태도.3 is a use state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detach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shown in FIG.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를 탈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detach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본체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in body

111: 표시부 112: 키패드111: display unit 112: keypad

113: 저장부 114: 스피커113: storage unit 114: speaker

115: 마이크 116: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15: microphone 116: radio frequency transceiver

117: 폴더개폐 감지부 118: 주 제어부117: folde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118: main control unit

119: 전원 제어부 120: 외장 폴더119: power control unit 120: external folder

121: 덮개 122: 결합부재121: cover 122: coupling member

122-1: 결합 홈 123: 힌지122-1: engaging groove 123: hinge

124: 외장 키패드 125: 보조 배터리124: external keypad 125: spare battery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를 탈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detach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현대인들은 문화적, 경제적 및 사회적으로 다양화된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과 교류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사람들과의 관계형성은 사람들 간의 경험의 폭을 넓혀 주고 있지만, 정작 중요한 사람과의 만남이 오랫동안 지속되고 그 깊이를 더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특히 현대인들의 바쁜 하루하루 일과속에서 업무적으로 혹은 사적으로 접하게 되고 관계를 맺는 사람들은 무수히 많다. 정보통신기술과 전자기술의 발달에 따라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전자수첩 및 스마트폰 등의 이동 단말기이다.Modern people live and interact with many people in a cultur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diversified society. Such relationships with various peoples widen the range of experiences between people, but make it difficult for them to continue to meet important people for a long time and increase their depth. In particular, in the busy day-to-day work of modern people, there are a lot of people who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ork in private. In order to improve such a problem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lectronic technology, mobile terminals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electronic notebooks, and smart phones.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도 MP3 기능, 게임 기능, 그리고 각종 정보 전송 및 저장 기능 등을 포함하여 매우 많은 기능들을 갖으므로, 이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한 키들의 조합인 키패드가 배치된다. 하지만, 이동통신 단말기는 컴퓨터나 게임기기 등과 달리 매우 협소한 면적 내에 키패드를 배치하기 때문에, 여러 기능들을 중복 사용하도록 각 키를 구현함과 아울러 각 키를 매우 작게 구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하나의 키를 이용하여 여러 기능들을 중복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키들이 매우 작게 구현되어 이들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을 갖는다.Here,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so many functions including an MP3 function, a game function, and various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storage functions as well as a call function, a keypad, which is a combination of keys for using these functions, is arranged. However, sinc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ranges a keypad in a very small area, unlike a computer or a game device, each key is implemented with a very small size and each key is used so that various functions are used repeatedly.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ecessary to duplicate several functions using one key, and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keys are implemented very small, which is inconvenient for users who use them.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람들의 기호에 맞도록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바 타입, 플립형, 슬라이드형 및 폴더형)로 제조되고 있다. 여기서, 바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키패드가 외부에 노출되 있어, 그들의 키패드가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해 쉽게 손상되었다. 또한, 바 타입 이동통신 단말기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자신의 본체 후면에 탑재된 하나의 메인 배터리만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시점에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In addi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eg, bar type, flip type, slide type, and folder type) to suit people's taste. Here, in the bar type mobile terminal and the slide type mobile terminal, the keypa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ir keypad is easily damaged by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In addition, since the bar type mobile terminal and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 only one main battery mount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at a time when the user does not recognize i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emporarily turned off.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u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하거나 컴퓨터 및 게임기기 등과 같은 특정 기기용 외장 키패드를 선별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키패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unt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use an external keypad for a specific device such as a computer and a game device. By mounting to use, it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keypa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장 폴더를 키패드가 노출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써,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키패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the keypad due to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by mounting the external fold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posed to the keypad.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보조 배터리를 갖는 외장 폴더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써, 메인 배터리의 방전시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supplying power through an auxiliary battery when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by mounting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auxiliary battery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메인 배터리의 방전시 탈착식 외장 폴더에 수납된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메인 배터리가 방전되더라도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even when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by supplying power through the auxiliary battery stored in the removable external folder when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면의 상단부에 표시부가 배치되고, 이격되어 배치된 키패드와 표시부를 갖는 본체; 및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장 키패드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장 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keypad and a display unit disposed at an upper end portion of a front surfac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external folder equipped with an external keyp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one end of the main bod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main bod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를 탈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detach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의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shown in FIG. 1.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자신의 본체(110)와 결합되는 외장 폴더(1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110)의 일측단이 외장 폴더(12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xternal folder 120 coupled to a main body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ere,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inserted into the external folder 120 and coupled.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바 타입이나 슬라이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메인 배터리(미도시)는 본체(110)의 후면에 탑재되고, 표시부(LCD)(111)는 본체(110)의 상단면에 노출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패드(미도시)는 외장 폴더(120)의 덮개(121)에 의해 노출되지 않도록 덮혀진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bar type or a slide type. In this case, the main battery (not shown)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 and the display unit (LCD) 111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It is arranged to be exposed on the top surface. The keypad (not show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covered so as not to be exposed by the cover 121 of the external folder 120.

도 2를 참조하면, 외장 폴더(12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패드(미도시)를 노출되지 않도록 덮기 위한 덮개(121)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110)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부재(122)와, 덮개(121)와 결합부재(122)의 회전축을 이루는 힌지(123)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한 외장 키패드(124)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125)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external folder 120 includes a cover 121 for covering the keypad (not show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so as not to be exposed, and a main body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 coupling member 122, a hinge 121 forming a rotation shaft of the cover 121 and the coupling member 122, an external keypad 124 for using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mobile communication. An auxiliary battery 125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100 is provided.

덮개(121)는 그의 일측단이 힌지(123)와 결합되어 힌지(123)를 축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되는데,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시 덮개(121)는 상기 키패드의 반대 반향(열림 방향)으로 회전되어 본체(110)의 전체 면이 노출되도록 하고, 반대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미사용시 덮개(121)는 상기 키패드 방향(닫힘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키패드를 노출되지 않도록 덮는다.The cover 121 is rotated as shown in FIG. 3 with one side thereof coupled with the hinge 123 and the hinge 123 as an axis, that is,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used, the cover 121 is formed of the keypad.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open direction) to expose the entire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on the contrary, when not in u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he cover 121 is rotated in the keypad direction (close direction) to expose the keypad Cover it so as not to.

이러한 덮개(121)는 상기 키패드를 모두 덮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되, 표시부(111)의 일부분을 덮도록 구현되거나 표시부(111)를 덮지 않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cover 121 may have a length sufficient to cover all of the keypads, and may be implemented to cover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11 or not to cover the display unit 111.

예를 들어, 덮개(121)가 표시부(111)의 일부분을 덮도록 구현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미리 설정된 화면크기 조절용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표시부(111)에 표시되는 문자정보 및/또는 영상정보의 화면 크기를 축소시킨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문자정보 및/또는 영상정보가 덮개(121)에 의해 가려진 부분에 표시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에만 모두 표시되도록 한다. 이와 달리, 표시부(111)가 덮개(12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모두 노출되도록 구현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표시부(111)에 표시되는 문자정보 및/또는 영상정보의 화면 크기를 축소시키지 않는다.For example, when the cover 121 is implemented to cover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11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 or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1 in accordance with a preset program for adjusting the screen size Reduce the screen size of video information.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llows the text information and / or the imag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ly on the exposed portion, not on the portion covered by the cover 121. On the contrary, when the display unit 111 is implemented so that all of the display unit 111 is not covered by the cover 12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educes the screen size of the text information and / or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1. Don't let that happen.

결합부재(122)의 일측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110)의 일측단을 삽입하기 위한 결합 홈(122-1)이 형성되며, 결합부재(122)의 타측단은 힌지(123)와 결합된다.As shown in FIG. 2, a coupling groove 122-1 for inserting one end of the main body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member 122 and the coupling member 122. The other end of the hinge 123 is combined.

힌지(123)는 플립형 이동통신 단말기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힌지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hinge 123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a conventional hinge used for a flip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외장 키패드(124)는 컴퓨터용 키보드에 구비되는 각종 기능 키들, 숫자 키들 및 문자 키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외장 키패드(124)에는 게임 전용 키들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외장 키패드(124)는 얇은 두께를 갖는 외장 폴더(120)의 일측면에 배치되므로, 터치패드 형태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갖는 외장 폴더(120) 상에 외장 키패드(124)를 장착하기 때문에, 본체(110)에 배치된 키패드(미도시)를 이루는 키들보다 더 많은 키들을 조합하여 외장 키패드(124)를 형성하고, 이로 인해 키패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The external keypad 124 is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various function keys, numeric keys, and character keys included in the computer keyboard. In particular, the external keypad 124 may further include game-only keys. Since the external keypad 124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xternal folder 120 having a thin thickness, the external keypad 124 is preferably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s the external keypad 124 on the external folder 120 having a relatively large area, more keys than the keys constituting the keypad (not shown) disposed on the main body 110 are provided. In combination, the external keypad 124 is formed, and thus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keypad.

한편, 외장 키패드(124)는 외장 폴더(120)에 고정되어 구현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로서, 외장 폴더(120)에는 외장 키패드(124)를 탈착하기 위한 탈착부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부는 외장 키패드(124)를 삽입하기 위한 패드 홈들(124-1, 124-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패드 홈들(124-1, 124-2)은 외장 폴더(120)의 일측면에 외장 키패드(124)의 넓이만큼 이격되어 대향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패드 홈들(124-1, 124-2)은 동일한 길이를 갖되, 외장 키패드(124)가 삽입되어 고정될 만큼의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컴퓨터용 외장 키패드(124), 숫자용 외장 키패드(124), 또는 게임용 외장 키패드(124) 등을 선별적으로 외장 폴더(120)에 탑재시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컴퓨터나 게임기기 등과 같은 특정 기기용 외장 키패드를 선별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키패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착 부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드 홈들(124-1, 124-2)로만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니고, 홈 이외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한 이치이다.The external keypad 124 may be implemented by being fixed to the external folder 1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s another embodiment, the external folder 120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part for detaching the external keypad 124. As shown in FIG. 4, the detachable portion may be formed of pad grooves 124-1 and 124-2 for inserting the external keypad 124, and the pad grooves 124-1 and 124-2 may be formed. One side of the external folder 120 is formed to face the spaced apart by the width of the external keypad 124. Here, the pad grooves 124-1 and 124-2 have the same length, and the pad grooves 124-1 and 124-2 have a length sufficient to allow the external keypad 124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ively mount the external keypad 124 for a computer, the external keypad 124 for a number, or the external keypad 124 for a game to the external folder 120.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mounts and uses an external keypad for a specific device such as a computer or a game device,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keypad. In addition, the detachable part is not limited to the pad grooves 124-1 and 124-2 as shown in FIG. 4, and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other than the groove.

보조 배터리(125)는 덮개(121)의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로 구현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덮개(121)를 별도로 구현하지 않고 보조 배터리(125)로 덮개(121)를 형성하거나 보조 배터리(125)가 덮개(121)에 탈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The auxiliary battery 125 is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accommodated in the cover 12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ver 121 may be formed of the auxiliary battery 125 or the auxiliary battery 125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ver 121 without separately implementing the cover 121. have.

특히, 도면 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장 키패드(124)와 보조 배터리(125)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1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외장 키패드(124)는 통신단자(미도시)를 통해 본체(110)와 접속되고, 보조 배터리(125)는 전원단자(미도시) 등을 통해 본체(110)와 접속될 수 있다.In particular,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external keypad 124 and the auxiliary battery 125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Here, the external keypad 124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through a communication terminal (not shown), and the auxiliary battery 125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10 through a power terminal (not show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조 배터리(125)를 갖는 외장 폴더(120)를 상기 키패드가 노출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장착함으로써,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상기 키패드의 파손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메인 배터리의 방전시 보조 배터리(125)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시점에 상기 메인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ounts the external folder 120 having the auxiliary battery 125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where the keypad is expose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keypad due to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and also When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auxiliary battery 125, thereby preventing the inconvenience that the main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temporarily unavailable at the time when the user does not recognize it. .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를 탈착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110)는, 문자 및 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부(111)와, 문자, 기호 및 사용자 명령 등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12)와, 문자정보 및 영상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113)와,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4)와, 소리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15)와, 무선주파수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16)와, 외장 폴더(120)의 덮개(121)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폴더개폐 감지부(117)와, 통화 및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외장 폴더(120)의 개폐 여부에 따라 각종 기능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기 위한 주 제어부(118)와, 보조 배터리(125)와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택일적으로 절환시키기 위한 전원 제어부(119)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 the main body 11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11 for displaying text and images, and a keypad 112 for inputting text, symbols, and user commands. ), A storage unit 113 for storing text information and video information, a speaker 114 for outputting sound, a microphone 115 for inputting sound, and a radio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frequency signals. The frequency transceiving unit 116, the folde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117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121 of the external folder 120, and control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alls and various information, and whether the external folder 120 is opened or closed The main control unit 118 for controlling the ON / OFF of the various functions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and the power control unit 119 for alternatively switch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125 and the main battery 130 ).

표시부(111)는 주제어부(111)에 의해 공급되는 문자신호 및/또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며, 여기서 문자 및/또는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의 위치 및 크기는 주제어부(118)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표시부(111)는 액정표시장치(LCD)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액정표시장치(LCD) 이외의 표시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11 displays a text signal and / or an image signal supplied by the main control unit 111, where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screen on which the text and / or image are displayed are adjusted by the main control unit 118. The display unit 111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but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element other than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키패드(112)는 각종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기능키들, 숫자들을 입력하기 위한 숫자키들, 각종 기호들을 입력하기 위한 기호키들, 그리고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키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키패드(112)는 본체(110)의 전면에 노출되게 배치되되, 표시부(111)의 하단부에 위치된다.The keypad 112 is composed of function keys for inputting various functions, numeric keys for inputting numbers, symbol keys for inputting various symbols, and character keys for inputting characters. The keypad 112 is disposed to be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111.

특히, 키패드(112)는 외장 폴더(120)의 덮개(121)를 닫을 경우 노출되지 않도록 덮개(121)에 의해 완전히 덮혀진다.In particular, the keypad 112 is completely covered by the cover 121 so as not to be exposed when the cover 121 of the external folder 120 is closed.

저장부(113)는 문자 정보, 소리 정보 및 영상 정보 등을 저장하는데, 이러한 정보들은 디폴트(default)로 설정되고, 또한 주 제어부(118)에 의해 저장되기도 한다. 이러한 저장부(113)는 이이프롬(EEPROM) 등과 같은 메모리 소자로 구현된다.The storage unit 113 stores text information, sound information, image information, and the like, which are set as defaults and may also be stored by the main controller 118. The storage unit 113 is implemented with a memory device such as EEPROM.

스피커(114)는 주 제어부(118)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음향 및 음악 등의 소리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한다.The speaker 114 outputs sound signals such as voice, sound, and music provided by the main controller 118 to the user so that they can be heard.

마이크(115)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소리를 주 제어부(118)가 인식할 수 있는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주 제어부(118)로 전달한다.The microphone 115 converts various sounds input from the outside into an electrical signa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main controller 118 and transmits the sound to the main controller 118.

무선주파수 송수신부(116)는 외부로부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주파수신호(RF : Radio Frequency)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시켜 주 제어부(118)로 전달하고, 주 제어부(118)로부터 입력되는 기저대역신호를 무선주파수신호로 변환시켜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전송한다.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116 converts a radio frequency signal (RF) received from the outside through an antenna into a baseband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main controller 118 and the baseband input from the main controller 118.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radio frequency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an antenna.

폴더개폐 감지부(117)는 외장 폴더(120)의 덮개(121)의 개폐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주 제어부(118)로 전달한다. 이러한 폴더개폐 감지부(117)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폴더의 개폐를 감지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folde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117 detec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121 of the external folder 120 and transmits the detection result to the main control unit 118. The folde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117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tect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older.

주 제어부(118)는 키패드(112) 또는 외장 키패드(12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통화 기능, 전송 기능, 표시부(111)의 디스플레이 기능, 스피커(114)의 출력 기능, 그리고 마이크(115)의 입력 기능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폴더개폐 감지부(117)를 통해 외장 폴더(120)의 덮개(121)의 닫힘이 감지되면, 주 제어부(118)는 현재 수행 중인 기능을 오프(OFF)시킨다.The main control unit 118 is a call function, a transmission function, a display function of the display unit 111, an output function of the speaker 114, and a microphone according to a user's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pad 112 or the external keypad 124. And selectively control the input function of the device. If any one of these functions is being performed and the closing of the lid 121 of the external folder 120 is detected through the folde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117, the main control unit 118 is currently performing the function. OFF.

그리고, 덮개(121)가 표시부(111)의 일부분을 덮도록 구현되는 경우, 주 제어부(118)는 미리 설정된 화면크기 조절용 실행프로그램에 따라 표시부(111)에 표시되는 문자정보 및/또는 영상정보의 화면 크기를 축소시킨다. 즉, 문자정보 및/또는 영상정보가 덮개(121)에 의해 가려진 부분에 표시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에만 모두 표시되도록 하는데, 이는 닫힌 외장 폴더(120)에 의해 표시부(111)의 일부분이 가려진 경우에도 사용자가 표시되는 문자정보 및/또는 영상정보를 모두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cover 121 is implemented to cover a part of the display unit 111, the main controller 118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 or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1 according to a preset screen size adjusting execution program. Reduce the screen size. That is, the text information and / or the image information are not displayed on the portion covered by the cover 121 but only on the exposed portion, even when a part of the display portion 111 is covered by the closed external folder 120.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see both the displayed character information and / or image information.

이와 달리, 표시부(111)가 덮개(121)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모두 노출되도록 구현되는 경우, 주 제어부(118)는 표시부(111)에 표시되는 문자정보 및/또는 영상정보의 화면 크기를 축소시키지 않고 디폴트 상태로 출력시킨다.On the contrary, when the display unit 111 is implemented so that all of the display unit 111 is not covered by the cover 121, the main controller 118 does not reduce the screen size of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 or imag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1. Without default output.

주 제어부(118)는 메인 배터리(130)나 보조 배터리(125) 중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표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원이 보조 배터리(125)나 메인 배터리(130)로부터 공급되는 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The main controller 118 displays a battery supplying power to the curren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mong the main battery 130 and the auxiliary battery 125, so that the pow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is stored in the auxiliary battery 125 or the auxiliary battery 125.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whether it is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130.

전원 제어부(119)는 본체(110)의 후면에 탑재된 메인 배터리(130)의 전원을 우선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공급하고, 메인 배터리(130)가 모두 방전되면 외장 폴더(120)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125)의 전원을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시점에 메인 배터리(130)가 완전히 방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을 미연에 방지한다.The power control unit 119 preferentially supplies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130 mount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110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nd when the main battery 130 is discharged to the external folder 120. Power of the installed auxiliary battery 125 is su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inconvenience that the main battery 130 is completely discharged at a time when the user does not recognize and temporarily disabl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장 키패드를 갖는 외장 폴더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하거나 컴퓨터 및 게임기기 등과 같은 특정 기기용 외장 키패드를 선별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키패드의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is mounted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used to selectively mount and use an external keypad for a specific device such as a computer and a game device.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achieved by using the keypad.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장 폴더를 키패드가 노출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써, 외부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키패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keypad from being damaged by contact with an external object by attaching an external fold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keypad exposed.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보조 배터리를 갖는 외장 폴더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함으로써, 메인 배터리의 방전시 보조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고, 이로 인해 메인 배터리가 방전되더라도 보조 배터리를 이용하여 계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s an external folder having an auxiliary battery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by supplying power through the auxiliary battery when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and thus continuously using the auxiliary battery even if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Can be.

Claims (18)

메인 배터리가 탑재되며, 전면에 노출되게 이격되어 배치된 키패드와 표시부를 갖는 본체; 및A main body on which a main battery is mounted and which has a keypad and a display par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And 상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장 키패드가 장착되고, 상기 표시부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하면서 상기 키패드를 노출되지 않도록 덮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일측단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외장 폴더;를 포함하며,An external folder having an external keypa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having one side end of the main body inserted and coupled to cover the keypad so as not to be exposed while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is exposed. 상기 외장 폴더는, The external folder, 상기 본체의 전면에 배치된 키패드를 노출되지 않도록 덮기 위한 덮개;A cover for covering the keypad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so as not to be exposed; 상기 본체를 장착하기 위한 결합부재;A coupling member for mounting the main body; 상기 덮개와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축을 이루는 힌지;A hinge forming a rotation axis of the cover and the coupling member; 상기 외장 키패드가 탈착되는 탈착부; 및A detachable part to which the external keypad is detached; And 상기 탈착부에 탈착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상기 외장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n external keypad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unit, and configured to use a function of a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movable portion, 상기 외장 폴더의 일측면에 상기 외장 키패드의 넓이만큼 이격되어 대향되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패드 홈으로 구현되되,The first and second pad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external folder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width of the external keypad. 상기 제 1 및 제 2 패드 홈은 동일한 길이를 갖으며, 상기 외장 키패드가 삽입되어 고정될 만큼의 충분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the first and second pad grooves have the same length and have a length sufficient to fix and insert the external keyp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키패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keypad, 터치패드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touch p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폴더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xternal folder,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secondary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main body, 상기 덮개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폴더개폐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folder opening and closing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main body, 상기 폴더개폐 감지부를 통해 상기 덮개의 닫힘이 감지되면 수행 중인 기능을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off the function being performed when the closing of the cover is detected through the folder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un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ver, 상기 키패드를 모두 덮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되, 상기 표시부의 일부분을 덮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length sufficient to cover all of the keypad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ing configured to cover a portion of the display unit.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main body,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하여 상기 덮개에 의해 가려진 부분에 원하는 정보가 표시되지 않고 노출된 부분에만 모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controlling the position and size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so that desired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on the portion covered by the cover, but only on the exposed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ver, 상기 키패드를 모두 덮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되, 상기 표시부를 덮지 않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ength sufficient to cover all of the keypad, but not to cover the display unit.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1, wherein the main body, 상기 메인 배터리의 전원이나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power control unit for selectively supplying power of the main battery or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power control unit, 상기 메인 배터리가 방전되면 상기 보조 배터리의 전원을 상기 본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when the main battery is discharged, supplying power of the auxiliary battery to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부재의 일측단에는 상기 본체를 삽입하기 위한 결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groove for inserting the main body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upl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ver, 일측단이 결합된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hinge coupled to one end is rotated about the shaf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상기 덮개의 내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stored in the cov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터리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상기 덮개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to the cover. 제 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보조 배터리와 상기 덮개는 동일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auxiliary battery and the cov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ame.
KR1020070053835A 2007-06-01 2007-06-01 Mobile terminal that can remove an external folder with an external keypad Expired - Fee Related KR1008382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835A KR100838211B1 (en) 2007-06-01 2007-06-01 Mobile terminal that can remove an external folder with an external keypa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3835A KR100838211B1 (en) 2007-06-01 2007-06-01 Mobile terminal that can remove an external folder with an external keyp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211B1 true KR100838211B1 (en) 2008-06-13

Family

ID=3977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38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838211B1 (en) 2007-06-01 2007-06-01 Mobile terminal that can remove an external folder with an external keypa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21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26A (en) * 2001-09-18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Multi functional flip set of mobile phone
KR20060068492A (en)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팬택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witching function using variable resistor and its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7226A (en) * 2001-09-18 200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Multi functional flip set of mobile phone
KR20060068492A (en) * 2004-12-16 2006-06-21 주식회사 팬택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witching function using variable resistor and its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5182B2 (en) Wireless cell phone
US6661404B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P1758345B1 (en) Mobile telecommunication handset having touch pad
JP2658928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100082920A (e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20060229116A1 (en) Folding information processor
KR20030081725A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374771B1 (en) Portable composite mobile terminal having portable phon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100838211B1 (en) Mobile terminal that can remove an external folder with an external keypad
KR100838212B1 (en) Mobile terminal that can remove external folder with spare battery
KR20070030566A (en) Dual screen mobile terminal
US8024017B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having a slide module
KR100416749B1 (en) Mobile phone having a dual liquid crystal display
KR200228906Y1 (en) Folder type portable telephone with two displays
KR200198699Y1 (en) Foldering type portable phone having displayer and signal input button on outside
KR100560919B1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sub display device.
KR101463816B1 (en) Battery pack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664128B1 (en) Rotatable Sliding Handheld Terminal
JP2005311728A (en) Mobile terminal device
KR200244607Y1 (en) Transmit/receive apparatus for dual lcd folder phone
JP2009135707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101055128B1 (en) Foldable cell phone with electronic notebook
KR100901189B1 (en) Clamshell terminal
KR100464978B1 (en) Mobile for exposing control key of sub LCD
KR100396265B1 (en) Folder type mobile phone with scroll key on hin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6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8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509